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14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141A
KR20240028141A KR1020220106278A KR20220106278A KR20240028141A KR 20240028141 A KR20240028141 A KR 20240028141A KR 1020220106278 A KR1020220106278 A KR 1020220106278A KR 20220106278 A KR20220106278 A KR 20220106278A KR 20240028141 A KR20240028141 A KR 2024002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chassis
dissipation frame
display devic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오
이상인
이정렬
전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141A/ko
Priority to PCT/KR2023/008608 priority patent/WO2024043471A1/ko
Publication of KR2024002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는 섀시, 및 섀시와 제어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프레임은, 외부 공기가 유동 가능한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도록, 섀시의 후면과 이격되는 바디부와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섀시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개시된 발명은 개선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Television), 모니터(Monitor)뿐만 아니라, 노트북 피씨(Notebook PC),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의 휴대용 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엣지형(Edge-type)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type)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개선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생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공정 수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경량화 및 슬림화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는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섀시와 상기 제어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동 가능한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디부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섀시의 후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섀시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섀시와 상기 방열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실링 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섀시의 후면을 향해 개방되는 실링 부재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섀시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섀시는, 상기 방열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도록 마련되는 제1 섀시 바디 및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 섀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섀시 바디를 통과하여 상기 제어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도록, 상기 방열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1 결합부에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방열 프레임의 전방으로 함몰되는 수용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방열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브래킷은 상기 방열 프레임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보호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섀시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은, 상기 방열 프레임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과 연통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은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 어셈블리, 상기 개구를 통해 화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어 어셈블리에 의해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섀시, 상기 제어 어셈블리와 구획되는 냉각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섀시의 후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방열 프레임, 및 상기 방열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면에 후크 결합되는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섀시와 상기 방열 프레임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섀시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섀시의 후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실링 부재가 장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사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방열 프레임의 상기 바디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사이드부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섀시는, 상기 방열 프레임의 의해 커버되는 제1 섀시 바디, 및 상기 제1 섀시 바디 외의 제2 섀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섀시 바디는,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유입구와 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냉각 유로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냉각 유로를 유동한 공기를 상기 유출구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화된 방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정 수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경량화 및 슬림화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블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예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후방에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리어 섀시가 생략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연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브래킷의 결합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브래킷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예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브래킷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후 방향", "전방", "후방", "좌우 방향", "우측", "좌측", "상하 방향", "상측", "하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X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X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Y 방향을 우방으로 정의하고, -Y 방향을 좌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Z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하고, -Z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분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모니터(Monitor),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휴대용 연산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텔레비전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이 평면인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또는 화면이 곡면인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이 평면에서 곡면으로 가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이 곡면에서 평면으로 가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곡면의 곡률이 가변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작동을 위한 구성들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어 어셈블리(40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팬(500)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실외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00)은 필요에 따라 실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은 프론트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방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0)는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11)는 프론트 커버(110)의 전면 및 후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구(111)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로 보일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0)는 베젤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112)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0)는 사이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부(113)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측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부(113)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부(113)는 베젤부(112)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부(113)는 4개의 변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부(113)에는 후술할 브래킷(300)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부(113)는, 후술할 브래킷(300)의 제1 측(311)이 고정될 수 있는 결합 홈(114)을 형성할 수 있다(도 6, 도 8 및 도 10 참조).
디스플레이 장치(1)는 글라스(glass)(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13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면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글라스(13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실외에 마련되는 경우, 글라스(130)는 비, 눈, 이물질 등이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글라스(13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글라스(130)는 프론트 커버(110)의 개구(111)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130)는 접착 부재(610)에 의해 프론트 커버(1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글라스(130)가 프론트 커버(110)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글라스(130)는 프론트 커버(11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편광 필름(140)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140)은 글라스(13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광을 편광화할 수 있다. 편광 필름(140)은 태양광의 일부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편광 필름(140)을 통과한 광은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편광 필름(140)이 프론트 커버(110)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 필름(140)은 프론트 커버(11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리어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리어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커버(120)는 프론트 커버(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커버(12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커버(120)는 제어 어셈블리(400)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커버(120)는 팬(500)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커버(12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21)는 팬(50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냉각시키도록 마련될 있다.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냉각시키도록 마련될 있다.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어 어셈블리(400)를 냉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커버(120)는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를 유동한 공기는, 유출구(122)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를 냉각시킨 공기는, 유출구(122)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냉각시킨 공기는, 유출구(122)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제어 어셈블리(400)를 냉각시킨 공기는, 유출구(122)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유입구(121)와 유출구(122)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입구(121)와 유출구(12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리어 커버(120)는 커넥터 커버(12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커버(123)는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된 공간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커버(12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커넥터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리어 커버(120)는 결합 홀(124)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커버(120)는, 결합 홀(124)을 통해, 프론트 커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커버(120)의 결합 홀(124)은 후술할 브래킷(300)의 결합 홀(330)과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8 참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실링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150)는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150)는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커버(120)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부재(150)는 하우징(10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부재(150)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글라스(1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편광 필름(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화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브래킷(3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300)은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3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300)은 후술할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방열 프레임(26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은 하우징(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래킷(3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프론트 커버(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브래킷(300)은 리어 커버(120)를 프론트 커버(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브래킷(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방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브래킷(301)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3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방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브래킷(30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3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방 우측에 위치하는 제3 브래킷(303)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3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방 좌측에 위치하는 제4 브래킷(3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래킷(300)은 1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300)의 형상 및 위치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어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어셈블리(4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어셈블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구동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어셈블리(400)는 메인 보드, 파워 보드,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 어셈블리(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어셈블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어셈블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리어 커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어셈블리(400)는 후술할 방열 프레임(260)의 후면(260b)에 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팬(500)을 포함할 수 있다. 팬(500)은 송풍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500)은 유입구(121)를 통해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팬(500)은 유출구(122)를 통해 공기가 하우징(100) 외부로 유출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50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다만, 팬(500)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면,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예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후방에서 도시한 분해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화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하우징(100)의 개구(111)를 통해 화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LED Panel),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OLED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박막 트랜지스터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의 사이에 주입되어 전압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적 성질이 가변하는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후술할 섀시(220)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접착 부재(620)에 의해 섀시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백라이트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3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로 광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3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광원 장치(2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230)은, 광원 장치(231)가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에지형(Edge Type)일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백라이트 유닛(230)은, 광원 장치(231)가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 Type)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광원 장치(231)는 기판(231a)과, 기판(231a)에 실장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231b)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31a)은 광원(231b)이 실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판(231a)은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31a)에는 광원(231b)에 구동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231a)은 후술할 섀시(220)에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원(231b)은 광을 발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31b)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231b)은 기판(231a)에 일렬로 실장될 수 있다.
광원(231b)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231b)은 냉음극 형광 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231b)은 외부 전극 형광 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231b)은 기판(231a)에 칩(Chip)이 실장되고 수지가 충진된 일종의 패키지(Package)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30)은 광원 장치(231)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의 진행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부재는 도광판(Light Guide Panel, LGP)(23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로 광을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광판(232)은 광원 장치(231)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도광판(232)은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광판(232)은 PMMA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232)에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기 위한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 장치(231)은 도광판(232)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232)의 측방으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232)의 후면에 형성된 패턴에서 산란되어 도광판(232)의 전면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반사 시트(233)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233)는 광원(231b)에서 발산되는 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사 시트(233)는 도광판(232)에서 후방으로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학 시트(23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234)는 휘도 향상 등 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234)는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광원 장치(231)에서 발생되는 불규칙한 광을 고르게 확산시킬 수 있다. 확산 시트는, 입사된 광을 고르게 확산시켜 출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324)는 퀀텀 닷 시트(Quantum Dot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퀀텀 닷 시트는, 빛의 파장을 변화시켜 색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퀀텀 닷 시트의 내부에는 광을 내는 수 나노미터 크기의 반도체 결정체인 퀀텀 닷(Quantum Dot)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퀀텀 닷은 청색 광을 받아 그 크기에 따라 가시광선의 모든 색을 발생시킬 수 있다. 퀀텀 닷의 크기가 작을수록 짧은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고 크기가 클수록 긴 파장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234)는 프리즘 시트(Prism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광을 집중시켜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324)는 보호 시트(Protection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시트는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 유입으로부터 다른 광학 시트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324)는 반사 편광 시트(DBEF,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편광 시트는 일 편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편광은 반사하여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학 시트(234)는 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시트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학 시트(32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광학 시트(324a, 324b, 324c)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 시트(324)는 1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백라이트 유닛(230)을 포함하는 수광(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Non-Emissive Display Apparatus)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Emissive Display Apparatus)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230)은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섀시(chassi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섀시(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섀시(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섀시(220)는 백라이트 유닛(23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섀시(220)는 백라이트 유닛(23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섀시(220)는 백라이트 유닛(230)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섀시(220)는 프론트 섀시(221), 리어 섀시(223) 및 미들 몰드(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섀시(221), 리어 섀시(223) 및 미들 몰드(222)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프론트 섀시(221), 리어 섀시(223) 및 미들 몰드(222) 중 일부는 단일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섀시(223)는 백라이트 유닛(23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섀시(223)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섀시(223)는 백라이트 유닛(230)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30)이 생략되는 경우, 리어 섀시(223)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섀시(223)는 대략 테두리가 전방으로 절곡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어 섀시(223)는 광원 장치(231) 등의 발열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섀시(223)는 알루미늄, SUS 등의 각종 금속 재질, 또는 ABS 등의 플라스틱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섀시(223)는 전면(223a) 및 후면(223b)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홀(223c)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케이블(C)은 리어 섀시(223)의 케이블 홀(223c)을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섀시(221)는 리어 섀시(223)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섀시(221)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섀시(221)는 백라이트 유닛(230)의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210)로 제공되도록 개구를 갖는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들 몰드(222)는 프론트 섀시(221)와 리어 섀시(223)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섀시(223)와 프론트 섀시(221)의 사이에 백라이트 유닛(230)이 수용될 수 있다.
미들 몰드(222)는 광학 시트(234)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미들 몰드(222)는 광학 시트(234)와 광원 장치(23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미들 몰드(222)는 프론트 섀시(221)와 리어 섀시(223)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몰드(222)는 개구를 갖는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히트 싱크(heat sink)(24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240)는 백라이트 유닛(2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히트 싱크(240)는 광원 장치(23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240)는 방열성이 좋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24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240)는 흑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240)는 섀시(2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240)는 반사 시트(233)와 리어 섀시(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240)는 리어 섀시(223)의 전면(223a)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히트 싱크(240)는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트 싱크(240)는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트 싱크(240)는 대략 L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트 싱크(240)는 방열을 위해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방열 프레임(26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제어 어셈블리(400)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하우징(100) 내부 온도를 낮추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열교환 공간(270)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방열 프레임(260)은 섀시(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섀시(220)와 제어 어셈블리(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리어 섀시(223)와 제어 어셈블리(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리어 섀시(223)와 리어 커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섀시(2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섀시(220)의 후면에 고정되어 섀시(22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은 리어 섀시(223)의 후면(223b)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은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 프레임(260)은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제작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은 대략 테두리가 전방으로 절곡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섀시(220)로부터 이격된 바디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바디부(26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방열 프레임(260)은 유입구(121)와 대응되는 제1 개구(2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263)는 방열 프레임(260)의 전면(260a)과 후면(260b)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500)은 제1 개구(26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개구(263)는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열교환 공간(270)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개구(263)는 유입 개구(263)로 지칭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유출구(122)와 대응되는 제2 개구(2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264)는 방열 프레임(260)의 전면(260a)과 후면(260b)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개구(264)는 열교환 공간(270)을 유동한 공기를 유출구(122)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개구(264)는 유출 개구(264)로 지칭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홀더부(2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어셈블리(400)는 홀더부(267)에 거치될 수 있다. 제어 어셈블리(400)는 홀더부(267)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67)는 방열 프레임(260)의 후면(260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커넥터 수용부(26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수용부(268)는 커넥터(미도시)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부(268)는 리어 커버(1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부(268)는 리어 커버(120)의 커넥터 커버(123)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부(268)는 커넥터 커버(123)를 통해 진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제2 실링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50)는 섀시(220)와 방열 프레임(260)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50)는 섀시(220)와 방열 프레임(260)의 고정부(262)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50)는 섀시(220)의 리어 섀시(223)와 방열 프레임(260)의 고정부(262)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링 부재(250)는 고정부(262)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링 부재(250)는 방열 프레임(26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링 부재(250)는 방열 프레임(260)의 고정부(262)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링 부재(250)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케이블(C)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케이블(C)은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제어 어셈블리(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C)은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제어 어셈블리(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C)은 백라이트 유닛(230)과 제어 어셈블리(4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방열 프레임(260)은 열교환 공간(270)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실외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으로 입사된 태양광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23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광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열체로 작용하여 하우징(100) 내부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어셈블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구동 제어하는 과정에서 열을 방출하여 하우징(100) 내부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예들에 기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열화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열교환 공간(270)을 형성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리어 섀시(223)에 결합됨에 따라 열교환 공간(270)을 형성할 수 있다. 열교환 공간(270)은 리어 섀시(223)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 공간(270)은 리어 섀시(223)와 방열 프레임(26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열교환 공간(270)은 제어 어셈블리(400)와 구획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열교환 공간(270)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열교환 공간(270)을 유동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열교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열교환 공간(270)을 유동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냉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열교환 공간(270)을 유동하면서 제어 어셈블리(400)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열교환 공간(270)을 유동하면서 제어 어셈블리(400)를 냉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공기의 유동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 온도는 낮아질 수 있다. 열교환 공간(270)은 냉각 유로(270)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500)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는 유입구(121)와 제1 개구(263)를 통과하여 열교환 공간(27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 공간(270)을 유동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200) 및/또는 제어 어셈블리(400)과 열교환한 공기는, 제2 개구(264)와 유출구(122)를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열교환 공간(270)을 유동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200) 및/또는 제어 어셈블리(400)을 냉각시킨 공기는, 제2 개구(264)와 유출구(122)를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공기가 열교환 공간(270)에서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의 유동 방향은, 유입구(121), 유출구(122) 및 팬(50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121)와 유출구(122)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공기는 열교환 공간(270)에서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열교환 공간(270)을 형성하도록, 바디부(261)와 고정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61)는 섀시(22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바디부(261)는 섀시(22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바디부(261)는 리어 섀시(223)의 후면(223b)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고정부(262)는 바디부(261)로부터 연장되어 섀시(22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62)는 바디부(261)로부터 연장되어 섀시(2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62)는 바디부(26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리어 섀시(223)의 후면(223b)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62)는 섀시(220)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262)는 리어 섀시(223)의 후면(223b)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262)는, 열교환 공간(270)에서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열교환 공간(270)을 유동하는 공기는, 제1 개구(263) 및 제2 개구(264)를 제외한 영역으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외부 공기와 디스플레이 장치(1)는 효과적으로 열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62)는 바디부(261)의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62)는 바디부(26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62)는 바디부(261)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62)는 바디부(261)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262)는 실링 부재 장착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265)에는 제2 실링 부재(25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 장착부(265)에는 제2 실링 부재(250)가 삽입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265)는 섀시(22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265)는 섀시(220)의 후면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265)는 리어 섀시(223)의 후면(223b)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265)는 방열 프레임(260)의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 장착부(265)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62)는 제1 연장부(2651)와, 제2 연장부(2652)와, 제1 연장부(2651)와 제2 연장부(2652)를 연결하는 연결부(26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651)는 리어 섀시(223)의 후면(223b)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651)는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장부(2652)는 리어 섀시(223)의 후면(223b)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연장부(2652)는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장부(2652)는 제1 연장부(265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651), 제2 연장부(2652) 및 연결부(2653)는, 실링 부재 장착부(265)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열 구조로서, 외부 공기가 순환하는 열교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련 기술에서는 리어 커버가 디스플레이 모듈과 제어 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였다. 리어 커버는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격되도록 프론트 커버에 결합되었다. 이때, 제어 어셈블리가 리어 커버의 후방으로 노출되므로, 제어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품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또한, 열교환 공간에서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밀폐하기 위해, 다수의 브래킷 부품 및 추가 작업(예를 들어, 용접, 코킹 등)이 필요하였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과 리어 커버 사이에, 격벽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격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실링 부재 및 실링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실링 부재용 브래킷이 필요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리어 커버 및 격벽의 이음새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추가적인 실링 작업이 필요하였다.
이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되는 방열 프레임(260)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방열 프레임(260)은, 섀시(220)와 제어 어셈블리(400) 사이에서 열교환 공간(270)을 형성하도록, 섀시(2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리어 커버(12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제어 어셈블리(400)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프론트 커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어셈블리(400)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 부품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방열 프레임(260)의 고정부(262)는, 섀시(220)의 후면에 고정되어, 공기의 유출입 부분을 제외한 열교환 공간(270)을 밀폐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격벽이 불필요하게 된다. 즉, 다수의 브래킷 부품 및 추가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제작하기 위한 부품 수 및 공정 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체적으로 슬림화 및 경량화 가능하다.
한편, 관련 기술에서,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는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는 바, 제한적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리어 커버가 열교환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추가 브래킷 부품 및/또는 추가 작업 등이 필요했다. 이에 비하여, 본 개시에서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방열 프레임(260)은 사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보다 복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은 열교환 공간(270)을 형성하면서 섀시(220)의 후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은 바디부(261)와 고정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열 프레임(260)의 형상만으로, 열교환 공간(270)에서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밀폐할 수 있는 바, 추가 브래킷 부품 및/또는 추가 작업 등이 생략될 수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생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리어 섀시가 생략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연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방열 프레임(260)의 크기는 섀시(22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섀시(220)의 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섀시(220)의 방열 프레임(26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부분은, 방열 프레임(26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섀시(220)는 방열 프레임(260)에 의해 커버되도록 마련되는 제1 섀시 바디(22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섀시 바디(2231)는 리어 섀시(223)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섀시(220)는 방열 프레임(260)에 의해 커버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2 섀시 바디(2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섀시 바디(2232)는 방열 프레임(260)의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섀시 바디(2232)는 섀시(220) 중 제1 섀시 바디(2231) 외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섀시 바디(2232)는 리어 섀시(223)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섀시(220)를 통과하여 제어 어셈블리(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제2 섀시 바디(2232)를 통과하여 제어 어셈블리(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C)은 제2 섀시 바디(2232)에 형성된 케이블 홀(223c)을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C)은 방열 프레임(260)과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섀시(220)와 리어 커버(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S1)은, 섀시(220)와 리어 커버(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S2)과 연통 가능하다. 제2 공간(S2)에는 제어 어셈블리(40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케이블(C)은 제1 공간(S1)을 통과하여 제2 공간(S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2 공간(S2)으로 진입한 케이블(C)은 제어 어셈블리(400)에 연결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리어 커버는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 전체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었다. 또한, 리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제어 어셈블리를 구획하도록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시 리어 커버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덮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케이블을 리어 커버에 형성된 홀로 빼내는 작업이 필요했다. 즉, 케이블 연결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외 리어 커버에 별도의 케이블 홀을 형성해야 하는 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했다.
이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케이블(C)은 제어 어셈블리(400)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도 3 참조).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제어 어셈블리(400)를 구획하는 별도의 커버가 없는 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케이블(C)을 별도의 커버에 형성된 홀로 빼내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시,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케이블(C)은 제어 어셈블리(400)에 다른 구성과의 간섭 없이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 장치(1)의 케이블 연결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00) 외 부품에 별도로 케이블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브래킷의 결합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브래킷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예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브래킷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1 브래킷(301)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브래킷(301)의 결합 구조는, 제2 브래킷(302), 제3 브래킷(303) 및 제4 브래킷(304)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브래킷(3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은 섀시(220)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은 제2 섀시 바디(2232)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은 제2 섀시 바디(2232)와 리어 커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은 하우징(100)의 사이드부(113)와 방열 프레임(260)의 바디부(26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브래킷(3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브래킷 바디(3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바디(3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래킷(300)은 사이드부(113)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래킷 바디(310)는 사이드부(113)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래킷(301)과 제2 브래킷(30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브래킷(303)과 제4 브래킷(30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래킷(300)은 하우징(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래킷(300)은 프론트 커버(110)와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래킷(300)은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커버(120)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30)은 결합 홀(34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홀(340)은 브래킷 바디(3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30)이 프론트 커버(110)와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리어 커버(12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방을 커버하면서 브래킷(3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30)의 결합 홀(340)과 리어 커버(120)의 결합 홀(124)은 체결 부재(700)에 의해 상호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의 제1 측(311)은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의 제1 측(311)은 사이드부(113)의 결합 홈(114)에 삽입될 수 있다. 브래킷(300)의 제1 측(311)은 사이드부(113)와 인접한 측일 수 있다. 브래킷(300)의 제1 측(311)은 후술할 제2 측(312)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외측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래킷(301)의 제1 측(311)은 상측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래킷(302)의 제1 측(311)은 하측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브래킷(303)의 제1 측(311)은 우측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브래킷(304)의 제1 측(311)은 좌측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의 제2 측(312)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의 제2 측(312)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방열 프레임(2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300)의 제2 측(312)은 제1 측(311)의 반대 측일 수 있다. 브래킷(300)의 제2 측(312)은 제1 측(31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내측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래킷(301)의 제2 측(312)은 하측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래킷(302)의 제2 측(312)은 상측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브래킷(303)의 제2 측(312)은 좌측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브래킷(303)의 제2 측(311)은 우측을 향할 수 있다.
브래킷(300)은 방열 프레임(26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브래킷(300)은 방열 프레임(2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은 방열 프레임(260)의 후면(260b)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방열 프레임(260)은 방열 프레임(260)의 후면(260b)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300)은 제1 결합부(266)에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의 제1 결합부(266)는, 걸림 돌기(266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2661)는 방열 프레임(26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 돌기(266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 돌기(2661)는 상측으로 소정 부분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 돌기(2661)는 후술할 걸림 홈(231)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의 제2 결합부(320)는, 걸림 홈(321)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홈(321)은 걸림 돌기(2661)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 홈(321)은 걸림 돌기(2661)가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열 프레임(260)이 걸림 홈을 포함하고, 브래킷(300)이 걸림 돌기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의 제1 결합부(266)는, 수용 홈(266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홈(2662)은 방열 프레임(260)의 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수용 홈(2662)은 브래킷(300)을 향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의 제2 결합부(320)는, 돌출 리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리브(322)는 수용 홈(2662)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 리브(322)는 수용 홈(2662)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 리브(322)는 방열 프레임(26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 리브(322)는 수용 홈(2662)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열 프레임(260)이 돌출 리브를 포함하고, 브래킷(300)이 수용 홈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은, 가이드 돌기(266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663)는 방열 프레임(26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00)은 가이드 홀(32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홀(323)은 가이드 돌기(2663)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663)는 가이드 홀(323)에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663)는 가이드 홀(323)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663)가 가이드 홀(323)에 삽입됨에 따라, 브래킷(300)은 방열 프레임(26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663)가 가이드 홀(323)에 삽입됨에 따라, 브래킷(300)은 방열 프레임(260)에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2663)가 가이드 홀(323)에 삽입된 상태에서, 방열 프레임(260)의 제1 결합부(266)와 브래킷(300)의 제2 결합부(320)를 정렬시킬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열 프레임(260)이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브래킷(300)이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관련 기술에서,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기 위해 브래킷이 마련되었다. 다만, 브래킷을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체결 부품 등이 필요하였다. 예를 들어, 브래킷을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브래킷 패널이 필요하였다.
이에 비하여, 브래킷(3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의 제1 결합부(266)과 브래킷(300)의 제2 결합부(320)는 별도의 체결 부품 없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프레임(260)의 가이드 돌기(2663)와 브래킷(300)의 가이드 홀(323)이 대응됨에 따라, 브래킷(300)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르면, 브래킷 결합 작업 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브래킷 결합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0: 하우징
200: 디스플레이 모듈
210: 디스플레이 패널
220: 섀시
260: 방열 프레임
300: 브래킷

Claims (20)

  1. 유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는 섀시(chassis); 및
    상기 섀시와 상기 제어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 프레임으로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동 가능한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섀시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방열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와 상기 방열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실링 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섀시의 후면을 향해 개방되는 실링 부재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섀시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방열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도록 마련되는 제1 섀시 바디; 및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 섀시 바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섀시 바디를 통과하여 상기 제어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도록, 상기 방열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1 결합부에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 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방열 프레임의 전방으로 함몰되는 수용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방열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리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브래킷은 상기 방열 프레임에 거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보호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 및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섀시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은, 상기 방열 프레임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과 연통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프레임은 사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 어셈블리;
    상기 개구를 통해 화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어 어셈블리에 의해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섀시;
    상기 제어 어셈블리와 구획되는 냉각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섀시의 후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방열 프레임; 및
    상기 방열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면에 후크 결합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와 상기 방열 프레임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섀시의 후면과 이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섀시의 후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실링 부재가 장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사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방열 프레임의 상기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부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방열 프레임의 의해 커버되는 제1 섀시 바디; 및
    상기 제1 섀시 바디 외의 제2 섀시 바디로서, 상기 방열 프레임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제2 섀시 바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유입구와 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프레임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냉각 유로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유입 개구와, 상기 냉각 유로를 유동한 공기를 상기 유출구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유출 개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106278A 2022-08-24 2022-08-24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28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278A KR20240028141A (ko) 2022-08-24 2022-08-24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3/008608 WO2024043471A1 (ko) 2022-08-24 2023-06-2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278A KR20240028141A (ko) 2022-08-24 2022-08-2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141A true KR20240028141A (ko) 2024-03-05

Family

ID=9001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278A KR20240028141A (ko) 2022-08-24 2022-08-2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8141A (ko)
WO (1) WO20240434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2220B2 (ja) * 2008-09-30 2013-06-05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2099255B1 (ko) * 2014-05-07 2020-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483238B1 (ko) * 2016-08-01 2022-12-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175297B1 (ko) * 2018-10-23 2020-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210156459A (ko) * 2020-06-18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471A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494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447958B2 (en) Display device
KR101377005B1 (ko) 탑 샤시,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US8197113B2 (en) Display device
US11435611B2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middle mold frame having a reflector provided with a curved reflective surface
US10649255B2 (en) Display apparatus
KR2010007829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80063689A (ko) 실외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076290A (ko) 액정표시장치
US2012028735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860032B1 (ko) 액정표시장치
US9354384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heat dissipation member having a stand-up portion projecting toward a display panel and television device
KR10124508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US12072562B2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cover that includes a cover sheet and a cover frame configured to couple the cover sheet to a display module
US11287681B2 (en) Backlight and display apparatus
KR101871849B1 (ko) 액정표시장치
JP6529354B2 (ja) 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2400281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980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가지는 액정 표시 모듈
US11320875B2 (en) Display device
US20150138447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20150069145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6787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54440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60044137A (ko) 광원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