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462A - 와이어링 그로멧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그로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462A
KR20210120462A KR1020200037197A KR20200037197A KR20210120462A KR 20210120462 A KR20210120462 A KR 20210120462A KR 1020200037197 A KR1020200037197 A KR 1020200037197A KR 20200037197 A KR20200037197 A KR 20200037197A KR 20210120462 A KR20210120462 A KR 20210120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ing
circumferential surface
grommet
wire bundle
wiring grom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주
최남휘
주홍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462A/ko
Publication of KR20210120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링 그로멧에 관한 것으로, 그로멧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서 와이어링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링 그로멧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링 그로멧 {Wiring grommet}
본 발명은 와이어링 그로멧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분 유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서 와이어링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링 그로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자 계통을 위한 와이어링이 적용되고 있으며, 차체 패널에 형성된 패싱홀에 와이어 번들을 통과시킬 때 와이어 번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수분 및 노이즈가 상기 패싱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링 그로멧이 적용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와이어링 그로멧(1)은, 와이어 번들(2)이 차체 패널(3)에 형성된 패싱홀을 통과하도록 배선되는 경우, 와이어 번들(2)에 조립된 상태로 차체 패널(3)에 장착되어 상기 패싱홀을 덮어주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와이어링 그로멧은 차체 패널에 장착된 상태로 차체 패널의 패싱홀을 덮어주도록 구성됨에 따라 커넥터가 노출되어 배선되는 와이어 번들에 적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커넥터가 노출되어 배선되는 와이어 번들의 경우, 차량의 썬팅시나 세차시와 같이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 상황에서 수분 유입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커넥터에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시동 불가 및 전장품 미작동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그로멧에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폰지와 차단패드 등의 외장재를 적용하여 커넥터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스폰지 및 차단패드는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게 되며 그에 따른 그로멧의 2차 품질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 제2012-00482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로멧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서 와이어링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링 그로멧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와이어 번들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면서 오므려질 수 있게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테이핑부와; 상기 테이핑부의 하단에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 번들을 둘러싸게 되는 몸통부;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그로멧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이핑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부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핑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상부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 핀고정홀은 테이핑부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통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하부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하부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하부 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부 핀고정홀은 몸통부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핑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테이핑부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테이핑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테이핑부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장착될 때 상기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리브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외측 둘레면과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한쪽 둘레면에는, 몸통부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한쪽 둘레면에 형성된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는 몸통부의 외측 둘레면과 내측 둘레면이 마주하도록 몸통부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겹쳐짐에 따라 몸통부의 다른 한쪽 둘레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는 몸통부의 축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는 테이핑부의 하단에서 축선방향으로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는 와이어 번들에 장착된 그로멧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링 그로멧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그로멧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와이어링 품질을 증대할 수 있다.
둘째,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외장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공수 절감을 통해 와이어링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또한 원가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테이핑부를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번들에 밀착시켜 조립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링에 범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그로멧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그로멧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그로멧의 고정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그로멧의 테이핑부가 와이어 번들에 장착될 때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그로멧이 와이어 번들에 장착될 때 도 5의 B-B에서 본 몸통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그로멧의 테이핑부에 테이핑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와이어링 그로멧이 와이어 번들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그로멧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링 그로멧(100)은 크게 상측의 테이핑부(110)와 하측의 몸통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이핑부(11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양한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의 일측(즉, 상부 절개부)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와이어 번들의 둘레를 향해 오므려질 수 있다.
좀더 말하면, 테이핑부(110)는 와이어 번들이 테이핑부(11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테이핑부(110)는, 둘레방향의 일측이 벌어진 상태로 와이어 번들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 번들의 외측에서 와이어 번들의 둘레쪽으로 오므려지면서 와이어 번들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쌀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테이핑부(110)는, 그로멧(10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20)는, 테이핑부(1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 번들 및 와이어 번들에 연결된 전기부품을 보호할 수 있으며, 테이핑부(110)와 마찬가지로 둘레방향의 일측(즉, 하부 절개부)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120)는, 그 축선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대되는 원추형의 확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확관 구조로 형성된 경우 몸통부(120)로 떨어지는 수분이 몸통부(120) 아래쪽에 배치된 전기부품(예를 들어, 전기커넥트 등)에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몸통부(120)는, 몸통부(120) 내측의 와이어 번들을 둘러싸서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번들에 연결된 하측의 전기부품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핑부(110)와 몸통부(120)는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EPDM 러버(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보듯이, 상기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테이핑부(110)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부 고정핀(111)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핑부(110)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상부 고정핀(111)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상부 핀고정홀(112)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핀(111)은 와이어 번들의 둘레 사이즈에 따라 복수의 상부 핀고정홀(112) 중 어느 하나의 상부 핀고정홀에 체결될 수 있다. 즉,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에서 매칭되는 위치의 상부 핀고정홀이 선택되어 상부 고정핀(111)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핀(111)은, 상부 핀고정홀(112)에 체결되어서 테이핑부(11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테이핑부(110)의 벌어짐에 의해 테이핑부(11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핀고정홀(112)은 테이핑부(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테이핑부(110)의 재료 및 두께 절감을 위해, 테이핑부(110)에는 상기 상부 핀고정홀(112)이 형성된 상부 홀성형부(1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고정핀(111)이 체결되는 상부 핀고정홀(11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테이핑부(110)를 일정 두께 이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상부 홀성형부(113)를 테이핑부(110)의 소정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상부 홀성형부(113)에 상부 핀고정홀(112)을 형성하게 되면 테이핑부(110)의 일부분(상부 홀성형부)만 상부 핀고정홀(112)의 성형을 위한 일정 두께를 확보하면 되고 그에 따라 테이핑부(110)의 재료 및 두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20)에도 하부 고정핀(121)과 하부 핀고정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20)가 벌어지게 되면 그로멧(10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테이핑부(110)도 영향을 받아 벌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120)의 외측 둘레면에는 하부 고정핀(121)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120)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하부 고정핀(121)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하부 핀고정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고정핀(121)은 테이핑부(110)가 오므려진 정도에 따라 복수의 하부 핀고정홀(122) 중 어느 하나의 하부 핀고정홀에 체결된다. 즉,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정상적으로 감겨 밀착된 상태에서 매칭되는 위치에 있는 하부 핀고정홀이 선택되어 하부 고정핀(121)이 체결된다.
상기 하부 고정핀(121)은, 하부 핀고정홀(122)에 체결되어서 몸통부(12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몸통부(120)의 벌어짐에 의해 몸통부(12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핀고정홀(122)은 몸통부(120)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되며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테이핑부(110)와 마찬가지로, 몸통부(120)의 재료 및 두께 절감을 위해, 몸통부(120)에는 상기 하부 핀고정홀(122)이 형성된 하부 홀성형부(1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핀고정홀(12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몸통부(120)를 일정 두께 이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필요하나, 몸통부(120)에 상기 하부 홀성형부(123)를 형성하게 되면 몸통부(120)의 일부분(하부 홀성형부)만 일정 두께를 확보하면 되고 그에 따라 몸통부(120)의 재료 및 두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테이핑부(110)의 수분 유입 방지 성능을 증대하기 위해, 테이핑부(110)에는 하나 이상의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11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114)는, 테이핑부(110)의 내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테이핑부(11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테이핑부(110)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114)는, 각각 테이핑부(11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테이핑부(110)의 축선방향으로 이격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114) 중 어느 하나는, 상부 핀고정홀(112)의 상단까지 형성되어서,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에 고정된 이후 상부 핀고정홀(112) 부근에서도 다중으로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몸통부(120)의 수분 유입 방지 기능을 증대하기 위해, 몸통부(120)에는 하나 이상의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124)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124)는, 몸통부(120)의 외측 둘레면과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한쪽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몸통부(12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124)는,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오므려져 와이어 번들에 장착될 때, 몸통부(120)의 일부 구간이 절개부를 기준으로 겹쳐짐에 따라 몸통부(120)의 다른 한쪽 둘레면에 접촉하게 된다.
다시 말해, 몸통부(120)의 절개부를 기준으로 몸통부(120)의 일단부가 타단부와 겹쳐지도록 몸통부(120)가 오므려짐에 따라, 즉 몸통부(120)의 외측 둘레면과 내측 둘레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몸통부(12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겹쳐짐에 따라, 몸통부(120)의 한쪽 둘레면에 형성된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124)가 몸통부(120)의 다른 한쪽 둘레면에 접촉하게 된다.
도 6을 보면,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조립될 때, 몸통부(12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124)는 몸통부(120)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하게 되고, 몸통부(120)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124)는 몸통부(120)의 외측 둘레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핑부(110)의 외측 둘레면에는,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밀착 고정될 때,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114)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홈(115)은,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114)에 대응하여, 테이핑부(11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테이핑부(110)의 축선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테이핑부(110)에는 어퍼 리브홈(115a)과 로워 리브홈(115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어퍼 리브홈(115a)은 테이핑부(11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둘레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로워 리브홈(115b)은 테이핑부(11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 고정핀(111)의 후단부터 상부 홀성형부(113)의 선단 사이의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장착될 때, 테이핑부(110)의 일부 구간이 절개부를 기준으로 겹쳐짐에 따라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114)가 상기 리브홈(115)에 삽입되어 밀착되고, 그에 따라 테이핑부(110)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테이핑부(110)를 와이어 번들에 장착시 테이핑부(110)가 비정상 형태(예를 들어, 비틀린 형태 등)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통부(120)의 하단에는, 와이어 번들에 장착된 테이핑부(110) 및 테이핑부(110)의 하단에 배치된 몸통부(120)가 정상적인 장착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장착될 때 가이드부(130)의 둘레방향의 일단부가 타단부와 적층된 형태로 겹쳐지면서 테이핑부(110) 및 몸통부(120)가 비틀림 등의 비정상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몸통부(120)의 하단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몸통부(120)가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수분 유입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링 그로멧(100)은, 테이핑부(110)를 통해 와이어 번들(150)의 둘레에 가장착된 다음, 도 7에 보듯이 테이핑부재(140)를 테이핑부(110)의 외측에 조이도록 감아서 와이어 번들(150)의 외측에 완전히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링 그로멧(100)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테이핑부(110)를 가고정한 다음, 테이핑부재(140)를 테이핑부(110)에 단단히 감음으로써 테이핑부(110)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핑부재(140)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의 테이핑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링 그로멧(100)은, 도 7에 보듯이 엔진룸의 중앙에 배선되는 등으로 인해 와이어 번들(150)에 연결된 커넥터(160) 등의 전기부품이 엔진룸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커넥터(160)의 위쪽에 그로멧(100)을 장착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터(160)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와이어링 그로멧 110 : 테이핑부
111 : 상부 고정핀 112 : 상부 핀고정홀
113 : 상부 홀성형부 114 :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
115 : 리브홈 120 : 몸통부
121 : 하부 고정핀 122 : 하부 핀고정홀
123 : 하부 홀성형부 124 :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
130 : 가이드부 140 : 테이핑부재

Claims (10)

  1. 와이어 번들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도록 오므려질 수 있게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테이핑부;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상기 테이핑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와이어 번들을 둘러싸게 되는 몸통부;
    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부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핑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상부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 핀고정홀은 테이핑부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하부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하부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하부 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부 핀고정홀은 몸통부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테이핑부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테이핑부가 와이어 번들의 둘레에 장착될 때, 상기 상부 수분유입방지리브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리브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측 둘레면과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한쪽 둘레면에는, 몸통부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한쪽 둘레면에 형성된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는, 몸통부의 외측 둘레면과 내측 둘레면이 마주하도록 몸통부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겹쳐짐에 따라 몸통부의 다른 한쪽 둘레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분유입방지리브는 몸통부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테이핑부의 하단에서 축선방향으로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는 와이어 번들에 장착된 그로멧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부는 그 외측에 테이핑부재가 단단히 감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그로멧.
KR1020200037197A 2020-03-27 2020-03-27 와이어링 그로멧 KR20210120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97A KR20210120462A (ko) 2020-03-27 2020-03-27 와이어링 그로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97A KR20210120462A (ko) 2020-03-27 2020-03-27 와이어링 그로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62A true KR20210120462A (ko) 2021-10-07

Family

ID=7811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97A KR20210120462A (ko) 2020-03-27 2020-03-27 와이어링 그로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4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298A (ko) 2010-11-05 2012-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을 위한 충전재를 가진 와이어링 그로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298A (ko) 2010-11-05 2012-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을 위한 충전재를 가진 와이어링 그로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223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固定構造
US20110265286A1 (en) Grommet
WO2012132076A1 (ja) 仕切り付きシールドパイプおよび仕切り付きシールドパイプ端末の電線保護構造
JP7117337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8153059A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の取り付け構造
US10651640B2 (en) Grommet and wire harness using the same
KR101783852B1 (ko) 그로멧
JP6946361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760100B2 (ja) 通気部材及びハーネス
JP2010220362A (ja) チューブ形態維持部材、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支持構造及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支持構造の製造方法
KR20210120462A (ko) 와이어링 그로멧
JP6946362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20170197564A1 (en) Pipe installation component, and structure of end portion of pipe
JP2007288972A (ja)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の保護構造
US11529912B2 (en) Wire harness
WO2019188098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07185067A (ja) 可撓電線保護管
JP5166841B2 (ja) 保護部材
WO2021187031A1 (ja)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1332139A (ja) シールド電線の屈曲構造およびそのシールド方法
US10906481B2 (en) Protector
JP2018117497A (ja) 防水カバー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6070467B2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7153006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229320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外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