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977A -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977A
KR20210123977A KR1020200087729A KR20200087729A KR20210123977A KR 20210123977 A KR20210123977 A KR 20210123977A KR 1020200087729 A KR1020200087729 A KR 1020200087729A KR 20200087729 A KR20200087729 A KR 20200087729A KR 20210123977 A KR20210123977 A KR 20210123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olding
cover window
glass substrate
flexib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719B1 (ko
Inventor
선우국현
하태주
박종인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유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티아이 filed Critical (주)유티아이
Priority to KR102020008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7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6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at least two glass sheets, only one of which being an out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7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at least two glass sheets, neither of which being an out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128Treatment of at least one glass sheet
    • B32B17/10137Chemical strength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81Pre-treatment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1Photosensitive materials providing an etching agent upon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30Aspects of methods for coating glass not covered above
    • C03C2218/365Coating different sides of a glass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글래스 기반의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글래스 기판과, 상기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평면부 및 폴딩부에 각각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글래스 기판 상에 원기둥 형태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구현하여, 스크래치를 개선시키고, 충격력을 분산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이 확보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Flexible Cover Window}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글래스 기판 상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구현하여, 표면을 개선시키고, 충격력을 분산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이 확보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전자 기술들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새로운 시대적 요구 및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품이 나오고 있으며, 그 중 화면을 접고 펼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기본적으로 접히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여 구부리고 말고 늘리는 형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윈도우 또한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플렉시블한 커버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유연성이 좋아야 하며, 반복적인 폴딩에도 폴딩 부위에 자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그에 따른 화질의 왜곡이 없어야 한다.
기존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커버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 PI나 PET 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고분자 필름의 경우 기계적 강도가 약해 단순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 내충격성에 취약하고, 낮은 투과율을 갖는 단점이 있으며, 비교적 고가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고분자 필름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폴딩 횟수가 많아질수록 폴딩 부위에 자국이 남게 되면서 접히게 되는 부분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예컨대 폴딩 한계 평가(통상 20만회) 시 고분자 필름의 눌림이나 찢김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분자 필름의 커버 윈도우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글래스 기반의 커버 윈도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글래스 기반의 커버 윈도우의 경우 폴딩 특성을 만족하면서, 화면의 왜곡이 없고, 터치펜 등의 반복적인 접촉, 일정 압력에도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는 기본 요구 물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의 강도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글래스가 일정 두께 이상이어야 한 반면에, 폴딩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글래스가 일정 두께 이하이어야 하므로, 강도 특성을 만족하면서 폴딩 특성을 만족하고, 또한 화면의 왜곡이 없는 최적의 커버 윈도우 두께 및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글래스가 일정 두께 이하일 경우 강화 글래스 고유의 질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강화 글래스 고유의 질감은 유지하면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적정 두께는 유지하고, 동시에 폴딩 특성 또한 만족하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박판 글래스의 사용으로 인한 글래스 표면의 스크래치 제거를 위한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워 고품질의 커버 윈도우의 제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번호 10-2017-0122554호(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서, 글래스 기판 상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구현하여, 표면을 개선시키고, 충격력을 분산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이 확보된 고품질의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글래스 기반의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글래스 기판과, 상기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평면부 및 폴딩부에 각각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패턴의 크기는 0.08 ~ 0.15mm, 상기 패턴 사이의 간격은 0.05 ~ 0.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글래스 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는, 상기 폴딩부의 깊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에칭 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칭 공정은, 상기 글래스 기판 전면(Total Surface)에 1차 패턴을 형성하는 1차 에칭 공정과, 폴딩 영역을 추가로 에칭하여 2차 패턴을 형성하는 2차 에칭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2차 패턴으로 구현되고,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1차 패턴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칭 공정은, 상기 폴딩부에 1차 패턴을 형성하는 1차 에칭 공정과, 상기 글래스 기판 전면(Total Surface)을 에칭하여 상기 1차 패턴 영역에는 상기 1차 패턴이 추가 에칭된 2차 패턴을 형성하고, 평면부에는 3차 패턴을 형성하는 2차 에칭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2차 패턴으로 구현되고,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3차 패턴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에칭 공정에 따른 에칭 깊이는, 0.0005 ~ 0.28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2차 에칭 공정에 따른 에칭 깊이는, 0.01 ~ 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평면부와의 경계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은,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은, 격자배열 또는 교차배열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밀집도와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밀집도가 동일하거나,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밀집도가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밀집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조밀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는,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에 완충수지층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수지층 상에 커버 글래스 기판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에는 투명수지재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상층에는 상기 투명수지재 상에 투명수지층이 형성되되, 상기 투명수지재와 투명수지층은 같은 재료로 동일한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투명수지재와 투명수지층은 같은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순차적인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수지층은,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 및 뒷면 측, 또는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 뒷면 측 및 측면의 전면(Total Surface)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수지층은, 상기 글래스 기판의 뒷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과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글래스 기판의 뒷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이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보다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소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글래스 기판 상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구현하여, 충격력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고,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이 확보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즉, 글래스 기판 상에 원기둥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포함하는 폴딩부 및 평면부를 구현함으로써, 펜드랍(Pen-Drop) 충격 시에 원기둥 패턴으로 충격이 분산되어 펜드랍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윈도우는 폴딩부를 비롯하여 평면부 상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되어, 글래스 기판 표면에서의 스크래치를 개선하여 고품질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래스와 수지재와의 복합 재료로 구현되어, 글래스의 질감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수지재에 의한 유연성, 복원력, 탄성력 및 강도 특성은 보강되도록 하며, 특히 수지재에서 펜드랍과 같은 충격을 흡수하여 내충격성을 더욱 개선시키고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외부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복합 재료로 구현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글래스 기판 사이에 완충수지층을 전면(Total Surface)에 형성함으로써 펜드랍과 같은 충격력을 흡수 또는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달시킴으로써, 펜드랍 강도 특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단면 모식도(도 1(a)는 글래스 기판의 일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경우, 도 1(b) 글래스 기판의 양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경우).
도 2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단면 모식도(도 1(a) 글래스 기판의 일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경우, 도 1(b) 글래스 기판의 양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경우).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도 3(a) 격자배열, 도 3(b) 교차배열).
도 4 내지 도 6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
도 7 내지 도 10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단면 모식도.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글래스 기판 상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구현하여, 스크래치를 개선시키고, 충격력을 분산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이 확보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즉, 글래스 기판의 폴딩부 및 평면부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구현함으로써, 스크래치 점유율을 낮추고, 펜드랍 충격 시에 패턴 사이로 충격이 분산되어 펜드랍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단면 모식도(도 1(a)는 글래스 기판의 일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경우, 도 1(b) 글래스 기판의 양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경우)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단면 모식도(도 1(a) 글래스 기판의 일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경우, 도 1(b) 글래스 기판의 양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경우)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도 3(a) 격자배열, 도 3(b) 교차배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평면부(P)와, 상기 평면부(P)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P)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된 폴딩부(F)를 포함하는 글래스 기반의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글래스 기판(110)과, 상기 글래스 기판(110) 상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상기 평면부(P) 및 폴딩부(F)에 각각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은 디스플레이가 반으로 접히는 영역이나 구부려지는 영역을 말하며, 이 영역에 대응되어 커버 윈도우가 폴딩되는 영역을 본 발명에서는 커버 윈도우(100)의 "폴딩부"(F)라 하며, 폴딩부를 제외한 평면 영역을 커버 윈도우(100)의 "평면부"(P)라고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글래스 기반으로 형성되며, 상기 폴딩부(F)는 상기 평면부(P)에 비해 두께가 얇게 슬리밍(Slimming)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대체적으로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평면부(P)의 두께는 50~300㎛이고, 상기 폴딩부(F)의 두께는 10~100㎛ 정도로, 매우 얇은 박판의 글래스를 가공하여 폴딩부(F)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폴딩부(F)는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거나, 폴딩 영역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폴딩부(F)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부(F)가 직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 기술에 비해 폴딩 특성을 더욱 개선시킨 것으로, 폴딩부(F)가 곡선 형태인 경우 최소 두께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아 폴딩이 반복되게 되면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서 폴딩 시 깨지는 등 폴딩 특성이 저하되게 되나, 폴딩부(F)가 전체적으로 두께가 균일하게 즉, 두께가 동일하게 직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최소 두께를 이루는 영역이 넓게 형성되어 유연성, 복원력 및 탄성력 등이 향상되어 폴딩 특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또한, 곡선형 폴딩부(F)는 기구적으로 조립시 센터를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폴딩부(F)는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기구적으로 조립시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접합시 조립공차를 줄일 수 있어 제품 간 품질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불량률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직선형 폴딩부(F)의 장점이 곡선형 폴딩부(F)에 비해 더 많으나, 제품의 사양에 따라 직선형 폴딩부(F) 또는 곡선형 폴딩부(F)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폴딩부(F)의 폭은 커버 윈도우(100)를 접었을 때의 곡률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게 되는데, 대략적으로 곡률반경 x π로 설정되게 되며, 상기 폴딩부(F)에서의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는 10~100㎛로 형성되고, 이는 폴딩부(F)와 관련되게 된다.
상기 폴딩부(F)의 깊이가 너무 깊게 되면 즉, 커버 윈도우(100)의 폴딩 영역이 너무 얇으면 폴딩성은 좋지만 강화시 주름이 생기거나 강도는 불리해지고, 너무 두껍게 형성된 경우에는 폴딩 영역에서의 유연성, 복원력 및 탄성력이 떨어지게 되어 폴딩 특성이 저하되게 되므로, 상기 폴딩부(F)에서의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는 10~100㎛ 정도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의 커버 윈도우(100)는 글래스 기반으로 두께 50~300㎛ 정도로 형성되며, 이를 화학 강화 처리하여 사용한다. 이 두께에서, 상기와 같이 폴딩부(F)의 폭 및 깊이 등을 적절히 설계하게 된다. 상기 두께보다 얇으면 폴딩부(F)의 형성 후 커버 윈도우(100)의 폴딩 영역의 두께가 너무 얇게 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두께보다 두꺼워도 상기와 같이 글래스 기반으로 유연성, 복원력 및 탄성력이 떨어지게 되며, 디스플레이 제품의 경량화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폴딩부(F)는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폴딩 영역에서 내측으로 슬리밍(Slimming)된 형태로 전체적으로 사각의 트렌치(Trench)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폴딩부(F)의 양측단에는 상기 폴딩부(F)에서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경사부를 형성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평면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폴딩부(F)의 양측단(평면부(P)와의 경계부)에 기울기가 낮은 경사부를 형성시켜 폴딩부(F) 전 영역에서 반사면에 의한 반사각의 크기를 비슷하게 조절하여 빛의 간섭 및 반사면에서의 육안 시인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딩 특성 및 강도 특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게 되며, CPI(Clear Polyimide) 커버 위에 배치되어 CPI 커버 보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글래스 기반으로 형성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박판이면서도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보강한 폴딩부(F)를 갖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100)를 제공하고자 하며,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폴딩부(F)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딩부(F) 및 평면부(P)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원기둥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글래스 기판(110)을 건식 또는 습식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패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은 원기둥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지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딩 특성 개선과 충격력의 고른 분산을 위해 격자 배열(도 2(a)) 또는 교차 배열(도 2(b)) 패턴을 이룰 수 있다.
즉, 커버 윈도우(100)의 폴딩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폴딩부(F) 형성을 위해 슬리밍하게 에칭하는 과정에서, 폴딩부(F)에 소정의 패턴이 구현되도록 하면서, 평면부(P)에도 소정의 패턴이 구현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글래스 재질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100)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글래스 기판(110)의 두께가 얇아야 하고, 강도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정 두께 이상이어야 한다.
예컨대 폴딩 시 곡률반경이 최소 0.5mm 이상을 만족하여야 하는 경우,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는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1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펜드랍(Pen-Drop)과 같이 단면적이 좁은 물체가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상면(앞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펜드랍 접촉부를 중심으로 글래스 기판(110) 전체의 변형 및 파손이 가해질 수 있다.
특히 슬리밍된 폴딩 영역을 갖는 커버 윈도우(100)의 경우, 그 부분의 두께가 특히 얇아 펜드랍 특성이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폴딩 영역과 평면 영역 간의 두께 차이로 인한 응력 차이가 발생하여 글래스 기판(110)의 웨이브니스(Waveness) 등의 문제가 함께 부가되어, 내충격성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폴딩부(F)에서의 펜드랍 특성 개선을 통한 내충격성 향상, 그와 동시에 폴딩 특성 및 강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글래스 기판(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펜드랍 특성에 취약한 폴딩부(F)뿐만 아니라 글래스 기판(110)의 전체적인 펜드랍 특성을 보강하기 위해 평면부(P)에도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기존의 스트라이프 형태가 아닌 단면적이 원형 즉, 원기둥 형태로 상기 폴딩부(F)의 형성 과정 중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커버 윈도우(100) 상에 펜드랍과 같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수평으로 전달되는 충격력보다 수직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이 더 강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복수의 원기둥 형태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수직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거나 지지하게 되어 펜드랍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시키게 된다.
즉, 펜드랍 충격력이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내부로 전달되어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원기둥 형태의 패턴에 부딪히거나 흡수되어 그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거나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할 상기 원기둥 형태의 패턴 사이에 투명수지재(130)가 충진되게 되므로, 충격력의 흡수, 지지 효과가 월등히 개선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부(F)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형성함으로써, 폴딩부(F)의 슬리밍을 최소화하여도 폴딩 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평면부(P)와의 두께 차이로 인한 응력 차이를 줄일 수 있어, 이에 따른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화면 왜곡이나 해상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고품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F)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 밀집도와 상기 평면부(P)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 밀집도가 동일하거나, 특히 두께가 얇은 폴딩부(F)에서의 펜드랍 특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폴딩부(F)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 밀집도를 상기 평면부(P)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 밀집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조밀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평면부(P)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 밀집도가 전체 글래스 기판(110)에 대해 10~50% 정도의 밀집도로 형성되었다면, 상기 폴딩부(F)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 밀집도는 이와 같거나 거의 비슷하게 형성되거나, 이보다 높은 20~70% 정도의 밀집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상기 폴딩부(F)에 형성되는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밀집도가 더 높게 되면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 내에서 패턴 밀집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폴딩부(F)에서의 폴딩 특성을 더욱 보완하면서 충격력의 분산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드랍 충격력은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충격이 가해지는 반대면)에 더욱 취약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는 도 1(a),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도면 상 위쪽)에 본 발명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터치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은 글래스 기판(110)의 내부로 전달되어 원기둥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의해 그 충격력이 분산되거나 흡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b),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양면 즉, 앞면과 뒷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충격을 받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면인 앞면에 형성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력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고, 글래스 기판(110) 내부로 전달된 충격력은 뒷면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에 형성되는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와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에 형성되는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각각 그 패턴의 크기(원기둥의 지름), 패턴 간의 간격, 패턴의 높이(원기둥의 높이) 등이 제품 사양이나, 용도 등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높이는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두께에 대해 절반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두께에 대해 10~3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보다 높이가 더 낮은 경우, 충격력 분산의 효과가 미미하며, 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효 두께의 감소로 전체적인 강도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의 크기는 0.08 ~ 0.15mm, 상기 패턴 사이의 간격은 0.05 ~ 0.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의 크기가 상기의 범위보다 크면 폴딩 특성이 낮아지고, 작으면 펜드랍 특성이 낮아지게 되며, 상기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의 범위보다 크면 펜드랍 특성이 낮아지고, 상기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의 범위보다 작으면 폴딩 특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높이는 상기 폴딩부(F)의 깊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폴딩부(F)의 슬리밍 공정과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형성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의해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높이는 폴딩부(F)의 깊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건식 또는 습식 에칭 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포토 마스킹에 따른 에칭 공정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포토 마스킹에 따른 습식 에칭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래스 기판(110) 상에 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전면(Total Surface) 또는 폴딩 영역에 제1패턴(121)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 패턴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1차 에칭 공정에 의한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전면(Total Surface) 또는 폴딩 영역에 제1패턴(121)을 형성하고,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을 제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패턴(121)이 형성된 글래스 기판(110) 상에 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와, 상기 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 상기 평면 영역에 제3패턴(123)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 패턴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의 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2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폴딩 영역의 추가 에칭으로 상기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을 형성하거나, 2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글래스 기판(110) 전면(Total Surface)의 에칭으로 상기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을 상기 평면 영역에 제3패턴(123)을 형성하고,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을 제거하는 제6단계의 과정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그 후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포함하는 글래스 기판(110)을 강화시키는 제7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100)를 완성하게 된다.
즉,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전면(Total Surface)에 제1패턴(121)을 형성하고, 폴딩 영역에만 제2패턴(122)을 형성하여 폴딩부(F) 및 평면부(P)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거나(도 6), 폴딩 영역에 먼저 제1패턴(121)을 형성하고,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전면(Total Surface)을 에칭하여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을 평면 영역에 제3패턴(123)을 형성하여(도 4, 도 5) 폴딩부(F) 및 평면부(P)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글래스 기판의 전면(Total Surface)에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글래스 기판 표면의 스크래치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일반적으로 박판의 글래스 기판의 스크래치 발생 점유율은 24% 정도이나 본 발명에 따른 패턴 형성 과정에 의해 스크래치 발생 점유율이 0.4% 수준으로 개선되어, 고품질의 커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부(P)에 비해 두께가 얇은 폴딩부(F)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에 전체적으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형성하기 위해 먼저, 상기 글래스 기판(110) 상에 포토레지스트 코팅 또는 DFR(Dry Film Resist)을 라미네이션하여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제1단계),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에 대응하는 패턴을 갖는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여 노광 및 현상하는 패터닝 공정에 의해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전면(Total Surface) 또는 폴딩 영역에 제1패턴(121)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 패턴층을 형성한다(제2단계).
여기에서,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은,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 형성을 위한 보상용 패턴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 형성을 위한 보상용 패턴층과, 상기 패턴의 양측에 상기 평면부(P)와 폴딩부(F) 사이에 경사부 형성을 위한 그라데이션 패턴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부(F)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의 형상이 수직의 트렌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딩부(F)와의 사이에 경계부 시인성 개선을 위해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부(F)가 수직의 트렌치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은,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 형성을 위한 보상용 패턴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P)와 폴딩부(F) 사이에 경사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 형성을 위한 보상용 패턴층과 상기 보상용 패턴층의 양측에 그라데이션 패턴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상용 패턴층은 원기둥 형태의 패턴의 형성을 위해 원형의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라데이션 패턴층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폴딩부(F)에서 평면부(P)로 갈수록 오픈율이 낮아지는 패턴으로 구현되며, 경사부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공정 조건에 따라 그라데이션 패턴층 대신 폴딩부(F) 경계부에서의 DFR과 글래스 기판(110)과의 사이에 미세한 공간을 주어 경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1차 에칭 공정에 의한 상기 글래스 기판의 전면(Total Surface) 또는 폴딩 영역에 제1패턴(121)을 형성하고,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을 제거한다(제3단계).
그리고, 상기 제1패턴(121)이 형성된 글래스 기판(110) 상에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제4단계), 상기 레지스트층의 패터닝 공정에 의해 상기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 패턴층을 형성하거나, 상기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 상기 평면 영역에 제3패턴(123)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 패턴층을 형성한다(제5단계).
이때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은 폴딩 영역은 완전히 오픈되게 형성되고, 평면 영역은 완전히 마스킹되거나, 소정의 제3패턴(123)의 형상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평면부(P) 및 폴딩부(F)의 경계부는 경사부 형성을 위해 그라데이션 패턴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그라데이션 패턴층은 제품의 사양 등에 따라 1차 에칭 공정 또는 2차 에칭 공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공정에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는 1차 에칭 공정 및 2차 에칭 공정 모두에 그라데이션 패턴층이 구현된 레지스트 패턴층을 사용하였다.
도 4의 실시예는 보상용 패턴층을 이용한 수직의 트렌치 형상의 폴딩부(F)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실시예는 그라데이션 패턴층을 이용한 경사부를 포함하는 폴딩부(F)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실시예는 그라데이션 패턴층 대신 폴딩부(F) 경계부에서의 레지스트 패턴층과 글래스 기판(110)과의 사이에 미세한 공간을 주어 경사부를 포함하는 폴딩부(F)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2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폴딩 영역의 추가 에칭으로 상기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을 형성하거나, 2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글래스 기판 전면(Total Surface)의 에칭으로 상기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을 상기 평면 영역에 제3패턴(123)을 형성하고,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을 제거한다(제6단계).
즉, 상기 글래스 기판의 전면(Total Surface)에 제1패턴(121)을 형성하고, 폴딩 영역에만 제2패턴(122)을 형성하여 폴딩부(F) 및 평면부(P)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거나, 폴딩 영역에 먼저 제1패턴(121)을 형성하고, 상기 글래스 기판의 전면(Total Surface)을 에칭하여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을 평면 영역에 제3패턴(123)을 형성하여 폴딩부(F) 및 평면부(P)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폴딩부(F)의 깊이(h1)는 1차 에칭 깊이와 2차 에칭 깊이를 합한 만큼 형성되고, 폴딩부(F)에 형성된 제2패턴(122)의 높이(h2)는 1차 에칭 깊이 만큼 형성되고, 평면부(P)에 형성된 제1패턴의 높이(h3)는 1차 에칭 깊이 만큼 형성되거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평면부(P)에 형성된 제3패턴(123)의 높이(h3)는 2차 에칭 깊이 만큼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1차 에칭 공정과 2차 에칭 공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폴딩부(F)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제2패턴(122))의 높이(h2)는, 상기 폴딩부(F)의 깊이(h1)보다 더 작게 형성되게 된다. 즉, 슬리밍된 폴딩부(F)에 제2패턴(122)이 형성된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제1패턴(121)(평면부) 및 제2패턴(122)(폴딩부)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패턴(122)(폴딩부) 및 제3패턴(123)(평면부)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공정 조건이나 공정 횟수를 조절하여 제품 사양이나 용도에 맞도록 형상이나 싸이즈(크기, 간격) 등을 조절하여, 슬리밍된 폴딩부(F) 및 평면부(P)에 각각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된 글래스 기판(110)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1차 에칭 공정에 따른 에칭 깊이는, 0.0005 ~ 0.28mm이고, 상기 2차 에칭 공정에 따른 에칭 깊이는, 0.01 ~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에칭 공정에 따른 에칭 깊이와 2차 에칭 공정에 따른 에칭 깊이를 조절하여, 폴딩부(F)의 깊이(h1), 폴딩부(F)에서의 제2패턴(122)의 높이(h2), 평면부(P)에서의 제3패턴(123)의 높이(h3)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펜드랍 특성 및 폴딩 특성이 개선되도록 한다.
특히 글래스 기판의 전면을 먼저 에칭하여 제1패턴(121)을 형성하고, 폴딩 영역에 제2패턴(122)을 형성하는 충격 보상용 패턴부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는 폴딩부(F)에서의 제2패턴(122)의 높이(h2)와 평면부(P)에서의 제1패턴(121)의 높이(h3)를 더한 값(h2+h3)은 폴딩부(F)의 깊이(h1) 이하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폴딩부(F)에 제1패턴(121)을 형성하고, 상기 글래스 기판 전면(Total Surface)을 에칭하여 폴딩부(F)에 제2패턴(122)을, 평면부(P)에 제3패턴(123)을 형성하는 충격 보상용 패턴부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는 폴딩부(F)에서의 제2패턴(122)의 높이(h2)와 평면부(P)에서의 제3패턴(123)의 높이(h3)를 더한 값(h2+h3)은 폴딩부(F)의 깊이(h1)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요구되는 제품 사양에 따라 에칭 공정 조건을 조절하여 폴딩부의 깊이와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글래스 기판 상에 원기둥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 스크래치를 개선하고, 펜드랍과 같은 수직 충격력이 지지, 분산되도록 하여 펜드랍에 대한 내충격성 개선, 폴딩 특성 및 전체적인 강도 증가 특성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원기둥 형태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된 글래스 기판(110)은 일반적인 화학 강화 공정을 거치게 되며,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제7단계).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수지재(130)가 충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Total Surface)에 빈 공간없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원기둥 패턴 사이에 투명수지재(130)가 충진되어, 전체적으로 두께가 균일한 커버 윈도우(100)를 제공하게 되며, 충격력을 흡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접합시 빈 공간(공기층)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시인성 및 접합성이 개선되도록 한다.
상기 투명수지재(130)는 글래스의 굴절율(1.5)과 거의 동일한 OCR(Optical Clear Resin)과 같은 투명 수지를 사용하며, 예컨대 아크릴, 에폭시, 실리콘, 우레탄, 우레탄합성물, 우레탄아크릴 합성물, 하이브리드졸겔, 실록산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수지재(130)의 성질에 따라 이를 다양한 조합으로 혼합하여 강도 및 탄성 보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상층에는 상기 투명수지재(130) 상에 투명수지층(140)이 형성되되, 상기 투명수지재(130)와 투명수지층(140)은 같은 재료로 동일한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투명수지재(130)와 투명수지층(140)은 같은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순차적인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수지재(130)와 투명수지층(140)은 동일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되거나, 필요시 다른 공정에 의해 별도의 공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한 기능성을 부여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수지층(140)은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 측 및 뒷면 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 측, 뒷면 측 및 측면의 전면(Total Surface)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140)과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140)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140)이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140)보다 상대적으로 더 소프트(Soft)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터치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소재로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는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방식에 따라 폴딩되어 접혀지는 쪽은 더 하드한 소재로 형성시키고, 늘어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소재로 형성시켜, 늘어지는 부분에서의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투명수지재(130)를 충진하고, 그 상층으로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투명수지재(130)를 충진한 후, 상기 글래스 기판(110) 상의 투명수지재(130) 상측에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한 것이다. 도 7(b)는 도 7(a)의 커버 윈도우(100)를 아웃폴딩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된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 측에 완충수지층(150)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수지층(150) 상에 커버 글래스 기판(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글래스 기판(110) 사이에 완충수지층(150)이 형성되고, 뒷면 측의 글래스 기판(110) 상에는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된 것이다.
이에 의해 앞면 측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완충수지층(150)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력이 흡수되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체적으로 커버 글래스 기판(160) 및 글래스 기판(110)의 두께는 더 얇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펜드랍에 대한 내충격성 개선, 폴딩 특성 및 전체적인 강도를 증가 시키게 된다.
도 9(a)는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투명수지재(130)를 충진한 후, 상기 글래스 기판(110) 상의 투명수지재(130) 상측 그리고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에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9(b)는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투명수지재(130)를 충진하고, 글래스 기판의 앞면에 완충수지층(150)을 형성하고, 그 상층에 커버 글래스 기판(160)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수지재(130) 상측 그리고 상기 커버 글래스 기판(160)의 앞면에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앞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140)이 뒷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140)보다 더 하드(hard)한 소재로 형성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글래스와 수지재와의 복합 재료로 구현되어 글래스의 질감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수지재에 의한 유연성, 복원력, 탄성력 및 강도 특성은 보강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글래스 기판(110) 상의 폴딩부(F) 및 평면부(P)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투명수지재(130) 및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함으로써, 펜드랍에 대한 충격력을 더욱 분산 또는 흡수시켜 내충격성을 더욱 개선시키게 된다.
또한, 폴딩부(F)에서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형태가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투명수지재(130)가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 내부로 고르게 충진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하는 부분의 평탄도(Flatness)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하는 면에서는 커버 윈도우(100)에 탄성력을 보강하여 내충격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글래스가 깨졌을 때 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100) 일면 또는 양면에는 기능성 코팅층(1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170)은 상술한 투명수지재(130)와 같이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다양한 성질을 가지는 수지를 합성하여 기능성이 부여되도록 한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170)은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투명수지재(130)가 충진된 경우 또는 상기 글래스 기판(110) 전면에 투명수지층(140)이 형성된 경우에 그 상층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프레이, 딥핑, 스핀 코팅 등 공지의 수지 코팅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170)은 단일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윈도우(100) 앞면에 형성된 기능성 코팅층(170)은 강도 보강층으로 구현되고, 상기 커버 윈도우(100) 뒷면에 형성된 기능성 코팅층(170)은 탄성 보강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커버 윈도우(100) 앞면으로는 터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다 강도가 보강된 기능성 코팅층(170)이 구현되며, 커버 윈도우(100) 뒷면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이 보강된 기능성 코팅층(170)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 앞면의 강도 보강층(Hard Coating)의 경우 경화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수지 예컨대 아크릴이나 에폭시 같은 수지의 함량이 높은 것을 사용하며, 상기 커버 윈도우(100) 뒷면의 탄성 보강층(Soft Coating)의 경우 경화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탄성도가 높은 수지 예컨대 실리콘, 우레탄 합성수지 등의 함량이 높게 하여 사용한다. 또한 유무기 하이브리드졸겔에서 유기물 및 무기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강도나 탄성을 보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코팅층(170)이 다층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앞면에 형성된 기능성 코팅층(170)은 상층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코팅층(170) 특히 최상층에 형성되는 기능성 코팅층(170)에는 AF(Anti Finger) 또는 AR(Anti Reflective) 기능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갖는 수지를 합성하여 구현하거나, 상기 기능성 코팅층(170)에 다양한 패턴 예컨대 moth eye와 같은 패턴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는 기본적으로 박판의 글래스 기판(110)의 사용에 따른 강도 및 탄성을 보강하기 위해 기능성 코팅층(170)을 추가로 형성한 것으로, 외부 충격, 터치펜의 압력에 의해서도 커버 윈도우(1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코팅층(170)은 폴딩 영역에서의 크랙 발생을 더욱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하는 면에서는 커버 윈도우(100)에 탄성력을 보강하여 내충격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비산 방지 기능을 하게 된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펜드랍 특성 및 폴딩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펜드랍 테스트는 Ball size 0.5mm, 중량 6.2g의 펜을 이용하였으며,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 다양한 높이에서 상기 펜을 자유 낙하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가 파손되는 높이를 측정한 것이고, 폴딩 테스트는 두 지점을 구부려 폴딩시 파손되는 순간 측정된 곡률반경(2 Point Bending R)을 측정하는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래스 기판(두께 0.08t)의 뒷면의 폴딩부 및 평면부에 원기둥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폴딩부에서의 제2패턴의 높이 h2 = 0.03mm, 평면부에서의 제3패턴의 높이 h3 = 0.015mm, 패턴의 크기 0.1mm, 패턴의 간격 0.1mm)를 형성하고, 폴딩부의 높이 h1 = 0.048mm, 아크릴계 투명수지재(두께 0.01mm)를 충진한 후, 그 상층에 아크릴계 투명수지층(두께 0.01mm)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교예로는 스트라이프(stripe) 패턴(패턴의 크기 0.1mmm, 간격 0.1mm)을 글래스 기판의 전체 면에 형성한 것이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 패턴의 경우 2 Point Bending R 값이 평균 1.68mm이나,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 2.28mm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기둥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경우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보다 더 우수한 폴딩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펜드랍 테스트는 원기둥 패턴의 경우 평균 8cm 높이,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 6cm 높이에서 펜드랍 후 파손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기둥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경우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보다 더 우수한 펜드랍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는, 원기둥 형태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슬리밍된 폴딩부 및 평면부에 구현함으로써, 표면 스크래치 점유율을 개선시키고,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펜드랍 특성 개선에 따른 내충격성이 현저히 향상시키면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이 확보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커버 윈도우 110 : 글래스 기판
120 : 충격 보상용 패턴부 121 : 제1패턴
122 : 제2패턴 123 : 제3패턴
130 : 투명수지재 140 : 투명수지층
150 : 완충수지층 160 : 커버 글래스 기판
170 : 기능성 코팅층
P : 평면부 F : 폴딩부

Claims (18)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글래스 기반의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글래스 기판;
    상기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평면부 및 폴딩부에 각각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패턴의 크기는 0.08 ~ 0.15mm, 상기 패턴 사이의 간격은 0.05 ~ 0.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글래스 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는,
    상기 폴딩부의 깊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에칭 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 공정은,
    상기 글래스 기판 전면(Total Surface)에 1차 패턴을 형성하는 1차 에칭 공정과, 폴딩 영역을 추가로 에칭하여 2차 패턴을 형성하는 2차 에칭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2차 패턴으로 구현되고,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1차 패턴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 공정은,
    상기 폴딩부에 1차 패턴을 형성하는 1차 에칭 공정과, 상기 글래스 기판 전면(Total Surface)을 에칭하여 상기 1차 패턴 영역에는 상기 1차 패턴이 추가 에칭된 2차 패턴을 형성하고, 평면부에는 3차 패턴을 형성하는 2차 에칭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2차 패턴으로 구현되고,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3차 패턴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에칭 공정에 따른 에칭 깊이는, 0.0005 ~ 0.2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에칭 공정에 따른 에칭 깊이는,
    0.01 ~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평면부와의 경계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은,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은,
    격자배열 또는 교차배열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밀집도와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밀집도가 동일하거나,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밀집도가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밀집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조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는,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에 완충수지층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수지층 상에 커버 글래스 기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에는 투명수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상층에는 상기 투명수지재 상에 투명수지층이 형성되되,
    상기 투명수지재와 투명수지층은 같은 재료로 동일한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투명수지재와 투명수지층은 같은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순차적인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수지층은,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 및 뒷면 측,
    또는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 뒷면 측 및 측면의 전면(Total Surface)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수지층은,
    상기 글래스 기판의 뒷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과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글래스 기판의 뒷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이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에 형성된 투명수지층보다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0200087729A 2020-04-02 2020-07-15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359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729A KR102359719B1 (ko) 2020-04-02 2020-07-15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137A KR102167404B1 (ko) 2020-04-02 2020-04-02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20200087729A KR102359719B1 (ko) 2020-04-02 2020-07-15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137A Division KR102167404B1 (ko) 2020-04-02 2020-04-02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77A true KR20210123977A (ko) 2021-10-14
KR102359719B1 KR102359719B1 (ko) 2022-02-09

Family

ID=730252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137A KR102167404B1 (ko) 2020-04-02 2020-04-02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20200087729A KR102359719B1 (ko) 2020-04-02 2020-07-15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137A KR102167404B1 (ko) 2020-04-02 2020-04-02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27679B2 (ko)
KR (2) KR102167404B1 (ko)
CN (1) CN113496653B (ko)
TW (1) TWI8059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201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104A (ko) * 2021-02-03 2022-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95748B1 (ko) * 2021-02-17 2022-05-10 (주)유티아이 롤러블, 슬라이더블 및 스트레쳐블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2395734B1 (ko) * 2021-04-12 2022-05-10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457942B1 (ko) * 2021-04-19 2022-10-24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20230016419A (ko) * 2021-07-26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7969B1 (ko) * 2022-01-25 2022-10-24 (주)유티아이 교체가 용이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CN115331560B (zh) * 2022-08-31 2023-1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显示屏以及玻璃的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554A (ko) 2016-04-27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93649A (ko) * 2017-02-14 2018-08-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유연성 표시장치
KR102068729B1 (ko) * 2019-04-26 2020-01-28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920A (ja) * 2000-10-06 2002-04-1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5174428A1 (ja) * 2014-05-15 2015-11-19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102454065B1 (ko) * 2014-07-08 2022-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9983424B2 (en) *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423407B1 (ko) * 2015-08-19 2022-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16914B1 (ko) * 2015-12-01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5487734B (zh) * 2015-12-15 2019-04-1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电容触控式柔性显示面板及其柔性显示器
KR102563743B1 (ko) * 2016-11-11 202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050046B (zh) * 2016-12-02 2022-07-26 3M创新有限公司 用于柔性电子显示器的低介电光学透明粘合剂
US10303218B2 (en) * 2017-02-01 2019-05-28 Apple Inc. Foldable cover and display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903888B1 (ko) * 2017-05-10 2018-10-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404974B1 (ko) * 2017-09-12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799574B (zh) * 2017-10-31 2020-1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8962028B (zh) * 2018-07-10 2020-03-3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盖板、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CN109326220B (zh) * 2018-09-20 2021-06-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盖板及其制造方法、柔性显示模组和电子设备
KR102069040B1 (ko) * 2019-04-15 2020-01-22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CN110807990A (zh) * 2019-10-14 2020-02-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耐弯折盖窗口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554A (ko) 2016-04-27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93649A (ko) * 2017-02-14 2018-08-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유연성 표시장치
KR102068729B1 (ko) * 2019-04-26 2020-01-28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201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719B1 (ko) 2022-02-09
CN113496653B (zh) 2023-07-25
CN113496653A (zh) 2021-10-12
KR102167404B1 (ko) 2020-10-20
US20210315116A1 (en) 2021-10-07
TW202143192A (zh) 2021-11-16
US11627679B2 (en) 2023-04-11
TWI805993B (zh)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719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146730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150391B1 (ko) 폴딩부가 형성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폴딩부가 형성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2246919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2111138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CN111833733B (zh) 改善可见性的柔性覆盖窗及其制造方法
CN111696439B (zh) 柔性覆盖窗
TW202102971A (zh) 可撓性覆蓋視窗
KR102395800B1 (ko) 복합패턴이 구현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272926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2176216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2395748B1 (ko) 롤러블, 슬라이더블 및 스트레쳐블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2162567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395734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20240053813A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