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213A -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 Google Patents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213A
KR20210121213A KR1020217027962A KR20217027962A KR20210121213A KR 20210121213 A KR20210121213 A KR 20210121213A KR 1020217027962 A KR1020217027962 A KR 1020217027962A KR 20217027962 A KR20217027962 A KR 20217027962A KR 20210121213 A KR20210121213 A KR 2021012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node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945B1 (ko
Inventor
바스키 프리얀토
안데르스 버그그렌
피터 칼손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2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의 경우, 사용자 장비(UE)(100)에서의 송신 빔을 통한 업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110)에서 각각의 수신 빔들과 함께 조정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설정 정보를 UE(100)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110)로 전송한다. 설정 정보는 수신기들(110)이 UE(100)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수신하도록 수신 빔들(111)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수신기들(110)은 업링크 기준 신호의 다양한 측정들을 수행하고 측정들뿐만 아니라 빔 정보도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에 보고하며,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위치 추정치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관련 출원 데이터
본 출원은 2019년 2월 15일에 출원된 스웨덴 특허 출원 제1930061-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기술 분야
본 개시의 기술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uplink-based positioning)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예를 들어, 3G 또는 4G 기반의 시스템들)에서, 규제 포지셔닝 요건들이 만족될 때, 디바이스 위치의 추정들이 일반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비상 호출의 경우, 위치 추정치는 4G 시스템들에서 50미터 내에서만 정확할 것이 요구된다. 포지셔닝은 NR(New Radio)와 같은 5G 시스템들에 대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고려 하에 있는 중요한 특징이다. 본 명세서는 상업적 사용-사례들과 같이, 응급 호출 서비스들(즉, 규제 요건들)을 넘어서는 사용 사례들을 목표로 하고 있고, 5G 시스템들은 서브-미터(sub-meter) 포지셔닝 정확도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셀룰러-기반 포지셔닝(cellular-based positioning)은 다운링크 기반 또는 업링크 기반 또는 이 둘의 조합일 수 있다. 업링크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레거시(legacy) 시스템들에서의 하나의 접근법은 업링크 도달 시간 차(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UTDOA)이다. 이 접근법에 이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또는 전용 위치 측정 유닛들(location measurement unit, LMU)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기지국들(또는 LMU들)은 도달 시간을 추정하고, 추정치를 (예를 들어, 복수의 기지국들이 도달 시간을 측정하는 경우, 다변 측정(multilateration)을 통해) UE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서버에 보고한다.
레거시 셀룰러-기반 포지셔닝 방법들은 전형적으로 UE 및 기지국에서의 전방향의 안테나들을 수반한다. 그러나, 5G 시스템은, 특히 더 높은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mmWave 주파수)에서, 송신기로서의 UE 및 수신기들로서의 기지국들에서의 다중-빔 동작을 고려한다. 그러므로, 레거시 셀룰러-기반 포지셔닝 방법들은 5G 셀룰러 시스템들에 쉽게 적용가능하지 않다.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의 경우, 다중-빔 동작들은 기지국들, 특히 이웃 기지국들에 의한 도달 시간 측정들을 방해할 수 있다. 개시된 접근법은, 하나 이상의 UE 전송 빔들을 통한 포지셔닝을 위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UE와 하나 이상의 수신 빔들을 통해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들(및/또는 위치 측정 유닛들(LMU들)) 사이의 조정(coordination)을 제공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UE 및 업링크 기반 포지셔닝에 참여하는 수신기들의 세트(예를 들어, 기지국들 및/또는 LMU들)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전송한다. 설정 정보는 수신기들이 UE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수신하도록 수신 빔들을 설정(configure)할 수 있게 한다. 수신기들은 기준 신호의 다양한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고 측정들뿐만 아니라 빔 정보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빔 정보는 송신들의 방향성을 지시하며 포지셔닝 추정치들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각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부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설정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송신 빔들과 참여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노드들의 세트에서의 각각의 수신 빔들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 및 설정 정보에 따라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에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부터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을 측정하는 단계(178); 및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과 연관된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180)를 포함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은 원하는 정확도를 더 나타낸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을 측정하는 단계 또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포함시키기 위해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 RAN 노드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AN 노드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의 RAN 노드들과 연관된 원하는 정확도 및/또는 각각의 측정들에 기반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품질 측정 보고는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에 대한 연관된 빔 정보와 함께 측정 값을 포함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빔 정보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과 연관된 송신 빔 정보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서빙(serving) RAN 노드로부터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에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정보는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에 업링크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빔 패턴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빔 설정을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부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설정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 빔과 RAN 노드에서의 수신 빔 사이에서의 조정을 제공함- ; 설정 정보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RAN 노드에서의 수신 빔을 설정하는 단계;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포지셔닝 측정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정보는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빔 정보를 나타낸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닝 측정 보고는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타이밍 측정, 전력 측정, 및/또는 빔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업링크 자원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정보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자원들은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이 타이밍 정보에 따라 발생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닝 측정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이웃 RAN 노드들로부터 측정 보고들을 수집하고 집계 측정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RAN 노드의 수신 빔 설정을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의 측정들을 제공하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대한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 -설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기준 신호들의 송신 빔들과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한 각각의 수신 빔들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제1 설정 정보를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고, 제2 설정 정보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에 연관된 각각의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은 업링크 기준 신호들의 송신이 그 안에서 발생하는 임계 시간을 포함하고, 임계 시간은 채널 품질 측정 보고가 수신되는 시간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 품질 측정들이 발생했던 시간 중 하나에 기반하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 각각의 빔 설정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포지셔닝 요청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포지셔닝 요청은 원하는 정확도를 나타낸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설정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을 위한 업링크 타이밍 정보 및/또는 송신 빔 정보를 나타낸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설정 정보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한 각각의 타이밍 정보 및 수신 빔 정보를 지시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노드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과의 무선 통신들이 그를 통해 수행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제어회로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부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설정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송신 빔들과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에서의 각각의 수신 빔들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 설정 정보에 따라, 업링크 기준 신호를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부터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을 측정하며; 및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과 연관되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은 원하는 정확도를 추가로 나타낸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기준 신호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이 측정되는 시간 또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가 송신되는 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송신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포함시키기 위해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 RAN 노드들의 세트를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AN 노드들의 세트는 원하는 정확도 및/또는 복수의 RAN 노드들과 연관된 각각의 측정들에 기반하여 선택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품질 측정 보고는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에 대한 연관된 빔 정보와 함께 측정 값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빔 정보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포함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과 연관된 송신 빔 정보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서빙 RAN 노드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로 송신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정보는 업링크 기준 신호들을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로 송신하기 위한 빔 패턴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빔 설정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들이 그를 통해 수행되는 무선 인터페이스; 코어 네트워크와의 통신들이 그를 통해 수행되는 인터페이스;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제어 회로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부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설정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 빔과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수신 빔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 설정 정보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수신 빔을 설정하며;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및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포지셔닝 측정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정보는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빔 정보를 지시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닝 측정 보고는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타이밍 측정, 전력 측정, 및/또는 빔 정보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업링크 자원들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정보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자원들은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이 타이밍 정보에 따라 발생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다.
네트워크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이웃 RAN 노드들로부터 측정 보고들을 수집하고, 집계 측정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네트워크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네트워크 노드의 수신 빔 설정을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이 그를 통해 수행되는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의 측정들을 제공하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보고에 기반하여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설정을 결정하고 -설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기준 신호들의 송신 빔들과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노드들에 의한 각각의 수신 빔들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 제1 설정 정보를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고 제2 설정 정보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에 연관된 각각의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을 수신하고;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은 업링크 기준 신호들의 송신이 그 안에서 발생하는 임계 시간을 더 포함하고, 임계 시간은 채널 품질 측정 보고가 수신되는 시간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 품질 측정들이 발생했던 시간 중 하나에 기반하여 정의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 각각의 빔 설정들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포지셔닝 요청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포지셔닝 요청은 원하는 정확도를 지시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설정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을 위한 업링크 타이밍 정보 및/또는 송신 빔 정보를 나타낸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설정 정보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한 각각의 타이밍 정보 및 수신 빔 정보를 나타낸다.
도 1은 사용자 장비(UE)로도 지칭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대표적인 동작 네트워크 환경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의 UE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의 포지셔닝 계산 노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기술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이용 가능한 예시적인 송신 빔 패턴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예시적인 절차의 신호도이다.
도 8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 전반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에 맞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 및/또는 예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및/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아키텍쳐
도 1은 개시된 기술들이 구현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예시된 네트워크 환경은 대표적인 것이고, 개시된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환경들 또는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기능들은 컴퓨터 환경의 노드들에 걸쳐 분산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라디오 액세스 노드, 사용자 장비,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단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장비(UE)(100)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된다. 3GPP 표준들에 의해 고려되는 바와 같이, UE는 모바일 무선전화("스마트폰")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유형들의 UE들(100)은 게임 디바이스, 미디어 플레이어,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컴퓨터, 카메라,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된 기술들의 양태들이 비-3GPP 네트워크들에 적용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UE(100)는 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라디오 통신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은 3G 네트워크, 4G 네트워크 또는 5G 네트워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3GPP 표준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를 포함한다. 개시된 접근법들은 다른 유형들의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는 3G 또는 4G 네트워크들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빔-기반 신호 송신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정 양태들은 다중-빔 동작들을 이용하지 않는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네트워크(102)가 3GPP 네트워크인 경우들에서, 네트워크(102)는 코어 네트워크(CN)(104)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106)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104)는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108)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DN(108)은 운영자 서비스들, 인터넷에 대한 접속, 제3자 서비스들 등을 나타낸다. 코어 네트워크(104)의 상세사항들은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생략되지만, 코어 네트워크(104)는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호스팅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들을 포함하고, 그 예는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코어 엑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네트워크 저장 기능(network repository function, NRF),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어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NSSF)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104)는 다운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해 UE(100)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들 및/또는 예를 들어,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이용하여 RAN(106)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들에 기반하여 UE(100)의 위치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지원하고 조정하기 위해 UE(100) 및/또는 RAN(106)으로부터 다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코어 네트워크(104)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RAN(106)의 노드들 또는 UE(100)와 같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에 포함될 수 있다.
RAN(106)은 복수의 RAN 노드들(110)을 포함한다. 예시된 예에서, 3개의 RAN 노드들(110a, 110b, 및 110c)이 있다. 3개보다 적거나 많은 RAN 노드들(110)이 존재할 수 있다. 3GPP 네트워크들의 경우, 각각의 RAN 노드(110)는 진화된 노드 B (evolved node B, eNB) 기지국 또는 5G 세대 gNB 기지국과 같은 기지국일 수 있다. RAN 노드(110)는 하나 이상의 Tx/Rx 포인트(Tx/Rx point, TRP)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들의 양태들이 비-3GPP 네트워크들에 적용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RAN 노드들(110)은 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엑세스 노드들이라고 지칭될 수 있으며, 그의 대안적인 예는 WiFi 엑세스 포인트이다.
UE(100)에 무선 라디오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UE(100)와 RAN 노드들(110) 중 하나 사이에 라디오 링크(radio link)가 확립될 수 있다. 그에 대한 라디오 링크가 확립되는 RAN 노드(110)는 서빙 RAN 노드(110) 또는 서빙 기지국이라고 지칭될 것이다. 다른 RAN 노드들(110)은 UE(100)의 통신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RAN(106)은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제어 평면은 UE(100)와 RAN 노드(110) 사이의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으로 구현된다. UE(100)와 코어 네트워크(104) 사이의 다른 제어 평면이 존재할 수 있고,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추가로 참조하면, 각각의 RAN 노드(110)는 전형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RAN 노드(11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여, RAN 노드(110)의 전체 동작을 담당하는 제어 회로(11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는 RAN 노드(11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 회로(112)의 메모리(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의해 저장되는 논리 명령어들(예를 들어, 코드 라인들(lines of code), 소프트웨어 등)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RAN 노드(110)는 또한 UE(100)와의 무선 접속(over the air connection)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114)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114)는 TRP(들)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라디오 송수신기들 및 안테나 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RAN 노드(110)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104)에 대한 인터페이스(116)를 포함한다. RAN 노드(110)는 또한 RAN(106)에서 네트워크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웃 RAN 노드들(110)에 대한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 따르면,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은 위치 측정 유닛(LMU)을 수반할 수 있다. LMU는 (예를 들어, RAN(106) 내의) 별개의 노드일 수 있거나 그것은 RAN 노드(110)와 함께 위치되거나 RAN 노드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MU는 RAN 노드(1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근처에 배치된 컴퓨터-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LMU는 RAN 노드(110)에 통합될 수 있고, 제어 회로(112)의 메모리에 저장된 논리 명령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추가로 참조하면, UE(100)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UE(1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UE(10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여, UE(100)의 전체 동작을 담당하는 제어 회로(118)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118)는 UE(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 회로(118)의 메모리(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별도의 메모리(120)에 의해 저장되는 논리 명령어들(예를 들어, 코드 라인들, 소프트웨어 등)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UE(100)는 서빙 기지국(110)과의 무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라디오 송수신기 및 안테나 조립체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122)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UE(100)는 재충전가능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디바이스의 유형에 따라, UE(100)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 요소들은 센서들, 디스플레이들, 입력 구성 요소들, 출력 구성 요소들, 전기 커넥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에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포지셔닝 추정치를 생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의 형태로) 논리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그러나,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의 양태들은 코어 네트워크(104) 또는 다른 컴퓨팅 환경의 다양한 노드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계산 노드(105)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어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기반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플랫폼에 대해 전형적인 바와 같이,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데이터, 정보 세트들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메모리(126)와 같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4) 및 메모리(126)는 로컬 인터페이스(127)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로컬 인터페이스(127)는, 예를 들어, 수반되는 제어 버스(bus)를 갖는 데이터 버스, 네트워크, 또는 다른 서브시스템일 수 있다. 계산 노드(105)는 다양한 주변 디바이스들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들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128)를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128)는 예를 들어, 모뎀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8)는 계산 노드(105)가 코어 네트워크(104), RAN(106), 및/또는 적절한 다른 위치들에서의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로/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참여하는 기지국들 및/또는 LMU들에 의한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의 수신을 용이하게 하고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조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설명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UE(100) 또는 수신기들에서의 다중-빔 동작들은 특히, 이웃 셀들의 수신기들에서 빔 방향들이 정렬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레거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방해할 수 있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예를 들어, UE(100)의 전송 빔들이 RAN 노드들(110)(및/또는 LMU들)의 수신 빔들과 정렬되도록, UE(100), RAN 노드들(110), 및/또는 LMU들(RAN 노드들(110)과 연관될 수 있음)에게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절차를 어떻게 진행할 지를 지시할 수 있다. UE(100)에 의해 수집된 다운링크 채널 품질 측정들은 포지셔닝 추정치로 원하는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업링크 송신들에 대한 포지셔닝 측정들에 더하여, 수신기들(예를 들어, RAN 노드들(110) 또는 LMU들)은 빔-관련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빔-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취득된 각도 정보에 기반하여 보다 더 정확한 포지셔닝 추정치들의 계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서, UE(100)는 하나 이상의 RAN 노드들(110)(또는 LMU들)에 의해 수신되는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기준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일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 기준 신호는 수신기가 포지셔닝 측정을 계산할 수 있는, UE(100)에 의해 송신되는 임의의 업링크 신호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포지셔닝 측정들은 타이밍-기반(예를 들어, TOA, 상대 TOA(relative TOA, RTOA), UTDOA 등) 및/또는 신호 강도-기반(예를 들어,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수신 신호 강도 표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등)일 수 있다. RAN 노드들(110)과 같은 업링크 기준 신호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은 포지셔닝 측정들(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업링크 측정들이라고도 함)을 생성하고, 측정들을 포지셔닝 측정 보고 또는 업링크 측정 보고에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에 보고할 수 있다. RAN 노드들(110)은 (예를 들어, 개별적인) 별도의 보고들을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웃 RAN 노드들(110b-c)은 측정들을 서빙 RAN 노드(110a)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빙 RAN 노드(110a)는 이웃 RAN 노드들(110b-c)로부터 측정들을 수집하고, 집계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전송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보고된 업링크 또는 포지셔닝 측정들에 기반하여 UE(10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UE(100)는 빔 송신을 통해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빔(101a, 101b, 및/또는 101c) 상에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E(100)는 업링크 기준 신호를 전방향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즉, 일반적으로 6GHz 미만의 NR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들로, 업링크는 전방향일 수 있는 반면, FR2(즉, mmWave)에서의 동작들은 좁은 빔들을 전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UE(100)는 주파수 대역에 관계없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으로 또는 빔들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일 양태에서, RAN 노드들(110a-c)은 각각의 수신 빔들(111a-c)을 통해 UE(100)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포지셔닝 측정에 추가하여, RAN 노드들(110)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전송되는 측정 보고(예를 들어, 업링크 측정 보고 또는 포지셔닝 측정 보고로 지칭됨) 내에 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빔 정보는 빔들(101a-c)에 대응하는 송신 빔 정보 및/또는 빔들(111a-c)에 대응하는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향성 업링크 송신의 경우, 빔 정보는 수신 빔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빔 정보는 RAN 노드(110) 또는 UE(100)에 대한 미리 결정된 빔 설정에 대응하는 빔 인덱스, 관찰된 또는 추정된 빔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AoD, AoA, 빔 폭 등), 및/또는 안테나 패널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패널은 다수의 빔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는 2개의 패널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4개의 빔들을 지원한다. 따라서, 빔 정보는 안테나 패널 인덱스 및 대응하는 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관찰된 또는 추정된 빔 파라미터들과 관련하여, 3차원 공간에서 빔을 명시하기 위해 각도 정보가 2개의 각도(예를 들어, 수평(방위각) 및 수직(고도))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UE(100)는 서빙 RAN 노드에 대하여 적절한 빔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웃하는 RAN 노드들과의 그러한 정렬은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업링크 기준 신호의 수신을 보장하기 위해,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송신 빔들과 수신 빔들 사이의 정렬을 달성하기 위해 UE(100) 및 RAN 노드들(110)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는 개별 구성 요소로서 도시되지만,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위치 서버 또는 서빙 이동 위치 센터(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SMLC 또는 E-SMLC),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RAN 노드(110)와 통합됨), 또는 UE(100)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RAN 노드들(110) 및 UE(100)에 대한 각각의 설정들을 수집할 수 있다. 그 설정은 UE(100)의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설정(예를 들어, SRS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노드들(110)은 각각의 수신 빔 설정들을 보고할 수 있고, UE(100)는 송신 빔 설정을 보고할 수 있다.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포지셔닝 요청을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RAN 노드(110)) 및 특히, UE(100)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포지셔닝 요청은, 예에서, 포지셔닝 추정치의 원하는 정확도 또는 서비스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빙 네트워크 노드는 UE(100)에게 서빙 셀 및 이웃 셀들의 채널 품질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서빙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UE(100)에게 원하는 정확도 또는 서비스 레벨을 알릴 수 있다.
UE(100)는 다수의 RAN 노드들(110)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기반하여 채널 품질 측정(예를 들어,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측정 또는 다운링크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추적 기준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 TRS), 포지셔닝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및/또는 채널 품질이 측정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다운링크 신호일 수 있다.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UE(10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보고된 채널 품질 측정들은 측정된 네트워크 노드들의 총 수의 서브세트(subset)일 수 있다. 보고를 위해 선택된 서브세트는 원하는 포지셔닝 정확도에 부분적으로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0)는 특정 시간에 그리고 측정 시간 윈도우(window)라고 지칭되는 특정 기간에 이웃 셀들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윈도우 동안, UE(100)는 그러한 이웃 셀들의 채널 품질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세트는 클 수 있다. 따라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전송되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예를 들어,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측정 보고 또는 다운링크 측정 보고)는 UE(100)에 의해 획득된 모든 측정들 전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포함된 특정 측정들은 측정값들뿐만 아니라,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에 의해 통지된 원하는 정확도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불량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측정은 보고되지 않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대응하는 포지셔닝 측정이 불량한 채널 품질로 인해 포지셔닝 추정을 개선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에서, UE(100)는, 높은 레벨의 정확도가 요구될 때, 많은 RAN 노드들, 특히 비교적 양호한 측정 품질을 갖는 많은 RAN 노드들로부터의 채널 품질 측정들을 포함하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UE(100)는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과 연관된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에 전송할 수 있다. 채널 품질 보고는 측정된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 선택된 RAN 노드들의 세트에 대한 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고는 선택된 RAN 노드들의 세트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주어진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대해, 연관된 빔 정보를 갖는 측정 값(예를 들어, RSRP 또는 경로 손실(pathloss)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빔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연관된 송신 빔 인덱스 및/또는 UE(100)의 수신 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개시 위치 요청(mobile originated location request)의 경우, UE(100)는 다운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전송하는 것으로 직접 진행할 수 있다.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UE(100)로부터의 보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참여하는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LMU들)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포지셔닝 절차에 참여하는 RAN 노드들(110) 및 UE(100)에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RAN 노드들(110)은 RAN 노드들(110)이 UE(100)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적절한 수신 빔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RAN 노드들(110)은 또한 수신 동작들이 송신과 정렬되도록 타이밍 표시(예를 들어, SFN 및 서브프레임(subframe) 오프셋)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설정 정보만을 UE(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UE(100)가 특정 시간들 및 주파수들에서 특정 빔들에서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 예에서, RAN 노드들(110)은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빔 스위핑(beam-sweep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빔 스위핑의 경우, RAN 노드들(110)은 모든 방향들을 커버하기 위해 수신 빔들의 시퀀스를 통해 순환할 수 있다.
UE(100)는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빔 정보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빔 정보는, 일 예에서, 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송신들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들 할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간단하게 참조하면, 다양한 예시적인 빔 패턴들이 도시되어 있다. (A)에서, 순차적 빔 스위핑 접근법이 이용될 수 있다. 순차적 빔 스위핑의 경우, UE(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에서 빔 1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고, T2에서 빔 2를 통해 송신하는 것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T3에서 빔 3으로 전환할 수 있는 등이다. 예를 들어, 이것은 UE(100)가 빔 대응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빔 대응은 UE(100)가 다운링크 빔에 기반하여 업링크(예를 들어, 송신) 빔을 도출할 수 있는 상황(및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UE(100)가 빔 인덱스 1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면, 업링크 빔 (예를 들어, 송신 빔)은 또한 빔 인덱스 1을 사용할 수 있다. 빔 대응이 유지되지 않으면, 다운링크 빔 방향과 업링크 빔 방향 사이에 약간의 편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편차를 극복하기 위해 순차적 빔 스위핑이 이용될 수 있다. (B)에서, 선택사항인 반복을 갖는 원샷(one-shot) 송신을 수반하는 빔 패턴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빔 1을 사용하는 송신은 T1, T2, 및 T3에서 반복될 수 있다. 빔 패턴 (C)에서, 비순차적 접근법이 도시된다. 예시된 특정의 예에서, UE(100)는 T1에서 빔 1, T2에서 빔 3, 그리고 T3에서 빔 8을 사용하여 송신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법으로, 각각의 송신 인스턴스(instance)에 대해 이용되는 송신 빔들은 송신을 수신하도록 지정된 특정 네트워크 노드의 특정 수신 빔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빔 8의 방향에 위치된 네트워크는 T3에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대응하는 수신 빔을 설정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서빙 RAN 노드(110)는 업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을 위해 업링크 자원들을 UE(100)에 할당할 수 있다. 할당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의 지시 하에 있을 수 있고 및/또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부터 전송된 설정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절차는 다운링크 채널 품질 측정들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은 채널 조건들이 유사한 것으로 가정될 수 있도록 측정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은 다운링크 채널의 측정에 이어 특정 지속 시간 내에 (예를 들어, X개의 서브프레임들 또는 Y개의 라디오 프레임들 내에) 발생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예를 들어, 시간 윈도우 또는 범위)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기간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가 UE(100)로부터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시간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은 보고가 수신된 때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도록 스케줄링되어야 한다. 다른 예에서, 스케줄링은 UE(100)가 채널 품질 측정들을 수행하는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UE(100)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타임스탬프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정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도면이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와 유사할 수 있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30)는 서빙 기지국(gNB) 또는 LMU(132), 이웃 기지국 또는 LMU(134), 및 UE(136)와 상호 작용한다. 서빙 및 이웃 기지국들은 앞에서 설명된 RAN 노드들(110)과 유사할 수 있고, UE(136)는 앞에서 설명된 UE(100)와 유사할 수 있다. 초기에, 서빙 기지국(132)은 UE 설정(13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기지국(132)은 UE(136)의 업링크 기준 신호(예를 들어, SRS) 송신들을 위한 초기 설정을 제공한다. 포지셔닝 절차들을 준비하기 위해, 포지셔닝 계산 노드(130)는 설정 요청들(140)을 서빙 기지국(132) 및 이웃 기지국(134)에 전송함으로써 기지국들(132, 134) 및 UE(136)의 설정들을 수집할 수 있다. 기지국들(132, 134)은 요청(140)에 응답하여 gNB 설정들(142)을 포지셔닝 계산 노드(130)에 전송한다. gNB 설정들(142)은 기지국들(132 및 134)의 각각의 수신 빔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서빙 기지국(132)은 그 설정(142)과 함께 UE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UE 설정은 업링크 기준 신호 설정 및 UE 송신 빔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포지셔닝 계산 노드(130)는 포지셔닝 요청(144)을 (예를 들어, 기지국(132)을 통해) 서빙 기지국(132) 및 UE(136)에 전송할 수 있다. 포지셔닝 요청(144)은 포지셔닝 추정치에 대해 원하는 정확도를 나타낼 수 있다. UE(136)는 서빙 기지국(132) 및 이웃 기지국(134)은 물론, 다른 이웃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146)을 수신한다. UE(136)는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에 대해 채널 품질 측정(148)을 수행한다. 측정 후에, UE(136)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130)로 전송한다. 측정 보고(150)는 측정된 네트워크 노드들의 총 수의 서브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UE(136)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참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들의 제1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측정들의 전체 세트는 많은 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포함된 특정 측정들은 원하는 정확도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측정들은 측정 값들에 기반하여 보고를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불량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측정은, 보고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대응하는 포지셔닝 측정이 불량한 채널 품질로 인해 포지셔닝 추정치를 향상시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에서, 엄격한 정확도가 요구되는 경우,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는 많은 네트워크 노드들, 특히 비교적 양호한 품질을 갖는 측정들과 연관된 많은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의 채널 품질 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UE(136)에 의한 제1 선택은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참여하기 위한 후보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를 나타낼 수 있다.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에 기반하여,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포지셔닝 절차(152)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보고에 포함되는 노드들로부터 포지셔닝에 참여할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선택할 수 있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에 의한 이러한 선택은 보고(150)에서의 측정들뿐만 아니라 원하는 정확도에 기반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을 위해,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전술한 UE(135)와 유사한 인자를 고려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원하는 정확도로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예측된 능력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노드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는 비교적 좁은 빔들(즉, 좁은 빔 폭) 및 높은 채널 품질과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의 작은 세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작은 세트로부터의 포지셔닝 측정들은 원하는 포지셔닝 정확도를 달성하기에 충분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이러한 포지셔닝 측정들 자체가 더 높은 품질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상황들에서, 선택된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는 특히 매우 좁은 빔들 및 우수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 상황들에서 3개 미만의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업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정렬하기 위해 타이밍 정보와 함께 UE(136)에 대한 적절한 송신 빔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한 적절한 수신 빔들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들(105)은 gNB 설정 정보(154)를 서빙 기지국(132) 및 이웃 기지국(134)에 전송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또한 UE 설정 정보(156)를 UE(136)로 전송한다. 일 예에서, UE 설정(156)은 서빙 기지국(132)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UE 설정(156)은 업링크 자원 할당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gNB 설정 정보(154)는 타이밍 정보 및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E 설정 정보(156)는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업링크 타이밍 정보 및/또는 송신 빔 정보(예를 들어, 빔 패턴들)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정보를 수신한 후, 서빙 기지국(132)은 수신(158)을 준비하고, 이웃 기지국(134)은 수신(160)을 준비하며, UE(136)는 송신을 준비한다. 일 예에서, 서빙 기지국(132) 및 이웃 기지국(134)은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수신하도록 각각의 수신 빔들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gNB 설정 정보(154)를 기지국들(132 및 134)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는 특정 수신 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기지국들(132 및 134)은 UE(136)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모든 방향들을 커버하도록 빔 스위핑을 수행할 수 있다.
UE(136)는 업링크 기준 신호들(164)을 서빙 기지국(132), 이웃 기지국(134), 및 참여를 위해 선택된 다른 기지국들에 송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송신 빔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웃 기지국(134)은 업링크 기준 신호(164)에 대해 포지셔닝 측정(166)을 수행한다. 서빙 기지국(132)은 또한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164)에 대해 포지셔닝 측정(168)을 수행한다. 기지국들(132 및 134)은 각각의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170)을 포지셔닝 계산(105)에 전송하고, 이는 보고들(170)에 기반하여 포지셔닝 추정치(172)를 계산한다. 보고들(170)은 빔 정보(예를 들어, 송신 빔 정보 및/또는 수신 빔 정보)와 함께 포지셔닝 측정 값들(예를 들어, 포지셔닝 타이밍 측정 또는 포지셔닝 신호 강도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설명된 상기 시퀀스가 예시적인 것이고 대안의 순서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8-10은 각각 UE(100), RAN 노드(110), 및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논리적 진행으로 도시되지만, 도 8-10의 도시된 블록들은 다른 순서들로 및/또는 2개 이상의 블록들 사이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된 흐름도는 변경될 수 있고(단계들을 생략하는 것을 포함함) 및/또는 객체-지향 방식으로 또는 상태-지향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의 방법은 UE(100)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논리 흐름은 UE가 송신 빔 설정을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는 블록(174)에서 시작할 수 있다. 송신 빔 설정으로부터,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어느 송신 빔들이 UE에 의해 지원되는 지와 같은 UE의 능력들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예를 들어, 좁은 빔 폭들을 갖는 많은 빔들을 지원하면, 각도 정보(예를 들어, AoD)가 위치를 추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UE가 넓은 빔 폭들을 갖는 빔들을 지원하거나 전방향성 빔들만을 지원하는 경우, 각도 정보는 그만큼 가치가 있거나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UE의 송신 빔 설정은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절차를 설정할 때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빔 설정은 필요한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포지셔닝 측정이 필요할 수 있는지에 관해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 알릴 수 있다.
블록(176)에서, UE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요청은 포지셔닝 추정에 대한 원하는 정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정확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채널 품질 측정 및 보고 동안 UE에게 지시한다. 블록(178)에서,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이 측정된다. 특히,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에 대해 채널 품질 측정들이 수행된다. 블록(180)에서, 측정들(및 연관된 RAN 노드들)이 보고를 위해 선택되고, 채널 품질 보고가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된다. 측정들이 보고될 노드들의 선택은 원하는 정확도 및 측정 값들 자체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의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측정들과 연관된 RAN 노드들은 폐기될 수 있다. 블록(182)에서 UE는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설정 정보는 송신 빔 정보 및/또는 송신 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184)에서, UE는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해 이용될 업링크 자원들을 스케줄링하는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스케줄링된 자원들은 채널 품질 측정들이 수행되고 및/또는 보고되는 시간에 대해 시간 도메인 내에서 제약되어, 업링크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시간에서 채널 조건들이 비교적 유사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블록(186)에서, UE는 설정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업링크 기준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RAN 노드들로 송신한다.
도 9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9의 방법은 RAN 노드(110) 또는 LMU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논리 흐름은 네트워크 노드가 수신 빔 설정을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 전송하는 블록(188)에서 시작할 수 있다. 전술한 UE 송신 빔 설정과 유사하게,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수신 빔 설정으로부터 네트워크 노드의 능력들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지원되는 빔들의 수 및 각각의 빔 폭들을 학습할 수 있다. 이 정보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가 목표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절차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블록(19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요청은 포지셔닝 추정치에 대한 원하는 정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192)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선택사항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수신하는데 이용할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수신 빔 설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네트워크 노드는 빔 스위핑 동작을 이용할 수 있다.
블록(194)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서빙 네트워크 노드일 때,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자원들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한다. 스케줄링된 자원들은 채널 품질 측정들이 수행되고 및/또는 보고되는 시간에 대해 시간 도메인 내에서 제약되어, 업링크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시간에 채널 조건들이 비교적 유사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 예에 따르면, 서빙 네트워크 노드는 빔 스위핑이 이용될 때에도 블록(192)에서 설정 정보를 여전히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설정 정보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업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적절한 타이밍 정보를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통지한다.
블록(196)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빔을 설정하거나 빔 스위핑을 수행한다. 블록(198)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해 포지셔닝 측정(예를 들어, 타이밍-기반 및/또는 신호-강도-기반)을 수행한다. 블록(20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포지셔닝 측정 보고를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한다. 측정 보고는 측정 값 및 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빔 정보는 송신 빔 정보 및/또는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의 방법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와 같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논리 흐름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가 UE 및 복수의 기지국들 및/또는 LMU들로부터 각각의 빔 설정들을 수신하는 블록(202)에서 시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빔 설정들은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게 UE 및 기지국들의 능력들(예를 들어, 지원되는 빔들, 각각의 빔 폭들 등)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능력들은 목표 정확도 내에서 위치 추정치를 계산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포지셔닝 측정들이 수집되어야 하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블록(204)에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원하는 정확도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요청을 발행할 수 있다. 원하는 정확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품질 측정 및 보고 동안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블록(206)에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UE로부터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채널 품질 보고는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에 대한 채널 품질 측정들 및 연관된 빔 정보를 포함한다. 블록(208)에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절차에 참여할 노드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여, 업링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해 포지셔닝 설정을 결정한다.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 의한 이러한 선택은 보고에서의 측정들뿐만 아니라 원하는 정확도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더 높은 품질의 포지셔닝 측정들이 수집되도록 양호한 채널 조건들과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을 선택할 수 있다. 블록(210)에서, 설정 정보는 포지셔닝 절차에 참여하는 네트워크 노드들 및 UE에 전송된다. 설정 정보는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을 위한 송신 및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또한 UE 및 네트워크 노드들에서의 송신 및 수신을 정렬하기 위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들은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빔 스위핑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들에 전송된 설정 정보는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블록(212)에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참여하는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 또는 업링크 측정 보고들을 수신한다. 보고들은 포지셔닝 측정들(예를 들어, 타이밍-기반 및/또는 신호-강도-기반) 및 빔 정보를 포함한다. 블록(214)에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는 수신된 측정 보고들에 기반하여, UE의 위치를 추정한다.
결론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균등물 및 수정들이 본 명세서의 판독 및 이해에 따라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떠오를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50)

  1. 업링크-기반 포지셔닝(uplink-based positioning)을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node)로부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182)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송신 빔들과 참여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노드들의 세트에서의 각각의 수신 빔들 사이의 조정(coordination)을 제공함- ; 및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186)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부터,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176);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을 측정하는 단계(178); 및
    상기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과 연관된,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180)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은 원하는 정확도를 더 나타내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을 측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는,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 RAN 노드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180)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AN 노드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RAN 노드들과 연관된 상기 원하는 정확도 및/또는 각각의 측정들에 기반하는,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는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에 대한 연관된 빔 정보와 함께 측정 값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정보는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상기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과 연관된 송신 빔 정보 및/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빙(serving) RAN 노드로부터, 상기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에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84)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에 업링크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빔 패턴을 나타내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빔 설정을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174)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으로서,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부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92) -상기 설정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 빔과 상기 RAN 노드에서의 수신 빔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RAN 노드에서의 상기 수신 빔을 설정하는 단계(196);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198); 및
    상기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포지셔닝 측정 보고를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200)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빔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측정 보고는 상기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타이밍 측정, 전력 측정, 및/또는 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업링크 자원들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단계(194)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자원들은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이 상기 타이밍 정보에 따라 발생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측정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이웃 RAN 노드들로부터 측정 보고들을 수집하고, 집계 측정 보고를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AN 노드의 수신 빔 설정을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188)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포지셔닝 계산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의 측정들을 제공하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206);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대한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208) -상기 설정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기준 신호들의 송신 빔들과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한 각각의 수신 빔들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
    제1 설정 정보를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고, 제2 설정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210);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에 연관된 각각의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을 수신하는 단계(212); 및
    상기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214)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은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들의 송신이 그 안에서 발생하는 임계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임계 시간은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가 수신되는 시간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 품질 측정들이 발생했던 시간 중 하나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 각각의 빔 설정들을 수신하는 단계(202)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요청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20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요청은 원하는 정확도를 나타내는,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참여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을 위한 업링크 타이밍 정보 및/또는 송신 빔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정보는 상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참여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한 각각의 타이밍 정보 및 수신 빔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
  26.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로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0)과의 무선 통신들이 그를 통해 수행되는 무선 인터페이스(122); 및
    제어 회로(118)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부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대한 설정 정보(156)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156)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의 송신 빔들(101)과 참여하는 RAN 노드들(110)의 세트에서의 각각의 수신 빔들(111)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
    상기 설정 정보(156)에 따라, 업링크 기준 신호(164)를 상기 참여하는 RAN 노드들(110)의 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18)는: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부터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144)을 수신하고,
    복수의 RAN 노드들(110)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146)을 측정하며,
    상기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146)과 연관되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를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144)은 원하는 정확도를 더 나타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164)는 상기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146)이 측정되는 시간 또는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가 송신되는 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송신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18)는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에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RAN 노드들로부터 RAN 노드들의 세트를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RAN 노드들의 세트는 상기 원하는 정확도 및/또는 상기 복수의 RAN 노드들과 연관된 각각의 측정들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는 수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146)에 대한 연관된 빔 정보와 함께 측정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정보는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에 포함된 상기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146)과 연관된 송신 빔 정보 및/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수신 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34.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18)는 서빙 RAN 노드로부터,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를 상기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로 송신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35. 제26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업링크 기준 신호들을 상기 참여하는 RAN 노드들의 세트로 송신하기 위한 빔 패턴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36. 제26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18)는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송신 빔 설정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37.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10)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의 무선 통신들이 그를 통해 수행되는 무선 인터페이스(114);
    코어 네트워크(104)와의 통신들이 그를 통해 수행되는 인터페이스(116); 및
    제어 회로(112)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부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설정 정보(154)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15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업링크 기준 신호(164)의 송신 빔(101)과 상기 네트워크 노드(110)에서의 수신 빔(111)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
    상기 설정 정보(154)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164)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10)에서의 상기 수신 빔(111)을 설정하고,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164)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164)에 대한 포지셔닝 측정 보고(170)를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10).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154)는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164)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빔 정보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노드(110).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측정 보고(170)는 상기 수신된 업링크 기준 신호(164)에 대한 타이밍 측정, 전력 측정, 및/또는 빔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10).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12)는 상기 설정 정보(154)에 기반하여, 업링크 자원들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 할당하도록 더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10).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154)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자원들은 업링크 기준 신호(164) 송신들이 상기 타이밍 정보에 따라 발생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 할당되는, 네트워크 노드(110).
  42. 제37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12)는 하나 이상의 이웃 RAN 노드들(110, 134)로부터 측정 보고들을 수집하고, 집계 측정 보고를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10).
  43. 제3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12)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110)의 수신 빔 설정(142)을 상기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10).
  44.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110)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의 통신들이 그를 통해 수행되는 인터페이스(128); 및
    프로세서(124)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들(110)의 세트로부터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146)의 측정들을 제공하는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설정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업링크 기준 신호들(164)의 송신 빔들(101)과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0)에 의한 각각의 수신 빔들(111) 사이의 조정을 제공함- ,
    제1 설정 정보(154)를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0)로 전송하고, 제2 설정 정보(156)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0)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 의한 업링크 기준 신호(164) 송신들에 연관된 각각의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170)을 수신하고,
    상기 포지셔닝 측정 보고들(170)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은 상기 업링크 기준 신호들(164)의 송신이 그 안에서 발생하는 임계 시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계 시간은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가 수신되는 시간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 의한 채널 품질 측정들이 발생했던 시간 중 하나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24)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110)의 세트로부터, 각각의 빔 설정들(142)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
  47.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24)는 포지셔닝 요청(144)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132)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포지셔닝 요청(132)은 원하는 정확도를 나타내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
  48. 제44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24)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상기 채널 품질 측정 보고(150)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0)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
  49. 제44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 정보(156)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업링크 기준 신호 송신들을 위한 업링크 타이밍 정보 및/또는 송신 빔 정보를 나타내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
  50. 제44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정보(154)는 상기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0)에 대한 각각의 타이밍 정보 및 수신 빔 정보를 나타내는, 포지셔닝 계산 노드(105).
KR1020217027962A 2019-02-15 2020-02-12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KR102638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930061-5 2019-02-15
SE1930061 2019-02-15
PCT/US2020/017838 WO2020167890A1 (en) 2019-02-15 2020-02-12 Methods and devices for coordinated uplink-based positio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213A true KR20210121213A (ko) 2021-10-07
KR102638945B1 KR102638945B1 (ko) 2024-02-22

Family

ID=6996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962A KR102638945B1 (ko) 2019-02-15 2020-02-12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24457A1 (ko)
EP (1) EP3925336A1 (ko)
JP (1) JP7270751B2 (ko)
KR (1) KR102638945B1 (ko)
CN (1) CN113424613B (ko)
WO (1) WO20201678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606A1 (ko) * 2021-11-22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측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1082B2 (en) * 2019-05-21 2023-09-05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of information related to sounding reference signals (SRS) timing adjustments
EP4204842A1 (en) * 2020-08-31 2023-07-05 Nokia Technologies Oy Determining timing offset for improved positioning accuracy
CN116349156A (zh) * 2020-10-14 2023-06-27 高通股份有限公司 分层用户设备定位
CN115942399A (zh) * 2021-08-26 2023-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处理方法以及通信装置
CN118019112A (zh) * 2024-04-08 2024-05-10 四川中宝科技有限公司 一种键合银丝设备的物联网节点的自组织与协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6406B2 (en) * 2012-08-01 2017-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UL positioning support via wireless device
US9386471B2 (en) * 2012-10-01 2016-07-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requesting parallel uplink wireless signal measurements
WO2014104961A2 (en) * 2012-12-28 2014-07-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measuring node, network node, methods therein,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5080645A1 (en) *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comprising the computer programs, for receiving and sending a report, respectively
WO2015096074A1 (zh) * 2013-12-25 2015-07-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参考信号配置的方法、基站、定位服务器及系统
US9749120B2 (en) * 2014-01-30 2017-08-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downlink switching in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US9768847B2 (en) * 2014-07-02 2017-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enabling accurate measurements
CN106304328B (zh) * 2015-06-01 2020-10-16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WO2018023646A1 (zh) * 2016-08-05 2018-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探测参考信号的发送方法和装置
JPWO2018083861A1 (ja) * 2016-11-02 2019-09-1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参照信号送信方法
CN108282211B (zh) * 2017-01-06 2023-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以及终端设备
WO2019022657A1 (en) * 2017-07-28 2019-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E, NETWORK NODE, AND RELATED METHODS FOR SIGNALING A BEA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57583B2 (en) * 2017-08-10 2020-08-25 Qualcomm Incorporated Uplink-bas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ing in multi-beam systems
CN111131997B (zh) * 2018-10-12 2021-08-0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到达时间差定位方法及其装置
US11902931B2 (en) * 2018-11-09 2024-02-1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measurement repor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900311* *
3GPP R2-1034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606A1 (ko) * 2021-11-22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측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5336A1 (en) 2021-12-22
US20220124457A1 (en) 2022-04-21
JP2022520254A (ja) 2022-03-29
CN113424613A (zh) 2021-09-21
JP7270751B2 (ja) 2023-05-10
WO2020167890A1 (en) 2020-08-20
CN113424613B (zh) 2024-02-02
KR102638945B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8945B1 (ko) 조정된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JP7278395B2 (ja) 位置決定ビーム情報取得方法および装置
US2022020164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ositioning of a device
CN106538004B (zh) 使用来自无线局域网的信号确定蜂窝网络中的用户设备位置的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方法
EP3841805A1 (en) On demand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20511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pilot sequence coordination
WO2014056172A1 (zh) 定位方法和装置
US117821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utilizing beam information
US2022035384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on-demand positioning
WO2021023912A1 (en) Positioning-specific beam refinement for neighbor cell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transmission
CN113167850A (zh) 基于波束的定位测量和测量报告
WO202328107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device
WO2020091645A1 (en) Network n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in for beam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23172354A1 (en) Storage of multiple positioning capability sets and activation/deactivation triggering op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