KR200267778Y1 - 종이 피리 - Google Patents

종이 피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778Y1
KR200267778Y1 KR2020010035231U KR20010035231U KR200267778Y1 KR 200267778 Y1 KR200267778 Y1 KR 200267778Y1 KR 2020010035231 U KR2020010035231 U KR 2020010035231U KR 20010035231 U KR20010035231 U KR 20010035231U KR 200267778 Y1 KR200267778 Y1 KR 200267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aper
main body
finger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우
이일용
Original Assignee
신동우
이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우, 이일용 filed Critical 신동우
Priority to KR2020010035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778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 피리에 관한 것으로, 역사다리꼴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절곡선을 경계로 몸체부의 일측에 연장된 접착부가 상호 접착 조립되어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종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취입구에 삽입되며, 상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된 폐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본체의 정면 및 배면에 위치되도록 발음공이 형성되고, 발음공의 하측에 각기 상이한 직경을 가진 다수의 운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운지공의 하측에 공기유도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에는 본체의 배면에 위치되는 몸체부의 운지공과 대응 일치되도록 운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피리는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될 우려가 적으며, 비록 파손된다 할지라도 저렴한 종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직접 제작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종이 피리{Paper flute}
본 고안은 피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직접 종이로 제작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종이 피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리는 속이 빈 대롱에 구멍을 뚫고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관악기의 총칭으로서, 좁게는 국악기 중의 향피리ㆍ당피리ㆍ세피리 등을 가리키기도 하나, 넓게는 곧은 일자 모양의 대에 구멍을 뚫고 입으로 불어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은 국악기나 서양악기, 또는 세로나 가로로 부는 악기를 구별하지 않고 통틀어 피리라고 부른다. 세 개의 지공(指孔)으로 반공(伴孔)을 막고 여는 연주법을 써서 십이율(律)을 내는 국악기로부터 열 개가 넘는 지공을 아홉 손가락으로 여닫아 반음까지도 연주할 수 있는 서양악기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ㆍ모양ㆍ음색ㆍ조(調) 등은 실로 다양하다.
이러한 피리는 시대를 거듭함에 따라 그 나라 민족의 정서와 풍속ㆍ전통에 맞도록 개량ㆍ발전ㆍ보급되어 왔으며, 향토적이고 단순한 한국의 버들피리를 비롯하여 어떠한 조나 음률의 곡이라도 연주할 수 있는 복잡하게 장식된 서양의 플루트나 리코더 등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실로 다양한 악기이다.
이와 같은 피리는 피리의 취구(吹口)에 입김을 불어넣어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서 소리를 내는 기명악기(氣鳴樂器)에 속하는 악기로 발음방법이나 운지법은 다른 목관악기와 같다.
이러한 피리는 손쉽게 구입할 수 있고 음색이 우아하기 때문에 널리 애용되고 있지만, 통상 목재나 금속 등으로 제조되므로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렴한 가격의 종이를 이용하여 누구나 손쉽게 제작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편의를 증진시킨 종이 피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역사다리꼴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절곡선을 경계로 몸체부의 일측에 연장된 접착부가 상호 접착 조립되어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종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취입구에 삽입되며, 상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된 폐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본체의 정면 및 배면에 위치되도록 발음공이 형성되고, 발음공의 하측에 각기 상이한 직경을 가진 다수의 운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운지공의 하측에 공기유도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에는 본체의 배면에 위치되는 몸체부의 운지공과 대응 일치되도록 운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피리의 펼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폐쇄부재의 펼친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몸체부
12 ; 취입구 13 ; 발음공
14 ; 배기공 15 ; 운지공
16 ; 공기유도공 17 ; 접착부
18 ; 절곡선 20 ; 폐쇄부재
21 ; 평면부 22 ; 함몰부
23 ; 절곡선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피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리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피리는 비교적 길게 형성된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측에 삽입되는 폐쇄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정면 상측에는 취입구(12)가 형성되고, 이 취입구(12)의 소정 거리 하측에는 발음공(13) 및 다수의 운지공(15)이 형성되며, 취입구(12)의 반대측 단부에는 배기공(14)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평면부(11)가 원통형으로 둥글게 말려서 제작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정면 상측에는 직사각형의 발음공(13)이 형성되며, 상기 발음공(13)의 하부는 관 내부의 공기의 진동에 따라 음이 발생되도록 예리한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취입구(12)의 내부에 내재되는 폐쇄부재(20)는 취입구(12)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피리의 음률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폐쇄부재(20)의 상면에는 취입구(12)를 통해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운지공(15)은 손가락으로 개폐됨에 따라 발음공(13)으로 방출되는 음의 높낮이가 조정되는 것으로, 본체(10)의 정면 및 후면에 복수개가 통공된다. 즉, 본체(10)의 후면에 한개가 형성되고, 정면에는 양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상호 상이한 직경으로 7개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피리를 제작하기 전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것으로, 소정의 형상을 지닌 종이, 바람직하게는 장지(壯紙) 등과 같이 비교적 두꺼운 종이에 소정의 면적을 가진 몸체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일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경우 상호 접착될 수 있도록 절곡선(17)을 포함하여 접착부(17)가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는 둥글게 말아졌을 경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역사다리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1)에는 발음공(13) 및 운지공(15)들이 통공되는데, 몸체부(11)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후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7)가 몸체부(11)에 부착될 경우, 몸체부(11)와 접착부(17)에는 동일 위치에 각각 하나의 운지공(15)(15')을 대응 형성하여 본체(1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이 피리는, 목재나 금속 등으로 된 값비싼 피리를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는 사용자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직접 제작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될 우려가 적으며, 비록 파손된다 할지라도 저렴한 종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피리와 달리 본 고안에서와 같이 종이를 이용하여 피리를 제작할 경우 그 재질적 차이로 인해 음질에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펼쳐진 상태의 몸체부(11)를 원통형으로 권취할 때 취입구(12)에서 배기공(14)으로 향할 수록 점차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한다.
특히, 음계 중 '도'음에 있어서는, 종이라는 재질적 차이로 인해 취입구(12)로 유입된 공기가 배기공(14)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본체(10) 내부로 흡수됨으로써 그 음정이 부정확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도'음을 내는 운지공(15)의 하측에 마름모꼴의 공기유도공(16)을 형성하여 취입구(12)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끊어지지 않고 공기유도공(16)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도' 음정을 가지게 된다.
더불어, 운지공(15)을 정확히 통공하여 각 음들의 음정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즉, 본체(10)의 길이를 310㎜로 했을 경우, '도'의 운지공은 지름이 4.5㎜, '레'는 6.5㎜, '미'는 4㎜, '파'는 5㎜, '솔'은 8㎜, '시'는 4.5㎜, '높은 도'는 3㎜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음공(13)은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각각 12㎜와 6㎜로 성형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폐쇄부재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폐쇄부재(20)는 절곡선(23)을 경계로 12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평면부(21)가 서로 다른 크기로 구획된다.
이와 같은 폐쇄부재(20)는 취입구(12)의 내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피리의 정확한 음정을 도출하도록 한다.
상술한 종이 피리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통형의 막대기를 이용하여 몸체부(11)를 원통형으로 형성한다. 그후, 본체(10)의 배면에 위치할 운지공(15)(15')이 상호 일치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7)를 몸체부(11)에 부착한 후, 고무줄과 같은 별도의 분리 가능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몸체부(11)와 접착부(17)의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접착이 완료되면 본체(10)의 발음공(13)의 하단을 소정량 가압하여 적당한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다음으로, 절곡선(23)을 따라 절곡 및 상호 접착하여 형성된 육면체의 폐쇄부재(20)의 상면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적당량 함몰되도록 한 후, 피리 본체(10)의 취입구(12)에 내재시킨다. 그후, 운지공(15)을 모두 개방한 상태로 취입구(12)에 공기를 불어넣어 적당한 소리가 나오는지를 판단하면서 폐쇄부재(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와 같은 피리는, 종이를 이용하여 직접 제작 가능하므로 소정의 사고(思考)와 노력을 통해 유아들에게 공작을 통한 학습효과 및 성취감을 유도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제작된 피리를 이용하여 다수의 유아들이 합동 연주를 함으로써 음악적 소양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즉, 본인이 직접 악기를 제작하여 사용함에 따라 음악에 더욱 친근과 흥미를 느낄 수 있고, 악기에서 소리가 나는 과학적 원리를 직접 체험할 수 있으므로 음악 교육에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피리는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될 우려가 적으며, 비록 파손된다 할지라도 저렴한 종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직접 제작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역사다리꼴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취입구(12)가 형성된 몸체부(11)와, 절곡선(18)을 경계로 몸체부(11)의 일측에 연장된 접착부(17)가 상호 접착 조립되어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종이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취입구(12)에 삽입되며, 상면에는 함몰부(22)가 형성된 폐쇄부재(2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1)의 상부에는 본체(10)의 정면에 위치되도록 발음공(13)이 형성되고, 상기 발음공(13)의 하측에 각기 상이한 직경을 가진 다수의 운지공(15)이 형성되며, 상기 운지공(15)의 하측에 공기유도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17)에는 본체(10)의 배면에 위치되는 몸체부(11)의 운지공(15)과 대응 일치되도록 운지공(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피리.
KR2020010035231U 2001-11-16 2001-11-16 종이 피리 KR200267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31U KR200267778Y1 (ko) 2001-11-16 2001-11-16 종이 피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31U KR200267778Y1 (ko) 2001-11-16 2001-11-16 종이 피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778Y1 true KR200267778Y1 (ko) 2002-03-13

Family

ID=7311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231U KR200267778Y1 (ko) 2001-11-16 2001-11-16 종이 피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7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5831B2 (en) Brass instrument
US20070277666A1 (en) Woodwind instrument
TWI652667B (zh) 調整吹氣壓力的減音裝置及其轉接器、以及吹奏樂器
KR200452251Y1 (ko) 개량형 정악대금
US3888154A (en) End blown free air-reed flute
KR200267778Y1 (ko) 종이 피리
KR100828997B1 (ko) 티자형 오카리나
US4422364A (en) Fipple type headjoint assembly for use with existing transverse flutes
CN210295870U (zh) 多功能组合排箫
KR100511772B1 (ko) 학습용 책
US9613601B1 (en) Minawi straw
US2883898A (en) Fipple flute
KR101674359B1 (ko) 확장된 음역을 갖는 이중취구 오카리나
US11127382B1 (en) Tone-a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al wind instruments
CN106251839A (zh) 一种内锥管式管乐器
KR200281134Y1 (ko) 종이 팬플룻
CN214336309U (zh) 一种吹奏乐器
KR102331567B1 (ko) 개량 전통 관악기
CN206224983U (zh) 一种内锥管式管乐器
US5375498A (en) Recorder
KR20090077505A (ko) 리코더
KR101453480B1 (ko)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KR20100020683A (ko) 클라리넷
KR200266563Y1 (ko) 종이 오카리나
Tomecek et al. Mus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