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686A -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 Google Patents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686A
KR20210123686A KR1020200041146A KR20200041146A KR20210123686A KR 20210123686 A KR20210123686 A KR 20210123686A KR 1020200041146 A KR1020200041146 A KR 1020200041146A KR 20200041146 A KR20200041146 A KR 20200041146A KR 20210123686 A KR20210123686 A KR 20210123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breaker body
power device
cradle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389B1 (ko
Inventor
김영
서민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4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389B1/ko
Priority to PCT/KR2021/003874 priority patent/WO2021201538A1/ko
Priority to EP21780263.6A priority patent/EP4131316A4/en
Priority to JP2022558207A priority patent/JP7458501B2/ja
Priority to US17/916,715 priority patent/US12009642B2/en
Priority to CN202180025435.XA priority patent/CN115335946A/zh
Publication of KR2021012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6Distinguishing marks, e.g. colour co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 관한 것으로 크래들 단자가 형성되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 단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를 접속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이송장치인 거더와 트럭을 포함하는 전력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포지션 감지 영역부 및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에 대향되어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비접촉식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크래들의 내측면 고정 결합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Power Equipment For Detecting In-Out Position Continuously}
본 발명은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들 내에서 이동하는 차단기 본체의 정확한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기기라 함은 전력을 수전, 송전 변환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력기기는 차단기 등이 크래들 내부에서 이동함에 단자들이 접속 및 분리되는 장치들이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전력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는 외부 전원 또는 부하 측 전력선로를 연결하는 크래들 단자(110)가 형성되며 배전반에 고정되는 크래들(100)과 상기 크래들(100)의 단자 부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본체(200) 및 상기 차단기 본체(200)를 접속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이송장치인 거더(300)와 트럭(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위치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최대로 접근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분리 위치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과 최대로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 위치를 의미한다.
한편, 시험 위치라 함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분리 위치로 변경되거나,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접속 위치로 변경되는 과정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에서 상기 분리 위치와 접속 위치에 따른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의 a, b, c는 각각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분리, 시험, 접속 위치에 따른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상기 거더(300)는 전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바(310)와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리브(320)와 전면 중앙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핀들(330)과 상기 스핀들(3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위치 작동바(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럭(400)은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휠(410)과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에 의하여 작동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4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330)이 회전함에 따라,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0)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즉, 상기 스핀들(330)을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킴에 따라, 상기 트럭(400)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과의 간격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는 상기 트럭(400)의 이동 범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오목홈부(341)와 상기 오목홈부(341)의 일단 측에 형성되는 후단 경사부(342) 및 상기 오목홈부(341)와 상기 후단 경사부(342)를 제외한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평면부(3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20)는 제 1 내지 제 3마이크로 스위치(421, 422, 423)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 1마이크로 스위치(421)는 하측에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 1접촉레버(421a)를 포함하여 상기 거더(300) 측에 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마이크로 스위치(422)는 하측에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 2접촉레버(422a)를 포함하여 상기 제 1마이크로 스위치(421)의 후단 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마이크로 스위치(423)는 하측에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 3접촉레버(423a)를 포함하여 상기 제 트럭(400)의 후단 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상기 트럭(300)에 의하여 상기 크래들(100)의 단자(110) 측과 상기 차단기 본체(200)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와 같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의 분리 위치에서 상기 트럭(400)과 상기 거더(300)의 간격은 최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200)와 상기 크래들 단자(110)의 거리는 최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접촉레버(421a)는 상기 상부 평면부(343)에 접촉되며, 상기 제 2접촉레버(422a)와 상기 제 3접촉레버(423a)는 각각 상기 오목홈부(341)에 접촉된다.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의 시험 위치에서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거리가 이격됨에 따라, 제 1접촉레버(421a)와 상기 제 2접촉레버(422a)는 각각 상기 오목홈부(341)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 3접촉레버(423a)는 상기 후단 경사부(342)를 거쳐 상기 상부 평면부(343)에 접촉된다.
또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의 접속 위치에서 상기 트럭(400)과 상기 거더(300)의 간격은 최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200)는 상기 크래들 단자(11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접촉레버(421a)는 상기 오목홈부(341)에 접촉되며, 상기 제 2접촉레버(422a)는 상기 후단 경사부(342)를 거쳐 상기 상부 평면부(343)에 접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력기기는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가 상기 거더(30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트럭(400)과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트럭(400)에 고정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420)를 물리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력기기는 분리, 시험, 접속 위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지만 시험 위치 간에 상기 차단기 본체(200)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사이의 변경되는 거리는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연속적으로감지 및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 검출을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20)와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의 물리적 접촉이 연속적으로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2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결합부 측에 변형이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력기기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2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결합부 측에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동작 구간 전체에 걸쳐 선형적으로 감지 및 검출할 수 있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구성 간의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래들 단자가 형성되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 단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를 접속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이송장치인 거더와 트럭을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동작 구간 전체에 걸쳐 선형적으로 감지 및 검출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는 포지션 감지 영역부 및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에 대향되어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가 구비되어 상기 크래들의 내측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내측 면에 고정 결합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는 상기 트럭의 이동 방향으로 음영이 변화되는 포 포지션 스티커와 상기 트럭의 이동 방향으로 개수, 형상, 형성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포지션 돌기 및 상기 트럭의 이동 방향으로 일단이 하향 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지션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비접촉식 센서 또는 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비접촉식 센서와 접촉식 센서 각각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식 센서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측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롤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포지션 경사부에 접촉하여 상기 경사부에 높낮이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센서 모듈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에 적층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클리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동작 구간 전체에 걸쳐 선형적으로 감지 및 검출함으로써 차단기 본체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구성 간의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분리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접속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a, b, c는 각각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분리, 운전, 접속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차단기 본체를 크래들에 장착하기 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분리 위치에 따른 측단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운전 위치에 따른 측단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접속 위치에 따른 측단면이다.
도 9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포지션 감지 영역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종래의 전력기기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차단기 본체를 그래들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분리, 운전, 접속 위치에 따른 측단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외부 전원 또는 부하 측 전력선로를 연결하는 크래들 단자(110)가 형성되며 배전반에 고정되는 크래들(100)과 상기 크래들(100)의 단자 부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본체(200) 및 상기 차단기 본체(200)를 분리 또는 접속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이송장치인 거더(300)와 트럭(400)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기 본체(200)는 상기 트럭(400)에 고정되도록 적재되어 상기 트럭(400)이 이송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과의 간격이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차단기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와 상기 거더(300) 및 상기 트럭(4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 위치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과 최대로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 위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분리 위치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접속 위치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최대로 접근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위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접촉 위치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간격이 최대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운전 위치라 함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분리 위치로 변경되거나,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접속 위치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거더(300)는 전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바(310)와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리브(320)와 전면 중앙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핀들(33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바(310)는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을 상기 크래들(100)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때,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더(300)는 상기 지지리브(320)가 상기 크래들(100)의 양측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크래들(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핀들(330)은 일단이 상기 거더(300)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을 향하도록 상기 트럭(40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스핀들(300)이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핀들(330)의 회전은 상기 거더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구에 접속 기구를 체결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구동 모터 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측면에 형성되는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 및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에 대향되어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하는 비접촉식 센서(610)가 구비되어 상기 크래들(100)의 내측면 고정 결합되는 센서 모듈(600)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는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형성되는 단부가 상기 센서 모듈(600)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거더(300) 측에 형성되는 단부가 상기 센서 모듈(600)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측면에 상기 트럭(4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좌우 대칭되도록 2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600)은 상기 크래들(100)의 양 측면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포지션 감지 영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트럭(400)의 이동 범위에 따라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라데이션 스티커 등과 같이 위치에 따라 음영이 상이한 포지션 스티커(51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510)가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측면보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는 상기 포지션 스티커(5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깊게 형성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지션 스티커(510)가 상기 차단기 본체(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510)는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어둡고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밝아지도록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510)는 상기 거더(30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밝고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어두워지도록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510)는 상기 거더(300) 측과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밝게 형성되고 중앙부가 어두워지도록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510)는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510)는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트럭(400)의 이동 방향으로 면적이 다르게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는 도 9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포지션 경사부(520)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지션 경사부(520)는 상기 트럭(400)에 의하여 이동됨에 따라, 상기 포지션 경사부(520)의 상면과 상기 센서 모듈(600) 간의 거리가 변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지션 경사부(520)는 일단 측과 상기 크래들(100) 사이의 거리가 타단 측과 상기 크래들(100) 사이의 거리가 점점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지션 경사부(520)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측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경사부(520)의 상면에는 상기 포지션 스티커(510)가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는 도 9의 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포지션 돌기(5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지션 돌기(530)는 상기 센서 모듈(600)에 의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도록 상기 트럭(400)의 이동 방향으로 개수 또는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는 상기 포지션 돌기(530)와 상기 포지션 테이프(510)가 혼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비접촉식 센서(610)는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의 음영이나 거리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접촉식 센서(610)는 광센서로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10) 중 일정 역영의 음영이나 거리, 형상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분리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접속 위치로 이동하는 운전 위치에서도 상기 비접촉식 센서(610가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의 이동 거리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센서(610)가 광센서인 경우 다른 부품에 의한 음영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지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비접촉식 센서(610)는 상기 센서 모듈(600)에 함몰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동작 구간 전체에 걸쳐 선형적으로 감지 및 검출함으로써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600)은 접촉식 센서(6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촉식 센서(62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탄성부재 등에 의하여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식 센서(62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롤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식 센서(620)가 롤러 타입인 경우 상기 롤러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식 센서(620)는 상기 포지션 경사부(520)에 접촉되어 상기 포지션 경사부(520)의 높이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비접촉식 센서(610)와 상기 접촉식 센서(620)가 동시에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동작 구간 전체에 걸쳐 선형적으로 감지 및 검출함으로써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크래들 단자(110)가 3상(R, S, T)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 단자(110)간의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전력기기의 손상 및 전력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크래들 단자(110)가 3상인 경우 각 단자간의 접속 또는 분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가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양측 면에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600)이 상기 크래들(100) 양측 내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개의 센서 모듈(600) 각각에서 감지된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모니터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에 일정하게 접속 또는 분리되어 기기의 파손 및 전력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가 상기 크래들(100)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 모듈(600)이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 모듈(600)의 연결 배선과 제어, 점검 등을 위하여 상기 센서 모듈(6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100)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센서 모듈(600)에 구비된 센서가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한 광센서인 경우에는 설계 스펙에 따라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가 상기 크래들(100)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 모듈(600)이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센서 모듈(600)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500)에 적층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클리너(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너(700)는 브러시, 롤러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에 적층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먼지 또는 이물질로 인한 상기 센서 모듈(600)의 감지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너(700)는 상기 센서 모듈(60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너(7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인접하는 경우 아크 등에 의하여 상기 클리너(700)가 파손되거나 전기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클리너(700)는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과 최대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기기에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500)는 상기 크래들(100)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 모듈(600)은 차단기 본체(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크래들
110. 크래들 단자
200. 차단기 본체
300. 거더
310. 핸들바
320. 지지리브
330. 스핀들
340. 스위치 작동바
341. 오목홈부
342. 후단 경사부
343. 상부 평면부
400. 트럭
410. 휠
420. 마이크로 스위치
421. 제 1마이크로 스위치
421a. 제 1접촉레버
422. 제 2마이크로 스위치
422a. 제 2접촉레버
423. 제 3마이크로 스위치
423a. 제 3접촉레버
500. 포지션 감지 영역부
510. 포지션 스티커
520. 포지션 경사부
530. 포지션 돌기
600. 센서 모듈
610. 비접촉식 센서
620. 접촉식 센서
700. 클리너

Claims (6)

  1. 크래들 단자가 형성되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 단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를 접속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이송장치인 거더와 트럭을 포함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는 포지션 감지 영역부; 및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에 대향되어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크래들의 내측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내측 면에 고정 결합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는
    상기 트럭의 이동 방향으로 음영이 변화되는 포지션 스티커;
    상기 트럭의 이동 방향으로 개수, 형상, 형성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포지션 돌기; 및
    상기 트럭의 이동 방향으로 일단이 하향 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지션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비접촉식 센서 또는 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비접촉식 센서와 접촉식 센서 각각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센서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측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롤러 타입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경사부에 접촉하여 상기 경사부에 높낮이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에 적층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클리너를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KR1020200041146A 2020-04-03 2020-04-03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KR10237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146A KR102378389B1 (ko) 2020-04-03 2020-04-03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PCT/KR2021/003874 WO2021201538A1 (ko) 2020-04-03 2021-03-29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EP21780263.6A EP4131316A4 (en) 2020-04-03 2021-03-29 PERFORMANCE DEVICE FOR CONTINUOUS DETECTION OF ENTRY AND EXIT POSITIONS
JP2022558207A JP7458501B2 (ja) 2020-04-03 2021-03-29 引込み引出し位置を連続して検出するための電力機器
US17/916,715 US12009642B2 (en) 2020-04-03 2021-03-29 Power device for continuously detecting entry and exit positions
CN202180025435.XA CN115335946A (zh) 2020-04-03 2021-03-29 用于连续检测引入引出位置的电力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146A KR102378389B1 (ko) 2020-04-03 2020-04-03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686A true KR20210123686A (ko) 2021-10-14
KR102378389B1 KR102378389B1 (ko) 2022-03-24

Family

ID=7792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146A KR102378389B1 (ko) 2020-04-03 2020-04-03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31316A4 (ko)
JP (1) JP7458501B2 (ko)
KR (1) KR102378389B1 (ko)
CN (1) CN115335946A (ko)
WO (1) WO202120153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00Y1 (ko) * 2003-08-19 2004-01-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용 진공차단기 위치의 외부 표시장치
KR20110037793A (ko) * 2009-10-07 2011-04-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JP2014033590A (ja) * 2012-08-06 2014-02-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イッチギ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400B1 (ko) * 1997-12-27 2000-10-16 이종수 진공차단기용포지션스위치
KR101466030B1 (ko) * 2011-06-22 2014-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장치
KR200462421Y1 (ko) 2011-09-30 2012-09-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거더와 트럭 어셈블리
US9673595B2 (en) 2013-10-31 2017-06-06 Eaton Corporation Withdrawable contactor trucks with integral motorized levering-in, related switchgear, kits and methods
WO2017011536A1 (en) * 2015-07-13 2017-01-19 Abb Schweiz Ag Mechanical rack position indicator
CN107275970A (zh) 2017-07-12 2017-10-20 中科电力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万能式断路器
CN109861125A (zh) * 2019-04-01 2019-06-07 银川市立恒电气设备有限公司 本安型智能电气开关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00Y1 (ko) * 2003-08-19 2004-01-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용 진공차단기 위치의 외부 표시장치
KR20110037793A (ko) * 2009-10-07 2011-04-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JP2014033590A (ja) * 2012-08-06 2014-02-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イッチギ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1316A1 (en) 2023-02-08
JP7458501B2 (ja) 2024-03-29
WO2021201538A1 (ko) 2021-10-07
KR102378389B1 (ko) 2022-03-24
US20230144848A1 (en) 2023-05-11
CN115335946A (zh) 2022-11-11
JP2023519327A (ja) 2023-05-10
EP4131316A4 (en)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149B2 (en) Drawing apparatus for a drawer type electrical machinery
KR102378389B1 (ko)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CN209981039U (zh) 刀闸状态检测装置
US7705252B2 (en) Rotary control device
KR102423582B1 (ko)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KR102364757B1 (ko) 전력기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US12009642B2 (en) Power device for continuously detecting entry and exit positions
CN1169179C (zh) 具有先行辅助开关的开关设备单元
EP2315229A1 (en) Status detection for a low voltage distribution board
AU2005330931B2 (en) A device for a remote monitoring the state of at least a single-pole surge protection
CN102484018B (zh) 用于检测电磁开关装置的开关状态的附加模块
KR10195995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
US7061744B2 (en) Electrostatic breakdown preven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apparatus
CN113237414B (zh) 一种显示模组、电子设备及对位精度的检测方法
CN209266319U (zh) 一种簧片式真空触点机构
CN216485401U (zh) 一种模块化结构断路器用分合位置检测结构
KR100844558B1 (ko) 차량용 도어 열림 감지장치
KR20240011024A (ko) 분리형 엔코더
WO2021120168A1 (en) Imaging system for electrical apparatus
RU1786524C (ru) Клавиш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JPH0378427A (ja) ガス絶縁式電気設備
JP2003022717A (ja) 通信ケーブル
JP2014106197A (ja) 電流センサ保持構造
JPH0662708U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9990027796U (ko) 반도체 웨이퍼 이송용 트위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