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083A - 방송 제어 장치, 방송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방송 제어 장치, 방송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083A
KR20210125083A KR1020217029535A KR20217029535A KR20210125083A KR 20210125083 A KR20210125083 A KR 20210125083A KR 1020217029535 A KR1020217029535 A KR 1020217029535A KR 20217029535 A KR20217029535 A KR 20217029535A KR 20210125083 A KR20210125083 A KR 20210125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leap
correction
broadcast control
system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034B1 (ko
Inventor
기요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엔이씨 플랫폼즈 가부시키가이샤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플랫폼즈 가부시키가이샤,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플랫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04N5/067Arrangements or circuits at the transmitter end
    • H04N5/0675Arrangements or circuits at the transmitter end for mixing the synchronising signals with the picture signal or mutuall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14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a telecommunication standard signal, e.g. G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8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broadcast or distribution via plur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경우에 방송 신호의 보다 안정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방송 제어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방송 제어 장치는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시간 생성부-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도록 구성된 보정부를 포함하고,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Description

방송 제어 장치, 방송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본 개시내용은 방송 제어 장치, 방송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 기관은 UTC(Universal Coordinated Time)에 기초한 시간을 참조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협정 세계 시간은 국제 원자 시간(TAI)과 동일한 속도를 갖지만, 지구의 자전 속도의 변동에 따라 하루 길이의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국제 원자 시간에 대해 초 단위의 오프셋을 갖는다. 2019년 2월의 시점에서는, 협정 세계 시간이 국제 원자 시간보다 37초만큼 늦다. 이러한 지연은 과거의 윤초(leap second) 삽입의 축적에 의한 것이다.
방송 기관은 방송국 내의 방송 장비에 의해 참조되는 시간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TP)은 그러한 시간 프로토콜의 예이다. 방송 장비로서의 NTP 클라이언트는, NTP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NTP 패킷에 기술된 시간 스탬프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으로서의 협정 세계 시간에 동기화된다. 정밀 시간 프로토콜(PTP)은 시간 프로토콜의 다른 예이다. N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밀리초 정도의 동기화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는 반면, PTP는 마이크로초 정도의 동기화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협정 세계 시간에서 윤초 조정(윤초의 삽입 또는 삭제)이 실행될 때, NTP 또는 PTP 서버는 윤초가 실제로 삽입 또는 삭제되도록 예정된 시간 이전에 윤초 조정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 참조). 윤초 조정 정보를 수신하는 장비가 윤초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는 개별 장비 구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기준 시간에 대한 장비의 시간의 간격을 윤초 조정의 예정 시간에 체크하여 장비의 시간을 보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시간 신호 시스템에서, 기준 시간보다는 프리-러닝 시간(free-running time)에 기초하여 일시적으로 윤초 조정에 가까운 타이밍에서 시간 신호가 출력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수신 장비가 비디오 또는 사운드를 처리하는 타이밍을 실수하지 않도록, 윤초 조정이 수행될 때 프리-러닝 모드가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윤초 삽입으로 인해 시간 표시가 중복되는 2초 동안 시간 표시가 연속적으로 증가되도록 보정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JP 2015-059851 A JP 2016-054437 A JP 6264501 B JP 2010-272071 A
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MMT-BASED MEDIA TRANSPORT SCHEM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ARIB STD-B60 Version 1.13, October 11, 2018", [2019년 2월 15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arib.or.jp/english/html/overview/doc/6-STD-B60v1_13-E1.pdf>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Candidate Standard: 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Protection (A/331)", [2019년 2월 15일 검색], 인터넷 <URL:https://www.atsc.org/wp-content/uploads/2016/01/A331S33-174r6-Signaling-Delivery-Sync-FEC.pdf>
일본 표준 시간(JST)에서는 오전 8:59:59 이후에 다시 "오전 8:59:59"을 표시함으로써 윤초 삽입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 경우, 표시된 시간은 2회째의 오전 8:59:59의 시작에서 과거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변경없이 이 방식에서 조정된 기준 시간의 사용은 시간의 시퀀스 순서가 손상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용도에서 문제가 된다. 한편, 일본 표준 시간에서는, 오전 8:59:58 후에 오전 8:59:59의 1초를 스킵하고 오전 9:00:00로 진행함으로써 윤초 삭제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 경우, 오전 8:59:59를 트리거로서 발생하도록 설정된 이벤트가 트리거되지 못할 수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기술은, 특히 윤초를 삽입할 때의 시간의 복귀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이지만, 2초의 짧은 기간 동안의 시간 보정은 시간 진행을 상당히 왜곡시킨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4에 개시된 기술은 안정된 처리가 요구되는 방송 신호 처리의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경우에 방송 신호를 보다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시간 생성부-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도록 구성된 보정부를 포함하는 방송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는 단계-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방송 제어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 따르면,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경우에 방송 신호를 보다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 따르면, 상기 효과들 대신에 또는 이들과 함께, 다른 효과들이 발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은 윤초가 삽입될 때 시간 표시가 연속적으로 증가되도록 보정하기 위한 기존의 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제1 예에서 윤초가 삽입될 때의 시간 진행의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는 제1 예에서 윤초가 삽입될 때의 기준 시간 및 보정된 시스템 시간의 진행을 더 상세히 나타내는 표이고;
도 5는 제1 예에서 윤초가 삭제될 때의 시간 진행의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은 제1 예에서 윤초가 삭제될 때 기준 시간과 보정된 시스템 시간의 진행을 더 상세히 나타내는 표이고;
도 7은 제2 예에서 윤초가 삽입될 때의 시간 진행의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8은 제2 예에서 윤초가 삭제될 때의 시간 진행의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9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간 제어 처리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시간 제어 처리에 포함되는 시스템 시간 보정 처리의 상세한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2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4는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명세서 및 도면들에서, 유사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며,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해질 것이다.
1. 개요
1-1. 관련 기술
1-2. 과제
2. 제1 예시적인 실시예
2-1. 방송 제어 장치의 구성예
2-2. 시간 보정-관련 정보
2-3. 처리의 흐름
2-4. 변경예들
3. 제2 예시적인 실시예
4. 부기(supplement)
<<1. 개요>>
<1-1. 관련 기술>
일반적으로, 방송 기관은 UTC(Universal Coordinated Time)에 기초한 시간을 참조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일례로서, APS(Automatic Program control System)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스케줄에 의해 지정되는 시간이 협정 세계 시간(Universal Time Coordinated)에 도달하는 타이밍에서, 해당 장비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협정 세계 시간은 국제 원자 시간(TAI)과 동일한 속도를 갖지만, 지구의 자전 속도의 변동에 따라 하루 길이의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국제 원자 시간에 대해 초 단위의 오프셋을 갖는다. 2019년 2월의 시점에서는, 협정 세계 시간이 국제 원자 시간보다 37초만큼 늦다. 이러한 지연은 과거의 윤초(leap second) 삽입의 축적에 의한 것이다.
방송 기관은 방송국 내의 방송 장비에 의해 참조되는 시간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TP)은 그러한 시간 프로토콜의 예이다. 방송 장비로서의 NTP 클라이언트는 NTP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NTP 패킷에 기술된 시간 스탬프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으로서의 협정 세계 시간에 동기화된다. 정밀 시간 프로토콜(PTP)은 시간 프로토콜의 다른 예이다. N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밀리초 정도의 동기화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는 반면, PTP는 마이크로초 정도의 동기화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협정 세계 시간에서 윤초 조정(윤초의 삽입 또는 삭제)이 실행될 때, NTP 또는 PTP 서버는 윤초가 실제로 삽입 또는 삭제되도록 예정된 시간 이전에 윤초 조정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1은 NTP의 시간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NTP의 시간 정보의 데이터 구조(비특허문헌 1, Table 3-1 Configuration of NTP format으로부터)
윤초 조정은 일반적으로 협정 세계 시간의 12월 또는 6월의 마지막 날에 마지막 초를 중복적으로 삽입 또는 삭제함으로써 수행된다(그리고 조정이 지구의 자전 속도의 변화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3월 또는 9월의 마지막 날에도 수행될 수 있다). 표 1에 나타낸 데이터 구조에서 첫번째로 열거되는 파라미터 leap_indicator는,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월초로부터 윤초 조정이 종료될 때까지, 이하의 표에 기재된 정의에 따라 윤초가 삽입되는지 또는 윤초가 삭제되는지를 식별하는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 leap_indicator의 정의(비특허문헌 2, Table 3-2 Leap indicator로부터)
표 2에 따르면, 윤초 조정이 수행되지 않는 달에는, leap_indicator가 "0"을 나타낸다.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달에는, 윤초 조정이 종료될 때까지, leap_indicator은 윤초 삽입의 경우에 "1"을 나타내고, 윤초 삭제의 경우에 "2"를 나타낸다. 일본 표준 시간은 협정 세계 시간보다 9시간 앞이며, 따라서 일본에서의 윤초 조정의 타이밍은 일반적으로 1월 1일 오전 9시 또는 7월 1일 오전 9시 직전이며, leap_indicator는 그 타이밍 이전의 달로부터 "1" 또는 "2"를 나타낸다.
아래의 표 3은 PTP의 시간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PTP에서, leap59 및 leap61의 2개의 플래그는 윤초 조정 정보이다.
Figure pct00003
표 3, PTP의 시간 정보의 예(비특허문헌 2, Table 6.7 System Time Element Structure로부터)
플래그 leap59는, 윤초 조정 타이밍의 1일 전으로부터 윤초 조정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윤초 삭제가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1"의 값을 나타낸다. 플래그 leap61은, 윤초 조정 타이밍의 1일 전부터 윤초 조정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윤초 삽입이 행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1"의 값을 나타낸다. 윤초 조정이 종료될 때, 이러한 플래그들의 값들은 다시 미리 정의된 값들인 "0"으로 변경된다.
PTP에서, 국제 원자 시간과 협정 세계 시간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currentUtcOffset의 값은 윤초 조정을 통해 변경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파라미터 utcLocalOffset는 협정 세계 시간과 시스템이 위치하는 로컬 시간 존 사이의 시차를 나타낸다.
전술한 윤초 조정 정보를 수신한 장비가 윤초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는 개별 장비 구현에 의존한다.
여기서, 데이터에 기입된 시간의 시퀀스 순서가 중요한 상황, 예를 들어, 전자 상거래(예를 들어, 주식의 매매와 같은 금융 거래)인 상황에서, 시간 표시는 윤초 삽입으로 인해 중복되는(1초 이전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4는 윤초 삽입으로 인해 시간 표시가 중복되는 2초 동안 시간 표시가 연속적으로 증가되도록 보정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4에 개시된 기존의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의 상부 행은 기준 시간으로서 일본 표준 시간(JST)을 오전 8:56:00 내지 오전 9:00:01 범위에서 나타내고 있다. 시간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한다. 도면에서, 비스듬한 해칭은 삽입될 윤초를 나타낸다. 도 1의 예에서는, 시간 T1=오전 9:00:00(JST) 직전에 윤초가 삽입된다. 즉, 2회째의 오전 8:59:59은 1회째의 오전 8:59:59 이후에 삽입된다.
도 1의 중간 행은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동일한 시간 범위에서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시간 T1의 2초 전으로부터 시간 T1까지, 외관상의 시간 진행률이 절반으로 감소된다. 이 동작에 의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2회째의 오전 8:59:59를 갖지 않고, 예를 들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기준 시간이 2회째의 오전 8:59:59.000을 나타내는 타이밍에서 오전 8:59:59.500을 나타낸다. 이러한 보정의 결과로서, 보정된 시스템 시간의 표시는 되돌아가지 않고 연속적으로 증가하므로, 시간의 시퀀스 순서가 보장될 수 있다.
<1-2. 과제>
전술된 기존의 방식은, 특히, 윤초를 삽입할 때의 시간의 되돌아옴(turn back)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이지만, 2초의 짧은 기간 동안의 시간 보정은 시간 진행을 상당히 왜곡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예에서는, 시간 T1의 2초 전에 대응하는 오전 8:59:00 전과 후 사이, 및 시간 T1에 대응하는 오전 9:00:00 전과 후 사이에서, 시간 진행률이 급격하게 변화한다(각각 절반 및 2배).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안정된 처리가 요구되는 방송 신호 처리에서의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 이유는 방송 신호 처리가 본질적으로 주기적 신호 처리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된 기술은, 윤초 삭제의 경우에 적용가능하지 않다. 윤초 삭제의 경우, 일본 표준 시간은 오전 8:59:59의 1초를 갖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윤초 삭제에 대해 어떠한 조치도 취해지지 않는 경우, 트리거로서 오전 8:59:59부터 발생하도록 설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8:59:59로부터의 비디오의 방송 시작)는 트리거되지 못할 수 있다.
그래서,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경우에 방송 신호의 보다 안정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 따른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다음 및 후속 챕터들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2. 제1 예시적인 실시예>>
<2-1. 방송 제어 장치의 구성예>
도 2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1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방송 제어 장치(100)는 방송국의 IP 네트워크에 접속된 APS이다. 물론,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APS 이외의 방송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와 같은 다른 응용예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제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저장부(130), 시간 처리부(140), 및 방송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시간 처리부(140)는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 보정부(160) 및 시간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1)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방송 제어 장치(100)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선 통신을 위한 접속 단자 및 접속 회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기저대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네트워크 카드일 수 있다.
(2)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시 또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 및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버튼, 스위치, 키보드, 키패드, 터치 패널, 및 포인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 저장부
저장부(130)는 일시적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일시적 메모리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일시적 메모리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riv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방송 제어 장치(100)의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저장부(130)는 미리 정의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줄을 기술한 방송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한다.
(4) 시스템 시간 생성부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고, 이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NTP 클라이언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복수의 NTP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NTP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높은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는 NTP 메시지들의 시간 스탬프들 중 일부에 기초하여, 밀리초 정도의 동기화 정확도로 기준 시간을 산출한다. 그 후,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산출된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예를 들어, 협정 세계 시간의 시간)를 보정부(160) 및 시간 출력부(170)에 출력한다.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또한 NTP 서버들로부터 수신된 윤초 조정 정보(예를 들어, 전술한 leap_indicator)를 보정부(160)에 출력한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PTP 슬레이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매우 정확한 시간 소스(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와 동기화된 PTP 그랜드 마스터(도시되지 않음)와 PTP 메시지를 교환하고, 이러한 메시지에 기술된 시간 스탬프들에 기초하여, 마이크로초 정도의 동기화 정확도로 기준 시간을 산출한다. 그 후,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산출된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예를 들어, 국제 원자 시간의 시간 및 오프셋)를 보정부(160) 및 시간 출력부(170)에 출력한다.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또한 PTP 그랜드 마스터로부터 수신된 윤초 조정 정보(예를 들어, 전술한 leap59 및 leap61)를 보정부(160)에 출력한다.
(5) 보정부
보정부(160)는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로부터 입력된 윤초 조정 정보를 감시한다. 그 후, 보정부(160)는, 윤초 조정이 행해지도록 예정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입력되면, 예정된 조정 완료 시간보다 충분히 빠른 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시스템 시간을 보정한다.
특정 예에서, NTP가 시간 프로토콜로서 사용되는 경우, leap_indicator는 특정 타이밍에서 "0"에서 1" 또는 "2"로 변한다. 이 변경은 이 변경의 타이밍으로부터 한달 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leap_indicator의 "1"로의 변경은 한달 후에 윤초가 삽입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leap_indicator의 "2"로의 변경은 한달 후에 윤초가 삭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윤초 조정 정보에 의해 이러한 방식으로 나타나는 윤초 조정의 예정된 완료 시간은 제1 시간 T1이라고 지칭된다.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윤초 조정 정보인 leap_indicator의 이러한 변경을 검출할 때, 제1 시간 T1보다 충분히 빠른 시간(이하, 제2 시간 T2라고 지칭됨)으로부터 시간 길이에 걸쳐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기로 결정한다.
다른 예에서, PTP가 시간 프로토콜로서 사용되는 경우, leap59 및 leap61 중 어느 하나는 특정 타이밍에서 "0"에서 "1"로 변경된다. 이 변경은 이 변경의 타이밍으로부터 하루 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leap59의 "1"로의 변경은 하루 후에 윤초가 삭제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leap61의 "1"로의 변경은 하루 후에 윤초가 삽입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윤초 조정 정보인 leap59 또는 leap61의 이러한 변화를 검출할 때, 제1 시간 T1보다 충분히 빠른 제2 시간 T2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길이에 걸쳐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기로 결정한다.
보정부(160)는 외관상의 시간 진행률을 일시적으로 변경하여 시스템 시간을 보정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일시적인 변경의 기간을 보정 기간이라고 칭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정 기간의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방송 분야에서는, 60Hz의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가 널리 사용된다. 60Hz의 역수는 16.67 밀리초에 대응한다. 1초의 삽입(삭제)을 100초의 보정 기간에 분산되도록 수행하는 경우, 1초당 보정량의 절대값은 1/100초=10밀리초이며, 이는 16.67밀리초보다 작고, 상술한 시간 길이 D의 조건을 충족한다. 60Hz의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경우에 보정 기간의 시간 길이 D의 최솟값은 60(=1000/16.67)초이다.
보정 기간의 시작 시간인 제2 시간 T2는 제1 시간 T1보다 정확히 시간 길이 D만큼 더 빠른 시간일 수 있거나, 또는 그 시간보다 더 빠른 시간일 수 있다. 보정부(160)는, NTP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2 시간 T2를 가장 빠른 제1 시간 T1의 한달 전에 설정할 수 있다. 보정부(160)는, PTP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2 시간 T2를 가장 빠른 제1 시간 T1의 하루 전에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기준 시간이 보정된 시스템 시간과 상이한 상태가 긴 시간 동안 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제2 시간 T2를 과도하게 빠른 시간에 설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정부(160)는 제2 시간 T2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시간을 보정한다.
시스템 시간에 윤초가 삽입될 때, 보정부(160)는 아래의 식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보정된 시스템 시간 T'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현재 기준 시간은 T이고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T'이다.
Figure pct00004
수학식 1은 제2 시간 T2 이후의 경과 시간 T-T2에 비 (D-1)/D를 승산함으로써 보정된 경과 시간 dT가 산출되고, 보정된 경과 시간 dT를 제2 시간 T2에 가산함으로써 획득된 합이 보정된 시스템 시간 T'로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D=100인 경우, 경과 시간 T-T2에 승산되는 비는 0.99이다.
예를 들어, 제1 예에서, 제2 시간 T2는 제1 시간 T1보다 정확히 시간 길이 D만큼 더 빠른 시간이고, D=100초(즉, T2=T1-100초)라고 가정한다. 도 3은 제1 예에서 윤초가 삽입될 때의 시간 진행의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의 상부 행은 기준 시간으로서 일본 표준 시간(JST)을 오전 8:56:00 내지 오전 9:00:00 범위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시간 T1=오전 9:00:00(JST) 직전에 윤초가 삽입된다.
도 3의 중간 행은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동일한 시간 범위에서 나타내고 있다. 보정이 시작되는 시간 T2는 오전 8:58:21이다. 시간 T2에서, 기준 시간과 보정된 시스템 시간 사이에는 차이가 없다.
시간 T2로부터 39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9:0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8:59.61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39/100초 더 느림).
시간 T2로부터 69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9:3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29.31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69/100초 더 느림).
시간 T2로부터 98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1회째의 오전 8:59:59.000을 나타내고,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8.02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98/100초 더 느림).
시간 T2로부터 99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윤초 삽입으로 인해 2회째의 오전 8:59:59.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9.010을 나타낸다. 즉, 기준 시간이 이 타이밍에서 1초만큼 과거로 다시 되돌아 오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다시 되돌아 오지 않는다.
그 후, 시간 T2로부터 100초가 경과한 시간 T1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9:00:00.000을 나타내고, 윤초 조정은 종료한다. 이때,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또한 오전 9:00:00.000을 나타내고, 보정 기간이 종료된다.
여기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존 방식을 본 예와 비교하면, 기준 시간이 1회째의 오전 8:59:59.000일 때, 기존 방식에서의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9.000인 반면, 본 예에서의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8.020이다. 기준 시간이 2회째의 오전 8:59:59.000일 때의 시점에서, 기존 방식에서의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9.500인 반면, 본 예에서의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9.010이다. 즉, 이러한 2개의 시점 사이에서, 기존 방식에서는 0.5초밖에 외관상 경과하지 않는 반면, 본 예에서는 0.99초가 외관상 경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 방식에서의 외관상 경과 시간은 실제 경과 시간으로부터 50% 벗어나는 반면, 본 예에서의 외관상 경과 시간은 실제 경과 시간으로부터 불과 1% 벗어난다. 기준 시간이 2회째의 오전 8:59:59.000을 나타내는 시점으로부터 윤초 조정이 종료되는 오전 9:00:00.000의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전술된 제1 예에서 윤초가 삽입될 때의, 시간 T2로부터 시간 T1까지의 현재 시간 T(기준 시간), 경과 시간(T-T2), 보정된 경과 시간(dT), 및 보정된 시스템 시간(T')의 천이를 더 상세히 나타낸다.
시스템 시간으로부터 윤초가 삭제되면, 보정부(160)는 아래의 식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보정된 시스템 시간 T'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수학식 2는 제2 시간 T2 이후의 경과 시간 T-T2에 비 (D+1)/D를 승산함으로써 보정된 경과 시간 dT이 산출되고, 보정된 경과 시간 dT를 제2 시간 T2에 가산함으로써 획득된 합이 보정된 시스템 시간 T'로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D=100인 경우, 경과 시간 T-T2에 승산되는 비는 1.01이다.
도 5는 제1 예에서 윤초가 삭제될 때의 시간 진행의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의 상부 행은 기준 시간으로서 일본 표준 시간(JST)을 오전 8:56:00 내지 오전 9:00:00 범위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시간 T1=오전 9:00:00(JST) 직전에 윤초가 삭제된다.
도 5의 중간 행은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동일한 시간 범위에서 나타내고 있다. 보정이 시작되는 시간 T2는 오전 8:58:19이다. 시간 T2에서, 기준 시간과 보정된 시스템 시간 사이에는 차이가 없다.
시간 T2로부터 41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9:0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00.41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41/100초 빠름).
시간 T2로부터 71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9:3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30.71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71/100초 빠름).
시간 T2로부터 99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9:58.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8.99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99/100초 빠름).
시간 T2로부터 10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윤초 삭제로 인해 오전 8:59:59를 스킵하고 오전 9:00:00.000을 나타낸다. 그 후, 윤초 조정이 종료된다. 이때,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또한 오전 9:00:00.000을 나타내고, 보정 기간이 종료된다.
여기서, 기준 시간이 오전 8:59:58.000을 나타내는 시점으로부터 윤초 조정이 종료될 때까지의 실제 경과 시간은 1초인 반면, 본 예에서의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외관상 오전 8:59:58.990으로부터 오전 9:00:00.000까지 1.01초만큼 경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예에서, 윤초가 삭제될 때에도, 외관상 경과 시간은 외관상 경과 시간으로부터 1%밖에 벗어나지 않는다.
도 6은 전술된 제1 예에서 윤초가 삭제될 때의, 시간 T2로부터 시간 T1까지의 현재 시간 T(기준 시간), 경과 시간(T-T2), 보정된 경과 시간(dT), 및 보정된 시스템 시간(T')의 천이를 더 상세히 나타낸다.
보정부(160)에 의한 시스템 시간의 보정은 윤초가 기준 시간에 삽입될 때 아래의 수학식 3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수학식 3은 수학식 1과 실질적으로 등가이다.
Figure pct00006
수학식 3은 제2 시간 T2 이후의 경과 시간 T-T2를 시간 길이 D로 제산함으로써 획득된 몫에 대응하는 보정량 dt를 기준 시간 T로부터 감산함으로써, 보정된 시스템 시간 T'가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D=100인 경우, 1초당 보정량 dt는 0.01초이다. 그러나, 수학식 3의 경우, 기준 시간 T가 2회째의 X:59:59(X는 시간대에 의존함)를 나타내는 1초 동안, T는 X:59:60으로 대체되고, 보정량 dt는 감산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보정부(160)에 의한 시스템 시간의 보정은 기준 시간으로부터 윤초가 삭제될 때, 아래의 수학식 4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수학식 4는 수학식 2와 실질적으로 등가하다.
Figure pct00007
수학식 4는 제2 시간 T2 이후의 경과 시간 T-T2를 시간 길이 D로 제산함으로써 획득된 몫에 대응하는 보정량 dt를 기준 시간 T에 가산함으로써, 보정된 시스템 시간 T'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D=100인 경우, 1초당 보정량 dt는 0.01초이다.
제1 예에서는, 기준 시간에 대한 윤초 조정이 종료되는 제1 시간 T1에서 보정 기간이 종료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보정 기간은 제1 시간 T1보다 빠른 제3 시간 T3에서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예에서, 제2 시간 T2가 제1 시간 T1보다 2분만큼 더 빠른 시간이고, 여기서, 보정 기간의 시간 길이 D는 제1 예와 유사하게 100초라고 가정한다. 도 7은 제2 예에서 윤초가 삽입될 때의 시간 진행의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 예에서도, 윤초는 시간 T1=오전 9:00:00(JST) 직전에 삽입된다.
보정이 시작되는 시간 T2는 오전 8:58:00이다. 시간 T2에서, 기준 시간과 보정된 시스템 시간 사이에는 차이가 없다.
시간 T2로부터 3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8:3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8:29.70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30/100초 더 느림).
시간 T2로부터 6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9:0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8:59.40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60/100초 더 느림).
시간 T2로부터 10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9:4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39.00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1초 느림). 이 타이밍은 보정 기간의 종료 시간인 제3 시간 T3와 매칭되기에, 보정 기간은 종료한다. 보정부(160)는 보정 기간의 종료로부터 제1 시간 T1까지 시간 진행률을 기준 시간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기준 시간이 1회째의 오전 8:59:59.000에 도달할 때의 시점에서,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8.000을 나타낸다. 추가로 1초가 경과한 후에, 기준 시간은 윤초 삽입으로 인해 2회째의 오전 8:59:59.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9.000을 나타낸다. 즉, 기준 시간이 이 타이밍에서 1초만큼 과거로 다시 되돌아 오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다시 되돌아 오지 않는다.
그 후, 시간 T1에서, 기준 시간과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9:00:00.000을 나타내고, 윤초 조정은 종료한다.
도 7의 예에서도, 보정 기간 동안 임의의 2개의 시점 사이의 외관상 경과 시간은 기준 시간에서의 경과 시간으로부터 불과 1%밖에 벗어나지 않는다.
도 8은 제2 예에서 윤초가 삭제될 때의 시간 진행의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 예에서도, 시간 T1=오전 9:00:00(JST) 직전에 윤초가 삭제된다.
보정이 시작되는 시간 T2는 오전 8:58:00이다. 시간 T2에서, 기준 시간과 보정된 시스템 시간 사이에는 차이가 없다.
시간 T2로부터 3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8:3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8:30.30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30/100초 빠름).
시간 T2로부터 6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9:0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00.60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60/100초 빠름).
시간 T2로부터 100초가 경과한 시간에서, 기준 시간은 오전 8:59:40.000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41.000을 나타낸다(즉, 기준 시간보다 1초 빠름). 이 타이밍은 보정 기간의 종료 시간인 제3 시간 T3와 매칭되기에, 보정 기간은 종료한다. 보정부(160)는 보정 기간의 종료로부터 제1 시간 T1까지 시간 진행률을 기준 시간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기준 시간이 오전 8:59:58에 도달할 때의 시점에서,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오전 8:59:59.000을 나타낸다. 추가로 1초가 경과한 후에, 기준 시간은 윤초 삭제로 인해 오전 8:59:59를 스킵하고 오전 9:00:00.000을 나타낸다. 그 후, 윤초 조정이 종료된다. 이때,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또한 오전 9:00:00.000을 나타낸다.
도 8의 예에서도, 보정 기간 동안 임의의 2개의 시점 사이의 외관상 경과 시간은 기준 시간에서의 경과 시간으로부터 불과 1%밖에 벗어나지 않는다.
보정부(160)는 전술한 방식에 따라 결정된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나타내는 보정된 시간 정보를 시간 출력부(170)에 출력한다. 대안적으로, 보정부(160)는 시스템 시간의 보정량(예를 들어, 수학식 3 또는 수학식 4의 dt)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시간 출력부(170)에 출력할 수 있다.
(6) 시간 출력부
시간 출력부(170)는 상술된 보정 기간이 시작되는 제2 시간 T2로부터 윤초 조정이 종료되는 제1 시간 T1까지 보정부(160)로부터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나타내는 보정된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대안적으로, 보정량 정보는 보정부(160)로부터 시간 출력부(170)에 입력될 수 있고, 시간 출력부(170)는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로부터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시간에 보정량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보정량을 가산하여(또는 시스템 시간으로부터 감산하여)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시간 출력부(170)는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방송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시간 출력부(170)는, 보정부(160)에 의해 시스템 시간이 보정되지 않는 기간 동안,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로부터 입력된 시간 정보에 기초한 시스템 시간을 방송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NTP가 시간 프로토콜로서 사용되는 경우, 미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협정 세계 시간, 또는 협정 세계 시간과 시간대에 의존하는 시차의 합일 수 있다. PTP가 시간 프로토콜로서 사용되는 경우, 미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국제 원자 시간, 윤초 조정의 누적 오프셋(표 3의 currentUtcOffset), 및 시차의 합일 수 있다.
(7) 방송 제어부
방송 제어부(180)는 시간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시간을 참조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방송 스케줄 데이터에 따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방송 제어부(180)는 방송 스케줄 데이터가 나타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시간이 도달하는 타이밍에서 관련 장비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를 지시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 시간은 시간의 시퀀스 순서가 보장되는 방식으로 보정된다. 따라서, 방송에 관한 제어가 어떤 종류의 시간을 트리거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방송 제어부(180)는 트리거를 잃지 않고 적절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처리부(140)는 윤초 조정이 예정되어 있는 기간 동안 시간 진행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시스템 시간을 보정한다. 따라서, 방송 제어부(180)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장비는 동작의 타이밍에서 방해받지 않고 방송 신호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2-2. 시간 보정-관련 정보>
시간 출력부(170)는 시스템 시간의 보정과 관련된 보정-관련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보정될 시스템 시간을 사용하는 다른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관련 정보는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나타내는 보정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정-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추가적인 구현을 요구하지 않고 보정된 시스템 시간에 따라 방송 신호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관련 정보는 시스템 시간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오프셋 정보(예를 들어, 표 3의 currentUtcOffset)는 초의 입도만으로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반면, 보정량 정보는 밀리초 입도로 보정량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정-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보정량 정보가 나타내는 보정량을 사용하여, 장치 자체가 생성 또는 취득하는 시스템 시간을 보정할 수 있고, 보정된 시스템 시간에 따라 방송 신호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관련 정보는 제2 시간 T2, 시간 길이 D, 및 보정 기간이 종료되는 제3 시간 T3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보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정-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방송 제어 장치(100)에서와 마찬가지로 스스로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기 위한 계산을 수행하여 방송 제어 장치(100)와 동기화된 시간에 따라 방송 신호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보정-관련 정보는 후술하는 예시적인 변경예에서의 방송 제어 장치(200, 300, 또는 40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2-3. 처리의 흐름>
(1) 시간 제어 처리
도 9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간 제어 처리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예를 들어, NTP 서버 또는 PTP 그랜드 마스터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시스템 시간을 기준 시간과 동기화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100).
다음으로,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는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한다(단계 S110). 그 후의 처리는, 윤초 조정 정보를 수신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분기하고, 윤초 조정 정보는 윤초 조정을 수행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단계 S120).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단계 S130 내지 단계 S160의 프로세스들은 스킵된다.
윤초의 조정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보정부(160)는 윤초의 조정이 종료되도록 예정된 제1 시간 T1을 참조하여 보정 시작 시간에 대응하는 제2 시간 T2를 결정한다(단계 S130). 보정부(160)는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보정 기간의 시간 길이 D를 설정한다(단계 S140). 단계들 S130 및 S140은, 제1 보정 기간의 시작에서 수행된 후에, 동일한 보정 기간 동안 다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시간 길이 D는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 단계 S140은 도 9의 시간 제어 처리로부터 생략된다.
그 후, 제2 시간 T2에서 시작하는 보정 기간이 도달하면(단계 S150), 보정부(160)는 시스템 시간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결정한다(단계 S160). 여기서 수행되는 시스템 시간 보정 처리는 나중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 후, 시간 출력부(170)는 윤초 조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미보정된 시스템 시간 T를 방송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시간 출력부(170)는,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경우, 보정부(160)에 의해 보정된 시스템 시간 T'를 방송 제어부(180)에 출력한다(단계 S170).
방송 제어부(180)는 입력된(미보정된 또는 보정된) 시스템 시간에 기초하여 방송국의 시스템 내의 장비를 제어한다(단계 S180).
도 9에 도시된 시간 제어 처리는 시스템이 정지하지 않고 동작하는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2) 시스템 시간 보정 처리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시간 제어 처리에 포함되는 시스템 시간 보정 처리의 상세한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일례로서, 시스템 시간이 전술한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에 따라 보정된다고 가정한다.
우선, 보정부(160)는 시스템 시간 생성부(150)에 의해 취득된 윤초 조정 정보에 기초하여 윤초가 삽입 또는 삭제되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61).
윤초가 삽입될 때, 보정부(160)는 보정 기간의 시작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경과 시간 T-T2에 보정비 (D-1)/D를 승산하여 보정된 경과 시간 dT를 산출한다(단계 S163). 한편, 윤초가 삭제될 때, 보정부(160)는 보정 기간의 시작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경과 시간 T-T2에 보정비 (D+1)/D를 승산하여 보정된 경과 시간 dT를 산출한다(단계 S165).
그 후, 보정부(160)는 보정 기간의 시작 시간 T2에 보정된 경과 시간 dT를 가산하여 보정된 시스템 시간 T'를 결정한다(단계 S167).
<2-4. 예시적인 변경예들>
이 챕터에서는, 방송 제어 장치(100)가 APS인 예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방송 신호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 노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또한 방송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노드에 적용될 수 있다.
(1) 제1 예시적인 변경예
도 11은 제1 예시적인 변경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2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방송 제어 장치(200)는 예를 들어, 방송 신호 스트림(예를 들어, SMPTE ST2022-6 스트림, SMPTE ST2110 스트림 또는 ARIB STD-B73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 노드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방송 제어 장치(200)는 시간 처리부(140), 통신부(210), 및 스트림 취득부(22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방송 제어 장치(200)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을 위한 접속 단자 및 접속 회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RF 회로, 및 기저대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부(210)는 스트림 송신부(280)를 포함한다.
스트림 취득부(220)는 도시되지 않은 신호원으로부터 송신될 방송 신호들의 스트림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스트림 취득부(220)는 방송 제어 장치(200)에 내장되거나 접속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비디오의 스트림을 취득할 수 있다. 스트림 취득부(220)는 방송 신호들을 기록한 파일들을 축적하고 있는 내부의 또는 외부의 스토리지로부터 기록된 방송 신호의 스트림을 취득할 수 있다. 스트림 취득부(220)는 취득된 방송 신호의 스트림을 스트림 송신부(280)에 출력한다.
스트림 송신부(280)는 시간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시간에 기초하는 시간 정보(시간 코드라고도 지칭됨)를 송신될 방송 신호 스트림에 삽입한다. 여기서 삽입되는 시간 정보는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경우에 보정부(160)에 의해 결정되는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나타내는 보정된 시간 정보일 수 있다.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RTP 헤더 또는 RTP 페이로드 내의 에센스 헤더와 같은, 패킷 내의 임의의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시간 정보의 포맷은 시간 스탬프 포맷, 또는 초기값이 0인 SMPTE ST2059-1에서 정의된 에포크(epoch)의 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획득된 카운트 값의 포맷일 수 있다. 그 후, 스트림 송신부(280)는 시간 정보가 삽입된 방송 신호 스트림을 방송국의 IP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2) 제2 예시적인 변경예
도 12는 제2 예시적인 변경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3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방송 제어 장치(300)는 예를 들어, 방송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노드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방송 제어 장치(300)는 시간 처리부(140), 통신부(310), 및 스트림 처리부(39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방송 제어 장치(300)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310)는 유선 통신을 위한 접속 단자 및 접속 회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RF 회로, 및 기저대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부(310)는 스트림 수신부(380)를 포함한다.
스트림 수신부(380)는 시간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시간에 기초하여 판정된 타이밍에서, 방송국의 시스템 내의 송신 노드로부터 송신된 방송 신호 스트림을 수신한다. 방송 신호 스트림이 멀티캐스트 스트림인 경우, 스트림 수신부(380)는 스트림에 대응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함으로써 방송 신호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스트림 수신부(380)에 의해 참조되는 시스템 시간은 윤초 조정이 수행되는 경우에 보정부(160)에 의해 결정되는 보정된 시스템 시간일 수 있다.
스트림 처리부(390)는 스트림 수신부(380)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 스트림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스트림 처리부(390)는 수신된 방송 신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거나, 또는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대신에, 스트림 처리부(390)는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코딩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도시되지 않은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스트림 처리부(390)는 또한 수신된 방송 신호 스트림의 포맷을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스트림을 통신부(310)를 통해 다른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3) 제3 예시적인 변경예
도 13은 제3 예시적인 변경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4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방송 제어 장치(400)는 예를 들어, 시간 정보를 방송국의 시스템에 전달하고,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타이밍을 규정하는 비디오 동기화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 노드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방송 제어 장치(400)는 시간 처리부(440) 및 비디오 동기화 신호 생성부(480)를 포함한다.
시간 처리부(440)는 PTP 클라이언트(450), 보정부(160), 및 시간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PTP 클라이언트(450)는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는 PTP 슬레이브 모듈이며, 시스템 시간은 PTP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된다. PTP 클라이언트(450)는 PTP 메시지들을 PTP 그랜드 마스터(도시 생략)와 교환하고, 이러한 메시지들에 기술된 시간 스탬프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산출한다. 그 후, PTP 클라이언트(450)는 산출된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예를 들어, 국제 원자 시간의 시간 및 오프셋)를 보정부(160) 및 시간 출력부(170)에 출력한다. PTP 클라이언트(450)는 PTP 그랜드 마스터로부터 수신된 윤초 조정 정보(예를 들어, 전술한 leap59 및 leap61)를 보정부(160)에 출력한다. 또한, 예시적인 변경예에서, PTP 클라이언트(450)는 국제 원자 시간(TAI)의 시간을 나타내는 TAI 정보를 비디오 동기화 신호 생성부(480)에 출력한다.
비디오 동기화 신호 생성부(480)는 윤초 조정 및 보정부(160)에 의한 보정이 수행되지 않는 TAI 클럭에 기초하여, 특정 사이클에서 온/오프를 반복하는 비디오 동기화 신호를 생성한다. 그 후, 비디오 동기화 신호 생성부(480)는 생성된 비디오 동기화 신호를 방송국의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전달한다. 여기서 비디오 동기화 신호는 소위 블랙 버스트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윤초 조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시간 진행 왜곡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비디오 동기화 신호는 시스템 시간의 보정과는 별도로 생성되고, 따라서, 완만한 윤초 조정이 달성되는 한편, 시스템에 존재하는 노드의 프레임 타이밍은 엄격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3. 제2 예시적인 실시예>>
다음으로, 도 14를 사용하여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상술한 제1 예시적인 실시예는 구체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인 반면, 제2 예시적인 실시예는 보다 일반화된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14는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5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방송 제어 장치(500)는 시간 생성부(510) 및 보정부(520)를 포함한다.
시간 생성부(510)은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고,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된다. 보정부(520)는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을 보정한다.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방송국 시스템 또는 방송국 시스템 내의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송 제어 처리는 방송 제어 장치(500)의 동작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러한 동작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러한 동작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시스템 시간의 보정에 관련된 임의의 기능 또는 처리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4. 부기(supplement)>>
이상, 도 1 내지 도 14를 사용하여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되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이 생성되고, 이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되고,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이 보정된다. 시간 길이 D는 시간 진행률이 급격하게 변경되지 않도록 충분히 길게 설정되므로, 시간의 시퀀스 순서가 보장되는 방식으로 안정된 방송 신호 처리를 방해받지 않고 윤초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가 R[Hz]인 경우에, 시간 길이 D[sec]가 D≥R을 만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1초의 실제 경과 시간에 대한 시스템 시간의 외관상 경과 시간의 편차는 기껏해야 1/R[sec]이고, 즉,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 사이클 이하이다. 따라서, 비디오 프레임 처리가 시간 보정에 의해 영향을 받더라도, 영향을 받은 프레임들의 수는 초당 하나의 프레임을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보정된 시스템 시간에 기초하여 비디오를 재생하는 장치는 매우 작은 빈도로 비디오 프레임을 폐기하거나 복제함으로써 재생된 비디오의 주관적인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재생 처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준 시간에 윤초가 삽입될 때,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비 (D-1)/D를 승산함으로써 획득된 보정된 경과 시간과 제2 시간의 합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시간 진행률이 시간 길이 D에 걸쳐 완만하게 감소되어 1초의 윤초의 삽입에 대응하는 시간 갭을 형성하게 한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준 시간으로부터 윤초가 삭제될 때, 보정된 시스템 시간은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비 (D+1)/D를 승산함으로써 획득된 보정된 경과 시간과 제2 시간의 합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시간 진행률이 시간 길이 D에 걸쳐 완만하게 상승되어 외관상 시간을 스킵하지 않고 윤초 조정을 원활하게 완료할 수 있게 한다.
일례에서, 보정 기간은 전술한 제1 시간에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시간과 시스템 시간은 기준 시간이 보정된 시스템 시간과 상이한 상태의, 긴 시간 동안 연속성 없이 윤초 조정이 종료될 때 서로 매칭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보정 기간은 제1 시간 T1보다 빠른 제3 시간 T3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시간은 시간 진행 왜곡이 바람직하지 않은 타이밍을 회피하면서 상술한 보정을 수행하도록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 단계들은 반드시 도시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처리 단계들이 도시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처리 단계가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처리 단계들 중 일부가 삭제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처리 단계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노드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노드의 내부 또는 외부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고, 실행될 때 메모리에 판독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일 장치 또는 단일 노드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기술은 복수의 장치 또는 복수의 노드가 서로 협력하는 시스템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기 1)
방송 제어 장치는: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시간 생성부-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도록 구성된 보정부를 포함하고,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부기 2)
부기 1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부는 윤초가 기준 시간에 삽입될 때,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비 (D-1)/D를 승산함으로써 획득된 보정된 경과 시간과 제2 시간의 합을 보정된 시스템 시간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부기 3)
부기 1 또는 2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부는 기준 시간으로부터 윤초가 삭제될 때,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비 (D+1)/D를 승산함으로써 획득된 보정된 경과 시간과 제2 시간의 합을 보정된 시스템 시간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부기 4)
부기 1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부는 윤초가 기준 시간에 삽입될 때,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시간 길이 D로 제산함으로써 획득된 몫을 기준 시간으로부터 감산함으로써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부기 5)
부기 1 또는 2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부는 상기 보정부는 기준 시간으로부터 윤초가 삭제될 때,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시간 길이 D로 제산으로써 획득된 몫을 기준 시간에 가산함으로써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부기 6)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는 60Hz이다.
(부기 7)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 기간은 제1 시간에서 종료한다.
(부기 8)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 기간은 제1 시간보다 빠른 제3 시간에서 종료한다.
(부기 9)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시스템 시간의 보정과 연관된 보정-관련 정보를,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이용하는 다른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기 10)
부기 9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관련 정보는 보정된 시스템 시간, 보정량, 제2 시간, 시간 길이 D, 및 보정 기간이 종료되는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부기 11)
부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윤초 조정 정보는:
윤초 조정이 제1 시간에 완료되도록 예정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윤초가 삽입 또는 삭제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부기 12)
부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된 시스템 시간을 참조하고, 미리 정의된 스케줄에 따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의 시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방송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기 13)
부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된 시스템 시간에 기초하는 시간 정보를 송신될 방송 신호 스트림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스트림 송신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기 14)
부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보정된 시스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타이밍에서 방송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스트림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기 15)
부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은 NTP(Network Time Protocol)이다.
(부기 16)
부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송 제어 장치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은 PTP(Precision Time Protocol)이다.
(부기 17)
방송 제어 방법은: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는 단계-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부기 18)
컴퓨터 프로그램은 방송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는 것-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는 것을 실행하게 하고,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부기 19)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방송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는 것-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는 것을 실행하게 하고,
시간 길이 D는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본 출원은 2019년 3월 20일자로 출원된 JP 2019-05303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방송국 내의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이용가능하다.
100, 200, 300, 400, 500 방송 제어 장치
110, 210, 310 통신 인터페이스(통신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 저장부
140, 440 시간 처리부
150, 510 시스템 시간 생성부(시간 생성부)
160, 520 보정부
170 시간 출력부
180 방송 제어부
220 스트림 취득부
280 스트림 송신부
380 스트림 수신부
390 스트림 처리부
450 PTP 클라이언트
480 비디오 동기화 신호 생성부
T1 제1 시간
T2 제2 시간
T3 제3 시간

Claims (19)

  1. 방송 제어 장치이며,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시간 생성부- 상기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상기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상기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도록 구성된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길이 D는 상기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는, 방송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윤초가 상기 기준 시간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비 (D-1)/D를 승산함으로써 획득된 보정된 경과 시간과 상기 제2 시간의 합을, 보정된 상기 시스템 시간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방송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기준 시간으로부터 윤초가 삭제될 때, 상기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비 (D+1)/D를 승산함으로써 획득된 보정된 경과 시간과 상기 제2 시간의 합을, 보정된 상기 시스템 시간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방송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윤초가 상기 기준 시간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상기 시간 길이 D로 제산함으로써 획득된 몫을 상기 기준 시간으로부터 감산함으로써, 보정된 상기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방송 제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기준 시간으로부터 윤초가 삭제될 때, 상기 제2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상기 시간 길이 D로 제산으로써 획득된 몫을 상기 기준 시간에 가산함으로써, 보정된 상기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방송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는 60Hz인, 방송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기간은 상기 제1 시간에서 종료하는, 방송 제어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기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빠른 제3 시간에서 종료하는, 방송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시간의 보정과 연관된 보정-관련 정보를, 보정된 상기 시스템 시간을 이용하는 다른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송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관련 정보는, 보정된 상기 시스템 시간, 상기 보정량, 상기 제2 시간, 상기 시간 길이 D, 및 상기 보정 기간이 종료되는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송 제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초 조정 정보는,
    상기 윤초 조정이 상기 제1 시간에 완료되도록 예정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윤초가 삽입 또는 삭제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제어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된 상기 시스템 시간을 참조하고, 미리 정의된 스케줄에 따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의 시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방송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송 제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된 상기 시스템 시간에 기초하는 시간 정보를, 송신될 방송 신호 스트림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스트림 송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송 제어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된 상기 시스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타이밍에서 방송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스트림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송 제어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은 NTP(Network Time Protocol)인, 방송 제어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은 PTP(Precision Time Protocol)인, 방송 제어 장치.
  17. 방송 제어 방법이며,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상기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상기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길이 D는 상기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는, 방송 제어 방법.
  18.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방송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는 것- 상기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상기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상기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는 것을 실행하게 하고,
    상기 시간 길이 D는 상기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9.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방송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송 제어를 위한 시스템 시간을 생성하는 것- 상기 시스템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프로토콜에 따라 기준 시간과 동기화됨 -; 및
    상기 기준 시간에서 제1 시간에 윤초 조정이 완료되도록 예정된 것을 나타내는 윤초 조정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제1 시간보다 빠른 제2 시간으로부터 시간 길이 D를 갖는 보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간 길이 D에 의존하는 보정량만큼 상기 시스템 시간을 보정하는 것을 실행하게 하고,
    상기 시간 길이 D는 상기 시스템 시간의 초당 보정량이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의 역수에 대응하는 사이클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17029535A 2019-03-20 2020-03-12 방송 제어 장치, 방송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102544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53031 2019-03-20
JP2019053031 2019-03-20
PCT/JP2020/010831 WO2020189504A1 (ja) 2019-03-20 2020-03-12 放送制御装置、放送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083A true KR20210125083A (ko) 2021-10-15
KR102544034B1 KR102544034B1 (ko) 2023-06-14

Family

ID=7251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535A KR102544034B1 (ko) 2019-03-20 2020-03-12 방송 제어 장치, 방송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78128B2 (ko)
EP (1) EP3926861A4 (ko)
JP (1) JP7234343B2 (ko)
KR (1) KR102544034B1 (ko)
WO (1) WO202018950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2071A (ja) 2009-05-25 2010-12-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端末装置
JP2015059851A (ja) 2013-09-19 2015-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時刻補正装置、時刻補正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054437A (ja) 2014-09-04 2016-04-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時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6171001A1 (ja) * 2015-04-24 2016-10-2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6264501B2 (ja) 2015-03-02 2018-01-24 日本電気株式会社 復号装置、復号方法、および復号用プログラム
KR20180069794A (ko) * 2015-10-15 2018-06-25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0335A (ja) 2006-09-15 2008-03-27 Toshiba Corp 時刻較正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EP2993898A4 (en) * 2013-05-01 2016-11-0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US9979991B2 (en) * 2014-11-17 2018-05-22 Sko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stic date and time alignment of media signals and generation of time-related labels
JP6765802B2 (ja) * 2014-11-20 2020-10-0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CN107113462B (zh) 2014-11-20 2020-10-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方法、接收方法、发送装置以及接收装置
EP3280150A4 (en) * 2015-03-31 2018-02-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US10264537B2 (en) * 2015-11-13 2019-04-16 Walter D. Barker Time code controlled logic device
JP2019053031A (ja) 2017-09-14 2019-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2071A (ja) 2009-05-25 2010-12-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端末装置
JP2015059851A (ja) 2013-09-19 2015-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時刻補正装置、時刻補正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054437A (ja) 2014-09-04 2016-04-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時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264501B2 (ja) 2015-03-02 2018-01-24 日本電気株式会社 復号装置、復号方法、および復号用プログラム
WO2016171001A1 (ja) * 2015-04-24 2016-10-2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20180069794A (ko) * 2015-10-15 2018-06-25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Candidate Standard: 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Protection (A/331)", [2019년 2월 15일 검색], 인터넷 <URL:https://www.atsc.org/wp-content/uploads/2016/01/A331S33-174r6-Signaling-Delivery-Sync-FEC.pdf>
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MMT-BASED MEDIA TRANSPORT SCHEM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ARIB STD-B60 Version 1.13, October 11, 2018", [2019년 2월 15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arib.or.jp/english/html/overview/doc/6-STD-B60v1_13-E1.pd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34343B2 (ja) 2023-03-07
WO2020189504A1 (ja) 2020-09-24
KR102544034B1 (ko) 2023-06-14
EP3926861A4 (en) 2022-11-16
JPWO2020189504A1 (ko) 2020-09-24
EP3926861A1 (en) 2021-12-22
US11778128B2 (en) 2023-10-03
US20220150385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7237B2 (en) Radio access network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synchronous server and node
EP16067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media streaming
JP6978852B2 (ja) 同期信号出力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187619A1 (en) Improv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signals
EP2150062A1 (en) Improv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signals
KR20140104969A (ko) 비동기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동기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US10595075B2 (en) Automatic timing of production devices in an internet protocol environment
KR20160078893A (ko) 반도체 장치, 전자 디바이스ㆍ모듈 및 네트워크 시스템
CN113365127A (zh) 局域网多屏显示同步方法及装置
JP2008118543A (ja) 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方法
CN104012099A (zh) 优化时钟脉冲的短期稳定性的方法和系统
KR102566550B1 (ko)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5444910B2 (ja) 同期システム
US9729598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signalling transmission time and/or a system clock
JP4742836B2 (ja) 受信装置
KR102544034B1 (ko) 방송 제어 장치, 방송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2004254149A (ja) データ伝送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70230466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EP2871848A1 (en) Providing correction information for media synchronization
JP7355609B2 (ja) 映像信号を受信する受信機
KR101682978B1 (ko) Precision Time Protocol를 이용한 영상 재생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JP7371437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受信用プログラム
WO2017033416A1 (ja)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障害検出方法
JP7303670B2 (ja) Mmt受信機及びプログラム
EP4243331A1 (en) Frame synchroniz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