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146A -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146A
KR20010028146A KR1019990040228A KR19990040228A KR20010028146A KR 20010028146 A KR20010028146 A KR 20010028146A KR 1019990040228 A KR1019990040228 A KR 1019990040228A KR 19990040228 A KR19990040228 A KR 19990040228A KR 20010028146 A KR20010028146 A KR 20010028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assword
case
stolen
ow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진
Original Assignee
장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진 filed Critical 장병진
Priority to KR101999004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146A/ko
Publication of KR2001002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1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카드가 소유자가 아닌 타인에 의해 부당한 방법으로 사용되어져, 소유주에게 피해가 돌아가는 경우는 아래와 같은 경우로 요약이 가능하다.
1. 도난으로 인한 경우
2. 강압에 의한 비밀번호 유출
3. 소유자의 부주의로 인한 과다 사용
1의 경우 도난카드가 부정이용 되려면, 카드결제의 경우와 현금서비스의 경우 두 가지로 요약이 된다. 카드결제의 경우 소유자가 분실사실을 빨리 인지하고, 카드사에 분실신고를 할 경우에 막을 수가 있으며, 현금서비스의 경우도 소유주의 신속한 대처로 막을 수가 있다.
2의 경우는 강압에 의해 비밀번호와 카드를 동시에 강탈당하고, 범죄자에 의해 억류를 당하는 경우이므로 신고는 물론 신체적인 위해도 피하기가 힘들다. 가장 피해의 정도가 큰 경우이고 대처하기가 곤란한 경우이다. 은행이나 카드사의 입장에서는 정상적인 인출이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됨으로 책임의 소재가 없지만, 피해자의 입장에서 보면 애써 은행에 맡긴 돈을 일시에 도난 당하게 됨으로 경제적, 심리적 피해가 말할 수가 없이 크다.
3의 경우는 카드의 소유자가 유흥업소 등에서 결제의 수단으로 카드를 종업원 등에게 맡기는 경우 종업원이 이중으로 전표를 작성해 카드소유주에게 피해를 입히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카드소유주의 세심한 주의로서 예방이 가능하다.
위의 1,2,3의 경우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2번째 경우이다.
이 경우를 분석해 보면, 카드와 비밀번호 중 하나를 통제할 경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카드의 경우 강압에 의해 절취 당할 수가 있지만, 비밀번호의 경우 새로운 시스템의 구축으로 불법적인 이용을 얼마든지 차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카드를 이용한 범죄는 완벽하게 차단이 가능하다.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 비밀번호 다중 지정방식
금융기관이나, 카드사에서 고객에게 카드를 발급해 줄 경우, 비밀번호를 다중으로 지정하는 방식이다. 즉 2∼3의 비밀번호를 지정하고, 이중에 한 개는 모든 권한을 부여한 번호이고, 나머지는 인출은 가능하되 이 번호로 인출을 시도할 경우, 예금 잔액의만 지급이 되고, 자동적으로, 행원의 단말기에 도난사실이 통보되고, 감시카메라가 범인에게 고정됨과 동시에 신고가 들어간다. 이런 경우 범인을 현장에서, 검거해도 되고, 미행을 통해 인질로 억류되어 있는 사람들도 안전하게 구조할 수가 있다. 또한 은행의 카드 사용자 주소가 사전의 은행이나 카드사에 명확히 통보되었을 경우엔 경찰이나 청원경찰이 사용자의 집을 직접 급습 범인의 잔당을 검거 할 수도 있다.
◎ 금지 번호 삽입방식
통장을 개설할 당시 카드의 도난에 대비해서 금지 번호를 지정해 둔다.
카드 분실 시 습득한 자가 무작위로 비밀번호를 누를 경우, 확률적으로 세 번에 한번은 금지번호를 누르게 된다. 금지번호를 누르게 되면, 도난카드라는 사실이 행원의 단말기에 알려지고, 청원경찰도 이를 인지하게 되며, 카드의 사용은 자동중지가 된다.
◎ 통장정리방법 개선
통장의 정리시도 비밀번호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는 범인이 위 시스템에 대한 사전지식을 갖고 사용자로 하여금 현금을 인출시키기 전에 통장 정리를 통해 미리 잔액을 확인할 경우가 있으므로 미리 통장을 정리 할 때에도 도난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실재 현금 잔액의 10분의 1만 표시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렇게 되면 범인은 사용자가 현금 인출기에서 인출한 금액이 전부인 것으로 알기 때문에 의심할 수도 없고 사용자도 그만큼 현금 갈취에 대한 부담이 줄게 되기 때문이다.
◎ 비밀번호 확인 방지
도난 비밀번호로 인출이나, 조회, 통장정리 등을 시도할 경우, 지능적인 범죄자의 경우는 위험부담을 감수하더라도 모든 번호를 다 조회하려 할 것이다. 이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도난 비밀번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24시간이내에 부여된 어떠한 비밀번호를 누르더라도 처음에 누른 도난 비밀번호로 누른 거래 금액의 10분의 1만이 표시된다.

Description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Card illegal using protective system}
은행이나 카드사의 현금 인출이 가능한 카드를 사용할 경우 흔히 범죄의 대상이 된다. 즉 일반 가정집에 강도나 도둑이 들어 가족의 일부를 인질로 잡고 사용자를 범인 한 명이 카드 소유자와 동행하거나 비밀번호를 갈취한 뒤 스스로 은행을 비롯한 모든 금융기관에 입금되어 있는 현금을 인출하여 갈취하게 된다. 이때 피해자는 자신이 범죄를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위에 알려야 하는데 집에는 가족이 인질로 잡혀있고 자신은 따라온 범인의 감시를 받고 있으니 신고가 용의 하지 않다. 물론 은행에는 CCTV나 그 밖의 감시용 장비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인 직접 인출한 금액이나 누가 인출하든 정상적인 인출에 대해서는 어떻게 손쓸 도리가 없다. 결국 범인이 원하는 바를 이루고 도주한 뒤에야 피해자가 신고하게 되고 뒤늦게 범인 검거에 나서는 것이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피해자가 불안해 할 필요 없이 도난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현금을 인출하면 자동적으로 행원의 단말기에 현재 계좌에서 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범죄에 의한 불법인출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뜨게 된다. 물론 인출된 금액도 실재 입금되어 있는 액수의 10분의1만 인출된다. 통장에 의한 인출을 시도할 경우도 이 도난비밀번호만 기재하여 행원에게 전달하면 똑 같은 방법으로 자동 신고가 되어 메시지가 발생하는 것이다.
현재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카드 및 통장을 이용한 현금 갈취 범죄에 대한 간편하고 신속한 사고 접수 및 처리를 목적으로 한다.
CCTV를 통한 범인 촬영 장치
.
도 1 - 이 도면은 대표도로서 본 시스템이 각각의 경우에 작동하는 운영체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 도1의 세부사항으로 사용자가 정상적인 인출을 시도할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 도1의 세부사항으로 범인이 도난비밀번호를 단말기에 입력시켰을 경우 나타나는 작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 도1의 세부사항으로 카드소유자가 카드를 분실할 경우 이를 습득한 자가 임의로 비밀번호 조합을 시도할 경우 금지번호로 지정한 번호를 누를 경우의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 도1의 세부사항으로 실 비밀번호와 도난비밀번호, 금지번호 이외의 번호를 잘못 눌렀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 도1의 세부사항으로 범인이 다중의 비밀번호를 확인해 보려할 경우 이를 방지하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
.

Claims (1)

  1. 금융기관의 거래에 이용되는 카드와 통장에 3∼4 개의 비밀번호, 금지번호가 사용될 수 있도록 통장 개설 시 여러 개의 비밀번호를 접수받는다. 도난 비밀번호, 금지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행원의 단말기에 자동사고 접수되는 시스템으로 도난 비밀번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범인이 눈치 체지 못하도록 통장과 현금인출기 영수증에 입금액의 10분의 1만 표시되며 모든 거래가 정상적인 거래로 인식되게 하는 시스템이다. 어떠한 비밀번호라도 먼저 입력되었을 경우, 24시간이내에 부여된 어떠한 다른 비밀번호를 누르더라도 처음에 누른 도난 비밀번호로 누른 거래 금액의 10분의 1만이 표시되는 방식
KR1019990040228A 1999-09-17 1999-09-17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KR20010028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228A KR20010028146A (ko) 1999-09-17 1999-09-17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228A KR20010028146A (ko) 1999-09-17 1999-09-17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146A true KR20010028146A (ko) 2001-04-06

Family

ID=1961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228A KR20010028146A (ko) 1999-09-17 1999-09-17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14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530A (ko) * 2001-04-13 2001-07-25 백인수 다중 패스워드를 이용한 비상 상황 인식 및 조치 장치
KR20040000628A (ko) * 2002-06-22 2004-01-07 김정훈 복수개의 비밀번호를 이용한 금융카드 안전화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40022812A (ko) * 2002-09-09 2004-03-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중 비밀 번호를 이용한 신변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026034A (ko) * 2002-09-17 2004-03-27 송창용 금융거래카드의 비밀번호 이원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2248A (ko) * 2002-10-08 2004-04-17 박찬종 복수개의 암호와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응급대처 시스템
KR100830866B1 (ko) * 2006-09-25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 금지키를 이용한 불법 접근 방지 방법 및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530A (ko) * 2001-04-13 2001-07-25 백인수 다중 패스워드를 이용한 비상 상황 인식 및 조치 장치
KR20040000628A (ko) * 2002-06-22 2004-01-07 김정훈 복수개의 비밀번호를 이용한 금융카드 안전화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40022812A (ko) * 2002-09-09 2004-03-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중 비밀 번호를 이용한 신변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026034A (ko) * 2002-09-17 2004-03-27 송창용 금융거래카드의 비밀번호 이원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2248A (ko) * 2002-10-08 2004-04-17 박찬종 복수개의 암호와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응급대처 시스템
KR100830866B1 (ko) * 2006-09-25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 금지키를 이용한 불법 접근 방지 방법 및장치
US7895444B2 (en) 2006-09-25 2011-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egal access using prohibit key in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422B2 (en) Automatic teller system and method of marking illegally obtained cash
US69552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redit card fraud
US6068184A (en) Security card and system for use thereof
KR19980015298A (ko) 금융보안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28146A (ko) 카드 부정이용 방지 시스템
KR19990033759A (ko) 금융 보안 시스템
EP0822525A2 (en) Anti-theft system for self-service terminal
CN101354804A (zh) 一种金融客户危险预警保护系统
Austin The prevention of robbery at building society branches
US202100049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alerts
CN101046900A (zh) 用生物智能识别与双重密码相结合认证的信用卡安全技术
EP3707685A1 (de) Geldscheineingabeautomat
CN101751727B (zh) 用于监测安装盗卡装置的方法、设备和自助终端
Srinivasan et al. Safeguarding of ATM
WO2000054195A1 (en) Dual pin number silent alarm for atm machines
KR20010029553A (ko) 안전한 금융 거래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시스템
Jain ATM frauds: Detection & prevention
JP2932306B2 (ja) 現金自動取引方法
CN101136116A (zh) 存款双密码防盗取方法及报警显示系统
CN101930583A (zh) 一种金融安全交易系统
CN1265503A (zh) 一种报警方法
KR20010069530A (ko) 다중 패스워드를 이용한 비상 상황 인식 및 조치 장치
Pathak et al.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frauds and security
Baker et 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Banks
KR20010002007A (ko) 이중 암호화에 의한 현금인출수단의 비정상 현금 인출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