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166A -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166A
KR20210120166A KR1020200036204A KR20200036204A KR20210120166A KR 20210120166 A KR20210120166 A KR 20210120166A KR 1020200036204 A KR1020200036204 A KR 1020200036204A KR 20200036204 A KR20200036204 A KR 20200036204A KR 20210120166 A KR20210120166 A KR 20210120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ser terminal
menu
foo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더블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더블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더블유텍
Priority to KR102020003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166A/ko
Publication of KR2021012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점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음식 서비스 방법은, 메뉴들 각각에 식별코드가 부여된 메뉴판이 제공되는 제1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음식점 서버에 접속함에 의해,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음식점 서버에서 해당 메뉴가 조리되는 조리장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해당메뉴의 조리과정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조리과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3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food service}
본 발명은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또는 고객이 주문한 음식이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제공되도록 함에 의해 먹거리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음식을 기다리는 동안 지루함 및 무료함을 달랠 수 있는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은 가정에서 조리를 하여 먹고 있으나 사회의 다변화와 핵 가족화 및 문화생활의 증대에 따라 직접 음식조리를 하기보다는 음식점을 방문하여 음식을 주문하여 먹는 외식문화가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식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의 위생불량, 불량식자재 사용, 비위생적인 조리과정 등의 문제로 인하여 음식점에 대한 불신 및 불만도 고조되어 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음식점을 방문하여 음식을 주문한 사용자는 음식의 조리과정과 조리환경을 알 수가 없어 항상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취식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믿을 수 있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음식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5157호(2016.07.2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주문한 메뉴에 대한 조리과정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먹거리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음식을 기다리는 동안 지루함 및 무료함을 달랠 수 있는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점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음식 서비스 방법은, 메뉴들 각각에 식별코드가 부여된 메뉴판이 제공되는 제1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음식점 서버에 접속함에 의해,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음식점 서버에서 해당 메뉴가 조리되는 조리장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해당메뉴의 조리과정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조리과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3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2단계와 상기 제3단계 사이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메뉴에 대한 주문이 요청되면, 상기 음식점 서버는 해당메뉴의 금액정보, 재료정보, 맛 평가정보, 조리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뉴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주문을 확인하도록 하는 주문확인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식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한 식탁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서도 상기 조리과정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식점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동일시간대에 동일한 메뉴가 주문된 경우에는, 해당 메뉴에 대한 조리과정영상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각각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식점 서버는, 각 조리단계별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경우에, 각 조리단계별 영상 사이에 음식점 소개영상,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유래나 먹는법, 음식의 효과에 대한 인터벌 영상을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서비스 시스템은, 메뉴들 각각에 식별코드가 부여된 메뉴판이 제공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의 식별코드를 인식함에 의해,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메뉴에 대한 주문이 요청되면, 해당메뉴의 금액정보, 재료정보, 맛 평가정보, 조리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뉴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주문을 확인하도록 하고, 주문이 확인되면, 해당 메뉴가 조리되는 조리장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해당메뉴의 조리과정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조리과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음식점 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음식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식탁들 각각에 배치된 모터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음식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한 식탁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서도 상기 조리과정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식점 서버는, 각 조리단계별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경우에, 각 조리단계별 영상 사이에 음식점 소개영상,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유래나 먹는법, 음식의 효과에 대한 인터벌 영상을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조리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먹거리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음식을 기다리는 동안 지루함 및 무료함을 달랠 수 있으며, 음식이 나오기 전에, 시각, 청각으로 식욕을 돋우고, 음식이 나온 후에 시각, 후각 등으로 식사를 할 수 있어 업그레이드된 음식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음식점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음식 서비스 방법의 동작순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조리단계별 촬영 영상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각 조리단계별 영상제공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음식점 서버(200)를 구비한다.
음식점에는 복수의 식탁들이 배치되고, 각각의 식탁들에는 식탁번호 또는 식탁 아이디가 부여되어 있으며, 각각의 식탁들에는 메뉴판이 구비되고, 메뉴판에는 서비스 가능한 음식메뉴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음식메뉴에는 대응되는 QR코드나 바코드, 알에프 태그 등의 2차원 식별코드가 인쇄되어 있게 된다.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음식점 서버(200) 해당 메뉴를 주문하기 위한 키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메뉴들 각각에 식별코드가 부여된 메뉴판이 제공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음식점 서버(200)에 접속함에 의해,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음식점 서버(200)와 WIFI 등의 무선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스마트폰, 태블릿, PDA 등을 포함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모바일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칩이 탑재되어 메뉴판에 인쇄된 메뉴별 식별 코드의 인식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해당메뉴에 대한 주문이 요청되면, 해당메뉴의 금액정보, 재료정보, 맛 평가정보, 조리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뉴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주문을 확인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주문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주문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메뉴가 조리되는 조리장소에 해당 음식메뉴의 조리를 지시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상기 조리장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미도시)를 제어하여 해당메뉴의 조리과정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조리과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웹카메라, CCTV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식점 서버(2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조리과정의 각 단계별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 조리단계를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조리장소 전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각 조리단계별 예상소요시간을 통해 해당 조리단계의 카메라를 선택하여 각 조리단계별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리가 시작되면, 조리장소에서는 테이블 단위로 주문된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 들어간다. 음식 조리과정 및 음식 제공과정은 음식 재료의 선별 및 운반단계, 재료의 세척단계, 재료의 1차 조리가공단계, 재료의 2차 조리가공단계, 재료의 3차 조리가공단계, 플레이팅 단계 및 서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단계별로 웹카메라, CCTV 등의 카메라를 촬영하여 상기 음식점 서버(200)를 통해 각 단계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WIFI 등의 무선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플레이팅 단계에서는 요리사의 쇼맨쉽이나 다양한 장식, 또는 다양한 연출을 통해 음식을 기다리는 사용자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음식 조리과정 및 음식 제공과정은 끊김이 없이 이어지는 것이 아니고, 조리시 조리위치도 바뀌는 경우 등이 있기 때문에, 각 조리과정이 끊김없이 이어지지 않고, 각 조리단계의 사이에 인터벌 시간이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재료의 세척단계의 경우, 물이 있는 싱크대 등에서 세척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재료의 조리가공단계의 경우는 세척된 재료를 가지고 조리를 해야하므로, 가스렌지 등의 불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야 한다. 이 경우 재료의 이동시간이 있으므로, 재료세척단계에서 재료의 1차 조리가공단계로 넘어가는 사이를 포함하여 각 조리단계의 사이에는 인터벌 시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인터벌 시간에는 상기 음식점 서버(200)에 저장된 별도의 인터벌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과정이, 음식 재료의 선별 및 운반단계, 재료의 세척단계, 재료의 1차 조리가공단계, 재료의 2차 조리가공단계, 재료의 3차 조리가공단계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때, 각 조리단계별로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은, 음식 재료의 선별 및 운반단계영상(①), 재료의 세척단계영상(②), 재료의 1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③), 재료의 2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④), 재료의 3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⑤)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각 조리단계별 영상들(①②③④⑤)은 상기 음식점 서버(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각 조리단계의 사이의 인터벌 시간에는 상기 음식점 서버(200)에 저장된 인터벌 영상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인터벌 영상들(ⓐⓑⓒⓓ)은 음식점 소개영상,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유래나 먹는법, 음식의 효과 등에 대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음식을 주문한 경우, 음식 재료의 선별 및 운반단계영상(①), 제1인터벌 영상(ⓐ), 재료의 세척단계영상(②), 제2인터벌 영상(ⓑ), 재료의 1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③), 제3인터벌 영상(ⓒ), 재료의 2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④), 제4인터벌 영상(ⓓ) 재료의 3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⑤) 순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이 경우 각 조리단계 영상 및 각 인터벌 영상의 전송시간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조리단계영상의 경우는 각 단계별 평균 조리시간을 기준으로 하고, 인터벌 영상의 경우도 평균 인터벌 시간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식을 주문하고 음식이 제공될 때까지 주문한 음식의 조리과정을 포함하여 먹는 방법, 음식의 유래 등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식탁들 각각에 모니터를 배치하고,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배치된 모니터에도 주문된 음식의 각 조리단계별 영상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음식점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음식 서비스 방법의 동작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점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음식 서비스 방법은 우선, 메뉴들 각각에 식별코드가 부여된 메뉴판이 제공되는 것으로 시작된다(S110).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해당 메뉴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음식점 서버(200)에 접속함에 의해,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이 요청되게 된다(S112).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해당메뉴에 대한 주문이 요청되면,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해당메뉴의 금액정보, 재료정보, 맛 평가정보, 조리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뉴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주문을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주문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해당 메뉴가 조리되는 조리장소에 해당 음식메뉴의 조리를 요청하거나 지시하게 된다(S116).
이후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상기 조리장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미도시)를 제어하여 해당메뉴의 조리과정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조리과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게 된다.
음식 재료의 선별 및 운반단계, 재료의 세척단계, 재료의 1차 조리가공단계, 재료의 2차 조리가공단계, 재료의 3차 조리가공단계, 플레이팅 단계 및 서빙 단계를 포함하는 각각의 조리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촬영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조리가 시작되면, 조리장소에서는 테이블 단위로 주문된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 들어간다.
이 경우 각 단계별로 웹카메라, CCTV 등의 카메라를 촬영하여 상기 음식점 서버(200)를 통해 각 단계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WIFI 등의 무선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플레이팅 단계에서는 요리사의 쇼맨쉽이나 다양한 장식, 또는 다양한 연출을 통해 음식을 기다리는 사용자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과정이, 음식 재료의 선별 및 운반단계, 재료의 세척단계, 재료의 1차 조리가공단계, 재료의 2차 조리가공단계, 재료의 3차 조리가공단계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때, 각 조리단계별로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은, 음식 재료의 선별 및 운반단계영상(①), 재료의 세척단계영상(②), 재료의 1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③), 재료의 2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④), 재료의 3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⑤)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각 조리단계별 영상들(①②③④⑤)은 상기 음식점 서버(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각 조리단계의 사이의 인터벌 시간에는 상기 음식점 서버(200)에 저장된 인터벌 영상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인터벌 영상들(ⓐⓑⓒⓓ)은 음식점 소개영상,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유래나 먹는법, 음식의 효과 등에 대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음식을 주문한 경우, 음식 재료의 선별 및 운반단계영상(①), 제1인터벌 영상(ⓐ), 재료의 세척단계영상(②), 제2인터벌 영상(ⓑ), 재료의 1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③), 제3인터벌 영상(ⓒ), 재료의 2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④), 제4인터벌 영상(ⓓ) 재료의 3차 조리가공단계영상(⑤) 순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식을 주문하고 음식이 제공될 때까지 주문한 음식의 조리과정을 포함하여 먹는 방법, 음식의 유래 등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가 위치된 식탁에 모니터가 있는 경우에는, 모니터를 통해서도 조리과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식탁의 모니터는 식탁번호 또는 식탁아이디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식탁번호나 식탁아이디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한 식별코드의 인식 때 상기 음식점 서버(200)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모니터를 통한 영상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동일시간대에 동일한 메뉴가 주문된 경우에는, 해당 메뉴에 대한 조리과정영상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각각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시간대에 동일한 메뉴가 주문된 경우에는, 동일한 조리과정을 거쳐 음식이 조리되기 때문에, 동동일한 조리과정 영상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음식점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조리과정 영상이 실시간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영상이 제공되는 시점의 날짜와 시간을 합성하여 함께 제공하거나, 조리장소 내에 현재시간을 알려주는 시계를 배치하고 시계의 시간이 촬영되도록 하여 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조리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먹거리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음식을 기다리는 동안 지루함 및 무료함을 달랠 수 있으며, 음식이 나오기 전에, 시각, 청각으로 식욕을 돋우고, 음식이 나온 후에 시각, 후각 등으로 식사를 할 수 있어 업그레이드된 음식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음식점 서버

Claims (8)

  1. 음식점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음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메뉴들 각각에 식별코드가 부여된 메뉴판이 제공되는 제1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음식점 서버에 접속함에 의해,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음식점 서버에서 해당 메뉴가 조리되는 조리장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해당메뉴의 조리과정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조리과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3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와 상기 제3단계 사이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메뉴에 대한 주문이 요청되면, 상기 음식점 서버는 해당메뉴의 금액정보, 재료정보, 맛 평가정보, 조리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뉴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주문을 확인하도록 하는 주문확인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한 식탁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서도 상기 조리과정영상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점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동일시간대에 동일한 메뉴가 주문된 경우에는, 해당 메뉴에 대한 조리과정영상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각각 실시간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점 서버는, 각 조리단계별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경우에, 각 조리단계별 영상 사이에 음식점 소개영상,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유래나 먹는법, 음식의 효과에 대한 인터벌 영상을 삽입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비스 방법.
  6. 음식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메뉴들 각각에 식별코드가 부여된 메뉴판이 제공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의 식별코드를 인식함에 의해,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메뉴에 대한 주문이 요청되면, 해당메뉴의 금액정보, 재료정보, 맛 평가정보, 조리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뉴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주문을 확인하도록 하고, 주문이 확인되면, 해당 메뉴가 조리되는 조리장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해당메뉴의 조리과정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조리과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음식점 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음식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식탁들 각각에 배치된 모터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음식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한 식탁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서도 상기 조리과정영상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음식점 서버는, 각 조리단계별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경우에, 각 조리단계별 영상 사이에 음식점 소개영상,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유래나 먹는법, 음식의 효과에 대한 인터벌 영상을 삽입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서비스 시스템.



KR1020200036204A 2020-03-25 2020-03-25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10120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04A KR20210120166A (ko) 2020-03-25 2020-03-25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04A KR20210120166A (ko) 2020-03-25 2020-03-25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166A true KR20210120166A (ko) 2021-10-07

Family

ID=7860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204A KR20210120166A (ko) 2020-03-25 2020-03-25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1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57B1 (ko) 2015-11-10 2016-08-02 주식회사 넥스미디어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57B1 (ko) 2015-11-10 2016-08-02 주식회사 넥스미디어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61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ustomer interaction with the attendants working in a restaurant
US200600852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taurant electronic menu
US7180405B2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restaurant services
CN103946905A (zh) 订餐系统
JP6751840B2 (ja) 図形コードに基づくスマート料理注文システム
CN109993157A (zh) 基于机器人的配送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17090995A (ja) 飲食店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20170136844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메뉴 관리 및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4026A (ko) 전자테이블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88469A2 (zh) 一种获取菜品选择信息的系统
KR20180083653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메뉴판 시스템
KR20210120166A (ko)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90011624A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맞춤형 양방향 비대면 전자주문시스템
KR102042107B1 (ko) 식당 선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JP2020129262A (ja) オーダエントリシステム、携帯端末、テーブル備付端末、pos端末、および注文方法
KR20180001120A (ko) 온라인 식당 예약 통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529844B1 (ko) 음식 식자재 이력과 조리 유통 과정의 실시간 영상 확인 시스템
KR102262536B1 (ko) 전자 메뉴 주문 및 결제 시스템
JP4732912B2 (ja) セルフ注文管理システム
KR20150121478A (ko) 주문 처리 시스템
JP7057809B1 (ja)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システム、画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64272A (ja) 情報システム、ユーザ端末、サーバ装置、厨房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09276A (ko) 감성 조명 및 사운드 연동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식당 테이블 시스템
KR20120134320A (ko) 주방의 실시간 위생 상태 확인을 통한 음식점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JP6955080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