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212A - 착용가능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가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212A
KR20210121212A KR1020217027916A KR20217027916A KR20210121212A KR 20210121212 A KR20210121212 A KR 20210121212A KR 1020217027916 A KR1020217027916 A KR 1020217027916A KR 20217027916 A KR20217027916 A KR 20217027916A KR 20210121212 A KR20210121212 A KR 20210121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sitioning
wearable
wearable body
position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웬 황
Original Assignee
뉴차이니즈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차이니즈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엘티디. filed Critical 뉴차이니즈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2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5V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통, 사용자의 사지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착용되는 착용가능 장치 (100, 500, 600)가 개시된다. 착용가능 장치 (100, 500, 600)는 착용가능 몸체(110, 210, 310, 410, 610)와 적어도 하나의 위치선정 유닛(120, 520, 620)을 포함하고, 착용가능 몸체(110, 210, 310, 410, 610)는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들(111, 112, 113, 211, 212, 311, 312, 411)을 구비하여, 착용가능 몸체(110, 210, 310, 410, 610)가 몸통, 사지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맞춰진다. 착용가능 몸체(110, 210, 310, 410, 610)는 고정 부분들(111, 112, 113, 211, 212, 311, 312, 411) 사이에 위치선정 영역(A1, A2, A3, A4)을 형성하고, 상기 몸통, 사지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두 개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 사이의 부분은 위치선정 영역(A1, A2, A3, A4) 내에 위치하며, 위치선정 유닛(120, 520, 620)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선정 영역(A1, A2, A3, A4) 내에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착용가능 장치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즉 착용가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많은 편리한 처치(treatment)용 제품 또는 의료용 장치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품 및 장치 모두 중에서도,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기능을 갖거나 이에 대응되는 처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착용가능 장치도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융통성(versatility)과 정확성을 고려할 때, 현존하는 착용가능 장치 대부분은 사용자의 실제 요구에 따라 경량화되거나 또는 맞춤제작될 수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방식으로 필요한 모니터링 또는 처치를 받을 수 없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정확성의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착용가능 장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많은 전자 부품들을 구비하는데, 이들은 사용자에게 짐스러움을 유발 할 수 있고 사용자는 편안하지 못하다고 느낄 수 있다. 또한, 착용가능 장치의 무게가 경량화된다면, 착용가능 장치는 사용자의 몸체 형상에 적절히 맞지 않게 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변위 및 부정확한 모니터링으로 귀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련된 기술분야에서는 어떻게든 착용가능 장치의 기능을 매끄럽게 구현하면서도 사용자의 작동상 느낌과 편안함을 최적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고정 부분들에 의하여 위치 선정 영역을 한정할 수 있고 또한 위치선정 영역에 위치선정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신체의 특정 위치에 위치선정 효과를 매끄럽게 제공하는 착용가능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착용가능 장치는 사용자의 몸통(torso), 사지(limb)들,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한 가지에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착용가능 장치는 착용가능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위치선정 유닛을 포함한다. 착용가능 몸체는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movable joint)에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을 구비하는바, 이로써 착용가능 몸체가 상기 몸통, 사지들,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한 가지에 맞춰진다(fit). 착용가능 몸체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 사이에 위치선정 영역(positioning region)을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몸통, 사지들,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한 가지의 일부분이 상기 위치선정 영역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 위치선정 유닛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선정 영역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분은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두꺼운 구조부(thickened structure)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에 대응되는 개구(opening)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가동성 관절의 요부(recess)에 대응되는 두꺼운 구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가동성 관절의 두 개의 대향된 측부들에 묶이는 스트랩 구조부(strap structure)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분은 스트랩 구조부 및 두꺼운 구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 구조부는 상기 가동성 관절 옆에 묶이고, 상기 두꺼운 구조부는 사용자의 뼈 불룩부(bone bulge)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선정 영역 내의 상기 착용가능 몸체의 재료는 탄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선정 유닛은 위치선정 영역 내에 배치된 물리적 좌표계(coordinate)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선정 유닛은 위치선정 영역 내에 배치된 가상적 좌표계이다.
상기 설명에 기초하여, 착용가능 장치에서는 착용가능 몸체 상의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들을 구성함으로써, 착용가능 몸체가 사용자의 몸통, 사지들,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한 가지에 착용된 때에, 고정 부분들이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들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착용가능 몸체의 위치선정 영역이 고정 부분들 사이에 한정되고, 위치선정 유닛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대응될 수 있게 됨으로써, 관련 의료 직원이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의료 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위치선정 영역은 고정 부분들의 제한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통에 맞춰지게 되어서, 복수의 가동성 관절들에 걸쳐 있는 착용가능 장치가 사용자와의 정확한 위치 대응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용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참조 도면들을 참조하여 수 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 에는 도 1 의 착용가능 장치의 부분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c 에는 도 3 의 착용가능 장치가 다양한 부분에 착용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는 도 5 의 착용가능 몸체의 부분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몸체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에는 도 7 의 착용가능 몸체의 부분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0b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착용가능 장치(100)는 착용가능 몸체(110) 및 적어도 하나의 위치선정 유닛(120)을 포함한다. 착용가능 몸체(110)는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몸통 및 사지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걸쳐서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위치선정 유닛(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착용가능 몸체(110) 상에 가상적으로 표시되거나 구성된 좌표 격자이지만, 위치선정 유닛(120)의 외형 또는 유형은 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위치선정 유닛(120)은 예를 들어 물리적 좌표계인바, 이것은 예를 들어 착용가능 몸체(110) 상에 그려져 있는 격자이다. 위치선정 유닛(120)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내부 장기 또는 침 시술 지점의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착용가능 몸체(110)의 특정 장소에 설정된다. 위치선정 유닛(120)은 착용가능 몸체(110)와 함께 사용자의 몸체 형상에 맞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착용가능 장치(100)를 착용한 후, 관련 의료 직원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와 위치선정 유닛(120) 간의 대응 관계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특히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곳의 신체 상태를 보다 잘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의료 직원은 위치선정 유닛(120)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소통이 용이하게 되며, 특정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생리적 신호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서 사용자에게 대응되는 처치를 제공함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위치선정 유닛(120)의 갯수와, 위치선정 유닛(120)과 착용가능 몸체(110) 간의 조합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위치선정 유닛(120)이 착용가능 몸체와 일체적인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적절히 통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착용가능 몸체가 신체에 착용되도록 사용되는 의류인 경우에는 위치선정 유닛(120)들이 착용가능 몸체와 함께 꿰매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조끼 유형의 착용가능 몸체(11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는바, 이것은 복수의 고정 부분(111-113)을 구비하고, 착용가능 몸체(110)는 고정 부분(111-113) 중에 위치한 위치선정 영역(A1)과 고정 부분(111-113) 외부에 위치한 비-위치선정 영역(B1, B2)으로 구분된다. 고정 부분(111-113)은 사용자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들(또는 가동관절(diarthroses))에 고정되고, 위치선정 영역(A1)과 비-위치선정 영역(B1, B2)의 재료들은 탄성을 가지며, 위치선정 유닛(120)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선정 영역(A1)에 배치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여기에서 언급된 "가동성 관절"은 어깨 관절, 무릎 관절, 등과 같이 간극이 있고 연속성이 결여된 신체 내의 뼈들 사이에 있는 연결 조직을 의미하는바, 이것은 부동관절(synarthroses) 및 긴밀관절(amphiarthroses)과는 상이한 것으로서, 부동관절은 예를 들어 두개골들 사이의 연결 부분을 의미하고, 긴밀관절은 예를 들어 척추골들 사이의 연결 부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고정 부분들(111-113)은 가동성 관절에 고정되고, 부동관절들 및 긴밀관절들은 고정 부분들(111-113)이 고정될 필요가 있는 위치들이 아니다.
위와 같은 구성의 이유는, 착용가능 몸체(110)가, 상이한 재료, 제조 방법, 또는 사용자의 몸체 형상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와의 특정 위치의 연결 관계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이한 몸체 형상을 가진 사용자들이 동일한 착용가능 몸체(110)를 착용한 경우, 위치선정 유닛(120)은 사용자들에 따라서 오정렬될 수 있으며, 특정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정확히 대응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용가능 몸체(110)에 복수의 고정 부분(111-113)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 부분(111-113)은 사용자의 복수의 가동성 관절, 특히 인접한 가동성 관절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부분들(111-113) 가운데 위치선정 영역(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선정 유닛(120)은 위치선정 영역(A1)의 범위 내에만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일단 착용가능 몸체(110)가 상이한 몸체 형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착용되면, 고정 부분들(111-113)이 여전히 동일한 가동성 관절들에 고정되어서 위치선정 영역(A1)이 여전히 일관되게 유지되며, 위치선정 영역(A1)의 재료는 유연한 것이므로 착용가능 몸체(110)와 관련하여 일단 고정 부분들(111-113)이 착용 및 고정된 다음에는 착용가능 몸체(110)가 위치선정 영역(A1)에서 사용자(착용 위치에 따라서 몸통, 사지들,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게 맞게 되고, 보다 중요한 것은 위치선정 영역(A1)에 있는 위치선정 유닛(120)이 사용자의 동일한 특정 위치에 매끄럽게 대응될 수 있어서 오정렬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위치선정 영역(A1)은 사용자의 신체 마진(body margin)과 고정 부분들(111-113)에 의해 한정되는 범위이고, 상기 범위는 착용가능 몸체(110)가 임의적으로 움직임을 허용하는 자유 단부를 갖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는 위치선정 유닛(120)들의 갯수 및 형태, 또는 위치선정 영역(A1) 내에서의 위치선정 유닛(120)들의 구성형태에 의해 국한되지 않는바, 이들은 실제 사용 조건과 요구사항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 에 도시된 비-위치선정 영역들(B1, B2)은 단일 측에 고정 부분들(111-113)을 구비할 뿐이어서, 비-위치선정 영역들(B1, B2)은 상이한 재료, 제조 방법, 또는 사용자의 몸체 형상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에 대한 상대 위치 관계가 변화할 것인바, 즉 이들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항상 대응될 수 없다. 여기에서, 만일 비-위치선정 영역들(B1, B2)이 위치선정 영역(A1)의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면, 즉 착용가능 몸체(110)가 사용자의 팔꿈치의 가동성 관절에 있는 다른 고정 부분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 에는 도 1 의 착용가능 장치의 부분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분과의 대응되는 관계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인간의 뼈들이 추가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후속되는 도면들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될 것이다. 도 1, 2a, 2b 를 함께 참조하면, 고정 부분들(111-113)은 사용자의 어깨 관절들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고정 부분(112)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바, 고정 부분(111)도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부분(112)은 개구(112a) 및 두꺼운 구조부(112b)를 구비한다. 개구(112a)는 어깨 관절의 볼록 부분에 대응되고, 두꺼운 구조부(112b)는 어깨 관절의 볼록 부분의 주변부에 대응된다. 또한, 고정 부분(112)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유발되는 움직임없이 어깨 관절에 매끄럽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구(112a)가 견쇄 관절(11)을 노출시키며, 이와 동시에 유연성의 두꺼운 구조부(112b)가 개구(112a) 둘레에 사용되어서 필요한 고정 효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안함을 증대시킨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두꺼운 구조부의 유연성은 두꺼운 구조부의 재료를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으며, 또는 쿠션 효과 및 위치선정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팽창가능한 부재가 사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오랜 시간 동안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분(112)은 어깨로부터 팔 아래로 연장되기 때문에, 고정 부분(112)도 어깨 관절의 요부, 즉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해당되는 부분을 채우기 위한 두꺼운 구조부(112c)를 구비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어깨 관절에 고정된 고정 부분(112)의 안정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위치선정 영역(A2)은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된 실시예의 위치선정 유닛과 유사한 위치선정 유닛(120)은 생략되었으며, 이로써 착용가능 몸체(210)의 관련 특징들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착용가능 몸체(210)이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도록 구성되고, 착용가능 몸체(210)는 고정 부분들(211, 212), 위치선정 영역(A2), 및 비-위치선정 영역(B3)을 포함한다.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위치선정 영역(A2)은 팔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들에 고정된 고정 부분들(211, 212)에 의하여 한정(제한)될 필요가 있다.
도 4a 내지 도 4c 에는 도 3 착용가능 장치의 다양한 부분들을 도시하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 4a 및 도 4b 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팔 움직임들과 함께 고정 부분(211)의 대응되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c 에는 고정 부분(212)과 비-위치선정 영역의 부분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4a, 4b 를 함께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분(211)이 스트랩 구조부들(211a, 211b)을 포함하는데, 상기 스트랩 구조부들(211a, 211b)은 팔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서 팔꿈치 관절의 두 개의 대향되는 측부들을 묶고, 이로써 고정 부분(211)은 고정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쉽게 작동될 수 있다. 이로써, 착용가능 몸체(210)의 두 개의 고정 부분들(211, 212)이 사용자의 두 개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들(팔꿈치 관절, 손목 관절)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관절들 사이에서의 사용자의 사지 부분(팔뚝(forearm))이 위치선정 영역(A2)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착용가능 몸체(210)의 위치선정 영역(A2)은 사용자의 팔뚝에 맞게 될 수 있다는 점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스트랩 구조부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고, 현재 공지된 스트랩, 후크, 및 루프 체결구, 등이 모두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분(211)은 두꺼운 구조부(211d) 및 개구(211c)를 구비하는바, 개구(211c)는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두꺼운 구조부(211d)는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의 주변부에 대응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두꺼운 구조부(211d)는 팔꿈치(12)의 주변부에서 팔꿈치 관절의 내측 상과(inner epicondyle)와 외측 상과(outer epicondyle)에 대응되고, 또한 유연성 재료로 만들어져서 위치선정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안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4c 에서, 사용자의 손목 관절에 고정된 고정 부분(212) 및 개구들(212b, 212c)은 손목 관절의 볼록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두꺼운 구조부(212a)는 손목 관절의 볼록 부분의 주변부에 대응된다. 또한, 두꺼운 구조부(212a)는 손목 관절의 광선 경상(14) 및 척골 경상돌기(13)의 주변부에 대응되어서, 척골 경상돌기(13)가 개구(212c)로부터 노출되고, 광선 경상(14)은 개구(212b)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비-위치선정 영역(B3)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고정 부분(212)으로부터 연장되며, 용이한 움직임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바닥, 손가락들, 및 펄리큐(purlicue)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용가능 몸체가 사용자의 팔 전체를 포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인바, 즉, 착용가능 장치의 고정 부분이 사용자의 손목과 어깨에서만 고정되고, 위치선정 영역은 사용자의 팔뚝과 상측 팔을 커버할 수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착용가능 몸체(310)는 고정 부분들(311, 312), 위치선정 영역(A3), 및 비-위치선정 영역(B4)을 포함하고, 고정 부분(311)은 사용자의 힙(hip) 관절에 고정되며 고정 부분(312)은 사용자의 무릎 관절에 고정됨으로써, 고정 부분(311)과 고정 부분(312) 사이에 위치선정 영역(A3)이 한정된다. 고정 부분(311)은 힙 관절 둘레를 묶는 스트랩 구조부(311a)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 부분(311)은 사용자의 뼈 불룩부(bone bulge)에 대응되는 두꺼운 구조부(311b)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고정 부분(311)은 골반뼈 상측 에지(16)에 대응되는 스트랩 구조부(311a)와, 좌골결정(15)에 대응되는 두꺼운 구조부(311b)를 구비한다.
도 6 에는 도 5 의 착용가능 몸체의 부분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분(312)이 두꺼운 구조부(312a) 및 개구(312b)를 구비하고, 개구(312b)는 사용자의 무릎 관절을 노출시키도록 사용되며, 두꺼운 구조부(312a)는 무릎 관절의 볼록 부분의 주변부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두꺼운 구조부(312a)는 슬개골(17) 위로부터 내측 및 외측의 대퇴과(femoral epicondyle) 까지, 그리고 슬개골(17) 아래로부터 내측 및 외측의 경골(tibial plateau)까지 놓여지는바, 개구(312b)는 슬개골(17)의 최외측 볼록 부분만을 노출시킨다.
도 7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몸체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에는 도 7 의 착용가능 몸체의 부분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 을 함께 참조하면, 착용가능 몸체(410)이 고정 부분들(312, 411), 위치선정 영역(A4), 및 비-위치선정 영역들(B5, B6)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고정 부분(312)은 도 6 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위치선정 영역(A4)은 고정 부분들(312, 411)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에 의하여 제한되며, 사용자의 종아리에 대응된다. 비-위치선정 영역들(B5, B6)은 착용가능 몸체(410)의 두 개의 대향된 단부들에 각각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부분(411)은 사용자의 발목 관절의 볼록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들(411b, 411c)을 구비하고, 두꺼운 구조부(411a)는 발목 관절의 볼록 부분의 주변부에 대응된다. 또한, 두꺼운 구조부(411a)는 발목 관절의 외측 복사뼈(18)의 주변부와 발목 관절의 내측 복사뼈(19)의 주변부에 대응된다.
도 9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는 상이하고 위에서 설명된 동일한 착용가능 몸체(110)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착용가능 몸체(500)는 위치선정 유닛들(520) 및 제어 유닛(130)을 더 포함한다. 위치선정 유닛(520)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대응되는 특정 위치들에 대한 전극 패드들이고, 이들은 제어 유닛(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제어 유닛(130)이 위치선정 유닛(520)들을 통하여 사용자 신체의 특정 위치들의 생리적 신호들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130)이 외부의 처치 장치(treatment device)(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에는, 위치선정 유닛(520)들이 처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체의 특정 위치들에 전기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위치선정 유닛(120)과 유사하게, 본 실시예의 위치선정 유닛들(520) 및 제어 유닛(130)은 착용가능 몸체(110)와 함께 꿰매어질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a 및 도 10b 를 함께 참조하면, 직전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착용가능 장치(600)는 착용가능 몸체(610), 위치선정 유닛(620), 및 시각용 장치(630)를 포함한다. 위치선정 유닛(620)은 시각용 장치(630)을 통하여 착용가능 몸체(61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의 좌표계이다. 시각용 장치(630)는 예를 들어 가상 현실(VR) 장치 또는 증강 현실(AR) 장치이거나, 좌표계들을 가진 안경 또는 광 투사 기능을 가진 장치일 수 있으며, 어떤 것이든 착용자의 특정 위치들에 대응되게 착용가능 몸체(610) 상에 좌표계가 시각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착용가능 장치에서는, 착용가능 장치 상의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들의 구성을 조정함으로써, 착용가능 장치가 사용자의 몸통, 사지,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착용된 때에, 고정 부분들이 사용자의 가동성 관절들에 고정될 수 있어서, 착용가능 장치의 위치선정 영역이 고정 부분들 사이에 한정된다. 이로써, 위치선정 영역이 고정 부분들의 제한에 의해서 사용자의 몸통에 맞춰짐으로써, 복수의 가동성 관절들에 걸쳐지는 착용가능 장치가 사용자와 정확한 위치 대응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분은 사용자의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두꺼운 구조부를 구비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고정 부분은 스트랩 구조부에 의하여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고정 부분은 사용자의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있어서,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에서의 고정 부분의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위치선정 영역 내에 배치된 필요한 위치선정 유닛들이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후, 위치선정 유닛들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들에 대응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유닛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들에 대해 전기 신호를 제공하고 그리고/또는 특정 위치들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및 처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하기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거나 그와 균등한 변형예들 및 변경예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11: 견쇄 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12: 팔꿈치(olecranon)
13: 척골 경상돌기(ulnar styloid)
14: 광선 경상(radial styloid)
15: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
16: 골반뼈 상측 에지(hip bone upper edge)
17: 슬개골(patella)
18: 외측 복사뼈(lateral malleolus)
19: 내측 복사뼈(medial malleolus)
100, 500, 600: 착용가능 장치
110, 210, 310, 410, 610: 착용가능 몸체
111, 112, 113, 211, 212, 311, 312, 411: 고정 부분
112a, 211c, 212b, 212c, 312b, 411b, 411c: 개구
112b, 112c, 211d, 212a, 311b, 312a, 411a: 두꺼운 구조부
120, 520, 620: 위치선정 유닛
130: 제어 유닛
211a, 211b, 311a: 스트랩 구조부
630: 시각용 장치(visual device)
A1, A2, A3, A4: 위치선정 영역
B1, B2, B3, B4, B5, B6: 비(non)-위치선정 영역

Claims (7)

  1. 사용자의 몸통(torso), 사지(limb)들,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한 가지에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착용가능 장치로서,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을 구비한 착용가능 몸체로서, 상기 두 개의 고정 부분이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movable joint)에 고정되어 착용가능 몸체가 상기 몸통, 사지들,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한 가지에 맞춰지고, 착용가능 몸체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 사이에 위치선정 영역(positioning region)을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가동성 관절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몸통, 사지들,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한 가지의 일부분이 상기 위치선정 영역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착용가능 몸체; 및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착용가능 몸체의 위치선정 영역 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선정 유닛(positioning unit)으로서, 상기 위치선정 유닛은 착용가능 몸체와 함께 사용자의 몸체 형상에 맞게 되고, 상기 위치선정 유닛은 상기 위치선정 영역 내에 배치된 물리적 좌표계 또는 가상의 좌표계인, 위치선정 유닛;을 포함하는, 착용가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두꺼운 구조부(thickened structure)를 구비한, 착용가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가동성 관절의 볼록 부분에 대응되는 개구(opening)를 구비한, 착용가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가동성 관절의 요부(recess)에 대응되는 두꺼운 구조부를 구비한, 착용가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가동성 관절의 두 개의 대향된 측부들에 묶이는 스트랩 구조부(strap structure)를 구비한, 착용가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스트랩 구조부 및 두꺼운 구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 구조부는 상기 가동성 관절 옆에 묶이고, 상기 두꺼운 구조부는 사용자의 뼈 불룩부(bone bulge)에 대응되는, 착용가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 영역 내의 상기 착용가능 몸체의 재료는 탄성을 가진, 착용가능 장치.
KR1020217027916A 2019-02-01 2020-01-10 착용가능 장치 KR202101212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04517.8A CN111513672A (zh) 2019-02-01 2019-02-01 穿戴式装置
CN201910104517.8 2019-02-01
PCT/CN2020/071378 WO2020156099A1 (zh) 2019-02-01 2020-01-10 穿戴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212A true KR20210121212A (ko) 2021-10-07

Family

ID=7184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916A KR20210121212A (ko) 2019-02-01 2020-01-10 착용가능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096009A1 (ko)
EP (1) EP3918978A4 (ko)
JP (1) JP2022523737A (ko)
KR (1) KR20210121212A (ko)
CN (1) CN111513672A (ko)
AU (1) AU2020214008A1 (ko)
CA (1) CA3128412A1 (ko)
MX (1) MX2021009212A (ko)
SG (1) SG11202108326XA (ko)
WO (1) WO20201560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1057B2 (en) * 2002-10-11 2011-07-19 Northrop Grumman Guidance And Electronics Company, Inc. Joint motion sensing to make a determination of a positional change of an individual
DE10340002B3 (de) * 2003-08-29 2005-04-14 Siemens Ag Positionier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eines Patienten
US10264828B2 (en) * 2007-05-23 2019-04-23 Intelliskin Usa, Llc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CN107174214B (zh) * 2011-12-20 2021-03-30 明智医疗创新有限公司 定位电磁传感器的胸廓服装及使用所述胸廓服装的方法
US20150366504A1 (en) * 2014-06-20 2015-12-24 Medibotics Llc Electromyographic Clothing
US20140005547A1 (en) * 2012-06-28 2014-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Remotely controlled ultrasound apparatus and ultrasound treatment system
GB201213592D0 (en) * 2012-07-27 2012-09-12 Univ Southampton Apparatus for us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muscle in a patent
DE102012218068A1 (de) * 2012-10-02 2014-04-03 Adidas Ag Bekleidungsstück
US10314733B2 (en) * 2012-12-20 2019-06-11 Elwha Llc Sensor-based control of active wearable system
US9649558B2 (en) * 2014-03-14 2017-05-1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Gaming device with rotatably placed cameras
CN107106048A (zh) * 2014-10-01 2017-08-29 立芙公司 供生理监测服装使用的设备和方法
US9855005B2 (en) * 2015-04-22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posture advisory system
CN205052944U (zh) * 2015-08-06 2016-03-02 深圳大学 具有磁疗刺激效应的肢体功能康复练习服
EP3429512A4 (en) * 2016-03-13 2019-10-3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FLEXIBLE ELEMENTS FOR ANCHORING THE BODY
EP3463217A1 (en) * 2016-05-23 2019-04-10 Elwha LLC Sensor-based control of active wearable system
CN206863688U (zh) * 2016-10-17 2018-01-09 北京诺亦腾科技有限公司 穿戴装置、手套、动作捕捉装置及虚拟现实系统
CN107957773B (zh) * 2016-10-17 2024-02-06 北京诺亦腾科技有限公司 穿戴装置、手套、动作捕捉装置及虚拟现实系统
CN206462439U (zh) * 2017-01-20 2017-09-05 北京神秘谷数字科技有限公司 动作捕捉服
FR3064159B1 (fr) * 2017-03-21 2021-05-28 Bioserenity Dispositif textile electronique comprenant une pluralite de couches
US10104507B1 (en) * 2017-05-05 2018-10-16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to locate and operate a portable device on smart clothing
CN108403122A (zh) * 2018-02-12 2018-08-17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人体关节运动的测量系统及其测量方法
CN108720842A (zh) * 2018-05-23 2018-11-02 上海交通大学 基于肌电信号反馈的可穿戴下肢康复系统
CN108670244A (zh) * 2018-05-29 2018-10-19 浙江大学 一种柔性组合式可穿戴生理及心理状态监测装置
CN108852364A (zh) * 2018-07-09 2018-11-23 深圳德创健康科技有限责任公司 监测膝关节运动信息的穿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8978A1 (en) 2021-12-08
EP3918978A4 (en) 2022-10-05
AU2020214008A1 (en) 2021-09-09
US20220096009A1 (en) 2022-03-31
WO2020156099A1 (zh) 2020-08-06
CA3128412A1 (en) 2020-08-06
MX2021009212A (es) 2021-10-13
CN111513672A (zh) 2020-08-11
SG11202108326XA (en) 2021-08-30
JP2022523737A (ja)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1383B2 (ja) 誂えの装具、ギブス及びデバイスと設計及び製作方法
US5659895A (en) Full-body stress transfer suit
US7402148B2 (en) Orthotic protective device
JP2013530757A (ja) 開窓、限定された柔軟性及びモジュール構成を有する特注の装具、ギプス及び用具並びに設計及び製作の方法
US20060000478A1 (en) Elasticized garment and strapping system to aid in body mobility support and maintenance
JP2014524336A (ja) 可調節装具
US10932939B1 (en) Global osteoarthritis knee brace
US20210235786A1 (en) Garment
US8512267B2 (en) Over-molded flexible knee brace
KR20210121212A (ko) 착용가능 장치
RU2781884C1 (ru) Носим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области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туловища или конечностей пользователя при мониторинге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сигналов
TWI682730B (zh) 穿戴式裝置
JP2021000439A (ja) サポータ
KR102014538B1 (ko)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CN217510487U (zh) 行走步态检测设备
CN219594927U (zh) 用于限制前臂旋转的固定支具
KR102255057B1 (ko) 전방십자인대 보조기
KR20090122734A (ko) 노인 체험복
JP3180100U (ja) 個対応装具
KR200415085Y1 (ko) 휜다리 보완부재 및 그 보완부재를 구비한 보완 바지
WO2020154179A1 (en) Wearable tension apparatus
JPWO2020156099A5 (ko)
JP6086482B2 (ja) 関節拘縮、固縮または痙縮のシミュレータ
ITMI20131491A1 (it) Tutore per l'immobilizzazione di una spalla traumatizzata o operata
KR20200094373A (ko) 어깨 탈골 방지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