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61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615A
KR20210120615A KR1020200037551A KR20200037551A KR20210120615A KR 20210120615 A KR20210120615 A KR 20210120615A KR 1020200037551 A KR1020200037551 A KR 1020200037551A KR 20200037551 A KR20200037551 A KR 20200037551A KR 20210120615 A KR20210120615 A KR 20210120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circulation
air
circulation devic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찬
김동오
이영찬
정지석
차민우
한윤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615A/ko
Priority to PCT/KR2020/009921 priority patent/WO2021194020A1/en
Priority to US17/002,167 priority patent/US11320875B2/en
Publication of KR2021012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글라스와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전면 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을 수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단은 개방되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장변 방향에 따른 일단부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1연결구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장변 방향에 따른 타단부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2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화된 공기순환기를 이용하여 내부의 열을 관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용 모니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옥외 또는 야외에 광고 등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건물 외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광고판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이 태양광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패널의 표면온도가 상승하여 열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디스플레이패널의 배면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는 디스플레이패널로 광을 입사시키는 광원이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열도 함께 방출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을 열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공기를 순환되지 않는 부분이 없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공기순환장치의 모듈화 및 연결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전면 글라스와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전면 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케이스와 상기 순환팬의 내부에 배치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포트 및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반대 단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글라스와 상기 리어 커버가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상기 전면 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전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상부 영역을 거쳐 상기 전방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영역의 공기는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면 사이의 하부 영역을 거칠 수 있다.
상기 하부 영역을 거친 공기는 상기 공기순환장치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하부는 공기의 누설을 막도록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포트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1연결포트와 결합하는 제1막음부재와, 상기 제2연결포트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2연결포트와 결합하는 제2막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연결포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제2연결포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막음부재는 상기 제1결합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제2막음부재는 상기 제2결합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막음부재는 상기 제1결합돌기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1막음부재의 외면에서 상기 제1막음부재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고 제1조립돌기와, 상기 제2막음부재는 상기 제2결합돌기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막음부재의 내면에서 상기 제2막음부재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조립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순환장치들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공기순환장치와 제2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의 상기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공기순환장치의 상기 제1결합돌기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방케이스와 상기 리어 커버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후방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전방케이스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장치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마련되는 흡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 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상기 전면 글라스의 사이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을 수용하고, 상단은 개방되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하단은 공기의 누설을 막도록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면 글라스와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면 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공기순환장치와 제2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 및 제2공기순환장치는 각각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포트 및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반대 단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와 제2공기순환장치는 각각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의 케이스 일단의 내면에서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제2공기순환장치의 케이스 타단의 외면에서 상기 제2공기순환장치의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의 상기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공기순환장치의 상기 제1결합돌기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순환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의 열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순환장치의 결합구조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누락되는 부분이 없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순환장치를 모듈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공기순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에서 제1결합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에서 제2결합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 간의 결합관계를 C-C'로 절단에서 절단하여 본 단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공기순환장치와 제1막음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막음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와 제1막음부재의 결합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공기순환장치와 제2막음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2막음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와 제2막음부재의 결합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실외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개구(13)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13)는 하우징(10)의 전면(前面)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모듈(3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50)와 디스플레이 모듈(30)은 결합봉(미도시)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유입구(14) 및 외부토출구(15)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외부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1)은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이 개방된 박스(box)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부 프레임(11)의 개방된 전면은 개구(13)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개구(13)는 외부 프레임(11)의 전면(前面)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리어 커버(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커버(12)는 외부 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커버(12)는 외부 프레임(11)과 함께 디스플레이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외부 프레임(11)의 개방된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리어 커버(12)는 후면 개구(19)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구(14) 및 외부토출구(15)는 리어 커버(12)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4)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리어 커버(12) 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4)는 외기팬(4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기팬(40)은 후방 플레이트(50)에 부착될 수 있다. 외부토출구(15)는 유입구(14)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리어 커버(12)에 형성될 수 있다. 후면 커버(50)에는 외부토출구(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토출포트(15a)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유입구(14) 및 외부토출구(15)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34)을 보호하도록 배치되는 전면 글라스(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은 전면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글라스(16)는 디스플레이패널(34)을 보호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글라스(16)는 하우징(10)의 전면 개구(13)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 글라스(16)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글라스(16)는 디스플레이패널(34)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 글라스(16)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34)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전면 글라스(16)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어 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6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구동시키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리어 커버(12)가 제거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수평 방향(H)은 수직 방향(V)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방향(H)은 제1방향(H)이 될 수 있고, 수직 방향(V) 은 제2방향(V) 이 될 수 있다.
제어 모듈(60)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1냉각유로(70)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모듈(60)을 제1냉각유로(70) 상에 디스플레이장치(1)의 상하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경우, 슬림(slim)한 디자인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현이 가능하다.
제어 모듈(60)은 공기순환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어 모듈(60)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1냉각유로(70)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면 충분하고, 그 위치가 공기순환장치(100)의 하부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 모듈(60)이 공기순환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공기순환장치(100)는 후방 플레이트(5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60)은 회로기판(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60)은 회로기판(61)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품(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장품(62)은 상호 정보를 주고 받으며 기능을 수행하는 CPU, SMPS, L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면(前面)으로 입사된 태양광은 디스플레이패널(34)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34)에 광을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백 라이트 유닛(38)(도5참고)도 발열체로 작용하여 하우징(10)의 내부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60)도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열을 방출하여 하우징(10)의 내부 온도를 높일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디스플레이패널(34)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34)의 지나친 가열은 디스플레이패널(34)의 열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34)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다음과 같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모듈(30) 및 제어 모듈(6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감소시키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00)는 후방 플레이트(50)의 후방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후방 영역(82)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00)는 내부 공기를 후술하는 제2냉각유로(80) 내로 순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방 플레이트(50)의 후방 상단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 영역(83)을 통해 전방 영역(81)으로 공급하므로 전방 영역(81)으로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00)는 제1공기순환장치(110)와 제2공기순환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순환장치(110)와 제2공기순환장치(120)는 후술하는 결합돌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공기순환장치(110)의 일단부는 제1막음부재(210)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제2공기순환장치(120)와 결합하여 새어 나가는 공기가 없이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제2공기순환장치(120)의 일단부는 제1공기순환장치(110)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제2막음부재(220)와 결합하여 새어 나가는 공기가 없이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00)가 제1공기순환장치(110)와 제2공기순환장치(120)로 모듈화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후술할 막음부재(200)와 결합돌기(105a, 106a)로 인해 새어 나가는 공기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모듈화된 공기순환장치(100)를 각각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34)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내부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34)의 열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유로는 제1냉각유로(7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팬(40)에 의해 하우징(10)의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냉각유로(7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냉각유로(70)는 유입구(14) 및 외부토출구(15)를 연결할 수 있다. 제1냉각유로(70)는 유입구(14)에 유입된 외부 공기가 후방 플레이트(50)와 디스플레이모듈(30) 사이의 공간을 지나 토출포트(15a)를 거쳐 외부토출구(15)에서 유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입된 외부 공기는 후방 플레이트(50)의 후방을 지나면서 디스플레이패널(34)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냉각유로(70)는 수평 방향(H)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로는 제2냉각유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냉각유로(80)는 전면 글라스(16)와 디스플레이모듈(30) 사이에 형성되는 전방 영역(81)과, 리어 커버(12)와 디스플레이모듈(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후방 영역(82)과, 외부 프레임(11)과 디스플레이모듈(30)의 상면(30a)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영역(83)과, 외부 프레임(11)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하면(30b)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영역(84)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공기는 디스플레이장치 상부에 배치된 공기순환장치(100)에 의해 흡입되어 상부 영역(83)을 지나 전방 영역(81)으로 흐를 수 있다. 전방 영역(81)을 지난 내부 공기는 하부 영역(84)을 거쳐 유출구(17)에서 유출되어 후방 영역(82)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공기가 공기순환장치(100)로 하부 영역(84)을 통해 회수되므로 공기가 순환하여 전방 영역(83)의 열을 관리할 수 있다. 도면에서 공기순환장치(10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면 상기한 위치와 다른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냉각유로(7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제2냉각유로(8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즉, 유입구(14)와 외부토출구(15)를 통해 후방 플레이트(50)와 디스플레이모듈(30)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공기와 공기순환장치(100)를 통해 전방 영역(81) 및 후방 영역(82)을 이동하는 공기는 서로 섞이지 않는다. 따라서, 제1냉각유로(70)로 통하는 외부공기에 돌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섞여있더라도 내부의 제어 모듈(60) 및 디스플레이모듈(30)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제2냉각유로(8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냉각유로(80)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냉각유로(70) 및 제2냉각유로(80)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휘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밀폐부재(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재(18)는 제2냉각유로(8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가 하우징(10)의 상단부에서 유출되지 않도록 공기순환장치(100)와 하우징 상면(10a)과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유출되는 공기를 최소화하여 전방 영역(82)에 존재하는 열을 보다 더 잘 순환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1방향(H) 길이가 제2방향(V) 길이 보다 더 길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방향(H) 길이가 제2방향(V)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순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하나만 마련되거나, 세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순환장치(100)는 하나만 마련될 수 있다. 즉, 소형화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 공기순환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방향(H) 길이가 제2방향(V) 길이 보다 짧은 경우에도 공기순환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1)에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순환장치(100)는 세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즉, 대형화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 공기순환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00)는 제1공기순환장치(110)와, 제2공기순환장치(120)와, 제3공기순환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섀시(Top Chassis)(31),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바텀 섀시(Bottom Chassis)(32) 및 탑 섀시(31)와 바텀 섀시(32)의 사이에 마련되는 몰드 프레임(Mold Frame)(33)을 포함할 수 있다.
탑 섀시(31)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34)과 동일한 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패널(34)의 엣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탑 섀시(31)는 디스플레이패널(34)의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베젤부(31a) 및 베젤부(31a)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을 향하여 절곡된 탑 측면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섀시(32)는 디스플레이패널(34)과 반대 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텀 섀시(32)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 포함된 각종 구성 부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바텀 섀시(32)에는 백 라이트 유닛(38)이 설치될 수 있다. 바텀 섀시(32)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바텀 섀시(32)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텀 섀시(32)는 백 라이트 유닛(38)이 안착되는 바텀 후면부(32a) 및 바텀 후면부(32a)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텀 측면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후면부(32a)에는 백 라이트 유닛(38)의 회로기판(38c)이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3)은 디스플레이패널(34) 및 광확산판(36)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3)은 몰드 프레임(33)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34) 및 몰드 프레임(33)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확산판(36)을 지지할 수 있다. 탑 섀시(31)는 디스플레이패널(34)이 몰드 프레임(33)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몰드 프레임(33)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바텀 섀시(32)는 몰드 프레임(33)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디스플레이패널(3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34)에는 화면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34)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화면에 각종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패널(34)은 디스플레이패널(34)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가 자체적으로 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영상을 생성하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복수의 화소가 광을 반사/투과/차단함으로써 영상을 생성하는 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패널(34)이 백 라이트 유닛(38)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투과/차단함으로써 영상을 생성하는 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디스플레이패널(34)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 투명 전극층, 투명 기판 및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34)은 후술할 백 라이트 유닛(38)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킴으로써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34)을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가 백 라이트 유닛(38)의 광을 차단하거나 또는 투과시킴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디스플레이패널(34)에 광을 공급하는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38)은 디스플레이패널(3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38)은 광을 생성하는 복수의 광원(38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38a)은 광을 방사하는 소자이다. 복수의 광원(38a)은 LED(Light Emitting Semiconductor) 뿐만 아니라, 광을 생성하여 방사하는 모든 소자 내지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38a)은 광확산판(36)과 마주하도록 회로기판(38c)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38a)은 디스플레이패널(34)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백 라이트 유닛(38)은 복수의 광원(38a)을 개별적으로 감싸는 복수의 렌즈(3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38b)는 복수의 광원(38a)에서 생성된 광을 확산시키도록 복수의 광원(38a)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38b)는 원형일 수 있으나, 복수의 렌즈(38b)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복수의 렌즈(38b)는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복수의 렌즈(38b)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아크릴(acrylic)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38b)의 구현 물질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글라스 재질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백 라이트 유닛(38)은 복수의 광원(38a)이 실장된 회로기판(38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38c)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및 연성회로기판(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38c)은 바텀 섀시(32)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38c)은 디스플레이패널(34)과 대응하도록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38c)에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38a)과 회로기판(38c)은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또는 플립 칩 본딩(Flip Chip Bonding) 등의 방식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38)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회로기판(38c)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회로기판(38c)에는 복수의 광원(38a) 및 복수의 광원(38a)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38b)가 복수의 회로기판(38c)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회로기판(38c)은 연결기판(38d)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백 라이트 유닛(38)은 회로기판(38c)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Reflector Sheet)(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37)는 바텀 섀시(32)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시트(37)는 바텀 섀시(32)의 내면을 향하여 조사된 광을 디스플레이패널(34)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37)는 바텀 섀시(32)의 후면을 형성하는 바텀 후면부(32a)의 내면에 배치되는 시트 후면부(37a) 및 시트 후면부(37a)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시트 측면부(37b)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후면부(37a)에는 관통공(37c)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공(37c)은 복수의 광원(38a) 및 복수의 렌즈(38b) 각각에 대응하도록 시트 후면부(37a)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38a) 및 복수의 렌즈(38b)는 관통공(37c)을 통해 반사시트(37)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광원(38a)에서 발생한 광은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34)로 전달되며, 광확산판(36) 등에 의해 후방으로 반사된 광은 반사시트(37)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반사된다.
또한, 백 라이트 유닛(38)은 복수의 광원(38a)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입력 받아 백색광(다양한 색상의 광이 혼합된 광)을 출력하는 양자점 시트(Quantum Dot Sheet)(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백 라이트 유닛(38)에서 조사된 광이 확산되어 디스플레이패널(34)에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광확산판(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판(36)은 디스플레이패널(3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광확산판(36)의 전면에 배치되는 광학시트(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35)는 광확산판(36)의 전면에 안착될 수 있다. 광학시트(35)는 광확산판(36)에 의해 확산된 광이 디스플레이패널(34)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되도록 하는 프리즘 필름(35b)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35)는 프리즘 필름(35b)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35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35a)은 프리즘 필름(35b)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보호필름(35a)은 백 라이트 유닛(38)에 포함된 각종 구성 부품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한다. 특히, 프리즘 필름(35b)은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보호필름(35a)은 프리즘 필름(35b)의 전면에 마련되어, 프리즘 필름(35b)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시트(35)는 휘도 향상 필름(Double Brightness Enhance Film)(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보호필름(35a)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 필름의 일종으로 반사형 편광 필름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휘도 향상 필름은 백 라이트 유닛(38)으로부터 조사된 광 가운데 휘도 향상 필름의 편광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편광은 투과시키고, 휘도 향상 필름의 편광 방향과 다른 방향의 편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된 광은 백 라이트 유닛(38) 내부에서 재활용(recycling)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광원(38a)이 디스플레이패널(34)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 Type) 백 라이트 유닛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광원(38a)이 디스플레이패널(34)의 복수의 장변과 복수의 단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 측에 배치되는 에지형(Edge Type) 백 라이트 유닛 역시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공기순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순환장치(100)는 공기순환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3, 10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3, 104)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장변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케이스(103, 104)는 전방케이스(103)와 후방케이스(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케이스(103)와 후방케이스(104)의 사이에는 토출구(100a)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00a)는 케이스(103, 104)의 상부에 열린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부가 개방된 상태도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기순환장치(100)가 하부영역(84)으로 먼저 공기를 보내고 상부영역(83)을 통해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구(100a)는 케이스(103, 104)의 제2방향(V)에 따른 일단부 및 타단부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3, 104)의 제2방향(V)에 따른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방케이스(103)는 디스플레이모듈(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04)는 리어 커버(1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04)는 순환팬(101, 102)이 내부 공기를 흡수하도록 흡입구(104a)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04a)는 순환팬(101, 102)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04)는 보강리브(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107)는 후방케이스(104)는 외면에 형성되어 케이스(103, 104)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리브(107)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3, 104)와,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101, 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101, 102)은 전방케이스(103)와 후방케이스(10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101, 102)은 흡입구(104a)를 통해 후방 플레이트(50)와 리어 커버(12)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전방케이스(103)와 후방케이스(104) 사이의 개방된 상단으로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다. 순환팬(101, 102)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다만, 순환팬(101, 102)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고,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101, 102)은 제1순환팬(101)과 제2순환팬(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팬(101)과 제2순환팬(102)은 케이스(103, 104)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순환팬(101, 102)으로 2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세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101, 102)의 개수가 1개인 경우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3개 이상의 순환팬(101, 102)을 사용할 수 있다.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 복수의 공기순환장치(1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공기순환장치(100)는 체결부(108)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08)는 전방케이스(103) 및 후방케이스(104)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08)는 후방 플레이트(50)와 케이스(103, 104)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순환장치(100)가 후방 플레이트(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00)는 안착부(103a) 및 개방부(10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03a)와 개방부(103b)는 전방케이스(103)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03a)는 순환팬(101, 102)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순환팬(101, 10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03b)는 안착부(103a)와 연결되며 순환팬(101, 102)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선을 정렬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03a)와 개방부(103b)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순환장치(100)는 케이스(103, 104)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연결포트(105, 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포트(105, 106)는 제1연결포트(105)와 제2연결포트(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05a)는 제1연결포트(105)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106a)는 제2연결포트(10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포트(105) 및 제2연결포트(106)는 제1방향(H)으로 개방되어 다른 공기순환장치(100)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포트(105) 및 제2연결포트(106)는 제2방향(V)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전방영역(81)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연결포트(105)와 제2연결포트(106)에서 제1결합돌기(105a)와 제2결합돌기(106a)가 결합할 수 있고, 막음부재(200)와 공기순환장치(100)의 결합돌기(105a, 106a)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공간(141) 및 결합여유공간(142)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3, 104)의 상단은 상부 영역(83)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개방되고, 케이스(103, 104)의 하단은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참조). 이에 따라, 케이스(103, 104)의 하단으로 누설되는 공기가 없으므로 대부분의 내부 공기가 상부 영역(83)을 지나 전방 영역(81)으로 흐를 수 있다. 전방 영역(81) 내로 내부 공기가 많이 흐르므로 디스플레이 패널(34)의 열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에서 제1결합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에서 제2결합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각각의 연결포트(105, 106)는 결합돌기(105a, 106a)와, 제1벽(105b, 106b)과, 제2벽(105c, 106c)과, 제3벽(105d, 106d)과, 연결홀(105e, 106e)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05a, 106a)는 제1결합돌기(105a)와 제2결합돌기(106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연결포트(105)는 제1결합돌기(105a)와, 제1벽(105b)과, 제2벽(105c)과, 제3벽(105d)과, 제1연결홀(105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포트(106)는 제2결합돌기(106a)와, 제1벽(106b)과, 제2벽(106c)과, 제3벽(106d)과, 제2연결홀(106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05a)는 케이스의 내면에서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제2결합돌기(106a)는 케이스의 외면에서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서 A부분을 나타내며, 도 12는 도 9에서 B부분을 나타낸다.
결합돌기(105a, 106a)는 전방케이스(103)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05a)는 전방케이스(103)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05a)는 전방케이스(103)의 내면에서 후방케이스(104)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106a)는 전방케이스(103)의 외면에서 전방케이스(103)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벽(105b, 106b)은 전방케이스(103)의 일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벽(105c, 106c)은 제1벽(105b, 106b)과 제3벽(105d, 106d)이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벽(105d, 106d)은 후방케이스(104)의 일벽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홀(105e, 106e)은 제1벽(105b, 106b), 제2벽(105c, 106c) 및 제3벽(105d, 106d)의 사이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 간의 결합관계를 C-C'로 절단에서 절단하여 본 단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공기순환장치(110)와 제2공기순환장치(120)는 각각 전방케이스(113, 123)와 후방케이스(114,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순환장치(110)의 전방케이스(113)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116a)와 제2공기순환장치(120)의 전방케이스(123)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115a)는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길이에 따라 결합공간(141)에서 결합되는 돌기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길이가 짧을 경우 제1공기순환장치(110)의 제2결합돌기(116a)와 제2공기순환장치(120)의 제1결합돌기(125a)는 결합여유공간(142)이 형성되지 않도록 많은 개수의 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길이가 길 경우 제1공기순환장치(110)의 제2결합돌기(116a)와 제2공기순환장치(120)의 제1결합돌기(125a)는 결합여유공간(142)이 넓게 형성되도록 적은 개수의 돌기만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116a)와 제1결합돌기(125a)가 결합되므로, 결합 영역에서 외부로 새어 나가는 공기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34)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전방 영역(81)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4)의 열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공기순환장치와 제1막음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막음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와 제1막음부재의 결합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공기순환장치와 제2막음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2막음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와 제2막음부재의 결합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공기순환장치(100)는 막음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막음부재(200)는 공기순환장치(10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막음부재(200)는 케이스(103, 104)의 단부에 결합하여 내부 공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막음부재(200)는 제1부분(201)과 제2부분(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201)은 케이스(103, 104)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후술할 조립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202)은 하우징(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부분(201)에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막음부재(200)는 후방 플레이트(5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08)는 제1부분(201)에서 돌출될 수 있다. 막음부재(200)의 구성 및 형상은 상기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순환장치(100)로부터 내부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막음부재(200)는 제1막음부재(210)와 제2막음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막음부재(210)는 케이스의 일단과 결합하여 외부 프레임(11)의 모서리 영역에서 내부 공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막음부재(210)는 전방 케이스(103)의 좌측단과 결합할 수 있다.
제1막음부재(210)는 제1막음부재(210)의 외면에서 제1막음부재(2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조립돌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립돌기(213)는 제1결합돌기(105a)와 결합할 수 있다.
제2막음부재(220)는 케이스의 타단과 결합하여 외부 프레임(11)의 모서리 영역에서 내부 공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막음부재(220)는 전방 케이스(103)의 우측단과 결합할 수 있다.
제2막음부재(220)는 제2막음부재(220)의 외면에서 제2막음부재(2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조립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립돌기(224)는 제2결합돌기(106a)와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하우징
12: 리어 커버 30; 디스플레이 모듈
40; 외기팬 50; 후방 플레이트
70; 제1냉각유로 80; 제2냉각유로
100; 공기순환장치 200; 막음부재

Claims (20)

  1. 전면 글라스와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전면 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되는 토출구;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포트; 및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반대 단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포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글라스와 상기 리어 커버가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상기 전면 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전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상부 영역을 거쳐 상기 전방 영역으로 안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영역의 공기는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면 사이의 하부 영역을 거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영역을 거친 공기는 상기 공기순환장치로 회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는 공기의 누설을 막도록 밀폐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포트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1연결포트와 결합하는 제1막음부재와, 상기 제2연결포트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2연결포트와 결합하는 제2막음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연결포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제2연결포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막음부재는 상기 제1결합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제2막음부재는 상기 제2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음부재는 상기 제1결합돌기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1막음부재의 외면에서 상기 제1막음부재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고 제1조립돌기와, 상기 제2막음부재는 상기 제2결합돌기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막음부재의 내면에서 상기 제2막음부재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조립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순환장치들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공기순환장치와 제2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의 상기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공기순환장치의 상기 제1결합돌기는 서로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방케이스와 상기 리어 커버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후방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전방케이스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마련되는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 글라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상기 전면 글라스의 사이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을 수용하고, 상단은 개방되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은 공기의 누설을 막도록 밀폐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전면 글라스와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전면 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공기순환장치와 제2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 및 제2공기순환장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상기 순환팬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되는 토출구;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포트; 및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반대 단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포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와 제2공기순환장치는 각각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의 케이스 일단의 내면에서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제2공기순환장치의 케이스 타단의 외면에서 상기 제2공기순환장치의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공기순환장치의 상기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공기순환장치의 상기 제1결합돌기는 서로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37551A 2020-03-27 2020-03-27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20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51A KR20210120615A (ko) 2020-03-27 2020-03-27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0/009921 WO2021194020A1 (en) 2020-03-27 2020-07-28 Display device
US17/002,167 US11320875B2 (en) 2020-03-27 2020-08-2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51A KR20210120615A (ko) 2020-03-27 2020-03-2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15A true KR20210120615A (ko) 2021-10-07

Family

ID=7785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51A KR20210120615A (ko) 2020-03-27 2020-03-2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20875B2 (ko)
KR (1) KR20210120615A (ko)
WO (1) WO2021194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463511A1 (en) * 2020-08-13 2023-03-16 Dynascan Technology Corp. Electronic display assembly and double-sid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795B1 (ko) * 2004-12-01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9173325B2 (en) * 2008-03-26 2015-10-2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s
US8472174B2 (en) * 2008-05-07 2013-06-25 Vertigo Digital Displays Inc. Video display system
KR101564278B1 (ko) * 2008-06-13 2015-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248784B2 (en) * 2009-09-30 2012-08-21 Sanyo Electric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1712100B1 (ko) * 2010-01-12 2017-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1737391B1 (ko) * 2011-02-01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4342B1 (ko) * 2011-04-08 2017-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7981B1 (ko) * 2011-11-15 2018-04-12 주식회사 오리온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구조
KR102120763B1 (ko) * 2013-05-09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KR20160084279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563908B (en) * 2015-01-09 2016-12-21 Young Lighting Technology Inc Display having fan
KR102132340B1 (ko) * 2015-12-10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6771B1 (ko) * 2016-12-02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장치
KR20180083210A (ko) * 2017-01-12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193772B1 (ko) * 2017-07-14 202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3736B1 (ko) * 2017-11-22 2019-07-25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온도 안정성이 강화된 옥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5887B1 (ko) * 2017-11-22 2019-06-04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온도 안정성이 강화된 옥외 디스플레이 장치
TWM561221U (zh) * 2017-12-12 2018-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具有散熱結構的顯示器總成
KR102464107B1 (ko) * 2017-12-18 202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03043A1 (en) 2021-09-30
US11320875B2 (en) 2022-05-03
WO2021194020A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9717B1 (ko) 표시장치
CN110036704B (zh) 室外显示装置
US818423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121741B (zh) 户外显示装置
KR102332243B1 (ko) 반사형 확산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114467A (ja) 光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25625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331243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8121114B (zh) 具有二向色滤光器的显示装置
JP5303658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7782419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5710906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0008473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1858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JP2011034968A5 (ko)
KR202101206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72652A (ko) 액정표시장치
WO201202616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601293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68628A (ko) 액정표시장치
KR102498496B1 (ko) 표시장치
KR2006005947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2400281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558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44577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