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157B1 -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157B1
KR101645157B1 KR1020150157127A KR20150157127A KR101645157B1 KR 101645157 B1 KR101645157 B1 KR 101645157B1 KR 1020150157127 A KR1020150157127 A KR 1020150157127A KR 20150157127 A KR20150157127 A KR 20150157127A KR 101645157 B1 KR101645157 B1 KR 10164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unction
delivery
integr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미디어
Priority to KR102015015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은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가 주문자 장치로 복수의 음식점 및 복수의 음식점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식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가 주문자 장치로부터 음식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가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음식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가맹점의 운영자 장치로 음식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음식에 대한 포장 또는 배달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결제 정보는 가맹점의 POS(point of sales) 장치로도 전송되어 운영자 장치와 POS 장치가 연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otal service for providing food}
본 발명은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중파 및 케이블 방송 등을 통해서도 지적된 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회사가 제공하는 음식 배달 주문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의 경우, 가맹점에게는 온라인 주문 접수 및 정산 정보가 오프라인 가맹점 내 POS(Point of Sales) 시스템과 제대로 연계되지 않아 다수의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상당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더불어, 소비자에게는 유사한 APP의 범람과 APP종류별 제공정보의 양과 질의 차이로 인해 이용 신뢰도 저하와 소비자 혼선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중매체광고의 경쟁적 집행으로 인한 원가 상승 요인이 가맹점으로 일부 전가되어 소비자에게 음식 가격 상승과 서비스 품질 저하로 고스란히 반영되어 소비자 불만과 배달 민원 등 진정한 의미의 O2O 서비스 구현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1인 세대 증가, 스마트폰 보급 및 자가용 이용자의 확산 등 개인의 취향과 상황, 연령에 따른 음식의 소비 형태 및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으나, 배달 음식 업종과 달리 매장 음식 업종은 음식 정보 구축과 서비스 모델 발굴의 한계로 인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예약/테이크아웃 주문 등 O2O서비스가 아직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음식주문 O2O 플랫폼이 필요하다.
KR 10-2009-0047535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은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가 주문자 장치로 복수의 음식점 및 상기 복수의 음식점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식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가 상기 주문자 장치로부터 음식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가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식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가맹점의 운영자 장치로 상기 음식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식에 대한 포장 또는 배달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POS(point of sales) 장치로도 전송되어 상기 운영자 장치와 상기 POS 장치가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주문자 장치로 주문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주문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맛집 정보 제공 기능, 음식점 예약 기능, 음식 배달 주문 기능, 음식 포장 주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배달자의 배달자 장치로 배달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배달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문 정보에 기반한 상기 음식에 대한 배달 요청 메시지가 상기 배달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음식점을 배달 업종과 매장 업종으로 분류하고,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배달 업종과 상기 매장 업종으로 공통적으로 쌍방향 메시징 기능, 모바일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기능, 통합 리워드 관리 기능, 원격 인증 자동 설치 및 복구 기능, 데이터 백업 클라우드 기능. 듀얼 데이터 저장 기능 및 데이터 기반 고객 마케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배달 업종에 대하여 통합 주문 접수/결제/정산 기능, 안심 번호 변환 기능, 신주소/구주소 지도 정보 매칭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매장 업종에 대하여 실시간 대기 순번 및 시간 관리 기능, 위치 기반 시간/거리 안내 기능, 근거리 무선통신 결합 O2O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주문자 장치로 복수의 음식점 및 상기 복수의 음식점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식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문자 장치로부터 음식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식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가맹점의 운영자 장치로 상기 음식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식에 대한 포장 또는 배달을 요청하도록 구현될 수 있되,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POS(point of sales) 장치로도 전송되어 상기 운영자 장치와 상기 POS 장치가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문자 장치로 주문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주문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맛집 정보 제공 기능, 음식점 예약 기능, 음식 배달 주문 기능, 음식 포장 주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배달자의 배달자 장치로 배달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되, 상기 배달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문 정보에 기반한 상기 음식에 대한 배달 요청 메시지가 상기 배달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음식점을 배달 업종과 매장 업종으로 분류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달 업종과 상기 매장 업종으로 공통적으로 쌍방향 메시징 기능, 모바일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기능, 통합 리워드 관리 기능, 원격 인증 자동 설치 및 복구 기능, 데이터 백업 클라우드 기능. 듀얼 데이터 저장 기능 및 데이터 기반 고객 마케팅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달 업종에 대하여 통합 주문 접수/결제/정산 기능, 안심 번호 변환 기능, 신주소/구주소 지도 정보 매칭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장 업종에 대하여 실시간 대기 순번 및 시간 관리 기능, 위치 기반 시간/거리 안내 기능, 근거리 무선통신 결합 O2O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는 전국 음식점 및 음식에 대한 정보를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주문자의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식에 대한 예약/주문/결제/포장/배송/정산까지에 이르는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연동 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2개 시장분야(배달 및 매장 업종)에 최적화된 음식 제공 서비스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배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배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자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국 음식점의 업소에 대한 정보 및 전국 음식점의 업소에서 제공 가능한 음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배달 주문과 매장 예약, 매장 방문 테이크아웃 및 반조리 포장 등 소비자 니즈별 음식 주문 형태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에서는 오프라인 가맹점 POS(point of sales) 시스템(또는 매장 POS 장치)과 실시간 온라인 연동이 가능한 푸드 올인원 서비스가 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푸드 올인원 서비스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또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 장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아래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의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문자는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PC 등)(이하, 주문자 장치)에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주문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주문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맛집 정보, 음식점 예약 정보, 음식 배달 주문 정보, 음식 결제 정보, 음식 포장 주문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주문자는 주문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식점을 검색하고, 예약하고, 음식을 배달 주문/포장 주문까지 한번에 실행 가능한 푸드 올인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음식점 정보,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맛집 정보를 제공하고, 각 음식점 서버(또는 음식점 운영자의 사용자 장치)(이하 운영자 장치)와 연동하여 음식점 예약, 음식 배달 주문, 음식 포장 주문, 음식 결제 등의 서비스를 주문자 장치를 통해 주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운영자 장치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운영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운영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주문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예약 접수/주문 접수/결제/배송/포장/정산/고객 관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음식점의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자는 운영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식점을 검색하고 음식점에서 특정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문자 장치에 의해 주문 정보가 생성되고, 주문 정보는 운영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주문 정보는 예약 접수/주문 접수/결제/배송/포장/정산 등과 같은 음식점에서 음식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운영자 장치와 음식점에 구현된 매장 POS 장치는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수신된 음식에 대한 예약 주문 정보 및 결제 정보는 매장 POS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운영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음식에 대한 예약 주문 정보 및 결제 정보 등은 매장 POS 장치의 음식에 대한 예약 주문 정보 및 결제 정보 등과 동기화될 수 있다. 또는 주문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주문자 정보가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직접적으로 매장 POS로 제공되고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운영자 장치와 매장 POS 장치가 동기화될 수 있다.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또한, 음식을 배달하는 배달자의 사용자 장치(배달자 장치)로 배달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배달자 장치는 배달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운영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별도의 배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배달자는 배달 요청 메시지에 따른 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된 음식에 대한 조리가 완료된 경우, 음식점 운영자는 운영자 장치를 통해 배달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배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배달 요청 메시지는 배달 음식, 배달 위치, 결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자 장치는 배달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배달 관련 정보를 배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주문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주문자 정보가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직접적으로 배달자 장치로 전송되고 배달 관련 정보가 배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에 대한 영업을 위한 영업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주문자와 음식점(또는 가맹점) 사이에서 제공되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가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주문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주문자에 의해 주문 가능한 음식점, 주문 가능한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주문자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음식점 정보/제공 가능한 음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주문자 장치를 통해 음식을 주문할 수 있고, 음식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주문자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주문자 장치를 통해 식당 방문 시간을 예약할 수도 있다. 즉, 주문 정보는 주문자의 주문/결제/배송/예약 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자 장치(220)에 의해 생성된 주문 정보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푸드 올인원 서비스에 가입한 가맹점(음식점)으로 전달될 수 있다. 운영자 장치(240)로 주문 정보가 전송되고, 음식점에서는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음식을 주문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 장치(240)는 음식점의 광고/할인 행사 정보를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200)는 음식점의 광고/할인 행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광고/할인 행사 정보를 푸드 올인원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음식점의 광고/할인 행사 정보를 음식점이 배달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 이용자들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200)는 음식을 주문한 주문자에게 통합 포인트, 쿠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200)는 주문자에 의해 결제된 금액을 결제 금액 관리 대행 기관으로서 관리하고, 음식점의 음식 서비스에 대해 결제된 금액을 음식점의 운영자에게 지불할 수 있다.
음식점 운영자는 결제 절차에 대한 수수료, 가맹점에 대한 비용, 광고료 등을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200)를 운영하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 회사로 지불할 수 있다. 또한, 주문자는 음식의 주문/배달/예약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결제 금액의 일부를 서비스 이용료로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200)를 운영하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 회사로 지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주문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 운영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20) 및 배달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60)의 실시간 연동이 개시된다. 또한, 매장 POS와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도 개시된다.
어플리케이션과의 단방향 통신이나 인앱(In-APP) 방식의 결제에 한정되는 워크플로우와 수동 입력에 의한 정산 방식을 가진 기존의 매장 POS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으로 연동할 수 있는 온라인 POS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POS 장치(340)로 실시간 주문/결제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매장의 운영자에 의한 별도의 주문/결제 정보의 입력 없이 운영자 장치와 매장 내 POS 장치(340)가 연동될 수 있다.
주문자용 어플리케이션(300)은 주문자에게 맛집 정보 제공 기능, 배달 주문 기능, 테이크아웃 기능 등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운영자용 어플리케이션(320)은 매장 POS 장치(340),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결제 단말 등과 연동되어 매장 내 운영 장치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기존의 음식 배달 서비스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는 전국 음식점 및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주문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예약/주문/결제/포장/배송/정산까지에 이르는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연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달 음식 업종과 매장 음식 업종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배달 주문이 가능한 배달 음식 업종을 위해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고객 주문 중계 기능, 쌍방향 메시징 기능, 결제 관리 기능, 배송 현황, 배송 지도 연동, 안심 번호 배송 중계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매장에서만 음식을 제공하는 매장 음식 업종을 위해 업소 정보 및 음식 정보 관리 기능, 대기 시간/위치 중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매장용 근거리 비콘 시스템이 추가로 제공되어 푸드 올인원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배달 음식 업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매장 음식 업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배달 음식 업종과 매장 음식 업종에 대해 공통되게 쌍방향 실시간 메시징 기능, 모바일 CMS 기능, 통합 리워드 관리 기능, 원격 인증 설치 복구 기능, 데이터 백업 클라우드 기능, 듀얼 데이터 저장 기능, 데이터 기반 고객 마케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배달 음식 업종과 매장 음식 업종 각각에 대해 특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배달 음식 업종에 제공되는 특화된 기능으로 통합 주문접수/결제/정산 기능, 가상 안심번호 변화 기능, 신주소/구주소 지도 정보 매칭 기능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매장 음식 업종에 제공되는 특화된 기능으로 실시간 대기 순번 및 시간 관리 기능, 위치 기반 시간/거리 안내 기능, 근거리 무선통신 O2O 마케팅 기능 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배달 음식 업종과 매장 음식 업종 각각에 제공되는 특화된 기능들은 단순한 예시로서, 각 기능들은 필요에 따라 배달 음식 업종 및/또는 매장 음식 업종에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배달 음식 업종에 제공되는 특화된 기능인 통합 주문접수/결제/정산 기능, 가상 안심번호 변화 기능, 신주소/구주소 지도 정보 매칭 기능 등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통합 주문 접수/결제/정산 기능은 고객의 주문 내역이 실시간으로 운영자용 어플리케이션, 매장 POS, 배달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통합 접수되고, 결제 내역이 매장 POS를 통해 통합되어 정산되는 기능이다.
가상 안심 번호 변화 기능은 전화 주문시 가맹점 가상 전화 번호로 매칭하고, 배송업체 전달시 고객 전화 번호는 제한된 시간 내 사용 가능한 안심 번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이다.
신주소/구주소 지도 정보 매칭 기능은 고객에게 접수된 신주소 및 구주소를 지도 정보와 완벽하게 매칭시켜 매장 POS 장치 및 배달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기능이다.
매장 음식 업종에 별도로 제공되는 실시간 대기 순번 및 시간 관리 기능, 위치 기반 시간/거리 안내 기능, 근거리 무선통신 O2O 마케팅 기능은 아래와 같다.
실시간 대기 순번 및 시간 관리 기능은 테이크아웃 전문점이나 맛집 음식점, 고객 집중 시간대 포장 주문시 포장 대기 순번 및 소요 시간을 실시간으로 매장으로부터 주문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이다.
위치 기반 시간/거리 안내 기능은 주문자의 포장 주문 후 출발 지점으로부터 매장으로 도착될 때까지 주문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 소요 시간 및 이동 상황을 측정하여 운영자 장치로 제공하는 기능이다.
근거리 무선통신 O2O(online to offline) 마케팅 기능은 주문자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주문자 장치를 소지한 주문자 입장시 블루투스 및 고주파 대역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고객 확인, 결제 확인을 수행하고, 주문자에게 포장 음식 출고 상황을 알리고, 포인트/쿠폰 등의 제공 등을 하기 위한 기능이다.
또한,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에 의해 배달 음식 업종과 매장 음식 업종에 대해 공통되게 제공되는 쌍방향 실시간 메시징 기능, 모바일 CMS 기능, 통합 리워드 관리 기능, 원격 인증 설치 복구 기능, 데이터 백업 클라우드 기능, 듀얼 데이터 저장 기능, 데이터 기반 고객 마케팅 기능은 아래와 같다.
쌍방향 실시간 메시징 기능은 메시징 서버 기반 주문-접수-음식 완료-도착 시간-결제 확인을 위한 주문자용 어플리케이션, 운영자용 어플리케이션, 매장 POS 장치 간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모바일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기능은 음식 이용 고객, 음식점주, 대리점, 영업 사원, 홍보단 등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권한 별로 음식점 관련 정보에 대한 신규 등록 및 변경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통합 리워드 관리 기능은 배달자, 주문자 등의 회원 정보를 관리하고, 배달자, 주문자에게 포인트, 쿠폰, 스탬프 등의 리워드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인증 설치 복구 기능은 가맹점이 최초 가입시 인증 코드를 부여하여 환경 정보를 서버에 백업한 후 장비 변경 및 매장 POS 교체시 가맹점에서 원격 접속을 통한 자동 설치/복구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백업 클라우드 기능은 가맹점에서 관리되는 로컬 기반 POS 데이터베이스를 가맹점의 운영자가 직접 인터넷에 연결한 후 클라우드 백업 기능을 기반으로 서버에 수동 업로드를 하거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듀얼 데이터 저장 기능은 가맹점 가입시 데이터 저장소를 로컬 또는 서버로 설정 가능하며, 선택한 저장소로 데이터베이스를 전송하며, 운영자 어플리케이션 등과 연동시 듀얼로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기반 고객 마케팅 기능은 매장 POS에 통합된 고객 주문 정보를 이용 행태 및 빈도 등을 데이터로 분석하여 판촉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할인 등 마케팅 맞춤 정보를 SMS 또는 위치기반 PUSH를 통해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배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운영자가 음식 배달을 위한 배달자를 결정하고 음식을 배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영자 장치를 통해 주문 정보가 접수되는 경우, 운영자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를 기반으로 배달자에게 해당 주문에 대한 배달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음식점에서 별도로 배달자를 두지 않고, 복수의 음식점이 적어도 하나의 배달자를 통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가정된다. 배달자는 복수의 음식점의 운영자로부터 배달 요청을 받고 음식 배달을 수행할 수 있다.
음식점 운영자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배달 요청 메시지(400)는 음식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달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자는 운영자 장치를 통해 음식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현재 반경 100M 이내에 위치한 배달자 장치로 배달 요청 메시지(400)를 전송할 수 있다. 배달 요청 메시지(400)는 배달되는 음식 종류, 음식의 배달 요청 위치, 예상 배달 시작 시간(주문 음식 조리 완료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 요청 메시지(400)를 수신한 배달자 장치는 운영자 장치로 배달 요청 메시지(400)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배달 접수 메시지(420)를 전송할 수 있다. 배달 요청 메시지(400)는 고객 연락처와 매칭된 가상 안심 번호를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운영자 장치는 배달 접수 메시지(420)를 수신하고, 배달을 수행해줄 것을 요청하는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를 배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는 음식의 조리 완료 예상 시간을 기반으로 결정된 방문 요청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자는 배달자 장치를 통해 수신한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에 포함된 방문 요청 시간을 고려하여 음식점에 방문한 후 배달할 음식을 수령하여 주문자에게 배달할 수 있다.
만약, 운영자 장치에 의해 복수의 배달자 장치로 배달 요청 메시지(400)가 전송된 경우, 배달이 가능한 복수의 배달자의 복수의 배달자 장치가 배달 접수 메시지(420)를 운영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영자 장치는 먼저 하나의 배달자 장치로만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배달 접수 메시지(420)를 전송한 복수의 배달자 장치 중 하나의 배달자만이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를 운영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를 수신하는 하나의 배달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배달 접수 메시지(420)를 운영자 장치로 전송한 순서, 배달자와 음식점과의 거리, 배달자가 해당 음식점의 다른 음식을 배달할 예정인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달 접수 메시지(420)를 전송한 순서가 고려되는 경우, 복수의 배달자 장치 중 가장 먼저 배달 접수 메시지(420)를 운영자 장치로 전송한 배달자 장치로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가 전송될 수 있다. 음식점과의 거리가 고려되는 경우, 음식점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배달자 장치로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가 전송될 수 있다.
배달자가 해당 음식점의 다른 음식을 배달할 예정인지 여부가 고려되는 경우, 배달자가 동일한 음식점에서 다른 배달 예정 음식에 대한 배달을 수행할 예정이고, 다른 배달 예정 음식에 대한 배달 예정 시간과 현재 배달을 요청한 음식에 대한 배달 시작 시간이 유사 범위인 경우, 동일한 음식점의 다른 배달 예정 음식에 대한 배달을 수행할 예정인 배달자의 배달자 장치로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가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 음식점1에서 음식1에 대해 배달자1이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를 이전에 받은 경우, 음식점 1에서 다른 음식2에 대한 배달 요청 메시지에 대해 배달자1이 우선권을 가지고 배달 접수 메시지(420)를 운영자 장치로 전송하고 운영자 장치로부터 배달 예약 완료 메시지(440)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점과 계약된 적어도 하나의 배달 대행사의 등록된 배달자가 배달 정보를 우선적으로 획득하여 배달을 수행할 수 있다. 배달 정보를 획득한 배달자에 대한 정보가 운영자에게 전달될 수 있고, 이때 배달자 별로 음식점까지의 거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배달자는 배달 정보를 획득하고 배달 정보의 획득 후 배달 정보의 획득하였음을 회신할 수 있다. 배달 정보를 획득하고 회신한 배달자에 대한 정보가 운영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배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운영자 장치가 배달자를 탐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영자 장치(500)는 배달자가 탐색되지 않는 경우, 배달자의 탐색 범위를 증가시켜 배달자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운영자 장치(5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초근거리(예를 들어, 100m 이내) 범위에 위치한 배달자 장치(550)로만 배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배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배달 접수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배달 요청 메시지의 전송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근거리(예를 들어, 200m 이내) 범위에 위치한 배달자 장치(550)로 배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다시 배달자에 대한 탐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달자 탐색은 복수의 음식점 각각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음식점의 배달 요청 정보를 통합하여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음식점 각각의 복수의 운영자 장치 각각으로부터 배달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배달 요청 지역, 배달 요청 시간 등을 고려하여 그룹핑하여 배달자를 탐색하여 매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는 제1 음식점의 운영자의 제1 운영자 장치로부터 제1 주문 정보, 제2 음식점의 운영자의 제2 운영자 장치로부터 제2 주문 정보, 제3 음식점의 운영자의 제3 운영자 장치로부터 제3 주문 정보, 제4 음식점의 운영자의 제4 운영자 장치로부터 제4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음식점의 위치 및 제2 음식점의 위치가 임계 범위 내이고,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의해 지시된 배달 지역이 임계 범위 내이고,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의해 지시된 배달 요청 시작 시간이 임계 범위인 경우,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기반한 배달 절차를 수행할 하나의 배달자(예를 들어, 제1 배달자)를 탐색하여 제1 배달자에게 제1 음식점 및 제2 음식점의 음식의 배달을 요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음식점의 위치 및 제4음식점의 위치가 임계 범위 내이고, 제3주문 정보 및 제4주문 정보에 의해 지시된 배달 지역이 임계 범위 내이고, 제3주문 정보 및 제4주문 정보에 의해 지시된 배달 요청 시작 시간이 임계 범위인 경우, 제3주문 정보 및 제4주문 정보에 기반한 배달 절차를 수행할 하나의 배달자(예를 들어, 제2배달자)를 탐색하여 제2배달자에게 제3음식점 및 제4음식점의 음식의 배달을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자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주문자의 주문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달 업종의 경우, 주문자가 음식을 주문한 이후, 음식을 배달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주문 대기 시간(600)에 대한 정보로서 주문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음식점이 배달 업종인 경우, 주문 대기 시간(600)은 현재 주문 상태, 음식의 조리 예상 시간, 배달 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대기 시간(600)은 음식점에서 앞선 주문으로 인해 조리해야 할 음식의 개수와 음식 별 조리 예상 시간을 고려한 음식 준비 시간, 음식점과 주문지까지의 이동에 걸리는 이동 시간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음식 준비 시간은 음식의 개수와 음식 별 조리 예상 시간은 단순히 곱이 아니라, 동시에 조리 가능한 음식인지 여부, 주방장의 명수를 고려하여 음식의 개수와 음식 별 조리 예상 시간의 곱에서 일정 비율로 감소된 시간일 수 있다. 감소 비율은 선주문되어 동시에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1, 음식2, 음식3이 선주문으로 조리될 경우, 감소 비율은 30%이고, 음식2, 음식4, 음식6이 선주문으로 조리될 경우, 감소 비율은 40%일 수 있다.
주문 대기 시간(600)은 실시간으로 주문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주문 대기 시간(600)은 주기적으로 산출되어 변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주문된 음식의 조리가 예상 시간보다 빠르게 끝나는 경우, 주문 대기 시간은 그에 따라 감소될 수 있고, 반대로 선주문된 음식의 조리가 예상 시간보다 늦게 끝나는 경우, 주문 대기 시간(600)은 그에 따라 증가할 수도 있다.
테이크 아웃 업종인 경우, 현재 주문자의 위치 및 음식점의 위치, 주문자의 이동 수단을 고려하여 주문자가 음식점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제외하여 주문 대기 시간(600)을 결정할 수 있다. 주문자는 원거리에서 주문을 하고 음식점으로 주문한 음식을 수령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문자의 이동 수단을 고려하여 주문자의 음식점까지의 이동 시간이 산출될 수 있다. 주문자의 이동 수단에 대한 정보는 주문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지만, 주문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추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주문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주문자가 이동하는 수단이 자동차인지 도보인지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주문자는 주문 대기 시간(600)으로 주문자가 음식점으로 이동하여 도착 후 음식을 수령하기 까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주문 대기 시간(600)에 대한 정보로서 제공받을 수 있다.
매장 업종의 경우, 주문 대기 시간(600)은 현재 주문 상태, 음식의 조리 예상 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대기 시간(600)은 음식점에서 앞선 주문으로 인해 조리해야 할 음식의 개수와 음식 별 조리 예상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 준비 시간은 음식의 개수와 음식 별 조리 예상 시간은 단순히 곱이 아니라, 동시에 조리 가능한 음식인지 여부, 주방장의 명수를 고려하여 음식의 개수와 음식 별 조리 예상 시간의 곱에서 일정 비율로 감소된 시간일 수 있다. 주문 대기 시간(600)은 실시간으로 주문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주문 대기 시간(600)은 주기적으로 산출되어 변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주문된 음식의 조리가 예상 시간보다 빠르게 끝나는 경우, 주문 대기 시간(600)은 그에 따라 감소될 수 있고, 반대로 선주문된 음식의 조리가 예상 시간보다 늦게 끝나는 경우, 주문 대기 시간(600)은 그에 따라 증가할 수도 있다.
즉, 매장의 성격에 따라 주문 대기 시간(600)은 다르게 산출되어 주문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올인원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푸드 올인원 서비스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푸드 올인원 서비스 서버(또는 푸드 올인원 서비스 장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푸드 올인원 서비스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700), 데이터베이스부(710), 주문자 서비스 제공부(720), 배달자 서비스 제공부(730), 운영자 서비스 제공부(740), 주문 정보 관리부(750), 결제부(760) 및 프로세서(770)를 포함할 수 있다. 푸드 올인원 서비스 장치의 각 구성부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전술한 푸드 올인원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기 이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성부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700)는 주문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운용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배달자용 푸드 올인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 용도에 따라 푸드 올인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710)는 음식점 정보 및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음식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주문자 서비스 제공부(720)는 주문자에게 맛집 정보 제공 기능, 음식점 예약 기능, 음식 배달 주문 기능, 음식 포장 주문 기능 등을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배달자 서비스 제공부(730)는 배달자에게 배달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운영자 서비스 제공부(740)는 운영자에게 예약 접수/주문 접수/배송포장/정산/고객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주문 정보 관리부(750)는 주문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결재, 음식 조리 요청, 배송 요청 등을 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결제부(760)는 주문 정보에 따라 음식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7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700), 데이터베이스부(710), 주문자 서비스 제공부(720), 배달자 서비스 제공부(730), 운영자 서비스 제공부(740), 주문 정보 관리부(750), 결제부(7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가 주문자 장치로 복수의 음식점 및 상기 복수의 음식점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식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가 상기 주문자 장치로부터 음식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가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식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가맹점의 운영자 장치로 상기 음식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식에 대한 포장 또는 배달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POS(point of sales) 장치로도 전송되어 상기 운영자 장치와 상기 POS 장치가 연동되며,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음식점을 배달 업종과 매장 업종으로 분류하고,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배달 업종과 상기 매장 업종으로 공통적으로 쌍방향 메시징 기능, 모바일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기능, 통합 리워드 관리 기능, 원격 인증 자동 설치 및 복구 기능, 데이터 백업 클라우드 기능, 듀얼 데이터 저장 기능 및 데이터 기반 고객 마케팅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주문자 장치로 주문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주문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맛집 정보 제공 기능, 음식점 예약 기능, 음식 배달 주문 기능, 음식 포장 주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배달자의 배달자 장치로 배달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배달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문 정보에 기반한 상기 음식에 대한 배달 요청 메시지가 고객 연락처와 매칭된 가상 안심 번호로 변환되어 상기 배달자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배달 업종에 대하여 통합 주문 접수/결제/정산 기능, 안심 번호 변환 기능, 신주소/구주소 지도 정보 매칭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매장 업종에 대하여 실시간 대기 순번 및 시간 관리 기능, 위치 기반 시간/거리 안내 기능, 근거리 무선통신 결합 O2O(online to offline)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6.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주문자 장치로 복수의 음식점 및 상기 복수의 음식점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식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문자 장치로부터 음식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식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가맹점의 운영자 장치로 상기 음식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식에 대한 포장 또는 배달을 요청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POS(point of sales) 장치로도 전송되어 상기 운영자 장치와 상기 POS 장치가 연동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음식점을 배달 업종과 매장 업종으로 분류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달 업종과 상기 매장 업종으로 공통적으로 쌍방향 메시징 기능, 모바일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기능, 통합 리워드 관리 기능, 원격 인증 자동 설치 및 복구 기능, 데이터 백업 클라우드 기능, 듀얼 데이터 저장 기능 및 데이터 기반 고객 마케팅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문자 장치로 주문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주문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맛집 정보 제공 기능, 음식점 예약 기능, 음식 배달 주문 기능, 음식 포장 주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배달자의 배달자 장치로 배달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되,
    상기 배달자용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문 정보에 기반한 상기 음식에 대한 배달 요청 메시지가 고객 연락처와 매칭된 가상 안심 번호로 변환되어 상기 배달자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달 업종에 대하여 통합 주문 접수/결제/정산 기능, 안심 번호 변환 기능, 신주소/구주소 지도 정보 매칭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장 업종에 대하여 실시간 대기 순번 및 시간 관리 기능, 위치 기반 시간/거리 안내 기능, 근거리 무선통신 결합 O2O(online to offline)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장치.
KR1020150157127A 2015-11-10 2015-11-10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645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127A KR101645157B1 (ko) 2015-11-10 2015-11-10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127A KR101645157B1 (ko) 2015-11-10 2015-11-10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157B1 true KR101645157B1 (ko) 2016-08-02

Family

ID=5670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127A KR101645157B1 (ko) 2015-11-10 2015-11-10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15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307B1 (ko) * 2017-01-25 2018-02-06 진정식 상품 주문 및 배달을 위한 판매업체와 배달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 시스템
KR20180079110A (ko) 2016-12-30 2018-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O2o 기반 음식점 이용관리 시스템 및 이용관리방법
JP2019530935A (ja) * 2016-10-18 2019-10-24 ウーワ ブラザ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Woowa Brothers Co., Ltd. デリバリー注文割当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62888B1 (ko) * 2019-07-05 2020-01-06 주식회사 케이디아이덴 비대면 음식 주문 플랫폼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KR102077749B1 (ko) * 2019-09-18 2020-02-14 비비엠씨 (주) 주문 결제 시스템
KR20200102277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미래희망드림 구매자와 배달원을 매칭하여 배달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0166A (ko) 2020-03-25 2021-10-07 주식회사 쓰리더블유텍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345043B1 (ko) * 2021-04-30 2021-12-28 (주)판도플랫폼 주문 서비스에서 소비자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20230015782A (ko)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위드콕 대중 음식점의 비대면 자가 주문 및 자가 후불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중 음식점의 비대면 자가 주문 및 자가 후불 결제방법
KR20230040044A (ko) 2021-09-15 2023-03-22 (주) 제이탑미래기술 지역 커뮤니티 기반 공유레스토랑 정보제공시스템
KR102534168B1 (ko) * 2022-09-21 2023-05-26 주식회사 먼슬리키친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061A (ko) * 2005-04-15 2006-10-19 (주)이노바투스정보기술 온라인을 이용한 음식주문/배달방법 및 시스템
KR20090047535A (ko) 2006-08-19 2009-05-12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진통 작용을 갖는 아릴 설폰아미드
KR20120076618A (ko) * 2010-12-07 2012-07-09 신경일 배달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6610A (ko) * 2010-12-07 2012-07-09 (주)와토시스 스마트 폰을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8102A (ko) * 2011-10-08 2013-04-17 주식회사 이지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061A (ko) * 2005-04-15 2006-10-19 (주)이노바투스정보기술 온라인을 이용한 음식주문/배달방법 및 시스템
KR20090047535A (ko) 2006-08-19 2009-05-12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진통 작용을 갖는 아릴 설폰아미드
KR20120076618A (ko) * 2010-12-07 2012-07-09 신경일 배달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6610A (ko) * 2010-12-07 2012-07-09 (주)와토시스 스마트 폰을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8102A (ko) * 2011-10-08 2013-04-17 주식회사 이지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30935A (ja) * 2016-10-18 2019-10-24 ウーワ ブラザ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Woowa Brothers Co., Ltd. デリバリー注文割当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079110A (ko) 2016-12-30 2018-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O2o 기반 음식점 이용관리 시스템 및 이용관리방법
KR101826307B1 (ko) * 2017-01-25 2018-02-06 진정식 상품 주문 및 배달을 위한 판매업체와 배달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 시스템
KR20200102277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미래희망드림 구매자와 배달원을 매칭하여 배달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62888B1 (ko) * 2019-07-05 2020-01-06 주식회사 케이디아이덴 비대면 음식 주문 플랫폼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KR102077749B1 (ko) * 2019-09-18 2020-02-14 비비엠씨 (주) 주문 결제 시스템
KR20210120166A (ko) 2020-03-25 2021-10-07 주식회사 쓰리더블유텍 음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345043B1 (ko) * 2021-04-30 2021-12-28 (주)판도플랫폼 주문 서비스에서 소비자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20230015782A (ko)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위드콕 대중 음식점의 비대면 자가 주문 및 자가 후불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중 음식점의 비대면 자가 주문 및 자가 후불 결제방법
KR20230040044A (ko) 2021-09-15 2023-03-22 (주) 제이탑미래기술 지역 커뮤니티 기반 공유레스토랑 정보제공시스템
KR102534168B1 (ko) * 2022-09-21 2023-05-26 주식회사 먼슬리키친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157B1 (ko) 통합 음식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1600987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centives and purchase opportunities to reward program members
US20210312413A1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tructuring distributed systems
US201502210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fficient shopping
US20230206175A1 (en) Distributed network of order systems
US20190205857A1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tructuring distributed systems
JP7470735B2 (ja) 分散システムを構造化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ミングインタフェース
WO2012027730A1 (en) Location aware mobile marketplace application and system
KR20160124763A (ko) 시간을 단위로 하는 판촉 포인트의 유통 방법
KR20190130299A (ko) O2o 기반의 점포 경영 및 마케팅 방법
US201602840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items
KR101651645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시간 절약을 위한 주문시스템 및 주문방법
US201501702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electronic order
KR20160113068A (ko) 매출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14014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22794B1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10181629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59977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560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35014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6381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7294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703808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60064416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6396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