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734A -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734A
KR20210120734A KR1020200037827A KR20200037827A KR20210120734A KR 20210120734 A KR20210120734 A KR 20210120734A KR 1020200037827 A KR1020200037827 A KR 1020200037827A KR 20200037827 A KR20200037827 A KR 20200037827A KR 20210120734 A KR20210120734 A KR 2021012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diabetic nephropathy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우
정호경
장지훈
노종현
김선라
양버들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약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to KR102020003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734A/ko
Publication of KR2021012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12Magnesium silic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추출물, 보다 상세하게는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 적용시 혈액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신장 조직 손상 및 신장 섬유화를 개선시키므로,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diabetic nepropathy comprising bangpungtongseongsan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신체의 작은 혈관들이 손상된다. 신장의 혈관이 손상되는 경우에 혈액 여과를 담당하고 있는 사구체가 손상되면서 단백뇨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데, 이를 당뇨병성 신장병증(diabetic nephropathy, DN)이라고 한다. 당뇨병성 신장병증은 당뇨인에게 있어서 심각한 문제점 중의 하나이며, 30세 이후에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약 10~30%는 진단 받은 지 20년이 지나면 신장이 제 기능을 못하는 신부전이 발생하게 된다.
당뇨병성 신장병증은 고혈당의 시작과 함께 시작하여 매우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에도 환자 자신은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당뇨병성 신장병증이 많이 진행되어 소변검사상 단백뇨가 심하게 검출되는 경우에 얼굴, 눈, 손, 발목 부위가 붓거나,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이 종종 동반된다. 당뇨병성 신장병증이 악화되어 신장이 체내 노폐물을 걸러 내는 기능을 거의 상실한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된 경우에 신기능의 저하에 따라 혈액 중에 노폐물인 요소질소, 크레아티닌의 수치가 올라간다. 환자들은 구역, 구토, 식욕상실, 허약감, 피로감, 가려움증, 근육경련 등의 증상을 경험하며 고혈압은 더 악화되어 조절하기가 어렵고 혈색소가 감소하여 빈혈이 동반된다.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치료 시에는,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에 의한 세포나 조직의 장애가 본 질병의 근본 원인인 것으로부터, 우선 여러 경구혈당 강하제에 의한 엄격한 혈당 조절이 이루어진다.
또한, 당뇨병성 신장병증에는 고혈당에 의한 세포나 신장조직의 장애에 관련하는 여러가지 메커니즘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관여 가능성이 있는 메커니즘으로서, 세포 내의 대사 레벨에 있어서는 폴리올 대사경로, 헥소사민 경로, 단백질인산화효소 C 경로, 산화 스트레스 및 최종당화산물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신장조직 내에 있어서는 레닌 안지오텐신계(RAS), TGF-β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렇듯 여러 메커니즘이나 인자가 관련하여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병태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치료 시에 이들의 메커니즘 또는 인자가 치료 타깃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한편,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은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을 함께 달여 마시는 한방 처방으로서, 금대 류하간의 '선명방론'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방풍통성산은 비만형인 중풍 체질자의 고혈압, 동맥경화증으로 맥은 힘이 있으나 지방심(脂肪心)이고 장성 자가중독물(腸性自家中毒物)인 식중독, 신장성 자가중독물인 수독(水毒)이 있을 때 사용된다.
방풍통성산을 이용하는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99961호에 방풍통성산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013940호에 방풍통성산 한약재로부터 방향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996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1394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추출물, 보다 상세하게는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 적용시 혈액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신장 조직 손상 및 신장 섬유화를 개선시키므로,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이 신장기능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나타낸 도로, 혈액생화학 분석기를 이용하여 크레아티닌(A) 및 혈액요소질소(B)의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이 신장 조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나타낸 도로, H&E 염색하여 신장 조직 손상 정도를 촬영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이 신장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나타낸 도로, 피크로 시리어스 레드 염색하여 신장 섬유화 정도를 촬영한 현미경 사진과 이미지 J 프로그램으로 염색 색상 강도를 분석하여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이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 적용시 혈액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신장 조직 손상 및 신장 섬유화를 개선시키는 등의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은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을 함께 달여 마시는 한방 처방이다. 비만형인 중풍 체질자의 고혈압, 동맥경화증으로 맥은 힘이 있으나 지방심(脂肪心)이고 장성 자가중독물(腸性自家中毒物)인 식중독, 신장성 자가중독물인 수독(水毒)이 있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용어 "당뇨병성 신장병증(diabetic nephropathy)"은 당뇨병의 만성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로 신장의 작은 혈관들이 손상을 받아서 소변으로 단백질이 빠져나가고, 더 진행하면 점차 노폐물을 배설하지 못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병이다.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은 말기 변화인 네프론 파괴와 섬유화가 특징적이다. 당뇨병성 신장병증이 악화되어 신장이 체내 노폐물을 걸러 내는 기능을 거의 상실한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된 경우에 신기능의 저하에 따라 혈액 중에 노폐물인 요소질소, 크레아티닌의 수치가 증가하는 것 또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추출물(extract)"이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감초 10 내지 14 중량%, 석고 5 내지 9 중량%, 황금 5 내지 9 중량%, 길경 5 내지 9 중량%, 방풍 2 내지 6 중량%, 작약 2 내지 6 중량%, 천궁 2 내지 6 중량%, 당귀 2 내지 6 중량%, 대황 2 내지 6 중량%, 마황 2 내지 6 중량%, 박하 2 내지 6 중량%, 연교 2 내지 6 중량%, 망초 2 내지 6 중량%, 형개 1 내지 5 중량%, 백출 1 내지 5 중량%, 치자 1 내지 5 중량% 및 활석 15 내지 19 중량%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감초 12 중량%, 석고 7 중량%, 황금 7 중량%, 길경 7중량%, 방풍 4 중량%, 작약 4 중량%, 천궁 4 중량%, 당귀 4 중량%, 대황 4 중량%, 마황 4 중량%, 박하 4 중량%, 연교 4 중량%, 망초 4 중량%, 형개 3 중량%, 백출 3 중량%, 치자 3 중량% 및 활석 17 중량%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 역시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을 상기 용매, 즉, 물에 침지하고, 9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5℃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법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추출시간은 3 내지 1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4 내지 8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시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득한 방풍통성산 열수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될 수 있다. 또한 감압농축 후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동결건조,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또는 분무건조를 통해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는 상기 추출물에 의해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의 혈액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신장 조직 손상 및 신장 섬유화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섬유화"는 장기의 일부가 굳는 현상을 언급한다. 신장 섬유화(renal fibrosis)는 만성 신장질환으로 이행되는 모든 신장질환에서 보이는 공통된 현상으로, 딱딱하게 굳어지면서 흉터조직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염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 면역세포, 활성산소, 섬유 성장 인자, 단백질 분해 조절 효소 등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풍통성산 추출물, 보다 상세하게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은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의 혈액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신장 조직 손상 및 신장 섬유화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의 당뇨병성 신장병증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서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및 크레아티닌(creatinine)의 농도, 그리고 신장 조직 손상 정도 및 신자 섬유화 진행 정도를 각각 H&E 염색 및 피크로 시리어스 레드(Picro sirius red) 염색 등을 통해 분석해 본 결과,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이 혈액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신장 조직 손상 및 신장 섬유화를 현저히 개선시킴을 알 수 있었다(도 1 내지 도 3).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방풍통성산 추출물 외에, 다른 유용한 당뇨병성 신장병증 치료 약물, 예컨대 혈당 강하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등과 혼합된 복합제제 형태로 제형화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혈액투석 혹은 복막투석 등의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 "개체"란 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건강상태,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1회 투여량으로 1 내지 4000 ㎎/㎏(체중)로 포함할 수 있다. 투여는 상기 권장 투여량을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 내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마우스 경구투여 기준으로 100 내지 2000㎎/㎏, 150 내지 1500㎎/㎏, 또는 170 내지 1700㎎/㎏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감초 10 내지 14 중량%, 석고 5 내지 9 중량%, 황금 5 내지 9 중량%, 길경 5 내지 9 중량%, 방풍 2 내지 6 중량%, 작약 2 내지 6 중량%, 천궁 2 내지 6 중량%, 당귀 2 내지 6 중량%, 대황 2 내지 6 중량%, 마황 2 내지 6 중량%, 박하 2 내지 6 중량%, 연교 2 내지 6 중량%, 망초 2 내지 6 중량%, 형개 1 내지 5 중량%, 백출 1 내지 5 중량%, 치자 1 내지 5 중량% 및 활석 15 내지 19 중량%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감초 12 중량%, 석고 7 중량%, 황금 7 중량%, 길경 7중량%, 방풍 4 중량%, 작약 4 중량%, 천궁 4 중량%, 당귀 4 중량%, 대황 4 중량%, 마황 4 중량%, 박하 4 중량%, 연교 4 중량%, 망초 4 중량%, 형개 3 중량%, 백출 3 중량%, 치자 3 중량% 및 활석 17 중량%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에 관한 것과, 상기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에 의한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개선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혼합량에 큰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어 "기능성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강식품용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식품에는 예컨대,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스낵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 등 모든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추출물, 보다 상세하게는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은 천연 약용식물을 원료로 하므로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일반적인 합성 화합물에 비하여 부작용이 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포함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 재료 준비 및 실험 방법
실시예 1-1: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약용작물은 대한민국약전을 기준으로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을 인증받은 광명당한약도매(onherb)에서 구입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중량%)으로 모든 약용작물을 개별로 세척한 뒤 시료 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물을 넣고 환류 냉각추출방법을 이용하여 105℃에서 5시간, 2회 반복하여 열수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대형 회전감압농축기 (Eyela, NVC-2200, ToKyo, Japan)를 이용해 55℃에서 농축한 뒤 필터 페이터(filter paper; Thermo,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방풍통성산 추출물(BPS)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해 건조하였다.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구성하는 한약재 성분 및 함량비(중량%)
한약재 성분 학명 함량(g) 중량(%)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4.8 11.9
석고 Gypsum Fibrosum 2.8 6.9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2.8 6.9
길경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2.8 6.9
방풍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1.8 4.5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as 1.8 4.5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 Ligusticum chuanxiong Hort. 1.8 4.5
당귀 Angelica gigas Nakai 1.8 4.5
대황 Rheum palmatum Linne 1.8 4.5
마황 Ephedra sinica Stapf 1.8 4.5
박하 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ex Holmes 1.8 4.5
연교 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1.8 4.5
망초 Erigeron canadensis 1.8 4.5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1.4 3.5
백출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1.4 3.5
치자 Gardenia jasminoides Ellis 1.4 3.5
활석 Talcum 6.8 16.8
합계 40.4 100
실험 재료는 151g을 수득하여 약 31.1%의 수율을 확인하였고, 건조된 파우더는 멸균 3차 증류수(대한관류용멸균증류수, 대한약품공업)에 녹인 뒤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실험 동물 및 처치
수컷 7주령 BKS.Cg-m+/Leprdb/+/J 및 BKS.Cg-m+/Leprdb/db/J 마우스를 오리엔트 바이오 (Jeongeup,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각 그룹별 5마리씩 6개 그룹으로 하기 표 2와 같이 나누어 테스트하였다.
그룹 약물 처리 개체수
NOR(정상대조군) 무처리 5
CON(음성대조군) 멸균 3차 증류수 5
POS(양성대조군) 10㎎/㎏ 시타글립틴 및
20㎎/㎏ 메트포르민 투여
5
BPL 170㎎/㎏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투여 5
BPM 750㎎/㎏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투여 5
BPH 1700㎎/㎏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투여 5
동물실험에 사용된 방풍통성산의 구성은 한의학대사전에서 참고하였으며(Kim, 2001), 성인 몸무게 70㎏을 기준으로한 1첩 농도를 1일 허용섭취량을 산출하는 ADI(AcceptableDaily lntake) 계산법을 사용하여 동물실험에 적용하였다(Nestmann ER. et.al.,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47(3):232-239, 2007).
시험 기간은 13주간 이루어졌으며, 양성대조군 그룹은 제2형 당뇨에 관련한 다른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10㎎/㎏의 시타글립틴(sitagliptin)과 20㎎/㎏의 메트포르민(metformin)을 합제하여 시험 기간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Hayes J. et al., Drug Design, Development and Therapy, 10:2263-2270, 2016).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투여군은 각각 170㎎/㎏, 750㎎/㎏ 또는 1700㎎/㎏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이 끝난 뒤 모든 실험동물은 IACUC(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실험동물 관리 기준에 따라 CO2를 과호흡시켜 안락사를 유도하였다.
실시예 1-3: 혈액생화학적 분석
채취한 전혈을 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취하여 사용하였다. FUJI DRI-CHEM 4000i (Fujifilm, Dokyo, Japan) 혈액생화학 분석기를 이용하여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과 크레아티닌(Creatinine, Crea)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1-4: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
적출된 신장은 10% 중성완충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 NBF)에 고정하여, 조직처리 과정을 통해 파라핀으로 포매하였다. 포매가 끝난 조직은 5㎛ 두께로 절편을 제작하였으며, 헤마톡실린(Dako Mayer' Hematoxylin; Agilent, Santa clara, California, USA)과 에오신 Y(Eosin Y; Sigma, St. Louis, Missouri, USA)를 이용해 염색한 뒤 광학현미경하에 관찰하였다.
실시예 1-5: 피크로 시리어스 레드 염색
적출된 신장은 10% NBF에 고정하여, 조직처리 과정을 통해 파라핀으로 포매하였다. 포매가 끝난 조직은 5㎛ 두께로 절편을 제작하였으며, 피크로 시리어스 레드 염색 키트(Picro sirius red stain kit; Abcam, Cambridge, United kingdom)를 이용해 염색한 뒤 광학현미경하에 관찰하였다. 섬유화 정도는 이미지 J(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염색 색상의 강도(intensity)를 측정하여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통계처리
통계처리는 SPSS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실험군 간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을 한 뒤, Tukey-Kramer 다중 비교 테스트(Tukey-Kramer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사용하여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
실시예 2: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서 방풍통성산이 신장기능 지표에 미치는 영향 분석
db/db 마우스는 식이와 에너지 항상성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수용체를 만들어내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가진 계통으로 당뇨병에 관련된 여러 대사질환 연구에 흔히 사용되며, 20주 이상 사육하였을 때 당뇨합병증인 당뇨병성 신장병증과 같은 신장 손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ruke SJ. et. al., J Diabetes Res., 2017:8503754, 2017; Sharma K. et. al., Am J Physiol Renal Physiol., 284(6):F1138-1144, 2003). 동물모델에서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BPS)이 신장기능 지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BUN과 Cre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정상대조군의 Cre 농도는 0.4±0.2 ㎎/dL였으며, 음성대조군은 1.4±0.2 ㎎/dL로 나타났다. 양성대조군은 0.5±0.1 ㎎/dL로 음성대조군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며, 170㎎/㎏, 850㎎/㎏ 또는 1700㎎/㎏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투여군은 각각 0.6±0.2 ㎎/dL, 0.5±0.2 ㎎/dL 및 0.5±0.1 ㎎/dL로 나타났다 (도 1의 A).
BUN 농도는 정상대조군이 15.0±5.0 ㎎/dL였으며, 음성대조군은 47.7±8.6 ㎎/dL로 나타났다. 양성대조군은 18.7±7.1 ㎎/dL로 음성대조군 대비 감소하였으며, 170㎎/㎏, 850㎎/㎏ 또는 1700㎎/㎏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투여군은 각각 31.0±2.6 ㎎/dL, 24.7±3.1 ㎎/dL 및 17.3 ±2.5 ㎎/dL로 나타났다 (도 1의 B). 방풍통성산을 투여한 모든 그룹은 BUN 및 Cre 농도가 정상적으로 개선되어 제2형 당뇨에 의한 신장기능 저하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서 방풍통성산이 신장 조직 손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각 실험군의 신장 조직 손상을 측정하기 위해 신장 조직을 확인한 결과, 정상대조군(NOR)과 비교하였을 때 음성대조군(CON)은 솔가장자리(brush border)의 소실(노랑), 조직 손상(파랑), 사구체 위축(검정) 및 사구체 비대(빨강)가 나타났지만, 양성대조군과 방풍통성산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신장 조직 손상이 차단되었다 (도 2).
실시예 4: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서 방풍통성산이 신장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각 실험군의 신장 섬유화를 측정하기 위해 신장 조직을 피크로 시리어스 레드(picro sirius red) 염색으로 제1형 및 제3형 콜라겐을 염색하였다. 조직 섬유화가 진행되었을 때 제1형 및 제3형 콜라겐이 합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장 조직의 콜라겐을 확인한 결과, 정상대조군(NOR)과 비교하였을 때 음성대조군(CON)은 신장 섬유화의 정도가 심해졌지만, 양성대조군과 방풍통성산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신장 섬유화가 차단되었다 (도 3).
상기 일련의 결과를 종합하면,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을 제2형 당뇨 합병증 동물 모델에 적용시 혈액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의 농도를 감소시키고(도 1), 신장 조직 손상(도 2) 및 신장 섬유화(도 3)를 현저히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당뇨병성 신장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2g에 유당 1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1g, 유당 1.5g, 글리세린 1g 및 자일리톨 0.5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150㎎, 대두추출물 50㎎, 포도당 200㎎ 및 전분 600㎎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의 제조
제조예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조예 2-6: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5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2-7: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8: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물 추출물 1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6)

  1.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감초 10 내지 13 중량%, 석고 5 내지 8 중량%, 황금 5 내지 8 중량%, 길경 5 내지 8 중량%, 방풍 3 내지 6 중량%, 작약 3 내지 6 중량%, 천궁 3 내지 6 중량%, 당귀 3 내지 6 중량%, 대황 3 내지 6 중량%, 마황 3 내지 6 중량%, 박하 3 내지 6 중량%, 연교 3 내지 6 중량%, 망초 3 내지 6 중량%, 형개 2 내지 5 중량%, 백출 2 내지 5 중량%, 치자 2 내지 5 중량% 및 활석 15 내지 18 중량%의 혼합 추출물인,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및 크레아티닌(creatinine)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신장 조직 손상 및 신장 섬유화를 개선시키는 것인,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감초, 석고, 황금, 길경, 방풍, 작약, 천궁, 당귀,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형개, 백출, 치자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감초 10 내지 13 중량%, 석고 5 내지 8 중량%, 황금 5 내지 8 중량%, 길경 5 내지 8 중량%, 방풍 3 내지 6 중량%, 작약 3 내지 6 중량%, 천궁 3 내지 6 중량%, 당귀 3 내지 6 중량%, 대황 3 내지 6 중량%, 마황 3 내지 6 중량%, 박하 3 내지 6 중량%, 연교 3 내지 6 중량%, 망초 3 내지 6 중량%, 형개 2 내지 5 중량%, 백출 2 내지 5 중량%, 치자 2 내지 5 중량% 및 활석 15 내지 18 중량%의 혼합 추출물인,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037827A 2020-03-27 2020-03-27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0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27A KR20210120734A (ko) 2020-03-27 2020-03-27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27A KR20210120734A (ko) 2020-03-27 2020-03-27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734A true KR20210120734A (ko) 2021-10-07

Family

ID=7811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827A KR20210120734A (ko) 2020-03-27 2020-03-27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7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940B1 (ko) 2009-11-12 2011-02-14 주식회사 자연인 방풍통성산 한약재로부터 방향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101199961B1 (ko) 2010-06-23 2012-11-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방풍통성산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940B1 (ko) 2009-11-12 2011-02-14 주식회사 자연인 방풍통성산 한약재로부터 방향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101199961B1 (ko) 2010-06-23 2012-11-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방풍통성산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791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oix lachryma-jobi for suppressing obesity or lower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KR20160071489A (ko)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KR20210120733A (ko)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2형 당뇨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6916A (ko)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637867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0734A (ko)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4922B1 (ko)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78199B1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89045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157522A (ko) 보중익기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6200B1 (ko) 한약재 유래의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0827350B1 (ko) 혈당 강하 생약 조성물
KR100697632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210157521A (ko) 보중익기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2형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101195447B1 (ko)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US2022025768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alvia miltiorrhiza or paeonia lactiflor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pid metabolism disorder
KR102632034B1 (ko) 익지,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83598A (ko) 인삼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