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452Y1 - 양치도구 보관함 - Google Patents

양치도구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452Y1
KR200414452Y1 KR2020060003514U KR20060003514U KR200414452Y1 KR 200414452 Y1 KR200414452 Y1 KR 200414452Y1 KR 2020060003514 U KR2020060003514 U KR 2020060003514U KR 20060003514 U KR20060003514 U KR 20060003514U KR 200414452 Y1 KR200414452 Y1 KR 200414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lid
storage
storing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순
Original Assignee
임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순 filed Critical 임대순
Priority to KR2020060003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4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1Container, e.g. bag or box with a collection of various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치도구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여행이나 외출시 양치도구를 보관하기가 마땅하지 않고 대부분 비닐이나 다른 방법으로 칫솔을 보관하여 세균과 물때 등에 노출이 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에 개폐가 가능한 뚜껑과 몸체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몸체의 저면으로 배수와 통풍이 가능한 배수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부에는 상, 하부원판에 양치도구를 보관하는 삽입홈을 구비한 수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양치로 인한 물기는 몸체 저면의 배수구로 빠지며 자연 통풍에 의한 건조가 가능하고 또한, 수납부의 삽입홈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보관된 칫솔들의 칫솔모가 서로 맞닿지 않아 위생적이고 깔끔한 보관이 가능하다.
칫솔, 보관함, 양치도구, 휴대용, 칫솔걸이

Description

양치도구 보관함{The toothpaste and toothbrush case}
도 1a,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명칭>
100: 양치도구 보관함 5: 본체부
10: 몸체 11: 안착돌기
12: 나사 15: 배수구
20: 뚜껑 22: 거울
30: 수납부 32: 삽입홈
33: 고정편 35: 지지대
37: 상부원판 38: 하부원판
40: 칫솔 50: 치약
본 고안은 양치도구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행이나 외출시 양치도구를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휴대하기 간편한 양치도구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여가시간 활용을 위해 여행할 시에 양치도구의 휴대는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자들은 소형의 비닐 가방이나 비닐 봉투에 양치도구를 보관한다. 이러한 양치도구를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잇고 휴대하기도 간편한 양치도구 보관함이 제안된 바 있다.
양치도구 보관함의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86-0001727의 "물컵을 겸한 휴대용 칫솔, 치약 케이스(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5333호의 "양치도구 보관함(이하, '종래기술 2'이라 함)"이 있다.
종래기술 1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과 본체 주면에 자바라식 주름을 형성하고 결합부를 가진 밴드로 체결한 구조이며, 종래기술 2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와 뚜껑 및 향균지로 구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칫솔과 치약을 보관하기 위한 구획벽이 형성되며 구획벽 상단에는 칫솔 거치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는 양치도구 보관과 휴대가 편리하기는 하나 양치도구의 물기를 배출하는 배수구나 자연건조를 할 수 있는 통풍구가 마련되지 않아 보관시 습기에 의해 양치도구와 보관함 내에 세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행은 가족이나 여러 사람이 함께 움직이기에 다수개의 칫솔을 위생적으로 함 께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자연 건조가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보다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며 또한, 다수개의 칫솔을 보관시 칫솔모가 서로 맞닿지 않아 위생적인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이 용이한 양치도구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원통형에 개폐가 가능한 뚜껑과 몸체로 구성된 본체부와; 몸체의 내부에는 상, 하부원판으로 구성되는 수납부와; 몸체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 하부원판에는 칫솔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삽입홈과 치약을 보관하는 삽입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에 있어서, 뚜껑은 나사연결방식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며, 몸체의 내측으로 상기 상, 하부원판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는 원주를 따라 상기 상, 하부원판 두께 넓이의 간격으로 안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몸체의 내측으로 삽착되는 상기 상, 하부원판은 지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에 있어서, 칫솔을 보관하는 상기 삽입홈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칫솔모가 서로 맞닿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뚜껑은 거울이 더 구비되고, 상, 하부원판에는 양치도구를 고정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100)의 사시도로 양치도구 보관함(100)은 원통형으로 뚜껑(20)과 몸체(10)로 이루어지는 본체부(5)와 몸체(10)의 내경에 삽착되는 수납부(3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부(5)는 다각형이나 다른 모양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뚜껑(20)의 상면에는 거울(22)을 부착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거울(22)을 대신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의 대용제품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뚜껑(20)은 물 컵으로도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내부에는 양치도구(40, 50)를 수납하는 수납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치도구 보관함(100)의 분해 사시도로, 뚜껑(20)과 몸체(10)는 나사(12)연결방식으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개폐방법으로는 뚜껑(20)의 하부에 소정부분의 외경을 몸체(10)의 상부에 소정부분의 외경보다 더 넓게 형성하고 뚜껑이 걸리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뚜껑(20)을 몸체(10)에 끼우는 구조로 개폐 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경 실시예는 뚜껑(20)과 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여러 방법으로 제작의 변경이 가능하다.
양치도구 보관함(100)의 몸체(10)의 저면으로 물기의 배출이 가능한 다수개의 배수구(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구(15)는 공기의 통로로 자연건조가 가능한 통풍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양치도구(40, 50)의 물기로 본체부(5)의 내부에 습기가 차고 이로 인한 세균의 번식이 가능하여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측으로는 상, 하부원판(37, 38)으로 구성된 수납부(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부와 하부의 일 측에는 원주를 따라 상, 하부원판(37, 38)두께 넓이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안착돌기(1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자리 둘레가 라운드 처리된 상부원판(37)과 하부원판(38)을 억지끼움 식으로 몸체(10)의 내경에 밀어넣으면 상부원판(37)과 하부원판(38)이 탄성력에 의해 안착돌기(1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방법은 상부원판(37)과 하부원판(38)을 보다 견고하게 몸체(10)에 고정하고 양치도구(40, 50)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납부(30)를 본체부(5)의 몸체(10)에 고정하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로 상, 하부원판(37, 38)에 지지대를 구비하여 몸체(10)에 삽착하는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미도시)
상부원판(37)과 하부원판(38)에는 칫솔(40)을 보관하는 삽입홈(32)과 치약(50)을 보관하기 위한 삽입홈(32)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부원판(37)과 하부원판(38)에는 탄성력을 가진 플라스틱재질로 중앙에는 양치도구(40, 50)를 꽂는 홈이 형성되고 십자형태로 갈라진 모양의 고정편(33)을 부착하여 양치도구(40, 50)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a는 고정편(33)을 위에서 본 부분 확대도로 양치도구(40, 50)를 삽입홈(32)의 고정편(33)에 끼워넣으면 플라스틱의 탄성력으로 양치도구(40, 50)를 유동이 없도록 잡아주어 보다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의 저면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양치도구의 물기를 배출할 수 있고 동시에 통풍으로 인한 자연건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부에 보관되는 양치도구는 유동이 없이 안정적인 보관을 할 수 있으며 칫솔모가 서로 맞닿지 않는 구조로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며 휴대하기도 간편하다.

Claims (7)

  1. 양치도구를 보관하는 양치도구 보관함에 있어서,
    원통형에 개폐가 가능한 뚜껑과 몸체로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 하부원판으로 구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원판에는 칫솔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삽입홈과 치약을 보관하는 삽입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도구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나사연결방식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도구 보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상기 상, 하부원판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는 원주를 따라 상기 상, 하부원판 두께 넓이의 간격으로 안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도구 보관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삽착되는 상기 상, 하부원판은 지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도구 보관함.
  5. 제1항에 있어서, 칫솔을 보관하는 상기 삽입홈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칫 솔모가 서로 맞닿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도구 보관함.
  6. 제1항에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거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도구 보관함.
  7. 제1항에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원판에는 양치도구를 고정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도구 보관함.
KR2020060003514U 2006-02-08 2006-02-08 양치도구 보관함 KR200414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514U KR200414452Y1 (ko) 2006-02-08 2006-02-08 양치도구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514U KR200414452Y1 (ko) 2006-02-08 2006-02-08 양치도구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452Y1 true KR200414452Y1 (ko) 2006-04-20

Family

ID=4929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514U KR200414452Y1 (ko) 2006-02-08 2006-02-08 양치도구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4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60B1 (ko) 2006-04-27 2007-04-20 장경화 세정용 컵을 일체로 구비한 양치수단 보관용 케이스
KR20190120495A (ko) * 2018-04-16 2019-10-24 김민준 컵 결합용 칫솔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60B1 (ko) 2006-04-27 2007-04-20 장경화 세정용 컵을 일체로 구비한 양치수단 보관용 케이스
KR20190120495A (ko) * 2018-04-16 2019-10-24 김민준 컵 결합용 칫솔 거치대
KR102078102B1 (ko) 2018-04-16 2020-02-17 김민준 컵 결합용 칫솔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868B2 (en) Toothbrush holder
US7299922B2 (en) Decorative dentifrice holder
US20010003332A1 (en) Toothbrush holder
US7318522B2 (en) Carrying case for dental hygiene supplies and holster for carrying case
KR200414452Y1 (ko) 양치도구 보관함
KR101648375B1 (ko) 착탈식 칫솔꽂이
US5295575A (en) Toothbrush holder and room odorizer
KR200497000Y1 (ko) 자석식 칫솔 거치대
KR200479405Y1 (ko) 휴대용 칫솔
KR200393519Y1 (ko) 치솔과 컵 살균 소독기
KR200436353Y1 (ko) 칫솔꽂이
KR200401763Y1 (ko) 휴대용 칫솔
KR200385333Y1 (ko) 양치도구 보관함
KR102214587B1 (ko) 양치용 컵 결합형 칫솔세트
KR20090009474U (ko) 휴대용 세면도구 보관 케이스
KR102347097B1 (ko) 양치컵
KR102364714B1 (ko)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KR200365556Y1 (ko) 치솔 보호캡
KR200455445Y1 (ko) 일회용 봉투 컵이 내장된 휴대용칫솔
KR200485176Y1 (ko) 칫솔통
KR200270079Y1 (ko) 물컵을 갖는 휴대용 치약 칫솔 보관통
CN106308011A (zh) 一种纳米牙刷
KR200418029Y1 (ko) 치간 칫솔용 케이스
KR20220002916U (ko) 양치도구 보관함
JP2023109283A (ja) 歯ブラシ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