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106A -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106A
KR20050002106A KR1020030043421A KR20030043421A KR20050002106A KR 20050002106 A KR20050002106 A KR 20050002106A KR 1020030043421 A KR1020030043421 A KR 1020030043421A KR 20030043421 A KR20030043421 A KR 20030043421A KR 20050002106 A KR20050002106 A KR 2005000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rver
card
cod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종
Original Assignee
송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종 filed Critical 송현종
Priority to KR102003004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2106A/ko
Publication of KR2005000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1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08Active credit-cards provided with means to personalise their use, e.g. with PIN-introduction/comparison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상적인 안면 화상 및 마스크나 선글라스가 동시에 가려진 비정상 안면 화상을 샘플로 원격 서버에 등록시킨 상태에서, 현금지급기 주변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화상을 캡쳐하여 정상 안면인지 비정상 안면인지 화상비교를 함으로써 밴사로부터 인가된 카드인증신호와 함께 지급 인증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신속하며 최소의 에러율의 유지하는 화상비교를 통해 각종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고객의 전체 안면화상을 등록시켜 고객의 진위를 인증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구축해야될 샘플화상 데이터량이 작으며, 샘플화상 데이터와의 비교만을 행하므로 화상비교 시간이 대폭 감소될 수 있고, 단지 화상데이터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이 아니고 실시간 화상비교 및 그 출동지시를 행하므로 범죄사고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도난 카드사용이라고 판단되면 경찰청과 경비회사에 자동으로 도난카드 사용신호가 발생되므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창구에서의 비정상적인 행동패턴이 캡쳐되믄 관제사가 다수의 금융기관을 동시에 검색하면서도 즉시 강도사건을 판단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모니터에 비정상적 화상이 출력되므로 소수 관제인력으로 효율적인 관제가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FINANCE SECURITY SYSTEM USING A PICTURE-COMPARISON}
본 발명은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정상적인 안면 화상 및 마스크나 선글라스가 동시에 가려진 비정상 안면 화상을 샘플로 원격 서버에 등록시킨 상태에서, 현금지급기 주변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화상을 캡쳐하여 정상 안면인지 비정상 안면인지 화상비교를 함으로써 밴사로부터 인가된 카드인증신호와 함께 지급 인증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신속하며 최소의 에러율의 유지하는 화상비교를 통해 각종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반영하여, 최근에는 원격지에 위치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는 바,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 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등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고, 심지어는 각종 증권회사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주식의 매매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주식 거래를 행할 수 있는 각종 모바일 서비스가 등장하여 편리함을 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일반 금융계로도 확산되어 최근에는 거의 대부분의 금융사가 부가가치망을 통한 금융서버를 이용하여 각종 인터넷 뱅킹 및 폰뱅킹이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신용카드사의 경우에도 부가가치망을 통한 신용카드 서버나, 카드 결제승인을 위한 밴 서버를 통해 신용카드 결제 네트웍이 구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유저는 보다 손쉽게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져 있다.
인터넷 뱅킹 및 신용카드를 이용한 웹쇼핑 등은 일반적으로 전자서명 등을 통한 난수표 보안 체계를 갖추고 있는 바, 이러한 전자서명의 경우 계좌 비밀번호와 별도로 전자서명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만 이체나 출금, 신용카드를 이용한 물품 구매를 할 수 있게 되어져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상에서는 캐쉬카드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하거나 현금 신용인출을 할 경우 해당 계좌의 비밀번호만 알고 있으면 누구나 현금을 출금할 수 있으므로 비밀번호를 누설하고 해당 캐쉬카드나 신용카드의 분실로 인해 각종 금융사고가 발발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특정 물품을 구매할 때에는 별도의 비밀번호 확인과정 없이 물품 구매가 가능한 연유로 인해, 보다 많은 금융사고가 발발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금융사고로 인해 유저는 물론이고, 신용카드사에서 그 사고해결을 위해 많은 경비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유저의 경우에도 금융보안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점점 감소되고 있으므로 안전한 금융거래에 위협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보안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힐 수 있는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객의 지문데이터를 특정 서버에 저장한 상태에서, 현금지급기에 설치된 지문인식 단말기에 의해 고객의 지문을 캡쳐하여 해당 카드의 소유주인지를 비교하는 시스템이 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문인식 금융보안 시스템은 다수의 지문 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저장해야 되므로 대용량의 서버를 구축해야되며 고객의 지문데이터를 일일이 캡쳐받아야 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지문데이터가 유출될 경우 심각한 개인 신상정보 누출의 위험성에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캡쳐되어 전송된 지문을 데이터베이스에 기구축된 자료내에서 찾아내야 되므로 현금 지급을 받기 위한 시간이 방대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상적인 안면 화상 및 마스크나 선글라스가 동시에 가려진 비정상 안면 화상을 샘플로 원격 서버에 등록시킨 상태에서, 현금지급기 주변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화상을 캡쳐하여 정상 안면인지 비정상 안면인지 화상비교를 함으로써 밴사로부터 인가된 카드인증신호와 함께 지급 인증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신속하며 최소의 에러율의 유지하는 화상비교를 통해 각종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적인 안면 화상 및 마스크나 선글라스가 동시에 가려진 비정상 안면 화상을 샘플로 원격 서버에 등록시킨 상태에서, 현금지급기 주변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화상을 캡쳐하여 정상 안면인지 비정상안면인지 화상비교를 행하여 비정상 안면화상일 경우 경찰청 서버 및 보안경비사 서버로 도난 카드사용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함으로써 소지자를 조기 검거할 수 있도록 한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적인 안면 화상 및 마스크나 선글라스가 동시에 가려진 비정상 안면 화상을 샘플로 원격 서버에 등록시킨 상태에서, 현금지급기 주변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화상을 캡쳐하여 정상 안면인지 비정상 안면인지 화상비교를 행하여 비정상 안면화상일 경우 금융서버로 도난 카드사용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카드 사용금지 처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동시에 고객 핸드폰으로 SMS를 통해 카드도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카드분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적인 행동패턴의 화상데이터 및 비정상적인 행동패턴의 화상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기등록시킨 상태에서, 금융기관의 창구에서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원격서버로 전송하여 고객의 행동패턴을 자동 비교함으로써 비정상 행동패턴과 일치하는 화상데이터를 관제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출력시키고, 관제사가 경찰청과 보안 경비사에 출동신호를 발생하며, 자동으로 금고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서 화상 인증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 인증서버에서의 화상비교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신호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신호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 인증서버에서의 화상비교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1∼Cn:웹카메라, DSD1∼DSDn: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
ATM1∼ATMn:현금지급기, POS:경찰청서버,
BS:금융서버, SOS:보안경비사서버,
SL1∼SLn:금고개폐부, A1∼An:고객모바일단말기,
PCS:화상인증서버, PCS':화상관제서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금융사의 부근에 설치되어 24시간 현금을 입/출금하기 위한 현금지급기내에 사용자의 안면 화상을 캡쳐하기 위해 설치된 웹카메라와; 상기 웹카메라로부터 캡쳐된 안면화상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내부에 원격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모뎀 등의 통신모듈이 장착되어져 있으며, 현금지급코드 및 지급금지 코드 등의 코드를 현금지급기로 전송하여 현금지급 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와; 상기 웹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를 매개하여 전송받아 기저장된 비정상적 안면 화상데이터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안면화상을 인증하기 위해 내부에 비정상적 안면 화상 샘플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고, 화상비교를 위한 화상비교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값으로 현금지급허용 및 지급금지 코드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로 발생시키며, 비정상적 안면화상이라고 판단될 경우 경찰청 및 보안회사에 해당 현금지급기의 위치정보 및 도난카드발생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각 현금지급기 위치정보 및 현금지급코드, 지급금지코드, 도난카드발생코드가 미리 설정되어져 있는 화상인증서버와; 상기 화상인증서버로부터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카드정보를 전송받으며, 필요시 촬상된 사용자 안면 화상정보를 제공받는 경찰청서버 및 보안경비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카메라는 사용자의 안면화상이 더 잘 캡쳐될 수 있도록 현금지급기의 키패드 상단부나 키패드상에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금지급기는 밴사로 인증요청한 카드인증 결과값고, 사용자의 안면 화상인증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현금 지급이 발생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카드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카드를 도난카드로 등록시키기 위한 금융서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인증서버는 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통신모듈과; 샘플 화상설정 및 발생 코드 설정을 행하고 신규로 등록된 ATM 위치정보 및 경찰청/보안사 IP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신규로 입력된 ATM 위치정보 및 삭제정보, 갱신정보를 등록 관리하기 위한 ATM 위치정보 등록부와; 기등록된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의 비교로 인한 화상인증을 통해 지급관리를 행하는 지급인증 관리부와; 상기 지급인증 관리부에서의 화상인증에 따라 지급코드 및 지금금지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생코드 관리부와; 고객의 카드정보 및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고객정보 관리부와; 기등록된 비정상적인 샘플 화상데이터와 캡쳐되어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안면중 주요 팩터인 눈, 코, 입의 화상이 인식되는 지를 판단하는 화상비교 알고리즘과; 현금지급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ATM 위치정보 DB와; 상기 발생코드 관리부에서 원격으로 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각종 코드가 기설정된 발생코드 DB와; 경찰청 서버 및 보안사 서버의 IP 주소가 기등록되어 자동으로 코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 경찰청/보안사 IP DB와; 고객의 신상정보 및 카드정보가 저장된 고객정보 DB와; 현금지급기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를 원격 구동시켜 사용자가 현금지급을 요청하기 위한 시도를 행할 때, 해당 사용자의 안면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지를 샘플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판단하고, 그에 따라 지금코드 또는 지급금지코드를 발생시키고, 도난카드로의 판단시 경찰청/보안사 서버, 해당 카드사 서버로 도난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정상적 화상데이터는 사용자의 안면 화상이 선글라스 또는 마스크에 의해 가려져 눈, 코, 입의 인식이 불가능한 화상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찰청서버 및 보안경비사 서버는 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가 내장되어져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받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인증서버에는 카드정보 및 해당 카드와 매칭된 고객의 핸드폰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져 있음으로써 도난카드 발생시 카드확인정보를 SMS로 전송할 수 있도록 SMS 정보를 화면 출력시키는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와; 이동통신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가 더 연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화상인증서버에 미리 선글라스 및 마스크를 착용한 비정상적 화상을 등록시키고, 화상비교를 통해 현금지급기로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웹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가 촬상하는 과정과; 화상인증서버가 캡쳐된 화상데이터와 비정상적 샘플 화상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인증서버가 현금지급기로 도난카드 코드를 발생시켜 현금지급을 금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화상인증서버가 상기 경찰청서버 및 보안 경비사 서버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해당 현금지급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밴사서버에서 해당 카드인증신호가 인가되면, 화상인증이 이루어질 때까지 현금지급기가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인증서버에서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비정상적인 화상데이터로 인식되면, 해당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의 소지자 핸드폰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해당 핸드폰으로 SMS를 통해 카드확인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각종 금융사의 창구로비에 설치되어 고객의 행동패턴 분석을 위한 화상을 캡쳐하는 웹카메라와; 상기 웹카메라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내부에 원격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모뎀 등의 통신모듈이 장착되어져 있으며, 금고 폐쇄코드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와 연계되어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 도어락이 구성되어져 원격으로 전송된 개폐 제어코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도어락이 개폐되게 구성된 금고개폐부와; 상기 웹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를 매개하여 전송받아 기저장된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강도사건으로 판단하는 인증하기 위해 내부에 비정상적 행동패턴의 화상 샘플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고, 화상비교를 위한 화상비교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값으로 금고폐쇄코드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로 발생시키며, 경찰청 및 보안회사에 해당 금융기관의 위치정보 및 강도사건 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각 금융기관 위치정보 및 금고폐쇄코드, 강도사건 발생코드가 미리 설정되어져 있으며, 비정상적 화상패턴을 관제사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자동 화면 출력되는 모니터(M1)와 연결되어져 있는 화상관제서버와; 상기 화상관제서버로부터 강도사건 발생코드 및 해당 금융사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며, 필요시 촬상된 특정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정보를 제공받는 경찰청서버 및 보안경비사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카메라는 다수개가 설치되어 창구로비 전체의 화상 및 창구로비를 다수개의 영역으로 일정하게 분할한 분할 영역의 상세 화상이 캡쳐될 수 있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관제서버에 기등록된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화상데이터는 칼이나 총으로 위협하는 화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화상관제서버에 미리 칼, 총 등의 무기로 위협하는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을 등록시키고,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해당 샘플 화상데이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로 금고 폐쇄를 위한 강도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하는 과정과; 창구 로비의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로부터 촬상된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데이터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화상관제서버가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가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샘플 화상에 대해 전송된 화상과의 비교를 행하는 과정과;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제사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모니터에 출력시키는 과정과; 관제사가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찰하여 실제 강도사건인지의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한 다음, 실제 강도사건이라고 판단되면,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강도코드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데이터송수신 단말기가 강도코드에 따라 금고개폐부에 금고 폐쇄코드를 발생시켜 금고를 폐쇄하는 과정과; 경찰청서버 및 보안 경비사 서버로 강도사건 발생코드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인증서버는 상기 웹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특정 고객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경찰청서버 및 보안 경비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정상적인 안면 화상 및 마스크나 선글라스가 동시에 가려진 비정상 안면 화상을 샘플로 원격 서버에 등록시킨 상태에서, 현금지급기 주변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화상을 캡쳐하여 정상 안면인지 비정상 안면인지 화상비교를 함으로써 밴사로부터 인가된 카드 인증신호와 함께 지급 인증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신속하며 최소의 에러율의 유지하는 화상비교를 통해 각종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은 단순히 해당 카드의 인증과, 비밀번호 일치여부만을 판단하여 요청금액을 지급하는 종래의 시스템에서의 각종 도난사고, 비밀번호 유출을 통한 불법 카드사용 등의 금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 화상이 정상적인 화상인지, 아니면 마스크나 선글라스를 착용하여 안면을 은폐시킨 비정상적인 화상인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화상일 때 요청금액을 정상적으로 지급하고, 비정상적인 화상인 경우 금액 지급을 중지시키며, 경찰청이나 보안경비사에 불법카드 사용에 대한 정보와 출동신호를 자동으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는 정상적인 안면 화상데이터 및 비정상적인 안면 화상데이터의 샘플 데이터가 기등록되어져 있으며, 화상비교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캡쳐된 안면 화상데이터를 다수개의 픽셀로 분할하여 화상 추정 및 그 비교를 행한다. 화상비교 알고리즘은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는 각종 금융사의 부근에 설치되어 24시간 현금을 입/출금하기 위한 현금지급기(ATM1∼ATMn)내에 사용자의 안면 화상을 캡쳐하기 위한 웹카메라(C1∼ Cn)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카메라(C1∼Cn)는 사용자의 안면화상이 더 잘캡쳐될 수 있도록 현금지급기(ATM1∼ATMn)의 키패드 상단부나 키패드상에 장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웹카메라(C1∼Cn)로부터 캡쳐된 안면 화상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내부에 원격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모뎀 등의 통신모듈이 장착되어져 있으며, 현금지급코드 및 지급금지 코드 등의 코드를 상기 현금지급기(ATM1∼ATMn)로 전송하여 현금지급 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현금지급기(ATM1∼ATMn)는 공지된 바와 같이 부가가치망인 전용선을 매개하여 밴사서버(도시 생략)와 접속되어져 투입된 카드의 인증을 밴사서버에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면 화상인증을 통한 지급결정 신호를 원격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 (DSD1∼DSDn)에서 밴사서버로부터의 카드인증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최종 지급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카드가 상기 현금지급기(ATM1∼ATMn)로 투입되고,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카드정보 및 비밀번호가 밴사서버로 제공되어져 카드인증을 행하게 되고, 그 카드인증 결과 지급가능한 카드라고 판정된 경우라 할지라도, 원격서버에서의 화상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가 비정상 화상데이터로 판정되게 되면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는 각 인증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현금지급기(ATM1∼ATMn)에 그 원격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지급금지 코드를 발생시켜 현금지급을 금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와, 현금지급기(ATM1∼ATMn), 밴사서버에는 각 코드 및 그 코드에 따른 제어기능이 미리 등록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웹카메라(C1∼Cn)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를 매개하여 전송받아 기저장된 비정상적 안면 화상데이터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안면화상을 인증하기 위해 내부에 비정상적 안면 화상 샘플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고, 화상비교를 위한 화상비교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값으로 현금지급허용 및 지급금지 코드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 DSDn)로 발생시키며, 비정상적 안면화상이라고 판단될 경우 경찰청 및 보안회사에 해당 현금지급기(ATM1∼ATMn)의 위치정보 및 도난카드발생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각 현금지급기(ATM1∼ATMn) 위치정보 및 현금지급코드, 지급금지코드, 도난카드발생코드가 미리 설정되어져 있는 화상인증서버(PCS)가 제공된다. 제 1, 2데이터베이스(DB1, DB2)는 각 코드값과 그에 따른 제어데이터, 현금지급기 위치정보가 저장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로부터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카드정보를 전송받으며, 필요시 촬상된 사용자 안면 화상정보를 제공받는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경비사 서버(SOS)가 제공된다. 더불어,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로부터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카드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카드를 도난카드로 등록시키기 위한 금융서버 (BS1)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카드 소지자의 다수의 안면 화상을 미리등록시켜두고 캡쳐된 화상데이터와 등록된 화상데이터를 비교하는 시스템이 아니므로 데이터 구축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제 3자를 시켜 현금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해당 인출자의 안면 화상이 정상적인 화상인지를 판단하므로 제 3자라 할지라도 현금 인출이 가능하므로 불편함이 없다. 또한, 미리 등록된 카드 소지자의 화상과 비교하는 시스템이 아니므로 데이터 추출 및 추출된 데이터와의 화상 비교시간이 최소화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 미리 선글라스 및 마스크를 착용한 비정상적 화상을 등록시키고,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해당 화상데이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현금지급기(ATM)의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C)로부터 촬상된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는 그 화상데이터를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로 전송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금지급기(ATM)에 카드를 투입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현금지급기(ATM)는 해당 카드정보를 카드로부터 독취하고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그 카드정보와 함께 밴사서버(VS)로 전송하여 카드 인증을 요구한다. 밴사서버(VS)에서 정상적인 카드이며 비밀번호를 인증하게 되면 그 인증신호가 현금지급기(ATM)로 입력되며 그 현금지급기(ATM)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비정상적 화상데이터가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DB)의 샘플 화상에 대해 전송된 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화상인증을 행하게 된다. 만약,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해당 카드가 도난카드인 것을 나타내는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상기 밴사서버(VS)에서의 카드인증 및 화상인증서버(PCS)에서의 화상인증 중 어느 한 인증이라도 실패하면 현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미리 상기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에 설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서 도난 카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해당 현금지급기(ATM)의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즉시 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때 상기 경찰청서버 (POS) 및 보안경비사 서버(SOS)는 무선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상기 화상인증서버 (PCS)와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의 사이에는 무선통신망이 매개하여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도 있다. 더불어, 필요시에는 상기 화상인증서버 (PCS)는 상기 웹카메라(C)에 의해 캡쳐된 용의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전송하여 신속한 검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시에,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서 도난 카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금융서버(신용카드사: BS)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해당 카드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카드가 도난카드로 자동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는 현금지급기(ATM)를 매개로 상기 밴사서버(VS)에 지급금지 코드를 전송하여 해당 카드인증 취소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후 해당 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서 화상 인증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통신모듈, 키입력부, ATM 위치정보 등록부, 지급인증 관리부, 발생코드 관리부, 고객정보 관리부, 화상비교 알고리즘, ATM 위치정보 DB, 발생코드 DB, 경찰청/보안사 IP DB, 고객정보 DB, 제어부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10은 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통신모듈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2는 샘플 화상설정 및 발생 코드 설정을 행하고 신규로 등록된 ATM 위치정보 및 경찰청/보안사 IP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4는 상기 키입력부(12)로부터 신규로 입력된 ATM 위치정보 및 삭제정보, 갱신정보를 등록 관리하기 위한 ATM 위치정보 등록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6은 기등록된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선글라스, 마스크 착용 샘플화상)와의 비교로 인한 화상인증을 통해 지급관리를 행하는 지급인증 관리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8은 상기 지급인증 관리부(16)에서의 화상인증에 따라 지급코드 및 지금금지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생코드 관리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0은고객의 카드정보 및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고객정보 관리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2a는 기등록된 비정상적인 샘플 화상데이터와 캡쳐되어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안면중 주요 팩터인 눈, 코, 입의 화상이 인식되는 지를 판단하는 화상비교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22b는 현금지급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ATM 위치정보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2c는 상기 발생코드 관리부(18)에서 원격으로 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각종 코드가 기설정된 발생코드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2d는 경찰청 서버 및 보안사 서버의 IP 주소가 기등록되어 자동으로 코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 경찰청/보안사 IP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2e는 고객의 신상정보 및 카드정보가 저장된 고객정보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4는 현금지급기(ATM)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C)를 원격 구동시켜 사용자가 현금지급을 요청하기 위한 시도를 행할 때, 해당 사용자의 안면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지를 샘플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판단하고, 그에 따라 지금코드 또는 지급금지코드를 발생시키고, 도난카드로의 판단시 경찰청/보안사 서버, 해당 카드사 서버로 도난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 인증서버에서의 화상비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 미리 선글라스 및 마스크를 착용한 비정상적 화상(32b, 32c) 및 정상적인 화상(32a)을 등록시킨다.
그리고, 캡쳐된 화상데이터(30)가 해당 화상데이터중 비정상적 화상(32b, 32c)와 유사한지, 정상적인 화상(32a)과 유사하여 사용자의 눈, 코, 입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상기 현금지급기(ATM)로 해당 카드가 도난카드인 것을 나타내는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시킨다.
정상적인 화상데이터인 경우,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상기 현금지급기 (ATM)로 해당 카드 사용자의 화상 인증이 정상적이라는 것을 지급코드의 발생으로 나타냄으로써 현금지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 미리 선글라스 및 마스크를 착용한 비정상적 화상을 등록시키고,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해당 화상데이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되고, 정상적인 화상데이터로 판단되면 지급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되어진 상태에서, 카드의 투입과 동시에 상기 현금지급기(ATM)의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C)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가 촬상되어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를 매개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로 캡쳐된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전송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금지급기(ATM)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현금지급기(ATM)는 해당 카드정보를 카드로부터 독취하고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그 카드정보와 함께 밴사서버(VS)로 전송하여 카드 인증을 요구한다.
밴사서버(VS)에서 정상적인 카드이며 비밀번호를 인증하게 되면 그 인증신호가 현금지급기(ATM)로 입력되며 그 현금지급기(ATM)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비정상적 화상데이터가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DB)의 샘플 화상에 대해 전송된 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화상인증을 행하게 된다. 만약,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해당 카드가 도난카드라는 코드를 발생시키고,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는 현금지급기(ATM)로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시킨다. 또, 상기 현금지급기(ATM)는 밴사 서버(VS)로 지급금지코드를 발생하여 자동 등록시킴으로써 차후 해당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상기 밴사서버(VS)에서의 카드인증 및 화상인증서버(PCS)에서의 화상인증 중 어느 한 인증이라도 실패하면 현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미리 상기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에 설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서 도난 카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해당 현금지급기(ATM)의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즉시 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불어, 필요시에는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상기 웹카메라(C)에 의해 캡쳐된 용의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전송하여 신속한 검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시에,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서 도난 카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금융서버(신용카드사: BS)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해당 카드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카드가 도난카드로 자동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정상적인 안면 화상 및 마스크나 선글라스가 동시에 가려진 비정상 안면 화상을 샘플로 원격 서버에 등록시킨 상태에서, 현금지급기 주변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화상을 캡쳐하여 정상 안면인지 비정상 안면인지 화상비교를 행하여 비정상 안면화상일 경우 금융서버로 도난 카드사용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카드 사용금지 처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동시에 고객 핸드폰으로 SMS를 통해 카드도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카드분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는 각종 금융사의 부근에 설치되어 24시간 현금을 입/출금하기 위한 현금지급기(ATM1∼ATMn)내에 사용자의 안면 화상을 캡쳐하기 위한 웹카메라(C1∼Cn)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카메라(C1∼Cn)는 사용자의 안면화상이 캡쳐될 수 있도록 현금지급기(ATM1∼ATMn)의 키패드 상단부나 키패드상에 장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웹카메라(C1∼Cn)로부터 캡쳐된 안면 화상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내부에 원격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모뎀 등의 통신모듈이 장착되어져 있으며, 현금지급코드 및 지급금지 코드 등의 코드를 상기 현금지급기(ATM1∼ATMn)로 전송하여 현금지급 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현금지급기(ATM1∼ATMn)는 공지된 바와 같이 부가가치망인 전용선을 매개하여 밴사서버(도시 생략)와 접속되어져 투입된 카드의 인증을 밴사서버에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면 화상인증을 통한 지급결정 신호를 원격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 (DSD1∼DSDn)에서 밴사서버로부터의 카드인증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최종 지급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카드가 상기 현금지급기(ATM1∼ATMn)로 투입되고,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카드정보 및 비밀번호가 밴사서버로 제공되어져 카드인증을 행하게 되고, 그 카드인증 결과 지급가능한 카드라고 판정된 경우라 할지라도, 원격서버에서의 화상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가 비정상 화상데이터로 판정되게 되면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는 각 인증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현금지급기(ATM1∼ATMn)에 그 원격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지급금지 코드를 발생시켜 현금지급을 금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와, 현금지급기(ATM1∼ATMn), 밴사서버에는 각 코드 및 그 코드에 따른 제어기능이 미리 등록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웹카메라(C1∼Cn)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를 매개하여 전송받아 기저장된 비정상적 안면 화상데이터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안면화상을 인증하기 위해 내부에 비정상적 안면 화상 샘플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고, 화상비교를 위한 화상비교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값으로 현금지급허용 및 지급금지 코드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 DSDn)로 발생시키며, 비정상적 안면화상이라고 판단될 경우 경찰청 및 보안회사에 해당 현금지급기(ATM1∼ATMn)의 위치정보 및 도난카드발생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각 현금지급기(ATM1∼ATMn) 위치정보 및 현금지급코드, 지급금지코드, 도난카드발생코드가 미리 설정되어져 있으며, 도난카드로 인식될 때 해당 카드의 소지자 핸드폰 정보 및 해당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중계기(MEX)를 매개로 해당 카드소지자의 핸드폰(A1∼An)으로 SMS를 통해 카드확인요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된 화상인증서버(PCS)가 제공된다. 제 1, 2데이터베이스(DB1, DB2)는 각 코드값과 그에 따른 제어데이터, 현금지급기 위치정보, 고객의 핸드폰정보 및 카드정보가 저장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로부터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카드정보를 전송받으며, 필요시 촬상된 사용자 안면 화상정보를 제공받는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경비사 서버(SOS)가 제공된다. 더불어,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로부터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카드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카드를 도난카드로 등록시키기 위한 금융서버 (BS1)가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 미리 선글라스 및 마스크를 착용한 비정상적 화상을 등록시키고,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해당 화상데이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현금지급기(ATM)의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C)로부터 촬상된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는 그 화상데이터를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로 전송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금지급기(ATM)에 카드를 투입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현금지급기(ATM)는 해당 카드정보를 카드로부터 독취하고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그 카드정보와 함께 밴사서버(VS)로 전송하여 카드 인증을 요구한다. 밴사서버(VS)에서 정상적인 카드이며 비밀번호를 인증하게 되면 그 인증신호가 현금지급기(ATM)로 입력되며 그 현금지급기(ATM)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비정상적 화상데이터가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DB)의 샘플 화상에 대해 전송된 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화상인증을 행하게 된다. 만약,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해당 카드가 도난카드인 것을 나타내는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상기 밴사서버(VS)에서의 카드인증 및 화상인증서버(PCS)에서의 화상인증 중 어느 한 인증이라도 실패하면 현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미리 상기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에 설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서 도난 카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해당 현금지급기(ATM)의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즉시 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때 상기 경찰청서버 (POS) 및 보안경비사 서버(SOS)는 무선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상기 화상인증서버 (PCS)와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의 사이에는 무선통신망이 매개하여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도 있다. 더불어, 필요시에는 상기 화상인증서버 (PCS)는 상기 웹카메라(C)에 의해 캡쳐된 용의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전송하여 신속한 검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시에,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도난카드로 인식될 때 해당 카드의 소지자 핸드폰 정보 및 해당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중계기(MEX)를 매개로 해당 카드소지자의 핸드폰(A1∼An)으로 SMS를 통해 카드확인요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의 내부에는 각 코드값과 그에 따른 제어데이터, 고객의 핸드폰정보 및 카드정보가 저장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 미리 선글라스 및 마스크를 착용한 비정상적 화상을 등록시키고,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해당 화상데이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되고, 정상적인 화상데이터로 판단되면 지급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되어진 상태에서, 카드의 투입과 동시에 상기 현금지급기(ATM)의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C)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가 촬상되어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를 매개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로 캡쳐된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전송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금지급기(ATM)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현금지급기(ATM)는 해당 카드정보를 카드로부터 독취하고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그 카드정보와 함께 밴사서버(VS)로 전송하여 카드 인증을 요구한다.
밴사서버(VS)에서 정상적인 카드이며 비밀번호를 인증하게 되면 그 인증신호가 현금지급기(ATM)로 입력되며 그 현금지급기(ATM)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비정상적 화상데이터가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DB)의 샘플 화상에 대해 전송된 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화상인증을 행하게된다. 만약,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해당 카드가 도난카드라는 코드를 발생시키고,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는 현금지급기(ATM)로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시킨다. 또, 상기 현금지급기(ATM)는 밴사 서버(VS)로 지급금지코드를 발생하여 자동 등록시킴으로써 차후 해당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상기 밴사서버(VS)에서의 카드인증 및 화상인증서버(PCS)에서의 화상인증 중 어느 한 인증이라도 실패하면 현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미리 상기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에 설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서 도난 카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해당 현금지급기(ATM)의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즉시 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불어, 필요시에는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상기 웹카메라(C)에 의해 캡쳐된 용의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전송하여 신속한 검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시에, 상기 화상인증서버(PCS)에서 도난 카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금융서버(신용카드사: BS)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해당 카드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카드가 도난카드로 자동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상인증서버(PCS)는 도난카드로 인식될 때 그 내부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카드번호와 매칭되는 해당 카드의 소지자 핸드폰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통신 중계기(MEX)를 매개로 해당 카드소지자의 핸드폰(A1∼An)으로 SMS를 통해 카드확인요구 정보를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정상적인 행동패턴의 화상데이터 및 비정상적인 행동패턴의 화상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기등록시킨 상태에서, 금융기관의 창구에서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원격서버로 전송하여 고객의 행동패턴을 자동 비교함으로써 비정상 행동패턴과 일치하는 화상데이터를 관제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출력시키고, 관제사가 경찰청과 보안 경비사에 출동신호를 발생하며, 자동으로 금고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는 각종 금융사의 창구로비에 설치되어 고객의 행동패턴 분석을 위한 화상을 캡쳐하는 웹카메라(C1∼Cn)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카메라(C1∼Cn)는 다수개가 설치되어 창구로비 전체의 화상 및 창구로비를 다수개의 영역으로 일정하게 분할한 분할 영역의 상세 화상이 캡쳐될 수 있도록 장착한다.
또한, 상기 웹카메라(C1∼Cn)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내부에 원격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모뎀 등의 통신모듈이 장착되어져 있으며, 금고 폐쇄코드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가 제공된다.
또,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에는 금고 개폐부 (SL)가 접속되어져 있는 바, 금고 개폐부(SL)는 내부에 솔레노이드 도어락이 구성되어져 원격으로 전송된 개폐 제어코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도어락이 개폐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웹카메라(C1∼Cn)에 의해 캡쳐된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DSDn)를 매개하여 전송받아 기저장된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강도사건으로 판단하는 인증하기 위해 내부에 비정상적 행동패턴의 화상 샘플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고, 화상비교를 위한 화상비교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값으로 금고폐쇄코드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1∼ DSDn)로 발생시키며, 경찰청 및 보안회사에 해당 금융기관의 위치정보 및 강도사건 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각 금융기관 위치정보 및 금고폐쇄코드, 강도사건 발생코드가 미리 설정되어져 있으며, 비정상적 화상패턴을 관제사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자동 화면 출력되는 모니터(M1)와 연결되어져 있는 화상관제서버(PCS')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내의 제어부에서는 화상비교 및 모니터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로부터 강도사건 발생코드 및 해당 금융사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며, 필요시 촬상된 특정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정보를 제공받는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경비사 서버(SOS)가 제공된다.
따라서, 창구 로비에 설치된 웹카메라(C)를 통해 고객의 화상패턴 데이터를 캡쳐하여 상기 화상관제서버(PCS')에 기등록된 비정상적 화상패턴 샘플과 비교한 후 비정상적 화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는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제사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화면 출력시킨다. 그리고, 관제사가 실제 강도사건인지를 2차적으로 확인한 후 강도사건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경찰청 서버(POS) 및 보안경비사 서버(SOS)에 수동으로 강도사건 발생코드를 전송한다.
또한, 관제사는 상기 데이터송수신 단말기(DSD)로 금고폐쇄코드를 발생시켜 금고가 원격제어에 의해 폐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단지 금융기관이나 금융사의 창구로비를 대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백화점 등의 대형 유통매장, 귀금속 판매점, 전당포, 택시 등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상기 화상관제서버(PCS')에 미리 칼, 총 등의 무기로 위협하는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을 등록시키고,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해당 샘플 화상데이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금고 폐쇄를 위한 강도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창구 로비의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C)로부터 촬상된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 (DSD)는 그 화상데이터를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는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가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DB)의 샘플 화상에 대해 전송된 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화상관제기능을 행하게 된다. 만약,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는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제사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모니터(M1)에 출력시킨다. 따라서, 관제사는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찰하여 실제 강도사건인지의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한 다음, 실제 강도사건이라고 판단되면,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강도코드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그 강도코드는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를 매개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로 인가되고, 그 데이터송수신 단말기(DSD)는 금고개폐부(SL)에 금고 폐쇄코드를 발생시켜 금고가 폐쇄되도록 한다. 금고 개폐부(SL)는 솔레노이드 도어락으로 이루어져 제어신호에 따라 금고의 도어락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져 있다.
그와 동시에,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를 매개로 관제사는 상기 경찰청서버 (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강도사건 발생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즉시 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때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경비사 서버(SOS)는 무선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상기 화상관제서버(PCS')와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의 사이에는 무선통신망이 매개하여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도 있다. 더불어, 필요시에는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는 상기 웹카메라(C)에 의해 캡쳐된 특정 고객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전송하여 신속한 검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 인증서버에서의 화상비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화상관제서버(PCS')에 미리 칼이나 총으로 위협하는 비정상적 화상(42b, 42c) 및 정상적인 화상(42a)을 등록시킨다.
그리고, 캡쳐된 화상데이터(40a, 40b)가 해당 화상데이터중 비정상적 화상 (42b, 42c)와 유사한지, 정상적인 화상(42a)과 유사한지를 화상비교를 통해 판단한다.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는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제사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화면 출력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화상관제서버(PCS')에 미리 칼, 총 등의 무기로 위협하는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을 등록시키고,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해당 샘플 화상데이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DSD)로 금고 폐쇄를 위한 강도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창구 로비의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 (C)로부터 촬상된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송수신용단말기(DSD)는 그 화상데이터를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는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가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DB)의 샘플 화상에 대해 전송된 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화상관제기능을 행하게 된다. 만약,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는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제사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모니터(M1)에 출력시킨다. 따라서, 관제사는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찰하여 실제 강도사건인지의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한 다음, 실제 강도사건이라고 판단되면,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강도코드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그 강도코드는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를 매개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DSD)로 인가되고, 그 데이터송수신 단말기(DSD)는 금고개폐부(SL)에 금고 폐쇄코드를 발생시켜 금고가 폐쇄되도록 한다. 금고 개폐부(SL)는 솔레노이드 도어락으로 이루어져 제어신호에 따라 금고의 도어락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져 있다.
그와 동시에,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를 매개로 관제사는 상기 경찰청서버 (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강도사건 발생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즉시 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때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경비사 서버(SOS)는 무선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상기 화상관제서버(PCS')와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의 사이에는 무선통신망이 매개하여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도 있다. 더불어, 필요시에는 상기 화상관제서버(PCS')는 상기 웹카메라(C)에 의해 캡쳐된특정 고객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경찰청서버(POS) 및 보안 경비사 서버(SOS)로 전송하여 신속한 검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고객의 전체 안면화상을 등록시켜 고객의 진위를 인증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구축해야될 샘플화상 데이터량이 작으며, 샘플화상 데이터와의 비교만을 행하므로 화상비교 시간이 대폭 감소될 수 있고, 단지 화상데이터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이 아니고 실시간 화상비교 및 그 출동지시를 행하므로 범죄사고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도난 카드사용이라고 판단되면 경찰청과 경비회사에 자동으로 도난카드 사용신호가 발생되므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창구에서의 비정상적인 행동패턴이 캡쳐되믄 관제사가 다수의 금융기관을 동시에 검색하면서도 즉시 강도사건을 판단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모니터에 비정상적 화상이 출력되므로 소수 관제인력으로 효율적인 관제가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각종 금융사의 부근에 설치되어 24시간 현금을 입/출금하기 위한 현금지급기내에 사용자의 안면 화상을 캡쳐하기 위해 설치된 웹카메라와;
    상기 웹카메라로부터 캡쳐된 안면 화상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내부에 원격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모뎀 등의 통신모듈이 장착되어져 있으며, 현금지급코드 및 지급금지 코드 등의 코드를 현금지급기로 전송하여 현금지급 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와;
    상기 웹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를 매개하여 전송받아 기저장된 비정상적 안면 화상데이터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안면화상을 인증하기 위해 내부에 비정상적 안면 화상 샘플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고, 화상비교를 위한 화상비교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값으로 현금지급허용 및 지급금지 코드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로 발생시키며, 비정상적 안면화상이라고 판단될 경우 경찰청 및 보안회사에 해당 현금지급기의 위치정보 및 도난카드발생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각 현금지급기 위치정보 및 현금지급코드, 지급금지코드, 도난카드발생코드가 미리 설정되어져 있는 화상인증서버와;
    상기 화상인증서버로부터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카드정보를 전송받으며, 필요시 촬상된 사용자 안면 화상정보를 제공받는 경찰청서버 및 보안경비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카메라는 사용자의 안면화상이 더 잘 캡쳐될 수 있도록 현금지급기의 키패드 상단부나 키패드상에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지급기는 밴사로 인증요청한 카드인증 결과값고, 사용자의 안면 화상인증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현금 지급이 발생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카드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카드를 도난카드로 등록시키기 위한 금융서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증서버는 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통신모듈과; 샘플 화상설정 및 발생 코드 설정을 행하고 신규로 등록된 ATM 위치정보 및 경찰청/보안사 IP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신규로 입력된 ATM 위치정보 및 삭제정보, 갱신정보를 등록 관리하기 위한 ATM 위치정보 등록부와; 기등록된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의 비교로 인한 화상인증을 통해 지급관리를 행하는 지급인증 관리부와; 상기 지급인증 관리부에서의 화상인증에 따라 지급코드 및 지금금지코드를발생시키기 위한 발생코드 관리부와; 고객의 카드정보 및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고객정보 관리부와; 기등록된 비정상적인 샘플 화상데이터와 캡쳐되어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안면중 주요 팩터인 눈, 코, 입의 화상이 인식되는 지를 판단하는 화상비교 알고리즘과; 현금지급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ATM 위치정보 DB와; 상기 발생코드 관리부에서 원격으로 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각종 코드가 기설정된 발생코드 DB와; 경찰청 서버 및 보안사 서버의 IP 주소가 기등록되어 자동으로 코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 경찰청/보안사 IP DB와; 고객의 신상정보 및 카드정보가 저장된 고객정보 DB와; 현금지급기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를 원격 구동시켜 사용자가 현금지급을 요청하기 위한 시도를 행할 때, 해당 사용자의 안면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지를 샘플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판단하고, 그에 따라 지금코드 또는 지급금지코드를 발생시키고, 도난카드로의 판단시 경찰청/보안사 서버, 해당 카드사 서버로 도난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적 화상데이터는 사용자의 안면 화상이 선글라스 또는 마스크에 의해 가려져 눈, 코, 입의 인식이 불가능한 화상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찰청서버 및 보안경비사 서버는 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가 내장되어져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받게 구성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증서버에는 카드정보 및 해당 카드와 매칭된 고객의 핸드폰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져 있음으로써 도난카드 발생시 카드확인정보를 SMS로 전송할 수 있도록 SMS 정보를 화면 출력시키는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와; 이동통신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가 더 연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9. 화상인증서버에 미리 선글라스 및 마스크를 착용한 비정상적 화상을 등록시키고, 화상비교를 통해 현금지급기로 지급 금지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웹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화상데이터가 촬상하는 과정과;
    화상인증서버가 캡쳐된 화상데이터와 비정상적 샘플 화상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상기 화상인증서버가 현금지급기로 도난카드 코드를 발생시켜 현금지급을 금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화상인증서버가 상기 경찰청서버 및 보안 경비사 서버로 도난카드 발생코드 및 해당 현금지급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밴사서버에서 해당 카드인증신호가 인가되면, 화상인증이 이루어질 때까지 현금지급기가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증서버에서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비정상적인 화상데이터로 인식되면, 해당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의 소지자 핸드폰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해당 핸드폰으로 SMS를 통해 카드확인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
  12. 각종 금융사의 창구로비에 설치되어 고객의 행동패턴 분석을 위한 화상을 캡쳐하는 웹카메라와;
    상기 웹카메라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내부에 원격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모뎀 등의 통신모듈이 장착되어져 있으며, 금고 폐쇄코드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와 연계되어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 도어락이 구성되어져 원격으로 전송된 개폐 제어코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도어락이 개폐되게 구성된 금고개폐부와;
    상기 웹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를 매개하여 전송받아 기저장된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강도사건으로 판단하는 인증하기위해 내부에 비정상적 행동패턴의 화상 샘플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고, 화상비교를 위한 화상비교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값으로 금고폐쇄코드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송수신용 단말기로 발생시키며, 경찰청 및 보안회사에 해당 금융기관의 위치정보 및 강도사건 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각 금융기관 위치정보 및 금고폐쇄코드, 강도사건 발생코드가 미리 설정되어져 있으며, 비정상적 화상패턴을 관제사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자동 화면 출력되는 모니터(M1)와 연결되어져 있는 화상관제서버와;
    상기 화상관제서버로부터 강도사건 발생코드 및 해당 금융사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며, 필요시 촬상된 특정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정보를 제공받는 경찰청서버 및 보안경비사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카메라는 다수개가 설치되어 창구로비 전체의 화상 및 창구로비를 다수개의 영역으로 일정하게 분할한 분할 영역의 상세 화상이 캡쳐될 수 있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관제서버에 기등록된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화상데이터는 칼이나 총으로 위협하는 화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15. 화상관제서버에 미리 칼, 총 등의 무기로 위협하는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을 등록시키고,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해당 샘플 화상데이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용 단말기로 금고 폐쇄를 위한 강도코드를 발생하도록 설정하는 과정과;
    창구 로비의 주변부에 설치된 웹카메라로부터 촬상된 고객의 행동패턴 화상데이터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화상관제서버가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가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샘플 화상에 대해 전송된 화상과의 비교를 행하는 과정과;
    비교한 결과 비정상적 행동패턴 샘플 화상데이터와 캡쳐된 화상데이터가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라면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제사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모니터에 출력시키는 과정과;
    관제사가 해당 화상데이터를 관찰하여 실제 강도사건인지의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한 다음, 실제 강도사건이라고 판단되면,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강도코드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데이터송수신 단말기가 강도코드에 따라 금고개폐부에 금고 폐쇄코드를 발생시켜 금고를 폐쇄하는 과정과;
    경찰청서버 및 보안 경비사 서버로 강도사건 발생코드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증서버는 상기 웹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특정고객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경찰청서버 및 보안 경비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방법.
KR1020030043421A 2003-06-30 2003-06-30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02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421A KR20050002106A (ko) 2003-06-30 2003-06-30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421A KR20050002106A (ko) 2003-06-30 2003-06-30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106A true KR20050002106A (ko) 2005-01-07

Family

ID=3721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421A KR20050002106A (ko) 2003-06-30 2003-06-30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210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59B1 (ko) * 2005-09-16 2007-04-30 (주)서광시스템 지역방범 추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2476B1 (ko) * 2006-08-25 2008-04-16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827988B1 (ko) * 2007-05-21 2008-05-08 주식회사 비전파워 영상전화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057888A1 (en) * 2007-10-31 2009-05-07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system
CN106067009A (zh) * 2016-06-27 2016-11-02 格林菲尔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道路人脸识别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59B1 (ko) * 2005-09-16 2007-04-30 (주)서광시스템 지역방범 추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2476B1 (ko) * 2006-08-25 2008-04-16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827988B1 (ko) * 2007-05-21 2008-05-08 주식회사 비전파워 영상전화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057888A1 (en) * 2007-10-31 2009-05-07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system
CN106067009A (zh) * 2016-06-27 2016-11-02 格林菲尔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道路人脸识别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58523A1 (en) Method providing contingency access to valuable accounts or information
US9070233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onitoring
US8474704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and monitoring method
US20050004871A1 (en) Contingent Interception and Information Replacement for Transactions Conducted over Networks
US8474703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and monitoring method
US201301385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identities in transactions
US20040168067A1 (en) Computerized password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TM transactions
MXPA01007936A (es) Sistema de acceso biometrico a cajero automatico sin identificacion.
JP5865550B1 (ja) カード確認システム、カード不正使用摘発方法、及びカード不正使用摘発プログラム
KR100715323B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전자금융 부정 거래 방지 장치 및방법
US20070080217A1 (en) Alarm password for triggering a security response
KR20050002106A (ko) 화상비교를 통한 금융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08120A1 (en) System for duplex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of credit card or cash card
US20040158525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contingency biometric security activation
JP2002358418A (ja) 取引システム
US7690563B2 (en) Transaction security system
Jain ATM frauds: Detection & prevention
Saket et al. ATM reliability and risk assessment issues based on fraud, security and safety
EP3971851A1 (en) A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structing performance of a transaction which has been requested at an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05006443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부정사용 방지를 위한 운영방법
KR20140069864A (ko)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010046493A (ko) 신용카드에 설정되는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난방지방법
KR20090095814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여금고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030090176A (ko) 이중 등록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JP2000298756A (ja) セキュリティ連動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