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820A -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820A
KR20210122820A KR1020217027876A KR20217027876A KR20210122820A KR 20210122820 A KR20210122820 A KR 20210122820A KR 1020217027876 A KR1020217027876 A KR 1020217027876A KR 20217027876 A KR20217027876 A KR 20217027876A KR 20210122820 A KR20210122820 A KR 20210122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mixture
diisocyanate
mpa
isocyanate
polyurethan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 웨이 크시
잉하오 리우
웨이 리앙 치엔
진 린 리우
보 첸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1012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4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4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 C08J9/146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only fluorine as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21Polyhydroxy compounds hydroxylated esters of carboxylic acids other than higher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9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03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07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8≥50 and <1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반응 혼합물을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투입하는 단계, 및 (2) 반응 혼합물을 추가 압력에서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반응 혼합물이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및 발포제를 포함하고, 반응 혼합물이 2.0-4.0의 충전율로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투입되는 것인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폴리우레탄(PU) 폼은 이의 광범위한 특성으로 인해 많은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다른 특성을 갖는 PU 폼을 얻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대기압, 감압 또는 승압에서 수행될 수 있다.
WO 2012/076375A1은 반응 혼합물을 1.03 내지 1.9의 충전율로 폐쇄형 몰드 캐비티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며, 여기서 몰드 캐비티는 300 내지 950 mbar의 압력하에 있으며, 반응 혼합물은 a)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폴리올 조성물; c) 촉매; d) 임의적으로 보조 물질 및/또는 첨가제; 및 e) 성분 b) 내지 e)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의 양의 화학적 발포제 성분을 포함하고, 화학적 발포제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발포제를 포함하고, 화학적 발포제 성분은 유일한 발포제이다.
WO 2013/174844A1은 A) 반응 혼합물을 폐쇄형 몰드 캐비티에 주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몰드 캐비티가 300 내지 950 mbar의 절대압 하에 있는 것인 단계; 및 B) 경화시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IR) 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WO 2015/008313A1은 폼 형성 조건하에서 폴리우레탄 폼 형성용 조성물을 100 킬로파스칼의 표준 압력보다 적어도 5000 파스칼 낮은 감압에서 몰드에 주입하는 단계; 폴리우레탄 폼 형성용 조성물을 몰드에서 경화시키는 단계; 및 몰드로부터 폴리우레탄 폼을 디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 방법을 개시한다.
미국특허 제4,777,186호는 생성된 폴리머가 챔버를 완전히 채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압에서 가요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미국특허 제6,716,890B1호는 (1) (a) 폴리올 혼합물; (b)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c) 발포제로서 물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기 위해 약 1.0 내지 1.5 bar(절대)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구성의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PU 폼의 고효율 생산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생성된 폴리우레탄 폼이 보다 균일하게 분포된 셀 크기를 나타내어, 보다 우수한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면서, 원하는 폼 밀도를 변경하지 않고 폴리우레탄 폼을 빠르게 제조하는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1) 반응 혼합물을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투입하는 단계, 및
(2) 반응 혼합물을 추가 압력에서 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반응 혼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및 발포제를 포함하고, 반응 혼합물은 2.0-4.0의 충전율(packing factor)로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투입되는 것인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원하는 폼 밀도를 변경함이 없이 폴리우레탄 폼을 빠르게 제조할 수 있고, 생성된 폴리우레탄 폼은 우수한 기계적 및 열적 특성에 필요한 균일한 셀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은 성형 폼과 자유 상승(free rise) 폼 둘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비교예 1에 따른 SEM(주사형 전자 현미경)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3은 비교예 2에 따른 SEM(주사형 전자 현미경)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SEM(주사형 전자 현미경) 그래프를 도시한다.
이소시아네이트(즉,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고분자 MDI,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히, 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고분자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MDI),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NDI), 디메틸-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TO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메타-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등,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로서,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적어도 2개의 기, 예를 들어, OH-, SH-, NH- 및 CH-산성 기를 갖는 모든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촉매의 존재하에 2 내지 8개의 반응성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터 분자를 첨가하여 알킬렌 옥시드의 음이온 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촉매로서,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히드록시드 또는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 예컨대 나트륨 메톡시드, 나트륨 또는 칼륨 에톡시드 또는 칼륨 이소프로폭시드 또는, 양이온 중합의 경우, 촉매로서의 루이스산 예컨대 안티몬 펜타클로라이드, 붕소 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레이트 또는 표백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MC 촉매로서 알려진 이중 금속 시아나이드 화합물이 또한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알킬렌 옥시드로서, 알킬렌 라디칼 중에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란, 1,3-프로필렌 옥시드, 1,2- 또는 2,3-부틸렌 옥시드를 사용하는 것인 바람직하며, 각각의 경우에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1,2-프로필렌 옥시드이다.
가능한 스타터 분자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당 유도체 예컨대 수크로스, 헥시톨 유도체 예컨대 소르비톨, 메틸아민, 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벤질아민, 아닐린, 톨루이딘, 톨루엔디아민, 나프틸아민,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4,4'-메틸렌디아닐린, 1,3-프로판디아민, 1,6-헥산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다른 2가 또는 다가 알콜 또는 단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민이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또한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PTHF), 피마자유와 같은 천연유 베이스의 폴리올 또는 알콕실화 변성 천연유 또는 지방산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일반적으로, 다작용성 알콜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부탄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또는 펜타에리트리톨과, 다작용성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이성체 또는 앞서 언급된 산의 무수물과의 축합에 의해 제조된다. 이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폴리에틸렌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디카르복실산의 다른 공급원도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 알콜의 제조에서 추가 출발 물질로서, 소수성 재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수성 재료는, 비극성 유기 라디칼을 포함하고, 또한 히드록실,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기를 갖는 수불용성 재료이다. 예를 들어, 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라우르산 또는 리놀레산 및 또한 지방 및 오일 예컨대 피마자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대두유, 코코넛유, 올리브유 또는 톨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기를 갖는 화합물은 체인 익스텐더 및/또는 가교제를 더 포함한다. 체인 익스텐더 및/또는 가교제로서, 특히, 이작용성 또는 삼작용성 아민 및 알콜, 특히 디올, 트리올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한다. 여기서, 이작용성 화합물은 체인 익스텐더로서 지칭되고, 삼작용성 또는 이보다 높은 작용성의 화합물은 가교제로서 지칭된다. 예를 들어, 2 내지 14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지환족 및/또는 방향족 디올,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1,2-, 1,3-프로판디올, 1,2-, 1,3-펜탄디올, 1,10-데칸디올, 1,2-, 1,3-, 1,4-디히드록시시클로헥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및 비스(2-히드록시에틸)히드로퀴논, 트리올 예컨대 1,2,4-, 1,3,5-트리히드록시시클로헥산, 글리세롤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1,2-프로필렌 옥시드에 기초한 저분자량의 히드록실 포함 폴리알킬렌 옥시드 및 스타터 분자로서 앞서 언급된 디올 및/또는 트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제는 물리적 발포제 및/또는 화학적 발포제를 포함한다.
물리적 발포제는, 출발 성분에 대해 불활성이고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액체이고 우레탄 반응 조건에서 기화하는 화합물이다. 물리적 발포제는 또한, 실온에서 기체이고 압력 하에서 출발 성분에 도입되거나 용해되는 화합물,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저비점 알칸, 플루오로알칸 및 플루오로올레핀을 포함한다.
물리적 발포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칸 및 시클로알칸, 디알킬 에테르, 에스테르, 케톤, 아세탈, 플루오로알칸,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올레핀 및 알킬 쇄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테트라알킬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특히 테트라메틸실란이다.
언급될 수 있는 예는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및 시클로부탄, n-펜탄, 이소펜탄 및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디메틸 에테르, 메틸 에틸 에테르, 메틸 부틸 에테르, 메틸 포르메이트, 아세톤 및 대류권에서 분해될 수 있어 오존층을 손상시키지 않는 플루오로알칸,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탄, 디플루오로메탄,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디플루오로에탄 및 헵타플루오로프로판이다. 플루오로올레핀의 예는 1-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1,1,1,4,4,4-헥사플루오로부텐이다. 언급된 물리적 발포제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적 발포제는 물, 포름산, 등을 포함한다.
촉매로서,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을 촉진하는 모든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Kunststoffhandbuch, volume 7, Polyurethane", Carl Hanser Verlag, 3rd edition 1993, chapter 3.4.1]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아민계 촉매 및 유기 금속 화합물에 기초한 촉매를 포함한다.
유기 금속 화합물에 기초한 촉매로서, 예를 들어, 유기 주석 화합물 예컨대 유기 카르복실산의 주석(II) 염, 예를 들어, 주석(II) 아세테이트, 주석(II) 옥토에이트, 주석(II) 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주석(II) 라우레이트, 및 유기 카르복실산의 디알킬주석(IV) 염, 예를 들어,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말리에이트 및 디옥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및 또한 비스무트 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비스무트(III) 네오데카노에이트, 비스무트 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비스무트 옥타노에이트, 또는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칼륨 아세테이트 또는 칼륨 포르메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폼 안정제라는 용어는 폼 형성 동안 규칙적인 셀 구조의 형성을 촉진하는 재료를 지칭한다. 언급될 수 있는 예는 하기와 같다: 실리콘 포함 폼 안정제 예컨대 실록산-옥시알킬렌 코폴리머 및 다른 유기폴리실록산. 지방 알콜, 옥소 알콜, 지방 아민, 알킬페놀, 디알킬페놀, 알킬크레졸, 알킬레조르시놀, 나프톨, 알킬나프톨, 나프틸아민, 아닐린, 알킬아닐린, 톨루이딘, 비스페놀 A, 알킬화 비스페놀 A, 폴리비닐 알콜의 알콕실화 생성물 및 또한, 포름알데히드와 알킬페놀, 포름알데히드와 디알킬페놀, 포름알데히드와 알킬크레졸, 포름알데히드와 알킬레조르시놀, 포름알데히드와 아닐린, 포름알데히드와 톨루이딘, 포름알데히드와 나프톨, 포름알데히드와 알킬나프톨 및 또한 포름알데히드와 비스페놀 A의 축합 생성물의 추가의 알콕실화 생성물 또는 이들 폼 안정제 중 2 이상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첨가제로서, 난연제, 가소제, 추가 충전제 및 다른 첨가제 예컨대 항산화제, 정전기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충전율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WO 2012/076375A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성형 밀도(MD)/자유 상승 밀도(FRD)로서 정의된다. 성형 밀도(MD)는 샘플의 중량을 측정한 후 그 중량을 샘플의 측정 부피로 나누어 결정된 밀도를 의미한다. 자유 상승 밀도(FRD)는 12g 이상의 총 시스템 배합 중량에서 생성된 (주위 공기압에서의) 자유 상승 폼에서 측정된 밀도를 의미한다. FRD는 kg/m3로 보고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충전율이 높을수록, 사용되는 발포제의 비율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PU 폼의 제조를 위한 반응 혼합물은 1.1-1.9의 충전율로 몰드 캐비티 내에 투입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 혼합물은,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에서 발포제의 비교적 높은 비율의 사용으로 인해, 2.0-4.0, 바람직하게는 2.5-3.5, 더 바람직하게는 2.5-3.0의 충전율로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투입된다.
비교적 높은 비율의 발포제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에 사용되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폼은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에 추가 압력이 사용되기 때문에 오버플로우된 폼이 없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은 당업계의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균일한 셀을 가지며, 이에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초래할 수 있다.
추가 압력은 0.001 MPa - 0.2 MPa, 바람직하게는 0.01 MPa - 0.1 MPa, 더 바람직하게는 0.03 MPa - 0.08 MPa이다. 본원에서, "추가 압력"이란 표현은 대기압에 더해진 압력을 의미한다.
추가 압력은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가스를 추가하여 생성되는 압력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반응 혼합물을 첨가하기 이전, 도중 및/또는 이후에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가스를 추가함으로써 추가 압력이 생성된다. 상기 가스는 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헬륨, 아르곤, 산소, 저비점 물리적 발포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PU 폼은, 반응기,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반응기(1)에서 각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당업계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및 발포제 및 임의적으로 첨가제 예컨대 촉매가 용기에서 혼합된 다음, 생성된 혼합물이 반응기의 파트(4) 내에 투입되고, 이후에 상기 파트(4)가 실링 플랜지(5)에 의해 파트(6)에 연결된다. PU 폼은 반응기의 파트(3)에서 형성되고, 상기 파트(3)은 파트(4) 및 파트(6)을 포함한다. 주입구(8)를 통해 반응기의 버퍼 파트(2) 내에 추가 압력이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7)가 반응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에 연결되고 배출구(9)가 반응기의 압력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냉장고 단열재, 온수기 단열재, 냉동(reefer) 단열재, 샌드위치 패널 단열재, 쿨러 박스 단열재, 자동차 시트, 자동차 카펫, 엔지니어 커버, 핸들, 인스트루먼트 패널, 소파, 베개, 신발창 및 볼, 등에서의 폴리우레탄 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지만,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으며 사용량은 표 1 및 2에 수록되어 있다. 모든 실시예는 몰드 폼의 밀도 150kg/m3(즉, MD=150kg/m3)를 타겟으로 한다.
비교예 1
표 1에 따른 성분 A 및 성분 B를 반응기 내에서 교반하면서 3s 동안 혼합한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기압에 있는 반응기 내에 12g의 혼합물을 투입한다. 126s 후, 발포 부피는 80ml에 도달한다. 203s 후, 폼의 성장이 멈추면 최종 발포 부피가 120ml에 도달한다.
생성된 폼의 SEM(주사형 전자 현미경) 그래프가 도 2에 도시된다.
Figure pct00001
비교예 2
표 2에 따른 성분 A 및 성분 B를 반응기 내에서 교반하면서 3s 동안 혼합한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기압에 있는 반응기 내에 12g의 혼합물을 투입한다. 93s 후, 발포 부피는 80ml에 도달한다. 212s 후, 폼의 성장이 멈추면 발포 부피가 200ml에 도달한다.
생성된 폼의 SEM(주사형 전자 현미경) 그래프가 도 3에 도시된다.
Figure pct00002
비교예 3
표 1에 따른 성분 A 및 성분 B를 반응기 내에서 교반하면서 3s 동안 혼합한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기 내에 12g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0.03MPa의 추가 압력을 가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 223s 후, 폼의 성장이 멈추면 최종 발포 부피가 70ml에 도달한다.
실시예 1
표 2에 따른 성분 A 및 성분 B를 반응기 내에서 교반하면서 3s 동안 혼합한 다음, 0.03MPa의 추가 압력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기 내에 12g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동시에 발포 부피가 80ml에 도달할 때까지(약 108s) 추가 압력을 빠르게(약 20s) 해제하며 이때 반응기 내부 압력은 1기압(즉, 추가 압력 없이)이었다. 폼이 100ml로 성장하면, 0.03Mpa의 추가 압력이 반응기 내에 가해지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162s 후, 폼의 성장이 멈추면 최종 발포 부피가 120ml에 도달한다.
생성된 폼의 SEM(주사형 전자 현미경) 그래프가 도 4에 도시된다.
실시예 2
표 2에 따른 성분 A 및 성분 B를 반응기 내에서 교반하면서 3s 동안 혼합한 다음, 추가 압력없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기 내에 12g의 혼합물을 투입한다. 62s 후, 발포 부피가 80ml에 도달한다. 폼이 100ml로 성장하면, 0.03Mpa의 추가 압력이 반응기 내에 가해지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113s 후, 폼의 성장이 멈추면 최종 발포 부피가 120ml에 도달한다.
실시예 3
표 2에 따른 성분 A 및 성분 B를 반응기 내에서 교반하면서 3s 동안 혼합한 다음, 압력이 0.95 atm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기 내에 12g의 혼합물을 투입한다. 46s 후, 발포 부피가 80ml에 도달한다. 폼이 100ml로 성장하면, 압력이 0.04Mpa(게이지)로 상승되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105s 후, 폼의 성장이 멈추면 최종 발포 부피가 120ml에 도달한다.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폼의 상승 시간이 비교예에 비해 짧고,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폼의 셀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셀보다 더 균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취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0)

  1.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으로서,
    (1) 반응 혼합물을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투입하는 단계, 및
    (2) 반응 혼합물을 추가 압력에서 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반응 혼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및 발포제를 포함하고, 반응 혼합물은 2.0-4.0의 충전율로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투입되는 것인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은 2.5-3.5, 바람직하게는 2.5-3.0의 충전율로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투입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추가 압력은 0.001 MPa-0.2 MPa, 바람직하게는 0.01 MPa-0.1 MPa, 더 바람직하게는 0.03 MPa-0.08 MPa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 압력은,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가스를 추가하여 생성되는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추가 압력은, 반응 혼합물의 첨가 이전, 도중 및/또는 이후에 가압 가능한 챔버 내에 가스를 추가하여 생성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고분자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MDI),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NDI), 디메틸-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TO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메타-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발포제는 물리적 발포제 및/또는 화학적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
  10. 냉장고 단열재, 온수기 단열재, 리퍼(reefer) 단열재, 샌드위치 패널 단열재, 쿨러 박스 단열재, 자동차 시트, 자동차 카펫, 엔지니어 커버, 핸들, 인스트루먼트 패널, 소파, 베개, 신발창, 및 볼에서의 제9항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의 용도.
KR1020217027876A 2019-02-01 2020-01-28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KR202101228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074454 2019-02-01
CNPCT/CN2019/074454 2019-02-01
PCT/EP2020/052042 WO2020157063A1 (en) 2019-02-01 2020-01-28 Method for preparing polyurethane foa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820A true KR20210122820A (ko) 2021-10-12

Family

ID=6937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876A KR20210122820A (ko) 2019-02-01 2020-01-28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98383A1 (ko)
KR (1) KR20210122820A (ko)
CN (1) CN113396172A (ko)
WO (1) WO20201570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2104A (en) * 1962-02-14 1965-05-04 Glidden Co Process for making thick-skinned articles comprising polyurethane foam
IT1035789B (it) * 1974-06-21 1979-10-20 Mccord Corp Schiuma uretanica che assorbe energia d urto in particolare per paraurti di autoveicoli
US4777186A (en) * 1987-05-04 1988-10-11 Scotfoam Corporation Restricted expansion foaming and the flexible polyurethane foam thereby produced
US5026739A (en) * 1988-07-15 1991-06-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s of producing rigid polyurethane foams for interior or exterior use for automobiles
DE3942329A1 (de) * 1989-12-21 1991-06-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weichschaumstoffen mit geringer stauchhaerte und hierfuer verwendbare blockpolyoxypropylen-polyoxyethylen-polyolgemische
RU2106253C1 (ru) * 1991-11-14 1998-03-10 Префоам АГ Способ и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ит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DE4412677A1 (de) * 1994-04-13 1995-10-1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aumstoffen in Gegenwart von Aminoalkyl- oder Aminophenyl-imidazolen als Katalysator sowie die Verwendung dieser Katalysatoren zur Herstellung von Polyisocyanat-polyadditionsprodukten
KR20020087444A (ko) * 2000-03-29 2002-11-2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펜타플루오로부탄 발포제를 사용하는 인테그랄 스킨 폼
US6716890B1 (en) 2003-01-30 2004-04-06 Foamex L.P. Polyurethane foams with fine cell size
TR201708752T4 (tr) * 2010-04-21 2018-11-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Köpük izolasyon ünitesi.
EP2463329A1 (en) 2010-12-09 2012-06-1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molding rigid polyurethane foams"
EP2855549B1 (en) 2012-05-25 2017-10-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duction of polyisocyanurate foam panels
CN103509168B (zh) * 2012-06-15 2018-04-27 科思创聚合物(中国)有限公司 微孔聚氨酯的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ITMI20131210A1 (it) 2013-07-18 2015-01-1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zione a base di un espanso poliuretanico per pannelli discontinui preparati a pressione atmosferica ridot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8383A1 (en) 2022-03-31
WO2020157063A1 (en) 2020-08-06
CN113396172A (zh)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1760B2 (ja) 高い通気量を有する粘弾性フォーム
JP5628024B2 (ja) 高弾性発泡体
RU2648065C2 (ru) Жесткий пенополиуретан, имеющий ячейки малого размера
WO2013030101A1 (en) Polyurethane rigid foams
JP7110221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640040C2 (ru) Вакуумны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уретановой пены
US20160168348A1 (en)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for discontinuous panels formed under a reduced pressure
US11691355B2 (en) 3D spacer fabric reinforced PU composite and its use
EP3052559B1 (en) Polyester polyol and polyol blends and rigid polyurethane foam manufacturing
EP4056615A1 (en) Novel in-situ formed polyol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foams prepared from these in-situ formed polyol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11001665B1 (en) Open-cell rigid polyurethane foam and the use thereof
KR20210122820A (ko)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JP7346409B2 (ja) ウレタン基及びイソシアヌレート基を含む連続気泡硬質フォ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20220306825A1 (en) Polyurethane-based insulation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3167843A1 (en) Sustainable polyester polyols and uses thereof
US20220411599A1 (en) Polyurethane rigid foam
CN117881711A (zh) 制备聚氨酯弹性体泡沫的方法
US20230141110A1 (en) Preparation of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s using liquid siloxane nucleating additive
JP2023529615A (ja) イソシアネート反応性組成物、並びにポリウレタン及び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を調製する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