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106A -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106A
KR20210123106A KR1020200040423A KR20200040423A KR20210123106A KR 20210123106 A KR20210123106 A KR 20210123106A KR 1020200040423 A KR1020200040423 A KR 1020200040423A KR 20200040423 A KR20200040423 A KR 20200040423A KR 20210123106 A KR20210123106 A KR 20210123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usage
water meter
water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132B1 (ko
Inventor
김동홍
김성한
이승희
오로라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20004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1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 수용가마다 복수의 기본분석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이 있는 수용가를 검출하는 기본분석단계, 상기 기본분석단계를 수행한 결과에 따라 필요한 점검사항을 제공하는 알림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본분석은 검정기간초과분석, 미사용분석,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최대지침초과분석, 총사용량분석, 검침값분석을 포함하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을 제공하여, 수용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일괄적으로 분석하여, 유수율을 하락시키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과 관련된 요소들을 파악하고 알맞은 현장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명목손실량을 관리하여 유수율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apparent losses by analyzing water meter and customer wat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수율은 물의 공급량 대비 각 수용가에서 사용한 물의 사용량의 비율이다. 공급량은 각 수용가에서 사용한 물의 사용량과 누수량의 합이다. 수용가에서 사용한 물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수도요금이 부과되므로, 유수율의 정확한 산정과 집계는 상수도 관리의 중요한 요소이다. 유수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누수량 저감 뿐만 아니라, 사용량 증대도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사용량의 집계시 현실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명목손실이 발생한다. 명목손실은 실제 사용되었지만 수도미터 검침시 반영되지 않은 수량이다. 예를 들어, 수도미터의 노후화 또는 고장에 의한 오류, 수도미터 관리자의 임의적 인정검침에 관한 오류, 수도미터 구경 부적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사용량 집계 오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명목손실량을 고려하지 않고, 누수량을 저감하기 위한 시설개량만으로는 유수율을 제고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수용가에 관련된 정보량이 방대하고 사용량 집계의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분석할 일관된 분석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다.
KR 10-1731215 B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수용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일괄적으로 분석하여, 유수율을 하락시키는 요소들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알맞은 현장조치를 수행하여 명목손실량을 관리하고 유수율을 제고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상수도 자원의 명목손실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유형의 원인을 검출하고, 다양한 원인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필요한 현장조치에 대한 정보를 수도사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은, 수용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 수용가마다 복수의 기본분석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이 있는 수용가를 검출하는 기본분석단계, 상기 기본분석단계를 수행한 결과에 따라 필요한 점검사항을 제공하는 알림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기본분석은 검정기간초과분석, 미사용분석,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최대지침초과분석, 총사용량분석, 검침값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은, 상기 기본분석단계 이후에, 상기 기본분석단계를 수행한 결과 획득한 상기 분석들 각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필요한 점검사항을 결정하는 종합분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정기간초과분석은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설치년도부터 현재까지의 사용기간을 산출하고, 수도미터의 구경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수도미터의 기준 검정기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사용분석은 최근부터 정해진 분석기간동안 수용가의 물 사용량이 0이거나,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정구경분석은 수용가의 물 사용량과,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소 사용량 및 최대 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물 사용량에 비하여 수도미터의 구경이 적정한지, 과대한지, 과소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량편차분석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에 기초하여,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허용범위분석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월별 사용량이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결정된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개월 수를 산출하고,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개월의 개수가 기준 개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량반복분석은 수용가의 월별 검침량 중에서 0으로 검침된 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값들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정해진 수 이상의 다양한 값이 나타나지 않는지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분석은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의 추세를 기울기로 분석하여, 정해진 기준 기울기 이하로 하향하는 추세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최대지침초과분석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더한 총사용량과 수도미터의 구경에 따라 정해지는 최대지침값을 비교하여, 총사용량이 최대지침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총사용량분석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더한 총사용량과 현재 수도미터의 지침값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차이가 기준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침값분석은 수용가의 사용량과 검침량의 차이를 월 단위로 판단하여 차이가 존재하는 개월 수가 정해진 기준 개월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종합분석단계는 상기 수용가에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검침값분석을 수행한 결과, 어느 하나의 분석이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밀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정밀분석판단단계,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기물번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사용분석, 최대지침초과분석, 총사용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어느 하나의 분석이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장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현장조사판단단계, 및 상기 검정기간초과분석을 수행한 결과,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도미터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교체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사항은 상기 종합분석단계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기본분석들 각각의 결과, 및 상기 정밀분석, 현장조사, 또는 교체를 수행하기 위한 매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일괄적으로 분석하여, 유수율을 하락시키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과 관련된 요소들을 파악하고 알맞은 현장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명목손실량을 관리하여 유수율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수도 자원의 명목손실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유형의 원인을 검출하고, 다양한 원인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필요한 현장조치에 대한 정보를 수도사업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수도사업자가 상수도 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명목손실량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물번호확인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검정유효기간 초과분석(이하, 검정기간초과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미사용분석(이하, 미사용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적정구경분석(이하, 적정구경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사용량편차분석(이하, 사용량편차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사용량 허용범위분석(이하, 허용범위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사용량반복분석(이하, 사용량반복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사용량 기울기분석(이하, 기울기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최대지침초과분석(이하, 최대지침초과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총사용량 차이분석(이하, 총사용량차이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검침값분석(이하, 검침값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분석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타분석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명목손실량 관리장치(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장치(10)는,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 분석부(13), 알림제공부(14)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수집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명목손실량 관리장치(10)는, 통신부(15), 입출력부(16), 저장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에는 수용가에 배정되는 수용가번호, 주소, 성명, 업종, 구경, 가구수, 공급상태, 기물번호, 설치일, 명의변경일, 등의 수용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수용가번호는 수용가를 구분하기 위하여 수용가마다 부여되는 일련번호이다. 주소는 수용가의 주소이다. 성명은 수용가에서 상수도를 이용하여 수도요금 고지서가 발행되는 사람의 이름이다. 업종은 수용가의 종류를 말한다. 업종은 가정, 학교, 공공시설, 공장, 공단 등의 시설에 관한 분류에 관련된 정보이다. 가구수는 수용가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의 수를 나타낸다. 공급상태는 수용가에서 상수도를 공급받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공급상태는 수용가에서 상수도를 이용하는 경우 '개전'으로 기록될 수 있고, 수용가에서 상수도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폐전'으로 기록될 수 있다. 기물번호는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일련번호이다. 기물번호의 앞 두자리는 수도미터의 생산년도 4자리(2017) 중의 뒤 두자리(17)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도미터가 수용가에 설치된 년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물번호의 앞 두자리를 수도미터가 수용가에 설치된 년도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설치일은 수용가에 수도미터를 설치한 날짜이다. 명의변경일은 수용가에 거주하여 수도요금 고지서가 발행되는 사람의 명의가 다른 사람으로 변경된 날짜이다.
분석부(13)는 기본분석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분석부(13)는 기본분석단계(S30)를 수행하여 수용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 수용가마다 복수의 기본분석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이 있는 수용가를 검출할 수 있다. 분석부(13)는 복수의 기본분석을 수행한 결과, 어떤 수용가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분석부(13)는 종합분석단계(S32)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분석부(13)는 기본분석단계(S30)를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수용가에 하나 또는 복수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점검사항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분석부(13)는 기타분석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분석부(13)는 기타분석단계의 각 분석을 수행하거나 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알림제공부(14)는 알림제공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알림제공부(14)는 알림제공단계(S40)를 수행하여 필요한 점검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제공부(14)는 분석부(13)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수용가 정보, 수용가에 발생한 문제점, 필요한 점검사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제공부(14)는 통신부(15), 입출력부(16)를 통해 관리자 또는 점검자에게 점검사항을 제공하고, 점검사항을 제공한 내역을 저장부(17)에 기록할 수 있다. 점검사항은 상기 종합분석단계(S32)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기본분석들 각각의 결과, 및 정밀분석, 현장조사, 또는 교체를 수행하기 위한 매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분석단계(S32)에서 적정구경분석과 검침값분석이 모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정밀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이때 알림제공부(14)가 제공할 수 있는 점검사항으로는 종합분석단계(S32)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기본분석인 적정구경분석과 검침값분석 각각의 결과를 포함하고, 정밀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매뉴얼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는 명목손실량 관리장치(10)가 관리자의 단말, 요금관리시스템, 스마트 수도미터 등의 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입출력부(16)는 관리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장치와 관리자에게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는 명목손실량 관리장치(10)가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코드, 점검사항 알림시 함께 제공하는 매뉴얼, 분석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는 요금관리시스템, 검침원 단말, 스마트 수도미터 등으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정리하여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에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는 기존에 수집되어 저장된 수용가 정보를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데이터 형식으로 재정리하여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에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는 정기적으로 수집되는 정보를 정리하여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를 업데이트한다.
분석부(13), 알림제공부(14)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로 작성되어 프로세서(processor)에서 실행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석부(13), 알림제공부(14)는 각각 독립된 장치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되거나, 하나의 장치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은, 수용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 수용가마다 복수의 기본분석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이 있는 수용가를 검출하는 기본분석단계(S30), 기본분석단계(S30)를 수행한 결과에 따라 필요한 점검사항을 제공하는 알림제공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분석단계(S30)는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기본분석은 검정기간초과분석(P1), 미사용분석(P2), 적정구경분석(P3), 사용량편차분석(P4), 허용범위분석(P5), 사용량반복분석(P6), 기울기분석(P7), 최대지침초과분석(P8), 총사용량분석(P9), 검침값분석(P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분석단계(S30)는 기물번호확인(P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은, 기본분석단계(S30) 전에, 기초자료 수집단계(S10) 및 데이터 입력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초자료 수집단계(S10)는 데이터 수집부(11)가 스마트 수도미터에서 자동으로 집계되는 각종 수치값들, 전산 시스템을 통하여 입력되는 검침원이 입력하는 데이터들, 기타 수도미터 및 사용량에 관련된 데이터들, 및 관리자가 입력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입력받는 과정이다. 데이터 입력단계(S20)는 기초자료 수집단계(S10)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을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기 위해 알맞은 양식으로 정리하고 저장하는 과정이다. 기초자료 수집단계(S10) 및 데이터 입력단계(S20)는 알려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기본분석단계(S30)는 수용가에 명목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기본분석단계(S30)는 각 수용가마다 수행될 수 있다. 기본분석들은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미터, 수도미터에 표시되는 수치를 검침하는 과정 등에서 명목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요소들을 점검한다. 기본분석단계(S30)는 명목손실량 관리장치(10)의 분석부(13)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본분석단계(S30)에서 수행하는 기본분석들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3에서 분석결과는 점선 사각형으로 도시하고, 조치는 이중선 사각형으로 도시하였다.
0. 기물번호확인(P0)
기물번호는 해당 수용가의 수도미터를 판별하는 일련번호이므로 수도미터가 설치되어 있다면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정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물번호확인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물번호확인(P0)은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의 수용가 정보의 기물번호 항목에 기물번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기물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N), 분석결과를 '누락'으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기물번호가 없는 경우 실제 수도미터가 존재하는지, 기물번호가 무엇인지, 실제 존재하는 수용가인지 등의 조사를 현실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 '현장조사'는 수도미터가 설치된 수용가에 관리자가 현실로 방문하여 수도미터를 확인(수용가 존재여부, 수도미터의 존재여부, 기물번호 확인 등)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기물번호가 존재하는 경우(Y)에는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1. 검정기간초과분석(P1)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미터는 구경에 따라 법률에서 정해진 검정/재검정 유효기간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검정/재검정 유효기간을 기준 검정 기간이라고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구경이 50mm를 초과하는 수도미터는 기준 검정 기간이 6년이고, 그 밖의 수도미터(구경이 50mm 이하)는 8년으로 정해져 있다. 기준 검정 기간을 초과하는 수도미터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만일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명목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점검이 필요하다.
검정기간초과분석(P1)은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설치년도부터 현재까지의 사용기간을 산출하고, 수도미터의 구경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수도미터의 기준 검정기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정기간초과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정기간초과분석(P1)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1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분석 미수행'은 해당 수용가에 대한 해당 분석을 더이상 수행하지 않는 것이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기물번호 유무판단(P12)을 수행한다. 기물번호 유무판단(P12)은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의 수용가 정보의 기물번호 항목에 기물번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기물번호의 앞 두자리 숫자는 수도미터가 설치된 년도에 따라 배정되므로 기물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N)에는 수도미터의 사용기간을 판단할 수 없어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다만 기물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실제 수도미터가 존재하는지, 기물번호가 무엇인지, 실제 존재하는 수용가인지 등의 조사를 현실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현장조사'는 수도미터가 설치된 수용가에 관리자가 현실로 방문하여 수도미터를 확인(수용가 존재여부, 수도미터의 존재여부, 기물번호 확인 등)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기물번호가 존재하는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수도미터 사용기간을 추출한다(P13). 수도미터 사용기간은 수도미터가 설치된 년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이다. 수도미터가 설치된 년도는 기물번호의 앞 두자리 숫자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도미터의 구경별 기준 검정 기간을 획득한다(P14). 분석대상 수도미터의 구경은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수용가 정보에서 획득할 수 있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도미터의 구경별 기준 검정/재검정 유효기간에서 해당 수용가의 수도미터의 구경에 따라 기준 검정 기간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수도미터의 사용기간이 기준 검정 기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P15). 수도미터의 사용기간이 기준 검정 기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N)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한다. '이상없음'은 분석을 진행한 결과 문제가 없음을 나타낸다. 수도미터의 사용기간이 기준 검정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Y) 분석결과를 '초과'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교체'로 처리할 수 있다. 수도미터의 사용기간이 기준 검정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수도미터가 노후화되거나 고장이 발생하여 정확한 물 사용량을 측정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도미터의 기능을 확인하거나 교체나 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수도미터의 기능을 확인하는 재검정 비용보다 수도미터 교체비용이 저렴하고, 업무 편의상 재검정 유효기간을 기준으로 수도미터를 교체하기 때문에 필요한 조치가 '교체'가 될 수 있다. '교체'는 수도미터를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하여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수용가 정보 P13 P14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구경(mm) 기물번호 수도미터
사용기간
(년)
구경별
기준 검정 기간
(년)
분석결과 조치
1 1010001600 개전 75 08-000310 11 6 초과 교체
2 1010000300 개전 13 16-012826 3 8 이상없음  
3 1010000400 폐전 13 16-012445 3 8 분석 미수행  
4 1010000600 개전 20 12-001109 7 8 이상없음  
5 1010000800 개전 13     8 분석 미수행 조사
6 1010000900 개전 75 12-019693 7 6 초과 교체
7 1010001000 개전 40 05-000007 14 8 초과 교체
8 1010001100 개전 13 16-012835 3 8 이상없음  
9 1010001200 개전 13 15-012890 4 8 이상없음  
표 1을 참조하여, 검정기간초과분석의 예시를 설명한다. 일련번호 1의 경우, 공급상태는 개전이고 기물번호도 존재하므로 수도미터 사용기간과 기준 검정 기간을 추출하는 과정(P13, P14)을 수행한다. 기물번호의 앞 2자리가 08이므로, 현재(2019년)까지 수도미터를 11년 사용하였고, 구경이 75mm이므로 50mm를 초과하여 기준 검정 기간은 6년이다. 수도미터 사용기간이 기준 검정 기간을 초과하므로 분석결과가 '초과'로 처리되고 조치가 '교체'로 처리될 수 있다. 일련번호 3은 공급상태가 폐전이므로 분석결과가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되며, 일련번호 5는 공급상태는 '개전'이지만 기물번호가 존재하지 않아서 분석결과가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되고 조치가 '현장조사'로 처리될 수 있다.
2. 미사용분석(P2)
사람이 수용가에 거주하면 생활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의 최소량이 존재한다. 최소 물 사용량은 결정기준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1개월 기준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이 '5톤'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1명만 거주하는 수용가라도 월별 물 사용량이 '5톤'이상으로 집계되는 것이 정상이다. 만약 수용가의 월별 물 사용량이 '5톤'미만인 경우 물 사용량이 정상적으로 측정되지 않는 등의 명목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사용분석(P2)은 최근부터 정해진 기간동안 수용가의 물 사용량이 0이거나,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사용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사용분석(P2)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2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정해진 분석기간동안 물 사용량을 추출한다(P22). 물 사용량은 최근부터 과거로 정해진 분석기간동안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6개월간의 물 사용량을 추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 분석기간은 6개월로 정해진 것이 아니고, 필요한 개월수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해진 분석기간동안의 물 사용량이 0인지 판단한다(P23). 물 사용량이 0이라면(Y) 분석결과를 '이상있음'으로 처리한다. 그리고 수용가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존재하는지 또는 물 사용량 측정에 오류가 있는지 등에 관한 조사가 필요하므로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물 사용량이 0이 아니라면(N)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정해진 분석기간동안의 물 사용량이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 미만인지 판단한다(P24). 수용가의 물 사용량이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 미만인 경우(Y) 분석결과를 '이상있음'으로 처리한다. 그리고 수용가에 사람이 거주하는 경우라면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 이상의 물을 사용하여야 정상이므로,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한다.
정해진 분석기간동안의 물 사용량이 0이 아니고,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 이상인 경우(N)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은 '5톤'으로 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은 '5톤'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고, 조정할 수 있다.
'현장조사'는 관리자가 해당 수용가에 방문하여 물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존재하는지 여부, 수도미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 등을 점검하는 것이다. 수용가의 물 사용량이 0이거나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 미만인 원인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가에서 지하수를 사용하거나, 장기간 해외출장이나 여행 등의 원인으로 수용가를 비우거나(공가), 사업장이 영업정지 상태이거나 등의 원인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은 사람이 확인하고 알맞은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상수도
사용기간
(년)
최근6개월
사용량(톤)
최근6개월
월최대사용량
(톤)
분석결과 조치
1 1010002200 개전 11 37 7 이상없음  
2 1010002300 폐전 0 0 0 분석 미수행  
3 1010002700 개전 3 25 5 5톤이하 현장조사
4 1010002900 개전 8 111 26 이상없음  
5 1010003200 개전 3 0 0 미사용 현장조사
6 1010003400 개전 1 44 8 이상없음
표 2에서, 일련번호 1의 경우 공급상태가 '개전'이므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기간(최근 6개월) 동안의 물 사용량을 추출하고(P22), 최근 6개월의 월 최대 사용량이 7톤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물을 사용하고 있고,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보다 많은 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할수 있다. 일련번호 2의 경우 공급상태가 '폐전'이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하고, 일련번호 3의 경우 최근 6개월 사용량이 25톤이고 월 최대사용량이 5톤으로,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 미만의 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분석결과를 '5톤이하'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일련번호 5의 경우 사용량이 0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분석결과를 '미사용'으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일련번호 6의 경우 일련번호 1과 동일한 판단과정을 거쳐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3. 적정구경분석(P3)
수도미터는 구경에 따라 물 사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때 물 사용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수도미터의 구경에 따른 최소 사용량과 최대 사용량 범위 내에 수용가의 물 사용량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수도미터가 물 사용량을 정확히 측정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지만, 수도미터의 최소 사용량보다 수용가의 물 사용량이 적거나, 수도미터의 최대 사용량보다 수용가의 물 사용량이 많은 경우에는 수도미터가 물 사용량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적정구경분석(P3)은 수용가의 물 사용량과,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소 사용량 및 최대 사용량을 비교하여, 수용가의 사용량에 비하여 수도미터의 구경이 적정한지, 과대한지, 과소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정구경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구경분석(P3)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3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수용가의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32). 수용가의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이 '0'이면(Y)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한다. 물 사용량이 없으면 적정 구경을 판단하는 것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수용가의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이 '0'이 아니면(N)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수용가의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을 추출한다(P33). 현재부터 과거로 1년동안의 수용가의 월별 물 사용량을 평균하여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구경에 따라 정해져 있는 최소 사용량 및 최대 사용량을 획득한다. 수도미터의 구경에 따라 정해져 있는 최소 사용량 및 최대 사용량은 정해져 있는 값으로서 저장부(17) 또는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사용하는 13mm 구경의 수도미터의 최소 사용량은 20㎥/월 이고, 최대 사용량은 550㎥/월이다.
다음으로, 수용가의 1년 월평균 물 사용량과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소 사용량 및 최대 사용량을 비교한다(P34). 수용가의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이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소 사용량 미만인 경우(Y), 수용가의 물 사용량에 비해 수도미터의 구경이 큰 것이므로 분석결과를 '과대'로 처리할 수 있다. 수용가의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이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소 사용량 이상이고 최대 사용량 이하인 경우(P35의 Y), 수용가의 물 사용량에 비해 수도미터의 구경이 알맞은 것이므로 분석결과를 '적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수용가의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이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대 사용량 초과인 경우(P36의 Y), 수용가의 물 사용량에 비해 수도미터의 구경이 작은 것이므로 분석결과를 '과소'로 판단할 수 있다.
수도미터의 구경이 '과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세한 물의 흐름을 수도미터가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서 명목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수도미터의 구경이 '과소'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많이 흐르는 물을 수도미터가 더 적게 측정할 가능성이 있어서 명목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과대'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정밀분석을 거쳐 구경이 더 작은 수도미터로 교체할 필요가 있고, '과소'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정밀분석을 거쳐 구경이 더 큰 수도미터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수도미터 구경 13㎜ 20㎜ 25㎜ 32㎜ 40㎜ 50㎜ 75㎜ 100㎜ 150㎜
최소사용량(㎥/월) 20 80 125 200 325 500 1,250 2,000 4,500
최대사용량(㎥/월) 550 1,250 2,000 3,500 5,000 8,000 10,000 10,000 10,000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구경(mm) 최근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월)
분석결과 조치
1 1010007000 개전 13 15 과대 정밀분석
교체
2 1010000300 개전 13 30 적정
3 1010000400 개전 13 31 적정
4 1010000600 개전 20 60 과대 정밀분석
교체
5 1010000800 개전 13 560 과소 정밀분석
교체
6 1010000900 개전 13 8 과대 정밀분석
교체
7 1010001000 개전 40 540 적정
표 4의 일련번호 4의 경우 구경이 20mm이므로 표 3을 참조할 때 최소사용량이 80(㎥/월)인데, 최근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이 60(㎥/월)이므로, 수도미터의 구경이 과대한 것이므로 분석결과를 '과대'로 처리하고, 조치를 '정밀분석' 후 '교체'로 처리할 수 있다. 일련번호 4의 수도미터를 구경 13mm로 교체하면 13mm 구경의 최소사용량과 최대사용량의 범위(20~550㎥/월)에 최근 1년 월평균 물 사용량 60(㎥/월)이 포함되므로 명목손실 없이 물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표 4의 일련번호 5의 경우 구경이 13mm이므로 표 3을 참조할 때 최대사용량이 550(㎥/월)인데, 최근 1년 월평균 물 사용량이 560(㎥/월)이므로, 수도미터의 구경이 과소한 것이므로 분석결과를 '과소'로 처리하고, 조치를 '정밀분석' 후 '교체'로 처리할 수 있다. 일련번호 5의 수도미터를 구경 20mm로 교체하면 20mm 구경의 최소사용량과 최대사용량의 범위(80~1,250㎥/월)에 최근 1년 월평균 물 사용량 560(㎥/월)이 포함되므로 명목손실 없이 물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4. 사용량편차분석(P4)
수용가의 물 사용량은 수용가 건물이나 업종이 변경되지 않는 이상 일반적으로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용가 건물이 일반 가정집이었다가 식당으로 변경되는 등의 변경이 아니라면 10년 정도의 긴 기간의 물 사용량을 검토하면 평균 근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수용가의 자체 원인으로 사용량이 불규칙할 수 있으나, 평균 사용량에서 벗어나는 값이 많이 있을수록 관리자의 검침 오류가 있거나 수도미터 고장일 수 있으므로 점검이 필요하다.
사용량편차분석(P4)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에 기초하여,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량편차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량편차분석(P4)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4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분석기간을 결정한다(P42). 분석기간은 최근 10년으로 할 수 있다. 분석기간은 변경 가능하며, 수용가의 수도미터가 교체되거나 명의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분석기간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분석기간 내의 월별 사용량을 이용하여 월별 사용량 평균(μ)과 표준편차(σ)를 산출하고,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μ±2σ)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43).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경우(N)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한다. 월별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월별 사용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미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것이며, 두 경우 모두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판단된다(Y).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이탈하는 개월이 있으면 해당 달을 기록(P44)하고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이탈하는 개월 수가 기준 개수(예를 들어 12개)보다 많은지 여부를 판단한다(P45). 즉,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이탈하는 개월 수가 12개 이상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이탈하는 개월 수가 기준 개수보다 많은 경우 분석결과를 '편차과대'로 처리할 수 있고,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이탈하는 개월 수가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 분석결과를 '판단보류'로 처리할 수 있다.
'편차과대'로 판단된 수용가는 필요한 조치가 '정밀분석'으로 처리되고, 정밀분석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가 '현장조사'로 처리될 수 있다. '정밀분석'은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이탈하는 달이 발생한 원인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여부 등을 관리자가 수용가의 사용량 트렌드를 직접 확인하는 절차이고, '현장조사'는 관리자가 수용가를 방문하여 사용량의 편차가 큰 이유를 확인하는 절차이다. '판단보류'는 당장 '정밀분석'이나 '현장조사'를 수행할 필요는 없으나 잠재적으로 점검이 필요한 수용가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분석기간
(개월)
편차분석 초과횟수 분석결과 조치
평균 평균+2σ 평균-2σ
1 1010008900 개전 78 11 22.80 - 0.39 3 판단보류
2 1010000300 개전 42 28 37.17 19.74 0 이상없음
3 1010000400 개전 44 29 40.18 17.11 7 판단보류
4 1010000800 개전 42 30 41.80 17.48 0 이상없음
5 1010000900 개전 90 8 20.09 - 3.40 2 판단보류
6 1010005700 개전 126 9 17.42 1.35 13 편차과대 정밀분석
(현장조사)
도 7에서, 일련번호 1은 공급상태가 '개전'이므로 분석기간을 결정하면(P42), 총 78개월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대상으로 사용량편차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78개월동안의 월별 사용량에 기초하여 평균과 편차를 구하고 각각의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μ±2σ)를 벗어나는 달이 있는지 판단하고(P43), 총 3개월의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분석결과를 '판단보류'로 처리할 수 있다. 일련번호 6은 총 126개월의 분석기간동안 사용량편차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13개 달의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분석결과를 '편차과대'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정밀분석' 결과 현장조사가 필요한 경우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5. 허용범위분석(P5)
허용범위분석(P5)은 수용가의 사용량이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를 인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용가의 명의변경에 의해 물 사용량이 변동할 수 있고, 수용가의 옥내에 누수가 발생하거나, 수도 배관에 바이패스 관을 연결하여 수도미터를 거치지 않고 물을 사용하는 경우(도수(盜水)), 검침원의 검침오류 등 다양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량이 급격히 변동하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밀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변동의 원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허용범위분석(P5)은 분석기간 동안의 월별 사용량에서 사용량이 높은 정해진 개수만큼의 월별 사용량을 제외하고, 사용량이 낮은 정해진 개수만큼의 월별 사용량을 제외하여 일반적인 사용량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신뢰구간을 정하고, 신뢰구간에서 정해진 배율만큼 확장된 허용범위를 결정한 다음,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월별 사용량의 개수를 집계하여 그 개수가 기준보다 많은지 판단한다. 허용범위 상한값을 초과하는 월별 사용량을 기록하는 개월수를 집계하고, 허용범위 하한값 미만인 월별 사용량을 기록하는 개월수를 집계하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 이상이 있는 수용가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용범위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용범위분석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5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분석기간을 결정한다(P52). 분석기간은 최근 10년으로 할 수 있다. 분석기간은 변경 가능하며, 수용가의 수도미터가 교체되거나 명의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분석기간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신뢰구간 및 허용범위를 산출한다(P53). 분석기간 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값이 큰 순서대로 나열하고, 전체 분석기간의 개월수(예를 들어 100개월)에서 정해진 비율(예를 들어 10%) 만큼의 개월수(예를 들어 100개월의 10%인 10개월) 에 해당하는 월별 사용량을 값이 큰 순서대로 제외하고, 남아있는 월별 사용량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상한검침값으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분석기간의 개월수(예를 들어 100개월)에서 정해진 비율(예를 들어 10%) 만큼의 개월수(예를 들어 100개월의 10%인 10개월) 에 해당하는 월별 사용량을 값이 작은 순서대로 제외하고, 남아있는 월별 사용량들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하한검침값으로 정할 수 있다. 상한검침값과 하한검침값 사이의 영역을 신뢰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한검침값에서 하한검침값을 차감하여 신뢰구간값을 구할 수 있다. 신뢰구간값에 정해진 상한배율(예를 들어 0 부터 1 사이의 값)을 곱하고 상한검침값을 더하여 허용범위 상한값으로 정하고, 신뢰구간값에 정해진 하한배율(예를 들어 0 부터 1 사이의 값)을 곱한 값을 하한검침값에서 차감한 값이 0보다 크면 그 값을 허용범위 하한값으로 정하고 0보다 작으면 0을 허용범위 하한값으로 정한다. 상한배율과 하한배율은 동일한 값이거나 다른 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월별 사용량과 허용범위 상한값과 하한값을 비교한다(P54-1, P54-2). 분석기간에서 각각의 월별 사용량과 허용범위 상한값을 비교하여(P54-1) 월별 사용량이 허용범위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는 개월 수를 기록한다(P55-1). 분석기간에서 각각의 월별 사용량과 허용범위 하한값을 비교하여(P54-2) 월별 사용량이 허용범위 하한값에 미달인 경우 미달하는 개월 수를 기록한다(P55-2).
다음으로, 월별 사용량과 허용범위 상한값을 비교하여 초과한 개월수와 정해진 횟수를 비교한다(P56-1). 월별 사용량이 허용범위 상한값을 초과하는 초과 개월 수가 정해진 횟수보다 많은 경우(Y) 분석결과를 '초과'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하고, 정밀분석 결과 현장조사가 필요한 경우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월별 사용량과 허용범위 하한값을 비교하여 미달한 개월수와 정해진 횟수를 비교한다(P56-2). 월별 사용량이 허용범위 하한값을 미달하는 미달 개월 수가 정해진 횟수보다 많은 경우(Y) 분석결과를 '미달'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하고, 정밀분석 결과 현장조사가 필요한 경우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초과 개월 수 또는 미달 개월 수가 정해진 횟수보다 적은 경우(N) 분석결과를 '판단보류'로 처리할 수 있다. 정해진 횟수는 관리자가 결정할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정해진 횟수는 6회 일 수 있다.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분석기간 신뢰범위 허용범위 이상 검침값 개수 분석결과 조치
상한검침값 하한검침값 상한값 하한값 초과 개월 수 미달 개월 수
1 1010001000 개전 126 338 59 617 0 8 0 초과 정밀분석
(현장조사)
2 1010000300 개전 42 33 24 42 15 0 0 이상없음
3 1010000400 개전 42 39 24 54 9 0 2 판단보류
4 1010000600 개전 102 0 0 0 0 0 0 이상없음
5 1010000800 개전 42 37 23 51 9 0 7 미달 정밀분석
(현장조사)
6 1010000900 개전 90 15 0 30 0 0 0 이상없음
7 1010001000 개전 126 636 367 905 98 3 0 판단보류
표 6에서, 일련번호 1은 공급상태가 '개전'이므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분석기간을 결정한 결과(P52) 분석기간이 126개월이고, 126개월 동안의 각각의 월별 사용량에 기초하여 신뢰범위를 산출하고 허용범위를 산출한 결과(P53) 신뢰범위의 상한검침값, 하한검침값, 허용범위 상한값, 하한값이 표 6에서와 같이 산출되었으며, 분석기간에서 각각의 월별 사용량과 허용범위를 비교하고(P54-1, P54-2)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개월 수를 기록(P55-1, P55-2)한 결과 초과 개월 수가 8개로서 정해진 횟수(6회)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분석결과는 '초과'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할 수 있고, 정밀분석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일련번호 3의 경우 미달 개월 수가 2회로 분석되어 분석결과를 '판단보류'로 처리되었고, 일련번호 5의 경우 미달 개월 수가 7회로 분석되어 분석결과를 '미달'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할 수 있고, 정밀분석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표 6의 예시에서와 같이, '초과' 또는 '미달' 로 분석결과가 처리되어서 '정밀분석'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는 분석기간동안의 검침값의 트렌드를 분석하여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한 것인지 아니면 검침 과정에 문제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보다는 미달하는 경우가 명목손실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초과 개월 수와 미달 개월 수가 모두 정해진 횟수보다 높은 경우 미달의 원인을 우선적으로 정밀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밀분석 결과 현장을 조사하여 원인 분석이나 조치가 필요한 경우,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6. 사용량반복분석(P6)
검침원이 수도미터에 기록된 수치를 확인하고 요금관리시스템에 월별 사용량을 입력하는 과정을 검침이라 한다.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검침원이 실제 수도미터를 확인하지 않고 임의로 월별 사용량을 기재하는 인정검침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인정검침이 수행되는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을 분석하면 반복되는 값이 존재하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러한 현상은 검침원의 편의상 반복되는 값으로 월별 사용량을 입력하기 때문이므로,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들을 전체적으로 검토하여 반복되는 값이 존재하면 검침원이 인정검침을 수행하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인정검침을 하는 경우 실제 수용가의 물 사용량과 요금관리시스템에 입력되는 월별 사용량에 차이가 발생하는 명목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인정검침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사용량반복분석(P6)은 수용가의 월별 검침량 중에서 0으로 검침된 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값들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정해진 수 이상의 다양한 값이 나타나지 않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량반복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량반복분석(P6)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6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분석기간을 결정한다(P62). 분석기간은 최근 10년으로 할 수 있다. 분석기간은 변경 가능하며, 수용가의 수도미터가 교체되거나 명의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분석기간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유효검침값 중 중복값을 제외한 검침량개수와 기준개수를 비교한다(P63). 유효검침값은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 중에서 0이 아닌 값이다. 월별 사용량이 0인 달은 사용량이 없는 것이므로 인정검침 판단에서 제외한다. 검침량개수는 유효검침값들 중에서 중복되는 값들을 제외한 개수이다. 실제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은 매달 차이가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월별 사용량의 값이 동일한 중복값이 존재하는 이유는 검침원이 인정검침을 하는 과정에서 편의상 동일한 월별 사용량을 입력하기 때문이다. 기준개수는 관리자가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개로 정할 수 있다. 인정검침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면 적어도 11개 이상의 다양한 월별 사용량 값이 기록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기준개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검침원이 인정검침시 자주 이용하는 월별 사용량 값의 개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검침원이 인정검침시 하나의 월별 사용량만 반복 입력할 수도 있으나, 3~4개의 월별 사용량을 순차적으로 반복 입력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효검침값 중 중복값을 제외한 검침량개수가 기준개수보다 작은 경우 분석기간동안 인정검침이 수행되어 온 것으로 판단하여 분석결과를 '인정검침'으로 처리할 수 있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하고, 정밀분석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유효검침값 중 중복값을 제외한 검침량개수가 기준개수보다 많은 경우 검침원의 실제 검침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인정검침'으로 판단된 수용가는 '정밀분석' 후 '현장조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정밀분석'은 관리자가 수용가의 사용량 트렌드를 직접 확인하여 반복되는 월별 사용량 값이 패턴을 형성하는지 확인하여 인정검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이고, '현장조사'는 관리자가 수용가를 방문하여 수도미터의 수치와 월별 사용량 기록을 대조하거나 검침원의 인정검침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이다.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분석기간 유효검침값 수
(0값제외)
중복검침값 제외 후 검침량개수 분석결과 조치
1 1010002200 개전 90 42 40 이상없음
2 1010000300 개전 42 42 14 이상없음
3 1010000400 개전 42 42 18 이상없음
4 1010000600 개전 102 14 5 인정검침 정밀분석
(현장조사)
5 1010000800 개전 42 42 19 이상없음
6 1010000900 개전 90 73 20 이상없음
7 1010001000 개전 126 126 106 이상없음
8 1010001100 개전 42 42 20 이상없음
9 1010001200 개전 42 39 9 인정검침 정밀분석
(현장조사)
표 7에서, 일련번호 4는 공급상태가 '개전'이므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분석기간을 결정하면(P62) 분석기간이 102개월로 결정되며, 102개월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대상으로 사용량반복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기간에서 각각의 월별 사용량 중에서 0이 아닌 값인 유효검침값을 획득하고 그 개수를 확인하면 표 7의 유효검침값 수에서 확인되는 14개의 유효검침값이 존재하며, 이 중에서 중복되는 월별 사용량인 중복검침값을 제외하면 표 7의 중복검침값 제외 후 검침량개수에서 확인되는 5개의 유효검침값만이 남는다. 즉, 14개의 유효검침값들 중에서 중복되는 월별 사용량을 제거하였더니 5개의 유효검침값만이 남는 것이므로, 9개의 유효검침값은 서로 중복되는 것이므로 검침원이 인정검침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인정검침'으로 처리할 수 있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 후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일련번호 5는 42개월동안의 분석기간 중에서 월별 사용량이 0인 개월이 없어서 유효검침값 수가 42개이고, 중복검침값 제외 후 유효검침값 수가 19개로 다양한 서로 다른 유효검침값이 남는다. 즉 검침원이 인정검침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7. 기울기분석(P7)
수도미터가 노후화되는 경우 유량계의 회전이 불량해지는 등의 원인으로 물 사용량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도미터의 노후화는 물의 사용량에 비하여 측정값이 작게 나타나는 원인이 되므로, 월별 사용량이 점점 감소하는 것을 통해 수도미터가 노후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울기분석(P7)은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의 추세를 기울기로 분석하여, 정해진 기준 기울기 이하로 하향하는 추세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울기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분석(P7)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7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분석기간을 결정한다(P72). 분석기간은 최근 10년으로 할 수 있다. 분석기간은 변경 가능하며, 수용가의 수도미터가 교체되거나 명의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분석기간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월별 사용량의 추세를 추출하여 추세의 기울기를 산출하고, 기준 기울기 이하로 하향하는 추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73). 월별 사용량의 추세선은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기준 기울기는 관리자가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월별 사용량의 추세의 기울기가 -1.0 보다 더 급하게 하향하는 경우(Y) 수도미터가 노후화되어 물 사용량을 적게 측정하는 상태이고, 노후화가 계속하여 진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분석결과를 '기울기과대'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하고, 정밀분석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 할 수 있다. 월별 사용량 추세선의 기울기가 기준 기울기보다 큰 경우(N)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월별 사용량의 추세의 기울기를 판단함에 있어서 기준 기울기를 하나만 설정하지 않고, 다양한 구간을 갖는 기준 범위들로 설정하여 기울기 범위마다 다양한 분석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기울기과대'로 판단된 수용가는 '정밀분석'을 수행하여 관리자가 월별 사용량 트렌드를 확인하여 일시적인 경향인지 판단하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수도미터가 노후화되었는지 판단하고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구경 분석기간 기울기 분석결과 조치
1 1010001700 개전 13 30 -0.10
2 1010001800 개전 13 42 -0.20
3 1010001900 개전 13 30 0.24
4 1010002000 개전 13 42 -0.09
5 1010002100 개전 25 42 -5.70 기울기
과대
정밀분석
(현장조사)
6 1010002200 개전 13 90 0.03
표 8에서, 일련번호 5는 공급상태가 '개전' 이므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분석기간을 결정하면(P82) 분석기간이 42개월로 결정되고, 그 동안의 월별 사용량으로 추세선을 생성하고 그 기울기를 판단할 때, 표 8의 기울기에서 확인되듯이 -5.7 로 나타나고, 이러한 경우 기준 기울기(-1.0)보다 기울기가 더 급하게 하향하는 것으로서 분석결과를 '기울기 과대'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정밀분석 결과 수도미터를 교체하거나 기타 현장에서 조사나 조치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면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8. 최대지침초과분석(P8)
수도미터는 구경별로 최대지침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구경이 13mm인 수도미터의 최대 지침값은 9,999㎥이다. 최대지침을 초과하는 경우 지침은 0,000㎥부터 다시 시작한다.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더하면 총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도미터의 총 사용량이 최대 지침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도미터는 측정동작을 충분히 많이 수행한 것이어서 수도미터의 검정/재검정 유효기간이 경과하지 않았더라도 수도미터가 노후화되거나 고장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최대지침초과분석(P8)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더한 총사용량과 수도미터의 구경에 따라 정해지는 최대지침값을 비교하여, 총사용량이 최대지침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대지침초과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지침초과분석(P8)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8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분석기간을 결정한다(P82). 분석기간은 수도미터가 설치 또는 교체된 때부터 분석시점까지의 기간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더한 총사용량을 산출하고,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대지침값을 추출한다(P83). 이때 분석기간은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의 기간이다. 분석시점은 일반적으로 현재이다.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대지침값은 미리 정해져 있는 값으로,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저장부(17)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총사용량이 최대지침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84). 총 사용량이 최대지침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없음'으로 판단한다. 총 사용량이 최대지침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석결과를 '초과'로 판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 후 '교체'로 처리할 수 있다. '초과'로 판단된 수도미터는 충분히 많이 동작하여 노후화되거나 고장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수도미터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교체'를 수행한다.
구분 13㎜ 20㎜ 25㎜ 32㎜ 40㎜ 50㎜ 75㎜ 100㎜ 150㎜
최대지침 9,999 99,999 99,999 99,999 99,999 999,999 9,999,999 9,999,999 9,999,999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구경
(mm)
분석기간 총사용량(㎥) 분석결과 조치
1 1010000300 개전 13 42 4,266 이상없음  
2 1010000400 개전 13 42 1,178 이상없음  
3 1010000600 개전 20 102 57,021 이상없음  
4 1010000800 개전 13 88 10,442 초과 현장조사
교체
5 1010000900 개전 13 90 8,110 이상없음  
6 1010001000 개전 40 126 110,533 초과 현장조사
교체
7 1010001100 개전 13 20 1,059 이상없음  
8 1010001200 개전 13 18 2,903 이상없음  
표 9 및 10을 참조하면, 일련번호 4의 경우 공급상태가 '개전'이므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분석기간을 결정하면(P81) 분석기간이 88개월로 결정되고, 분석기간 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모두 더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면 표 10에서와 같이 10,442㎥ 로 확인되며, 구경이 13mm인 수도미터의 최대지침을 표 9에서 찾으면 9,999 이므로 최대지침을 초과한 상태이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초과'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 후 '교체'로 처리할 수 있다. 일련번호 6의 경우 표 9를 참조하면 구경(40mm)별 최대지침이 99,999 인데 126개월동안의 총사용량이 110,533이므로 분석결과를 '초과'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 후 '교체'로 처리할 수 있다. 수도미터를 사용한 기간이 오래 경과하면서 총사용량이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대지침을 초과하였으므로 수도미터의 기능이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경우 명목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9. 총사용량분석(P9)
수도미터는 설치된 때부터 현재까지 수용가의 물 사용량을 계속 누적하여 지침으로 표시한다.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더한 총사용량과 수도미터의 지침값은 동일한 것이 정상이고, 검침 과정의 사소한 오류로 인하여 약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수도미터의 지침값과 수용가의 총 사용량이 크게 불일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불일치는 수도미터의 지침을 허가받지 않고 임의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거나, 검침원이 인정검침을 수행하여 수도미터 지침값과 월별 사용량 입력값이 불일치하거나, 검침 과정이나 수치 입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들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용가의 물 사용량과 지침값이 불일치할 수 있으므로 점검이 필요하다.
총사용량분석(P9)은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을 정해진 분석기간동안 더한 총사용량과 현재 수도미터의 지침값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차이가 기준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분석기간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 기간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대지침초과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사용량분석(P9)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9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분석기간을 결정한다(P92). 분석기간은 수도미터가 설치되거나 교체된 시점부터 분석시점까지의 기간이다.
다음으로,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을 정해진 분석기간동안 모두 더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고,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수도미터의 마지막 검침시의 지침값을 추출한다(P93).
다음으로, 수용가의 총 사용량을 수도미터의 지침값의 두배 값과 비교한다(P94). 수용가의 총 사용량이 수도미터의 지침값의 두배 값보다 작은 경우(N)에는 검침시의 사소한 오류가 누적되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므로 '이상없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수용가의 총 사용량이 수도미터의 지침값의 두배 값보다 큰 경우(Y)에는 총 사용량과 수도미터 지침값의 차이가 현저히 크므로, '과대'로 판단할 수 있다.
'과대'로 판단된 경우에는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요금관리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 지침값과 수도미터의 실제 지침값을 비교하고, 수도미터를 봉인하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구경 분석기간 사용량(㎥) 분석결과 조치
총사용량 최종지침
1 1010007100 개전 13 25 257 239 이상없음  
2 1010007200 개전 13 41 447 401 이상없음  
3 1010007300 개전 13 36 337 339 이상없음  
4 1010007400 개전 13 33 345 299 이상없음  
5 1010007500 개전 13 113 1,711 218 과대 현장조사
6 1010007600 개전 13 67 849 821 이상없음  
7 1010007700 개전 13 75 960 838 이상없음  
표 11을 참조하면, 일련번호 5는 공급상태가 '개전'이므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분석기간을 결정하면(P92) 분석기간이 113개월로 결정되며, 113개월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모두 더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면 1,711㎥인데 최종지침이 218㎥로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인 경우인 일련번호 4에서는 총사용량이 345㎥이고 최종지침이 299㎥이므로 큰 차이가 나지 않으나, 일련번호 5는 최종 지침의 두배보다 총사용량이 더 많다. 따라서 일련번호 5의 분석결과는 '과대'로 처리될 수 있고,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될 수 있다. 일련번호 5의 현장조사시, 인정검침이 이루어진 것인지, 단순 입력오류로 인해 발생한 것인지, 수도미터의 지침이 조작된 것인지, 검침 오류인지 등의 확인이 필요하다.
10. 검침값분석(P10)
상수도 요금을 부과할 때,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월별 사용량과, 수도미터의 검침값을 별도로 입력하는 경우가 있다. 수도미터의 이달 검침값에서 전달 검침값을 차감하면 이달 사용량이 산출되는 것인데, 월별 사용량과 검침값을 따로 입력하는 경우, 수도미터의 검침값 차이로 계산한 이달의 사용량과 요금을 부과하기 위해 입력된 월별 사용량이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는 실질적으로 요금 부과를 위해 입력되는 월별 사용량이 임의적으로 기재되는 것이거나, 수도미터의 검침값이 임의적으로 입력되는 것이므로 점검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검침값분석(P10)은 수용가의 사용량과 검침량의 차이를 월 단위로 판단하여 차이가 존재하는 개월 수가 정해진 기준 개월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침값분석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침값분석(P10)에서, 먼저 공급상태가 '개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101). 공급상태가 '개전'이 아닌 경우(N)에는 수용가가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석결과를 '분석 미수행'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급상태가 '개전'인 경우(Y)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분석기간을 결정한다(P102). 분석기간은 최근 1년으로 할 수 있다. 분석기간은 변경 가능하며, 수용가의 수도미터가 교체되거나 명의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분석기간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최근 1년치의 월별 수도미터 검침값에 기초하여, 수도미터 검침값 활용 사용량을 산출한다(P103). 수도미터 검침값 활용 사용량은 당월 검침값에서 전월 검침값을 차감하여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도미터 검침값 활용 사용량과 수도요금 부과 기준이 되는 월별 사용량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P104). 일치하는 경우에는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이가 발생한 양을 누적하여 차이량에 기록하고 차이가 발생한 개월 수를 차이횟수에 기록하고(P105), 분석결과를 '차이'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하며, 정밀분석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차이'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정밀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정밀분석'은 관리자가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과 수도미터 지침값의 트렌드를 검토하여 일시적인 오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1회 정도의 차이는 수도미터 교체시 정보입력 미흡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것이지만, 2회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입력오류나 인정검침일 수 있으므로 '현장조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차이'가 일시적인 것으로 인정하고 현장조사를 생략할 수 있는 기준 횟수는 변경 가능하다.
일련번호 수용가번호 공급상태 분석기간 월별 사용량 일치여부 분석결과 조치
차이량 차이횟수
1 1010000300 개전 최근1년 0 0 이상없음
2 1010000400 개전 최근1년 0 0 이상없음
3 1010000600 개전 최근1년 127 1 차이 정밀분석
(현장조사)
4 1010000800 개전 최근1년 0 0 이상없음
5 1010000900 개전 최근1년 0 0 이상없음
6 1010001000 개전 최근1년 100,731 12 차이 정밀분석
(현장조사)
표 12를 참조하면, 일련번호 3은 공급상태가 '개전'이므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분석기간을 결정하면(P102) 분석기간은 최근 1년으로 결정되고, 분석기간동안의 각각의 달마다 월별 사용량으로 기록된 값과 당월 검침값에서 전월 검침값을 차감한 값을 비교한 결과 1회의 차이가 발생하였고 127㎥ 만큼의 차이량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분석결과를 '차이'로 처리하고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하고, 정밀분석 결과에 따라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분석기간인 최근 1년동안 1회의 차이만 발생한 것이므로 현장조사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일련번호 6은 차이횟수가 12회이고 차이량을 누적한 값이 100,731㎥ 만큼 발생한 것이어서, 검침원의 검침 과정 또는 검침값의 입력 과정에서 문제가 존재하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분석결과를 '차이'로 처리하고, 조치를 '정밀분석'으로 처리하고, 정밀분석 결과에 따라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분석을 수행하면 각 분석의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기본분석단계(S30)를 수행한 결과에 따라 필요한 점검사항을 제공하는 알림제공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알림제공단계(S40)는 분석결과 필요한 조치로 판단된 정밀분석, 현장조사, 교체 등의 조치를 수행할 것을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알림제공단계(S40)에서 명목손실량 관리장치(10)는 입출력부(16)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거나 통신부(15)를 통해 관리자의 단말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은, 상술한 기본분석단계(S30) 이후에, 기본분석단계(S30)를 수행한 결과 획득한 분석들 각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필요한 점검사항을 결정하는 종합분석단계(S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합분석단계(S32)는 수용가에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검침값분석을 수행한 결과, 어느 하나의 분석이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밀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정밀분석판단단계(S33),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기물번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사용분석, 최대지침초과분석, 총사용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어느 하나의 분석이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장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현장조사판단단계(S34), 및 검정기간초과분석을 수행한 결과,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도미터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교체판단단계(S35)를 포함할 수 있다. 종합분석단계(S32)를 수행한 이후에 수행되는 알림제공단계(S40)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기분분석이 무엇인지, 해당 기본분석 결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정밀분석판단단계(S33)는 기본분석들 중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장조치를 직접 바로 수행하기보다 관리자가 수용가의 사용량 데이터를 직접 확인할 필요가 있는 분석들에 대하여 수행된다.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검침값분석은 분석결과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밀분석을 수행하여 수용가의 사용량 데이터의 흐름에 일시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인지 먼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정밀분석판단단계(S33)를 수행한 결과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검침값분석 중의 어느 하나라도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Y), 어떤 분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는지, 분석결과 및 분석결과를 얻기까지 수행된 분석과정의 각 단계의 결과들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밀분석판단단계(S33)를 수행한 결과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검침값분석 중의 모두에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N), 해당 수용가에 대한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검침값분석을 종료한다.
관리자는 정밀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알림을 제공받은 수용가에 대하여 알림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검침값분석의 적절성에 관한 정밀분석을 수행하고, 정밀분석 결과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현장조사가 필요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장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Y) 현장조사를 수행한다. 현장조사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N) 해당 수용가에 대한 분석을 종료한다.
현장조사판단단계(S34)는 미사용분석, 최대지침초과분석, 총사용량분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Y), 어떤 분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는지, 분석결과 및 분석결과를 얻기까지 수행된 분석과정의 각 단계의 결과들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조사판단단계(S34)를 수행한 결과 미사용분석, 최대지침초과분석, 총사용량분석 중의 모두에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N), 해당 수용가의 미사용분석, 최대지침초과분석, 총사용량분석을 종료한다.
관리자는 현장조사판단단계(S34)를 수행한 결과 현장조사가 필요한 경우(Y) 및 정밀분석 결과 문제가 존재하여 현장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Y), 현장조사를 수행한다. 현장조사 결과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해당 문제에 적절한 조치 및 개선을 수행한다. 조치 및 개선은 수도미터의 교체, 수도미터의 봉인, 바이패스 경로의 제거조치 등 다양한 조치를 포함한다.
교체판단단계(S35)는 검정기간초과분석을 수행한 결과,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Y), 수도미터의 교체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알림을 수행하고,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N) 해당 수용가에 대한 검정기간초과분석을 종료한다. 관리자는 수도미터의 교체에 필요한 정보를 알림으로 제공받는 경우 수도미터를 교체하는 조치 및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명목손실 관리방법의 기본분석단계(S30) 또는 종합분석단계(S32)는 각 수용가마다 수행될 수 있다. 명목손실 관리방법의 수행 주기는 정해진 기간마다, 예를 들어 분기마다 한번씩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명목손실 관리방법의 수행 주기를 각 수용가마다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폐전 수용가가 개전으로 변경되거나, 사용자 명의가 변경되는 등의 수용가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명목손실 관리방법을 수행하여 이상여부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타분석단계(S39)를 더 포함하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은, 기타분석단계(S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분석은 수용가 위치정보 확보(G1), 대수용가 사용량 패턴 분석(G2), 공동주택 검침방법 및 사용량 분석(G3), 공동주택 주계량기 분석(G4), 공공건물 사용량 분석(G5)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가 위치정보 확보(G1)는 수용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2)의 수용가 정보에는 수용가마다 주소 항목이 존재한다. 수도미터가 설치되어 있는 수용가의 주소가 불명이거나 주소가 존재하더라도 해당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수용가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장래 발생할 수 있는 현장조치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용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먼저, 수용가의 주소가 미기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수용가의 주소가 미기재되어 있는 경우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용가의 주소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수용가의 주소가 전자지도 상에 존재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주소가 존재하더라도 입력의 오류가 있거나, 주소 체계의 변화 등으로 정확한 주소가 입력되어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지도는 상용 네비게이션이나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수용가 정보에 존재하는 수용가의 주소를 전자지도에 입력하여 위치가 확인되는 경우는 분석결과를 '이상없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수용가 정보에 존재하는 수용가의 주소를 전자지도에 입력할 때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는 분석결과를 '위치불명'으로 처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현장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현장조사 수행시에 요금을 납부하는 명의인의 주소나 연락처 등에 기초하여 수용가의 주소를 확인하거나, 행정서비스를 이용하여 주소를 확인하거나, 현장을 방문할 수 있다.
대수용가 사용량 패턴 분석(G2)은 매월 정해진 양 이상으로 매우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는 수용가의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월 500톤 이상의 물을 사용하는 경우 대수용가로 분류할 수 있다. 대수용가로 분류하는 월 사용량 기준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대수용가는 물 사용량이 많고 물 사용 패턴의 변동이 심한 특성을 갖고 있어서 상수도망의 유량이나 수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대수용가의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상수도망 관리에 반영할 수 있다. 대수용가 사용량 패턴 분석을 위하여 분석부(13)는 월별 사용량이 많은 순서대로 정해진 개수의 수용가의 사용기록을 정리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공동주택 검침방법 및 사용량 분석(G3)은 공동주택의 수도미터 설치현황을 파악하고 전체 사용량을 분석하여 명목손실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공동주택은 하나의 건물에 서로 분리된 복수의 세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사용량 집계가 다를 수 있다. 공동주택 전체에 공급되는 물을 측정하는 메인 수도미터가 존재하거나,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되는 물을 측정하는 개별 수도미터가 각 세대마다 존재하거나, 메인 수도미터와 개별 수도미터가 모두 존재할 수도 있다.
먼저, 공동주택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공동주택인 경우에는 메인 수도미터 또는 개별 수도미터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메인 수도미터가 존재하지 않고 개별 수도미터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메인 수도미터를 설치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공동주택의 세대수가 많은 경우 물 사용량도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석부(13)는 공동주택의 세대별 물 사용량의 합계가 작은 순서대로 나열한 정보를 제공하고, 세대수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물 사용량의 합계가 작은 경우 '정밀조사'가 필요하며, 정밀조사 결과에 따라 '현장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공동주택 주계량기 분석(G4)은 공동주택의 메인 수도미터와 개별 수도미터의 사용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메인 수도미터와 개별 수도미터가 모두 설치된 경우에는 월별 사용량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개별 수도미터들의 월별 사용량 합계가 메인 수도미터의 월별 사용량과 일치하는 경우 이상이 없으나, 불일치하는 경우 명목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현장조사'가 필요하다.
공공건물 사용량 분석(G5)은 공공기관이 입주한 건물에서 물 사용량의 측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공공기관은 군청, 읍사무소, 면사무소, 각종 공공 센터 등을 포함한다. 공공기관이 입주한 건물에서는 타 업종에 비하여 물 사용량이 낮게 집계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분석부(13)는 수용가 정보의 업종 항목이 공공기관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사용량을 기준으로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여 물 사용량이 낮은 수용가부터 물 사용량의 집계가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현장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명목손실량 관리장치
11: 데이터 수집부
12: 수용가 정보 데이터베이스
13: 분석부
14: 알림제공부
15: 통신부
16: 입출력부
17: 저장부

Claims (14)

  1. 수용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 수용가마다 복수의 기본분석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이 있는 수용가를 검출하는 기본분석단계;
    상기 기본분석단계를 수행한 결과에 따라 필요한 점검사항을 제공하는 알림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본분석은
    검정기간초과분석, 미사용분석,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최대지침초과분석, 총사용량분석, 검침값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분석단계 이후에, 상기 기본분석단계를 수행한 결과 획득한 상기 분석들 각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필요한 점검사항을 결정하는 종합분석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정기간초과분석은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설치년도부터 현재까지의 사용기간을 산출하고, 수도미터의 구경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수도미터의 기준 검정기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사용분석은
    최근부터 정해진 분석기간동안 수용가의 물 사용량이 0이거나, 1인 가구의 최소 물 사용량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정구경분석은
    수용가의 물 사용량과,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구경별 최소 사용량 및 최대 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물 사용량에 비하여 수도미터의 구경이 적정한지, 과대한지, 과소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편차분석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에 기초하여,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이 기준 편차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용범위분석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월별 사용량이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결정된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개월 수를 산출하고,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개월의 개수가 기준 개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반복분석은
    수용가의 월별 검침량 중에서 0으로 검침된 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값들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정해진 수 이상의 다양한 값이 나타나지 않는지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분석은
    수용가의 월별 사용량의 추세를 기울기로 분석하여, 정해진 기준 기울기 이하로 하향하는 추세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대지침초과분석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더한 총사용량과 수도미터의 구경에 따라 정해지는 최대지침값을 비교하여, 총사용량이 최대지침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사용량분석은
    수용가에 수도미터가 설치된 이후부터 분석시점까지 기간동안의 월별 사용량을 더한 총사용량과 현재 수도미터의 지침값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차이가 기준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침값분석은
    수용가의 사용량과 검침량의 차이를 월 단위로 판단하여 차이가 존재하는 개월 수가 정해진 기준 개월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종합분석단계는
    상기 수용가에 적정구경분석, 사용량편차분석, 허용범위분석, 사용량반복분석, 기울기분석, 검침값분석을 수행한 결과, 어느 하나의 분석이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밀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정밀분석판단단계;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기물번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사용분석, 최대지침초과분석, 총사용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어느 하나의 분석이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장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현장조사판단단계; 및
    상기 검정기간초과분석을 수행한 결과,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도미터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교체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점검사항은
    상기 종합분석단계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기본분석들 각각의 결과; 및
    상기 정밀분석, 현장조사, 또는 교체를 수행하기 위한 매뉴얼을 포함하는,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KR1020200040423A 2020-04-02 2020-04-02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KR10241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23A KR102412132B1 (ko) 2020-04-02 2020-04-02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23A KR102412132B1 (ko) 2020-04-02 2020-04-02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06A true KR20210123106A (ko) 2021-10-13
KR102412132B1 KR102412132B1 (ko) 2022-06-28

Family

ID=7811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23A KR102412132B1 (ko) 2020-04-02 2020-04-02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1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3573A (ja) * 2000-10-18 2002-05-10 Giox Kk 水道使用量の検針値を利用した監視システム及び設備点検システムの操作方法
KR101283828B1 (ko) * 2012-04-04 2013-07-15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진단 시스템
KR20140091332A (ko) * 2013-01-11 2014-07-21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자동 검침 및 관리 시스템의 검침정보 제공 방법
KR101731215B1 (ko) 2016-06-03 2017-04-27 전대수 블록 유수율 편차 원인 해소를 위한 요금관리 시스템 상의 수전 오류 분석 및 데이터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3573A (ja) * 2000-10-18 2002-05-10 Giox Kk 水道使用量の検針値を利用した監視システム及び設備点検システムの操作方法
KR101283828B1 (ko) * 2012-04-04 2013-07-15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진단 시스템
KR20140091332A (ko) * 2013-01-11 2014-07-21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자동 검침 및 관리 시스템의 검침정보 제공 방법
KR101731215B1 (ko) 2016-06-03 2017-04-27 전대수 블록 유수율 편차 원인 해소를 위한 요금관리 시스템 상의 수전 오류 분석 및 데이터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132B1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7473A1 (en) Refrigerant Exchange, Recycling and Bank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Mutikanga et al. Assessment of apparent losses in urban water systems
Chiu et al. Process mining of event logs: A case study evaluating internal control effectiveness
US7215109B2 (en) Electric power usage and demand reporting system
US20090045976A1 (en) Utility network and revenue assurance
US9870597B2 (en) Systems and methods allowing multi-family property owners to consolidate retail electric provider charges with landlord provided utilities and services
CN104408575A (zh) 一种企业经营数据管理系统及方法
KR101812589B1 (ko) 상수도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활용한 옥내누수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40093293A1 (en) SAM rating matrix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412132B1 (ko) 수도미터 및 사용량 분석을 통한 명목손실량 관리방법
CN107784578B (zh) 银行外汇数据监管方法及装置
CN106709059B (zh) 基于计量自动化系统的终端在线率指标的监控方法及装置
AU2017201959A1 (en) Gas management system
JP3989914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101362400B1 (ko) 통합소방제어시스템
KR102336462B1 (ko) 신용평가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5204627A (zh) 一种基于大数据的储罐呼吸阀在线智能检测系统及方法
US20170200241A1 (en) Gas management system
CN117474640B (zh) 一种免押金租赁的装置及方法
JPH0934939A (ja) 契約管理システム及び図面管理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管理装置
US20240233037A1 (en) Server and method for accounting fraud detection,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command is recorded
CN102999793A (zh) 用于管理有多个游戏机的游戏场的数据的系统和方法
Van Arsdel Control Apparent Losses to Optimize Revenue Capture
CN118096195A (zh) 估值运营系统的估值方法、装置和电子设备
Thompson et al. Data Quality Issues and Solutions for Enterprise Energy Management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