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666A -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666A
KR20160102666A KR1020150025016A KR20150025016A KR20160102666A KR 20160102666 A KR20160102666 A KR 20160102666A KR 1020150025016 A KR1020150025016 A KR 1020150025016A KR 20150025016 A KR20150025016 A KR 20150025016A KR 20160102666 A KR20160102666 A KR 2016010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courier
mobile terminal
box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254B1 (ko
Inventor
유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Priority to KR102015002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25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와 사물함 사이에 통신망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또는 사물함에 제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물함을 관리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물함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사물함 박스를 포함하는 사물함, 상기 사물함에 부착되어 있는 NFC, RF, 바코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사물함의 식별번호를 독출하며, 독출한 상기 사물함의 식별번호,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인증 번호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물함의 식별번호,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인증 번호에 매칭되는 사물함 박스를 추출하고, 추출한 사물함 박스를 개방하도록 상기 사물함으로 지시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locker management}
본 발명은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와 사물함 사이에 통신망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또는 사물함에 제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물함을 관리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학원, 학원, 대학교 및 스키장 등의 장소에는 사용자의 개인 물건 보관을 위하여 사물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특정 개인에게 배정되며, 수동식 키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는 자신에게 배정받은 사물함을 개인 자물쇠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즉, 대학교의 도서관, 각 단과대 건물 등에는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사물함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도서관의 경우에는 층마다 수백 개씩의 사물함이 소요되며, 각 사물함에 키를 두고 관리하고 있으나, 키의 분실과 같은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계식 열쇠는 소지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복제에 의한 보안의 안정성이 침해되고,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사물함을 사용하게끔 하는 현재의 시스템 때문에 더욱 불편하였다. 또한, 비용 절감을 위해 저렴한 비용으로 사물함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17154호(발명의 명칭: 무인 택배 관리 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사물함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서버와 사물함 사이에 통신망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물함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물함에 제어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물함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물함 이외에 택배함이나 도서 사서함에도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물함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사물함 박스를 포함하는 사물함, 상기 사물함에 부착되어 있는 NFC, RF, 바코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사물함의 식별번호를 독출하며, 독출한 상기 사물함의 식별번호,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인증 번호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물함의 식별번호,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인증 번호에 매칭되는 사물함 박스를 추출하고, 추출한 사물함 박스를 개방하도록 상기 사물함으로 지시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물함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사물함 박스를 포함하는 사물함, 상기 사물함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사용 가능한 사물함 박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사용 가능한 사물함 박스에 대한 정보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사물함 박스를 선택하며, 선택한 사물함 박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관리 서버로부터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물함으로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선택한 사물함 박스에 대한 수신하며, 수신한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관리 방법과 시스템은 서버와 사물함 사이에 통신망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에서 사물함을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외부의 해킹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함에 제어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서버에서 사물함 박스를 제어함으로써 사물함을 설치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물함뿐만 아니라 택배함이나 도서 사서함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에서 택배를 배달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사물함 및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며,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부터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사물함(300)에서 설치되어 있는 NFC, 바코드 또는 RF 등을 인식하여 사물함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물론 바코드는 불법 복제의 위험이 있으므로, NFC나 RF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단말(100)은 추출한 사물함 식별번호와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전송한 사물함 식별번호와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먼저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전송한 사물함 식별번호와 동일한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관리 서버(200)는 동일한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전송한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사물함 박스를 추출한다. 관리 서버(200)는 추출한 사물함 박스를 개방하도록 사물함에 요청한다. 즉, 본 발명의 관리 서버(200)는 사물함(300)으로 개방이 요구되는 사물함 박스의 정보를 전송한다.
사물함(300)은 복수 개의 사물함 박스로 구성되며, 각 사물함 박스별로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사물함 박스는 사물함 박스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사물함(300)은 사물함을 식별할 수 있는 사물함 식별번호가 포함한 NFC, 바코드 또는 RF를 부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물함(300)은 별도의 제어장치를 형성하지 않고, 관리 서버(200)만 제어장치를 형성하고 있다. 즉, 사물함은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명령을 단순히 수행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물함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물함은 디스플레이 역시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사물함 박스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특정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요청받으면,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사물함 박스를 개방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관리 서버(200)는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요청하는 신호를 라우터로 제공하며, 라우터는 관리 서버의 신호를 BU(base unit, 베이스 유닛)로 전달한다. BU는 CPU와 맥 어드레스가 보유하고 있다. BU는 해당 정보를 CU(control unit, 컨트롤 유닛)로 제공한다. CU는 사물함 박스에 장착되어 있는 잠금장치(전기정)으로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사물함 박스가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CU는 잠금장치에 의해 사물함 박스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이에 대한 정보를 BU와 라우터를 거쳐 관리 서버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20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로부터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며,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부터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S20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사물함에서 설치되어 있는 NFC, 바코드 또는 RF 등을 인식하여 사물함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물론 바코드는 불법 복제의 위험이 있으므로, NFC나 RF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1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추출한 사물함 식별번호와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S21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사물함 박스가 개방되었다는 정보를 제공받는다.
S22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관리 서버로 개방된 사물함 박스를 닫았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300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물함 식별번호와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를 수신한다. 이외에도 관리 서버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인증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S305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수신한 사물함 식별번호와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관리 서버는 모바일 단말에서 전송한 사물함 식별번호와 동일한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관리 서버는 동일한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전송한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사물함 박스를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가 인증 번호를 수신한 경우에도 인증 번호에 대한 유효성 여부도 함께 검증한다.
S310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추출한 사물함 박스를 개방하도록 사물함에 요청한다. 또한, 관리 서버는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와 대응되는 사물함 박스가 개방되었음을 통지한다.
S315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개방되었던 사물함 박스가 닫혔음을 통보받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택배함 및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며,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부터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택배함(500)에서 설치되어 있는 NFC, 바코드 또는 RF 등을 인식하여 택배함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물론 바코드는 불법 복제의 위험이 있으므로, NFC나 RF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단말(100)은 추출한 택배함 식별번호,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인증번호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에서 전송한 택배함 식별번호,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인증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먼저,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에서 전송한 택배함 식별번호와 동일한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관리 서버(200)는 동일한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전송한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인증번호에 대응되는 택배함 박스를 추출한다. 관리 서버(200)는 추출한 택배함 박스를 개방하도록 택배함에 요청한다. 즉, 본 발명의 관리 서버(200)는 택배함으로 개방이 요구되는 택배함 박스의 정보를 전송한다.
택배함(500)은 복수 개의 택배함 박스로 구성되며, 각 택배함 박스별로 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택배함 박스는 택배함 박스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택배함(500)은 택배함을 식별할 수 있는 사물함 식별번호가 포함한 NFC, 바코드 또는 RF를 부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택배함(500)은 별도의 제어장치를 형성하지 않고, 관리 서버(200)만 제어장치를 형성하고 있다. 즉, 택배함(500)은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명령을 단순히 수행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택배함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다. 택배함 박스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특정 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요청받으면, 해당 택배함 박스를 개방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배송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송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배송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며,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부터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배송자 단말은 택배함에서 설치되어 있는 NFC, 바코드 또는 RF 등을 인식하여 택배함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물론 바코드는 불법 복제의 위험이 있으므로, NFC나 RF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송자 단말은 추출한 택배함 식별번호,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는 해당 택배함에서 사용 가능한 택배함 박스에 대한 정보를 배송자 단말로 전송하며, 배송자 단말은 전송받은 택배함 박스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택배함 박스를 선택한다. 이와 동시에 배송자 단말은 택배를 수령할 수령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배송자 단말은 선택한 택배함 박스와 수령자의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는 해당 택배함 박스를 개방하도록 택배함에 요청한다. 배송자 단말은 개방된 택배함 박스에 택배가 인입된 후 표시된 항목 중 배송 완료 항목을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는 배송자 단말로부터 배송이 완료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택배함 박스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택배함 박스가 정상적으로 닫혔는지 확인한다.
관리 서버는 수령자의 전화번호로 인증번호와 배송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배송자 단말은 관리 서버로부터 이전에 제공받은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배송자 단말인지 여부를 승인받는다. 즉, 배송자 단말은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번호를 제공받으며, 택배함 박스에 택배를 보관할 경우, 미리 제공받은 승인번호를 이용하여 배송자 단말인지 여부를 승인받는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이외에 피처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관리 서버는 모바일 단말로 URL을 전송하며, 모바일 단말은 해당 URL로 접속한 후 제공받은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관리 서버에 인증번호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사물함 및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물함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도 5는 사물함과 관리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며,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부터 사물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사물함에서 설치되어 있는 NFC, 바코드 또는 RF 등을 인식하여 사물함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물론 바코드는 불법 복제의 위험이 있으므로, NFC나 RF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단말(100)은 사물함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물함에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하고자 하는 사물함을 선택하며, 필요한 경우 결제를 진행한다.
결제가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은 사물함 열기 항목을 선택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사물함 사용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사물함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관리 서버(200)는 결제 현황, 사물함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사물함(300)은 복수 개의 사물함 박스로 구성되며, 각 사물함 박스별로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사물함 박스는 사물함 박스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사물함(300)은 사물함을 식별할 수 있는 사물함 식별번호가 포함한 NFC, 바코드 또는 RF를 부착하고 있다. 사물함(300)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특정 사물함 박스에 대한 개방을 요청받으면, 해당 사물함 박스를 개방한다. 이외에도 사물함은 사물함을 사용하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에 대해 결제를 요청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모바일 단말은 사물함 박스를 개방하기 위해 인증번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는 인증번호가 일치하면, 모바일 단말로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은 전송받은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사물함 박스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 서버와 사물함 사이에 통신이 단절된 경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물함 박스를 개방한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번호가 기 저장된 인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동일하면 모바일 단말로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모바일 단말은 블루투스, 비컨, Z-wave와 같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물함으로 해당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요청한다. 또한, 사물함은 해당 사물함 박스가 개방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또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택배함 및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며,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400)로부터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택배함(500)과의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령이 요구되는 택배가 있는 지 여부를 문의하며, 수령이 요구되는 택배가 있으면, 택배 수령 항목을 선택한다.
택배 수령 항목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인증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며, 입력된 인증번호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모바일 단말(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해당 택배함 박스를 개방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택배 수령 후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모바일 단말(100)은 택배를 발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활성화된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택배 발송을 선택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택배함(500)으로부터 사용 가능한 택배함 박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택배함 박스를 선택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택배 배송 관련 정보를 입력한다. 택배 배송 관련 정보는 택배 발송인, 택배 수령인, 배송 택배사, 배송 요금 등이 포함된다. 모바일 단말(100)은 배송 요금이 선불인 경우에는 요금을 결제한다. 이후 선택된 택배함 박스가 개방되면, 모바일 단말 사용자는 택배를 택배함 박스에 인입한 후 개방된 택배함 박스를 닫는다.
이후 모바일 단말(100)은 배송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배송 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해당 택배사로 배송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와 기 저장된 인증번호를 비교하며, 인증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로 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택배함(500)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배송이 요구되는 택배가 있는 지 확인한다. 택배함은 배송이 요구되는 택배가 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택배함(500)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요구받으면, 인증번호 확인 후 해당 택배함 박스를 개방한다.
이외에도 택배함(500)은 배송자 단말로부터 사용 가능한 택배함 박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이에 대한 정보를 배송자 단말로 제공한다. 택배함(500)은 배송자 단말로부터 수령자 단말의 식별번호를 수신하면, 사물함 박스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번호와 동일한 인증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하며, 동일한 인증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모바일 단말로 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에서 택배를 배달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S700단계에서 배송자 단말은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S705단계에서 배송자 단말은 설치한 택배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 후 택배함으로 택배함 박스의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S710단계에서 배송자 단말은 사용 가능한 택배함 박스를 선택하고, 수령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후 배송자는 택배함 박스에 택배를 인입한 후 개방된 택배함 박스를 닫는다.
S715단계에서 배송자 단말은 택배함 박스에 택배가 인입되면, 수령자 단말로 배송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배송자 단말은 관리 서버로 배송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S720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인증번호를 생성한 후 수령자 단말로 배송 관련 정보와 인증번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 서버에서 택배함으로 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단말로 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 서버와 택배함 사이에 통신이 단절된 경우에도 관리 서버에서 택배함을 관리할 수 있다. 물론 모바일 단말과 택배함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는 서버에서 수행하는 반면, 서버에서 사물함(또는 택배함)으로 사물함 박스(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할 수 없으므로, 사물함 박스(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은 사물함(택배함)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물함(택배함)으로 사물함 박스(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요청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모바일 단말 200: 관리 서버
300: 사물함 400: 어플리케이션 저장 서버
500: 택배함

Claims (6)

  1. 적어도 두 개의 사물함 박스를 포함하는 사물함;
    상기 사물함에 부착되어 있는 NFC, RF, 바코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사물함의 식별번호를 독출하며, 독출한 상기 사물함의 식별번호,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인증 번호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물함의 식별번호, 모바일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인증 번호에 매칭되는 사물함 박스를 추출하고, 추출한 사물함 박스를 개방하도록 상기 사물함으로 지시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함은,
    상기 사물함 박스의 개방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로 사물함 박스의 개방 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관리 방법.
  3. 적어도 두 개의 사물함 박스를 포함하는 사물함;
    상기 사물함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사용 가능한 사물함 박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사용 가능한 사물함 박스에 대한 정보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사물함 박스를 선택하며, 선택한 사물함 박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관리 서버로부터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물함으로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선택한 사물함 박스에 대한 수신하며, 수신한 사물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 선택한 사물함 박스의 사용 요금을 결제하도록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관리 시스템.
  5. 적어도 두 개의 택배함 박스를 포함하는 택배함;
    상기 택배함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사용 가능한 택배함 박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사용 가능한 택배함 박스에 대한 정보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택배함 박스를 선택하며, 선택한 택배함 박스에 대한 정보와 택배 수령자의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배송자 단말;
    상기 배송자 단말로부터 수령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수신하며, 생성한 인증 번호를 포함한 배송 정보를 수령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함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함으로부터 수령이 요구되는 택배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택배 정보로부터 택배 수령 요청과 상기 인증 번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수령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수신한 인증 번호와 전송한 인증 번호가 동일하면, 상기 수령자 단말로 택배함 박스의 개방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함 관리 시스템.
KR1020150025016A 2015-02-23 2015-02-23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2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016A KR101720254B1 (ko) 2015-02-23 2015-02-23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016A KR101720254B1 (ko) 2015-02-23 2015-02-23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66A true KR20160102666A (ko) 2016-08-31
KR101720254B1 KR101720254B1 (ko) 2017-03-27

Family

ID=5687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016A KR101720254B1 (ko) 2015-02-23 2015-02-23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462A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079B1 (ko) 2021-12-28 2023-02-16 주식회사 요망진컴패니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660A (ja) * 2000-05-12 2001-11-22 X Cube:Kk 一時預かりボックスシステム
KR20090117154A (ko) 2008-05-08 2009-11-12 무인택배시스템 주식회사 무인 택배 관리 장치
KR101317775B1 (ko) * 2012-11-14 2013-10-15 유시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사물함 이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660A (ja) * 2000-05-12 2001-11-22 X Cube:Kk 一時預かりボックスシステム
KR20090117154A (ko) 2008-05-08 2009-11-12 무인택배시스템 주식회사 무인 택배 관리 장치
KR101317775B1 (ko) * 2012-11-14 2013-10-15 유시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사물함 이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462A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보이스피싱 방지 기능을 갖는 무인 택배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254B1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065B1 (ko)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102451561B1 (ko) 무인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US9197312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in a local network
US201301252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ultiplicity of credentials
US11039293B2 (en) Method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 secured data package to a communication device
KR101746705B1 (ko)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EP3285228A1 (en) Unmanned mail/couri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507594B1 (ko)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6341383B (zh) 用于引发动作的辅助设备
CN106097504A (zh) 一种酒店自行入住的实现方法
CN107038490B (zh) 基于第三方互联网平台的自助式订房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902548B1 (ko) 비콘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7495A (ko) 택배 배송 방법
KR101574891B1 (ko)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101720254B1 (ko)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0027265A1 (ja) 充電制御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KR20150030448A (ko) 무인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615187B1 (ko) 인증키를 이용한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9253628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between two electronic entities
JP6157117B2 (ja) ネットワークカラオケシステム
US11450160B2 (en) Wireless access control using an electromagnet
KR101996258B1 (ko)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원격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996257B1 (ko)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
KR20140109836A (ko) 무인 물품 수납 서비스 방법
KR101609833B1 (ko)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