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210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210A
KR20180083210A KR1020170005538A KR20170005538A KR20180083210A KR 20180083210 A KR20180083210 A KR 20180083210A KR 1020170005538 A KR1020170005538 A KR 1020170005538A KR 20170005538 A KR20170005538 A KR 20170005538A KR 20180083210 A KR20180083210 A KR 20180083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display module
main fram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박정규
한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3210A/ko
Priority to EP18150539.7A priority patent/EP3349056B1/en
Priority to US15/870,615 priority patent/US10568217B2/en
Priority to CN201810029731.7A priority patent/CN108303814B/zh
Publication of KR2018008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01L51/529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02F2001/13331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6Airflow channels, e.g. constructional arrangements facilitating the flow of air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전방 공간과 상기 후방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전방 공간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디스플레이 모듈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후방 공간을 연결하는 유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적인 방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외기와 접촉시켜 방열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외기가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내기를 순환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을 방열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내기와 외기가 서로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방열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지 또는 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구성 또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발열을 개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전방 공간과 상기 후방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전방 공간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디스플레이 모듈;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후방 공간을 연결하는 유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후방 공간에 위치하는 제1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후방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메인 프레임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팬이 체결되는 제1 마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마운터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후방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실링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은, 상기 실링 프레임에 둘러싸이고 상기 개구부와 마주보는 열교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실링 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열교환 영역에 체결되는 팸 너트 그리고 상기 팸 너트 둘레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면에 접촉하고, 상기 열교환 영역 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전열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측 또는 하측과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후방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제2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으로서, 상기 후방 공간을 중간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인 프레임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글래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은 상기 중간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공간과 상기 중간 공간을 연결하는 제1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중간 공간을 연결하는 제4 홀과 제5 홀,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4 홀을 연결하는 제1 덕트, 상기 제2 홀과 상기 제5 홀을 연결하는 제2 덕트 그리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보다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공간과 상기 중간 공간을 연결하는 제3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중간 공간을 연결하는 제6 홀,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6 홀을 연결하는 제3 덕트, 상기 제3 덕트를 통과하고 상기 파워 서플라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연결하는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적인 방열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과 외기의 효과적인 열교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구성 또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방열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opposite)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태양광과 같은 외부 열원으로부터 가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방열구조가 필요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론트 커버(105),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그리고 모듈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의 중앙이 비어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상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측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측에 위치하는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는 따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려한 디자인 등의 목적으로, 전면커버는 존재하지 않고 측면커버만 존재하는 경우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in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front substrate) 및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전면 기판에 전달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은, 직하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의 전면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이 프레임의 전면측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경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시트(125, optical sheet)와 광학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25d)가 존재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 및/또는 모듈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 및/또는 모듈 커버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 및/또는 모듈 커버 상에 결합된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 및/또는 모듈 커버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학층(123)은, 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23)의 구체적인 구성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모듈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120) 등의 구성이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모듈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내부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모듈 커버(130)의 적어도 일부는 프론트 커버(105)에 결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레진(resin)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상부에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이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프레임과 결합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직접 안착될 수 있다. 즉,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의 외주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의 가장자리 상부면은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프레임의 가장자리와 제1 가이드 패널(117)의 플랜지(117a)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전면(前面) 측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는 제1 가이드 패널(117)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중 가장자리 영역은 프론트 커버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제1 가이드 패널(117)과 프론트 커버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확산판(129)을 포함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2)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랩(strap)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122)은 어댑터와 광 어셈블리(124)를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2)에는 광 어셈블리(124)와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22)에는,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직경은 기판(122)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즉, 기판(122)의 제2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 어셈블리(124)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 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색 LED는 적색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에 포함된 광원(light source)는, COB(Chip On Board) 타입일 수 있다. COB 타입은, 기판(122)에 광원인 LED 칩을 직접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열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즉, 광 어셈블리(124)의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COB 타입은, 좀더 밝은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COB 타입은, 종래보다 얇고 가볍게 구현될 수 있다.
기판(122)의 전면 측에, 반사시트(126)가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기판(122)의 광 어셈블리(124)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에는, 복수의 통공(1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빛을 전면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시트(126)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반사물질인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기판(122) 상에 증착 및/또는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잉크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열증착법, 증발법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증착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에는, 프린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실크 스크린법을 사용한 코팅층 및/또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위치할 수 있다. 에어 갭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넓게 퍼질 수 있는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어에 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서포터(131)가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 및/또는 반사시트(126) 상에 레진이 증착될 수 있다. 레진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산판(129)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확산판(129)의 전면 측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의 후면은 확산판(129)에 밀착되고, 광학 시트(12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광학 시트(125)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접착 및/또는 밀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제1 내지 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의 기능을 가지며, 제 2, 3 광학 시트(125b, 125c)는 프리즘 시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 시트인 제1 광학시트(125a)와 프리즘 시트인 제2 광학 시트(125b)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내지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장변 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는 비대칭(asymmetric)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 측의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의 결합부(125d)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이 엣지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도광판(128)을 포함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2)은 광학층(123)의 다른 구성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2)은 광학층(123)의 다른 구성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판(122)에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길이방향 폭은 도광판(128)의 두께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광 어셈블리(124)의 방출한 광은 대부분 도광판(128)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광판(128)은 광 어셈블리(124)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광판(128)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넓게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광판(128)은 광 어셈블리(124)와 인접하는 면이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판(128)의 하면은 상부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도광판(128)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도광판(128)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다시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광판(128) 전면에 확산판(129)(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확산판(129)은 도광판(128)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전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도광판(128)과 광학시트(125)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위치할 수 있다. 에어 갭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넓게 퍼질 수 있는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광 어셈블리(124) 및/또는 반사시트(126) 상에 레진이 증착될 수 있다. 레진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도광판(128)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의 후면은 도광판(128)에 밀착되고, 광학 시트(12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도광판(128)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내지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장변 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는 비대칭(asymmetric)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 측의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의 결합부(125d)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링 프레임(14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열이 발생하는 열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내부에 광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열원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태양으로부터 태양열을 흡수하는 열 흡수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온도가 일정 이상의 온도로 높아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표시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적절히 방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의 열원과 열교환할 수 있다. 외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열교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열교환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은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형태의 실링 프레임(140)은 각 변을 이루는 네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체결되는 체결면과 체결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으로 굴곡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은 체결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은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고, 체결부재는 측면이 형성하는 사각형의 바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 후면을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과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과 열교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은 외기와 접촉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는 외기와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은 외기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은 열교환 영역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는 복수의 체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으로 너트 및 볼트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너트 및 볼트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외부로 노출되면, 너트와 볼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와 볼트 사이의 간극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할 수 있다.
또한, 너트 및 볼트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외부로 노출되면, 너트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간극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습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으로 너트 및 볼트가 노출되면, 너트와 볼트 사이의 간극 또는 너트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너트 대신 팸 너트(133)를 적용할 수 있다. 팸 너트(133)는 일단이 막혀있는 형태일 수 있다. 팸 너트(133)는 볼트와 체결되면, 볼트의 일단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너트와 볼트의 간극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실링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너트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너트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너트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물질이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스킷(1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개스킷(150)은 실링 프레임(140)에 결합될 수 있다. 개스킷(150)은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개스킷(150)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150)은 실링 프레임(140)과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과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개스킷(15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프레임 외부의 영역(S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스킷(150)과 실링 프레임(140)은 이중으로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브래킷(160)과 체결될 수 있다. 브래킷(16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브래킷(16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안착 플레이트(280)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안착 플레이트(280)에 안착되면, 브래킷(160)은 안착 플레이트(280)와 체결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실링 프레임(140), 개스킷(150), 또는 브래킷(160) 등과 같이 주변 구성과 결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주변 구성과 결합하는 경우, 모듈 어셈블리라 칭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모듈 어셈블리라 칭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플레이트(211)는 가이드 마운터(212)와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1)의 후면에는 전자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전자부품은 예를 들면, 파워 서플라이 유닛(410), 타이밍 컨트롤 보드(420) 또는 드라이버(430)일 수 있다.
가이드 마운터(212)는 개구부(212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1)는 가이드 마운터(212)와 체결될 수 있고, 가이드 플레이트(211)는 개구부(212a)를 덮을 수 있다. 가이드 마운터(212)는 가이드 플레이트(211)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1)와 가이드 마운터(212)는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터(212)는 연장부(212b)와 가이드벽(21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12b)는 가이드 마운터(21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2b)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벽(212c)은 연장부(212b)의 일단에서 가이드 마운터(212)의 상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터(212)는 제1 가이드 브래킷(223)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브래킷(223)은 가이드 마운터(21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브래킷(223)은 가이드 마운터(212)와 체결되는 결합면, 결합면의 후방으로 이격되는 바닥면(223b), 결합면과 바닥면(223b)을 연결하는 경사면(223c)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223b)은 가이드 마운터(212)의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바닥면(223b)은 가이드 플레이트(211)의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브래킷(223)은 바닥면(223b)과 경사면(223c)에 연결되는 측면(223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브래킷(223)의 측면(223d)은 가이드 마운터(212)의 후면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 마운터(212)는 순환팬 마운터(222)와 체결할 수 있다. 순환팬(221)은 순환팬 마운터(222)에 체결될 수 있다. 순환팬 마운터(222)는 체결판(222a)과 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 마운터(222)는 체결판(222a)의 전방에서 상측으로 굴곡되는 전방 결합판(22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순환팬 마운터(222)는 체결판(222a)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굴곡되는 후방 결합판(222d)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221)은 제2 팬으로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팬 마운터(222)는 제2 팬 마운터로 칭할 수 있다.
체결판(222a)은 가이드 마운터(212)의 가이드벽(212c)과 체결될 수 있다. 체결판(222a)과 가이드벽(212c)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체결판(222a)은 흡입구(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221)은 체결판(222a)에 체결될 수 있다. 순환팬(221)은 흡입구(222b)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221)은 축류팬일 수 있다. 흡입구(222b)는 체결판(222a)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흡입구(222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순환팬(221)은 흡입구(222b)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판(222a)과 가이드 마운터(212)가 체결되면, 흡입구(222b)는 제1 가이드 브래킷(223)의 경사면(223c)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체결판(222a)은 가이드 마운터(212)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체결판(222a)은 가이드 플레이트(21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체결판(222a)은 제1 가이드 브래킷(223)의 바닥면(223b)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1)는 스페이서(211a)와 체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211a)는 가이드 플레이트(21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11a)는 막대 형상일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페이서(211a)는 가이드 플레이트(2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스페이서(211a)는 가이드 마운터(21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230f), 가이드 마운터(212)는 메인 프레임(230)에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전면(230a), 후면(230b), 상면, 하면(230f) 및 측면(253d)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253d)은 좌면과 우면(231i)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메인 프레임(230)은 후면(230b)의 일부가 제거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메인 프레임(230)은 후면(230b)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메인 프레임(230)은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이 형성하는 공간은 제2 내부 공간이라 칭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전면(230a)에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전면(230a) 상부에 형성되는 제4 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홀(231)은 전면(230a)의 일 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순환팬(221)으로부터 토출된 유동은 제4 홀(231)을 통과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전면(230a) 하부에 형성되는 제5 홀(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홀(231)은 전면(230a)의 일 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홀(232)을 통과한 유동은 순환팬(2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전면(230a) 일측에 형성되는 제6 홀(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홀(233)은 전면(230a)의 일 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가이드 플레이트(211)에 체결되는 전자부품을 연결하는 배선은 제6 홀(233)을 통과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후면(230b)은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후면(230d)과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후면(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후면(230c)과 하측 후면(230d)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터(212)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마운터(212)는 메인 프레임(23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터(212)와 메인 프레임(230)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터(212)와 메인 프레임(230)이 체결되면, 스페이서(211a)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스페이서(211a)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가이드 플레이트(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211)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211)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은 적어도 스페이서(211a)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마운터(212)의 가이드 벽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순환팬 마운터(222)의 전방 결합판(222c)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 마운터(222)의 전방 결합판(222c)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체결될 수 있다. 순환팬 마운터(222)의 전방 결합판(222c)과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순환팬 마운터(222)의 후방 결합판(222d)은 메인 프레임(230)의 후면(230b)과 체결될 수 있다. 순환팬 마운터(222)의 후방 결합판(222d)은 메인 프레임(230)의 상측 후면(230c)과 체결될 수 있다. 순환팬 마운터(222)의 후방 결합판(222d)과 메인 프레임(230)의 상측 후면(230c)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순환팬 마운터(222)와 메인 프레임(230)이 체결되면, 순환팬 마운터(222)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 측면(253d) 및 상측 후면(230c)은 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순환팬 마운터(222)의 하부에서 유입된 유동은 순환팬(221)을 통해 순환팬 마운터(222)와 메인 프레임(230)이 형성하는 공간(S3)을 통해 제1 순환 덕트(271)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브래킷(253)은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브래킷(253)은 메인 프레임(230)과 체결되는 상측 결합면(253a)과, 토출팬 마운터(252)와 체결되는 하측 결합면(253b)과, 상측 결합면(253a)과 하측 결합면(253b)을 연결하는 경사면(25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브래킷(253)의 상측 결합면(253a)과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토출팬 마운터(252)는 제2 가이드 브래킷(253)과 체결될 수 있다. 토출팬 마운터(252)와 제2 가이드 브래킷(253)의 하측 결합면(253b)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토출팬 마운터(252)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토출팬 마운터(252)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토출팬 마운터(252)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토출팬 마운터(252)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팬(251)은 토출팬 마운터(252)에 체결될 수 있다. 토출팬(251)은 토출구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팬(251)은 축류팬일 수 있다.
토출팬(251)은 제1 팬으로 칭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팬 마운터(252)는 제1 마운터로 칭할 수 있다.
토출구는 토출팬 마운터(252)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토출구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팬(251)은 토출구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브래킷(253)과 토출팬 마운터(252)가 체결되면, 토출구는 제2 가이드 브래킷(253)의 경사면(253c)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260)는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260)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체결부(260)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체결부(260)와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260)와 메인 프레임(230)이 체결되면, 체결부(260)의 전면과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은 상호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부(26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60)는 좌측 체결부와 우측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체결부와 우측 체결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체결부의 좌면과 메인 프레임의 좌면은 상호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우측 체결부의 우면과 메인 프레임(230)의 우면(230i)은 상호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팬 마운터(252)는 좌측 체결부와 우측 체결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가이드 브래킷(253)은 좌측 체결부와 우측 체결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하우징(310, 도 18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230)은 하우징(310)에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31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토출팬 마운터(252) 및 제2 가이드 브래킷(253)은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과 하우징(310)의 하면(3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60)는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과 하우징(310)의 하면(3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260)는 상면이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60)의 하면은 하우징(310)의 하면(310b)에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체결부(260)를 통해 하우징(31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순환 덕트(271)는 메인 프레임(230)의 제4 홀(2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순환 덕트(27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순환 덕트(271)는 제4 홀(231)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순환팬(221)으로부터 토출된 유동은 제1 순환 덕트(271)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제1 순환 덕트(271)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순환 덕트(271)는 유로부(271a)와 유로부(271a)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부(271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스부(271b)는 메인 프레임(230)과 안착 플레이트(28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2 순환 덕트(272)는 메인 프레임(230)의 제5 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는 제5 홀(232)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순환팬(221)으로 유입되는 유동은 제2 순환 덕트(27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는 홀(272d)이 형성된 후면(272a)과 홀(272d) 주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유로부(27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의 후면(272a)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체결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의 후면(272a)과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제2 순환 덕트(272)의 후면(272a)은 체결부(260)의 전면과 체결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의 후면(272a)은 체결부(260)의 전면과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제2 순환 덕트(272)의 후면(272a)의 일부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체결될 수 있고, 제2 순환 덕트(272)의 후면(272a)의 나머지는 체결부(260)의 전면과 체결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의 홀(272d)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5 홀(232)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의 홀(272d)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5 홀(23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는 유로부(271b)의 전단에 형성되는 플랜지(27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72c)는 안착 플레이트(280)와 체결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의 플랜지(272c)와 안착 플레이트(280)는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는 메인 프레임(230)과 안착 플레이트(28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배선 덕트(273)는 메인 프레임(230)의 제6 홀(233)에 연결될 수 있다. 배선 덕트(273)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 덕트(273)는 제6 홀(233)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가이드 플레이트(211)에 체결되는 전자부품을 연결하는 배선은 배선 덕트(273)를 통과할 수 있다. 배선 덕트(273)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선 덕트(273)는 유로부(273a)와 유로부(273a)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부(273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스부(273b)는 메인 프레임(230)과 안착 플레이트(28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순환 덕트(271)은 제1 덕트로 칭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는 제2 덕트로 칭할 수 있다. 배선 덕트(273)은 제3 덕트로 칭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안착 플레이트(280)는 메인 프레임(230)에 체결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은 플레이트라 칭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는 안착면(280a), 상면(280b), 하면(280c) 및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은 좌면(280d)과 우면(280e)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상면(280b)은 안착면(280a)의 상부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하면(280c)은 안착면(280a)의 하부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좌면(280d)은 안착면(280a)의 좌측부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우면(280e)은 안착면(280a)의 우측부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 상면(280b), 하면(280c), 및 측면은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안착 플레이트(28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는 하우징(31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방열홀(281)은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을 연결 또는 연통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내부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이 제공하는 내부 공간은 제2 내부 공간으로 칭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후방 공간을 중간 공간과 제2 내부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순환 덕트(271)의 스페이스부(271b)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과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과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과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은 제1 순환 덕트(271)의 스페이스부(271b)의 z방향으로의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과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은 제2 순환 덕트(272)의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는 안착면(280a)에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는 안착면(280a) 상부에 형성되는 제1 홀(28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282)은 안착면(280a)의 일 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282)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4 홀(231)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282)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4 홀(231)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순환 덕트(271)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282)에 연결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282)은 제1 순환 덕트(271)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순환 덕트(271)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282)과 메인 프레임(230)의 제4 홀(231)을 연결할 수 있다. 순환팬(221)으로부터 토출된 유동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4 홀(231)과 제1 순환 덕트(271)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282)을 통과할 수 있다. 순환팬(221)으로부터 토출된 유동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의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는 안착면(280a)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홀(283)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2 홀(283)은 안착면(280a)의 일 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2 홀(283)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5 홀(232)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2 홀(283)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5 홀(232)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2 홀(283)에 연결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2 홀(283)은 제2 순환 덕트(272)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순환 덕트(272)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2 홀(283)과 메인 프레임(230)의 제5 홀(232)을 연결할 수 있다. 순환팬(221)으로 유입되는 유동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5 홀(232)과 제2 순환 덕트(272)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2 홀(283)을 통과할 수 있다. 순환팬(221)으로 유입되는 유동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의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는 안착면(280a) 일측에 형성되는 제3 홀(284)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3 홀(284)은 안착면(280a)의 일 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3 홀(284)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6 홀(233)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3 홀(284)은 메인 프레임(230)의 제6 홀(233)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 덕트(273)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3 홀(284)에 연결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3 홀(284)은 배선 덕트(273)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 덕트(273)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3 홀(284)과 메인 프레임(230)의 제6 홀(233)을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가이드 플레이트(211)에 체결되는 전자부품을 연결하는 배선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3 홀(284)과 배선 덕트(273)와 메인 프레임(230)의 제6 홀(233)을 통과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는 안착면(280a)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는 방열홀(281)이라 칭할 수 있다. 방열홀(281)은 안착면(280a)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방열홀(281)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방열홀(281)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2 홀(283)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방열홀(281)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3 홀(284)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방열홀(281)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과 제2 홀(28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가이드 플레이트(211), 가이드 마운터(212), 안착 플레이트(280), 순환팬(221) 또는 토출팬(251)과 같이 주변 구성과 결합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이 주변 구성과 결합하는 경우, 메인 프레임 어셈블리라 칭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안착 플레이트(280)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메인 프레임 어셈블리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모듈 어셈블리는 안착 플레이트(280)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모듈 어셈블리는 메인 프레임 어셈블리에 체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안착 플레이트(280)에 체결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은 안착면(280a)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은 안착 플레이트(280)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28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2 홀(283)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3 홀(284)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제1 홀(282)과 제2 홀(28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체결된 한 쌍의 브래킷(160)은 안착 플레이트(280)에 체결될 수 있다. 브래킷(160)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에 체결될 수 있다. 브래킷(160)과 안착 플레이트(280)가 체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안착 플레이트(280)가 체결될 수 있다. 브래킷(160)과 안착 플레이트(280)는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종래에는 안착 플레이트(280)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구성하는 부품을 하나씩 체결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조립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조립이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지 또는 보수 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점검하기 위해 모든 구성을 분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래킷(16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 자체를 안착 플레이트(280)에 체결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이 간단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점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00)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지 또는 보수가 간단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방열홀(281)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은 방열홀(281)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방열홀(281)의 넓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의 일부는 방열홀(281)에 삽입될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은 방열홀(281)의 둘레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실링 프레임(140)은 방열홀(281) 주변의 안착면(280a)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 프레임(140)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열 패드(29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와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열 패드(290)는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열 패드(290)는 안착면(280a)의 제2 홀(283)과 방열홀(28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열 패드(29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열 패드(29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하부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열 패드(29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안착면(280a)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열 패드(290)는 열 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310b), 메인 프레임(230)은 하우징(310)에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상면(310a)과 하면(310b) 및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측면은 좌면(310c)과 우면(310d)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상면(310a)에 형성되는 유입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311)는 상면(310a)의 일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유입구(311)는 상면(310a)의 일 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외기는 유입구(311)를 통해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하면(310b)에 형성되는 토출구(31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312)는 하면(310b)의 일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토출구(312)는 상면(310a)의 일 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토출구(312)를 통해 하우징(3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토출구(312)는 토출팬 마운터(252)의 토출구(312)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토출팬(251)이 유입구(311)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토출팬(251)은 유입팬으로 칭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하우징(310)의 후면에 체결되는 아우터 플레이트(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후면은 아우터 플레이트(320)일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320)와 하우징(310)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320)는 하우징(31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320)와 체결된 하우징(310)은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어셈블리는 아우터 플레이트(320)와 하우징(310)이 형성하는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320)는 하우징(310)의 후면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지 또는 보수 시, 서비스 제공자는 아우터 플레이트(320)를 하우징(310)의 후면에서 분리할 수 있다.
모듈 어셈블리와 체결된 메인 프레임 어셈블리는 하우징(310)에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상면(230a)은 하우징(310)의 상면(310a)과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상면(230a)과 하우징(310)의 상면(310a)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은 하우징(310)의 하면(310b)과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과 하우징(310)의 하면(310b)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230)의 측면은 하우징(310)의 측면과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측면과 하우징(310)의 측면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230)의 후면(230b)은 하우징(310)의 후면과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후면(230b)과 하우징(310)의 후면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60)는 하우징(310)의 하면(310b)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260)는 메인 프레임(230)의 하면(230f)과 하우징(310)의 하면(310b)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260)와 하우징(310)의 하면(310b)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토출팬 마운터(252)는 하우징(310)의 하면(310b)에 체결될 수 있다. 토출팬 마운터(252)와 하우징(310)의 하면(310b)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토출팬 마운터(252)와 하우징(310)이 체결되면, 토출팬 마운터(252)의 토출구와 하우징(310)의 토출구(312)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토출팬(251)을 지나 하우징(310)의 토출구(3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글래스(3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에 체결될 수 있다. 글래스(330)는 이너 글래스(332)와 아우터 글래스(3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글래스(332)는 하우징(310)의 전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너 글래스(33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글래스(33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너 글래스(332)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글래스(331)는 하우징(310)의 전면에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 글래스(33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글래스(331)는 이너 글래스(33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글래스(332)는 아우터 글래스(331)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냉각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로는 외기유로와 순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살표 내부에 색칠이 없는 화살표는 외기유로의 유동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화살표 내부에 색칠이 있는 화살표는 순환유로의 유동을 나타낼 수 있다.
외기는 외기유로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토출팬(251)은 외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팬(251)은 외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외기는 하우징(310)의 상면(310a)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디바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320)로부터 하우징(310)에 형성된 유입구까지의 높이는 아우터 플레이트(320)로부터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상면은 하우징(310)의 상면(310a)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플레이트(320)로부터 하우징(310)에 형성된 유입구까지의 높이가 아우터 플레이트(320)로부터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까지의 높이보다 높아야 외기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메인 프레임(230)과 안착 플레이트(280)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과 안착 플레이트(280)는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순환 덕트(271)의 스페이스부(271b)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메인 프레임(230)과 안착 플레이트(280)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는, 배선 덕트(273)의 스페이스부(273b)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메인 프레임(230)과 안착 플레이트(280)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순환 덕트(272)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메인 프레임(230)과 안착 플레이트(280)를 이격시킬 수 있다.
하우징(310)의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메인 프레임(23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는 메인 프레임(230)과 이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메인 프레임(230)과 이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안착 플레이트(280)의 방열홀(281)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은 외기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안착 플레이트(280)의 방열홀(281)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은 외기와 직접 열교환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은 외기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내부의 영역(S1)은 외기와 직접 열교환할 수 있다.
외기는 수분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외기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안착 플레이트(280) 사이로 침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외기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안착 플레이트(280)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실링 프레임(14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체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안착 플레이트(280) 사이로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스킷(150)은 실링 프레임(140)에 결합될 수 있고 실링 프레임(140)과 안착 플레이트(2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개스킷(1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안착 플레이트(280) 사이로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스킷(150)과 실링 프레임(140)은 이중으로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전열 패드(29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과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에 접촉할 수 있다. 전열 패드(29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에서 발생하는 열을 안착 플레이트(280)로 전달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은 외기와 직접 접촉하여 열교환할 수 있고, 전열 패드(290)를 통해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으로 전달된 열은 외기로 전달될 수 있다.
외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 실링 프레임(140) 외부의 영역(S2) 및 안착 플레이트(280)의 안착면(280a)과 열교환 후, 안착 플레이트(280)의 하부와 메인 프레임(230)의 하부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 외기는 제2 가이드 브래킷(253)의 경사면(253c)을 따라 토출팬(251)을 향해 가이드 될 수 있다. 토출팬(251)은 외기를 하우징(310)의 토출구(312)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외기유로는 하우징(310)의 유입구(311), 안착 플레이트(280)와 메인 프레임(230) 사이,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메인 프레임(230) 사이, 제2 가이드 브래킷(253) 및 토출구(3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기유로는 외기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부로 토출되는 개방유로일 수 있다.
순환유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는 내기라 칭할 수 있다. 순환팬(221)은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내기는 순환팬(221)을 통해 제1 순환 덕트(271)로 유입될 수 있다.
내기는 제1 순환 덕트(271)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측으로 토출된 내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과 이너 글래스(332) 사이를 유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이너 글래스(332)는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내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내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과 직접 열교환할 수 있다. 내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내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하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내기는 제2 순환 덕트(272)로 유입될 수 있다.
내기는 제2 순환 덕트(272)를 통해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가이드 플레이트(211) 사이로 토출될 수 있다. 또는, 내기는 제2 순환 덕트(272)를 통해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가이드 마운터(212) 사이로 토출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1)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11a)는 가이드 플레이트(211)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플레이트(211)와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을 이격시킬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마운터(212)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내기는 가이드 플레이트(211) 또는 가이드 마운터(21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내기는 제1 가이드 브래킷(223)의 경사면(223c)을 따라 순환팬(221)을 향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순환유로는 메인 프레임(230), 가이드 플레이트(211), 가이드 마운터(212), 제1 순환 덕트(271), 안착 플레이트(280), 디스플레이 모듈(100), 이너 글래스(332) 및 제2 순환 덕트(27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는 내기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를 순환하는 폐쇄유로일 수 있다.
내기는 외기유로로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외기는 순환유로로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외기유로와 순환유로는 서로 구별되는 독립적인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순환유로와 외기유로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외기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의 전방에서 유동될 수 있고, 내기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의 후방에서 유동될 수 있다. 외기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될 수 있고, 내기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외기와 내기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을 사이에 두고 대향류(counterflow)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외기와 내기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면(230a)을 사이에 두고 상호 열교환 할 수 있다. 순환유로를 유동하는 내기의 온도가 높아지고, 외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외기는 내기와 대향류로 유동하여 내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전방 공간과 상기 후방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전방 공간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디스플레이 모듈;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후방 공간을 연결하는 유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공간에 위치하는 제1 팬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메인 프레임;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팬이 체결되는 제1 마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마운터와 마주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실링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은,
    상기 실링 프레임에 둘러싸이고 상기 개구부와 마주보는 열교환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열교환 영역에 체결되는 팸 너트; 그리고
    상기 팸 너트 둘레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면에 접촉하고, 상기 열교환 영역 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전열 패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측 또는 하측과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제2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으로서, 상기 후방 공간을 중간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인 프레임;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글래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은 상기 중간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공간과 상기 중간 공간을 연결하는 제1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중간 공간을 연결하는 제4 홀과 제5 홀;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4 홀을 연결하는 제1 덕트;
    상기 제2 홀과 상기 제5 홀을 연결하는 제2 덕트; 그리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보다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 사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공간과 상기 중간 공간을 연결하는 제3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중간 공간을 연결하는 제6 홀;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6 홀을 연결하는 제3 덕트;
    상기 제3 덕트를 통과하고 상기 파워 서플라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연결하는 배선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70005538A 2017-01-12 2017-01-1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83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538A KR20180083210A (ko) 2017-01-12 2017-01-1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18150539.7A EP3349056B1 (en) 2017-01-12 2018-01-08 Display device
US15/870,615 US10568217B2 (en) 2017-01-12 2018-01-12 Display device
CN201810029731.7A CN108303814B (zh) 2017-01-12 2018-01-1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538A KR20180083210A (ko) 2017-01-12 2017-01-1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210A true KR20180083210A (ko) 2018-07-20

Family

ID=6097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538A KR20180083210A (ko) 2017-01-12 2017-01-1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68217B2 (ko)
EP (1) EP3349056B1 (ko)
KR (1) KR20180083210A (ko)
CN (1) CN108303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4302B2 (en) 2008-03-03 2014-02-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an electronic display
CN108496215B (zh) * 2016-02-09 2021-04-09 索尼公司 显示装置
JP6613284B2 (ja) * 2017-10-31 2019-11-2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ファンユニット
US11439037B2 (en) * 2018-05-22 2022-09-06 Intel Corporation Jet vectoring fluid impingement cooling using pivoting nozzles
KR20200092698A (ko) * 2019-01-25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096317B2 (en) * 2019-02-26 2021-08-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loopback cooling
KR20210120615A (ko) * 2020-03-27 202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778757B2 (en) 2020-10-23 2023-10-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corpo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966263B2 (en)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for providing compressive forces at electronic display layers
US11968813B2 (en) 2021-11-23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divided interior spa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2721A (en) * 1966-08-22 1969-01-21 John L Yonkers Self-aligning and sealing member
US4771277A (en) * 1986-05-02 1988-09-13 Barbee Peter F Modular touch sensitive data input device
JPH10106342A (ja) * 1996-09-30 1998-04-24 Sony Corp 面光源装置
KR100669797B1 (ko) * 2004-12-01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9598B1 (ko) * 2004-12-29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의 방열구조
US7385819B1 (en) * 2005-06-27 2008-06-10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Display device
JP4516582B2 (ja) * 2007-05-15 2010-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1435801B1 (ko) * 2007-08-30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8854595B2 (en) * 2008-03-03 2014-10-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nstricted convection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CN101587260B (zh) * 2008-05-21 2014-05-14 三星电子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US8953307B2 (en) * 2008-10-20 2015-02-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12018481A1 (en) * 2010-07-09 2012-02-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engaging cooling fans within an electronic display
CN202025163U (zh) * 2011-03-28 2011-11-02 深圳市友炬互动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设备
WO2012157548A1 (ja) * 2011-05-18 2012-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DE102011079216A1 (de) * 2011-07-15 2013-01-17 Robert Bosch Gmbh Träger für ein Displaymodul und Anzeigevorrichtung mit einem derartigen Träger
JP5878087B2 (ja) * 2012-06-22 2016-03-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9114598B2 (en) * 2013-04-16 2015-08-2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laminating polarization film
KR102120763B1 (ko) * 2013-05-09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CN204114749U (zh) * 2014-11-12 2015-01-21 马秋平 一种背光源
JP2016128875A (ja) * 2015-01-09 2016-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70005538A (ko) 2015-07-06 2017-01-16 주식회사 팍스디스크 항공기 전자장비용 대용량 ssd
CN105206644A (zh) * 2015-08-28 2015-12-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组件和显示装置
KR102236771B1 (ko) * 2016-12-02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99450A1 (en) 2018-07-12
EP3349056B1 (en) 2021-06-16
US10568217B2 (en) 2020-02-18
CN108303814B (zh) 2022-03-29
CN108303814A (zh) 2018-07-20
EP3349056A1 (en)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9056B1 (en) Display device
US9335579B2 (en) Display device
US8456592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8827478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789959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20120287355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EP2508790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108098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EP236704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200786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30148035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WO2011089778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20099050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CN102472438B (zh)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机
US9303856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20130271691A1 (en) Backlight Module and LCD Device
EP3819943A1 (en) Display device
WO2021088154A1 (zh) 显示装置
KR2019009624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1587260A (zh) 液晶显示装置
KR20060095361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70108712A (ko) 백라이트 유닛
WO201104314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040082132A (ko) 백라이트 장치
KR101177572B1 (ko)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액정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