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216A -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216A
KR20210124216A KR1020217022789A KR20217022789A KR20210124216A KR 20210124216 A KR20210124216 A KR 20210124216A KR 1020217022789 A KR1020217022789 A KR 1020217022789A KR 20217022789 A KR20217022789 A KR 20217022789A KR 20210124216 A KR20210124216 A KR 20210124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rame
seat belt
retracting dev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너스 칼 악셀 라손
유에 유
지유안 슈
사가르 바사랄루 벤카테쉬
샤피 울라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12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100)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100)는 프레임(10);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웨빙이 권취될 수 있는 코어 샤프트(20); 가스발생기(34)와 다수의 질량체가 설치되고, 제1 부분(31), 제2 부분(32) 및 제3 부분(33)을 포함하며, 제3 부분(33)이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을 연결하는 튜브(30); 및 튜브(30)를 프레임(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튜브(30)의 제1 부분(31)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제1 수납부(42)와, 제1 수납부(42)에 설치되어 제1 수납부(42)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제한부(45)를 구비한 하우징(40)을 포함하며, 여기서, 튜브(30)는 제1 부분(31)에 설치되어 위치제한부(45)와 접합됨으로써 프레임(10)에 대해 튜브(30)를 한정하는 접합부(3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본 발명은 차량 승객을 구속하기 위한 안전벨트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전벨트를 미리 조여주기 위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 과정에서, 안전벨트의 웨빙과 인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다. 프리텐션형 안전벨트는 충돌 시 안전벨트 웨빙을 조여줌으로써 상기 간격을 제거하여 보다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며, 프리텐션형 안전벨트는 회전 텐셔너를 통해 이러한 기능을 구현한다. 회전 텐셔너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코어 샤프트에 연결되며, 트랜스미션 장치를 통해 코어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는 구동휠 및 구동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질량체를 포함하며, 구동휠의 외주면에 질량체를 수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구동휠은 안전벨트의 코어 샤프트와 연결된다. 차량에 급제동 또는 충돌이 발생한 경우, 프리텐션형 안전벨트의 회전 텐셔너가 해제되고, 질량체가 가속되어 구동휠 외주면 상의 리세스로 구동되어 구동휠에 회전이 발생한다. 구동휠과 연결된 코어 샤프트는 이로 인해 안전벨트 웨빙이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안전벨트의 프리텐션을 구현한다. 이러한 프리텐션형 안전벨트는 구동장치 역할을 하는 가스발생기를 구비한다. 가스발생기와 질량체는 튜브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발생기를 통해, 단시간 내에 튜브 내에 매우 높은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WO2014048522A1은 U자형 프레임, 가스발생기와 질량체가 설치되는 튜브, 및 튜브를 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공개하였다. 상기 튜브는 양끝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평면 바깥에 위치하는 만곡된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본체부 및 본체부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유지부를 포함한다. 튜브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각각 2개의 유지부에 의해 유지된다. 하우징은 본체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유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따라서 제3 부분의 만곡 형상은 상기 하부 연장부를 위해 수납공간을 남겨두어야 한다. 그러나, 하우징의 하부 연장부를 회피하기 위하여, 튜브는 더욱 만곡된 형상과 더욱 긴 길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튜브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튜브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튜브의 설치 구조를 단순화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욱 컴팩트한 구조의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프레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웨빙이 권취될 수 있는 코어 샤프트; 가스발생기와 다수의 질량체가 설치되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제3 부분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는 튜브; 및 튜브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튜브의 제1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에 설치되어 제1 수납부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제한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여기서, 튜브는 제1부분에 설치되어 위치제한부와 접합됨으로써 프레임에 대해 튜브를 한정하는 접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제2 부분에서 튜브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튜브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튜브 클램프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제2 수납부는 적어도 튜브의 제2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제한부는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튜브는 제1 부분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튜브의 제1부분이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제1 돌기가 프레임에 대해 튜브를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되어 함몰부 내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제한부는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튜브의 제1 부분이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제2 돌기가 튜브의 제1 부분의 원호 외표면과 접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프레임의 제1 축방향 측에서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튜브 클램프는 프레임의 제2 축방향 측에서 프레임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납부의 내표면은 튜브의 제1 부분의 원호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일부 원호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 클램프의 내표면은 튜브의 제2 부분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180도 범위 내에서 제2 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일부 원호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의 연장방향과 제2 부분의 연장방향은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코어 샤프트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이며, 또한 제1 부분의 연장방향과 제2 부분의 연장방향은 각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발생기는 튜브의 제2 부분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안전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이는, 프레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웨빙이 권취될 수 있는 코어 샤프트; 가스발생기와 다수의 질량체가 설치되고,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제3 부분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는 튜브; 및 튜브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튜브의 제1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납부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제한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여기서, 튜브는 제1 부분에 설치되어 위치제한부와 접합됨으로써 프레임에 대해 튜브를 한정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와; 하나의 단부에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코어 샤프트에 고정되는 웨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제2 부분에서 튜브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튜브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튜브 클램프는 적어도 튜브의 제2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제한부는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튜브는 제1 부분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튜브의 제1 부분이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제1 돌기가 프레임에 대해 튜브를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되어 함몰부 내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제한부는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튜브의 제1 부분이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제2 돌기가 튜브의 제1 부분의 원호 외표면과 접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프레임의 제1 축방향 측에서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튜브 클램프는 프레임의 제2 축방향 측에서 프레임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납부의 내표면은 튜브의 제1 부분의 원호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일부 원호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 클램프의 내표면은 튜브의 제2 부분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180도 범위 내에서 제2 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일부 원호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의 연장방향과 제2 부분의 연장방향은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코어 샤프트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을 이루며, 또한 제1 부분의 연장방향과 제2 부분의 연장방향은 각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발생기는 튜브의 제2 부분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제한부는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튜브는 제1 부분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튜브의 제1 부분이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제1 돌기가 프레임에 대해 튜브를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되어 함몰부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는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적은 질량체로 구동휠을 구동시킬 수 있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구동 효율과 응답 속도가 향상된다. 하우징의 위치제한부는 튜브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어, 튜브의 고정구조가 단순화되며, 또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구조가 더욱 컴팩트해진다. 하우징의 위치제한부가 튜브를 가압 시, 특히 가스발생기가 작동 시 소음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튜브 클램프는 튜브를 추가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튜브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소음이 추가적으로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클램프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부감도이다.
도 8은 A-A면을 따라 절취한 도 7에 도시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 중 C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B 방향을 따라 관찰한 도 7에 도시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 D 부위의 확대도이다.
아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의 상세한 기재와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다. 예시적인 실시방식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일부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하였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며,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각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 표기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를 대표한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방식에 기재된 방안은 본 발명의 모든 방안을 대표하지 않으며, 반대로 이러한 방안은 단지 첨부된 청구항과 관련된 본 발명의 각 측면의 시스템과 방법의 예시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2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100)는 프레임(10), 코어 샤프트(20), 튜브(30)와 하우징(40)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대체로 U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백플레이트(11), 측판(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12,13)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측판(12,13)은 코어 샤프트(2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코어 샤프트(20)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코어 샤프트(20)는 대체로 원통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웨빙(미도시)의 일단이 코어 샤프트(20)에 고정될 수 있다. 코어 샤프트(20)가 회전 시, 웨빙은 코어 샤프트(20)에 권취되거나 또는 코어 샤프트(20)로부터 권취 해제될 수 있다. 구동휠(미도시)은 코어 샤프트(20)의 축방향 단부(프레임(10)의 측판(12)에 인접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휠과 코어 샤프트(20)는 토크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구동휠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는 다수의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는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질량체를 맞물리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설명도이다. 튜브(30)는 만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튜브(30)는 중공이면서 내부 통로를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0)는 제1 부분(31), 제2 부분(32)과 제3 부분(3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은 각각 튜브(30)의 양끝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부분(31)의 연장방향 및/또는 제2 부분(32)의 연장방향은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코어 샤프트(20)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부분(31)의 연장방향과 제2 부분(32)의 연장방향은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은 제3 부분(3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부분(31)과 제3 부분(33)은 만곡된 연결을 형성하고, 또한 제2 부분(32)과 제3 부분(33)은 만곡된 연결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부분(31) 및 제2 부분(32)과의 연결 영역을 제외하고, 제3 부분(33)은 대체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코어 샤프트(20)의 종방향 축선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 사이가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제3 부분(33)이 코어 샤프트(20)의 종방향 축선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튜브(30)의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 사이는 프레임(10)의 일부분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더욱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발생기(34)와 다수의 질량체(미도시)는 튜브(3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튜브, 가스발생기, 질량체와 구동휠은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프리텐셔너를 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발생기(34)는 제2 부분(32)에 설치될 수 있다. 질량체는 예를 들어 매스볼(mass ball)일 수 있다. 가스발생기(34)는 작동 시 가스를 방출하며, 가스는 질량체가 튜브(30)에서 운동하며 제1 부분(31)으로부터 튜브(30)를 이탈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차량에 급제동 또는 충돌이 발생한 경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을 통해 가스를 발생시키며, 다수의 질량체를 가속시켜 구동휠의 다수의 리세스로 밀려들어가게 한다. 구동휠은 다수의 질량체의 구동을 통해 회전이 발생하며, 구동휠과 토크 저항 방식으로 연결되는 코어 샤프트(20)를 회전시킴으로써, 웨빙을 권취시켜 조여준다.
하우징(40)은 튜브(30)를 프레임(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설명도이고, 도 5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설명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은 컵형부(41)와 수납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컵형부(41)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샤프트(20)의 단부가 상기 개구로부터 관통할 수 있다. 컵형부(41)는 예를 들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구동휠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수납부(42)는 컵형부(41)로부터 연장되어 나올 수 있다. 수납부(42)는 적어도 튜브(30)의 제1 부분(31)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부(42)의 내표면의 형상은 튜브(30)의 제1 부분(31)의 외부 윤곽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42)의 내표면은 튜브(30)의 제1 부분(31)의 원호의 외표면과 접합되도록, 적어도 일부 원호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은 컵형부(41)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43) 및 수납부(42)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40)은 플랜지부(43,44)를 통해 프레임(10)의 측판(1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100)는 튜브 클램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클램프의 설명도이다. 튜브 클램프(50)는 튜브(30)를 프레임(10)에 고정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클램프(50)는 튜브(30)의 제2 부분(32)에서 튜브(30)를 프레임(10), 예컨대 측판(13)에 고정시킨다.
튜브 클램프(50)는 수납부(51)와 고정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납부(51)는 고정부(5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부(52)는 프레임(10)의 측판(13)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정부(52)는 스냅 등을 통해 측판(13)에 연결될 수 있다.
수납부(51)는 적어도 튜브(30)의 제2 부분(32)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부(51)의 내표면의 형상은 튜브(30)의 제2 부분(32)의 외부 윤곽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51)의 내표면은 튜브(30)의 제2 부분(32)의 원호 외표면과 접합되도록, 적어도 일부 원호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납부(51)의 원호 내표면은 튜브(30)의 제2 부분(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180도 범위 내에서 제2 부분(32)을 둘러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납부(51)는 탄성을 지닐 수 있으며, 제2 부분(32)이 가압되어 수납부(51)로 진입 시, 수납부(51)가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제2 부분(32)을 수납하고; 또한 제2 부분(32)이 수납부(51)에 진입한 후, 수납부(51)는 제2 부분(32)을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수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부감도이고, 도 8은 A-A면을 따라 절취한 도 7에 도시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 중 C 부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B 방향에서 바라본 도 7에 도시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며, 도 11은 도 10 중 D 부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0)은 위치제한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제한부(45)는 수납부(4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위치제한부(45)는 수납부(42)의 내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제한부(45)는 돌기부(45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45A)는 튜브(30)와 접합되어, 프레임(10)에 대해 튜브(30)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기부(45A)는 코어 샤프트(20)의 종방향 축선 방향을 따라 수납부(42)의 프레임(10)에서 먼 위치에 자리할 수 있고, 또한 튜브(30)의 제1 부분(31)의 연장방향을 따라 수납부(42)의 중간에 가까운 위치에 자리할 수 있다.
돌기부(45A)는 각종 방식으로 형성되어 각종 형상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5A)는 수납부(42) 중의 굴곡 또는 돌기 형식을 띠며, 수납부(42)와 돌기부(45A)는 대체로 동일한 두께를 지닌다. 이 경우, 수납부(42)의 외표면은 상응하는 함몰부(외부를 향하는)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돌기부(45A)는 수납부(42)의 내표면에서 두께가 증가하는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부(42)의 외표면에는 대응되는 함몰부가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5A)는 수납부(42)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기부(45A)는 수납부(42)에 부착되는 단독 부재 또는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독 부재의 돌기부(45A)는 용접, 접착, 기계적인 체결부재 등을 통해 수납부(42)의 내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단독부재의 돌기부(45A)(예를 들어 판상 부재)는 수납부(42) 중의 개구(수납부(42)의 두께를 관통하는 개구)에 삽입되어 통과한 후 수납부(4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돌기부(45A)에 대응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0)는 튜브(30)의 제1 부분(31)에 설치되는 접합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35)는 돌기부(45A)와 접합되어, 프레임(10)에 대해 튜브(30)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35)는 제1 부분(31)의 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35)는 각종 방식으로 형성되어 각종 형상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35)는 제1 부분(31) 중의 개구 또는 오목홈 형식으로써, 접합부(35) 부위의 제1 부분(31)의 내경과 다른 부위의 제1 부분(31)의 내경은 대체로 동일하다. 이 경우, 제1 부분(31)의 내표면은 질량체가 튜브(30) 안에서 운동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응하는 돌기가 없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35)는 제1 부분(31) 중의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목홈 또는 관통공 형식의 접합부(35)는 돌기부(45A)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부(35)는 제1 부분(31)의 외표면에 두께가 증가하는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35)는 제1 부분(31)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합부(35)는 제1 부분(31)에 부착되는 단독부재 또는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독 부재의 접합부(35)는 용접, 접합, 기계적인 체결부재 등을 통해 제1 부분(31)의 외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튜브(30)의 제1 부분(31)이 수납부(42)에 수납될 때, 접합부(35)와 돌기부(45A)가 서로 접합되어, 프레임(10)에 대해 튜브(30)의 위치를 한정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5A)는 관통공으로 형성된 접합부(35)에 위치한다. 이 경우, 돌기부(45A)가 접합부(35)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때, 돌기부(45A)는 제1 부분(31)의 내표면을 초과하지 않는다. 돌기부(45A)와 접합부(35)의 체결을 통해, 돌기부(45A)는 튜브(30)를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튜브(30)가 하우징(40) 내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평행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가스발생기가 작동한 후, 접합부(35)는 돌기부(45A)와의 긴밀한 접합을 통해 튜브(30)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편,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제한부(45)는 돌기부(45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기부(45B)는 튜브(30)의 제1 부분(31)의 연장방향을 따라 수납부(42)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자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돌기부(45B)의 표면은 적어도 일부 평탄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위치제한부(45)는 다수의 돌기부(45B), 예를 들어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45B)는 각종 방식으로 형성되어 각종 형상을 구비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5B)는 수납부(42) 중의 돌기 형식을 띠며, 돌기부(45B)는 적어도 일부분이 대체로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이 경우, 수납부(42)의 외표면에는 상응하는 함몰부가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돌기부(45B)는 수납부(42)의 내표면에서 두께가 증가하는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납부(42)의 외표면에는 대응되는 함몰부가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5B)는 수납부(42)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기부(45B)는 수납부(42)에 부착되는 단독부재 또는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독부재의 돌기부(45B)는 용접, 접합, 기계적인 체결부재 등을 통해 수납부(42)의 내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튜브(30)의 제1 부분(31)이 수납부(42) 내에 수납될 때, 돌기부(45B)는 튜브(30)의 원호 외표면과 직접 접촉되어, 프레임(10)에 대해 튜브(30)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기부(45B)는 그 평탄한 표면을 통해 튜브(30)의 외표면에 접촉되어 튜브(30)를 가압한다. 돌기부(45B)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부터 접촉되어 튜브(30)를 가압함으로써, 튜브(30)가 하우징(40) 내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평행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스발생기가 작동된 후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조와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은 각종 수정과 등가의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비록 공개된 발명의 각종 소자와 방법 단계가 각종 예시적인 결합체와 구조에 도시되었으나, 더 많거나 더 적은 소자 또는 방법을 포함하는 다른 조합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웨빙이 권취될 수 있는 코어 샤프트;
    가스발생기와 다수의 질량체가 설치되고,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제1 수납부와, 상기 제1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납부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제한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제한부와 접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튜브를 한정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튜브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튜브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튜브 클램프는 적어도 상기 튜브의 상기 제2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튜브를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상기 함몰부 내에 접합될 수 있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의 원호 외표면과 접합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의 제1 축방향 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튜브 클램프는 상기 프레임의 제2 축방향 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의 내표면은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의 원호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일부 원호 표면을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클램프의 내표면은 상기 튜브의 상기 제2 부분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180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일부 원호 표면을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2 부분의 연장방향은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상기 코어 샤프트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을 이루며, 또한 상기 제1 부분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2 부분의 연장방향은 각도를 형성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는 상기 튜브의 상기 제2 부분에 설치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튜브를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상기 함몰부에 접합될 수 있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11. 안전벨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웨빙이 권취될 수 있는 코어 샤프트;
    가스발생기와 다수의 질량체가 설치되고,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제1 수납부와, 상기 제1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납부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제한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제한부와 접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튜브를 한정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코어 샤프트에 고정되는 웨빙을 포함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튜브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튜브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튜브 클램프는 적어도 상기 튜브의 상기 제2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튜브를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상기 함몰부 내에 접합될 수 있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의 원호 외표면과 접합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의 제1 축방향 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튜브 클램프는 상기 프레임의 제2 축방향 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의 내표면은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의 원호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일부 원호 표면을 포함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클램프의 내표면은 상기 튜브의 상기 제2 부분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180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일부 원호 표면을 포함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2 부분의 연장방향은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상기 코어 샤프트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을 이루며, 또한 상기 제1 부분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2 부분의 연장방향은 각도를 형성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는 상기 튜브의 상기 제2부분에 설치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외표면으로부터 내표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튜브를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상기 함몰부에 접합될 수 있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KR1020217022789A 2018-12-24 2019-11-22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KR20210124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79769.8 2018-12-24
CN201811579769.8A CN111347994B (zh) 2018-12-24 2018-12-24 安全带卷收装置及安全带组件
PCT/CN2019/120307 WO2020134768A1 (zh) 2018-12-24 2019-11-22 安全带卷收装置及安全带组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216A true KR20210124216A (ko) 2021-10-14

Family

ID=7112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789A KR20210124216A (ko) 2018-12-24 2019-11-22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124216A (ko)
CN (1) CN111347994B (ko)
WO (1) WO20201347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136B1 (ko) * 2022-09-24 2023-03-27 이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의 보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5505B2 (ja) * 1995-10-16 1999-03-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6722600B2 (en) * 1999-02-26 2004-04-20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JP5246635B2 (ja) * 2007-05-01 2013-07-2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ウェビング巻取り装置
US8740125B2 (en) * 2009-04-17 2014-06-03 Autoliv Development Ab Seatbelt retractor
JP5455597B2 (ja) * 2009-12-15 2014-03-2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CN202806674U (zh) * 2012-08-21 2013-03-20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具有齿条式预拉紧机构的安全带卷收器
JP6222450B2 (ja) * 2013-12-04 2017-11-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6238002B2 (ja) * 2013-12-17 2017-11-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CN108791178B (zh) * 2017-04-27 2020-06-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烟火式预拉紧机构的固定结构及安全带卷收器
CN207594900U (zh) * 2017-12-08 2018-07-10 沈阳金杯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防旋转的安全带钢管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136B1 (ko) * 2022-09-24 2023-03-27 이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의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4768A1 (zh) 2020-07-02
CN111347994A (zh) 2020-06-30
CN111347994B (zh)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1472B2 (en) Coupling device for the attachment of an airbag module to a vehicle steering wheel in an oscillatory manner
JP5668130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構造
US11130366B2 (en) Resonator wheel
US8720942B2 (en) Steering wheel
US6446897B1 (en) Seat belt system
US8556290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ling element
WO2011111492A1 (ja)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WO2017154571A1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ダンパユニ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20200331511A1 (en) Steering wheel structure
JP2009510350A (ja) ユニットを振動緩衝性に懸装するための装置
JP2009512583A (ja) ベルト巻取り装置とテンショナ装置を備える拘束システム
US6830406B2 (en) Rotation device of a buckle for use in an vehicle seat belt
JP2016222032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6817872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KR20210124216A (ko)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US6595083B2 (en) Steering wheel
WO2015015867A1 (ja) インフレータの取付構造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7355042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支持構造
JP5420503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構造
JP200030200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20050103220A (ko) 단부 고정식 인장기
JP687178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24810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CN109843657B (zh) 安全带收紧器
KR20210119960A (ko)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