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462A -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462A
KR20210121462A KR1020200038136A KR20200038136A KR20210121462A KR 20210121462 A KR20210121462 A KR 20210121462A KR 1020200038136 A KR1020200038136 A KR 1020200038136A KR 20200038136 A KR20200038136 A KR 20200038136A KR 20210121462 A KR20210121462 A KR 2021012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weight
voice phishing
unmanned
deliver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582B1 (ko
Inventor
유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Priority to KR102020003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5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택배 배달 및 택배 찾기의 사용 정보/기록을 감지/분석하여 보이스피싱을 방지할 수 있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무인택배 시스템은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키오스크에 요청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택배박스를 포함하는 무인택배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배송 정보 중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택배기사 단말에 대한 택배배달 기록정보와 택배물품을 수취하는 수취고객 단말에 대한 택배찾기 기록정보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산출하며, 산출된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하면, 상기 택배기사 단말 또는 상기 수취고객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로 통화를 요청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Delivery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phishing protection}
본 발명은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택배 배달 및 택배 찾기의 사용 정보/기록을 감지/분석하여 보이스피싱을 방지할 수 있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이스피싱은 전화를 통하여 신용카드 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알아낸 뒤 이를 범죄에 이용하는 전화금융사기 수법을 말한다.
피싱(phishing)은 '개인정보(private data)'와 '낚시(fishing)'를 뜻하는 영어를 합성한 조어로서 전화를 통하여 상대방의 신용카드 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불법으로 알아낸 뒤 이를 범죄에 이용하는 전화금융사기 수법을 말한다. 처음에는 국세청 등 공공기관을 사칭하여 세금을 환급한다는 빌미로 피해자를 현금지급기(ATM) 앞으로 유도하는 방식이었으나, 이 같은 수법이 널리 알려진 뒤에는 피해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전에 입수한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수법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비접촉 트렌드의 활성화로 인해 무인 택배함이 확장되어 감에 따라 보이스피싱 범죄자가 피해자와 직접적인 접촉없이 피해자의 현금을 무인 택배함을 이용하여 전달받는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인 택배함에서 보이스피싱을 방지하여 범죄자가 택배박스를 열어서 피해자의 현금을 수취하는 상황을 제한하고, 해당 범죄자를 검거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택배배달 기사가 되어 현금을 무인 택배함에 넣는 현재의 시나리오를 검토한 결과 피해자가 무인 택배함에 넣는 경우와 범죄자가 현금을 회수하는 과정에는 일련의 규칙성이 발견된다. 보이스피싱 범죄자의 휴대폰 특징을 포함한 해당 규칙성을 판별하여 범죄자가 현금을 회수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보이스피싱 범죄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10791호(발명의 명칭: 보이스피싱 감시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1731545호(발명의 명칭: 통화 중 보이스 피싱 위험 경보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가는 무인 택배시스템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택배 물품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에 통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설정된 조건을 이용하여 보이스피싱의 의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무인택배 시스템은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키오스크에 요청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택배박스를 포함하는 무인택배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배송 정보 중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택배기사 단말에 대한 택배배달 기록정보와 택배물품을 수취하는 수취고객 단말에 대한 택배찾기 기록정보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산출하며, 산출된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하면, 상기 택배기사 단말 또는 상기 수취고객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로 통화를 요청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은 택배기사의 택배배달 기록정보 및 수취고객의 택배찾기 기록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이용하여 해당 택배 거래가 보이스피싱 의심 택배 거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보이스피싱 의심 택배 거래인 경우, 택배기사 단말의 통화 중인지 여부(또는 시간), 수취고객 단말이 선불폰인지 여부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거래인지 최종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무인택배함을 잠금 처리함으로써 피이스피싱에 따른 피해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관련 기관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이스피싱 범죄자를 검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이스피싱 방지 무인 택배시스템의 택배 배달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이스피싱 방지 무인 택배시스템의 택배 찾기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달 정보가 포함된 QR코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인 택배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택배 배달과 택배 찾기의 사용정보/기록을 감지/분석하여 보이스피싱 범죄가 의심되는 사용자 행동을 판단하여 해당 무인 택배함에 잠금을 설정하여 사용을 제한하고, 관련 정보를 보이스피싱 신고센터에 전송하여 보이스피싱을 예방하며 보이스피싱 범죄자의 검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무인택배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해당 사용자(택배기사, 택배 수취고객)의 특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판별한다. 무인 택배시스템의 택배배달 기록정보(History Data)를 분석하여 택배기사의 일정기간 동안의 배달 내역을 판단한다. 본 발명의 무인 택배시스템은 택배배달 기록정보인 배달 구역 정보(AreaCode), 배달 시간(StartDate), 배달 횟수(Count)를 분석한다. 추가적으로 무인 택배시스템은 택배 수취고객의 택배찾기 기록정보를 비교하여 구역 정보(AreaCode), 수취 시간(CreateDate), 수취 횟수(Count)를 분석한다. 택배 기사의 택배 배달 기록정보와 수취고객의 택배찾기 기록정보를 크로스 체크하여 택배 배달/택배 찾기 기록정보의 판별을 통해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 점수를 누적한다. 해당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 점수가 무인 택배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에 기록된 점수 이상인 의심 점수일 경우 보이스피싱 의심 대상에 대한 대응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의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 점수에 대한 예를 들면, 최근 1년 내에 최초로 택배를 배달하는 택배기사가 최초로 택배를 수취하는 수취고객에게 택배를 배달하는 경우에는 높은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부여한다. 또는 최근 1년 내에 최초로 택배를 배달하는 택배기사가 다른 구역의 택배함에서 수령한 내역이 있는 수취고객에게 택배를 배달하는 경우 역시 높은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부여한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보이스피싱 의심 택배 배달의 경우, 해당 무인 택배함의 사용을 특정시간 동안 제한하며, 수취고객에게 발송하는 인증번호의 발송 시간을 일정시간 연기하여 발송함으로서, 보이스 피싱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예방한다. 일 예로 보이스피싱 범죄에 의해 무인 택배함에 보관된 범죄 피해금을 범죄자가 수령하는 시간은 10분 내외이므로 수취 고객에게 10분 동안 인증번호를 발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보이스피싱 범죄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인해 일반적인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에 대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추가 판별을 진행한다. 본 발명은 판별을 통해 보이스피싱 범죄 가능성이 낮다고 판별 될 경우, 일반 고객들이 택배 수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잠금 해제 프로세스를 가동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잠금 해제 프로세스에서 보이스피싱 범죄 가능성을 판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보이스피싱 범죄자의 경우 범죄 추적에 대한 방어책으로 주로 대포폰을 이용한다. 이러한 대포폰은 본인인증 및 일반적인 요금 지불방식에 부담을 느끼기 때문에 대부분 선불요금을 이용하기 때문에 1677 수신자 부담 전화로는 통화할 수 없다. 따라서 잠금 해제 프로세스에서 1677을 통해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해당 대상자가 대포폰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범죄자 가능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해제 프로세스는 수취고객의 휴대폰(단말) 번호로 VOIP(인터넷 전화) 전화를 걸고 결과값을 수신한다. 수취고객의 단말 번호가 일반적인 전화의 경우 보이스피싱 범죄 가중치 점수 낮추고, 수신 결과값이 연결이 안 되는 전화번호의 경우 보이스피싱 가중치를 높인다. 즉, VOIP에서 SIP의 응답 값을 판별하여, 선불요금 단말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선불요금 단말의 경우 보이스피싱 범죄 가능성에 대한 가중치 점수를 부여한다.
잠금 해제 프로세스는 가중치가 무인 택배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가중치보다 낮은 경우, 해당 무인 택배함을 자동으로 잠금 해제하여 일반적인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잠금 해제 프로세스는 택배기사에게 VOIP(인터넷 전화)에서 전화를 걸어 SIP의 응답값을 판별하여 통화중인 상태가 특정시간 이상 지속 될 경우, 가중치를 높인다. 잠금 해제 프로세스는 통화가 연결되면 ARS 시스템에서 정상적인 배달 유무를 확인하는 질의를 음성으로 진행하고, 고객 입력을 받아 정상적인 경우 가중치를 낮춘다. 해당 가중치 점수에 따라 무인 택배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가중치보다 낮은 경우 잠금을 해제한다. 일반적으로 보이스피싱 범죄는 피해자와의 지속적인 통화를 통해 피해자의 정상적인 판단을 저해하기 때문에 통화 상태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 판별에 따른 가중치가 무인 택배시스템에서 단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가중치 중 최상위 가중치로 판단되면, 보이스피싱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단계이므로, 무인 택배시스템은 해당 배달기록 정보 중 구역정보(AreaCode), 제어부 주소(Address), 배달기사(DeliveryPhone), 수령자(UserPhone) 정보를 VOIP를 통해 관할 경찰서로 제공한다. 관할 경찰서 또는 112/182 문자 신고를 이용하여 해당 배달기록 정보를 포함하여 보이스피싱 의심 신고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이스피싱 방지가 가능한 무인 택배시스템의 택배 배달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이스피싱 방지가 가능한 무인 택배시스템의 택배 배달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100단계에서 택배기사는 물품을 배달하기 위해 무인 택배함의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택배기사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무인 택배함은 해당 택배기사가 해당 무인 택배함을 처음 사용한 경우에는 S102단계로 이동하여 택배기사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진행한다.
S104단계에서 무인 택배함은 택배기사로부터 물품의 수취고객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
S106단계에서 무인 택배함은 택배기사가 요청한 택배박스를 개방한다. 즉, 무인 택배함은 복수 개의 택배박스로 구성되며, 택배기사는 복수 개의 택배박스 중 물품을 투입할 택배박스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물품은 현금 또는 현금카드 등 보이스피싱과 관련된 물품이며, 택배박스에 보관이 가능한 물품이라면 이에 포함된다.
S108단계에서 택배기사는 개방된 택배박스에 물품을 투입하고, 택배박스를 닫는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택배기사에 의한 물품의 배달 과정은 종료된다.
S110단계에서 무인 택배함의 서버는 택배기사의 택배배달 기록정보를 확인하여 보이스피싱 관련된 배달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택배배달 기록정보는 배달 구역 정보(AreaCode), 배달 시간(StartDate), 배달 횟수(Count) 등을 포함하며, 무인 택배시스템의 서버는 택배기사의 일정기간 동안의 배달 내역을 이용하여 보이스피싱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일례로, 일정기간 동안 택배기사가 해당 무인 택배함에 배달한 건수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S112단계에서 무인 택배함의 서버는 수취고객의 택배찾기 기록정보를 확인하여 보이스피싱 관련된 배달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택배찾기 기록정보는 배구역 정보(AreaCode), 수취 시간(CreateDate), 수취 횟수(Count) 등을 포함하며, 무인 택배시스템의 서버는 수취고객의 일정기간 동안의 배달 내역을 이용하여 보이스피싱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일례로, 일정기간 동안 수취고객이 해당 무인 택배함에 배달한 건수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S114단계에서 무인 택배함의 서버는 택배박스에 대한 잠금기간을 설정한다. 잠금기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S116단계에서 무인 택배함의 서버는 수취고객 단말로 배송 문자를 발송한다. 물론 서버는 수취고객 단말로 택배박스의 번호, 인증번호 등 물품을 찾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S118단계에서 무인 택배함 서버는 택배배달 기록정보와 택배찾기 기록정보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산출한다.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산출한다.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설정된 제1 가중치 이상이면 서버는 해당 물품이 보이스피싱 관련 물품이라고 판단한다.
S120단계에서 서버는 보이스피싱 관련 물품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잠금 해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S122단계에서 서버는 수취고객 단말로 전화를 하며, 수취고객 단말이 선불폰 단말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선불폰인지 여부를 VOIP를 수신되는 SIP 응답값을 이용한다. 일 예로 서버는 수취고객 단말이 선불폰인 경우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부여한다.
S124단계에서 서버는 택배기사 단말로 전화를 하며, 택배기사 단말로부터 응답이 있는 지 여부를 판별한다. 일 예로 서버는 택배기사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에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부여한다. 물론 서버는 설정된 시간동안 택배기사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부여한다.
S126단계에서 서버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설정된 제2 가중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 미만이면 잠금 해제 프로세스를 종료하며,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 이상이면 관련 기관에 해당 택배 내역이 보이스피싱 의심 내역이라고 통보한다. 서버는 배달기록 정보 중 구역정보(AreaCode), 제어부 주소(Address), 배달기사(DeliveryPhone), 수령자(UserPhone) 정보를 VOIP를 통해 관할 경찰서(관련 기관)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택배찾기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택배찾기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200단계에서 수취고객은 제공받은 인증번호를 무인 택배함의 키오스크에 입력한다.
S202단계에서 서버는 택배박스가 잠금 해제 프로세스가 진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204단계에서 서버는 잠금 해제 프로세스가 진행 중인 경우 즉,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택배박스를 개방하지 않는다.
즉, 서버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보다 높은 경우 수취고객 단말로 시스템 오류 등을 이유로 택배박스가 일시적으로 개방되지 않는다고 통보하며, 관련 기관으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서버는 수취고객이 물품을 찾으러 왔음을 관련기관을 통보한다.
S206단계에서 서버는 잠금 해제 프로세스가 종료된 경우 즉,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택배박스를 개방하여 수취고객이 정상적으로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2는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박스를 개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증번호 이외에 위변조가 불가능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택배박스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인증번호는 다른 제 3자에게 전달하여 택배박스를 개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 위변조가 불가능한 QR 코드는 수취고객 단말이 해당 키오스크에 지점에 직접 방문해야만 하기 때문에 보이스피싱을 일부라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QR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문구를 삽입하여 보이스피싱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이스피싱 차단이 가능한 무인 택배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이스피싱 차단이 가능한 무인 택배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무인 택배시스템(400)은 서버(440), 무인 택배함(430), 택배기사 단말(410) 및 수취고객 단말(420)을 포함하며, 무인 택배함(430)은 키오스크(432), 택배박스(434)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인 택배시스템(440)에 포함될 수 있다.
택배기사 단말(410)은 무인 택배함(430)을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서버(440)와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즉, 무인 택배함(430)에 택배기사 단말(410)의 고유정보(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서버(440)는 해당 고유정보가 처음 입력된 고유정보인 경우에 택배기사 단말(410)로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즉, 택배기사 단말(410)은 서버(440)로부터 인증번호를 제공받는다.
택배기사 단말(410)은 서버(440)로부터 VOIP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을 요청받으며, 이에 따라 통화를 시도한다. 이외에도 택배기사 단말(410)은 서버(440)로부터 택배물품에 배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수취고객 단말(420)은 서버(440)로부터 무인 택배함(430)의 택배박스(434)를 개방하기 위한 인증번호를 제공받는다. 물론 수취고객(420)은 서버(440)로부터 배송 문자를 수신한다. 배송문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인 택배함의 위치, 택배박스의 번호 및 인증번호 등 물품을 찾는데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다.
수취고객 단말(420)은 서버(440)로부터 VOIP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을 요청받는다. 이외에도 수취고객 단말(420)은 서버(44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무인 택배함(4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432)와 복수 개의 택배박스(434)로 구성된다. 택배박스(434)는 잠금장치가 형성되며, 키오스크(432)를 요청에 따라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해제한다.
키오스크(432)는 서버(440)와 연결되며, 서버(44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키오스크(432)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며, 택배기사 단말(410)의 고유정보를 입력받거나, 수취고객로부터 인증번호를 입력받는다. 키오스크(432)는 입력받은 정보를 자체 처리하거나 서버(440)로 제공한다. 즉, 키오스크(432)는 택배기사가 해당 무인 택배함(430)을 처음 사용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서버(440)로 인증절차를 요청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동작은 서버에서 수행할 수 있다.
키오스크(432)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수취고객 단말(420)에 표시된 QR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키오스크(432)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 이상인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주변 환경을 촬영하도록 한다. 키오스크(432)는 서버(440)의 요청에 따라 해당 택배박스를 개방한다.
서버(44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보이스피싱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서버(44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언급된 보이스피싱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버(440)는 택배기사 단말(410)이 해당 무인 택배함(430)을 처음 사용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서버(440)는 택배기사가 입력한 배송 정보를 이용하여 택배배달 기록정보 및 택배찾기 기록정보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440)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하면, 택배기사 단말(410)로 VOIP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며, 통화 연결 여부 또는 통화 연결 시간 여부를 등을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부여한다. 또한. 서버(440)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하면, 수취기사 단말(420)로 VOIP를 이용하여 통화(수신자 부담)를 시도하며, 수취기사 단말(420)이 선불폰인지 여부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부여한다.
서버(440)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를 초과하면, 무인 택배함(430)으로 해당 택배박스의 개방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며, 배송 정보를 관련 기관으로 통보한다. 서버(440)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를 초과한 택배 배달건에 대한 수취고객 단말(420)로부터 택배박스 개방을 요청받으면, 현재 시스템 등의 오류로 인해 일정시간 동안 택배박스 개방이 불가능함을 통보한다. 이외에도 서버는 다양한 방식으로 택배박스의 개방을 차단한다.
이하에서는 무인 택배함의 잠금 처리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무인 택배함에 택배 물품을 배달한 경우,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높은 경우 배달시간에 현재시간+특정시간 또는 현재시간+임의의 시간을 합산하여 서버(440)에 기록한다. 특정시간 또는 임의의 시간은 택배찾기시 잠금이 처리되는 시간이다. 해당 시간은 서버의 판단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경하여 잠금 처리/해제가 가능하다. 무인 택배함에서 택배를 찾을 경우 인증번호를 키오스크에서 입력하면, 서버에 기록된 배달시간과 현재시간을 비교하여 현재시간보다 배달시간이 크면 잠금 처리된 상태이며, 현재시간이 큰 경우에는 잠금해제 또는 정상 상태로 처리한다. 잠금 처리된 상태에서 택배물품을 수취하려고 할 경우 서버는 고객센터(또는 관련 기관)에 수취고객 정보를 전송하고, CCTV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알림 통보 한다.
이외에도 서버(440)는 다양한 형태로 보이스피싱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 이상이면 서버(440)는 수취고객으로 인증번호가 포함된 배달정보를 즉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경과 후 배달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산출한다. 일 예로 최근 1년동안 배달기사가 2회 이하 배달하며, 수취고객이 3회 이하 수취한 경우, 최근 1년 동안 수취고객이 2공 이상의 무인 택배함에서 택배 물품을 수취한 경우 서버는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하철, 마트 등 보관함 용도로 주로 이용하는 경우, 보이스피싱에 대한 대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보관의 경우 즉 본인이 보관하고, 찾는 경우에는 보관할 때 전화번호를 등록하게 하고 찾을 때도 전화번호를 확인하게 하여 타인이 찾을 수 없도록 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보관할 때 등록된 전화번호로 인증번호를 제공하며, 제공된 인증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물품을 찾을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전화번호 입력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본인의 홍채를 촬영하며, 촬영된 홍채를 이용하여 잠금 여부를 판단한다. 즉, 홍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택배박스를 잠금처리하고 관련 기관으로 통보하며, 필요한 경우 서버는 인증번호의 재발송 및 재입력을 요구하여 시간을 지연시킨다.
전달의 경우, 즉, 택배기사가 보관하고, 제3자가 찾는 경우에는, 수취고객의 단말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인증번호를 전송하며, VOIP를 이용하여 선불폰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더불어 택배기사 단말로 통화를 시도하여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인 택배함에 물품을 보관하는 택배기사 또는 물품을 수령하는 수취고객을 다양한 방식으로 확인한다. 즉, 영상을 이용하거나, 지문을 이용하여 등 택배기사 또는 수취고객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택배기사 또는 수취고객을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수취고객 단말이 선불폰인지 여부에 따라 택배박스의 개방을 지연시켜 보이스피싱을 미연에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400: 무인 택배시스템 410: 택배기사 단말
420: 수취고객 단말 430: 무인 택배함
432: 키오스크 434: 택배박스
440: 서버

Claims (8)

  1.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키오스크에 요청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택배박스를 포함하는 무인택배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배송 정보 중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택배기사 단말에 대한 택배배달 기록정보와 택배물품을 수취하는 수취고객 단말에 대한 택배찾기 기록정보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산출하며, 산출된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하면, 상기 택배기사 단말 또는 상기 수취고객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로 통화를 요청하는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보이스 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하면, VOIP를 이용하여 상기 택배기사 단말로 통화를 요청하며, 상기 택배기사 단말이 설정된 시간 동안 요청한 상기 통화에 응답이 없으면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보이스 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하면, VOIP를 이용하여 상기 수취고객 단말로 통화를 요청하여 상기 수취고객 단말이 선불폰이면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를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부여한 상기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를 초과하면, 상기 택배상자의 잠금을 유지하도록 상기 무인택배함에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택배물품이 상기 택배상자에 보관되면, 상기 수취고객 단말로 택배상자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인증번호가 포함된 배송정보를 제공하며,
    부여한 상기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를 초과하면, 상기 택배상자를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인증번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택배상자의 잠금이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하도록 상기 무인택배함에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택배물품이 상기 택배상자에 보관되면, 상기 수취고객 단말로 택배상자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QR코드가 포함된 배송정보를 제공하며,
    부여한 상기 보이스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2 가중치를 초과하면, 상기 택배상자를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QR코드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택배상자의 잠금이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하도록 상기 무인택배함에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배달 기록정보는 배달 구역 정보(AreaCode), 배달 시간(StartDate), 배달 횟수(Cou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택배찾기 기록정보는 배달 구역 정보(AreaCode), 수취 시간(CreateDate), 수취 횟수(Cou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고객 단말이 선불폰인지 여부는, 상기 수취고객 단말로 수신자 부담 통화를 요청하며, 상기 수취고객 단말이 수신자 부담 통화가 되지 않으면 선불폰이라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보이스 피싱 의심 가중치가 제1 가중치를 초과하면, 상기 수취고객 단말로 택배상자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인증번호가 포함된 배송정보를 설정된 시간 이후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KR1020200038136A 2020-03-30 2020-03-30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136A KR102372582B1 (ko) 2020-03-30 2020-03-30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136A KR102372582B1 (ko) 2020-03-30 2020-03-30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62A true KR20210121462A (ko) 2021-10-08
KR102372582B1 KR102372582B1 (ko) 2022-03-10

Family

ID=7811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136A KR102372582B1 (ko) 2020-03-30 2020-03-30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4584A1 (en) * 2022-01-27 2023-08-03 Dubai Police General Headquarters Police self-service kiosk, police self-service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307A (ko) * 2010-07-30 2012-02-09 중소기업은행 보이스 피싱 예방을 위한 보안성을 강화한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60102666A (ko) * 2015-02-23 2016-08-31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110791A (ko) 2015-03-12 2016-09-22 주식회사 디지소닉 보이스피싱 감시 시스템
KR101731545B1 (ko) 2015-02-09 2017-04-28 (주)티아이스퀘어 통화 중 보이스 피싱 위험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307A (ko) * 2010-07-30 2012-02-09 중소기업은행 보이스 피싱 예방을 위한 보안성을 강화한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731545B1 (ko) 2015-02-09 2017-04-28 (주)티아이스퀘어 통화 중 보이스 피싱 위험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2666A (ko) * 2015-02-23 2016-08-31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110791A (ko) 2015-03-12 2016-09-22 주식회사 디지소닉 보이스피싱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4584A1 (en) * 2022-01-27 2023-08-03 Dubai Police General Headquarters Police self-service kiosk, police self-servic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582B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108B2 (en) Detection of unauthorized account transactions
US201903254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identities in transactions
US20020133462A1 (en) Instant electronic notification of credit card use serves as deterrent
US84836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vering lost or stolen mobile devices
EP1569480B1 (en) Mobile phone with restriction on use thereof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mobile phone
US20040158523A1 (en) Method providing contingency access to valuable accounts or information
RU2637746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риска грабежа/кражи банкнот
US20050004871A1 (en) Contingent Interception and Information Replacement for Transactions Conducted over Networks
CA2361405A1 (en) Tokenless biometric atm access system
WO2003067506A2 (en) Method and system of transaction card fraud mitigation utilizing location based services
US7472282B1 (en) Illegal access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075235A1 (en) ATM emergency database system for response to duress transactions
US8172137B1 (en) Authentication with no physical identification document
WO2016135860A1 (ja) カード確認システム
KR102372582B1 (ko)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
GB2437761A (en) Virtual identity and authentication employing a mobile device
JP2005122266A (ja) カード利用取引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カード利用取引処理用プログラム
WO2021123919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ed teller machine
US20050065885A1 (en) ATM second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emergency response system
JP6511409B2 (ja) 金融機関における取引施錠システム及び取引施錠方法
JP3501335B2 (ja) カードシステム
JP5010305B2 (ja) 偽造カードによる不正取引の防止システム、施設端末監視サーバ、atm監視サーバ、atm監視方法、プログラム
KR20010028146A (ko)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CN1344099A (zh) 银行电子货币系统的反暴力劫持的报警方法
KR20050002106A (ko)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