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732Y1 - 물건 수납함 - Google Patents

물건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732Y1
KR200177732Y1 KR2019970018421U KR19970018421U KR200177732Y1 KR 200177732 Y1 KR200177732 Y1 KR 200177732Y1 KR 2019970018421 U KR2019970018421 U KR 2019970018421U KR 19970018421 U KR19970018421 U KR 19970018421U KR 200177732 Y1 KR200177732 Y1 KR 200177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grooves
storage box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128U (ko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2019970018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73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건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주방용품 및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함(10)의 본체(11)에 개폐가능한 커버(2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납부(12)와 좌우양측면 내부에 전후방으로 각각 대응하는 축(13)을 형성하고, 본체(10)상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커버(20)의 전후방 하부 양측에는 각각 축(13)에 축지되는 요홈(22)을 형성하며, 상기 각 요홈(22)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납부(12)에는 다수의 홈(31)과 이 홈(31)에 다수의 통공(32)이 형성된 받침구(30)를 삽착시킨 것으로 수납함의 커버 개폐사용성이 용이하고, 물건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건 수납함
본 고안은 물건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함의 케이스에 커버를 구비하고, 이 커버를 착탈식으로 분리 및 축에 축지되어 회전개폐되도록 하여 수납함의 사용취급성을 높일 수 있게 한 물건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수납함은 각종 물건을 내부에 수용 및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물건 수납함은 가정용에서 쓰이는 수저 및 젓가락의 주방용품을 수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물건 수납함(10)의 종래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각형의 본체(11) 내에 수납부(12)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납함(10)은 본체(11)내의 물건을 수납 및 인출시킬 때 커버(20) 전체를 잡고 본체(11)에서 분리시킨 상태로 사용해야 했다.
또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함(10)의 본체(11) 양측면 일측에 대응하는 1쌍의 힌지(H)를 구성하고, 이 힌지(H)에 회전가능한 커버(20)를 축지함으로서 수납부(12) 내의 물건의 수납 및 인출시 커버(20)가 힌지(H)를 중심으로 항시 일방향으로 회전개폐시킨 상태로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각 수납함(10)의 수납부(12)에 수납된 물건의 수납 및 인출시 사용편의성이 극히 제한을 받아야 되므로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는 물건수납함의 본체의 양측면에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대응하는 축을 형성하고, 이 각 축에는 삽탈착이 가능한 커버를 서리하여 커버가 본체에서 착탈식으로 분리 및 각 축에서 양측으로 개폐 가능토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커버를 본체에서 분리시킨 상태도이고,
(b)는 커버를 축에 축지시켜 회전시킨 상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구성도로서,
(a)는 커버분리형 수납함이고,
(b)는 커버가 축에 축지되어 회전되는 수납함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함 11 ; 본체
13 ; 축 20 ; 컵
22 ; 요홈 30 ; 받침구
31 ; 홈 32 ; 통공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주방용품 및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함(10)의 본체(11)에 개폐가능한 커버(2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납부(12)와 좌우양측면 내부에 전후방으로 각각 대응하는 축(13)을 형성하고, 본체(10)상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커버(20)의 전후방 하부 양측에는 각각 축(13)에 축지되는 요홈(22)을 형성하며, 상기 각 요홈(22)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납부(12)에는 다수의 홈(31)과 이 홈(31)에 다수의 통공(32)이 형성된 받침구(30)를 삽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수납함(10)의 본체(10)가 장방형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납부(12)가 형성되며, 수납부(12)의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커버(20)가 착탈식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체(10)는 좌우양측판(14A)(14B)의 내부 상측 일 타측에 각각 서로 대응하는 축(13)을 돌출형성하고, 전후판(13)(13A)의 상부는 각 축의 중심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며, 외부면 상단에서 내측으로 곡면부(R)를 형성한다.
또한 본체(11) 상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커버(20)는 전·후측을 평면보다 하향돌출된 돌출부(21)를 형성하고, 각 돌출부(21)의 하부면 양측에는 각각 하부에 개방부(22A)를 형성한 요홈(22)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11)의 각 축(13)에 요홈(22)이 끼워지게 하며, 수납부(12)에는 다수의 홈(31)과 이 홈(31)에 다수의 통공(32)을 가진 받침구(30)를 착탈식으로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함(10)의 본체(11) 내에 형성된 수납부(12)로 물건의 수납 및 인출을 행할 때 커버(20)의 전·후면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들어올리면, 각 축(13)에 끼워진 요홈(22)이 분리되면서 커버(20)를 본체(11)에서 분리시킨다.
또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의 각 축(13)에 각 요홈(22)이 삽착된 커버(20)를 일측방으로 열게 되면 일측의 축(13)에 요홈(22)이 축지된 커버(20)가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외 반대로 타측으로 커버(20)를 개폐시킬 때에는 타측의 축(13)에 요홈(22)이 축지된 커버(20)를 개폐시켜 수납부(12) 내의 물건수납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수납함(10)은 필요에 따라 커버(20)를 본체(10)에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게 하고, 각 축(13)에서 커버(20)의 개폐방향을 오른손과 왼손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선택한 상태에서 개폐시키도록 함에 따라 수납함의 커버(20) 개폐성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또한 받침구(30)는 홈(31)의 통공(32)을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수납함(10)에 수납된 물건(수저 또는 주방용품)의 위생관리와 물기제거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는 물건수납함의 본체의 양측면에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대응하는 축을 형성하고, 이 각 축에는 삽탈착이 가능한 커버를 서리하여 커버가 본체에서 착탈식으로 분리 및 각 축에서 양측방향으로 커버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므로서 수납함의 커버 개폐사용성이 용이하고, 물건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종 주방용품 및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함(10)의 본체(11)에 개폐가능한 커버(2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납부(12)와 좌우양측면 내부에 전후방으로 각각 대응하는 축(13)을 형성하고, 본체(10)상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커버(20)의 전후방 하부 양측에는 각각 축(13)에 축지되는 요홈(22)을 형성하며, 상기 각 요홈(22)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납부(12)에는 다수의 홈(31)과 이 홈(31)에 다수의 통공(32)이 형성된 받침구(30)를 삽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수납함.
KR2019970018421U 1997-07-12 1997-07-12 물건 수납함 KR200177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421U KR200177732Y1 (ko) 1997-07-12 1997-07-12 물건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421U KR200177732Y1 (ko) 1997-07-12 1997-07-12 물건 수납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128U KR19990005128U (ko) 1999-02-05
KR200177732Y1 true KR200177732Y1 (ko) 2000-04-15

Family

ID=1950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421U KR200177732Y1 (ko) 1997-07-12 1997-07-12 물건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7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128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6412A (en) Fishing tackle box
US3182872A (en) Tackle boxes
CA3030808C (en) Fishing tackle box
KR200177732Y1 (ko) 물건 수납함
CA2303551C (en) Tool case with snap-in modules
US20110062174A1 (en) Bathroom Caddy
KR200231465Y1 (ko) 손톱소제용구함
KR102364714B1 (ko)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KR102185720B1 (ko) 냉장고
JPH01181809A (ja) 流し台
KR20220002491U (ko) 세탁물 바구니
CN216916971U (zh) 便于放置的电池储放盒
JP2852908B2 (ja) 水槽装置
KR100377221B1 (ko) 저장용기
KR200306587Y1 (ko) 김치 보관 용기
KR0182558B1 (ko) 다용도 쌀통
KR100373088B1 (ko) 저장용기
KR200196199Y1 (ko) 수납장
KR200204321Y1 (ko) 코너 수납장
KR20220000561U (ko) 수저통
KR200366975Y1 (ko) 다용도 소품 케이스
KR200315420Y1 (ko) 다용도 트레이 결합/분리 구조를 갖는 전기보온밥통
JPH0338096Y2 (ko)
KR940006777Y1 (ko) 회전식 양념용기 꽂이
KR20050031322A (ko) 냉장고용 보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