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103A -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103A
KR20210123103A KR1020200040418A KR20200040418A KR20210123103A KR 20210123103 A KR20210123103 A KR 20210123103A KR 1020200040418 A KR1020200040418 A KR 1020200040418A KR 20200040418 A KR20200040418 A KR 20200040418A KR 20210123103 A KR20210123103 A KR 20210123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optical fibers
support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570B1 (ko
Inventor
김대현
황성준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5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G01L1/2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the material being an optical fib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G01L1/247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e.g. microcaps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센서 제조방법은 접합대상 광섬유들을 중심이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상호 밀착되게 지지하기 위해 해당 광섬유들에 광섬유 지지유닛을 세팅하는 지지단계와,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에 지지된 상기 광섬유들을 상호 접착하여 광센서를 제조하는 접착단계와, 상기 접착단계 이후에 상호 접합된 광섬유들로부터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은 복수의 지지블럭을 통해 3개의 접합대상 광섬유를 120도 간격으로 상호 밀착되게 지지하여 접합할 수 있으므로 광센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비전문가라도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광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Optical fiber support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sens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20도 간격의 3개의 광섬유를 지지하여 접합할 수 있는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한 신규센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항공, 건축,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계측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되며, 각 적용 분야에 적합한 센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 중, 광섬유 FBG 센서는 우수한 민감도와 소형화의 용이성 등으로 각광받고 있다. 굽힘 측정 센서의 경우, 3가닥의 광섬유 FBG 센서를 접합하여 제작한다. 이때, 센서의 구조적 특성상 3가닥의 광섬유 라인을 120도 간격으로 적층 후 접합해야한다.
그러나 광섬유는 보통 250㎛의 직경을 갖는 실 가닥의 형태를 하고 있어 앞서 설명한 120도 간격으로 3가닥의 광섬유 라인을 정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 공정이다.
현재까지는 2가닥의 광섬유를 인접시켜 접합하고, 이후 광학 현미경으로 센서의 적층 형상을 관찰하며, 마지막 3번재 광섬유 가닥을 접합시켜 센서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공정은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작업자의 기능에 센서의 성능이 지배되기 때문에 제작 이후 센서의 성능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곤란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778호: 광섬유의 미소굽힘 특성을 이용한 촉각센서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포형 하중 측정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159809호: 다중반사 광도파로를 이용한 수소 감지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3개의 접합대상 광섬유를 120도 간격으로 상호 밀착되게 지지할 수 있는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은 접합대상 광섬유들을 상호 밀착하되, 중심이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블럭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블럭은 상기 광섬유들이 외주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럭은 외주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상기 광섬유들의 중심이 상기 관통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해당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럭의 관통구는 3개의 상기 광섬유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블럭은 상기 관통구의 중심에서 각 상기 광섬유의 중심까지 연결한 가상의 가상선들 사이의 각도가 120°가 되도록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은 접합대상 광섬유들을 중심이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상호 밀착되게 지지하기 위해 해당 광섬유들에 광섬유 지지유닛을 세팅하는 지지단계와,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에 지지된 상기 광섬유들을 상호 접착하여 광센서를 제조하는 접착단계와, 상기 접착단계 이후에 상호 접합된 광섬유들로부터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은 상기 광섬유들이 외주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블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단계는 상기 관통구들이 동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블럭들을 밀착시키는 블럭 준비단계와, 상호 밀착된 상기 지지블럭들의 관통구에, 접합대상 상기 광섬유들을 삽입하는 삽입단계와, 브레그 격자가 마련된 상기 광섬유의 센싱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블럭들이 상호 대향되도록 해당 지지블럭을 이격시키는 세팅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단계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광섬유들 사이 공간에 접착제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기 광섬유들 외측면에 상기 접착체를 도포하는 제1도포단계와, 상기 제1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광섬유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1경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단계는 상기 제1도포단계 및 제1경화단계 사이에, 상기 광섬유들의 외측면에 잔류한 경화된 상기 접착제를 제거하는 제1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단계는 상기 제1경화단계 이후에, 상기 접착제가 경화된 상기 광섬유의 접합영역으로 상기 지지블럭들을 이동시키는 블럭이동단계와, 상기 블럭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지지블럭들에 의해 상기 접착제가 미도포된 상기 광섬유의 미도포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도포단계와, 상기 광섬유의 미도포영역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2경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단계는 상기 제2도포단계 및 제2경화단계 사이에, 상기 광섬유의 미도포영역 외측면에 잔류한 경화된 상기 접착제를 제거하는 제2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이고, 상기 제1경화단계에서는 상기 광섬유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이고, 상기 제2경화단계에서는 상기 광섬유의 미도포영역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분리단계 이후에, 상호 접합된 상기 광섬유들의 일단부가 자유단이 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의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센싱영역에 인접되도록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은 복수의 지지블럭을 통해 3개의 접합대상 광섬유를 120도 간격으로 상호 밀착되게 지지하여 접합할 수 있으므로 광센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비전문가라도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광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섬유 지지유닛에 광섬유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에 따른 작업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100)은 접합대상 광섬유(10)들을 상호 밀착하되, 중심이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광섬유(10)들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블럭(110)을 구비한다. 여기서, 광섬유(10)는 광센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는 클래드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섬유(10)는 중앙부분에, 다수의 브레그 격자(12)가 형성되어 센싱영역(11)을 이룬다.
상기 지지블럭(110)은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광섬유(10)들이 외주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선 상기 지지블럭(110)이 사각 구조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블럭(11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형 또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해당 지지블럭(11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구조물에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하여 관통구(111)를 형성하거나 3D 프린트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블럭(110)은 광섬유(10)들이 외주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해당 관통구(111)가 소정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지블럭(110)은 외주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상기 광섬유(10)들의 중심이 상기 관통구(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관통구(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럭(110)의 관통구(111)는 3개의 관통구(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관통구(111)의 중심에서 광섬유(10)의 중심까지 연결한 가상의 가상선(15)들 사이의 각도(α)가 120°가 되도록 상기 관통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관통구(111)에 삽입된 광섬유(10)들의 중심을 A,B,C로 표시하면, 광섬유(10)의 중심 A,B,C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은 세변의 길이가 같은 정삼각형이고, 해당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관통구(111)의 중심과 같다. 따라서, 관통구(111)의 중심에서 해당 삼각형의 꼭짓점까지의 길이 즉, 점 O에서 점 C까지의 길이는 광섬유(10) 반지름(r)의
Figure pat00001
배이고, 삼각형의 꼭짓점에서, 광섬유(10) 외측면에 관통구(111)의 내측면이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광섬유(10) 반지름(r)이므로 관통구(111)의 반지름은 광섬유(10) 반지름(r)의
Figure pat00002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관통구(111)의 반지름은 오차를 고려하여 상술된 수식에, 기설정된 소정의 오차값을 가감하여 산출할 수 있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섬유(10)의 지름은 250㎛이지만, 센싱영역(11)은 리코팅되므로 실제 광섬유(10)의 지름은 250㎛ 이상이다. 따라서, 관통구(111)의 지름은 650±2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100)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100)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은 지지단계(S110), 접착단계(S120), 분리단계(S130) 및 블럭 설치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단계(S110)는 접합대상 광섬유(10)들을 중심이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상호 밀착되게 지지하기 위해 해당 광섬유(10)들에 광섬유 지지유닛(100)을 세팅하는 단계로서, 블럭 준비단계(S111), 삽입단계(S112) 및 세팅단계(S113)를 포함한다.
블럭 준비단계(S111)는 상기 관통구(111)들이 동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블럭(110)들을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도 4와 같이 작업자는 2개의 지지블럭(110)을 전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밀착시킨다.
삽입단계(S112)는 상호 밀착된 상기 지지블럭(110)들의 관통구(111)에, 접합대상 상기 광섬유(10)들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도 5와 같이 작업자는 3개의 광섬유(10)의 후단부를 지지블럭(110)들의 관통구(111)에 관통되게 삽입한다. 이때, 광섬유(10)들은 지지블럭(110)의 관통구(111)에 의해 중심이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지지된다.
세팅단계(S113)는 브레그 격자(12)가 마련된 상기 광섬유(10)의 센싱영역(11)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블럭(110)들이 상호 대향되도록 해당 지지블럭(110)을 이격시키는 단계이다. 도 6과 같이 지지블럭(110)들 중 전방에 위치한 지지블럭(110)을 광섬유(10)의 전단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지지블럭(110)은 광섬유(10)의 센싱영역(11)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단계(S120)는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100)에 지지된 상기 광섬유(10)들을 상호 접착하여 광센서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제1도포단계(S121), 제1제거단계(S122), 제1경화단계(S123), 블럭이동단계(S124), 제2도포단계(S125), 제2제거단계(S126) 및 제2경화단계(S127)를 포함한다.
제1도포단계(S121)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광섬유(10)들 사이 공간에 접착제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110)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기 광섬유(10)들 외측면에 상기 접착체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가 적용된다. 도 7과 같이 지지블럭(110)들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광섬유(10)들 외측에 해당 접착제를 도포한다. 광섬유(10)들의 외측면에 도포된 접착제는 도 8과 같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광섬유(10)들 사이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된다.
제1제거단계(S122)는 제1도포단계(S121) 이후 및 제1경화단계(S123) 직전에, 상기 광섬유(10)들의 외측면에 잔류한 경화된 상기 접착제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흡입 수단을 이용하여 광섬유(10)에 경화전 액상의 접착제를 흡수하여 제거한다. 이때, 광섬유(10)들 사이의 내측 공간에 인입된 접착제를 제외한 광섬유(10) 외측의 경화된 접착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경화단계(S123)는 상기 제1제거단계(S122) 이후에, 상기 광섬유(10)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광섬유(10)에 도포된 접착제에 자외선을 소정시간 조사한다.
블럭이동단계(S124)는 상기 제1경화단계(S123) 이후에, 상기 접착제가 경화된 상기 광섬유(10)의 접합영역으로 상기 지지블럭(110)들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지지블럭(110)들을 광섬유(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시킨다. 이때, 지지블럭(110)의 전후폭 이상으로 해당 지지블럭(110)들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포단계(S125)는 상기 블럭이동단계(S124) 이후에, 상기 지지블럭(110)들에 의해 상기 접착제가 미도포된 상기 광섬유(10)의 미도포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해당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가 적용된다. 해당 미도포영역에 도포된 접착제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광섬유(10)들 사이의 내측 공간에 인입된다.
제2제거단계(S126)는 제2도포단계(S125) 이후 및 상기 제2경화단계(S127) 직전에, 상기 광섬유(10)의 미도포영역 외측면에 잔류한 경화된 상기 접착제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광섬유(10)들 사이의 내측 공간에 인입된 접착제를 제외한 광섬유(10) 외측의 경화된 접착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경화단계(S127)는 상기 광섬유(10)의 미도포영역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광섬유(10)에 도포된 접착제에 자외선을 소정시간 조사한다.
분리단계(S130)는 상기 접착단계(S120) 이후에 상호 접합된 광섬유(10)들로부터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100)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도 9와 같이 상호 접합된 광섬유(10)들로부터 지지블럭(110)을 분리시킨다.
프레임 설치단계는 상기 분리단계(S130) 이후에, 상호 접합된 상기 광섬유(10)들의 일단부가 자유단이 되도록 상기 광섬유(10)들의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지지프레임(141)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10과 같이 상호 접합된 광섬유(10)들의 전단부가 자유단이 되도록 광섬유(10)들의 후단부에 지지블럭(110)을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프레임(141)은 센싱영역(11)에 인접되는 위치의 광섬유(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141)이 설치된 광섬유(10)에 광커플러를 이용해 계측을 위한 시스템에 연결시킬 수 있다. 광섬유(10)의 끝단에 단순보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하중이 작용할 경우, 광섬유(10)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를 지지프레임(141)에 위치시킨 광섬유(10)의 센싱영역(11)의 변형률로 평가할 수 있다. 3개의 광섬유(10)들은 기하학적 위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세 개의 변형률을 측정하게 되며, 그 차이의 함수 관계를 이용해 인가된 하중의 크기와 작용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지지유닛(100)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은 복수의 지지블럭(110)을 통해 3개의 접합대상 광섬유(10)를 120도 간격으로 상호 밀착되게 지지하여 접합할 수 있으므로 광센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비전문가라도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광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광섬유 지지유닛
110: 지지블럭
111: 관통구
S110: 지지단계
S111: 블록 준비단계
S112: 삽입단계
S113: 세팅단계
S120: 접착단계
S121: 제1도포단계
S122: 제1경화단계
S123: 제1제거단계
S124: 블럭이동단계
S125: 제2도포단계
S126: 제2경화단계
S127: 제2제거단계
S130: 분리단계
S140: 블럭 설치단계

Claims (5)

  1. 접합대상 광섬유들을 상호 밀착하되, 중심이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블럭;을 구비하는,
    광섬유 지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외주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상기 광섬유들의 중심이 상기 관통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해당 관통구가 형성된,
    광섬유 지지유닛.
  3. 접합대상 광섬유들을 중심이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상호 밀착되게 지지하기 위해 해당 광섬유들에 광섬유 지지유닛을 세팅하는 지지단계;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에 지지된 상기 광섬유들을 상호 접착하여 광센서를 제조하는 접착단계; 및
    상기 접착단계 이후에 상호 접합된 광섬유들로부터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광섬유 지지유닛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지지유닛은 상기 광섬유들이 외주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블럭을 구비하는,
    광섬유 지지유닛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단계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광섬유들 사이 공간에 접착제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기 광섬유들 외측면에 상기 접착체를 제1도포하는 제1도포단계; 및
    상기 제1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광섬유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1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광섬유 지지유닛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KR1020200040418A 2020-04-02 2020-04-02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KR10233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18A KR102336570B1 (ko) 2020-04-02 2020-04-02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18A KR102336570B1 (ko) 2020-04-02 2020-04-02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03A true KR20210123103A (ko) 2021-10-13
KR102336570B1 KR102336570B1 (ko) 2021-12-06

Family

ID=7811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18A KR102336570B1 (ko) 2020-04-02 2020-04-02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5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2845A (ja) * 2002-06-07 2004-01-15 Yamaha Corp 光ファイバアレイとその製法及び光ファイバ固定板
JP2005283721A (ja) * 2004-03-29 2005-10-13 Ceratec Japan Co Ltd 光ファイバの支持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ユニット
KR20090008778A (ko) 2007-07-19 2009-01-22 한국과학기술원 광섬유의 미소굽힘 특성을 이용한 촉각센서와 그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분포형 하중 측정장치
KR101159809B1 (ko) 2009-12-28 2012-06-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반사 광도파로를 이용한 수소 감지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2845A (ja) * 2002-06-07 2004-01-15 Yamaha Corp 光ファイバアレイとその製法及び光ファイバ固定板
JP2005283721A (ja) * 2004-03-29 2005-10-13 Ceratec Japan Co Ltd 光ファイバの支持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ユニット
KR20090008778A (ko) 2007-07-19 2009-01-22 한국과학기술원 광섬유의 미소굽힘 특성을 이용한 촉각센서와 그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분포형 하중 측정장치
KR101159809B1 (ko) 2009-12-28 2012-06-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반사 광도파로를 이용한 수소 감지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570B1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597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光結合構造
US10705299B2 (en) Ferrule structure, ferrule structure with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errule structure with fiber
US10627582B2 (en) Optical connection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connection component
EP2905642B1 (en) Termination of optical fiber with low backreflection
KR101760156B1 (ko) 광 콜리메이터 및 이를 이용한 광 커넥터
WO2019044055A1 (ja) キャピラリー型レンズアレイおよびキャピラリー型レンズアレイ複合部品
US6981802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optical fiber and process for connecting optical fibers
KR102336570B1 (ko) 광섬유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센서 제조방법
JP6447038B2 (ja) 光コネクタ結合システム
JP5973748B2 (ja) ファイバ湾曲センサ
CN113227861A (zh) 具有硅透镜的多通道模式转换器
WO2022039008A1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96804B2 (ja) 光ファイババンドル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コネクタ、光ファイバ接続構造
US9594214B1 (en) Optical fiber devices
JP3950781B2 (ja) 光ファイバ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WO2004008214A1 (ja) 光ファイバ接続用部品、光ファイバ接続構造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US20050238291A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component, optical fiber connection structure, and optical fiber connection method
JP6402242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ユニット
WO2013150089A1 (en) Mechanical alignment device for positioning optical fibers
JP2006023420A (ja) 光接続スリーブ
JP4331250B2 (ja) 光ファイバアレイ
KR20140127093A (ko) 광섬유 배열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EP2863247A1 (en) Dual-ended optical fiber pathway
JP5237526B2 (ja) 光導波路の損失測定方法
JP2010113048A (ja) 光ファイバ接続部品及び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