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902A -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902A
KR20210121902A KR1020200039333D KR20200039333D KR20210121902A KR 20210121902 A KR20210121902 A KR 20210121902A KR 1020200039333 D KR1020200039333 D KR 1020200039333D KR 20200039333 D KR20200039333 D KR 20200039333D KR 20210121902 A KR20210121902 A KR 20210121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place
mode
eavesdropping
wiret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333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Publication of KR2021012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6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deceptive jamming or unauthorized interrogation or access, e.g. WLAN access or RFID re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설치형으로 동작하지만, 휴대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휴대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도청 신호를 감시하여 생성한 감시 데이터는 설치형 모드로 복귀한 후에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휴대형 모드가 수행된 감시장소에 대한 정보가 감시 데이터에 포함되어 전송됨으로써 관제원이 효율적으로 관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청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설치형이면서 휴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구비한 도청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청 탐지 단말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청취하여 도청 시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장치로서, 설치형과 휴대용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관리자가 휴대하면서 내장 안테나를 이용하여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를 검출하는데 반해, 설치형 단말기는 특정 공간에 설치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감시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장시간 도청 전파를 감시할 수 있다. 도청이 상시로 일어나는 것이 아닌 경우에, 휴대용은 도청 신호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특정 공간에서의 긴급한 확인에 유용하다. 설치형은 장시간 감시하면서 전체적인 도청 시도를 확인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안테나를 미리 설치하여 전파 수신 커버리지를 확장함으로써 비교적 넓은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설치형이나 휴대형 모두,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도청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는 복조하여 탐지된 전파의 실제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설치형 단말기는 통상 장시간 감시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지켜보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관제 서버에 연결되어 관제원이 도청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반면, 휴대형 단말기는 관제서버로 연결하는 기능이 없이, 현장에서 바로 감시하는 용도로 설계된다.
[관련선행기술]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75965호(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작동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설치형이면서 휴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구비한 도청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형을 이동하여 다른 장소에 설치한 경우에 전용망으로 연결된 관제서버로 그 감시 데이터를 전송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전용망이 설치된 원래 설치장소에서 다시 기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밖에 없는데, 이때 원래 장소와 이동 설치한 장소를 구분하여 감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도청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서버와,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감시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 단말기는,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 저장매체, 도청판단부 및 모드설정부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는 복수 개 감시장소 중에서 기본 장소에 설치된 전용망에 접속할 수 있고, 제2 통신부는 휴대형 모드 중에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다. 저장매체에는 도청판단부가 생성하는 감시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도청판단부는 도청 감시를 위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여 도청 여부를 감시하고 도청이 감지되면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면 설치형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되면 상기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한다.
실시 에에 따라,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휴대형 모드에서 설치형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휴대형 모드 동안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감시장소 인식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장소정보를 지시하는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상기 감시장소마다 설치되는 장소인식용 태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시 단말기에는 상기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장소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장소인식부가 인식한 태그 식별번호를 또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장소인식부는 예를 들어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수신기 등이 해당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한 후에,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되기 전까지 상기 도청판단부가 생성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감시데이터에 상기 기본장소와 다른 장소 사이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장소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받은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할 수도 있다.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에도 미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감시 단말기의 도청판단부가 도청 감시를 위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여 도청 여부를 감시하고 도청이 감지되면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단말기의 제1 통신부가 복수 개 감시장소 중에서 기본 장소에 설치된 전용망에 접속하거나 제2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단말기의 모드설정부가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면 설치형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되면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설치형 모드 중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와; 및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휴대형 모드 중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치형과 휴대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청 감시용 단말기는 관제서버와 연결된 전용라인이 설치된 상시 설치 장소(또는 기본 장소)에 설치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형처럼 장소를 옮겨 다른 장소에서도 도청 감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감시 상황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감시용 단말기는 원래 설치 장소와 이동 감시장소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이동 감시장소에서 생성한 감시 데이터를 관제서버로 전송할 때 장소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관제원이 장소를 구분하여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포함된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여러 개 감시구역으로 구분된 감시 사이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청 감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청 감시시스템(100)은 도청감시용 감시 단말기(110, 130)와, 단말기(110, 130)에 연결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50)와, 전용망(170)을 통해 감시 단말기(110, 130)와 연결된 관제서버(190)를 포함한다. 관제서버(190)에는 복수 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2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가 설치된 예이다.
전용망(170)은 이동전화망, 공중전화망, 기타 인터넷과 같이 공공이 접속할 수 있는 공중망이 아닐 뿐만 아니라 공중망과 연결이 없는 폐쇄된 유선망으로 한정한다. 전용망(170)은 통상 설치 사이트(공공기관, 회사 등)의 단위로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두 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는 동일한 장치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감시 단말기(1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감시 단말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일정한 범위의 감시영역(점선)에서의 도청 전파를 추적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인 감시 데이터를 전용망(170)을 통해 관제서버(190)에게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는 기본적으로 설치형 모드로 동작하지만 휴대형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며, 따라서 감시 영역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경될 수 있고, 감시 데이터에 감시 장소정보가 포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시 단말기(110)는 제1 통신부(201), 제2 통신부(203), 전원부(205), 입력부(207), 저장매체(209), 내장 안테나(ANT1), 신호처리부(211), 장소인식부(213)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도청 신호의 검출과 관련된 구성에는 내장 안테나(ANT1), 아래에서 설명하는 확장 안테나(ANT2), 신호처리부(211) 및 제어부(230)가 포함된다. 다만, 본 발명은 도청 감시 알고리즘이나 하드웨어 구성 자체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고 종래에 이미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청 자체를 감시하고 인식하는 방법이 매우 다양하고 많기 때문에, 도 2의 구성과 그에 따른 설명은 도청 감시에 직접 관련된 수단의 일 예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는 종래에 알려진 방법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으며, 종래에 알려진 알고리즘에 필요한 하드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01)는 전용망(170)을 통해 관제서버(190)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수단이다. 종래의 다양한 시리얼 통신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음성이나 영상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대역폭이 넓은 IP 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용망(170)의 특징과 보안을 고려하여, 개별 감시 단말기(110, 130) 각각은 관제서버(190)와만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감시 단말기(110, 130) 사이에 상호 연결이 불가능한 구성이 좋다.
제2 통신부(203)는 사용자 단말기(150)와 연결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 무선랜(Wireless LAN), 유선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통상의 알려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1:1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보안에 유리하다. 한편, 제2 통신부(203)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동작모드가 '휴대형 모드'에서만 동작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제1 통신부(201)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2 통신부(203)의 접속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제2 통신부(203)를 통한 전용망(170)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전원부(205)는 교류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내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하며, 휴대형으로 사용하기 위해 배터리(205a)와 그 충전회로(미도시)를 함께 구비한다.
입력부(207)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 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장소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 키보드 등이 해당한다.
저장매체(209)에는 안테나를 통해 획득한 전파신호(음성신호 및 영상신호 포함)와, 전파신호를 분석한 실시간 감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한편, 감시 단말기(110)가 휴대형 모드임에 따라 감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저장매체(209)에도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내장 안테나(ANT1)는 도청 신호를 청취하기 위해 감시 단말기(110)에 내장된 기본 안테나로서, 신호처리부(211)에 연결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감시 단말기(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안테나(ANT2)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단자(211a)가 마련된다. 확장 안테나(ANT2)는 내장 안테나(ANT1)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고, 내장 안테나(ANT1)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예컨대, LTE, 5G 신호)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신호처리부(211)는 내장 안테나(ANT1) 및 확장 안테나(ANT2)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고 기본적인 필터링, 증폭 등을 수행하여 제어부(230)에게 제공한다.
장소인식부(213)는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가 위치한 장소를 인식하여 제어부(230)에게 제공한다. 장소인식부(213)는 감시 장소에 설치된 식별수단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특정 실내 감시 장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장소인식부(213)는 RFID 수신기로 구현할 수 있다. 각 장소에는 장소인식용 태그(Tag)(301, 303)가 배치되는데, 개별 태그(301, 303)에 저장된 식별번호가 해당 장소 정보를 지시하도록 설정된다. RFID 리더기가 각 장소에 배치된 태그(301, 303)를 인식하여 태그 식별번호를 읽으면, 매핑된 장소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감시장소를 인식할 수 있다. 감시 단말기(110)가 감시하는 복수 개 영역 중에서 전용망(170)이 배치된 제1 장소를 기본 장소로 설정할 수 있다. 장소인식부(213)는 태그(301, 303)로부터 태그 식별번호를 읽어온 다음, 제어부(230)에게 제공한다. 제어부(230)는 각 태그 식별번호를 장소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고, 태그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장소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입력부(207)가 사용자로부터 장소 코드를 입력받음으로써 장소인식부(213)를 대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호처리부(211)가 제공하는 전파가 도청 신호인지 판단하여 '감시 이벤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제어부(230)는 도청판단부(231)와 모드설정부(233)를 포함한다.
도청판단부(231)는 신호처리부(211)로부터 전파 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도청 신호인지 판단한다. 전파가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인 경우에, 도청판단부(231)는 해당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 파일 또는 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종래에도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청 자체를 감시하고 인식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도청판단부(231)는 종래에 알려진 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청판단부(231)는 도청 신호라고 판단되면 감시 이벤트를 생성한다.
모드설정부(233)는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고, 각 모드 중에 도청이 확인되면 감시 이벤트를 생성하고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한다. 모드설정부(233)는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된 상태이면 설치형 모드로 동작하고 전용망(170)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형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모드설정부(233)는 장소인식부(213)가 제공하는 정보와 전용망(170) 연결 등을 기초로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위치를 인식하고, 감시 이벤트에 따라 생성하는 감시 데이터에 장소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모드 전환 및 각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설치형 모드에서의 동작
<설치형 모드와 휴대형 모드의 전환: S401>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되어 있으면 모드설정부(233)는 설치형 모드로 전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Room A에는 전용망(170)이 설치되어 있는 '기본 장소'로 설정된 곳이고, Room B는 전용망(170)이 없는 확장 공간이다. 각 방에는 태그(301, 303)가 부착되어 있다. 적어도 제2 태그(303)에 기록된 식별번호는 Room B를 지시한다. 기본 장소인 Room A에서 제1 태그(301)는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전용망(1870)이 Room A에만 설치되었다면, 전용망(170) 연결로 Room A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를 전용망(170)에 연결하면, 감시 단말기(110)는 설치형 모드로 진입한다. 설치형 모드에 진입하면, 모드설정부(233)는 제2 통신부(203)를 오프하고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되면(설치형 모드로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감시 단말기(110)에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감시 단말기(110)가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감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고 사용자 단말기(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시 단말기(110)쪽으로 제공할 수 없다.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모드설정부(233)는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고, 제2 통신부(203)가 사용자 단말기(150)와 접속하도록 허용한다.
<로그 데이터의 전송: S403, S405>
설치형 모드로 복귀한 경우에, 모드설정부(233)는 휴대형 모드 동안 발생해서 저장매체(209)에 저장되어 있는 감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설치형 모드로 복귀한 후 감시 단말기(110)는 저장매체(209)에 관제서버(190)로 전송하지 않은 감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관제서버(190)로 전송하지 않은 감시 데이터는 휴대형 모드 중에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된 감시 데이터를 포함한다(S403).
만약, 저장매체(209)에 관제서버(190)로 전송하지 않은 감시 데이터가 있으면, 감시 단말기(110)는 해당 감시 데이터를 관제서버(190)로 전송함으로써 관제원이 휴대형 모드 동안의 감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05).
<설치형 모드 중 감시 이벤트: S407, S409>
설치형 모드나 휴대형 모드에서, 내장 안테나(ANT1)와 확장 안테나(ANT2)를 이용한 도청 신호감지와 신호처리부(211)의 분석 및 도청판단부(231)의 동작은 차이가 없다. 단지 휴대형 모드인 경우에 확장 안테나(AN2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서 감시 범위가 작을 수 있을 뿐이다. 감시 데이터에는 장소정보가 포함된다.
설치형 모드 중에 감시 이벤트가 있으면(S407), 모드설정부(233)는 해당 감시 이벤트에 대한 감시 데이터(및/또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관제서버(190)로 제공한다(S409). 이때, 감시 데이터에는 기본장소 정보, 또는 장소인식부(213)가 제공한 제1 태그의 식별번호 또는 식별번호로 추출한 장소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휴대형 모드에서의 동작
<휴대형 모드 진입: S401>
S401 단계에 따라,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모드설정부(233)는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고, 제2 통신부(203)가 사용자 단말기(150)와 접속하도록 허용한다.
<장소 인식 및 사용자 단말기 연결: S411, S413>
모드설정부(233)는 휴대형 모드로 진입한 후에 장소인식부(213)가 제공하는 태그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장소를 인식한다. 각 태그 식별번호는 장소정보가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모드설정부(233)는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감시 단말기(110)를 전용망(170)으로부터 분리하는 순간 휴대형 모드로 진입하고, Room B에 설치된 제2 태그(303)를 인식함으로써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는 현재 위치가 제2 태그 식별번호에 매핑된 Room B 임을 인식할 수 있다(S411).
감시 단말기(110)는 제2 통신부(20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50)와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 단말기(150)와 연결되면 감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는 제2 통신부(203)의 연결확인이 S411 단계의 장소인식 이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통신부(203)의 연결확인이 S411 단계 전이나 S411 단계와 병렬적으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S413).
<휴대형 모드 중 감시 이벤트: S415, S417, S419>
앞서 설명한 것처럼, 설치형 모드나 휴대형 모드에서, 내장 안테나(ANT1)와 확장 안테나(ANT2)를 이용한 도청 신호감지와 신호처리부(211)의 분석 및 도청판단부(231)의 동작은 차이가 없다. 단지 휴대형 모드인 경우에 확장용 안테나(ANT2)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서 감시 범위가 작을 수 있을 뿐이지만 확장용 안테나(ANT2)를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다.
휴대형 모드 중에 감시 이벤트가 있으면(S415), 모드설정부(233)는 해당 감시 이벤트에 대한 감시 데이터(및/또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저장매체(209)에 저장한다(S417).
사용자 단말기(150)가 연결된 상태이면, 감시 단말기(110)는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감시 이벤트에 따른 감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감시 데이터에는 장소인식부(213)가 제공한 태그 식별번호(예를 들어, 도 4의 제2 태그 식별번호) 또는 대응하는 장소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감시 단말기(110)는 감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하더라도, 설치형 모드로 전환된 후에 관제서버(19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저장매체(209)에서 지우지 않고 저장해 둔다(S419).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감시동작이 수행된다.
실시 예 (공간 이동 중 태그)
감시 단말기(110)는 전용망(170)과의 연결이 끊어지면서 휴대형 모드로 전환되고 장소인식부(213)로부터 태그 식별번호를 인식하기 전이라도 도청 감시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장소미확인 시간동안, 감시 영역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감시 단말기(110)는 장소인식부(213)가 새로운 태그 식별번호를 제공할 때까지 생성한 감시 데이터에 장소정보를 입력할 수 없다. 이후 새로운 장소정보가 확인되면(또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확인되면), 그 장소미확인 시간동안 도청판단부(231)가 생성하여 저장매체(209)에 저장된 감시데이터에 기본장소와 새로운 장소 사이임을 표시하는 장소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입력부(207)를 통해 장소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이동중 정보를 따로 입력할 수 있다.
실시 예 (장소 이탈 확인용 태그)
도 3에 도시되고 앞에서 설명된 태그는 개별 장소에 도착함을 확인하는 용도이므로, 실시 예에 따라 장소이탈을 확인하기 위한 태그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감시 단말기(110)는 특정 공간에 도착과 이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감시 단말기(110)는 특정 공간 내에서 생성한 감시 데이터에만 해당 장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동 중 정보를 입력하는 앞의 실시 예에서, 장소 이탈 확인용 태그를 사용하면, 감시 단말기(110)는 더욱 정확하게 이동 중임을 확인하고 공간과 공간 사이를 이동중임을 나타내는 장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것은 기본장소(도 3의 Room A)와 다른 장소(도 3의 Room B) 사이뿐만 아니라, 다른 장소들 사이(예를 들어, Room B와 다른 장소 사이)에서 적용할 수 있다.
입력부(207)를 통해 장소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장소 도착, 장소 이탈로 나누어 장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감시 영역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감시 단말기(110)는 장소인식부(213)가 장소 정보(예를 들어, 태그 식별번호)를 제공할 때까지 감시 동작을 대기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감시 영역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감시 단말기(110)는 장소정보가 없는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제서버(19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150)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사용자 단말기(150)는 감시 단말기(110)가 제공하는 감시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50)는 복호된 음성 또는 영상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스피커(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관제서버
관제서버(190)는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용망(170)은 하나의 감시 사이트 단위로 구축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도 동일한 감시 사이트 내에 설치된 것이어야 한다. 관제서버(190)에는 복수 개의 전용망이 연결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감시 사이트를 운용할 수 있다.
관제서버(190)는 감시 단말기(110)가 제공하는 감시 데이터를 관제원에게 출력하여 관제원이 통합적으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0)

  1. 도청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감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단말기는,
    복수 개 감시장소 중에서 기본 장소에 설치된 전용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제1 통신부;
    휴대형 모드 중에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제2 통신부;
    도청판단부가 생성하는 감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
    도청 감시를 위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여 도청 여부를 감시하고 도청이 감지되면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기 도청판단부; 및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면 설치형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되면 상기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모드설정부를 포함하여 설치형과 휴대형에 사용할 수 있는 도청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휴대형 모드에서 설치형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휴대형 모드 동안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소정보를 지시하는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상기 감시장소마다 설치되는 장소인식용 태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단말기에는 상기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장소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장소인식부가 인식한 태그 식별번호를 또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한 후에,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되기 전까지 상기 도청판단부가 생성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감시데이터에 상기 기본장소와 다른 장소 사이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장소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받은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6.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에 있어서,
    감시 단말기의 도청판단부가 도청 감시를 위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여 도청 여부를 감시하고 도청이 감지되면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시단말기의 제1 통신부가 복수 개 감시장소 중에서 기본 장소에 설치된 전용망에 접속하거나 제2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감시단말기의 모드설정부가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면 설치형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되면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설치형 모드 중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휴대형 모드 중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치형과 휴대형 모드로 동작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모드에서 설치형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휴대형 모드 동안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의 장소인식부가 상기 감시장소마다 설치된 장소인식용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장소정보를 지시하는 태그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데이터에는 상기 장소인식부가 인식한 태그 식별번호를 또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장소정보가 포함됨으로써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한 후에,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되기 전까지 상기 도청판단부가 생성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감시데이터에 상기 기본장소와 다른 장소 사이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부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KR1020200039333D 2020-03-31 2020-03-31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KR20210121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33A KR102314827B1 (ko) 2020-03-31 2020-03-31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02A true KR20210121902A (ko) 2021-10-08

Family

ID=782281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333A KR102314827B1 (ko) 2020-03-31 2020-03-31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KR1020200039333D KR20210121902A (ko) 2020-03-31 2020-03-31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333A KR102314827B1 (ko) 2020-03-31 2020-03-31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48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500B1 (ko) * 2017-04-07 2017-10-30 (주)지슨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827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746B2 (en) Detection of an unauthoriz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750903B1 (en) Cell phone control and localization for restricted facilities
US70390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interfer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43728A2 (en) Digital fingerprint tracking
CA3091328A1 (en) Gunshot detection system with fire alarm system integration
US20040235453A1 (en) Access point incorporating a function of monitoring illegal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791500B1 (ko)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EP3367357A1 (en) Suspicious person detection system, suspicious person detection method
CN107995626B (zh) 一种用于识别无线局域网中wifi信号安全类别的方法和装置
CA24840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intrusion detection
US10055581B2 (en) Loc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ttack
CN106204984A (zh) 一种基于无线信号的防盗设备及方法
US11240136B2 (en) Determining attributes using captured network prob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A2989010A1 (en)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for device pairing via a short-range pairing mechanism
KR102084687B1 (ko) 불법촬영 보안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3513390A (ja) 盗聴監視システム及び盗聴監視方法
KR102314827B1 (ko)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KR102184093B1 (ko) 블루투스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 음영지역 안전관리 시스템
KR101822586B1 (ko) 출입통제를 위한 보안장치,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0863B1 (ko)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CN109041056A (zh) 一种用于远程控制的无线数据通信系统
KR20220100281A (ko) 비인가 무인이동체 제어획득 방법 및 시스템
CN116908556B (zh) 一种涉密场所电磁环境监测方法和装置
CN110636490A (zh) 一种wifi信号的发现与反制设备及基于该设备的系统和方法
JP2001307238A (ja) 防犯システム及び切削音検出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