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936A -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936A
KR20210121936A KR1020200039407A KR20200039407A KR20210121936A KR 20210121936 A KR20210121936 A KR 20210121936A KR 1020200039407 A KR1020200039407 A KR 1020200039407A KR 20200039407 A KR20200039407 A KR 20200039407A KR 20210121936 A KR20210121936 A KR 20210121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essential oil
cosmetic composition
sasab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선영
최연순
전병배
김도윤
김하빈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03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936A/ko
Publication of KR2021012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향상된 미백 효과를 가져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에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MPRISING ARTEMISIA SPP. ESSENTIAL OIL}
본 발명은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쑥(Artemisia)은 한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와 유럽지역 등에 분포되어 자생하는 국화과(Asteraceae)의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약 400 여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중에서 300 여종이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다. 쑥은 예로부터 중요한 약용식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것으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되었으며, 특히 여러가지 피부병, 만성위장병, 하복부통, 천식, 구충 및 악취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자발쑥(Artemisia spp.)은 강화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특산물로 일반 쑥에 비해 약효가 탁월하여 주로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소염제, 진통제, 강심제, 진해제 등으로 널리 이용되었으며, 약리적 효능으로는 항암, 항균, 면역 증진 작용이 알려져 있다. 또한, 피를 맑게 하고 소화를 돕는가 하면 피부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
이에 사자발쑥을 다양한 제품에 응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34554호는 사자발쑥으로부터 추출된 유파폴린과 유파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증을 완화시키고 피부암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6133호는 강화사자발쑥 추출물과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여 소취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은 사자발쑥의 새로운 이용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주로 사자발쑥의 항암, 항균, 면역 증진 효능에 국한되어 있으며, 사자발쑥의 피부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34554호(2015.12.02), 사자발쑥으로부터 추출된 유파폴린과 유파티린을 포함하는 염증 완화 및 피부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6133호(2013.07.09),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사자발쑥으로부터 추출한 정유가 피부의 미백에 효과적이고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노화 및 산화를 방지하고 미백 효과를 가져 피부의 미용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자발쑥 유래의 정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자발쑥 유래의 정유 중에서도 특히,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한 정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1,8-시네올(1,8-cineol), 4-테르피네올(4-Terpineol) 및 (-)-베타-캐리오필렌((-)-β-caryophyl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8-시네올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4-테르피네올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타-캐리오필렌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사자발쑥으로부터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자발쑥은 초벌쑥 또는 재벌쑥일 수 있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초벌쑥을 1 내지 3 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 또는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유도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식물 유래의 사자발쑥 정유를 포함함으로써 항산화능 및 항노화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미용 및 건강 증진에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사자발쑥의 초벌쑥을 1 내지 3 시간 추출한 정유를 포함함에 따라 항산화 및 항노화에서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의 생리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ABTS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합성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합성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합성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합성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합성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증식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증식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증식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증식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멜라닌 세포 증식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type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자발쑥은 민간요법을 통해 수십 가지의 약리 효능이 알려져 중요 약용식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특히, 사자발쑥은 피부의 생리활성에 유효한 성분을 다른 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의 산화, 노화를 방지하여 피부 상태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사자발쑥을 물 또는 알코올계 용매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한 사자발쑥 추출물 형태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자발쑥 추추물은 큰 분자량을 갖는 친수성 유효 성분을 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표면이 피지막으로 덮여 친유성의 성질을 갖는 피부 내로의 침투는 매우 어려워 화장품으로는 적용이 제한적이다.
식물성 천연 정유(natural essential oil)는 26 내지 300 Da 범위인 저분자량의 소수성 유효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에 도포하면 흡수가 빠를 뿐만 아니라 친유성의 피부 각질층을 쉽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본래 향료로서의 활용 이외에 식품, 의약 및 화장품 분야에서 원료로의 응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자발쑥의 수용성 용매 추출물이 아닌 사자발쑥 정유를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피부의 항산화 및 항노화 등의 기능성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미백 역시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사자발쑥 정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자발쑥 정유(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이라고도 함)는 사자발쑥의 잎, 줄기, 꽃, 열매, 종자, 뿌리, 껍질 등 모든 부위로부터 얻은 정유를 의미하며, 추출 부위가 특정의 부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자발쑥은 우리나라의 강화도 지방에서 자생되어 오던 약쑥으로서, 사자발과 비슷하게 생겼다 하여 붙여졌다. 이러한 사자발쑥이라는 명명은 역사적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강화도호부의 토산품소개란에 “사자족애(獅子足艾)”로 기록되고, ‘방약합편(方藥合編)’에서 “사자발쑥”으로 기재된 데서부터 유래되었다.
상기 사자발쑥은 단조로운 잎과 위쪽으로 향하여 말리는 특징이 있다. 상기 사자발쑥의 알려진 효능 및 효과로는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되고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생리통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며, 치질, 지혈, 상처치료, 살균작용, 위장기능강화, 노화방지, 여성질환, 고혈압, 간기능 개선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식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사자발쑥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자발쑥의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은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으로 식물 원료인 사자발쑥을 물에 접촉하지 않고 수증기만으로 추출하기 때문에 정유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고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상기 수증기 증류법은 용매 추출의 단점인 용매의 제거가 필요 없으며, 친환경적이고, 안정성이 높은 정유를 얻을 수 있어 대규모 천연 정유의 생산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증기 증류법은 수증기를 이용하여 식물의 세포벽을 깨뜨림으로써 천연 정유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식물의 세포벽이 깨어져 향기 물질이 증발되는데, 이 증발된 향기 물질을 다시 냉각시키면 액체 상태의 정유를 얻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사자발쑥을 추출기에 넣고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고, 이때 추출된 추출액을 모아 저온에서 냉각시킨 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거쳐 물층으로부터 오일(oil)층만을 분리한다. 이때 추출 시간은 사자발쑥의 건조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의 추출 대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자발쑥의 모든 부위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기능성 효과나 품질 면에서 사자발쑥의 잎과 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사자발쑥은 채취 시기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5월 내지 6월에 채취한 것을 초벌쑥, 8월 내지 9월에 채취한 것을 재벌쑥, 10월 내지 11월에 채취한 것을 삼벌쑥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전술한 사자발쑥의 채취 시기 중 초벌쑥 또는 재벌쑥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사자발쑥 정유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고려하면 초벌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초벌쑥 중에서도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1 내지 3 시간 동안 추출한 정유가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 시간의 하한치는 1.2 시간, 1.5 시간, 1.8 시간, 2 시간, 2.5 시간일 수 있으며, 상한치는 2.8 시간, 2.5 시간, 2 시간, 1.8 시간, 1.5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가 1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한 정유의 경우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면에서 초벌쑥의 추출 시간을 달리한 경우, 재벌쑥, 삼벌쑥, 및 건조쑥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사자발쑥은 채취한 후 그대로 사용(이하, 생초라고 함)하거나 건조하여 사용(이하, 건초라고 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으로는 양건, 음건, 열풍 건조 및 자연 건조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자발쑥 또는 그 건조물을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전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얻어진 사자발쑥 정유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는 1,8-시네올(1,8-cineol), 4-테르피네올(4-terpineol) 및 (-)-베타-캐리오필렌((-)-β-caryophyl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자발쑥 정유에 있어서, 상기 1,8-시네올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8-시네올의 함Žc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하한치가 15.4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60 중량% 50 중량% 이하 또는 4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1-8-시네올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자발쑥 정유에서, 상기 4-테르피네올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4-테르피네올의 함Žc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하한치가 7.5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18 중량% 이하, 16.5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4-테르피네올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자발쑥 정유에서 상기 (-)-베타-캐리오필렌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타-캐리오필렌의 함Žc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하한치가 1.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또는 1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또는 16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베타-캐리오필렌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자발쑥 정유가 전술한 피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성분들에 의해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아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고, 콜라겐 합성 유도 활성을 가져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피부의 생리활성은 후술하는 실험예를 통해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의 함Žc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하한치가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또는 0.3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15 중량% 이하, 12.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사자발쑥 정유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항산화, 항노화 및 미백 효과가 미미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으로 가공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또는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의 산화를 억제시키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또는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의 양이온 라디칼을 제거하는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져 항산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피부의 표피에 존재하는 색소 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며, 멜라노사이트의 증식을 억제하여 세포 내 멜라닌(melanin) 생합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유도 활성을 갖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type Ⅰ및 type Ⅳ 콜라겐 합성과 분비를 유도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피부 탄력 또는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향상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연고, 파우더, 비누, 클렌징, 패치, 팩,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젤, 팩, 패치, 마스크, 미스트 등의 스킨 케어 제품,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마스카라,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제품,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포인트 메이크업 리무버 등의 메이크업 제거 제품, 비누, 클렌징 폼, 바디 워시 등의 세정 제품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담체, 매질 또는 기제를 포함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강화 약쑥 작목반의 사자발쑥 재배 농가에서 구입한 사자발쑥을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사자발쑥 정유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채취한 사자발쑥의 잎과 줄기를 1년 동안 자연 건조시킨 건초 100 kg을 수증기증류법을 통해 얻어진 증기를 저온에서 냉각하고, 분리 및 정제 과정을 거쳐 사자발쑥 정유 14 g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사자발쑥의 건초 대신 생초인 초벌쑥을 동일 함량으로 사용하고, 추출 시작부터 1 시간이 되는 시점까지의 증기로부터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사자발쑥 정유 10.8 g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사자발쑥의 건초 대신 생초인 초벌쑥을 동일 함량으로 사용하고, 추출 시작부터 1 시간 내지 3시간이 되는 시점까지의 증기로부터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사자발쑥 정유 12 g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사자발쑥의 건초 대신 생초인 재벌쑥을 동일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사자발쑥 정유 92 g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사자발쑥의 건초 대신 생초인 삼벌쑥을 동일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사자발쑥 정유 28 g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사자발쑥의 건초 대신 생초인 사자발쑥의 꽃을 동일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사자발쑥 정유 220 g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사자발쑥 정유의 성분 분석
실시예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정유의 성분 분석은 KBSI(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seoul center)에 의뢰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계(6890N GC/5975i MS, Agilent, USA)를 사용하였고, GC/MS의 컬럼(column)은 DB5-MS(30 mХ50 ㎛, 0.25 ㎛)를 사용하였으며, 캐리어 가스(carrier gas)는 He를 사용하여 1 ㎖/분으로 흐르게 하여 분석하였다. 오븐의 온도는 40 ℃-2 ℃/분-230 ℃-5 ℃/분-300 ℃(5분)으로 유지하였으며, injection의 온도는 280 ℃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Interface의 온도는 300 ℃, ion source의 온도는 230 ℃, analyzer의 온도는 150 ℃에서 분석하였으며, Mass range는 40~800 m/z에서 분석하였다.
사자발쑥 오일 성분의 확인은 휘발성분의 지체시간(retention indices, RI)과 표준물질의 지체시간과 일치하거나 휘발물질의 질량 스펙트럼과 Wiley 7Nist 05 library의 질량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물질을 확인하였다. RI는 C6 ~ C24 (n-alkane)를 이용하여 시료와 동일 조건에서 결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1 내지 6 및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표 1은 1,8-시네올, 4-테르피네올 및 (-)-베타-캐리오필렌의 함량에 대해서만 기재하였다.
성분명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8-시네올 37.22 44.92 15.45 39.04 17.86 22.13
4-테르피네올 5.27 8.83 10.82 10.62 7.61 18.66
(-)-베타-캐리오필렌 1.72 2.32 16.19 14.40 3.96 0.75
실험예 2. 사자발쑥 정유의 항산화 활성 평가
실시예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정유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BTS 라디칼 및 DPPH 라디칼의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1) ABTS 라디칼 소거능 평가
사자발쑥 정유의 항산화 활성 중 하나인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사용된 ABTS 시약은 7 mM ABTS와 2.45 mM 포타슘 포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한 후 상온 암소에서 12 시간 이상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0.0001 내지 10 ㎎/㎖의 농도로 희석한 실시예의 사자발쑥 정유 50 ㎕에 상기에서 제조한 ABTS 시약 100 ㎕를 상온에서 5 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계(Synergy 2, Bio-Tek Instruments, Winooski, Vermont, USA)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바탕군(blank)으로는 ABTS 시약으로 처리하지 않은 동일 농도로 희석한 실시예의 사자발쑥 정유를, 대조군으로는 ABTS 시약 대신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아래의 식 1을 이용하여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식 1>
ABTS 라디칼 소거능(%) = {1-(ABTS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바탕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시료-바탕군의 흡광도)}*100
(2) DPPH 라디칼 소거능 평가
사자발쑥 정유의 항산화 활성 중 하나인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사자발쑥 정유의 DPPH에 대한 수소 공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0.2 mM DPPH 시약을 99 % 에탄올에 희석하여 만들어 사용하였다. 0.0001 내지 10 ㎎/㎖의 농도로 희석한 실시예의 사자발쑥 정유 100 ㎕에 상기에서 제조한 DPPH 시약 50 ㎕를 혼합하여 15 분간 방치한 후 분광계(Synergy 2, Bio-Tek Instruments, Winooski, Vermont, USA)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바탕군(blank)으로는 DPPH 시약으로 처리하지 않은 동일 농도로 희석한 실시예의 사자발쑥 정유를, 대조군으로는 DPPH 시약 대신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으며, 아래의 식 2를 이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식 2>
DPPH 라디칼 소거능(%) = {1-(DPPH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바탕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시료-바탕군의 흡광도)}*100
도 7 및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는 0.1 내지 10 ㎎/㎖의 농도에서 공통적으로 ABTS 라디칼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초벌쑥을 사용하고 추출 1 내지 3시간 동안의 증기로부터 얻어진 사자발쑥 정유인 실시예 3의 경우 항산화력이 다른 실시예의 사자발쑥 정유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경우 항산화 활성이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에 비해서는 약하지만, 기능성 원료로서 화장품 첨가량을 고려할 경우 충분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사자발쑥 정유의 미백 활성 평가
(1) 멜라닌 세포 독성 평가
마우스 멜라닌 세포(Mouse melanocyte)인 B16BL6을 American Type Tissue Collection(ATCC)로부터 구입하여 10% 우태아 혈청(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미백 활성 분석 전 사자발쑥 정유의 세포 독성 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이후 실험에서 세포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시료의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WST 분석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9 내지 13에 나타내었다.
도 9 내지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 4 및 5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경우 200 ㎍/㎖까지, 실시예 3의 경우 50 ㎍/㎖의 처리에 의해서는 세포 독성이 보이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2)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평가
마우스 멜라닌 세포인 B16BL6에 200 nM의 α-MSH(α-melanocyte stunulating hormone)를 처리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 monophenol monooxygenase) 활성을 유도하고, 실시예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에 의한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6 웰 플레이트(well plate) 에 0.5 * 105 cells/㎖ 농도로 B16BL6 세포를 분주한 후 시료 처리하고 48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 세포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씻어준 다음 250 ㎕ lysis buffer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1% Triton X-100, 0.2 mM PSMF]를 처리하여 원심분리 후, 상등액 60 ㎕와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에 녹인 L-DOPA (2 ㎎/㎖) 140 ㎕를 첨가하고 37 ℃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한 후, 49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총 단백질양을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알부틴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14 내지 18에 나타내었다.
도 14 내지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2, 4 및 5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의 경우 50 ㎍/㎖와 100 ㎍/㎖에서, 실시예 3의 경우 10 ㎍/㎖와 50 ㎍/㎖의 처리 농도 범위에서 티로시나제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는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미백 효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3) 멜라닌 합성 억제 활성 평가
마우스 멜라닌 세포인 B16BL6에 200 nM의 α-MSH(α-melanocyte stunulating hormone)를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반응(melanogenesis)을 유도하고, 실시예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0.5 * 105 cells/㎖ 농도로 B16BL6 세포를 분주한 후 시료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 세포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씻어준 다음 250 ㎕ lysis buffer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1% Triton X-100, 0.2 mM PSMF]를 처리하여 원심분리 후, 남은 펠렛(pellet)에 10 % 디메틸설폭시화물(dimethyl sulfoxide, DMSO)가 포함된 1 N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를 처리하여 80 ℃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합성한 멜라닌 용액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그린 후 측정값을 대입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계산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알부틴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19 내지 23에 나타내었다.
도 19 내지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5의 경우 10 ㎍/㎖, 50 ㎍/㎖와 100 ㎍/㎖에서, 실시예 2 및 4의 경우 50 ㎍/㎖와 100 ㎍/㎖에서, 실시예 3의 경우 1 ㎍/㎖, 10 ㎍/㎖와 50 ㎍/㎖의 처리 농도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인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는 멜라닌 합성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미백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4) 멜라닌 세포 증식 억제 활성 평가
마우스 멜라닌 세포인 B16BL6의 증식 저해능을 평가하기 위해 2 % 우태아 혈청(FBS)으로 멜라닌 세포의 증식을 억제한 뒤, 실시예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에 의한 멜라닌 세포 증식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3000 개의 B16BL6 세포를 분주한 후 12 시간동안 배양하고 시료 처리 후 48 시간 동안 배양한다. 10 ㎕의 WST 용액을 처리하여 37 ℃ 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분광계(Synergy 2, Bio-Tek Instruments, Winooski, Vermont, USA)를 이용하여 45 ㎚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24 내지 28에 나타내었다.
도 24 내지 28을 통해, 실시예 1의 경우 10 ㎍/㎖, 50 ㎍/㎖와 100 ㎍/㎖에서, 실시예 2, 4 및 5의 경우 50 ㎍/㎖와 100 ㎍/㎖에서, 실시예 3의 경우 10 ㎍/㎖와 50 ㎍/㎖의 처리 농도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인 멜라닌 세포 증식 저해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는 멜라닌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미백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사자발쑥 정유의 항노화 활성 평가
실시예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정유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type I 또는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세포 배양 디쉬에 monoclonal anti-collagen I 또는 IV Ab, (2 ㎍/well/PBS)를 주입 후 12시간 동안 상온(25 ℃)에서 배양하였다. Blocking buffer로 1시간 동안 blocking 후, 샘플을 웰(well)당 250 ㎕로 처리하여 상온에서 90 분 동안 반응시켰다. 샘플은 사자발쑥 정유를 처리하지 않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배양액(CM)과 세포 용해물(Lysate), 각 농도별 사자발쑥 정유로 처리된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배양액(CM)과 세포 용해물(Lysate)을 처리하였다. 그 후, polyclonal anti-collagen I 또는 IV Ab를 각 웰(well)에 처리하여 상온에서 90 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streptavidin-POD를 각 well에 처리하여 상온에서 60 분 동안 반응시켰다. Supersinal ELISA pico chemiluminescent substrate를 각 웰(well)당 100 ㎕씩 주입하여 10 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luminescence 정도를 측정하였고,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29 내지 38에 나타내었다.
도 29 내지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자발쑥 정유는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type I 콜라겐(도 29 내지 33)과 type IV 콜라겐(도 34 내지 38)의 합성과 분비를 유의하게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50 ㎍/㎖, 실시예 2의 경우 10 ㎍/㎖에서, 실시예 3의 경우 1 ㎍/㎖와 10 ㎍/㎖에서, 실시예 4 및 5의 경우 50 ㎍/㎖와 100 ㎍/㎖의 처리 농도 범위에서 콜라겐 합성 유도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에 따른 사자발쑥 정유는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type I과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초벌쑥의 추출 1 내지 3시간 동안의 증기로부터 얻어진 사자발쑥 정유인 실시예 3의 경우 낮은 처리 농도로도 충분한 콜라겐 합성 유도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화장품의 제조
1-1. 유연 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사자발쑥 정유를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단위: 중량%)
정제수 to 100
피이지-6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 4
글리세린 4
페녹시에탄올 0.2
사자발쑥 정유 0.001
1-2. 로션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사자발쑥 정유를 포함하는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단위: 중량%)
정제수 to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7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3.5
카보머 0.18
트로메타민 0.06
다이메티콘 2
부틸렌글라이콜 8
사자발쑥 정유 0.1
1-3. 크림의 제조
하기 표 4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사자발쑥 정유를 포함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단위: 중량%)
정제수 to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0.5
세칠헥사노에이트 1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4
다이메티콘 3
글리세린 7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사자발쑥 정유 0.3

Claims (14)

  1.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1,8-시네올, 4-테르피네올 및 (-)-베타-캐리오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8-시네올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테르피네올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캐리오필렌은 상기 사자발쑥 정유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사자발쑥으로부터 추출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자발쑥은 초벌쑥 또는 재벌쑥인,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초벌쑥을 1 내지 3 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자발쑥 정유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 또는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유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39407A 2020-03-31 2020-03-31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1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407A KR20210121936A (ko) 2020-03-31 2020-03-31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407A KR20210121936A (ko) 2020-03-31 2020-03-31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36A true KR20210121936A (ko) 2021-10-08

Family

ID=7811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407A KR20210121936A (ko) 2020-03-31 2020-03-31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193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133B1 (ko) 2013-02-14 2013-07-26 주식회사 더마랩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4554A (ko) 2014-05-22 2015-12-02 주동조 사자발쑥으로부터 추출된 유파폴린과 유파티린을 포함하는 염증 완화 및 피부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133B1 (ko) 2013-02-14 2013-07-26 주식회사 더마랩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4554A (ko) 2014-05-22 2015-12-02 주동조 사자발쑥으로부터 추출된 유파폴린과 유파티린을 포함하는 염증 완화 및 피부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359B1 (ko)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655A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9766B1 (ko)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98980B1 (ko)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121936A (ko) 사자발쑥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6785A (ko)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89463B1 (ko) 마이크로파 처리된 황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12907B1 (ko) 더덕 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644064B1 (ko)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07614B1 (ko) 제비꽃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8201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4647B1 (ko) 흑호두나무, 회화나무 및 소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