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888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888A
KR20210121888A KR1020200039306A KR20200039306A KR20210121888A KR 20210121888 A KR20210121888 A KR 20210121888A KR 1020200039306 A KR1020200039306 A KR 1020200039306A KR 20200039306 A KR20200039306 A KR 20200039306A KR 20210121888 A KR20210121888 A KR 20210121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washing machine
laundry
information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제
김도완
김부성
강세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888A/ko
Priority to EP21165829.9A priority patent/EP3889336A1/en
Priority to US17/218,979 priority patent/US20210301447A1/en
Publication of KR2021012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8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the sequence of washing and drying ope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6Tim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06F58/40Control of the initial heating of the drying chamber to its operatin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탁기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기에 예열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의류 처리장치에서 각 장치들 사이의 연동을 통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동작 효율이 향상되고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세탁기와 건조기의 정보 교환을 위해 세탁 프로세스와 건조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병렬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모두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및 상기 건조기나 세탁기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위치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선반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것이 있다. 상기 선반에 건조기나 세탁기가 선반의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쉽게 옮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에 구비된 제어부와 세탁기에 구비된 제어부가 서로 독립적인 회로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하나의 장치를 제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기와 건조기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이 완료된 때 다른 하나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을 직접 진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각 장치에서 의류와 관련된 센싱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의류 처리 장치에서 세탁기와 건조기의 정보 교환을 통해 연동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는 설정된 모드로 동작하는 세탁기에서 세탁물 관련 정보를 건조기에 제공하고, 세탁이 종료된 후 바로 효과적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건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탁기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기에 예열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기로부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세탁물의 포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탁기로부터 예열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예열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압축기 및 팬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며, 회전 가능한 드럼; 및 세탁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드럼에 투입ㅂ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고,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하고, 상기 건조기에 예열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건조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며, 회전 가능한 드럼; 및 세탁기로부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세탁물의 포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세탁기로부터 예열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열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압축기 및 팬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의류 처리장치에서 각 장치들 사이의 연동을 통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동작 효율이 향상되고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세탁기가 건조기에 세탁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세탁이 수행되는 동안 건조기가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건조 관련 준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세탁 및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세탁기와 건조기의 연동 동작 수행시 세탁물의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방법을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세탁 및 건조에 소요되는 총 시간이 줄어들고, 세탁물을 보다 잘 건조할 수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컨트롤패널, 세탁기 구동부, 건조기 구동부, 세탁기 인터페이스, 및 건조기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모드에서 건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모드에서 건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제1처리장치, T), 및 상기 건조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세탁기(제2처리장치, L)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건조기(T)가 세탁기(L)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건조기 및 세탁기는 의류를 처리하는 것으로 기재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하고, 건조기는 수분을 포함하는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T)는 제1캐비닛(1),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드럼(2), 상기 건조드럼(2)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캐비닛(1)은 상기 건조기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 제1전방패널), 상기 건조기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12, 제1후방패널), 상기 건조기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 및 상기 세탁기(L)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패널(11)에는 상기 건조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투입구(111)는 제1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5, 제1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드럼(2)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부(22), 및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지지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22)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건조드럼 투입구(225), 상기 제1고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는 상기 건조드럼 투입구(225) 및 상기 제1지지바디(221)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221)는 상기 제1고정바디에서 상기 드럼 바디(2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22)는 연결바디(223)를 통해 상기 제1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223)는 상기 제1투입구(111)를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조드럼 투입구(225)는 상기 연결바디(223)를 관통하여 상기 제1투입구(111)에 연결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223)에는 상기 공급부(4)에 연통하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연결바디(2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필터(227)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 및 필터(227)를 통해 상기 공급부(4)로 이동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227)에 의해 걸러질 것이다.
상기 후방지지부(24)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2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24)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안내하는 공급구(24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에는 의류를 교반하기 위한 리프터(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13)는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에서 드럼 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보드(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는 건조드럼 구동부(3)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건조드럼 구동부(3)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건조드럼 모터(31), 상기 건조드럼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 상기 풀리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는 덕트(41, 46) 및 상기 덕트에 구비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건조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덕트(41), 및 상기 공급구(243)를 통해 상기 건조드럼(2)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41)에는 팬(43, 45)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덕트(46)에는 상기 열교환부(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7)는 상기 공급덕트(46)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히터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1히터(47a) 및 제2히터(47b)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팬은 배출덕트(4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43),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팬 모터(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41)에는 상기 건조드럼(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46)는 일단은 상기 공급구(243)에 연결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46)의 자유단이 제1캐비닛(1) 내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후방패널(12)에는 관통홀(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L)는 상기 제1캐비닛(1)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캐비닛(5),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수용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5)은 세탁기(L)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51, 제2전방패널), 상기 세탁기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52, 제2후방패널), 및 세탁기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캐비닛(1)의 바닥면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패널(54, 제2상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방패널(51)에는 투입구(제2투입구, 5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투입구(511)는 도어(55, 제2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6)는 상기 제2캐비닛(5)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61),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세탁드럼(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61)는 터브 지지부(612)를 통해 상기 제2캐비닛(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61)의 전방면에는 상기 제2투입구(5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6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터브 투입구(611)는 가스켓(613)을 통해 상기 제2투입구(5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6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6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를 통해 제2캐비닛(5)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61)를 연결하는 급수관(614) 및 상기 급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6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터브(61) 내부의 물을 배수펌프(618)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617), 상기 배수펌프(618)에서 배출되는 물을 제2캐비닛(5)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61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61)에는 상기 급수부를 통해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드럼(64)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드럼의 전방면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611)를 통해 상기 제2투입구(511)에 연통하는 세탁드럼 투입구(641)가 구비되고, 상기 세탁드럼의 원주면과 후방면 등에는 세탁드럼 내부를 상기 터브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6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드럼(64)은 세탁드럼 구동부(7, 세탁드럼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세탁드럼 구동부(7)는 상기 터브(6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7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72), 및 상기 터브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72)와 세탁드럼(64)의 후방면을 연결하는 회전축(7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역시 건조기(T) 및 세탁기(L)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에 구비되는 공급부(4)의 구조를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와 대응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4)는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41, 46, 48),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배출구(226)에 연결된 배출덕트(41), 상기 공급구(243)에 연결된 공급덕트(46), 상기 배출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팬의 임펠러(43)는 상기 연결덕트(48)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47)는 상기 연결덕트(48)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471), 및 상기 연결덕트(48)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47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472)를 포함한다. 상기 흡열부(471)와 상기 발열부(472)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7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덕트(41, 46, 48)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73)에 의해 상기 냉매관(475)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475)에는 상기 발열부(472)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4)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471)는 상기 배출덕트(4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부(472)는 상기 압축기(473)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열부(471)를 통과할 때 상기 흡열부(47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48)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흡열부(47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T)에는 집수바디(481)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바디(481)는 흡열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집수바디(481)가 상기 연결덕트(48)의 바닥면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471, 472)가 상기 집수바디(481)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481)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48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각 장치(T, L)의 제어에 필요한 입력부 및 표시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T)에는 건조기 인터페이스(P1)가 구비되고, 상기 세탁기(L)에는 세탁기 인터페이스(P2)가 구비된다.
상기 건조기 인터페이스(P1)는 건조기 디스플레이(921) 및 건조기 입력부(922, 9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탁기 인터페이스(P2)는 세탁기 디스플레이(961) 및 세탁기 입력부(932, 9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 디스플레이(921)는 상기 건조기(T)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건조기(T)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건조기 입력부(922, 923)는 상기 건조기(T)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세탁기 디스플레이(961)는 상기 세탁기(L)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세탁기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세탁기 입력부(962, 963)는 상기 세탁기(L)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두 처리장치가 상하로 배치된 의류처리장치(100)의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 디스플레이(921), 건조기 입력부(922, 923), 세탁기 디스플레이(961), 및 세탁기 입력부(962, 963)는 하나의 컨트롤패널(P)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부면은 건조기의 전방면(제1전방패널)에 고정되고, 하부면은 상기 세탁기 전방면(제2전방패널)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건조기(T)를 세탁기(L)에 고정하는 체결부의 역할(제1전방패널과 제2전방패널을 체결하는 역할)도 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제1전방패널(11)과 제2전방패널(51)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3은 상기 컨트롤패널(P)이 상기 제1전방패널(11)의 하단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제1전방패널(11)의 하단에는 상기 제1전방패널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패널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패널수용홈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제1전방패널(11)과 함께 상기 건조기의 전방면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 건조기 디스플레이(921)와 상기 건조기 입력부(922, 923)는 건조기에 구비된 건조기 제2제어부(9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세탁기 디스플레이(961) 및 세탁기 입력부(962, 963)는 세탁기에 구비된 세탁기 제2제어부(96)에 의해 제어된다. 제2제어부가 디스플레이와 입력부를 제어한다는 것은 제2제어부와 각 장치가 서로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됨(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의미한다.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와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는 통신회로(98)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 입력부는 건조기 제1제1입력부(922) 및 건조기 제2입력부(9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 제1입력부(922)는 건조기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들(건조코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고, 상기 건조기 제2입력부(923)는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 또는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 입력부 역시 세탁기 제1입력부(962) 및 세탁기 제2입력부(9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 제1입력부(962)는 세탁기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들(세탁코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탁기 제2입력부(963)는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 또는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의 부하는 구동부하와 인터페이스 부하로 구분되는데, 상기 구동부하(건조기 구동부하)는 건조드럼 모터(31), 팬 모터(45), 열교환부(47), 및 온도센서(411)로 구성된 건조기 구동부(B1)이고, 인터페이스 부하(건조기 인터페이스 부하)는 상기 건조기 디스플레이(921) 및 건조기 입력부(922, 923)로 구성된 건조기 인터페이스(P1)이다.
상기 건조기 부하(B1, P1)의 전력은 건조기 제1제어부(91)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건조기 구동부(B1)의 작동은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건조기 인터페이스(P1)의 작동은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T)는 제1전력선(931)을 통해 전원(S)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전력선(931)으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은 제1변환부(93)를 통해 직류전력으로 변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는 상기 제1변환부(93)에 연결된 건조기 제1전력회로(932)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는 건조기 제2전력회로(93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건조기 구동부(B1) 및 상기 건조기 인터페이스(P1)는 건조기 제3전력회로(93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 제2전력회로(935)에는 건조기 제1스위치(936)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기 제3전력회로(937)에는 건조기 제2스위치(9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 제1스위치(936)는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의 제어신호 또는 건조기 전력제어부(92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건조기 제2전력회로(935)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 전력제어부(924)는 상기 컨트롤패널(P)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기 구동부(B1) 및 건조기 인터페이스(P1)에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 전력제어부(924)가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면(사용자가 건조기 전력제어부를 통해 전력공급 요청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는 상기 건조기 제1스위치 제어회로(92a)를 통해 상기 건조기 제2전력회로(935)가 폐쇄되도록 상기 건조기 제1스위치(936)을 제어한다. 상기 건조기 제1스위치(936)가 상기 건조기 제2전력회로(935)를 폐쇄하면,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는 전력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기 제2스위치(938)는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가 건조기 제2스위치 제어회로(91a)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건조기 제3전력회로(937)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건조기 제3전력회로(937)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기 구동부(B1) 및 건조기 인터페이스(P1)는 상기 건조기 제2스위치(938)가 상기 건조기 제3전력회로(937)를 폐쇄한 때 전력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 및 상기 건조기 전력제어부(924)는 상기 건조기 제1전력회로(932)를 통해 항상 전원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건조기 구동부(B1) 및 건조기 인터페이스(P1)는, 사용자가 건조기 전력제어부(924)로 제어명령을 입력한 때, 또는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가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때 전력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의 건조기(T)는 건조기 구동부 및 인터페이스(B1, P1)가 작동하지 않을 때, 건조기 제2제어부(92)와 건조기 전력제어부(924)에만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대기전력의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L)의 부하는 구동부하와 인터페이스 부하로 구분되는데, 세탁기 구동 부하는 세탁드럼 구동부(7), 급수밸브(616), 배수펌프(618), 및 가열부(63)로 구성된 세탁기 구동부(B2)이고, 세탁기 인터페이스 부하는 상기 세탁기 디스플레이(961) 및 세탁기 입력부(962, 963)로 구성된 세탁기 인터페이스(P2)이다.
상기 세탁기 부하(B2, P2)의 전력은 세탁기 제1제어부(94)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 구동부(B2)의 작동은 상기 세탁기 제1제어부(94)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세탁기 인터페이스(P2)의 작동은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L)는 제2전력선(971)을 통해 상기 전원(S)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전력선(971)으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은 제2변환부(97)를 통해 직류전력으로 변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T)의 전력선(931)과 세탁기(L)의 전력선(971)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두 전력선 중 어느 하나의 전력선이 파손되거나 두 장치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도 나머지 하나의 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는 상기 제2변환부(97)에 연결된 세탁기 제1전력회로(972)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세탁기 제1제어부(94)는 세탁기 제2전력회로(97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세탁기의 부하(B2, P2)는 세탁기 제3전력회로(97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 제2전력회로(975)에는 세탁기 제1스위치(976)가 구비되고, 상기 세탁기 제1스위치(976)는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의 제어신호, 또는 세탁기 전력제어부(96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기 제2전력회로(975)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 전력제어부(964)는 상기 컨트롤패널(P)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기 구동부(B2) 및 세탁기 인터페이스(P2)에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 전력제어부(964)가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면(사용자가 세탁기 전력제어부를 통해 전력공급 요청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는 상기 세탁기 제1스위치 제어회로(96a)를 통해 상기 세탁기 제2전력회로(975)가 폐쇄되도록 상기 세탁기 제1스위치(976)을 제어한다. 상기 세탁기 제1스위치(976)가 상기 세탁기 제2전력회로(975)를 폐쇄하면, 상기 세탁기 제1제어부(94)는 전력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세탁기 제2스위치(978)는 상기 세탁기 제1제어부(94)가 세탁기 제2스위치 제어회로(94a)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기 제3전력회로(977)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기 제3전력회로(977)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세탁기 구동부(B2) 및 인터페이스(P2)는 상기 세탁기 제2스위치(978)가 상기 세탁기 제3전력회로(977)를 폐쇄한 때 전력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 및 상기 세탁기 전력제어부(964)는 상기 세탁기 제1전력회로(972)를 통해 항상 전원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세탁기 구동부(B2) 및 세탁기 인터페이스(P2)는, 사용자가 세탁기 전력제어부(964)로 제어명령을 입력한 때, 또는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가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2)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때 전력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한편 실시 예에서 각 제어부의 구성을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세탁기 제어부는 세탁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고, 건조기 제어부는 건조기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각 제어부는 다른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으로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은 유선 및 유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력선(931)과 제2전력선(971)이 각각 전원(S)에 연결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 대기모드 단계(S110), 및 건조 대기모드 단계(S210)를 진행한다.
상기 세탁 대기모드 단계(S110)는 상기 세탁기 구동부(B2), 세탁기 인터페이스(P2), 및 세탁기 제1제어부(94)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지만,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 및 세탁기 전력제어부(964)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세탁 대기모드 단계(S110)에서 상기 세탁기 제1스위치(976)는 세탁기 제2전력회로(975)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세탁기 제2스위치(978)는 세탁기 제3전력회로(977)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세탁기 전력제어부(964)는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상기 세탁기 제1스위치(976)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탁 대기모드 단계(S110)는 상기 세탁기 구동부, 세탁기 인터페이스, 및 세탁기 제1제어부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가 될 것이다.
상기 건조 대기모드 단계(S210)는 상기 건조기 구동부(B1), 건조기 인터페이스(P1), 및 건조기 제1제어부(91)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지만,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 및 건조기 전력제어부(924)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건조 대기모드 단계(S210)에서 상기 건조기 제1스위치(936)는 건조기 제2전력회로(935)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건조기 제2스위치(938)는 건조기 제3전력회로(937)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건조기 전력제어부(924)는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상기 건조기 제1스위치(936)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조 대기모드 단계(S210)는 상기 건조기 구동부, 건조기 인터페이스, 및 건조기 제1제어부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가 될 것이다. 실시 예에서 건조 대기모드(S210) 단계에서 건조기는 세탁기와 통신을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세탁 대기모드 단계(S110)의 진행 중 상기 세탁기 전력제어부(964)를 통해 세탁기 부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세탁기 전력공급단계(S120)가 진행된다. 상기 세탁기 전력공급단계(S120)는 상기 세탁기 제1제어부(94), 세탁기 구동부(B1), 및 세탁기 인터페이스(P2)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 전력공급단계(S120)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세탁기 인터페이스(B2)로 세탁코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30)한다. 상기 세탁기 제1입력부(962)를 통해 세탁코스의 선택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세탁기 제2입력부(963)를 통해 선택된 세탁코스의 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탁기 구동부(B2)를 제어하여 코스실행단계(S140)를 진행한다.
한편 코스실행단계(S140)의 초기에 세탁기는 세탁 대상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세탁 대상물의 양을 포량이라 지칭할 수 있으며, 드럼의 회전과 관련된 토크 값을 측정하여 포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포량에 따라 코스실행단계(S140)에서의 세탁기의 동작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는 측정된 포량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코스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건조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예열동작 및 이후 수행되는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스실행단계(S140)는 급수행정(S141), 이물질 제거행정(S143), 배수행정(S145), 및 탈수행정(S145)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행정(S141)은 상기 세탁기 제1제어부(94)가 상기 급수밸브(616)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61)에 물을 공급하는 행정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행정(S143)은 상기 세탁기 제1제어부(94)가 상기 세탁드럼 구동부(7)를 제어하여 상기 세탁드럼(64)을 회전시키는 행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행정(S143)은 의류(세탁대상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으로,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배수행정(S145)은 상기 세탁기 제1제어부(94)가 배수펌프(618)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61)에 저장된 물을 제2캐비닛(5)의 외부로 배출하는 행정으로 구비되고, 상기 탈수행정(S147)은 상기 세탁기 제1제어부(94)가 상기 세탁드럼 구동부(7)를 제어하여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행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수행정(S147)이 종료(S150, 코스실행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탁 대기모드 단계(S110)를 재개하여 상기 세탁기(L)를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한다.
세탁이 완료된 의류의 건조 시간 단축을 위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코스실행단계(S140)의 진행 중 상기 건조드럼(2) 및 공급부(4)의 온도를 높이는 전력공급단계(S220) 및 예열단계(S230)를 진행한다.
건조드럼(2)에 투입된 의류는 공급부에 구비된 열교환부(47)가 작동을 개시하자 마자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교환부(47)의 작동으로 상기 건조드럼(2)으로 공급되는 열에너지는 건조드럼, 덕트 및 열교환부로 구성된 열교환유로의 온도가 의류의 온도보다 높아질 때까지 상기 열교환 유로로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즉, 건조기는 상기 열교환유로와 공기가 열교환하는 과정, 및 의류와 공기가 열교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건조에 필요한 시간은 각 과정에 요구되는 시간의 합이었다.
도 5의 제어방법에 구비된 예열단계(S230)는 세탁기(L)의 작동완료 전 건조기(T)가 상기 열교환유로의 온도를 높이는 과정을 실행하게 함으로써, 의류의 건조에 요구되는 시간(세탁 및 건조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도 5의 제어방법은, 상기 코스실행단계(S140)의 진행 중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가 상기 통신회로(98)를 통해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단계(S149, 제1통신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가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기 구동부(B1)에 전력을 공급하는 건조기 전력공급단계(S220)를 진행한다. 상기 건조기 전력공급단계(S220)는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가 상기 건조기 제1스위치 제어회로(92a)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가 상기 건조기 제2스위치 제어회로(91a)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기 구동부(B1)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 전력공급단계(S220)에서 상기 건조기 인터페이스(P1)는 전력을 공급받지 않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건조기 제3전력회로(937)에는 상기 건조기 인터페이스(P1)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건조기 제3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건조기 제3스위치는 상기 건조기 제2스위치(938)와 건조기 디스플레이(P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 또는 제2제어부(9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예열단계(S230)는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가 상기 팬(43, 45)을 작동시켜 상기 건조드럼(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행정(S233), 및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가 상기 열교환부(47)를 작동시켜 상기 건조드럼(2)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행정(S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단계(S230)의 진행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건조기(T)의 소비전력량이 증가할 것이므로, 상기 제1통신단계(S149)는 상기 배수행정(S145)의 완료 시점과 상기 탈수행정의 완료 시점(S150) 사이에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1통신단계(S149)의 진행시점이 상기 탈수행정의 개시 시점(S147)과 상기 탈수행정의 종료 시점(S150) 사이의 시점으로 설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예열단계(S230)는 상기 탈수행정 종료(S150)에 대응하여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탈수행정의 종료 후 상기 세탁기 제2제어부(96)가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에 상기 탈수행정의 종료를 통지하는 통신단계(S161, 제2통신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열단계(S230)을 종료함에 따라 과도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세탁이 종료된 세탁물을 건조기로 옮길 때 과도한 열에 의해 불편을 겪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단계(S161)를 통해 상기 코스실행단계(S140)의 종료가 통지(S240)되면, 상기 건조기 제2제어부(92)는 이를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에 통지하고,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는 상기 열교환부(47)의 작동 및 상기 팬 모터(45)의 작동을 종료(S270)시킬 수 있다. 상기 예열단계가 종료(S270)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 대기모드 단계(S210)를 재개하여 상기 건조기(T)를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제2통신단계(S161)의 개시 전까지 진행되는 상기 예열단계(S230)는 상기 열교환유로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열교환부(47)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유로의 온도는 상기 건조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냉매관(475)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의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배출덕트(4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기 온도센서(411)가 측정함으로써 상기 열교환유로의 예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도 2 및 도 3의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냉매의 온도, 또는 상기 냉매관(475)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열교환유로의 예열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예열단계(S230)의 진행 중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온도센서(411)를 통해 상기 건조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235)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측정단계(S235)는 상기 예열단계(S230)의 개시 후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예열단계(S230)의 종료 시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단계(S161)가 개시되지 않았고, 상기 측정단계(S235)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낮으면(S250),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예열단계(S230)을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제2통신단계(S161)가 개시되지 않았고, 상기 측정단계(S235)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으면(S250),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가열행정(S231)을 중지(S260)한다. 즉, 상기 배출덕트(41)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으면(S250), 상기 예열단계(S230)는 상기 공급행정(S233)은 유지하되, 상기 가열행정(S231)은 일시적으로 종료한다.
상기 가열행정의 중지(S260) 후 상기 제어방법은 세탁기 제2제어부(96)가 건조기 제2제어부(92)로 탈수완료 신호를 전송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0)를 재개한다.
한편, 상기 예열단계(S230)가 상기 공급행정(S233)만 진행하더라도, 상기 측정단계(S235)는 주기적으로 진행되는데, 상기 가열행정(S231)은 상기 공급행정(S233)만 진행되는 동안 측정된 공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이하인 때 재개된다.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드럼(2)에 투입된 의류와 공기의 열교환이 활발해지는 시점이 상기 건조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대략 섭씨 65도인 점을 고려할 때, 상기 기준온도는 섭씨 55도 내지 섭씨 75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와 도 3의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가 도 5의 제어방법과 다른 점은 상기 열교환유로의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473)의 출력을 조절한다는 점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측정단계(S235)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기준온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1)를 진행한다. 상기 온도센서(411)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는 상기 냉매의 유속이 증가하도록 상기 압축기(473)의 출력을 증가(S261)시킨다. 상기 열교환유로의 온도를 단시간에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압축기(473)가 임펠러등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이동시키는 구조라면, 상기 압축기의 출력은 임펠러의 회전수를 높임으로써 높일 수 있다. 상기 압축기(473)가 직선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구조라면, 상기 압축기의 출력은 피스톤의 왕복주기를 짧게 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단계(S235)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의 온도가 제2기준온도(제1기준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3)를 진행한다.
상기 배출덕트(41)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보다 크면, 상기 건조기 제1제어부(91)는 상기 냉매의 유속이 감소하도록 상기 압축기를 제어한다(S263).
그러나, 상기 측정단계(S235)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 이상 상기 제2기준온도 이하인 경우라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가열행정(S231)과 공급행정(S23)을 유지(냉매의 유속을 유지)하면서 탈수완료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S240)한다.
상기 건조드럼(2)에 투입된 의류와 공기의 열교환이 활발해지는 시점이 상기 건조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대략 섭씨 65도인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제1기준온도는 섭씨 55도로 설정되고, 상기 제2기준온도는 섭씨 75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한 세탁기 및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이 도시된다. 실시 예 전반에서 세탁기 및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세탁기와 건조기가 서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본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세탁기는 원격제어 활성화 설정을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활성화 설정은 세탁기 입력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원격제어 활성화를 통해 세탁기와 연동된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서 세탁기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서 세탁기와 관련된 앱을 구동하고 해당 앱을 통한 입력을 기반으로 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앱을 통한 제어를 함으로써 추가적인 세탁기 동작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앱을 통해서 세탁기 제어를 위한 코스 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이를 세탁기에 전달함으로써 세탁기에 직접적으로 코스 정보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코스를 적용시킬 수 있다. 원격제어 활성화가 설정된 세탁기의 경우 세탁기에 대응하는 단말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1모드 설정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모드는 세탁기 동작과 관련된 모드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모드는 셔츠 한벌 세탁과 같은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 통상적인 세탁과 달리 신속한 세탁을 수행하도록 세탁기와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715에서 사용자 단말은 세탁기에 제1모드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모드와 관련된 정보가 세탁기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모드와 관련된 동작 시작을 지시하는 정보가 세탁기에 전송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제1모드 설정을 수행한 정보가 세탁기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세탁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모드 동작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를 on 하고, 제1모드와 관련해서 세탁을 수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725에서 세탁기는 제1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세탁기는 제1모드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모드와 관련된 코스 식별 정보가 세탁기에서 건조기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제1모드 설정 입력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건조기로 바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제1모드 설정 입력이 획득되면, 이에 대응하여 세탁기 및 건조기에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조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건조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모드에 대응한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조기는 디스플레이를 on하고 세탁기에서 동작하는 제1모드에 대응한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셔츠 한벌 세탁 코스를 수행하는 경우 세탁기는 해당 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on과 대응해서 해당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고, 건조기도 이에 대응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예정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의 동작에 대응하여 건조기도 동작 준비를 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해당 코스를 지시하고, 이에 대한 동작 준비 상태를 세탁기 및 건조기 모두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735에서 세탁기는 세탁물에 대한 포량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세탁기는 특정 패턴에 따라 드럼을 회전시키고 회전에 따른 토크 정보를 기반으로 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포량은 세탁기에서 세탁 프로세스 및 건조기에서 건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고려되는 파라메터일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세탁기는 포량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S725 및 S740에서 전송되는 정보는 한번에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745에서 건조기는 수신한 포량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세탁물에 대해 예상되는 건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예상 건조 시간을 표시하고 건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일부 구성만 on 하고 차후 수신될 예열 준비 신호에 대응하여 나머지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on 하도록 대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 세탁 및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건조가 종료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건조기는 예상 건조 시간 정보를 표시하면서 예열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건조기는 세탁기의 세탁 프로세스 진행에 따른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할 경우 건조기에 대한 예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세탁 대상물의 포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 건조기는 센싱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조 예상 시간을 표시하지 않거나 기 설정된 값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센싱 건조가 수행된다는 정보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세탁기는 세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수, 세탁, 헹굼, 배수 및 탈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수행되는 각 동작은 적어도 한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 동작 진행에 따라 남은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남은 시간 정보는 포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세탁기는 건조기 예열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기 설정된 정보로 세탁기에 저장되거나 외부의 신호에 의해 세탁기가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755에서 세탁기는 세탁 잔여 시간을 기반으로 건조기에 예열 동작 시작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는 건조기의 예열에 필요한 시간 및 세탁 잔여 시간을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밍에 건조기에 예열 동작 시작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예열 동작은 언제 시작하면 될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760에서 건조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예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건조기는 팬 및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하여 건조 수행을 위한 예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열 동작을 수행할 때 열풍이 드럼 내를 순환할 수 있으며, 순환되는 공기는 건조기의 열교환기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기는 예열에 적절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765에서 세탁기는 세탁 동작의 진행 상태에 대응하여 예열 동작 중지 요청을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 동작의 종료가 임박할 경우, 이후 사용자가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꺼내어 건조기에 투입할 것이 예상되고, 건조기의 예열 동작에 따라 드럼 내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거나, 열풍 순환이 계속될 경우 사용자의 불편이 예상될 수 있으므로 세탁기는 예열 동작 중지 요청을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기는 탈수 동작 중에 건조기에 예열 동작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탈수 종료 전 1분 전에 건조기에 예열 동작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탁 프로세스 종료가 임박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세탁기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 단말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꺼낼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단계 S770에서 건조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예열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건조기는 팬 및 압축기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단계 S775에서 세탁기는 세탁 동작을 종료할 수 있고, 종료에 대한 알람을 세탁기의 출력부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람을 통해 사용자는 세탁물을 세탁기에서 꺼내 건조기에 투입할 수 있다.
단계 S780에서 건조기는 투입된 세탁물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이 확인된 경우 이에 따라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세탁기가 제공한 포량 정보를 기반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건조기에서 추가적으로 포량 확인 동작을 수행하여 감지된 포량 정보와 수신한 포량 정보의 차이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기반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셔츠 한벌에 대응하는 포량이 확인된 경우, 이에 대응한 시간동안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은 주변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가 낮아질 경우 건조 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히트펌프식 건조기에서 외기와의 열교환에 따라 건조 성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변 온도가 낮을 경우 건조 성능이 떨어져서 보다 긴 시간 건조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르면 제1모드에 대응하는 포량보다 많은 포량이 확인된 경우, 대응되는 포량에 따른 건조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을 초과하는 포량이 감지될 경우 고정 시간이 아닌 건조도를 센싱하면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기가 세탁기로부터 세탁모드에 대한 정보 및 포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세탁 진행 과정에 따라 예열 동작 및 중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여 건조 동작을 준비함으로써 전체 세탁 및 건조에 소비되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상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설정 절차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환경에서 세탁물 처리 장치가 외부의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세탁기 및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이 도시된다. 실시 예 전반에서 세탁기 및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세탁기와 건조기가 서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본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세탁기는 제2모드 선택 입력 및 건조 준비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모드는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소량 급속 모드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 준비 입력의 경우 해당 입력이 수신되면, 세탁기에서 세탁 동작 진행에 따라 건조기와 통신을 통해 건조 준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차후 세탁 진행 상황에 따라 건조기에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세탁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2모드 동작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를 on 하고, 제2모드와 관련해서 세탁을 수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815에서 세탁기는 제2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세탁기는 제2모드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모드와 관련된 코스 식별 정보가 세탁기에서 건조기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건조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2모드에 대응한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조기는 디스플레이를 on하고 세탁기에서 동작하는 제2모드에 대응한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소량 급속 세탁 코스를 수행하는 경우 세탁기는 해당 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on과 대응해서 해당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고, 건조기도 이에 대응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예정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의 동작에 대응하여 건조기도 동작 준비를 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해당 코스를 지시하고, 이에 대한 동작 준비 상태를 세탁기 및 건조기 모두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825에서 세탁기는 세탁물에 대한 포량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세탁기는 특정 패턴에 따라 드럼을 회전시키고 회전에 따른 토크 정보를 기반으로 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포량은 세탁기에서 세탁 프로세스 및 건조기에서 건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고려되는 파라메터일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세탁기는 포량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S815 및 S830에서 전송되는 정보는 한번에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835에서 건조기는 수신한 포량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세탁물에 대해 예상되는 건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예상 건조 시간을 표시하고 건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일부 구성만 on 하고 차후 수신될 예열 준비 신호에 대응하여 나머지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on 하도록 대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 세탁 및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건조가 종료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건조기는 예상 건조 시간 정보를 표시하면서 예열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건조기는 세탁기의 세탁 프로세스 진행에 따른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할 경우 건조기에 대한 예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세탁 대상물의 포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 건조기는 센싱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조 예상 시간을 표시하지 않거나 기 설정된 값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센싱 건조가 수행된다는 정보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모드와 제2모드의 기준 표량의 값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 S840에서 세탁기는 세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수, 세탁, 헹굼, 배수 및 탈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수행되는 각 동작은 적어도 한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 동작 진행에 따라 남은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남은 시간 정보는 포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세탁기는 건조기 예열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기 설정된 정보로 세탁기에 저장되거나 외부의 신호에 의해 세탁기가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845에서 세탁기는 세탁 잔여 시간을 기반으로 건조기에 예열 동작 시작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는 건조기의 예열에 필요한 시간 및 세탁 잔여 시간을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밍에 건조기에 예열 동작 시작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예열 동작은 언제 시작하면 될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850에서 건조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예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건조기는 팬 및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하여 건조 수행을 위한 예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열 동작을 수행할 때 열풍이 드럼 내를 순환할 수 있으며, 순환되는 공기는 건조기의 열교환기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기는 예열에 적절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855에서 세탁기는 세탁 동작의 진행 상태에 대응하여 예열 동작 중지 요청을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 동작의 종료가 임박할 경우, 이후 사용자가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꺼내어 건조기에 투입할 것이 예상되고, 건조기의 예열 동작에 따라 드럼 내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거나, 열풍 순환이 계속될 경우 사용자의 불편이 예상될 수 있으므로 세탁기는 예열 동작 중지 요청을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기는 탈수 동작 중에 건조기에 예열 동작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탈수 종료 전 1분 전에 건조기에 예열 동작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탁 프로세스 종료가 임박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세탁기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 단말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꺼낼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단계 S860에서 건조기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예열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건조기는 팬 및 압축기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단계 S865에서 세탁기는 세탁 동작을 종료할 수 있고, 종료에 대한 알람을 세탁기의 출력부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람을 통해 사용자는 세탁물을 세탁기에서 꺼내 건조기에 투입할 수 있다.
단계 S870에서 건조기는 투입된 세탁물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2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이 확인된 경우 이에 따라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세탁기가 제공한 포량 정보를 기반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건조기에서 추가적으로 포량 확인 동작을 수행하여 감지된 포량 정보와 수신한 포량 정보의 차이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기반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소량 급속 코스에 대응하는 포량이 확인된 경우, 이에 대응한 시간동안 건조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은 주변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가 낮아질 경우 건조 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히트펌프식 건조기에서 외기와의 열교환에 따라 건조 성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변 온도가 낮을 경우 건조 성능이 떨어져서 보다 긴 시간 건조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르면 제2모드에 대응하는 포량보다 많은 포량이 확인된 경우, 대응되는 포량에 따른 건조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2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을 초과하는 포량이 감지될 경우 고정 시간이 아닌 건조도를 센싱하면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모드에 대응하는 표량에 비해 제2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이 더 많을 수 있고, 제2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을 초과하는 포량이 확인된 경우 센싱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세탁기는 건조 준비 입력이 세탁기에 수신된 경우에 건조기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모드를 선택하고, 건조 준비 입력이 선택된 경우 건조기와의 연동을 위해 관련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량의 옷을 세탁하기 위한 제2모드에 대응하는 코스에서 세탁기는 건조기와 연동되어 세탁기가 확인한 포량 정보와 세탁기가 수행하는 코스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하고, 건조기는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여 세탁물 건조를 위한 예열 동작을 수행하여, 세탁 및 건조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건조기보다 세탁기의 경우 세탁물에 물이 흡수되기 이전부터 포량 측정이 가능하며, 세탁 과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포량 감지가 가능하고, 이와 같은 정보를 건조기에 전달함으로써 건조기가 건조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제1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의 기준값인 제1기준값과 제2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의 기준값인 제2기준값은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기준값이 제2기준값에 비해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의 세탁물이 건조기에 투입되었을 때 건조 시간이 제2모드에 대응하는 포량의 세탁물이 건조기에 투입되었을 때 보다 짧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된 모드에 따라 건조기 연동 방법을 다르게 하고, 다른 방식으로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건조기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라 세탁기와의 연동을 통해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다.
단계 S905에서 건조기는 세탁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세탁모드 및 포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건조기 주변의 온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세탁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세탁기가 건조기와 연동을 수행하는 모드로 동작할 때 관련 정보를 건조기에 제공할 수 있고 건조기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세탁모드 정보 및 포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가 건조기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모드는 제1모드 및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모드에 대응하는 기준 포량이 각각 제1기준 포량 및 제2기준 포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주변 온도 정보를 통해 각 코스에서 수행되는 건조 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건조기는 예상 건조 소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건조기는 세탁기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예열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도 예상 건조 소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예상 건조 소요 시간은 건조기에 세탁물이 투입된 이후 건조 완료될 때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일 수 있으며, 세탁 모드, 포량 및 주변온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가 제1모드로 설정되고, 기준 포량이 제1기준 포량 이하일 경우 제1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해서 온도 보정을 적용한 고정 시간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세탁기가 제2모드로 설정되고, 기준 포량이 제2기준 포량 이하일 경우 제2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해서 온도 보정을 적용한 고정 시간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기준 포량이 제2기준 포량 보다 작은 값일 수 있으며, 제1기준 시간이 제2기준 시간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1모드 및 제2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각 기준 포량 이상의 포량이 감지될 경우 건조기는 건조도를 센싱하면서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 소요 시간은 제1기준 시간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최대 소요시간(일 예로 4시간 30분)까지 건조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건조기 주변 온도 정보는 건조기가 포량을 기준으로 고정 시간 건조를 수행할 때 건조 시간을 보정하는데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 주변 온도가 낮을 경우 열교환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동일한 건조 성능을 보이기 위해 보다 긴 시간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온도를 기반으로 건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기준온도 및 제2기준온도를 기반으로 건조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기준 온도는 18 ℃일 수 있으며, 제2기준 온도는 10 ℃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모드의 세탁 코스가 설정되었고, 확인된 포량이 제1기준 포량 이하일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감지된 주변 온도가 제1기준 온도 이상일 경우 예상 건조 소요 시간은 18분일 수 있으며, 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 사이의 온도일 경우 28분, 제2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32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온도를 기반으로 고정 시간 건조의 건조 시간을 보정함으로써 저온의 환경에서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일정 수준 이상의 건조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단계 S915에서 건조기는 예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열 동작은 압축기 및 팬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하여 건조기 내부 드럼의 공기 온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예열동작은 세탁기의 트리거링 신호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트리거링 신호는 건조 예열에 필요한 시간을 기반으로 특정 타이밍에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건조기는 별도의 트리거링 신호 없이 세탁모드 정보, 포량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예열 동작 시작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세탁기에서 세탁이 종료되고, 세탁물이 건조기로 투입될 경우 바로 실질적인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건조기는 예열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의 트리거링 신호를 기반으로 예열 동작을 정지할 수 있으며, 트리거링 신호는 탈수 행정에 대응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탈수 동작이 시작하거나, 탈수 동작 완료 전 특정 시간에 세탁기는 예열 동작 정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건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25에서 건조기는 드럼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조기 내에 사용자가 세탁물을 투입하고, 건조 시작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드럼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건조기는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탁 모드, 포량 및 주변 온도에 대응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압축기를 구동하고 히트 펌프와 팬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바람을 건조기 드럼 내부로 순환시켜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 동작 중에 드럼이 회전하면서 내부의 세탁물을 섞어줄 수 있다.
단계 S935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및 설정된 건조도를 만족하는 경우 건조기는 건조 동작 이후 쿨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쿨링 동작은 사용자가 건조된 세탁물을 꺼낼 때 건조 중 발생한 고온의 공기에 의해 불편을 겪지 않기 위해 수행될 수 있으며, 세탁 모드 및 포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쿨링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쿨링 동작에 대응하여 건조기 내부의 컨덴서 세척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컨덴서 세척은 히트 펌프의 동작에 따라 생성된 응축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사용하여 컨덴서 세척도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와의 통신을 통해 건조기가 예열 동작을 수행하고, 세탁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건조기에서 별도의 포량 감지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한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체 건조 프로세스가 단순화될 수 있으며, 세탁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예열을 수행하고, 세탁 완료 후 실질적인 건조 동작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세탁 및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모드에서 건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세탁기가 제1모드로 설정되어 세탁이 수행될 경우 이에 연동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다. 실시 예에서 제1모드는 소량의 세탁물을 신속히 세탁하기 위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셔츠 한벌과 같은 극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코스일 수 있다.
단계 S1005에서 건조기는 세탁기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건조기는 세탁기와의 통신을 통해 세탁기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탁기와 통신을 통해 세탁기에 투입된 포량에 대한 정보를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건조기는 포량 값이 제1기준 값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1기준 값은 제1모드에 대응하는 포량 값일 수 있으며, 이후 설명될 제2모드의 기준 포량 값에 비해 작은 값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2모드의 기준 포량 값의 90 내지 95%의 값일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포량에 대한 기준 값을 비교하는 것은 특정 값을 기반으로 포량이 기준 값 보다 작은지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포량이 특정 범위를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포량 값이 제1기준 값 이하일 경우, 단계 S1015에서 건조기는 주변 온도 정보를 고려하여 예상되는 건조 소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건조 소요 시간은 예열 동작 이전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세탁기와의 통신을 통해 예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이전에 설명한 실시 예의 동작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건조기는 드럼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면, 표시된 건조 소요 시간에 따라 고정 시간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건조 동작 역시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방법과 대응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25에서 건조 동작이 완료되면, 건조기는 제1시간 동안 쿨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내부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쿨링을 수행하는 제1시간은 제1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일 수 있으며, 제1기준 값의 포량에 대응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데 필요한 시간 이상으로 쿨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응축수 배출과 함께 컨덴서 세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제1모드에 대응하는 포량 값을 가지는 세탁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할 경우 세탁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모이는 응축수의 양 역시 상대적으로 적은바, 쿨링 시간 및 배수 시간이 짧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조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일 경우 컨덴서 세척 없이 응축수의 배수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기 설정된 시간보다 클 경우 컨덴서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포량 값이 제1기준 값 보다 클 경우, 단계 S1030에서 건조기는 센싱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 건조 동작은 건조기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도를 센서를 통해 센싱하면서 필요한 건조도를 달성할 때까지 건조를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센싱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예상 건조 소요 시간이 표시될 수 있으나, 전체 건조 시간은 이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으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건조도에 따라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035에서 건조도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건조를 종료하면서 제2시간동안 쿨링동작을 수행하고, 건조 과정에서 수집된 응축수를 사용하여 컨덴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포량이 제1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세탁물이 건조 과정에서 고온을 유지할 수 있는 바,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 동안 쿨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과정에서 수집된 응축수 역시 상대적으로 더 많을 수 있는바, 응축수를 활용하여 컨덴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포량 값이 제1기준 값 보다 클 경우 건조 시간이 늘어날 수 있는바, 이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기와 연동되는 세탁기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건조기는 포량 정보를 활용하여 이에 대응하는 건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모드에 적합한 포량 이상의 세탁물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건조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모드에서 건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세탁기가 제2모드로 설정되어 세탁이 수행될 경우 이에 연동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다. 실시 예에서 제2모드는 소량의 세탁물을 신속히 세탁하기 위한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모드에 대응되는 세탁물의 포량은 제1모드에 대응하는 세탁물의 포량보다 많을 수 있다.
단계 S1105에서 건조기는 세탁기가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건조기는 세탁기와의 통신을 통해 세탁기가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탁기와 통신을 통해 세탁기에 투입된 포량에 대한 정보를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1110에서 건조기는 포량 값이 제2기준 값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2기준 값은 제2모드에 대응하는 포량 값일 수 있으며, 앞에서 설명된 제1모드의 기준 포량 값에 비해 큰 값일 수 있다.
포량 값이 제2기준 값 이하일 경우, 단계 S1115에서 건조기는 주변 온도 정보를 고려하여 예상되는 건조 소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건조 소요 시간은 예열 동작 이전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세탁기와의 통신을 통해 예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이전에 설명한 실시 예의 동작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량 값이 제2기준 값 이하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감지된 주변 온도가 제1기준 온도 이상일 경우 건조 소요 시간은 39분일 수 있으며, 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 사이의 온도일 경우 48분, 제2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52분일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건조기는 드럼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면, 표시된 건조 소요 시간에 따라 고정 시간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건조 동작 역시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방법과 대응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110에서 포량 값이 제2기준 값 보다 클 경우, 단계 S1125에서 건조기는 센싱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 건조 동작은 건조기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도를 센서를 통해 센싱하면서 필요한 건조도를 달성할 때까지 건조를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센싱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예상 건조 소요 시간이 표시될 수 있으나, 전체 건조 시간은 이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으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건조도에 따라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각 건조 모드에서 건조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단계 S1130에서 건조기는 쿨링 및 배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기는 건조를 종료하면서 쿨링 동작을 수행하면서, 건조 과정에서 수집된 응축수를 사용하여 컨덴서 세척을 수행하고, 세척을 수행한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모드를 선택한 경우, 포량 감지에 따라 건조 방법을 다르게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비해 많은 세탁물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건조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T: 건조기 L: 세탁기
P: 컨트롤패널 S: 전원 1: 제1캐비닛
111: 제1투입구 15: 제1도어 2: 건조드럼
22: 전방지지부 24: 후방지지부 3: 건조드럼 구동부
4: 공급부 41: 배출덕트 43: 임펠러
411: 온도센서 46: 공급덕트 48: 연결덕트
481: 집수바디 47: 열교환부 471: 흡열부
472: 발열부 473: 압축기 474: 압력조절기
475: 냉매관 5: 제2캐비닛 511: 제2투입구
55: 제2도어 61: 터브 611: 터브 투입구
614: 급수관 616: 급수밸브 617: 제1배수관
618: 배수펌프 619: 제2배수관 63: 가열부
64: 세탁드럼 7: 세탁드럼 구동부 91: 건조기 제1제어부
92: 건조기 제2제어부 924: 건조기 전력제어부 P1: 건조기 인터페이스
921: 건조기 디스플레이 922: 건조기 제1입력부 923: 건조기 제2입력부
93: 제1변환부 931: 제1전력선 932: 건조기 제1전력회로
935: 건조기 제2전력회로 936: 건조기 제1스위치 937: 건조기 제3전력회로
938: 건조기 제2스위치 94: 세탁기 제1제어부 96: 세탁기 제2제어부
964: 세탁기 전력제어부 P2: 세탁기 인터페이스 961: 세탁기 디스플레이
962: 세탁기 제1입력부 963: 세탁기 제2입력부 97: 제2변환부
971: 제2전력선 972: 세탁기 제1전력회로 975: 세탁기 제2전력회로
976: 세탁기 제1스위치 977: 세탁기 제3전력회로 978: 세탁기 제2스위치
98: 통신회로

Claims (12)

  1.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세탁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탁기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기에 예열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원격 제어와 관련된 설정 입력을 상기 세탁기의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와 관련된 설정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세탁기와 관련된 단말을 통해 제1모드와 관련된 세탁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기의 입력부를 통해 제2모드와 관련된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건조 준비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는 상기 건조 준비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조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에 대한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탈수 행정을 진행 중 상기 건조기에 예열 중지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건조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6.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세탁기로부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세탁물의 포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탁기로부터 예열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예열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압축기 및 팬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건조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포량 값의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주변 온도를 기반으로 결정된 시간 동안 건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포량 값의 범위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세탁물의 건조도를 기반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경우의 기준 포량 값은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가 상기 세탁기에서 입력된 경우의 기준 포량 값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로부터 예열 중지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예열 중지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압축기 및 팬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11.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물이 투입되며, 회전 가능한 드럼; 및
    세탁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고, 상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에 전송하고, 상기 건조기에 예열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는 포함하는 세탁기.
  12.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물이 투입되며, 회전 가능한 드럼; 및
    세탁기로부터 세탁 모드 설정 정보 및 세탁물의 포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세탁기로부터 예열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열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압축기 및 팬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KR1020200039306A 2020-03-31 2020-03-3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21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06A KR20210121888A (ko) 2020-03-31 2020-03-3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1165829.9A EP3889336A1 (en) 2020-03-31 2021-03-3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218,979 US20210301447A1 (en) 2020-03-31 2021-03-3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06A KR20210121888A (ko) 2020-03-31 2020-03-3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888A true KR20210121888A (ko) 2021-10-08

Family

ID=7530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306A KR20210121888A (ko) 2020-03-31 2020-03-3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01447A1 (ko)
EP (1) EP3889336A1 (ko)
KR (1) KR202101218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225A (zh) * 2021-03-31 2022-10-0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烘一体机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7091B2 (en) * 2002-12-24 2013-10-29 Lg Electronics Inc Automatic dryer control based on load information
US20180209084A1 (en) * 2017-01-20 2018-07-26 Aruna Chakravarty Smart washer-dryer machine having a mechanism of self-loading and automatic transferring
US10087572B2 (en) * 2017-02-16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US10745841B2 (en) * 2018-07-17 2020-08-1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appliance using another appliance communicatively coupled thereto
KR102177970B1 (ko) * 2019-08-09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01447A1 (en) 2021-09-30
EP3889336A1 (en)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5036B2 (ja) 洗濯乾燥機
US20060137105A1 (en) Dry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washing and drying machine
CN105473779A (zh) 具有增强的操作灵活性的衣物烘干器具
KR2021012202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6052395A (ja) 洗濯乾燥機
JP2013180162A (ja) 洗濯機
JP6104571B2 (ja) 衣類乾燥機
EP3889336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2202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421336B2 (ja) 乾燥機
JP6038511B2 (ja) 洗濯乾燥機
EP388933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3889337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16052394A (ja) 洗濯乾燥機
JP2014054377A (ja) 乾燥装置
JP2019037896A (ja) 洗濯乾燥機
JP5966151B2 (ja) 洗濯乾燥機
KR20210122023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401209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6466093B2 (ja) 衣類乾燥機
JP2014061050A (ja) 洗濯乾燥機
JP6225322B2 (ja) 乾燥機
EP388933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5978522B2 (ja) 洗濯乾燥機
US2021030145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