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453A -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Google Patents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0453A KR20210120453A KR1020200037170A KR20200037170A KR20210120453A KR 20210120453 A KR20210120453 A KR 20210120453A KR 1020200037170 A KR1020200037170 A KR 1020200037170A KR 20200037170 A KR20200037170 A KR 20200037170A KR 20210120453 A KR20210120453 A KR 202101204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lery
- spoon
- cover plate
- cutlery box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함 내에 담겨진 수저를 외부로 인출할 경우 수저의 인출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의 헤드 부위를 파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에 묻어 있는 세균이 수저의 헤드 부위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저함 내에 담겨진 수저를 외부로 인출할 경우 수저의 인출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의 헤드 부위를 파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위생상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저는 플라스틱합성수지나 목재, 금속 등으로 제조된 ‘수저함’에 넣어 보관한다. 수저함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며, 그 종류를 분류하면 크게 수저를 세워서 보관하도록 구성된 직립형과 수저를 눕혀서 보관하도록 구성된 수평형 수저함이 있다. 직립형 수저함은 주로 가정용으로 사용하고 수평형 수저함의 경우는 주로 업소용으로 사용한다.
수저함에 수저를 보관함에 있어서,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세척(설거지) 과정에서 수저와 수저함에 묻은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습한 환경이 조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매일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사용 후에는 물로 씻어야 하는 수저와 수저함을, 행주로 닦아서 물기 없는 건조한 상태로 유지한다 하는 것은 상당히 귀찮은 일이고, 따라서 현실 생활에서는 수저와 수저함을 젖어 있는 상태로 방치하여 자연적으로 건조되게 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수저와 수저함이 젖어 있고 수저에서 떨어진 물이 수저함에 고여 물때가 끼어 있는 이런 습한 환경에서는, 특히 하절기에, 각종 세균이 번식하기 쉽고, 결국 세균으로 오염된 물이 묻은 수저로 다시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위생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도 이런 수저함의 위생에 상당한 우려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저함의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살균기능을 가진 식기건조기 등에 수저 또는 수저함을 넣어서 보관하는 경우도 있지만, 수저함 자체를 개량함으로써 위생 문제를 만족스럽게 해결한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상기한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9441호 "자외선 살균 수저함"(등록일자 : 2014.01.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측벽면의 내측에 고정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위치에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상기 고정레일에 지지되며 안착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수개의 분리판이 구비되어, 상기 분리판의 일측과 타측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의 일단이 지지되는 거치대; 상기 절개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중앙부에서 상기 안착부의 경사면을 따라 양쪽으로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의 타단이 지지되는 양단은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의 하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걸림돌기에 지지되는 걸림부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함이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함의 상측에는 자외선 램프가 결합되는 반사판;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일단은 측벽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는 테이블 페이퍼 보관함을 구비하는 페이퍼 배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기존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과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9037호 "업소용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등록일자 : 2012.04.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저가 수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양측벽과 전후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수저들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전후벽의 사이에서 상기 양측벽에 걸쳐 사이벽이 형성된 통상의 부재이고; 상기 전벽과 상기 사이벽에는, 상기 수저를 위로부터 끼워 상기 수저의 손잡이의 끝단이 상기 전벽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적층 수납하기 위한, 상측 개방의 제1 숟가락 삽입슬롯과 상측 개방의 제1 젓가락 삽입슬롯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벽과 상기 사이벽에는, 상기 수저를 위로부터 끼워 상기 수저의 손잡이의 끝단이 상기 후벽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적층 수납하기 위한, 상측 개방의 제2 숟가락 삽입슬롯과 상측 개방의 제2 젓가락 삽입슬롯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벽의 상기 삽입슬롯의 상측에는 상기 수저의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의 종래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는, 수저의 위생적 보관의 목적은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었으나, 제조 원가가 높고, 성형 제작이 쉽지 않으며, 내부의 세척이 불편하다는 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기존 업소용 수저함의 경우에는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이 수납되어 있으며, 수저함으로부터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외부로 인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숟가락의 자루가 아닌 헤드(볼) 부위나 젓가락의 테이퍼진 헤드(일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외부로 꺼냄에 따라 수저가 오염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오염된 부위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진입되어 사용자의 위생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저함 내에 담겨진 수저를 외부로 인출할 경우 수저의 인출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의 헤드 부위를 파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에 묻어 있는 세균이 수저의 헤드 부위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저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숟가락의 헤드 부위와 젓가락의 헤드 부위가 수납되는 수저함과; 상면이 수평일 때 상기 공간부의 일측 상부를 마감하고 상기 수저의 인출동작시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도록 설치되는 덮개판; 및 상기 수저의 인출동작시 상기 덮개판을 상기 수저함의 상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공간부를 숟가락과 젓가락의 수납 공간으로 좌,우측으로 구획하도록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측단에 상기 덮개판의 상방향 회전동작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덮개판의 하방향 회전시 간섭되어 상기 덮개판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구획판과; 상기 수저함의 양측벽과 상기 덮개판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덮개판의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공간부를 숟가락과 젓가락의 수납 공간으로 좌,우측으로 구획하도록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측단에 상기 덮개판의 상방향 회전동작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덮개판의 하방향 회전시 간섭되어 상기 덮개판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구획판과; 상기 덮개판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로킹돌기; 및 상기 수저함의 양측벽의 내측면에 상기 로킹돌기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 로킹홈;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회전수단의 다른 예로는 상기 수저함의 양측벽과 상기 덮개판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덮개판의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핀과; 상기 수저함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벽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방향으로 개구된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제1,2지지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2지지부재의 걸림턱이 상기 덮개판의 하방향 회전시 간섭되어 상기 덮개판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내부에 수저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숟가락의 헤드 부위와 젓가락의 헤드 부위가 수납되는 수저함과; 상면이 수평일 때 상기 공간부의 일측 상부를 마감하도록 공간부 내에 수용되어 하부가 바닥에 지지되고, 상면 일부가 분할되어 상기 수저의 인출동작시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는 회전판을 갖는 덮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공간부의 내부 구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저함의 양측벽에 각각 근접되고 상기 수저함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받침돌부가 수용되도록 제1수용홈이 하부에 형성된 좌,우측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수저함의 후면과 근접되게 배치되는 후면판과, 상기 좌,우측판과 후면판의 상단을 연결하고 전방측에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위해 절개홈이 형성된 상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수저함 공간부의 일측에 상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덮개판이 배치되므로, 수저함의 외측으로 수저를 인출할 경우 수저의 인출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덮개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저의 헤드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는 수저의 헤드부를 사용자의 손 부위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위생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수저함의 바닥에 돌출된 구획판의 상부면에 덮개판이 지지될 경우 덮개판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고 평상시 덮개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덮개판과 수저와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획판이 없거나 구획판의 높이가 낮을 경우 수저함의 양측벽에 끼워지는 제1,2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평상시 덮개판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덮개판과 수저와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덮개부재가 수저함의 공간부 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에 따라, 구획판이 없는 수저함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기존 수저함에도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덮개판의 상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회전수단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회전수단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덮개판의 상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회전수단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회전수단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의 일 실 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에 수저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5)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15)의 일측에 숟가락(52)의 헤드(52a) 부위와 젓가락(54)의 헤드(54a) 부위가 수납되는 수저함(10)과; 상기 공간부(15)의 일측 상부를 마감하고 상기 수저의 인출동작시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도록 설치되는 덮개판(100); 및 상기 수저의 인출동작시 상기 덮개판(100)을 상기 수저함(10)의 상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저함(10)은 상부가 개구되고 숟가락(52)과 젓가락(54)으로 구성된 수저가 수납되는 공간부(15)의 바닥(14)에 숟가락(52)과 젓가락(54)의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210)이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판(100)은 평판 형태로 구성되고, 수평상태일 때 상기 공간부(15)의 일측 상부면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공간부(15)의 일측 상부를 마감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판(100)은 하측에 수저(숟가락(52), 젓가락(54))의 헤드(52a,54a) 부위가 각각 수납되므로,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수저함(10)에 수납된 수저의 헤드부위를 터치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구획판(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위에 상기 숟가락(52)과 젓가락(54)의 파지를 위해 손가락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원호형의 원호홈(212)이 형성되고, 일측단에 상기 덮개판(100)의 상방향 회전동작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경사면(21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저함(10)은 일측 바닥(14)에 돌출되어 상기 공간부(15) 내에 수납되는 숟가락(52)의 헤드(52a)와 젓가락(54)의 헤드(54a) 부위 각각을 수저함(10)의 바닥(14)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돌부(3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200)의 변형 예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과 상기 덮개판(100)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핀(220)과; 상기 수저함(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벽(11,12)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방향으로 개구된 끼움홈부(232,242)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걸림턱(235,245)이 형성된 제1,2지지부재(230,2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2지지부재(230,240)는 하방향으로 개구된 끼움홈부(232,242) 내에 수저함(10)의 양측벽(11,12) 상단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수저함 뚜껑(70)이 수저함(10)에 닫힐 때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에 상기 제1,2지지부재(230,240)의 두께에 대응되는 결합홈(26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지지부재(230,240)는 수저함(10)의 공간부(15)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턱(235,245)이 각각 형성되므로,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시 상기 걸림턱(235,245)과 간섭되면서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1,2지지부재(230,240)는 상기 제1,2지지부재(230,240)의 걸림턱(235,245)이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시 간섭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구획판(210)의 높이를 일정 높이까지 형성시킬 필요없이 수저함(10)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덮개판(100)이 평상시 수평상태일 때 수저함(10)의 공간부(15) 일측 상부를 마감하게 되어 공간부(15) 내에 수납된 수저의 헤드부(숟가락 헤드(52a), 젓가락 헤드(54a))를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파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덮개판(100)의 하측면이 상기 수저함(10)의 공간부(15) 내에 마련된 구획판(210)의 상측에 안착되므로,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덮개판(100)이 상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공간부(15) 내에 수납된 수저 중 숟가락(52)이나 젓가락(54)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저의 일단측 헤드부가 아닌 타단측 손잡이(자루) 부분을 파지한 상태로 수저함(10)의 외측으로 인출시킬 경우, 숟가락(52)의 외부 인출력에 의해 덮개판(100)이 힌지핀(220)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동작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간부(15)의 일측에 상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덮개판(100)이 배치되므로, 수저함(10)의 외측으로 수저를 인출할 경우 수저의 인출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덮개판(1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저의 헤드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는 수저(50)의 헤드부를 사용자의 손 부위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위생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수저함(10)의 바닥(14)에 돌출된 구획판(210)의 상부면에 덮개판(100)이 지지될 경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고 평상시 덮개판(1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덮개판(100)과 수저(50)와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획판(210)이 없거나 구획판(210)의 높이가 낮을 경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에 끼워지는 제1,2지지부재(230,240)를 이용하여 평상시 덮개판(100)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덮개판(100)과 수저와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내부에 수저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5)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15)의 일측에 숟가락(52)의 헤드 부위와 젓가락(54)의 헤드 부위가 수납되는 수저함(10)과; 상면이 수평일 때 상기 공간부(15)의 일측 상부를 마감하도록 공간부(15) 내에 수용되어 하부가 바닥(14)에 지지되고, 상면 일부가 분할되어 상기 수저의 인출동작시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는 회전판(350)을 갖는 덮개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덮개부재(300)는 상기 공간부(15)의 내부 구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에 각각 근접되고 상기 수저함(10)의 바닥(14)으로부터 돌출된 받침돌부(30)가 수용되도록 제1수용홈(322)이 하부에 형성된 좌,우측판(310,320)과, 상기 좌,우측판(310,320)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수저함(10)의 후면(13)과 근접되게 배치되는 후면판(330)과, 상기 좌,우측판(310,320)과 후면판(330)의 상단을 연결하고 전방측에 상기 회전판(35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판(350)의 회전을 위해 절개홈(355)이 형성된 상면부(340)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덮개부재(300)는 상면부(340) 높이가 수저함(10)의 양측벽(11,12) 상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를 가지며, 전면과 하부 부위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부재(300)는 수저함(10)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도록 공간부(15)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수저함(10)의 바닥(14)에 접촉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상면부(340)의 일부에 형성된 회전판(350)이 숟가락(52) 또는 젓가락(54)의 외부 인출시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부재(300)의 공간부(15) 내 수납을 위해 상기 좌,우측판(310,320)의 하부에는 상기 받침돌부(30)가 수용되도록 제1수용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330)의 하부에는 상기 구획판(210)이 수용되도록 제2수용홈(33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판(350)은 상기 상면부(340)의 전방측 선단에 절개홈(35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회전판(350)은 상기 상면부(340)에 대해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와는 달리 덮개부재(300)가 수저함(10)의 공간부(15) 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핀(220)을 형성시킬 필요없이 절개홈(355)을 기준으로 회전판(350)이 수저의 외부 인출시 상방향으로 회전동작되어 수저를 수저함(10)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덮개부재(300)가 수저함(10)의 공간부(15) 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에 따라, 구획판(210)이 없는 수저함(10)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기존 수저함(10)에도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덮개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덮개부재(300)의 구성이 상기 공간부(15)의 내부 구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에 각각 근접되고 상기 수저함(10)의 바닥(14)으로부터 돌출된 받침돌부(30)가 수용되도록 제1수용홈(322)이 하부에 형성된 좌,우측판(310,320)과, 상기 좌,우측판(310,320)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수저함(10)의 후면(13)과 근접되게 배치되는 후면판(330)과, 상기 좌,우측판(310,320)과 후면판(33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34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 덮개부재(300)의 변형 예는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 예와는 달리 회전판과 절개홈이 생략된 일체형 구조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인출시 덮개부재(300) 전체가 수저함(10)의 공간부(15) 내에서 회전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3은 본 발명 회전수단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회전수단(200)은 상기 공간부(15)를 숟가락(52)과 젓가락(54)의 수납 공간으로 좌,우측으로 구획하도록 바닥(14)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측단에 상기 덮개판(100)의 상방향 회전동작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경사면(215)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시 간섭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구획판(210)과; 상기 덮개판(100)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로킹돌기(222); 및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의 내측면에 상기 로킹돌기(222)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 로킹홈(224);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회전수단의 다른 변형 예는 힌지핀이 아니라, 상기 덮개판(100)의 좌,우 양측면에 로킹돌기(222)가 형성되고,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의 내측면에 상기 로킹돌기(222)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의 로킹홈(224)이 형성되어서, 요철 방식으로 로킹돌기(222)가 로킹홈(224) 내에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덮개판(100)의 상방향 회전시 로킹돌기(222)가 로킹홈(224) 내에서 조인트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로킹돌기(222)와 로킹홈(224)의 결합구조가 상기 덮개판(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위와 반대로 상기 덮개판(100)의 좌,우 양측면에 로킹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벽(11,12)의 내측면에 로킹돌기(2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회전수단은 수저함(10)에 대한 덮개판(100)의 회전 구조를 다른 형태의 결합방식으로도 가능함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수저함 11,12 : 양측벽
13 : 후면판 14 : 바닥
15 : 공간부 30 : 받침돌부
50 : 수저 52 : 숟가락
54 : 젓가락 52a,54a : (숟가락,젓가락)헤드
70 : 뚜껑 100 : 덮개판
200 : 회전수단 210 : 구획판
212 : 원호홈 215 : 경사면
220 : 힌지핀 222 : 로킹돌기
224 : 로킹홈 230,240 : 제1,2지지부재
232,242 : 끼움홈부 235,245 : 걸림턱
260 : 결합홈 300 : 덮개부재
310,320 : 좌,우측판 322 : 제1수용홈
330 : 후면판 332 : 제2수용홈
340 : 상면부 350 : 회전판
355 : 절개홈
13 : 후면판 14 : 바닥
15 : 공간부 30 : 받침돌부
50 : 수저 52 : 숟가락
54 : 젓가락 52a,54a : (숟가락,젓가락)헤드
70 : 뚜껑 100 : 덮개판
200 : 회전수단 210 : 구획판
212 : 원호홈 215 : 경사면
220 : 힌지핀 222 : 로킹돌기
224 : 로킹홈 230,240 : 제1,2지지부재
232,242 : 끼움홈부 235,245 : 걸림턱
260 : 결합홈 300 : 덮개부재
310,320 : 좌,우측판 322 : 제1수용홈
330 : 후면판 332 : 제2수용홈
340 : 상면부 350 : 회전판
355 : 절개홈
Claims (6)
- 내부에 수저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5)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15)의 일측에 숟가락(52)의 헤드 부위와 젓가락(54)의 헤드 부위가 수납되는 수저함(10)과;
상면이 수평일 때 상기 공간부(15)의 일측 상부를 마감하고 상기 수저의 인출동작시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도록 설치되는 덮개판(100); 및
상기 수저의 인출동작시 상기 덮개판(100)을 상기 수저함(10)의 상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2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200)은 상기 공간부(15)를 숟가락(52)과 젓가락(54)의 수납 공간으로 좌,우측으로 구획하도록 바닥(14)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측단에 상기 덮개판(100)의 상방향 회전동작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경사면(215)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시 간섭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구획판(210)과;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과 상기 덮개판(100)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핀(2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200)은 상기 공간부(15)를 숟가락(52)과 젓가락(54)의 수납 공간으로 좌,우측으로 구획하도록 바닥(14)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측단에 상기 덮개판(100)의 상방향 회전동작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경사면(215)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시 간섭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구획판(210)과;
상기 덮개판(100)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로킹돌기(222); 및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의 내측면에 상기 로킹돌기(222)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 로킹홈(2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200)은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과 상기 덮개판(100)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핀(220)과;
상기 수저함(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벽(11,12)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방향으로 개구된 끼움홈부(232,242)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걸림턱(235,245)이 형성된 제1,2지지부재(230,240)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2지지부재(230,240)의 걸림턱(235,245)이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시 간섭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내부에 수저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5)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15)의 일측에 숟가락(52)의 헤드 부위와 젓가락(54)의 헤드 부위가 수납되는 수저함(10)과;
상면이 수평일 때 상기 공간부(15)의 일측 상부를 마감하도록 공간부(15) 내에 수용되어 하부가 바닥(14)에 지지되고, 상면 일부가 분할되어 상기 수저의 인출동작시 상측으로 회전동작되는 회전판(350)을 갖는 덮개부재(3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300)는 상기 공간부(15)의 내부 구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저함(10)의 양측벽(11,12)에 각각 근접되고 상기 수저함(10)의 바닥(14)으로부터 돌출된 받침돌부(30)가 수용되도록 제1수용홈(322)이 하부에 형성된 좌,우측판(310,320)과,
상기 좌,우측판(310,320)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수저함(10)의 후면(13)과 근접되게 배치되는 후면판(330), 및 상기 좌,우측판(310,320)과 후면판(330)의 상단을 연결하고 전방측에 상기 회전판(35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판(350)의 회전을 위해 절개홈(355)이 형성된 상면부(3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170A KR102364714B1 (ko) | 2020-03-26 | 2020-03-26 |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170A KR102364714B1 (ko) | 2020-03-26 | 2020-03-26 |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0453A true KR20210120453A (ko) | 2021-10-07 |
KR102364714B1 KR102364714B1 (ko) | 2022-02-18 |
Family
ID=7811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7170A KR102364714B1 (ko) | 2020-03-26 | 2020-03-26 |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471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5538U (ko) * | 1993-08-17 | 1995-03-20 | 김종균 | 위생 수저통 |
KR200189775Y1 (ko) * | 1997-11-13 | 2000-09-01 | 조병화 | 위생덮개가 설치된 개량 수저통 |
KR20110049467A (ko) * | 2009-11-05 | 2011-05-12 | 김난영 | 위생수저통 덮개 |
KR101139037B1 (ko) | 2010-11-23 | 2012-04-30 | 양동훈 | 업소용 위생 수저통 |
KR20130135811A (ko) * | 2013-11-21 | 2013-12-11 | 장종현 | 수저통의 내부 커버 |
KR101349441B1 (ko) | 2012-05-08 | 2014-01-08 | 김종규 | 자외선 살균 수저통 |
-
2020
- 2020-03-26 KR KR1020200037170A patent/KR1023647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5538U (ko) * | 1993-08-17 | 1995-03-20 | 김종균 | 위생 수저통 |
KR200189775Y1 (ko) * | 1997-11-13 | 2000-09-01 | 조병화 | 위생덮개가 설치된 개량 수저통 |
KR20110049467A (ko) * | 2009-11-05 | 2011-05-12 | 김난영 | 위생수저통 덮개 |
KR101139037B1 (ko) | 2010-11-23 | 2012-04-30 | 양동훈 | 업소용 위생 수저통 |
KR101349441B1 (ko) | 2012-05-08 | 2014-01-08 | 김종규 | 자외선 살균 수저통 |
KR20130135811A (ko) * | 2013-11-21 | 2013-12-11 | 장종현 | 수저통의 내부 커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4714B1 (ko) | 2022-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95924A (en) | Personal toiletry case | |
KR200405861Y1 (ko) | 칫솔걸이 | |
KR101575404B1 (ko) | 자외선 살균 수저통 | |
KR102364714B1 (ko) |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 |
US4880020A (en) | Traveling toothbrush holder | |
KR20090011725U (ko) | 음식점 반찬 운반구 | |
KR20100011337U (ko) | 위생수저통 | |
KR20230148008A (ko) | 수저함용 위생수저커버 | |
US20110062174A1 (en) | Bathroom Caddy | |
KR200182902Y1 (ko) | 다기능 티슈 디스펜서 | |
KR200414452Y1 (ko) | 양치도구 보관함 | |
CN215959514U (zh) | 一种收纳盒和牙具收纳架 | |
KR20220000561U (ko) | 수저통 | |
JP2020050429A (ja) | 取り出し具付き容器 | |
KR102634928B1 (ko) | 위생 수저통 | |
US20100230302A1 (en) | Dispensing box cover | |
CA2262832A1 (en) | Artificial tooth storage box | |
JPS63147Y2 (ko) | ||
KR200177732Y1 (ko) | 물건 수납함 | |
JP3314153B2 (ja) | 食器乾燥機 | |
JPH059850Y2 (ko) | ||
KR200394468Y1 (ko) | 위생 수저통 | |
KR20090012906U (ko) | 다용도 수납함 | |
JP2578157Y2 (ja) | キャビネット | |
KR100377221B1 (ko) | 저장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