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852B1 - 그로멧 - Google Patents

그로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852B1
KR101783852B1 KR1020150185666A KR20150185666A KR101783852B1 KR 101783852 B1 KR101783852 B1 KR 101783852B1 KR 1020150185666 A KR1020150185666 A KR 1020150185666A KR 20150185666 A KR20150185666 A KR 20150185666A KR 101783852 B1 KR101783852 B1 KR 10178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grommet
protector
bracket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996A (ko
Inventor
김민우
유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18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8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되는 그로멧 본체와, 상기 그로멧 본체 상에 설치되는 그로멧 프로텍터 및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 외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패널 상에 장착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는,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락킹부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가 장착되는 복수의 프로텍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그로멧{Grommet}
본 발명은 그로멧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고, 관리가 용이한 그로멧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배선용 그로멧이 장착된다. 상기 그로멧은, 차량의 배선(Wire harness)이 차량의 실내에서 실외로 차체 패널을 통과할 때, 배선이 차체 패널 홀 모서리 부위에 접하여 손상되는 것을 막고, 배선의 경로를 유지하게 하며, 실외에서 차체 패널 홀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 및 수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로멧은, 배선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데, 배선이 설치되는 구조에 따라 배선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로 인하여, 그로멧은 배선의 설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 결과, 설치 환경에 따라 그로멧의 형상을 다르게 개발하게 되어 그로멧 개발 비용이 증가하고, 개발되는 형상의 증가로 그로멧의 관리가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로멧은, 배선이 장착되는 그로멧 본체와, 그로멧 본체 상에 설치되어 그로멧을 보호하는 그로멧 프로텍터을 포함한다. 그로멧 프로텍터는 하나의 바디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그로멧 프로텍터 손상 시, 하나의 바디로 구성된 그로멧 프로텍터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그로멧 관리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한 그로멧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가 용이한 그로멧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개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그로멧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그로멧은,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되는 그로멧 본체와, 상기 그로멧 본체 상에 설치되는 그로멧 프로텍터 및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 외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패널 상에 장착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는,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락킹부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가 장착되는 복수의 프로텍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의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통과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보호하고, 외부 이물질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로멧을 그로멧 본체와 그로멧 본체 상에 안착되는 그로멧 프로텍터 및 그로멧 상에 안착된 그로멧 프로텍터를 차량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부재로 분리한다. 특히, 그로멧 본체 및 그로멧 프로텍터가 와이어링 하네스의 설치 각도에 따라 변경되게 설치되고, 락킹부재가 그로멧 본체 및 그로멧 프로텍터를 락킹하여 와이어링 하네스의 설치 각도에 관계없이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게 되어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링 하네스의 설치 각도에 관계없이 그로멧을 차량 패널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링 하네스의 설치 각도에 따라 따른 그로멧을 각각 제작할 필요 없으므로, 제품의 다 품종 개발을 통한 과도한 개발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막고, 다 품종 발생으로 따른 그로멧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로멧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B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그로멧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로멧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B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그로멧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로멧(10)은,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설치되는 그로멧 본체(100)와, 그로멧 본체(100) 상에 설치되는 그로멧 프로텍터(200) 및 그로멧 프로텍터(200) 외경을 따라 설치되며, 차량의 패널 상에 장착되는 락킹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그로멧 본체(100)는 차량의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통과하는 와이어링 하네스(50)를 보호하는 고무 재질의 부품이다. 또한, 그로멧 본체(100)는 차량의 내 외부를 차단하여 차량 외부의 소음 및 이물질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그로멧 본체(100) 상에는 그로멧 프로텍터(200)가 안착된다.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는 그로멧 본체(100)의 외표면을 보호한다. 이를 위하여 그로멧 프로텍터(200)는 그로멧 본체(100)보다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부재(300)는 그로멧 본체(100)와 그로멧 프로텍터(200)를 구속하여 차량 내에 그로멧(10)이 장착, 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락킹부재(300)가 그로멧 본체(100)와 그로멧 프로텍터(200)를 구속하기 위하여 그로멧 프로텍터(200)는,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락킹부재 고정부(260)를 포함하고, 락킹부재(300)는, 락킹부재(3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장착되는 복수의 프로텍터 고정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와 프로텍터 고정부(360)는 그로멧 본체(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조립되는 위치가 변경되게 한다. 즉, 프로텍터 고정부(360)가 여러 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설치위치에 따라 그로멧 본체(100)의 유입구(120)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락킹부재(300)가 그로멧 프로텍터(200)와 그로멧 본체(100)를 구속하여 그로멧(10)이 차량 패널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로멧 본체(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로멧(10)을 차량 패널에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는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부이고, 상기 프로텍터 고정부(360)는, 프로텍터 고정부(360)에 장착된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를 구속하며, 상기 프로텍터 고정부(360)는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보다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락킹부재 고정부(260)는 그로멧 본체(100)의 유입구(120) 상에 안착되는 프로텍터 유입구(120)를 기준으로 85°~95°의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킹부재 고정부(260)는 프로텍터 유입구(120)를 기준으로 90°간격으로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예를 들기로 한다.
상기 프로텍터 고정부(360)는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를 구속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락킹부재(300)는,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그로멧 프로텍터(200)가 안착되는 제1 락킹부재(320)와, 상기 제1 락킹부재 상측에 설치되는 제2 락킹부재(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락킹부재(320)는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안착되는 홈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프로텍터 고정부(360)를 포함한다.
즉, 제1 락킹부재(320)는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를 감싸며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안착되는 프로텍터 고정부(360)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텍터 고정부(360)는 30°~50°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45°간격으로 8개의 프로텍터 고정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락킹부재(320)는 프로텍터 고정부(360)의 주변에 형성되며, 프로텍터 고정부(360)에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안착되는 안착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숫자 또는 로마자로 표기된 문자열을 더 포함한다.
상기 문자열은 그로멧 프로텍터(200)와 제1 락킹부재(320)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그로멧 본체(100)가 내부에 삽입된 그로멧 프로텍터(200)가 상기 문자열의 “Ⅰ"을 기준으로 180°위치에 설치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를 프로텍터 고정부(360)의 문자열 “Ⅴ"상에 위치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그로멧 본체(100)가 내부에 삽입된 그로멧 프로텍터(200)가 상기 문자열의 “Ⅰ"을 기준으로 45°위치에 설치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를 프로텍터 고정부(360)의 문자열 “Ⅱ” 상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문자열에 의하여 그로멧 프로텍터(200)와 제1 락킹부재(320)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프로텍터 고정부(360)가 제1 락킹부재(32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유입되는 유입구(120)의 위치, 각도의 변경에 관계없이 다양한 위치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락킹부재(340)는 제1 락킹부재(320) 상에 안착된다. 제2 락킹부재(340)가 제1 락킹부재(320) 상에 안착됨에 따라, 프로텍터 고정부(360)에 안착된 락킹부재 고정부(260)의 상면을 제2 락킹부재(340)의 하면이 구속하게 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 고정부(360)는 홈 형상으로 상면이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텍터 고정부(360)에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안착되면 상면이 개구된 프로텍터 고정부(360)가 락킹부재 고정부(260)를 충분히 구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로멧 본체(100)가 수납된 그로멧 프로텍터(200)가 제1 락킹부재(320)의 상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락킹부재(320) 상측에 제2 락킹부재(340)를 안착하여 제1 락킹부재(320)의 프로텍터 고정부(360)의 상측을 밀폐한다. 그 결과, 프로텍터 고정부(360)에 안착된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프로텍터 고정부(36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1 락킹부재(320) 상에 설치되는 제2 락킹부재(340)는 그로멧 본체(100)가 수납된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둘레를 감싸며 설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락킹부재(340)는, 반원호로 분리되되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 외경의 일 반경을 따라 마련된 제1 브라켓(340A)과,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 외경의 타 반경을 따라 마련된 제2 브라켓(340B)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 브라켓(340B)의 일 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타 면은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40A, 340B)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 락킹부재(340)에 의해 제2 락킹부재(340)는 일 면이 벌어진 상태에서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제1 락킹부재(320)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 락킹부재(340)는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면과 제1 락킹부재(320) 상에서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락킹부재(320)는 외면에서 상기 제2 락킹부재(34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락킹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락킹부재(340)는, 상기 제1 및 제2 락킹부재(320, 340) 조립 시, 상기 제1 락킹부(330)가 끼움되는 락킹홀(372)을 포함하는 제2 락킹부(37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락킹부(330)는 제1 락킹부재(320)의 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락킹부(370)는 제2 락킹부재(340)의 측면에 제1 락킹부재(320)를 향해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락킹부재(320) 상에 제2 락킹부재(340)가 안착되면 제1 락킹부(330)가 제2 락킹부(370)의 락킹홀(372)에 삽입, 장착되어 제1 및 제2 락킹부재(320, 340)의 상태를 고정한다.
이때, 제1 및 제2 락킹부재(320, 340)의 락킹 상태를 충분히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락킹부(330)는 제1 락킹부재(320)의 측면에서 충분히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홀(372)은 제1 락킹부(330)가 제2 락킹부(370)의 락킹홀(37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락킹부(33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락킹부(330)를 압입하도록 제1 락킹부(330)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락킹부(330) 및 제2 락킹부(370)는 제1 및 제2 락킹부재(320, 340)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락킹부재(320) 상에 제2 락킹부재(340)가 안착되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락킹부재(340)는 제1 및 제2 브라켓(340A, 340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브라켓(340A)은, 상기 제1 브라켓(340A)의 일 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브라켓고정부(3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340B)은, 상기 제2 브라켓(340B)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고정부(342)가 삽입, 장착되는 브라켓고정홀(345)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고정부(3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라켓고정부(342)는 제2 브라켓고정부(344)의 브라켓고정홀(345)에 삽입, 장착되면서 제2 락킹부재(340)의 제1 및 제2 브라켓(340B)의 벌어진 일 면이 밀폐되어 제2 락킹부재(340)가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면과 제1 락킹부재(320) 상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제1 브라켓고정부(342)는, 상기 제1 브라켓(340A)의 일 단에서 상기 제2 브라켓(340B)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브라켓(340B) 중 제2 브라켓(340B)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브라켓(340A)이 움직이며 제2 락킹부재(340)의 일 면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브라켓(340A)이 움직이며 제2 락킹부재(340)의 개구된 일 면을 밀폐할 때, 제1 브라켓고정부(342)가 제2 브라켓고정부(344)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제1 및 제2 브라켓고정부(344) 결합 시, 제2 브라켓고정부(344)와 가장 먼저 접하는 제1 브라켓고정부(342)의 모서리가 제2 브라켓고정부(344)의 내면과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및 제2 브라켓고정부(344) 결합 시, 제1 브라켓고정부(342)가 제2 브라켓고정부(344)를 향해 미끄러지듯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브라켓(340B) 결합 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그로멧 100: 그로멧 본체
120: 유입구 200: 그로멧 프로텍터
260: 락킹부재 고정부 300: 락킹부재
320: 제1 락킹부재 330: 제1 락킹부
340: 제2 락킹부재 342: 제1 브라켓고정부
344: 제2 브라켓고정부 360: 프로텍터 고정부
370: 제2 락킹부

Claims (7)

  1.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설치되는 그로멧 본체(100);
    상기 그로멧 본체(100) 상에 설치되는 그로멧 프로텍터(200); 및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 외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패널 상에 장착되는 락킹부재(300); 를 포함하고,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는,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락킹부재 고정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300)는,
    상기 락킹부재(3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장착되는 복수의 프로텍터 고정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는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부이고,
    상기 프로텍터 고정부(360)는, 프로텍터 고정부(360)에 장착된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를 구속하며,
    상기 프로텍터 고정부(360)는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보다 많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300)는,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안착되는 제1 락킹부재(320)와, 상기 제1 락킹부재 상측에 설치되는 제2 락킹부재(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락킹부재(320)는 상기 락킹부재 고정부(260)가 안착되는 홈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프로텍터 고정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재(320)는, 외면에서 상기 제2 락킹부재(34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락킹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락킹부재(340)는, 상기 제1 및 제2 락킹부재(320, 340) 조립 시, 상기 제1 락킹부(330)가 끼움되는 락킹홀(372)을 포함하는 제2 락킹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재(340)는,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 외경의 일 반경을 따라 마련된 제1 브라켓(340A)과,
    상기 그로멧 프로텍터(200) 외경의 타 반경을 따라 마련된 제2 브라켓(34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340A)은, 상기 제1 브라켓(340A)의 일 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브라켓고정부(3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340B)은, 상기 제2 브라켓(340B)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고정부(342)가 삽입, 장착되는 브라켓고정홀(345)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고정부(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고정부(342)는,
    상기 제1 브라켓(340A)의 일 단에서 상기 제2 브라켓(340B)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KR1020150185666A 2015-12-24 2015-12-24 그로멧 KR10178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66A KR101783852B1 (ko) 2015-12-24 2015-12-24 그로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66A KR101783852B1 (ko) 2015-12-24 2015-12-24 그로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996A KR20170075996A (ko) 2017-07-04
KR101783852B1 true KR101783852B1 (ko) 2017-10-23

Family

ID=5935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666A KR101783852B1 (ko) 2015-12-24 2015-12-24 그로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359B1 (ko) 2018-04-25 2018-08-30 정진한 차량용 와이어하네스 프로텍터
KR101950699B1 (ko) 2018-04-25 2019-02-21 이승현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그로밋
JP6827016B2 (ja) * 2018-06-22 2021-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6854261B2 (ja) * 2018-06-22 2021-04-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KR102529731B1 (ko) * 2021-10-14 2023-05-09 주식회사 경신 체결형 그로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154A (ja) 2000-12-12 2002-06-28 Fujikura Ltd グロメ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154A (ja) 2000-12-12 2002-06-28 Fujikura Ltd グロ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996A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852B1 (ko) 그로멧
KR102418290B1 (ko)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US7020931B1 (en) Grommet and retainer
US10777339B2 (en) Grommet, electronic member and method of forming said grommet
US9568161B2 (en) 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 lighting
KR950003079A (ko) 카스테레오의 설치장치
US6593529B2 (en) Grommet equipped with resin inner sleev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grommet
US20170197564A1 (en) Pipe installation component, and structure of end portion of pipe
KR102133694B1 (ko) 차량용 센서장치
US11529912B2 (en) Wire harness
JP2007185067A (ja) 可撓電線保護管
US10428983B2 (en) Exhaust collar and method for flexibly attaching an exhaust funnel for an exhaust hood to a vent pipe and exhaust funnel device
KR20160033437A (ko) 회로기판용 하우징
KR101988955B1 (ko) 그로멧
US10957470B2 (en) Assembly for a cable feedthrough
KR101873812B1 (ko) 화재감지기
US10906481B2 (en) Protector
CN105570457A (zh) 用于管道传感器的盖体
US20200389001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11486743B2 (en) Electronic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KR20210120462A (ko) 와이어링 그로멧
KR200473364Y1 (ko) 그로멧
JP4907915B2 (ja) 配線箱用ケーブルブッシング
KR101672954B1 (ko) 그로멧
JP6371541B2 (ja) 電気電子部品の防水収容構造および電気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