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500B1 -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500B1
KR101791500B1 KR1020170045269A KR20170045269A KR101791500B1 KR 101791500 B1 KR101791500 B1 KR 101791500B1 KR 1020170045269 A KR1020170045269 A KR 1020170045269A KR 20170045269 A KR20170045269 A KR 20170045269A KR 101791500 B1 KR101791500 B1 KR 10179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eavesdropping
event
signal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진
이창익
홍성
신현영
이중희
김대완
Original Assignee
(주)지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슨 filed Critical (주)지슨
Priority to KR102017004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500B1/ko
Priority to PCT/KR2018/003950 priority patent/WO20181866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6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deceptive jamming or unauthorized interrogation or access, e.g. WLAN access or RFID re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2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감시구역에 설치된 전파탐지장치가 도청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에 도청 대응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감시구역에 대한 도청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청 감시 시스템은 기계경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결합됨으로써 기계경비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Wiretapping Surveilance System Coupled with Security System and Surveilan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계경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비시스템과 결합하여 경비 구역에 대한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청 및 방범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방범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청 탐지 장비는 상시 감시형과 이동형이 있다. 이동형은 관리자가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 도청 탐지 장비로서 도청 장비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공간에서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를 검출하는 장비이다. 상시 감시형 도청 탐지 장비는 도청 탐지 장치를 특정 공간에 설치하여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를 24시간 감시하며,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가 탐지될 경우 외부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도청 탐지 장치가 탐지한 전파를 분석하고, 탐지된 전파가 실제 음성(Audio) 또는 영상(Video) 신호인지를 검출함으로써 도청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장비이다.
상시 감시형이나 이동 감시형 모두 관리자가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를 스펙트럼 데이터를 통하여 분석하거나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의 경우 복조하여 탐지된 전파의 실제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전파가 도청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이동형 장비는 도청 현장을 포착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도청이 의심되지만 현재 도청 상황이 아니거나 도청 장비가 잠시 동작을 멈춘 상태에서는 이동형 장비로 도청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종래의 상시 감시형 도청 탐지 장비는 도청이 의심되는 전파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센터나 관리자 서버로 전달하고,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의 경우 관리자가 직접 복조하여 청취 또는 시청함으로써 도청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나 개인정보 보호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75965호(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는 종래 상시 감시형 도청 탐지 장비의 예가 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은 감시구역에 전파수신기를 설치하여 전파를 수신한 다음, 사용자 컴퓨터가 수신된 전파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하여 웹 서버로 보낸다. 웹 서버로 보내진 전파 데이터는 관리자가 확인하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가 있다.
[관련선행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5017호(자동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도청 탐지 시스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75965호(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작동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경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비시스템과 결합하여 경비 구역에 대한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청 및 방범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방범 감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파탐지장치는 도청 감시가 필요한 감시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감시구역 내 전파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기초 주파수 데이터를 저장하며, 탐지된 전파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AM/FM 방송, TV 방송 등 정부기관에 의해 허용된 주파수 정보 및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의 주파수 정보가 등록된 인가 주파수 데이터와 탐지 신호 세기, 탐지 신호 발생 횟수, 탐지 신호 발생 지속시간 등 탐지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
전파탐지장치는 감시구역 내의 전파를 탐지하여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를 탐지한 경우에 상기 탐지 기준 정보를 이용한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탐지된 전파를 분석하고, 도청 신호로 판단될 경우 도청 이벤트를 생성하며, 상기 도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탐지된 전파를 복조한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전파탐지장치는 주장치에 연결된다. 하나의 주장치에는 복수 개의 전파탐지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주장치는 상기 전파탐지장치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도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도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관제서버로 하여금 가입자에 대해 도청 경보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서비스가 수행된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가입자 휴대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휴대 단말기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전파탐지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전파탐지장치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에 따라 저장된 주파수 정보와 상기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가입자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파탐지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탐지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표시하여 가입자가 청취 또는 시청함으로서 도청 여부를 최종 판단하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파탐지장치는, 상기 감시구역 내에서 탐지된 전파로 기 설정된 상기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세기 이상인 전파로(제1 조건), 상기 탐지 기본 정보의 기초 주파수 데이터와 인가 주파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가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가진 전파로 판단되는 경우(제2 조건), 기 설정된 상기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발생 횟수 이상이고 탐지 신호 발생 지속시간 이상(제3 조건)인 전파를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초 주파수 데이터는 전파탐지장치가 탐지할 수 있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세분하여 상기 세분된 주파수 대역별로 설정하되,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감시구역 내 측정한 전파의 신호 세기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를 동작시켜 측정한 후 탐지된 전파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인가 주파수 데이터는 AM/FM 방송, TV 방송 등 정부기관에 의해 허용된 주파수 정보와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의 주파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파탐지장치는, 상기 제1 조건, 제2 조건, 제3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탐지된 전파가 음성 신호일 경우 전파탐지장치에서 인식한 음성 샘플링 파형 데이터와 탐지된 전파의 음성 복조 데이터의 상관관계(Correlation) 분석을 통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제3 조건)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청 감시 시스템은 기계경비 서비스과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주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침입 감시용 센서를 이용하여 침입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제공하는 기계경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파탐지장치는 접점 신호 형태로 상기 도청 이벤트를 상기 주장치에게 제공하며, 주장치는 상기 침입 감시용 센서를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전파탐지장치의 접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전파탐지장치가 상기 접속 단자에 연결되었다면, 상기 도청 상태 정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파탐지장치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단자 상의 접속 위치별로 부여된 위치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청 감시 시스템은 관제서버가 없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청 감시 시스템은 주장치 및 전파탐지장치, 가입자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가입자 휴대 단말기는 상기 주장치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를 전달받고, 상기 전파탐지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전파탐지장치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에 따라 저장된 주파수 정보, 상기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전달받아 가입자에게 표시하여 가입자가 청취 또는 시청함으로써 도청 여부를 최종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방법에도 미친다. 본 발명의 감시방법은, 감시구역에 설치된 주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침입 감시용 센서를 이용하여 침입여부를 감시하며, 침입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침입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서버로 제공함으로써 기계경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구역 내에 설치된 전파탐지장치가 감시구역 내의 전파를 탐지하고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탐지된 전파룰 분석하여 도청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 도청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및 상기 기계경비 중인 주장치가 상기 전파탐지장치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도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도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관제서버로 하여금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전파탐지장치와 가입자 휴대 단말기를 구비한 단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가입자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파탐지장치로부터 직접 도청 이벤트를 수신하고 전파탐지장치에 접속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감시구역에 설치된 전파탐지장치가 도청 이벤트를 생성할 때에만 대응하여 도청 대응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감시구역에 대한 도청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도청 신호의 탐지 여부를 계속 감시할 필요가 없게 되어서, 한 명의 감시자가 복수 개의 감시구역을 동시에 감시할 수 있으며, 도청 감시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수요자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24시간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파탐지장치는 스스로 감시구역의 전파를 탐지하고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탐지된 전파를 분석하여 해당 전파가 도청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기계경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결합됨으로써, 통상의 기계경비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기존의 방범 시스템 체계를 이용하여 도청 감시 서비스에도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장치와 전파탐지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입자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청 감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청 감시시스템(100)은 관제서버(110)와, 복수 개의 클라이언트 시스템(139a, 130b, 130c)과,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관제서버(110)는 복수 개의 클라이언트 시스템(139a, 130b, 130c)과 연결됨으로써 복수 개 가입자 영역에 대한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계경비 서비스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클라이언트 시스템(139a, 130b, 130c)은 주장치(131), 주장치(131)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파탐지장치(133) 및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를 포함하며, 기계경비 시스템과 도청 감시 시스템이 결합된 형태이다. 가입자 영역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 단위로 설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주장치(131)가 배치된다.
이하에서, 주장치(131)와 관제서버(110) 등이 기계경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도청 감시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주장치(131)와 관제서버(110)가 도청 감시 서비스 전용의 장치이어도 무방하다.
가입자 영역은 기계경비 서비스가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비구역(x1, x2)과 도청감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청 감시구역(R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시스템(139a, 130b, 130c)이 기계경비 서비스와 도청 감시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경비구역(x1, x2)과 도청 감시구역(R1)이 일치할 필요는 없다. 다만, 하나의 주장치(131)에 복수 개의 전파탐지장치(133)가 연결되면, 하나의 가입자 영역에 복수 개의 도청 감시구역(R1)이 설정된다.
이하에서의 설명은 도청 감시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기계경비 서비스에 대하여는 필요한 정도에서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도청감시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들을 설명한다.
네트워크
네트워크(150)는 인터넷(Internet) 망일 수도 있고 서비스 사업자의 전용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전용망(Dedicated Line)일 수도 있으며, 통신 채널의 측면에서는 유선랜(LAN), 무선랜(Wireless LAN), 이동통신망(WCDMA, CDMA, GSM 등),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관제서버(110)와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 사이의 네트워크에는 공중전화망이나 전용망 등은 적용되지 않고 인터넷이 적용된다.
관제서버
관제서버(110)는 도청 감시 서비스 및/또는 기계경비 서비스를 포함하는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의 영역에 속하며, 복수 개의 감시구역을 동시에 감시할 수 있다.
관제서버(110)는 각 가입자를 위한 주장치(131)가 제공하는 상태정보를 기초로 본 발명의 도청감시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선, 관제서버(110)의 관제 서비스는 각 가입자 영역 단위로 제공되므로, 각 가입자 영역 단위의 가입자 기본 정보를 관리한다. 예컨대, 가입자 기본정보에는 가입자의 인적사항,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 정보, 아래에서 설명하는 감시구역에 대한 설정정보(전파탐지장치의 개수, 위치코드의 실제 위치) 등이 포함된다. 하나의 가입자 영역에 복수 개의 주장치(131)와 전파탐지장치(133)가 배치될 수도 있다.
관제서버(110)는 관제기능부(115)를 포함한다. 관제기능부(115)는 각 가입자 영역에 설치된 주장치(131)가 제공하는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주장치(131)의 동작 상태와 경비상태 및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도청 여부를 감시하면서, 현재 상태 정보를 가입자(즉,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에게 제공한다.
도청 대응 절차에 따라, 주장치(131)로부터 도청 상태정보를 수신한 관제기능부(115)는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에게 도청 이벤트를 전달한다.
주장치
주장치(131)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 센서수신부(203) 및 주장치제어부(205)를 포함하며, 경비구역(x1, x2)에 설치되어 침입을 감시하는 각종 센서(135) 및 감시구역(R1)에 설치되는 전파탐지장치(133)와 연결된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는 네트워크(150)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며, 관제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수신부(203)는 센서(135)와 전파탐지장치(133)를 연결할 수 있는 접속단자(203a)를 구비하여, 센서(135)와 전파탐지장치(133)가 제공하는 접점 방식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주장치제어부(205)에게 전달한다. 접점 방식이므로, 전파탐지장치(133)나 센서(135) 측의 스위칭(접점)의 동작 여부를 읽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센서(135)의 종류에 따라서는 센서수신부(203)가 센서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전파탐지장치(133)는 별도의 전원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센서수신부(203)는 전파탐지장치(133)의 연결을 위해 별도의 전원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전파탐지장치(133)가 제공하는 접점 신호는 '도청 이벤트'의 발생을 전달하는 것에 해당한다.
주장치제어부(205)는 주장치(13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주장치제어부(205)는 센서수신부(203)에서 수신되는 센서 신호에 따라 감시구역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서버(110)로 제공한다. 주장치제어부(205)는 전파탐지장치(133)의 접점 전환을 통해 도청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기설정된 '도청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서버(110)에게 제공한다. '도청 상태정보'에는 가입자 식별번호, 도청 이벤트임을 표시하는 상태 코드, 이벤트 발생시간 및 도청 이벤트가 발생한 전파탐지장치(133)가 연결된 접속단자(203a)의 위치 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위치코드는 접속단자(203a) 상의 접속 위치별로 부여되는 코드로서, 예컨대 복수 개의 전파탐지장치(133)가 연결된 경우에 각 전파탐지장치(133)를 구분하는데 사용한다. 관제서버(110)는 도청 상태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감시구역에 도청으로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주장치제어부(205)는 도청 이벤트의 발생 및 관제서버로의 전달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전파탐지장치
전파탐지장치(133)는 감시구역에 설치되어 감시 구역 내 전파를 탐지하고,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탐지된 전파를 분석하여 도청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도청 신호로 판단되면, 도청 이벤트를 생성한 후 도청 이벤트에 따라 주장치(131)로 접점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주장치(131)에게 도청 이벤트를 전달한다.
또한, 도청 이벤트에 따라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가 접속하면, 전파탐지장치(133)는 도청 이벤트에 따라 저장한 탐지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에게 전달한다.
전파탐지장치(133)는 신호처리부(211),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 접점신호부(215), 음성인식부(217) 및 탐지장치제어부(219)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211)는 감시구역(R1) 내의 도청 탐지를 위해 안테나(ANT)를 이용하여 감시구역(R1) 내의 전파를 수신하여 탐지장치제어부(219)에게 전달한다. 신호처리부(211)가 수신한 신호가 도청으로 의심되는 신호인지 여부는 탐지장치제어부(219)가 판단한다.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는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의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7)와 연결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이 해당할 수 있다.
접점신호부(215)는 케이블 또는 전선을 이용하여 주장치(131)의 접속단자(203a)에 연결되며, 탐지장치제어부(219)의 제어에 따라 도청 이벤트에 따른 접점 제어를 수행하여 접점 신호를 주장치(131)에게 제공한다.
접점신호부(215)의 접점은, 정상상태 상태에서는 스위치 개방(Switch Open)으로 있다가 도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위치 닫힘(Switch Closed)로 전환된다. 따라서 전파탐지장치(133)의 접점 신호가 스위치 닫힘에 대응되는 것으로 전환되면, 주장치(131)는 전파탐지장치(133)에 도청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당연히 접점신호부(215)의 접점은 반대로, 정상 상태에서는 스위치 닫힘 상태로 있다가 도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위치 개방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음성인식부(217)는 마이크로폰(미도시)을 이용하여 감시구역 내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샘플링 파형 데이터를 탐지장치제어부(219)로 전달한다.
탐지장치제어부(219)는 전파탐지장치(133)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특별히, 탐지장치제어부(219)는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호처리부(211)가 제공하는 전파가 도청 신호인지 판단하여 도청 이벤트를 생성한다.
탐지장치제어부(219)는, 신호처리부(211)로부터 탐지된 전파를 전달받으면, 해당 전파가 기 설정된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세기 이상인 전파로서(제1 조건),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탐지 기준 정보의 기초 주파수 데이터의 해당 주파수 신호 세기 이상이고, 인가 주파수 데이터에 없는 경우(제2 조건), 기 설정된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발생 횟수이상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기 설정된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발생 지속시간 이상으로 발생하면(제3 조건) 도청 신호로 판단한다. 추가적으로,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인식부(217)로 전달받은 음성 샘플링 파형 데이터와 신호처리부(211)로부터 탐지된 전파에 대한 움성 복조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관관계(Correlation) 분석을 통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될 경우(제4 조건) 도청으로 최종 판단할 수도 있다. 그 구체적인 판단방법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청 이벤트에 따라, (1) 탐지장치제어부(219)는 탐지된 신호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탐지된 신호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메모리나 저장매체에 저장한 다음, (2) 접점신호부(215)로 하여금 도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접점 신호를 주장치(131)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3) 또한,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가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접속하는 경우,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가 등록된 가입자인지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다음에 휴대 단말기(170)에게 도청 이벤트에 따른 저장된 탐지된 신호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탐지된 신호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제공하여 가입자가 청취하거나 시청하여 도청 신호인지 여부를 최종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가입자 휴대 단말기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휴대단말기(PDA), 태블릿 컴퓨터, 기타 휴대할 수 있는 개인용 단말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며, 본 발명이 제시하는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전화 기능, 카메라 기능, 위치 인식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 중 본 발명의 설명에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에 대하여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고 설명하지도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도청 감시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01)와, 스피커(303)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관제서버(110)나 관제센터의 관리자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305)와, 전파탐지장치(133)의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와 연결되는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7)와, 단말제어부(310)를 포함한다.
단말제어부(310)는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도청 감지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별히 도청확인부(311)를 포함한다.
단말제어부(310)는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치된 구성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의 주된 또는 기본 기능(예컨대, 전화, 통신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처럼 단말제어부(310)가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경우, 단말제어부(310)는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가 기본적으로 보유하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 칩(Processor Chip)과, 그 칩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운영체제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으로 구현되는 구성을 기능적으로 지시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단말기 역시 단말제어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청확인부(311)는 그 운영체제 프로그램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기존의 단말기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 본 발명의 도청확인부(311)가 설치되면 본 발명의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미도시)가 구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미도시)에 기록된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가 네트워크(150)를 통해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도청확인부(311)는 상시 동작 상태에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인터페이스(305)를 통해 관제서버(110)로부터 도청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는다.
도청확인부(311)가 관제서버(110)로부터 도청 이벤트를 전달받은 후, 가입자의 제어에 의해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7)를 통하여 전파탐지장치 (133)와 연결되면, 전파탐지장치(133)에게 가입자 식별번호를 제공하여 가입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전파탐지장치(133)는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가 가입자의 것으로 인증되면, 도청 이벤트에 따라 저장한 탐지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의 도청확인부(311)에게 제공한다.
도청확인부(311)는 전파탐지장치(133)로부터 제공받은 탐지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표시부(301) 또는 스피커(303)를 통해 가입자에게 표시함으로써, 가입자로 하여금 해당 도청 이벤트가 실제 도청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청 감시 절차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도청 감시시스템(100)의 도청 감시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도청 감시시스템(100)은 도청 감시의 전용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기계경비 서비스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도청 신호 탐지에 따라 도청 이벤트를 주장치에게 전달: S401~S403>
우선, 전파탐지장치(133)의 신호처리부(211)가 감시구역(R1) 내의 전파를 수신하면 탐지장치제어부(213)는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당 전파가 도청 신호 인지를 판단한다(S401).
도청으로 의심되는 무선신호가 있으면, 탐지장치제어부(219)는 도청 이벤트를 생성하여 접점신호부(215)를 통해 접점 신호로 주장치(131)에게 전달한다(S403). 한편, 탐지장치제어부(219)는 도청 이벤트의 원인이 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저장한다.
<주장치가 도청상태정보를 관제서버로 제공: S405>
전파탐지장치(133)로부터 접점신호를 수신한 주장치(131)는 도청 이벤트에 대한 도청 상태정보를 관제서버(110)에게 제공한다.
<관제서버의 도청 상태정보 처리: S407>
관제서버(110)의 관제기능부(111)는 주장치(131)로부터 도청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도청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확인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로 도청 이벤트를 전달한다. 도청 이벤트 전달을 위해, 관제서버(110)에는 복수 개의 가입자 영역을 감시하는 복수 개의 주장치(131)가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청 상태정보에 포함된 가입자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실시 예에 따라, 관제서버(110)를 운용하는 관리자가 직접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에 전화를 걸어 상황을 설명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도청 여부 최종 확인: S409 ~ S413>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의 도청확인부(311)는 전파탐지장치(133)에게 접속한다. 이때, 상시 동작 상태의 도청확인부(311)는 스스로 전파탐지장치(133)에게 접속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관리자 등의 연락에 의해 가입자가 도청확인부(311)를 동작시키면, 도청확인부(311)가 전파탐지장치(133)에게 접속할 수 있다.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와 전파탐지장치(133) 사이의 접속은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와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7)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무선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도청확인부(311)는 전파탐지장치(133)에게 접속 시 전파탐지장치(133)에게 가입자 식별번호를 제공하여 가입자 인증을 요청한다(S409).
탐지장치제어부(219)는 가입자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를 인증하고, 가입자 인증이 완료되면 도청 이벤트에 따라 저장된 탐지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에게 제공한다(S411).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의 도청확인부(311)는 표시부(301)와 스피커(303)를 통해 가입자에게 확인 가능한 상태로 탐지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제공하며,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청취 또는 시청 가능한 상태로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제공한다. 가입자는 해당 도청 이벤트가 실제 도청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최종 판단하게 된다(S413).
실제 도청으로 판단되면, 예컨대 가입자가 관제센터로 다시 전화를 통지하거나 도청확인부(311)가 대응되는 메시지를 관제서버(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 출동 근무자가 감시구역에 파견되어 도청 여부를 정밀 검사할 수 있다.
도청 감시와 기계 경비의 결합
한편, 도청 감시 시스템(100)은 도청 감시 서비스와 동시에 기계경비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도청 및 방범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 있다. 기계경비 서비스를 위해 경비구역(x1, x2)에 침입 감시용 센서(135)가 설치되고, 센서(135)도 전파탐지장치(133)와 마찬가지로 주장치(131)의 접속단자(203a)에 연결된다. 주장치(131)는 침입 감시용 센서(135)의 감지가 있으면, 침입 이벤트를 생성하고 침입 이벤트에 대응하는 침입 상태정보를 관제서버(110)로 제공한다.
관제서버(110)는 침입 상태정보에 따른 세부정보를 관제센터의 관리자가 제공하고, 관리자는 현장 출동 근무자에게 출동 지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전파탐지장치의 도청 신호 검출 알고리즘
본 발명에서 전파탐지장치(133)는 종래와 달리 스스로 도청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도청에 따른 무선 신호는 해당 공간에서 사용하도록 인가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도청 감시는 일상적이지 않은 주파수를 탐지하는 과정이 된다.
도청 신호는 일정한 거리까지 데이터를 전달해야 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 세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전파탐지장치(133)는 감시구역 내에 존재하는 전파 중에서 기 설정된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세기 이상인 전파를 검출한다(제1 조건). 탐지된 전파가 기 설정된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세기 이상이면, 탐지된 전파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탐지 기준 정보의 기초 주파수 데이터의 해당 주파수 신호 세기 이상이고, 인가 주파수 데이터에 없는 경우(제2 조건), 기 설정된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발생 횟수이상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기 설정된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발생 지속시간 이상으로 발생하면(제3 조건) 도청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인식부(217)로 전달받은 음성 샘플링 파형 데이터와 신호처리부(211)로부터 탐지된 전파에 대한 음성 복조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관관계(Correlation) 분석을 통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제4 조건) 도청으로 최종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조건 내지 제3 조건 사이에 순서는 어떤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4 조건은 옵션으로서 제1 조건과 제2 조건, 제3 조건만을 검토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조건에서의 기초 주파수 데이터는 전파탐지장치(133)가 탐지할 수 있는 전체 주파수 대역 내에서 좀 더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1) 전파탐지장치(133)가 탐지할 수 있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세분화 한다. 예컨대, 수십 kHz 단위로 세분하거나 수십 ㎒ 단위로 세분할 것인가는 전파탐지장치(133)의 탐지 해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2) 세분화된 주파수 대역은 개별적으로 신호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세분화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세기는 해당 감시구역(R1) 내에서 주파수 대역별로 직접 측정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신호 세기에 더하여 일정한 값을 가진 상대 신호 세기를 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세분화된 주파수 대역별로 개별적으로 신호 세기를 설정함에 따라,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형태의 도청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3) 또한,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를 동작시켜 측정한 후 탐지된 전파의 신호세기를 자동으로 기초 주파수 데이터의 해당 주파수 대역에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조건에서의 인가 주파수 데이터는 인가된 주파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AM/FM 방송, TV 방송 등과 같이 정부기관에 의해 허용된 주파수 정보와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의 주파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 단독 시스템
이상에서는 관제서버(110)와 네트워크(150)를 통한 통합 감시 시스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전파탐지장치(133) 및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를 구비한 단독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전파탐지장치(133)의 탐지장치제어부(219)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3)를 이용하여 가입자 휴대 단말기(170)로 직접 도청 이벤트를 전달하게 되고, 탐지장치제어부(219)의 도청확인부(311)는 제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도청 이벤트를 직접 수신한다. 도청 이벤트의 수신 후, 도청확인부(311)의 동작은 도 4의 S409 ~ S413 단계의 동작과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0)

  1. 도청 감시 시스템으로서,
    주장치가 제공하는 도청 이벤트를 이용하여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어하며, 상기 주장치가 제공하는 침입 상태정보에 따른 세부정보를 관제센터의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기계 경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서버;
    감시구역 내의 전파를 탐지하고,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탐지된 전파를 분석하여 도청 신호를 판단하고, 도청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도청 이벤트를 생성하며, 상기 도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탐지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상기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파탐지장치;
    기계경비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침입 감시용 센서를 이용하여 침입 이벤트를 감시하고, 상기 침입 이벤트에 따른 상기 침입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기계 경비 서비스를 요청하며, 상기 침입 감시용 센서를 접속하는 접속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점 신호 형태로 상기 도청 이벤트를 수신하여 처리하되, 상기 전파탐지장치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도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관제서버로 하여금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상기 주장치; 및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전파탐지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전파탐지장치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에 따라 저장된 상기 탐지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상기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전달받아 가입자에게 표시하여 도청 여부를 최종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탐지장치는 도청 신호를 판단하기 위하여 탐지 기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탐지 기준 정보는 감시구역 내 전파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생성된 기초 주파수 데이터, 탐지된 전파를 분석하기 위하여 정부기관에 의해 허용된 주파수 정보와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의 주파수 정보가 등록된 인가 주파수 데이터, 탐지 신호 세기, 탐지 신호 발생 횟수, 탐지 신호 발생 지속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파탐지장치는 상기 감시구역 내 전파를 탐지하여 상기 탐지된 전파가 상기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세기 이상인 전파로서, 상기 탐지된 전파의 신호 세기가 상기 탐지 기준 정보의 기초 주파수 데이터의 해당 주파수 신호 세기 이상이고, 상기 탐지 기준 정보의 인가 주파수 데이터에 없는 경우, 상기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발생 횟수이상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상기 탐지 기준 정보의 탐지 신호 발생 지속시간 이상으로 발생하면 도청 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탐지장치는,
    상기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샘플링 파형 데이터와 상기 탐지된 전파에 대한 음성 복조 데이터를 상관관계(Correlation) 분석을 통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도청 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전파탐지장치가 상기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도청 상태 정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파탐지장치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단자 상의 접속 위치별로 부여된 위치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7.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방법에 있어서,
    주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침입 감시용 센서를 이용하여 침입 여부를 감시하며, 침입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침입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서버로 제공함으로써 기계경비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
    감시구역 내에 설치된 전파탐지장치가 감시구역 내의 전파를 탐지하고,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으로 상기 탐지된 전파를 분석하여 도청 신호를 판단하며, 상기 탐지된 전파가 도청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 도청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파탐지장치가 상기 도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탐지된 전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탐지된 전파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탐지된 전파를 복조하여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파탐지장치가 접점 신호 형태로 상기 도청 이벤트를 상기 주장치에게 제공하고, 상기 주장치가 상기 침입 감시용 센서를 접속하는 접속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전파탐지장치가 제공하는 접점 신호의 형태의 상기 도청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도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도청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관제서버에게 상기 도청 이벤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도청 이벤트를 가입자 휴대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도청 이벤트를 전달받은 가입자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전파탐지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도청 이벤트에 따라 저장된 탐지된 신호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상기 탐지된 신호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일 경우 음성 또는 영상 복조 데이터를 전달받아 가입자에게 표시하여 가입자가 도청 여부를 최종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전파탐지장치가 상기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도청 상태 정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전파탐지장치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단자 상의 접속 위치별로 부여된 위치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방법.


  10. 삭제
KR1020170045269A 2017-04-07 2017-04-07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KR10179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69A KR101791500B1 (ko) 2017-04-07 2017-04-07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PCT/KR2018/003950 WO2018186672A1 (ko) 2017-04-07 2018-04-04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69A KR101791500B1 (ko) 2017-04-07 2017-04-07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500B1 true KR101791500B1 (ko) 2017-10-30

Family

ID=6030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269A KR101791500B1 (ko) 2017-04-07 2017-04-07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1500B1 (ko)
WO (1) WO201818667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652A (ko) 2018-11-02 2020-05-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협력 재밍과 스푸핑을 이용한 무선 통신 채널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277366B1 (ko) 2020-11-25 2021-07-14 (주)지슨 라디오 및 tv 방송 신호 기반 불법 전파 필터링 방법을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및 그 도청 탐지 방법
KR102314827B1 (ko) * 2020-03-31 2021-10-19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KR20220036683A (ko) * 2020-09-16 2022-03-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08559B1 (ko) * 2021-05-24 2022-06-14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불법적으로 수집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패턴 분석으로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5355B (zh) * 2021-02-10 2023-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系统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8910A (ja) * 2005-12-07 2007-06-21 Progressive Systems Inc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091B1 (ko) * 2000-01-21 2002-03-25 박용해 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작동방법
KR100866512B1 (ko) * 2006-07-25 2008-11-03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유무선 신호 처리 장치 및 유무선 신호 처리 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JP6001252B2 (ja) * 2011-10-04 2016-10-05 株式会社Tsugumi 不審電波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不審電波監視プログラム
JP5620024B1 (ja) * 2014-04-01 2014-11-05 石田 豊 撮像装置探知ユニット、撮像装置探知システム、撮像装置探知装置、撮像装置探知方法、及び撮像装置探知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8910A (ja) * 2005-12-07 2007-06-21 Progressive Systems Inc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652A (ko) 2018-11-02 2020-05-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협력 재밍과 스푸핑을 이용한 무선 통신 채널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11722239B2 (en) 2018-11-02 2023-08-0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y using cooperative jamming and spoofing
KR102314827B1 (ko) * 2020-03-31 2021-10-19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KR20220036683A (ko) * 2020-09-16 2022-03-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70884B1 (ko) * 2020-09-16 2022-11-2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77366B1 (ko) 2020-11-25 2021-07-14 (주)지슨 라디오 및 tv 방송 신호 기반 불법 전파 필터링 방법을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및 그 도청 탐지 방법
KR102408559B1 (ko) * 2021-05-24 2022-06-14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불법적으로 수집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패턴 분석으로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672A1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500B1 (ko) 방범 시스템과 결합된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US10614700B2 (en) Alarm system with two-way voice
US9781137B2 (en) Fake base station detection with core network support
US8396446B2 (en) Two way voice communication through GSM with alarm communication
US20060197702A1 (en) Wireless host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20140098721A (ko) 안전한 클라우드 환경 구현을 위한 스마트기기 기반의 모바일 침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1662532A (zh) 具有防偷拍功能的手机及利用手机防偷拍的方法
KR100885995B1 (ko)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Steig et al. A network based imsi catcher detection
KR101435264B1 (ko) 긴급상황 통보시스템
US10542434B2 (en) Evaluating as to whether or not a wireless terminal is authorized
WO200103373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wiretap
WO2007105295A1 (ja) 携帯端末監視装置および携帯端末監視方法
JP2008140347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盗聴器・隠しカメラの検知方法と装置
KR200205015Y1 (ko) 방범 시스템 가입자용 양방향 무선 단말장치
JP2007158910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CN107170185A (zh) 一种基于无线接入设备的安防报警方法、无线接入设备
KR20220100281A (ko) 비인가 무인이동체 제어획득 방법 및 시스템
KR100348550B1 (ko)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보안 시스템
KR102314827B1 (ko)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CN111341066B (zh) 一种基于无线探针的报警方法及系统
KR101458365B1 (ko) 영상기기 보이스 알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203248Y1 (ko)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KR102167394B1 (ko) 증설 가능한 구조를 갖는 비상 인터폰 시스템
KR101936397B1 (ko) 스마트폰 앱 연동 이상 음원 검출 기능이 포함된 비상호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