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191A -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및 이러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포함한 자동차의 후방 차축 조향용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및 이러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포함한 자동차의 후방 차축 조향용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191A
KR20210124191A KR1020217019239A KR20217019239A KR20210124191A KR 20210124191 A KR20210124191 A KR 20210124191A KR 1020217019239 A KR1020217019239 A KR 1020217019239A KR 20217019239 A KR20217019239 A KR 20217019239A KR 20210124191 A KR20210124191 A KR 20210124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nut
planet
planetary roller
threaded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파버
벤야민 뷔볼트-고르바텐코
알렉산더 하우스만
알레나 푄라인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12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1Roller spind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03Screw mechanisms with arrangements for taking up backlash
    • F16H25/2006Screw mechanisms with arrangements for taking up backlash with more than one nut or with nu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bearing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47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rollers
    • F16H25/2252Planetary rollers between nut and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는 나사형 스핀들(1), 나사형 스핀들(1)에 배열된 너트 요소(20), 및 나사형 스핀들(1) 주변부 주위에 분포 배열된 플래닛(4)을 포함하고, 이는 한쪽 측면에 나사형 스핀들(1)과 다른 한쪽 측면에 너트 요소(20)와 맞물리고, 이는 각 경우에 플래닛(4)을 수용하는 회전 구동 플래닛 캐리어(21) 상의 제1 베어링(26)에 의해 양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베어링(29)에 의해 하우징(2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래닛 캐리어(21)는 너트 요소(20)를 둘러싸는 슬리브(32)를 갖고, 이의 축 방향 말단에서 각각 제1 베어링(26)의 제1 베어링 시트(30)와 제2 베어링(29)의 제2 베어링 시트(31)를 갖는 플랜지(23)가 배열되고, 플랜지(23)는 슬리브에 의해 회전 고정 방식으로 그리고 작동 유격과 축 방향으로 서로 유격 연결된다.

Description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및 이러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포함한 자동차의 후방 차축 조향용 액추에이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장치의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및 액추에이터, 특히 이러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갖는 후방 차축 조향 또는 SBW(Steer-by-wire)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102015212333 A1의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에 따라, 차량 부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및 액추에이터가 공지되어 있다.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는 나사형 스핀들과 상기 나사형 스핀들 상에 배열된 너트 요소가 제공된다. 나사형 스핀들 주변부 주위에 분포된 플래닛은, 한쪽 측면은 나사형 스핀들과 맞물리고 다른 한쪽 측면은 너트 요소와 맞물리고, 각 경우에 플래닛을 수용하는 회전식 구동 플래닛 캐리어 상의 베어링에 의해 양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래닛 캐리어는 제2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베어링은 플로팅 베어링으로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벨트 구동에 의해 플래닛 캐리어가 구동되면, 견인 메커니즘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은, 제2 베어링 상에 틸팅 모멘트를 가하여, 플로팅 베어링의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은 편향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에 따라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에 의해 달성된다. 적절한 추가 개발은 종속 청구범위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는 나사형 스핀들과 상기 나사형 스핀들 상에 배열된 너트 요소가 제공된다. 나사형 스핀들 주변부 주위에 분포된 플래닛은, 한쪽 측면은 나사형 스핀들과 맞물리고 다른 한쪽 측면은 너트 요소와 맞물리고, 각 경우에 플래닛을 수용하는 회전식 구동 플래닛 캐리어 상의 베어링에 의해 두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래닛 캐리어는 제2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래닛 캐리어는 너트 요소를 둘러싸는 슬리브를 갖고, 그 축 방향 말단에 각각 제1 베어링의 제1 베어링 시트와 제2 베어링의 제2 베어링 시트를 갖는 플랜지가 배열되고, 플랜지는 슬리브에 의해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서로 유격으로 연결되고 작동 유격을 이용해 축 방향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배열을 이용해, 플래닛 캐리어는 벨트 구동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2 베어링의 원치 않는 틸팅 모멘트는 양쪽 면의 지지로 인해 방지된다.
두 플랜지 사이의 작동 유격은 처음 두 베어링 사이의 베어링 간격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작동 유격은 또한, 제2 베어링을 축 방향으로 설정시킬 수 있다. 두 베어링의 베어링 시트는 두 플랜지 상에 모두 제공된다. 제1 및 제2 베어링이 직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2 베어링의 베어링 간격을 제1 베어링의 베어링 간격 설정과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슬리브와 두 플랜지의 비 회전식 연결은, 서로에 대한 두 플랜지의 원치 않는 회전 이동을 방지한다. 두 플랜지 모두 플래닛을 지지한다. 회전 불가능한 연결은 플래닛의 원치 않는 얽힘을 방지한다.
너트 요소는, 너트 부품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 요소뿐만 아니라,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축 방향 열된 두 개의 너트 부품이 있는, 다중 부품 너트를 가질 수 있다.
인장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두 너트 부품을 서로 인장 체결한다. 이를 위해, 인장 요소는 클램프처럼 두 개의 너트 부품 주위를 잡고 두 개의 너트 부분에 충분한 프리텐셔닝을 가하여 두 너트 부품이 플래닛과 유격 없이 체결되도록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플래닛과 너트 부품은 상호잠금 플래닛 측과 너트 측 홈 프로파일이 제공되며, 그 주변부 톱니는 롤링 체결에서 서로에 대해 안착한다. 플래닛은 압력으로 프리텐셔닝되고 있다. 프리텐셔닝 힘은 플래닛과 함께 너트 요소 내에서 작용하며, 제1 장착부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나사형 스핀들에 작용하는 외부 작동 하중만이 너트 요소를 통해 제1 장착부로 전달되므로, 따라서 이는, 프리텐셔닝 힘이 다른 구성 요소, 예컨대 너트 요소의 장착부에 흡수되는 구조적 배열과 비교하면 더 작은 크기를 필요로 한다.
대안으로서, 두 개의 너트 부품이 함께 나사로 조여지는 변형예가 공간 절약 방식으로 제안된다. 너트 부품 하나는 외부 나사선을 갖고, 다른 하나의 너트 부품은 외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내부 나사선을 갖는다. 두 개의 인장 슬리브는 생략될 수 있다. 두 너트 부품은 스크류 연결을 통해 지지되고 서로 연결된다. 두 너트 부품은 플래닛과 맞물려 압력을 가한다. 두 너트 부품은 서로를 향해 프리텐셔닝된다.
두 개의 제2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제1 베어링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1 베어링은 서로 대면하는 플랜지의 측면에 배열되고, 제2 베어링은 플랜지의 반대쪽 플랜지 측면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전술한 작동 유격은 제2 베어링을 축 방향으로 쉽게 조절시킬 수 있다. 두 플랜지의 양면 베어링 시트로 인해, 제1 및 제2 베어링은 직렬로 연결된다. 제1 베어링의 베어링 간격 설정과 동시에 제2 베어링의 베어링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이 배열로 가능하다. 두 개의 제2 베어링 중 하나가, 하우징에서 지지된 조절 부품을 통해 다른 하나의 제2 베어링의 방향으로 축 방향 조절 경로를 따라 조절되는 경우에, 두 개의 제1 베어링 사이의 거리가 제2 베어링의 조절과 함께 조절된다.
제1 베어링은, 플래닛 캐리어, 따라서 특히 너트 요소에 대한 플래닛의 정확한 위치 설정 및 장착을 통해, 플래닛 캐리어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너트 요소와 플래닛 캐리어의 서로에 대한 정확한 위치 설정은 반경 방향과 축 방향으로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는, 자동차의 조향 장치용, 바람직하게는 후방 차축 조향 시스템 또는 SBW(steer-by-wire) 조향 시스템용 액추에이터의 부품일 수 있다. 이 액추에이터는,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가 배열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조향 막대(이의 일부는 나사형 스핀들), 및 플래닛 캐리어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가 제공된다. 나사형 스핀들은, 하우징을 관통하고 나사형 스핀들에 단단히 연결되는 축 방향 말단에 조향 막대 부품을 가질 수 있다.
너트 요소는, 너트와 인장 요소 또는 너트 일체식 인장 요소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서로를 향해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너트의 두 너트 부품을 프리텐셔닝한다. 플래닛의 프리텐셔닝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 조향 막대 정지의 기술적 요구 사항은,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모터가 고장나면 후방 차축 조향의 액추에이터 적용시 달성될 수 있다. 프리텐셔닝이 충분히 높으면 공격적인 외부 축 방향 하중에서 조향 막대의 자동 조절은 배제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SBW(steer-by-wire) 액추에이터라 칭하는 것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자동차 전방 차축의 바퀴가 관절화된다. 이 경우에, 조향 막대의 진폭은 후방 차축에 비해 상당히 크다. 따라서, 조향 막대는 이에 따라 큰 이동 범위에 맞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총 네 개의 도면에 나타낸 예시적인 구현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면 중,
도 1은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관통한 길이 방향 섹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길이 방향 섹션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4는 이러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갖는 자동차의 후방 차축 조향기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낸다.
도 1은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길이 방향 섹션으로 나타낸다. 이 예시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 배열된 너트(2)는, 나사형 스핀들(1) 상에 배열되고, 너트는 나사형 스핀들(1)을 따라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열된 너트 부품(3)으로 형성된다. 한쪽 측면은 나사형 스핀들(1)과 맞물리고 다른 한쪽 측면은 너트(2)와 맞 물리는 플래닛(4)은, 나사형 스핀들(1)의 주변부 주위에 분포 배열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플래닛(4)은 각각 반경 방향으로 테이퍼 진 말단 섹션(5) 및 두 개의 말단 섹션(5) 사이에 배열되는, 반경 방향 확대의 중앙 섹션(6)이 제공된다. 모든 섹션은 이들 주변부에 홈 프로파일(7, 8)을 각각 구비한다. 중앙 섹션(6)의 홈 프로파일(8)은 나사형 스핀들(1)의 외주에 배열된 나사 프로파일(9)과 맞물린다. 말단 섹션(5)의 홈 프로파일(7)은 너트(2)의 내주에 형성된 홈 프로파일(10)과 맞물린다.. 모든 홈 프로파일(7, 8, 10)은 각각의 길이 방향 축을 가로질러 배열된 자급식 홈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형성된다 인접한 홈은 폐쇄형 치형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너트(2)를 축 방향으로 프리텐셔닝하고 축 방향으로 서로를 지지하는 두 개의 인장 슬리브(12, 13)를 갖는 인장 요소(11)가, 너트(2) 상에 배열되며, 이들 중 하나는 하나의 너트 부품(3) 상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는 다른 하나의 너트 부품(3)에 지지된다. 제1 인장 슬리브(12)는, 외부 나사(14)를 갖고 제2 인장 슬리브(13)는 내부 나사(15)을 갖는다. 두 개의 인장 슬리브(12, 13)는 외부 나사(14) 및 내부 나사(15)와 함께 나사 결합되며, 인장 슬리브(12, 13) 모두는 각각 너트 부품(3)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너트 시트(18, 19)를 갖는다. 두 개의 인장 슬리브(12, 13)는, 예를 들어 인장 슬리브(12, 13) 상에 형성된 반경 방향 림(16, 17)에 의해 두 개의 너트 부품(3) 상에 지지된다. 스페이서 디스크(40)는 두 개의 인장 슬리브(12, 13)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열되며, 두께는 서로를 향해 프리텐셔닝된 두 개의 너트 부품(3)이 플래닛(4)과 유격 없이 체결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플래닛(4)는 압력 하에 프리텐셔닝된다.
너트(2)는 너트 요소(20)의 부품일 수 있으며, 너트 요소는 본 경우에 너트(2)와 인장 요소(11)로 형성된다. 프리텐셔닝 힘은 이 너트 요소(20) 내에서 작용한다.
플래닛(4)은 플래닛 캐리어(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래닛 캐리어(21)는, 플래닛(4)이 각각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플래닛(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켓(22)을 갖는다. 플래닛 캐리어(21)는 너트 요소(20)의 양측에 축 방향으로 위치한 플랜지(23)를 가지며, 이들 측면에 포켓(22)이 배열된다. 플래닛 캐리어(21)는, 축 방향 말단이 플랜지(23)에 연결된, 슬리브 섹션(24)과 함께 너트 요소(20) 주위에 체결한다.
너트 요소(20)는, 제1 장착부(25)에 의해 플래닛 캐리어(2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두 인장 슬리브(12, 13)는 각각 제1 장착부(25)의 제1 베어링(26)에 의해 플래닛 캐리어(21) 상에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장착된다.
플래닛 캐리어(21)는, 제2 베어링(28)을 갖는 제2 장착부(27)에 의해 하우징(2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및 제2 베어링(26, 29)은 서로 등지는 두 개의 플랜지(23)의 말단면에 배열된다.
각 플랜지(23)는, 제1 베어링(26)용 제1 베어링 시트(30)와 제2 베어링(29)용 제2 베어링 시트(31)가 제공된다. 플랜지(23)는 슬리브 섹션(24)에 의해 서로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 유격을 갖는 백래시를 이용해 축 방향으로 유격 연결된다. 하우징(28)은 제2 베어링(29)을 수용하기 위한 제2 베어링 시트(42)를 갖는다. 플래닛 캐리어(21)는 제1 베어링(26)을 수용하기 위한 제1 베어링 시트(41)를 갖는다.
도 2와 도 3은 구성 구현시 도 1의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나타낸다. 도 1과 도2의 해당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기호를 갖는다. 플래닛 캐리어(21)가 여러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두 개의 플랜지(23)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 슬리브 섹션(도 1)에 대응하는 슬리브(32)를 갖는 것이 도 2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있다. 비 회전식 연결은, 이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주변부 주위에 분포 배열되고 축 방향 유격을 갖고 슬리브(32)의 슬롯(34)에 체결하는 플랜지(23)의 러그(33)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도 3). 축 방향 유격은, 하우징(28)에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의 장착부(25, 27)를 설정하기 위한 작동 유격 역할을 한다.
장착부(25, 27)를 조절하기 위해, 제2 베어링(29)은 서로를 향해 축 방향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조절 이동 동안에, 플랜지(23)는, 너트 요소(20)가 제1 베어링(26)에 의해 플래닛 캐리어 상에 적절하게 지지될 때까지, 작동 유격 내에서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한편으로 하우징(28) 상에서 축 방향으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 제2 베어링(29)에 대해 축 방향으로 위치하는, 조절 링(35)에 의해, 이 설정은 가능하다. 너트 요소(20)와 하우징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축 방향 유격은,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가 높은 정확도로 작동될 수 있는 정도까지 조절된 후에, 제거된다
도 4는, 자동차의 조향 장치용, 바람직하게는 후방 차축 조향 시스템 또는 SBW(steer-by-wire) 조향 시스템용 액추에이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전기 모터(36)는, 벨트 구동(37)에 의해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의 플래닛 캐리어(21)를 구동한다. 여기서, 하우징(28)은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및 벨트 구동(37)을 포함하고 이들 구성 요소를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전기 모터(36)는 하우징(28)에 통합되거나 그에 플랜지 결합될 수 있다. 조향 막대(38)는 하우징(28)을 관통하고, 포크 형상 말단으로 휠 제어 아암(미도시)에 연결된다. 나사형 스핀들(1)은 조향 막대(38)의 일부이고 말단에 있는 조향 막대로부터 형성되며, 나사형 스핀들(1)은 조향 막대 사이에 배열된다. 제어 신호는 ECU(43)-제어/조절 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이는 입력 및 출력 측의 많은 매개 변수, 예를 들어 조향 막대(38)의 실제 및 목표 위치, 차량 속도, 조향 각도, 측면 가속을 고려한다.
이 액추에이터는 자가 억제 또는 억제하도록 설계된다. 전기 모터가 고장 나면, 조향 막대(38)의 위치는 움직이지 않는다. 조향 막대(38)에 작용하는 외력 하에서, 충분히 높은 예압으로 설정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의 회전 이동은 방지된다.
1 나사형 스핀들
2 너트
3 너트 부품
4 플래닛
5 말단 섹션
6 중앙 섹션
7 홈 프로파일
8 홈 프로파일
9 나사선 프로파일
10 홈 프로파일
11 인장 요소
12 인장 슬리브
13 인장 슬리브
14 외부 나사
15 내부 나사
16 반경 방향 림
17 반경 방향 림
18 너트 시트
19 너트 시트
20 너트 요소
21 플래닛 캐리어
22 포켓
23 플랜지
24 슬리브 섹션
25 제1 장착부
26 제1 베어링
27 제2 장착부
28 하우징
29 제2 베어링
30 제1 베어링 시트
31 제2 베어링 시트
32 슬리브
33 러그
34 슬롯
35 작동 링
36 전기 모터
37 벨트 구동
38 조향 막대
39 조향 막대
40 스페이서 디스크
41 제1 베어링 시트
42 제2 베어링 시트
43 ECU

Claims (6)

  1.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로서,
    나사형 스핀들(1), 나사형 스핀들(1)에 배열된 너트 요소(20), 및 나사형 스핀들(1) 주변부 주위에 분포 배열된 플래닛(4)을 포함하고, 이는 한쪽 측면에 나사형 스핀들(1)과 다른 한쪽 측면에 너트 요소(20)와 맞물리고, 이는 각 경우에 플래닛(4)을 수용하는 회전식 구동 플래닛 캐리어(21) 상의 제1 베어링(26)에 의해 양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베어링(29)에 의해 하우징(2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플래닛 캐리어(21)는 너트 요소(20)를 둘러싸는 슬리브(32)를 갖고, 그 축 방향 말단에서 각각 제1 베어링(26)의 제1 베어링 시트(30)와 제2 베어링(29)의 제2 베어링 시트(31)를 갖는 플랜지(23)가 배열되고, 플랜지(23)는 슬리브(32)에 의해 회전 고정 방식 및 작동 유격과 축 방향으로 서로 유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베어링(29)은 두 개의 제1 베어링(26)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1 베어링(26)은 플랜지(23)의 서로 대면하는 플랜지 측면에 배열되고, 제2 베어링(29)은 서로 등지는 플랜지(23)의 측면에 배열되는,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두 개의 제2 베어링(29) 중 하나를 조절하기 위해 하우징(28) 상에 지지되는 조절 링(35)을 갖고, 그 축 방향 조절 경로 내에서 두 개의 플랜지(23)가 상대적인 축 방향 변위성을 서로에 대해 설정하는,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너트 요소(20)는 너트(2), 및 서로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달아 배열된 너트(2)의 너트 부품(3) 두 개를 프리텐셔닝하는 인장 요소(11)를 갖는,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래닛(4)은, 너트(2)의 너트 측 홈 프로파일(10)과 나선형 스핀들(1)의 나사 프로파일(9)을 플래닛 측 홈 프로파일과 롤링 체결하는,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가 배열된 하우징(28), 그 일부는 나사형 스핀들(1)이고 하우징(28)을 관통하는 조향 막대(38), 및 플래닛 캐리어(21)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36)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 장치, 바람직하게는 후방 차축 조향 또는 SBW(steer-by-wire) 시스템용 액추에이터.
KR1020217019239A 2019-02-12 2019-12-06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및 이러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포함한 자동차의 후방 차축 조향용 액추에이터 KR202101241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3383.7A DE102019103383B4 (de) 2019-02-12 2019-02-12 Planetenwälzgewindetrieb und Aktuator für eine Hinterachslenkung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derartigen Planetenwälzgewindetrieb
DE102019103383.7 2019-02-12
PCT/DE2019/101050 WO2020164655A1 (de) 2019-02-12 2019-12-06 Planetenwälzgewindetrieb und aktuator für eine hinterachslenkung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derartigen planetenwälzgewindetrie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91A true KR20210124191A (ko) 2021-10-14

Family

ID=6902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239A KR20210124191A (ko) 2019-02-12 2019-12-06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및 이러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포함한 자동차의 후방 차축 조향용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89210A1 (ko)
KR (1) KR20210124191A (ko)
CN (1) CN113272577B (ko)
DE (1) DE102019103383B4 (ko)
WO (1) WO2020164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3422A1 (de) 2020-02-11 2021-08-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lanetenwälzgewindetrieb
CN112936146B (zh) * 2021-02-03 2022-07-05 内蒙古工业大学 一种反向式行星滚柱丝杠副的一体化装配夹具
DE102021111646A1 (de) 2021-05-05 2022-11-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aktuator für eine Achslenkung, Verfahren zur Montage des Linearaktuators und Achslenkung
US11827289B1 (en) * 2022-08-08 2023-11-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lanetary roller screw drive with pulley mounted support bearing inner ra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6813B2 (ja) * 2004-05-10 2011-02-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直動変換機構
JP2007057046A (ja) * 2005-08-25 2007-03-08 Toyota Motor Corp 遊星式差動ネジ型回転−直動変換装置及びその組付方法
JP2009041581A (ja) * 2007-08-06 2009-02-26 Ntn Corp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装置
DE102007037484A1 (de) * 2007-08-08 2009-02-19 Zf Lenksysteme Gmbh Aktuator
DE102013202700A1 (de) * 2012-03-12 2013-09-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lanetenwälzgetriebe und Hydrostataktor mit diesem
CN102628500B (zh) * 2012-04-19 2014-07-09 西北工业大学 一种可消除轴向间隙的行星滚柱丝杠机构
US10125851B2 (en) * 2013-11-27 2018-11-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indle-rotor unit
KR102312769B1 (ko) * 2013-12-06 2021-10-15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유성 롤러 스핀들(pwg)을 구비한 액추에이터
US10487926B2 (en) * 2014-02-06 2019-11-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ctuator with planetary screw drive (PSD)
FR3021085B1 (fr) * 2014-05-16 2016-05-27 Thales Sa Dispositif de precharge pour un mecanisme de vis a rouleaux guide en rotation
DE102015207391B4 (de) * 2015-04-23 2016-11-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ktor mit einem Planetenwälzgewindetrieb (PWG)
DE102015212333A1 (de) * 2015-07-01 2017-01-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lanetenwälzgewindespindeltrieb und Aktor mit selbigem
JP6758937B2 (ja) * 2016-06-16 2020-09-23 Ntn株式会社 遊星ローラねじ式直動機構および電動ブレーキ装置
JP2018013167A (ja) * 2016-07-20 2018-01-25 Ntn株式会社 遊星ローラねじ式直動機構および電動ブレーキ装置
US20190011026A1 (en) * 2016-10-05 2019-01-10 Delbert Tesar Linear actuator based on ruggedized planetary screw
DE102016119366A1 (de) * 2016-10-12 2018-04-12 Robert Bosch Gmbh Lenksystem
JP2018167751A (ja) * 2017-03-30 2018-11-01 Ntn株式会社 後輪操舵装置および車両
US11318985B2 (en) * 2017-10-24 2022-05-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eering-by-wire actuator with locking mechanism
US20190234500A1 (en) * 2018-01-26 2019-08-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 actuator including outer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72577B (zh) 2024-05-10
CN113272577A (zh) 2021-08-17
DE102019103383B4 (de) 2023-08-10
WO2020164655A1 (de) 2020-08-20
US20220089210A1 (en) 2022-03-24
DE102019103383A1 (de)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4191A (ko)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 및 이러한 플래너터리 롤러 스크류를 포함한 자동차의 후방 차축 조향용 액추에이터
US11192575B2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KR101203808B1 (ko) 차량용 중첩식 조향 시스템
US9421994B2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CN111232046B (zh) 转向柱组件
EP2969706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ssembly
US10974757B2 (en) Electrically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US20180003292A1 (en) Gear unit for motor vehicle
US20120192662A1 (en) Ball Screw And Steer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US11052935B2 (en) Motor-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KR102534676B1 (ko) 자동차용 레벨 조정 장치
KR20210099558A (ko) 자동차용 휠 모듈 및 해당 자동차
KR20210030265A (ko) 전기 기계식 액추에이터 및 리어 액슬 스티어링 시스템
KR20130029759A (ko)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8661931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KR20220042230A (ko) 유성 롤러 스크류 드라이브
US5909866A (en) Transmission assembly for vehicle seat adjuster with mechanical brake to prevent back driving
US11623682B2 (en) Steer-by-wire steering system having a spindle drive
CN111788401A (zh) 轴承装置
US7500414B2 (en) Steering column device for vehicle
WO2022045346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110139536A1 (en) Hydrostatic drive for a steering system
JP2024513601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に対する路面側の衝撃パルスの適切かつ調節可能な補償を備えたパワーステアリング構成群、ならびにパワーステアリング構成群を調整する方法
JP6970572B2 (ja) 転舵機能付ハブ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11124223B2 (en) Bearing for a ball nut assembly of a vehicle power steer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