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27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279A
KR20160084279A KR1020150045573A KR20150045573A KR20160084279A KR 20160084279 A KR20160084279 A KR 20160084279A KR 1020150045573 A KR1020150045573 A KR 1020150045573A KR 20150045573 A KR20150045573 A KR 20150045573A KR 20160084279 A KR20160084279 A KR 2016008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heat
case
display modu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
조진현
김정균
표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202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40766B1/en
Priority to CN201610007112.9A priority patent/CN105759497B/zh
Priority to US14/988,098 priority patent/US9992908B2/en
Publication of KR2016008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밀폐 냉각 구조를 가져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볼 수 있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1부분을 가지는 열교환장치를 포함하고, 열교환장치는, 제1부분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마련되며, 열교환장치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제2부분은 제1부분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밀폐 냉각 유로와 순환 냉각 유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용 모니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옥외 또는 야외에 광고 등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 지고 있다. 건물 외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광고판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태양광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 패널의 표면온도가 상승하여 열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의 배면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으로 형성된다. 백라이트 유닛에는 액정패널로 광을 입사시키는 광원이 마련되고, 광원으로는 냉음극 형광관, 발광 다이오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열도 함께 발출하여 액정을 열화 시키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구비한다. 냉각장치는 팬과 에어필터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팬을 이용하여 외기를 흡입하는 동시에 액정패널 전면을 냉각하는 냉각 유로를 형성하고, 냉각 유로를 통해 태양열 및 액정패널의 열을 흡수하여 배기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팬과 에어필터를 구비하는 방열장치는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야 하고, 이는 높은 유지보수 비용을 발생시키고, 팬과 에어필터가 함께 배치되어야 하므로, 팬과 에어필터의 두께만큼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밀폐 냉각 구조를 가져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외기를 유입하지 않는 밀폐 냉각 구조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되어 안전한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에어 필터가 없어, 그에 따른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제품의 슬림화로 미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볼 수 있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1부분을 가지는 열교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장치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열을 전달받도록 마련되는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냉각유로와 제2냉각유로를 격리시키도록 마련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열교환장치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냉각유로와 제2냉각유로를 구획하는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패널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장치는, 복수의 냉각핀 또는 히트 싱크 또는 히트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냉각유로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냉각유로는, 상기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냉각유로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외기가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2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볼 수 있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는 냉각 플레이트;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1부분을 가지는 열교환장치; 상기 제1냉각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장치는,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장치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는 상기 제2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냉각유로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냉각유로와 제2냉각유로를 격리시키도록 마련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열교환장치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장치는, 복수의 냉각핀 또는 히트 싱크 또는 히트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2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냉매의 상변화를 통해 열전달을 하도록 마련되는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열 전달 부재와, 상기 열 전달 부재의 주위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 전달 부재와 열교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냉각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냉각유로와 상기 제2냉각유로는 서로 격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냉각유로와 상기 제2냉각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열 전달 부재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열 전달 부재를 상기 제1냉각유로로부터 격리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는, 고무, 실리콘, 탄성재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냉각유로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냉각유로의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냉각유로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 전달 부재는, 히트 싱크, 열 교환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해 마련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냉각유로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냉매의 상변화를 통해 열전달을 하도록 마련되는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냉각하도록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열교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냉각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냉각유로는 상기 제1냉각유로와 격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열교환기, 히트 싱크, 히트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제1냉각유로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제2냉각유로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글라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복수의 히트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트 파이프는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냉각유로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냉각유로의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냉각유로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밀폐 냉각 유로와 순환 유로 구조를 가져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기를 유입하지 않는 밀폐 냉각 구조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되어 습기나 먼지 등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 필터가 필요 없어, 그에 따른 유지 보수 및 비용이 감소하고, 제품의 슬림화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열교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와 확대도,
도 6 은 도 1 의 A-A’ 부분의 단면도,
도 7 은 도 1 의 B-B’ 부분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냉각유로와 제2냉각유로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냉각유로와 제2냉각유로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와 열교환장치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6 은 도 13 의 C-C’ 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유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냉각유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냉각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에 개구(11a)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개구(11a)에 마련되는 글라스(20)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화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전면(11)과 후면(12), 그리고 전면(11)과 후면(12)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측면(13)들을 포함한다. 측면(13)은 상면(13a)과 하면(13b) 그리고 좌측면(13c)과 우측면(13d)을 포함한다.
전면(11)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11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0)의 전면(11)은 상측 일부가 개구(11a)되어 형성되고, 전면(11)의 적어도 일부에 글라스(20)가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면(11)의 전체가 개구(11a)되어 형성되고, 전면(11) 전체를 글라스(20)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면(11)의 개구(11a)에 마련되는 글라스(20)는 강화 유리와 같은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글라스(20)의 내면에는 외광에 의한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한 필름(21)이 마련될 수 있다. 필름(21)은 편광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글라스(20)는 케이스(10)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0)의 후면(12)은 그 하부에 회로기판(70)등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14)가 마련된다. 설치부(14)는 후면(12)과 일체로 형성되며, 후면(12)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설치부(14)에는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가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4a)가 형성된다. 흡입구(14a)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입구(14a)는 세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입구의 크기 및 개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후면(12) 상단부에는 흡입구(14a)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가 마련된다. 배출구(15)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3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60)이 마련된다.
프레임(60)은 케이스(10)의 전면(11) 내측 하부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프레임(60)에는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순환팬(63)이 설치되기 위한 송풍팬 설치구(61)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 설치구(61)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팬 설치구는 세 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풍팬 설치구의 크기 및 개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후술하게 되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1)과, 디스플레이 패널(31)의 후방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1)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3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31)에 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가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기판(70)이 마련된다. 회로기판(70)에는 상호 정보를 주고 받으며 기능을 수행하는 CPU와 SMP 등 다양한 제어수단이 장착되고, 이러한 제어수단은 발열체로서 열을 발생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이러한 제어수단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과 외부의 태양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케이스(10) 내부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 플레이트(40)와 열교환장치(50)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플레이트(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 형상의 냉각 플레이트(4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면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 및 백라이트 유닛(34) 등의 고발열원의 열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거나 방열하도록 마련된다.
냉각 플레이트(40)는 냉매의 상변화를 이용하는 고성능 상변화 열전도체로서, 대면적의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각 플레이트(40)의 열전도율은 5000kw/mk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는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면 내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냉각 플레이트(41)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면 외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냉각 플레이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 플레이트(41)와 제2냉각 플레이트(42)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냉각 플레이트(41)와 제2냉각 플레이트(42)는 서로 결합되어 판 형상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냉각 플레이트(40)의 양측 단부에는 후술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미드 몰드(33)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4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냉각 플레이트(40)의 결합부(44)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냉각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면 중 외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냉각 플레이트(42)에는 열교환장치(50)가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열교환장치(50)는 히트 싱크 또는 히트 파이프 또는 냉각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장치(50)는 냉각 플레이트(40)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부분(51)과, 제1부분(5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패널부(52)와, 패널부(5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부분(53)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장치(50)의 제1부분(51)은 제2냉각 플레이트(42)에 접촉 가능하도록 면으로 형성되는 접촉면(51a)과, 접촉면(51a)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접촉 지지대(51b)를 포함한다.
제1부분(51)은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51)은 접촉면(51a)에 의해 제2냉각 플레이트(42)로부터 열을 전도의 형태로 접촉 지지대(51b)를 통해 제2부분(53)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부분은 ‘T’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ㄱ’ 또는 ‘I’ 형상 등, 접촉면과 지지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부분(53)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핀 형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53)은 제1부분(51)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방출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핀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널부(52)는 제1부분(51)과 제2부분(53)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패널부(52)는 제1부분(51)의 접촉면(51a)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접촉 지지부(51b)와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부(52)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격벽(18)과 연결될 수 있다.
격벽(18)은 케이스(10)의 상면(13a)과 좌측면(13), 그리고 우측면(13)의 내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격벽(18)은 패널부(52)의 외측 테두리에 연결되어 패널부(52)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과 후방을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즉, 열교환장치(50)는 패널부(52)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제1부분(51) 측의 제1유로(101)와, 후방에 배치되는 제2부분(53)측의 제2유로(2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101)는 열교환장치(50)의 제1부분(51)과 제2냉각 플레이트(42)의 후면 사이에 마련된다.
이때, 제1유로(101)의 공기는 순환팬(63)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제2유로(201)는 열교환장치(50)의 방열부(53)와 케이스(10)의 후면 사이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2유로(201)의 공기는 냉각팬(17)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냉각팬(17)은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장치이며, 순환팬(63)과 팬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유로(201)에 배치되는 냉각팬(17)은 흡입구(14a)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장치(50)의 방열부(53)를 통해 배출구(15)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격벽(18)은 열교환장치(50)의 패널부(52)와 밀폐 규격인 IP65 이상의 등급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냉각 플레이트(40)와, 냉각 플레이트(40)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장치(50)에 의해 공기가 밀폐 순환되도록 마련되는 제1냉각유로(100)와,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가 열교환되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냉각유로(2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의 내부는 열교환장치(50)와 격벽(18)에 의해 제1냉각유로(100)와 제2냉각유로(200)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밀폐되도록 마련되는 제1냉각유로(100)는 케이스(10) 전면의 글라스(20)와 디스플레이 패널(31) 사이 공간과 제1유로(101)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제2냉각유로(200)는 케이스(10) 후면(12)과 제2유로(201) 사이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디스플레이 패널(31)과, 디스플레이 패널(31)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시트(32)들과, 디스플레이 패널(31)의 후방측에 이격되어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34)과, 디스플레이 패널(31)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미드 몰드(33)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34)은 디스플레이 패널(31)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34c)과, 도광판(34c)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시트(34d)와, 도광판(34c)에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34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1)의 후방에 도광판(34c)이 배치되고, 도광판(34c)의 측방에 발광 다이오드(34a)가 배치되어 도광판(34c)의 측방에서 광을 조사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가 디스플레이 후면과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직접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31)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미드 몰드(33)는 냉각 플레이트(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홈(33a)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는 미드 몰드(33)의 결합홈(33a)에 결합부(44)가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31)과 백라이트 유닛(34) 및 발광 다이오드(34a)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냉각 플레이트(40)를 통해 전도될 수 있다.
이때, 냉각 플레이트(40)는 대면적의 열전도를 통해 고발열을 흡수 및 방열할 수 있는 동시에, 냉각 플레이트(40)의 표면에 접촉하는 열교환장치(50)에 전달함으로써 냉각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71)가 설치되고, 온도 센서(71)의 센싱 신호에 따라 순환팬(63)과 냉각팬(17)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러(8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 내지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냉각유로(100)와 제2냉각유로(200)를 유동하는 공기의 이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을 가동시키면, 백라이트 유닛(34) 및 회로 기판(70) 등에 의해 열이 발생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실외에 설치되므로 태양 복사열 등이 글라스(20)를 통해 입사되고 그에 따른 열이 발생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면을 형성하는 냉각 플레이트(40)는 대면적의 열전도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 및 방열할 수 있다.
또한, 냉각 플레이트(40)의 후면에 접촉하는 열교환장치(50)는 냉각 플레이트(40)로 전달된 열을 접촉부(51)를 통해 흡수하여 후단부의 방열부(53)를 통해 방열 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냉각 플레이트(40)와 열교환장치(50)의 제1부분(51)이 형성하는 제1유로(101)는 글라스(20)와 디스플레이 패널(31)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어 밀폐 순환 될 수 있는 제1냉각유로(1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냉각유로(100)의 공기는 순환팬(63)에 의해 공기 흐름이 형성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31) 전면으로 입사되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유로(101)를 통해 냉각 플레이트(40)와 열교환장치(50)로 전달하고, 공기는 냉각되어 다시 순환팬(6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31) 전방으로 이동하는 순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밀폐 순환을 형성하는 제1냉각유로(100)는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물과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제2냉각유로(200)의 공기는 케이스(10) 후면(12)에 형성된 흡입구(14a)와 냉각팬(17)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냉각팬(17)에 의해 가이드되어 열교환장치(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고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밀폐 순환되는 제1냉각유로(100)에 의해 1차로 냉각되고, 제2냉각유로(200)를 유동하는 외기와 열교환장치(50)에 의해 2차로 냉각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냉각유로(2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기판(70)이 마련되며, 제2냉각유로(200)내의 순환팬(63)이 작동 시 회로기판(70)은 동시 냉각이 가능하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와 열교환장치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A)의 냉각 플레이트(40A)는 히트 파이프(43A)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A)는 일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41A)와, 본체(41A) 내부에 마련되는 히트 파이프(43A)와, 히트 파이프(43A)를 본체(41A)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판(42A)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파이프(43A)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43A)는 본체(41A)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방사 형상으로 배치되는 히트 파이프(43A)는 디스플레이 패널(31)과 백라이트 유닛(34)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고정판(42A)은 히트 파이프(43A)를 본체(41A)에 고정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고정판(42A)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플레이트(40A)의 본체(41A)는 디스플레이 패널(31)을 지지하는 미드 몰드(33)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판(42A)은 열교환장치(50)가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열교환장치(50)의 접촉부(51)는 냉각 플레이트(40A)의 고정판(42A)에 접촉하여, 냉각 플레이트(40A)의 열을 흡수하고 방열부(53)를 통해 방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40A)와 열교환장치(50)에 의해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100)와 제2냉각유로(200)의 동작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며,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 은 도 13 의 C - C’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B)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B)와, 케이스(10B)의 내부에서 화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B)을 포함한다.
케이스(10B)는 전방에 개구(11Ba)가 형성된다. 케이스(10B)의 전방 개구(11Ba)에는 글라스(20B)가 마련된다.
케이스(10B)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전면(11B)과 후면(12B), 그리고 전면(11B)과 후면(12B)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측면(13B)들을 포함한다. 측면(13B)은 상면(13Ba)과 하면(13Bb) 그리고 좌측면(13Bc)과 우측면(13Bd)을 포함한다.
한편, 전면(11B)의 개구(11Ba)에 마련되는 글라스(20B)는 강화 유리와 같은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글라스(20B)는 케이스(10B)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B)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케이스(10B)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듈(30B)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0B)의 후면(12B)에는 복수개의 흡입구(16B)와 배출구(15B)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6B)는 케이스(10B)외측의 외기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배출구(15B)는 흡입구(16B)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흡입구(16B)와 배출구(15B)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입구와 배출구는 케이스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흡입구(16B)는 케이스(10B) 후면(12B) 중심 좌우에 각각 배치되며, 배출구(15B)는 흡입구(16B)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B)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30B)과, 디스플레이 모듈(30B)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60B)이 마련된다.
프레임(60B)은 케이스(10B)의 상면(13Ba)과 하면(13Bb), 그리고 좌측면(13Bc)과 우측면(13Bd)의 내부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B)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케이스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레임은 케이스와 별도로 마련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10B)의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B)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B)과, 디스플레이 패널(31B)의 후방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1)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34B)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34B)은 디스플레이 패널(20B)에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광원(34Ba)과, 광원(34Ba)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면광으로 변환하는 도광판(35B)과,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되는 광학 부재(33B)들을 포함한다.
광원(34Ba)은 도광판(35B)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34Ba)은 도광판(35B)의 사방 테두리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34Ba)은 도광판(35B)의 사방 측면에 모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은 도광판(35B)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되는 광학 부재(33B)들을 포함한다.
광학 부재(33B)들은 디스플레이 모듈(30B)의 시야각을 넓히고,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광을 굴절 또는 산란 시키도록 마련된다.
광학 부재(33B)는 다양한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부재(33B)는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20B)의 전면은 사각 링 형상의 탑 섀시(32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냉각 플레이트(40B)는 탑 섀시(32B)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탑 섀시(32B)의 측면부 내측은 냉각 플레이트(40B)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설치부(41B)와 접촉하여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냉각 플레이트(40B)는 프레임(60B)와 결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B)는 디스플레이 패널(31B)에 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B)을 가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기판(70B)을 포함한다. 회로기판(70B)에는 상호 정보를 주고 받으며 기능을 수행하는 CPU와 SMP 등 다양한 제어수단이 장착되고, 이러한 제어수단은 발열체로서 열을 발생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B)는 이러한 제어수단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과 외부의 태양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화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30B) 내부에 마련되는 백라이트 유닛(34B)의 광원(34Ba)은 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열도 함께 방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B)을 열화 시키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0B)의 내부에는 케이스(10B) 내부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 플레이트(40B)와 냉각 플레이트(40B)의 방열을 위해 형성되는 냉각유로(100B)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B)는 디스플레이 모듈(30B)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30B)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판 형상의 냉각 플레이트(40B)는 디스플레이 모듈(30B)의 후면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B) 및 백라이트 유닛(34B) 등의 고발열원의 열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거나 방열하도록 마련된다.
냉각 플레이트(40B)는 냉매의 상변화를 이용하는 고성능 상변화 열전도체로서, 대면적의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각 플레이트(40B)의 열전도율은 5000kw/mk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B)는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B)의 후방에는 냉각 플레이트(40B)를 냉각하기 위한 복수의 냉각 유로(100B)가 마련된다.
냉각 플레이트(40B)의 후면에는 열 전달 부재(50B)가 마련된다. 열 전달 부재(50B)는 냉각 플레이트(40B)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열 전달 부재(50B)는 디스플레이 장치(1B)의 케이스(10B) 후면(12B)에 설치된다.
열 전달 부재(50B)의 주위에는 구획부재(90B)가 마련될 수 있다. 구획부재(90B)는 열 전달 부재(50B)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구획부재(90B)는 냉각 플레이트(40B)와 케이스(10B)의 후면(12B) 사이를 격리하도록 마련된다.
열 전달 부재(50B)는 냉각 플레이트(40B)의 좌 우측에 두 개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열 전달 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두 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열 전달 부재(50B)는 냉각 플레이트(40B)의 열을 전달받아 열교환하여 방열하는 열교환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열 전달 부재(50B)는 히트 싱크, 열교환기, 히트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재(90B)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재(90B)는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획부재(90B)는 케이스(10B) 후면(12B)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획부재(90B)는 케이스(10B)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냉각 유로(100B)는 냉각 플레이트(40B)와 케이스(10B)의 후면(12B) 사이에 형성된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유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냉각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9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냉각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냉각유로(100B)는 냉각 플레이트(40B)의 방열을 위해 마련되며, 제1냉각유로(110B)와 제2냉각유로(120B)를 포함한다.
제1냉각유로(110B)와 제2냉각유로(120B)는 서로 격리되도록 형성된다. 구획부재(90B)는 제1냉각유로(110B)와 제2냉각유로(120B)를 격리하도록 마련된다. 제1냉각유로(110B)는 구획부재(90B)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제1냉각유로(110B)는 구획부재(90B)의 주위를 순환하도록 마련된다. 제2냉각유로(120B)는 제1냉각유로(110B)와는 격리되도록 형성된다. 제2냉각유로(120B)는 구획부재(90B)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1냉각유로(110B)는 디스플레이 패널(20B)의 후면 중심과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부재(90B)는 제1냉각유로(110B)와 제2냉각유로(120B)를 격리하는 한편, 제1냉각유로(110B)의 내부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1냉각유로(110B) 상에는 제1냉각유로(110B)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230B)이 마련된다.
케이스(10B)의 후면(12B) 중심에는 순환팬(230B)이 설치되기 위한 순환팬 설치부(232B)가 형성된다. 순환팬 설치부(232B)는 케이스(10B)의 후면(12B) 중심에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순환팬 설치부(232B)의 상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환팬(230B)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순환팬(230B)은 두 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순환팬 설치부(232B)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B)의 구동을 위해 마련되는 복수의 회로기판(70B)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회로기판(70B)은 제1냉각유로(11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냉각유로(110B)는 순환팬(230B)이 설치되는 순환팬 설치부(232B)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순환팬(230B)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는 제1냉각유로(110B)를 따라 구획부재(90B)의 외측을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B)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B)의 내부 구획부재(90B)의 주위를 이동하는 공기는 하나의 폐회로(closed loop)를 형성하게 된다. 즉, 공기는 디스플레이 패널(20B)의 중심에 배치되는 순환팬 설치부(232B)와, 구획부재(90B)의 하측에서 양측 그리고 상측을 따라 이동 및 순환하면서 냉각 플레이트(40B)를 냉각한다.
순환팬(230B)은 디스플레이 장치(1B)의 제1냉각유로(110B)내부를 밀폐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 속도를 향상시켜 온도 저하를 가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밀폐 순환 냉각 유로는 디스플레이 장치(1B)의 내부로 외기의 먼지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격리는 디스플레이 장치(1B)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2냉각유로(120B)는 구획부재(90B)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2냉각유로(120B)는 냉각 플레이트(40B)의 후면과 케이스(10B)의 후면(12B) 사이에 형성된다. 제2냉각유로(120B) 상에는 외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16B)와, 흡입구(16B)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 전달 부재(50B)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5B)가 마련된다.
흡입구(16B)와 배출구(15B)는 케이스(10B)의 후면(12B)에 형성된다. 케이스(10B)의 후면(12B)에는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냉각팬(130B)이 설치된다. 케이스(10B)의 후면(12B)에는 냉각팬(130B)이 설치되기 위한 냉각팬 설치부(132B)가 형성된다.
냉각팬 설치부(132B)는 제2냉각유로(120B)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냉각팬 설치부(132B)는 제2냉각유로(120B)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냉각팬 설치부(132B)는 케이스(10B)의 후면(12B)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냉각팬 설치부(132B)에는 냉각팬(130B)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냉각팬 커버(131B)가 설치될 수 있다.
냉각팬 설치부(132B)의 냉각팬 커버(131B)에는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6B)가 형성된다. 즉, 냉각팬 설치부(132B)에 형성되는 흡입구(16B)를 통해 제2냉각유로(120B) 중심으로 유입되는 외기는 제2냉각유로(120B) 내부로 유입되어 냉각 플레이트(40B)를 냉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냉각팬 설치부(132B)는 케이스(10B) 후면(12B)의 중심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냉각팬 설치부(132B)에 설치되는 냉각팬(130B)은 각각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냉각팬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냉각유로(120B)의 내부에는 열 전달 부재(50B)가 마련되고, 열 전달 부재(50B)는 냉각 플레이트(40B)와 적어도 그 일부가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2냉각유로(120B)로 유입되는 외기는 냉각 플레이트(40B)의 표면에 접촉되는 열 전달 부재(50B)를 통해 열교환되어, 냉각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제2냉각유로(120B)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케이스(10B) 후면(12B)에 형성된 배출구(15B)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배출구(15B)는 케이스(10B)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배출구(15B)는 제2냉각유로(120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출구(15B)는 흡입구(16B)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출구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냉각유로(120B)의 외기 직접 유입에 의한 냉각은 내부 발열 및 태양열 등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케이스(10B)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되고, 온도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순환팬(230B)과 냉각팬(130B)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러(72B)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B)는 내기 및 외기의 온도 또는 외부 조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컨트롤러(71B)에 의해 조절되는 순환팬(230B)은 제1냉각유로(110B)의 공기를 유동시키고, 냉각팬(130B)은 제2냉각유로(120B)의 공기를 유동시킨다.
이러한, 제1냉각유로(110B)와 제2냉각유로(120B)의 공기 유동은 냉각 플레이트(40B)를 냉각하게 한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B)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B)와, 케이스(10B)의 내부에서 화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B)을 포함한다.
케이스(10B)는 전방에 개구(11Ba)가 형성된다. 케이스(10B)의 전방 개구(11Ba)에는 글라스(20B)가 마련된다.
케이스(10B)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전면(11B)과 후면(12B), 그리고 전면(11B)과 후면(12B)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측면(13B)들을 포함한다. 측면(13B)은 상면(13Ba)과 하면(13Bb) 그리고 좌측면(13Bc)과 우측면(13Bd)을 포함한다.
케이스(10B)의 후면(12B)에는 복수개의 흡입구(16B)와 배출구(15B)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6B)는 케이스(10B)외측의 외기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배출구(15B)는 흡입구(16B)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한편, 흡입구(16B)는 케이스(10B) 후면(12B) 중심 좌우에 각각 배치되며, 배출구(15B)는 흡입구(16B)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B)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30B)과, 디스플레이 모듈(30B)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60B)이 마련된다. 프레임(60B)은 케이스(10B)의 상면(13Ba)과 하면(13Bb), 그리고 좌측면(13Bc)과 우측면(13Bd)의 내부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B)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케이스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레임은 케이스와 별도로 마련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10B)의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B)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B)과, 디스플레이 패널(31B)의 후방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1)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34B)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34B)은 디스플레이 패널(20B)에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광원(34Ba)과, 광원(34Ba)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면광으로 변환하는 도광판(35B)과,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되는 광학 부재(33B)들을 포함한다.
광원(34Ba)은 도광판(35B)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학 부재(33B)들은 디스플레이 모듈(30B)의 시야각을 넓히고,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광을 굴절 또는 산란 시키도록 마련된다.광학 부재(33B)는 다양한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부재(33B)는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20B)의 전면은 사각 링 형상의 탑 섀시(32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냉각 플레이트(40B)는 탑 섀시(32B)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탑 섀시(32B)의 측면부 내측은 냉각 플레이트(40B)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설치부(41B)와 접촉하여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냉각 플레이트(40B)는 프레임(60B)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34Ba)은 디스플레이 패널(20B)의 도광판(35B)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B)는 디스플레이 패널(31B)에 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B)을 가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기판(70B)을 포함한다. 회로기판(70B)에는 상호 정보를 주고 받으며 기능을 수행하는 CPU와 SMP 등 다양한 제어수단이 장착되고, 이러한 제어수단은 발열체로서 열을 발생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B)는 이러한 제어수단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과 외부의 태양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화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30B) 내부에 마련되는 백라이트 유닛(34B)의 광원(34Ba)은 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열도 함께 방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B)을 열화 시키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0B)의 내부에는 케이스(10B) 내부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 플레이트(40C)와 냉각 플레이트(40C)의 방열을 위해 형성되는 냉각유로(100B)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C)는 디스플레이 모듈(30B)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30B)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냉각 플레이트(40C)는 히트 파이프(43C)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0C)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42C)와, 판 형상의 플레이트(42C)의 내부에 마련되는 히트 파이프(43C)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파이프(43C)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43C)는 냉각 플레이트(42C)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방사 형상으로 배치되는 히트 파이프(43C)는 디스플레이 패널(31C)과 백라이트 유닛(34C)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냉각 플레이트(40C)의 플레이트(42C)의 사방 테두리에는 설치부(41C)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41C)는 백라이트 유닛(34C)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설치부(41C)는 탑 섀시(32B)의 일부와 접촉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열전달 부재(50B)는 냉각 플레이트(40C)의 후면에 접촉하여, 냉각 플레이트(40C)의 열을 흡수하고 방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40C)와 열전달부재(50B)에 의해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110B)와 제2냉각유로(120B)의 동작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1A,1B : 디스플레이 장치 10 : 케이스
20 : 글라스 30 : 디스플레이 모듈
31 : 디스플레이 패널 32 : 광학시트
33 : 미드몰드 34 : 백라이트 유닛
40,40A,40B : 냉각 플레이트 50 : 열교환장치
50B : 열 전달 부재 51 : 제1부분 52 : 패널부 53 : 제2부분
70,70B : 회로기판 71 : 온도 센서
80 : 콘트롤러 90B : 구획부재
100B : 냉각유로

Claims (41)

  1.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볼 수 있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1부분을 가지는 열교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장치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열을 전달받도록 마련되는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냉각유로와 제2냉각유로를 격리시키도록 마련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열교환장치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냉각유로와 제2냉각유로를 구획하는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패널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는,
    복수의 냉각핀 또는 히트 싱크 또는 히트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유로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유로는,
    상기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각유로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외기가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2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볼 수 있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는 냉각 플레이트;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1부분을 가지는 열교환장치;
    상기 제1냉각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장치는,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장치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냉각유로 상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는 상기 제2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냉각유로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냉각유로와 제2냉각유로를 격리시키도록 마련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열교환장치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는,
    복수의 냉각핀 또는 히트 싱크 또는 히트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2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냉매의 상변화를 통해 열전달을 하도록 마련되는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열 전달 부재와,
    상기 열 전달 부재의 주위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 전달 부재와 열교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냉각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유로와 상기 제2냉각유로는 서로 격리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유로와 상기 제2냉각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열 전달 부재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열 전달 부재를 상기 제1냉각유로로부터 격리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고무, 실리콘,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유로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냉각유로의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각유로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 부재는,
    히트 싱크, 열 교환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해 마련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냉매의 상변화를 통해 열전달을 하도록 마련되는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냉각하도록 형성되는 제1냉각유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열교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냉각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냉각유로는 상기 제1냉각유로와 격리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열교환기, 히트 싱크, 히트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제1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제2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글라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복수의 히트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트 파이프는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0.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유로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냉각유로의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1.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각유로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573A 2015-01-05 2015-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4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202133.3A EP3040766B1 (en) 2015-01-05 2015-12-22 Display device
CN201610007112.9A CN105759497B (zh) 2015-01-05 2016-01-05 显示装置
US14/988,098 US9992908B2 (en) 2015-01-05 2016-01-0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831 2015-01-05
KR20150000831 2015-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279A true KR20160084279A (ko) 2016-07-13

Family

ID=5650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573A KR20160084279A (ko) 2015-01-05 2015-03-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27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347A (ko) * 2017-03-09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12449A (ko) * 2017-07-27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20190104976A (ko) * 2017-07-27 201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20190134570A (ko) * 2017-11-30 2019-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20200003092A (ko) * 2017-04-28 2020-01-08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텔레비전용 방열 시스템 및 액정 텔레비전
KR102117578B1 (ko) * 2019-01-25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138586A1 (ko) * 2018-12-27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72606A1 (ko) * 2020-02-24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94020A1 (en) * 2020-03-27 2021-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151440A (ko) * 2020-06-05 2021-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347A (ko) * 2017-03-09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3092A (ko) * 2017-04-28 2020-01-08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텔레비전용 방열 시스템 및 액정 텔레비전
KR20190012449A (ko) * 2017-07-27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20190104976A (ko) * 2017-07-27 201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20190134570A (ko) * 2017-11-30 2019-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WO2020138586A1 (ko) * 2018-12-27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US11910582B2 (en) 2018-12-27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display apparatus
KR102117578B1 (ko) * 2019-01-25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044840B2 (en) 2019-01-25 2021-06-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172606A1 (ko) * 2020-02-24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988914B2 (en) 2020-02-24 2024-05-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194020A1 (en) * 2020-03-27 2021-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11320875B2 (en) 2020-03-27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151440A (ko) * 2020-06-05 2021-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9497B (zh) 显示装置
KR201600842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593606B1 (en) Display device
EP3393222B1 (en) Display device
US10334764B2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with a cooling structure
CN110418997B (zh) 显示装置
CN105974662B (zh) 显示装置
EP2797394B1 (en) Digital signage
US8400608B2 (en) Display apparatus
US10317615B2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US8767165B2 (en) Isolated gas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JP2013532301A (ja) 電子画像アセンブリを冷却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070274051A1 (en) Heat-dissipating backlighting module for use in a flat panel display
KR20120129225A (ko) 옥내외용 액정 광고보드의 방열구조
KR102334505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US11910582B2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JP2009231193A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0373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3094596U (zh) 一种电子设备
KR20190064062A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