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966A - 정보 기기,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기기,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966A
KR20210119966A KR1020217022306A KR20217022306A KR20210119966A KR 20210119966 A KR20210119966 A KR 20210119966A KR 1020217022306 A KR1020217022306 A KR 1020217022306A KR 20217022306 A KR20217022306 A KR 20217022306A KR 20210119966 A KR20210119966 A KR 20210119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living body
information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에 가마다
히로아키 오가와
에미루 츠노오
노리코 도츠카
가즈야 다테이시
유이치로 고야마
아키라 다카하시
요시노리 마에다
히데아키 와타나베
아키라 후쿠이
칸 쿠로다
유키 다케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4Context aware gui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Abstract

정보 기기는,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기기,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본 개시는, 정보 기기,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의 진보에 수반하여, 유저가 복수의 정보 기기를 이용할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복수의 정보 기기를 원활하게 활용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조작 단말기로 가정 내의 기기를 원격 조작할 때, 먼저 조작을 시작한 조작 단말기의 조작을 우선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한, 조작을 행하고자 하는 유저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조작 내용을 결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또한, 스마트 스피커에 새로운 리퀘스트가 입력된 경우에, 시간이나 장소 등의 컨텍스트에 따라서, 어느 리퀘스트를 우선하여 처리할지를 결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15-827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23518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8/139036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가전 등의 복수의 정보 기기를 유저가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는, 조작을 행하고자 하는 유저의 속성이나, 조작의 순번이나, 조작된 시간이나 위치 등이 고려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실제로 가전 등을 이용 중인 유저와, 조작을 행하고자 하는 다른 유저가 간섭하는 경우 등, 실제의 이용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진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실제의 기기 이용 상황에 입각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정보 기기,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에 관한 일 형태의 정보 기기는, 상기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에 관한 일 형태의 제어 장치는, 정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중계 기기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유저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응답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1)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2)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중계 기기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정보 기기의 기능을 실현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항목 순서에 따라서 본 개시를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
1-1.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일례
1-2.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1-3.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구성
1-4.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의 구성
1-5.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수순
1-6.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2. 제2 실시 형태
3. 제3 실시 형태
4. 기타 실시 형태
5.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의 효과
6. 하드웨어 구성
(1. 제1 실시 형태)
[1-1.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일례]
도 1을 사용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일례로서, 제어 장치(100)와,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의 일례인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100)와,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도시하지 않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 장치(100)는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는 음성이나 텍스트를 통해 유저와의 대화를 행하는 기능(에이전트(Agent) 기능 등이라 칭해짐)을 갖고, 음성 인식이나 유저에 대한 응답 생성 등의 다양한 정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정보 기기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 장치(100)는 에이전트 기능을 이용하는 유저의 요구에 따라서, 소위 IoT(Internet of Things) 기기 등인 정보 기기에 대하여 각종 제어를 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단말기 등이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 이외에도, 시계형 단말기나 안경형 단말기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여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는 유저를, 구별을 위해 「제1 유저」라고 칭한다.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의 일례이다.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IoT 기기나 스마트 가전 등이라 칭해지는 기기이며, 제어 장치(100) 등의 외부 기기와 연계하여, 각종 정보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제어 정보에 따라서 전원의 온 오프 동작을 행하거나, 출력 양태를 변화시키거나 한다. 또한,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구애받지 않고, 예를 들어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이 구비하는 에이전트 기능에 기초하여, 유저로부터 직접 제어를 받아도 된다. 이하에서는,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 등, 제어 장치(100)에 의한 제어를 받을 수 있는 개개의 정보 기기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정보 기기(10)」라고 총칭한다. 정보 기기(10)는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각종 스마트 기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는 에어컨이나 냉장고 등의 스마트 가전이나, 자동차 등의 스마트 차량(Smart vehicle)이나, 드론(drone), 애완 동물형 로봇이나 인간형 로봇 등의 자율형 로봇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보 기기(10)를 이용하는 유저를, 구별을 위해 「제2 유저」라고 칭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유저 및 제2 유저는 동일한 주거에 생활하는 거주자이며, 제1 유저는 외출 중이며, 제2 유저는 실내에 소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유저는, 제어 장치(100)의 에이전트 기능을 통해, 출장지로부터도, 주거 내의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을 제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정보 기기(10)가 제1 유저 및 제2 유저에 이용되는 상황 하에서 적절한 운용을 행하기 위해서는, 각종 과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종래, 자택 내에 설치되는 가전은, 가전 자체가 구비하는 조작 버튼이나, 각 가전에 대응한 리모컨 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제어 장치(100)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가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에 의하면, 제1 유저는, 가전이 설치된 방과는 상이한 다른 방이나, 출장지로부터 가전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제1 유저는, 가전을 실제로 이용 중인 제2 유저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가전을 조작하게 된다.
즉, 제1 유저는 원격지로부터 가전을 조작함으로써, 가전의 전원 오프를 잊어버림에 대응하거나, 귀가 전에 미리 가전의 전원을 켜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 반면, 제2 유저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가전을 조작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제로 가전을 이용 중인 제2 유저는, 자신이 생각하지 못한 동작이 행해지거나, 가전을 이용할 수 없게 되어버리거나 한다는 폐해나 손실을 입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10) 및 제어 장치(100)는 이하에 설명하는 정보 처리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10)는, 정보 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한다. 그리고, 정보 기기(10)는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는 주위에 제2 유저가 소재하는 경우, 「정보 기기(10)의 전원을 오프한다」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그 제어 정보에 의한 요구를 기각함으로써 제2 유저에 의한 이용을 유지한다. 즉, 정보 기기(10)는 주위를 센싱하여, 주위에 사람이 있을 경우에는 그것을 검지하여, 원격으로부터의 조작보다도 근처의 사람에 의한 조작을 우선적으로 접수하도록 한다. 또한, 정보 기기(10)는 정보 기기(10) 옆에 제2 유저가 없을 경우, 제1 유저에 의한 조작을 접수한다. 바꿔 말하면, 정보 기기(10)는 정보 기기(10) 등의 가전에 있어서의 조작의 우선권을 제1 유저 혹은 제2 유저에게 부여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처리는 정보 기기(10)측이 아니라, 제어 장치(100)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100)는, 정보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는 제1 유저로부터 「정보 기기(10)의 전원을 오프한다」는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도, 정보 기기(10) 옆에 제2 유저가 소재하는 것을 알면, 그 요구를 기각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제어 장치(100)는 제1 유저의 요구에 관계없이, 정보 기기(10)의 전원을 유지하는 제어 정보를 정보 기기(10)에 송신하게 되기 때문에, 제2 유저의 의도에 반해 정보 기기(1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10) 및 제어 장치(100)는, 정보 기기(10)의 조작에 대하여 우선권을 부여할 유저를 선택함으로써, 제1 유저 및 제2 유저에게 스트레스를 느끼게 하지 않는 가전 조작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일례에 대하여, 도 1을 사용하여, 흐름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의 각각이, 제2 유저의 존재를 검지하는 센서(생체 센서나 사람 감지 센서 등)나,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 각각으로부터 제2 유저까지의 거리를 검지하는 센서(측거 센서 등)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제어 장치(100)가 주체가 되어,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를 실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는 외출 중의 제1 유저로부터, 「텔레비전 꺼. 조명도 꺼.」라는 음성 A01을 접수한다.
제어 장치(100)는 음성 A01을 접수한 것을 계기로 하여, 정보 처리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음성 A01을 취득하고, 자동 음성 인식(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 처리나 자연 언어 이해(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처리를 거쳐, 음성 A01에 포함되는 유저의 발화 의도를 해석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는, 미리 제1 유저가 등록한 정보 기기(10)의 명칭과, 유저가 발화한 내용이 합치하는지 여부를 해석한다. 예를 들어, 제1 유저는, 미리 「조명」이라는 음성과, 「제1 유저의 자택에 설치된 조명(10A)」을 대응지어 제어 장치(10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유저는, 「텔레비전」이라는 음성과, 「제1 유저의 자택에 설치된 텔레비전(10B)」을 대응지어 제어 장치(10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100)는 유저의 발화에 「조명」이나 「텔레비전」이 포함되고, 또한 그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요구(도 1의 예에서는 「꺼」라는 음성)이 포함되어 있으면, 음성 A01이 미리 등록된 정보 기기(10)에 대한 요구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ASR 처리나 NLU 처리에 대하여는, 각종 기지의 기술이 이용되어도 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음성 A01이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대한 요구에 관한 것이라고 인식하면, 제어 장치(100)는 요구의 대상인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을 특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특정한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대하여, 주위의 상황을 검지(센싱)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 및 스텝 S2).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대하여, 주위에 사람 등의 생체가 소재하고 있는지, 또한 생체가 어느 정도의 거리에 소재하고 있는지를 검지하도록 요구한다.
조명(10A)은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어 장치(100)가 구비하는 사람 감지 센서 등을 사용하여,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생체를 검지한다(스텝 S3). 예를 들어, 조명(10A)은, 조명(10A)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에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는 것이나, 조명(10A)으로부터 제2 유저까지의 거리 등을 검지하고, 검지한 정보를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텔레비전(10B)은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텔레비전(10B)이 구비하는 사람 감지 센서 등을 사용하여, 텔레비전(10B)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생체를 검지한다(스텝 S4). 예를 들어, 텔레비전(10B)은, 텔레비전(10B)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에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는 것이나, 텔레비전(10B)으로부터 제2 유저까지의 거리 등을 검지하고, 검지한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텔레비전(10B)은, 텔레비전(10B)이 구비하는 카메라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제2 유저가 텔레비전(10B)을 시청하고 있는 것이나, 제2 유저가 텔레비전(10B)에 대하여 향하고 있는 몸의 방향 등을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검지한 정보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스텝 S5).
제어 장치(100)는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으로부터,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의 주위에 제2 유저가 소재하는 것이나,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으로부터 제2 유저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등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한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6). 이 제어 정보란, 예를 들어 조명(10A)이나 텔레비전(10B)에 실제로 실행시키는 동작의 내용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제어 정보란, 조명(10A)이나 텔레비전(10B)의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제어를 행하게 하기 위한 정보나, 조명(10A)의 조도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이나, 텔레비전(10B)으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정보 등이다.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미리 제1 유저나 제2 유저로부터 등록되어 있는 조건을 참조한다. 등록된 조건이란,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 옆에 제2 유저가 소재하지 않을 경우만, 정보 기기(10)에 대하여 원격 조작을 행하는 것을 허가한다」는, 원격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조건을 나타낸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에는, 조명(10A)에 대하여, 「설치된 실내에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을 경우, 조명을 끄지 않는다」는 조건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자. 이것은, 조명(10A)이 원격 조작에 의해 꺼지도록 제어되면, 제2 유저에게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 장치(100)에는, 텔레비전(10B)에 대하여, 「텔레비전(10B)으로부터 5미터 이내에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을 경우, 텔레비전(10B)을 끌 것인지 여부와 같은 응답의 후보를 제시한다」는 조건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도, 텔레비전(10B)이 원격 조작에 의해 꺼지도록 제어되면, 제2 유저에게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 장치(100)에는, 텔레비전(10B)에 대하여, 「텔레비전(10B)으로부터 5미터를 초과하여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텔레비전(10B)을 끈다」는 조건이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은, 텔레비전(10B)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초과하여 떨어져 있는 제2 유저는, 텔레비전(10B)을 시청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건은, 「유저가 텔레비전(10B)쪽을 향하고 있는(시선을 향하고 있는) 경우, 텔레비전(10B)을 끄지 않는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조건에 있어서의 제2 유저와 텔레비전(10B) 사이의 거리의 값은, 예를 들어 제1 유저나 제2 유저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어도 되고, 텔레비전(10B)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는 스텝 S5에 있어서 취득한 정보와 등록된 정보를 참조하여, 조명(10A)이나 텔레비전(10B)에 대하여 조건에 합치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조명(10A)에 대하여는, 제1 유저의 요구에 관계없이, 전원을 끄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텔레비전(10B)에 대하여는, 제1 유저의 요구에 관계없이, 전원을 끌 것인지 여부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생성된 제어 정보를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송신한다(스텝 S7).
스텝 S7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를 수신한 조명(10A)은, 음성 A01에 기초하는 제1 유저의 요구에 관계없이, 전원 온을 유지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 장치(100)는 제2 유저의 존재에 따라서, 제1 유저의 요구를 기각한다.
또한, 스텝 S7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를 수신한 텔레비전(10B)은, 음성 A01에 기초하는 제1 유저의 요구에 관계없이, 「텔레비전이 꺼지려고 합니다만, 시청을 계속하겠습니까?」라고 말하는,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한다. 제2 유저는, 제시된 응답의 후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응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00)는 텔레비전(10B)에 대한 조작의 우선권(권한)을 제2 유저에게 부여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텔레비전(10B)이 조작되려고 하는 경우에, 실내에 있는 제2 유저가 당해 처리를 중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텔레비전(10B)은 응답의 후보 제시로서, 「텔레비전이 꺼지려고 합니다만, 시청을 계속하겠습니까?」라는 내용의 음성을 출력해도 되고, 「텔레비전이 꺼지려고 합니다만, 시청을 계속하겠습니까?」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화면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유저는, 예를 들어 음성이나 텔레비전(10B)용의 리모컨을 사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응답을 선택한다(스텝 S8). 구체적으로는, 제2 유저는 「전원을 끄지 마」라는 발화를 행하여, 시청을 계속할 의사를 나타내는 음성을 텔레비전(10B)에 입력한다. 텔레비전(10B)은 제2 유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텔레비전(10B)의 전원 온을 유지한다」라는 제2 유저의 요망을 우선하고, 「텔레비전(10B)을 끈다」는 제1 유저의 요구를 기각한다.
그 후,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제어 정보에 대하여 실행한 조작의 내용을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스텝 S9). 예를 들어, 조명(10A)은 전원 온을 유지하였음을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또한, 텔레비전(10B)은 제2 유저의 요구에 따라서, 전원 온을 유지하였음을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100)는 음성 A01을 입력한 제1 유저에 대하여 실제로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있어서 실행된 처리의 내용을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제2 유저가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의 근방에 소재한다는 점에서,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있어서 전원 온이 유지된 것을 음성이나 화면 표시로 제1 유저에게 제시한다. 이에 의해, 제1 유저는, 자신의 요구가 기각된 것이나,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의 근방에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는 것 등을 지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는 정보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함과 함께,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제2 유저에 관한 정보, 및 정보 기기(10)와 제2 유저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즉, 제어 장치(100)는 정보 기기(10)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기기(10)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100)는 정보 기기(10)를 이용하고 있는 제2 유저가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 기기(10)의 전원을 오프하는 등, 제2 유저에게 문제가 발생할 제어 정보를 정보 기기(10)에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 장치(100)는 실제의 정보 기기(10)의 이용 상황에 입각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동일하게 도 1을 사용하여, 정보 기기(10)가 주체가 되어,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를 실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100)는 외출 중의 제1 유저로부터, 「텔레비전 꺼. 조명도 꺼.」라는 음성 A01을 접수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100)는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조명(10A)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동작시키는 제어 정보 및 텔레비전(10B)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동작시키는 제어 정보를 각각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생성된 제어 정보를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송신한다(스텝 S1 및 스텝 S2).
조명(10A)은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조명(10A)이 구비하는 사람 감지 센서 등을 사용하여, 조명(10A)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생체를 검지한다(스텝 S3).
마찬가지로, 텔레비전(10B)은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텔레비전(10B)이 구비하는 사람 감지 센서 등을 사용하여, 텔레비전(10B)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생체를 검지한다(스텝 S4). 또한, 정보 기기(10)가 주체가 되어 정보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스텝 S5 내지 스텝 S7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그 후,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검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명(10A)은 미리 제1 유저나 제2 유저로부터 등록되어 있는 조건을 참조하여, 검지한 정보가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조명(10A)은 「설치된 실내에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을 경우, 조명을 끄지 않는다」는 조건을 조명(10A)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텔레비전(10B)은 「텔레비전(10B)으로부터 5미터 이내에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을 경우, 텔레비전(10B)을 끌 것인지 여부와 같은 응답의 후보를 제시한다」는 조건을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스텝 S3 또는 스텝 S4에 있어서 검지한 정보와 등록된 정보를 참조하여, 조건에 합치하는 동작을 실행할 것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명(10A)은 제1 유저의 요구(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제어 정보)에 관계없이, 전원을 끄지 않도록 동작할 것을 결정한다.
또한, 텔레비전(10B)은 제1 유저의 요구에 관계없이, 전원을 끌 것인지 여부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하도록 동작할 것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텔레비전(10B)은, 「텔레비전이 꺼지려고 합니다만, 시청을 계속하겠습니까?」라고 말하는,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한다. 제2 유저는, 제시된 응답의 후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응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고, 검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대한 조작의 우선권(권한)을 판정한다. 예를 들어, 조명(10A)은 외부로부터 조명(10A)의 전원이 꺼지려고 하는 경우에, 실내의 제2 유저의 상황을 감안하여, 외부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기각(캔슬)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텔레비전(10B)은 외부로부터 텔레비전(10B)이 조작되려고 하는 경우에, 실내에 있는 제2 유저가 당해 처리를 중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 경우, 제2 유저는, 예를 들어 음성이나 텔레비전(10B)용의 리모컨을 사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응답을 선택한다(스텝 S8). 구체적으로는, 제2 유저는 「전원을 끄지 마」라는 발화를 행하여, 시청을 계속할 의사를 나타내는 음성을 텔레비전(10B)에 입력한다. 텔레비전(10B)은 제2 유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텔레비전(10B)의 전원 온을 유지한다」는 제2 유저의 요망을 우선하여, 「텔레비전(10B)을 끈다」는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기각한다.
그 후,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은 제어 정보에 대하여 실행한 조작의 내용을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스텝 S9). 예를 들어, 조명(10A)은 전원 온을 유지하였음을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또한, 텔레비전(10B)은 제2 유저의 요구에 따라서, 전원 온을 유지하였음을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100)는 음성 A01을 입력한 제1 유저에 대하여 실제로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있어서 실행된 처리의 내용을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제2 유저가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의 근방에 소재한다는 점에서,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에 있어서 전원 온이 유지된 것을 음성이나 화면 표시로 제1 유저에게 제시한다. 이에 의해, 제1 유저는 자신의 요구가 기각된 것이나, 조명(10A) 및 텔레비전(10B)의 근방에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는 것 등을 지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보 기기(10)는 정보 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주위에 소재하는 제2 유저를 검지함과 함께, 정보 기기(10)와 제2 유저 사이의 거리를 검지한다. 그리고, 정보 기기(10)는 검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한다.
즉, 정보 기기(10)는 근방에 제2 유저가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원을 오프하는 등, 제2 유저에게 문제가 발생할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받지 않는다는 응답 등의 선택지를 제2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 기기(10)는 실제의 이용 상황에 입각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1-2.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계속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와 제어 장치(100) 등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정보 기기(10)와, 제어 장치(100)와, 중계 기기(200)를 포함한다. 정보 기기(10), 제어 장치(100) 및 중계 기기(200)는 도 2에 나타내는 네트워크 N(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1)에 포함되는 장치의 수는, 도 2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장치(100)는 출장지 등으로부터 자택의 가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처리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이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출장지 등의 옥외에 한정되지 않고, 자택(옥내)이나 각 거실로부터 가전 등을 제어 해도 된다.
중계 기기(200)는 제어 장치(100)와 정보 기기(10)의 통신을 중계하는 정보 기기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 기기(200)는, 예를 들어 라우터(200A)와, 스마트 허브(200B)와, 스마트 스피커(200C)와, 스마트 리모컨(200D) 등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라우터(200A)나 스마트 허브(200B) 등의 각 중계 기기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중계 기기(200)」라고 총칭한다.
중계 기기(200)는, 예를 들어 LAN이나 Wi-Fi(등록 상표) 등의 가정 내 네트워크나, ZigBee나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통신 규격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이나,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100)와 정보 기기(10)의 통신을 중계한다. 예를 들어, 중계 기기(200)는, 직접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정보 기기(10) 대신에,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중계 기기(20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를 특정 정보 기기(10)에 송신한다.
정보 기기(10)는 옥내의 각 방에 설치되는 기기이며, 예를 들어 스마트 가전 등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기(10)는, 예를 들어 조명(10A)과, 텔레비전(10B)과, 에어컨(10C)과, 스피커(10D)와, 스마트 자물쇠(10E)와, 청소기(10F)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는 정보 기기(10)의 근처, 혹은 정보 기기(10)가 설치된 실내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나, 검지한 생체의 거리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 등을 갖는다. 또한, 정보 기기(10)는 센서로서, 생체를 화상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나, 생체가 발한 음성을 취득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등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도 2에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정보 처리 시스템(1)에는, 제어 장치(100)와 정보 기기(10)가 Wi-Fi 경유로 직접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정보 기기(10)에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즉, 정보 처리 시스템(1)에는,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각종 통신 기기가 포함되어도 된다.
[1-3.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구성]
이어서, 도 3을 사용하여,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는 센서(120)와, 입력부(121)와, 통신부(122)와, 기억부(130)와, 접수부(140)와, 취득부(145)와, 생성부(150)와, 송신부(155)와, 출력부(160)를 갖는다.
센서(120)는 각종 정보를 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센서(120)는, 예를 들어 유저가 발화한 음성을 집음하는 음성 입력 센서(120A)를 포함한다. 음성 입력 센서(120A)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이다. 또한, 센서(120)는, 예를 들어 화상 입력 센서(120B)를 포함한다. 화상 입력 센서(120B)는, 예를 들어 유저나 유저의 자택 내의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또한, 센서(120)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센서(120)는 제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센서(1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파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를 검지해도 된다.
또한, 센서(120)는 외부 장치가 발하는 전파를 검지하는 전파 센서나, 전자파를 검지하는 전자파 센서 등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센서(120)는 제어 장치(100)가 놓인 환경을 검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120)는 제어 장치(100)의 주위의 조도를 검지하는 조도 센서나, 제어 장치(100)의 주위의 습도를 검지하는 습도 센서나, 제어 장치(100)의 소재 위치에 있어서의 자장을 검지하는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센서(120)는 반드시 제어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센서(120)는 통신 등을 사용하여 센싱한 정보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제어 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입력부(121)는 유저로부터 각종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21)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부(122)는, 예를 들어 NIC(Network Interface Card) 등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부(122)는 네트워크 N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고, 네트워크 N을 통해, 정보 기기(10)나 중계 기기(200) 등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억부(130)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기억부(130)는 정보 기기 테이블(131)과 중계 기기 테이블(132)을 갖는다. 이하, 각 데이터 테이블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정보 기기 테이블(131)은 제어 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 기기(10)의 정보를 기억한다. 도 4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 테이블(131)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 테이블(13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정보 기기 테이블(131)은 「정보 기기 ID」, 「기기 종별」, 「사람 감지 센서」, 「통신 상대」, 「캔슬 판정예」, 「설치 위치」라는 항목을 갖는다. 또한, 「캔슬 판정예」는 「생체 반응」, 「거리」, 「옵션」이라는 소 항목을 포함한다.
「정보 기기 ID」는 정보 기기(10)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중에서는, 정보 기기 ID와 정보 기기(10)의 참조 부호는 공통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정보 기기 ID가 「10A」로 식별되는 정보 기기(10)란, 「조명(10A)」을 의미한다.
「기기 종별」은 정보 기기(10)의 종별을 나타낸다. 「사람 감지 센서」는 정보 기기(10)가 사람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의 정보를 나타낸다. 「통신 상대」는 정보 기기(10)와 제어 장치(100)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기기(200)의 종별을 나타낸다. 또한, 「통신 상대」의 항목이 공란인 경우, 정보 기기(10)와 제어 장치(100)가 직접 통신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캔슬 판정예」는, 제어 장치(100)가 제어 정보를 생성할 때, 제1 유저로부터의 요구를 캔슬하는 경우의 조건의 일례를 나타낸다. 「생체 반응」은, 캔슬 판정에 있어서, 생체 반응이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조건이 될 수 있을지 여부를 나타낸다. 「거리」는, 캔슬 판정에 있어서의, 생체 반응과의 거리의 조건을 나타낸다. 또한, 거리의 조건이란, 구체적인 수치는 아니고, 예를 들어 「생체가 동일 실내에 있다」와 같이, 정보 기기(10)와 생체의 공간적인 관계성을 정의한 정보여도 된다. 「옵션」은, 생체 반응 및 거리 이외에도, 캔슬 판정에 있어서 고려되는 조건을 나타낸다. 상기한 캔슬 판정예는, 제1 유저 및 제2 유저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어도 되고, 정보 기기(10)를 제공하는 각 메이커 등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설치 위치」는 정보 기기(10)가 설치되어 있는 자택 내의 위치를 나타낸다.
즉, 도 4에는, 정보 기기 테이블(131)에 등록된 정보의 일례로서, 정보 기기 ID가 「10A」인 정보 기기(10)는 「조명(10A)」이며, 사람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명(10A)의 통신 상대의 일례는, 「라우터」나 「스마트 스피커」이다. 또한, 조명(10A)이 제1 유저의 요구를 캔슬하는 조건의 일례는, 생체 반응이 「있음」이며, 그 생체와 조명(10A)이 「동일 실내」에 있는 경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명(10A)에는, 실내의 밝기에 따라서, 제1 유저의 요구를 캔슬하거나 하지 않거나 해도 된다는 옵션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조명(10A)은, 조명(10A)의 전원이 오프가 되어도, 실내가 소정 이상의 밝기로 유지되는 것이면, 「조명(10A)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는 제어 정보를 캔슬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명(10A)의 설치 위치는 「리빙」이다.
또한, 정보 기기 테이블(131)에 등록된 정보의 다른 일례로서, 정보 기기 ID가 「10B」인 정보 기기(10)는 「텔레비전(10B)」이며, 사람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10B)의 통신 상대의 일례는, 「스마트 리모컨」이다. 또한, 텔레비전(10B)이 제1 유저의 요구를 캔슬하는 조건의 일례는, 생체 반응이 「있음」이며, 그 생체와 텔레비전(10B) 사이의 거리가 「5미터 이내」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10B)에는, 생체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제1 유저의 요구를 캔슬하거나 하지 않거나 해도 된다는 옵션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10B)은, 시청하고 있는 제2 유저가 어린이이거나, 생체가 사람 이외(애완 동물 등)이거나 하는 경우에는, 「텔레비전(10B)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는 제어 정보를 캔슬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텔레비전(10B)의 설치 위치는 「리빙」이다.
계속해서, 중계 기기 테이블(13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중계 기기 테이블(13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중계 기기 테이블(132)은 「중계 기기 ID」, 「기기 종별」, 「통신 상대」, 「통신 규격」이라는 항목을 갖는다.
「중계 기기 ID」는 중계 기기(200)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중에서는, 중계 기기 ID와 중계 기기(200)의 참조 부호는 공통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중계 기기 ID가 「200A」로 식별되는 중계 기기(200)는, 「라우터(200A)」를 의미한다.
「기기 종별」은 중계 기기(200)의 종별을 나타낸다. 「통신 상대」는 제어 장치(100)의 통신을 중계한 앞의 정보 기기(10)의 종별을 나타낸다. 「통신 규격」은 중계 기기(200)가 대응 가능한 통신 규격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통신 규격의 항목을 「C01」과 같이 개념적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통신 규격의 항목에는, Wi-Fi나 ZigBee, Bluetooth 등의 통신 규격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다.
즉, 도 5에는, 중계 기기 테이블(132)에 등록된 정보의 일례로서, 중계 기기 ID가 「200A」인 중계 기기(200)는 「라우터(200A)」이며, 통신 상대는 「조명」이며, 통신 규격이 「C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접수부(140), 취득부(145), 생성부(150) 및 송신부(155)는, 제어 장치(100)가 실행하는 정보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접수부(140), 취득부(145), 생성부(150) 및 송신부(155)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MPU(Micro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등에 의해, 제어 장치(100) 내부에 기억된 프로그램(예를 들어, 본 개시에 관한 제어 프로그램)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접수부(140), 취득부(145), 생성부(150) 및 송신부(155)는 컨트롤러(controller)이며,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접수부(140)는 각종 정보를 접수하는 처리부이다. 예를 들어, 접수부(140)는 정보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수부(140)는 검지부(141)와 등록부(142)를 포함한다.
검지부(141)는 센서(120)를 통해 각종 정보를 검지한다. 예를 들어, 검지부(141)는 센서(120)의 일례인 음성 입력 센서(120A)를 통해, 유저가 발화한 음성을 검지한다.
또한, 검지부(141)는 검지한 음성의 의미 이해 처리를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검지부(141)는 제1 유저의 발화 등의 음성에 대하여, 자동 음성 인식(ASR) 처리나 자연 언어 이해(NLU)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검지부(141)는 ASR이나 NLU를 거쳐, 제1 유저의 음성을 형태소로 분해하거나, 각 형태소가 어떤 의도나 속성을 갖는 요소인지를 판정하거나 한다.
또한, 검지부(141)는 음성의 해석 결과, 유저의 의도가 이해 불능이었을 경우, 그 취지를 출력부(160)에 넘겨주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검지부(141)는 해석의 결과, 유저의 발화로부터 추정할 수 없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출력부(160)에 넘겨준다. 이 경우, 출력부(160)는 불분명한 정보에 대하여, 유저에 한번 더 정확하게 발화해 줄 것을 요구하는 응답(「한번 더 말해주세요」라는 발화 등)을 출력한다.
또한, 검지부(141)는 화상 입력 센서(120B)나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유저의 얼굴 정보, 유저의 신체 방향, 기울기, 움직임이나 이동 속도 등, 유저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검지해도 된다. 즉, 검지부(141)는 센서(120)를 통해, 위치 정보, 가속도, 온도, 중력, 회전(각속도), 조도, 지자기, 압력, 근접, 습도, 회전 벡터라는, 각종 물리량을 컨텍스트로서 검지해도 된다.
또한, 검지부(141)는 통신에 관한 정보를 검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검지부(141)는 제어 장치(100)와 중계 기기(200)나, 중계 기기(200)와 정보 기기(10) 등의 접속 상황을 정기적으로 검지해도 된다. 각종 기기와의 접속 상황은, 예를 들어 상호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나, 각 기기가 통신에 이용하고 있는 통신 규격 등이다.
등록부(142)는 입력부(121)를 통해 유저로부터의 등록을 접수한다. 예를 들어, 등록부(142)는 터치 패널이나 키보드를 통해, 정보 기기(10)에 대한 요구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데이터 등)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접수부(140)는 정보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한 경우, 당해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 기기(10)를 특정하고, 특정한 정보를 송신부(155)에 보낸다. 송신부(155)는 접수부(140)에 의해 접수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정보 기기(10)에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요구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취득부(145)는 정보 기기(10)가 검지한 주위의 상황(예를 들어, 주위에 생체가 소재하는지 여부)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취득부(145)는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145)는 접수부(140)에 의해 접수된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생체란,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를 이용하는 유저인 제2 유저이다.
즉, 취득부(145)는 제어 장치(100)와는 상이한 다른 기기(이 예에서는 정보 기기(10))가 구비하는 생체 센서 및 측거 센서를 제어함으로써,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생체 센서란, 예를 들어 생체가 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가 소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생체 센서는 생체의 온도(체온)를 검지하는 적외선 센서(서모그래피)나, 생체를 화상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카메라) 등이다. 또한, 측거 센서는 광을 조사하여 생체까지의 거리를 측거하는 거리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이다. 또한, 측거 센서에는, 예를 들어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Laser Imaging Detection and Ranging) 등의 기술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의 측정에는,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가 구비하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등의 기술이 이용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정보 기기(10)는 정보 기기(10)와 생체가 동일 실내에 소재하는지 여부 등을 고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취득부(145)는 후술하는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기기(10)가 실행한 동작의 결과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취득부(145)는 제어 정보에 의해 정보 기기(10)가 어떤 동작을 실행하였는지, 혹은 동작을 실행하지 않았음을 나타낸 결과 등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145)는 「정보 기기(10)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는 동작을 나타낸 제어 정보에 대하여 정보 기기(10)가 실제로 자기의 전원을 오프로 하였는지, 혹은 자기의 전원을 오프로 하지 않고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기각했다는 등의 결과(피드백)를 취득한다. 취득부(145)는 동작의 결과와 함께,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 옆에 제2 유저가 있었던 것을 이유로 하여 제어를 기각했다는 등, 정보 기기(10)가 행한 동작의 원인이나 이유에 관한 정보를 함께 취득해도 된다.
생성부(150)는 취득부(145)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한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정보란, 정보 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나 스크립트(프로그램 등)이다. 생성부(150)는 정보 기기 테이블(131)로부터 정보 기기(10)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각 정보 기기(10)의 통신 규격이나 프로토콜 등에 맞추어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성부(150)는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가, 미리 등록된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생성부(150)는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요구한 내용을 실행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 혹은 요구를 기각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생성부(150)는 취득부(145)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있어서, 정보 기기(10)의 근방에 생체가 소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한 요구에 따른 동작을 정보 기기(10)에 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부(150)는 취득부(145)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있어서, 정보 기기(10)의 근방에 생체가 소재하는 경우 등, 정보 기기 테이블(131)에 등록된 캔슬 조건 등에 적합한 경우,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한 요구를 기각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혹은, 생성부(150)는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정보 기기(10)의 응답 후보를 제시하도록 정보 기기(10)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즉, 생성부(150)는 정보 기기(10)의 동작을, 정보 기기(10)의 근방에 소재하는 제2 유저의 선택에 맡기기 위해서, 정보 기기(10)의 응답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하도록 정보 기기(10)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정보 기기(10)는 제어 정보에 따라서, 「(정보 기기(10)의) 전원이 오프로 되려고 합니다만, 어떻게 하겠습니까?」라는, 제2 유저가 선택 가능한 응답의 후보(전원을 오프로 할 것인가, 혹은 유지할 것인가)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생성부(150)는 정보 기기(10)가 제어 정보에 따라서 동작한 후에, 그 동작 결과를 제1 유저에게 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생성부(150)는 제1 유저가 동작을 요구한 정보 기기(10)에 있어서, 실제로 동작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성부(150)는 제1 유저가 조명(10A)을 끄려고 함에도 불구하고, 조명(10A)이 꺼지지 않았을 경우, 예를 들어 TTS(text-to-speech) 처리 등을 사용하여, 그 취지를 나타낸 음성 정보를 생성한다. 혹은, 생성부(150)는 동작이 행해졌음을 나타내는 화면 표시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생성부(150)는 생성한 음성 정보나 화면 표시를 출력부(160)로부터 출력한다.
송신부(155)는 각종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155)는 접수부(140)에 의해 제1 유저로부터 요구가 접수되었을 경우, 당해 요구에 기초하여,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요구를 정보 기기(1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송신부(155)는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를 각 정보 기기(10)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부(155)는 정보 기기(10)와 직접 정보를 주고받는 것은 아니고, 정보 기기(10)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라우터(200A) 등의 중계 기기(200)에 제어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출력부(160)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기구이다. 예를 들어, 출력부(160)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이다. 예를 들어, 출력부(160)는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제1 유저에 대한 통지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60)는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제1 유저에 대한 통지가 화면 표시(화상 데이터)인 경우, 화상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1-4.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의 구성]
이어서, 도 6을 사용하여,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기기(10)는 센서(20)와, 입력부(21)와, 통신부(22)와, 기억부(30)와, 검지부(40)와, 수신부(45)와, 결정부(50)와, 출력 제어부(55)와, 출력부(60)를 갖는다.
센서(20)는 각종 정보를 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센서(20)는, 예를 들어 정보 기기의 근방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하기 위한 사람 감지 센서(20A)를 포함한다. 사람 감지 센서(20A)는 생체 센서의 일례이며,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사람 감지 센서(20A)는 생체의 온도(체온)를 검지하는 적외선 센서나, 생체를 화상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카메라) 등이다.
측거 센서(20B)는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센서이다. 측거 센서는 광을 조사하여 생체까지의 거리를 측거하는 거리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이다.
또한, 정보 기기(10)는 센서(20)로서, 제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음성 입력 센서(120A)나 화상 입력 센서(120B) 등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센서(20)는 반드시 정보 기기(10)의 내부에 구비되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센서(20)는 통신 등을 사용하여 센싱한 정보를 정보 기기(10)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정보 기기(10)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입력부(21)는 유저로부터 각종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1)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부(22)는, 예를 들어 NIC 등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부(22)는 네트워크 N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고, 네트워크 N을 통해, 제어 장치(100)나 중계 기기(200) 등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억부(30)는, 예를 들어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기억부(30)는 유저 정보 테이블(31)과 응답 테이블(32)을 갖는다. 이하, 각 데이터 테이블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유저 정보 테이블(31)은 정보 기기(10)를 이용하는 유저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도 7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유저 정보 테이블(31)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유저 정보 테이블(3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저 정보 테이블(31)은 「유저 ID」, 「유저 속성 정보」, 「이력 정보」라는 항목을 갖는다.
「유저 ID」는 유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유저 속성 정보」는 정보 기기(10)의 이용 시에 유저로부터 등록되는, 유저의 각종 정보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저 속성 정보의 항목을 「F01」과 같이 개념적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유저 속성 정보에는, 유저의 연령이나 성별, 거주지, 가족 구성 등의 속성 정보(유저 프로파일)가 포함된다. 또한, 유저 속성 정보는 유저로부터 등록되는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기기(10)에 의해 자동 인식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 속성 정보에는, 화상 인식에 의해 어린이라고 추정된 정보나, 남성이나 여성이라고 추정된 정보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력 정보」는 유저의 정보 기기(10)의 이용 이력을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이력 정보의 항목을 「G01」과 같이 개념적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력 정보에는, 유저가 정보 기기(10)에 질문한 내용이나, 되묻기의 이력이나, 출력된 응답의 이력 등의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이력 정보에는, 유저를 음성으로 식별하기 위한 성문(聲紋) 정보나 파형 정보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즉,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저 ID가 「U01」로 식별되는 유저는, 유저 속성 정보가 「F01」이며, 이력 정보가 「G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응답 테이블(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응답 테이블(32)은 정보 기기(10)가 제어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의 응답(동작)의 내용을 기억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응답 테이블(3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응답 테이블(32)은 「제어 정보 ID」, 「제어 내용」, 「응답예」라는 항목을 갖는다. 또한, 「응답예」는 「응답 ID」, 「상황」, 「응답 내용」이라는 소 항목을 갖는다.
「제어 정보 ID」는 제어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제어 내용」은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제1 유저로부터의 요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낸다.
「응답예」는 제어 정보에 대한 정보 기기(10)의 응답예를 나타낸다. 「응답 ID」는 응답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상황」은 정보 기기(10)의 주위 상황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황의 항목을 「K01」과 같이 개념적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상황의 항목에는,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생체(제2 유저)가 소재하는지 여부, 혹은 정보 기기(10)와 제2 유저 사이의 거리 등의 구체적인 정보가 기억된다. 「응답 내용」은 제어 정보에 대하여 정보 기기(10)가 실제로 실행할 응답(동작)의 내용을 나타낸다.
즉, 도 8에는, 응답 테이블(32)에 등록된 정보의 일례로서, 제어 정보 ID 「J01」로 식별되는 제어 정보는, 정보 기기(10)에 대하여 「전원 오프」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예로서, 응답 ID 「K01」로 식별되는 응답은, 상황 「J01」에 있어서의 응답이며, 그 내용은 「전원 오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상황 「J01」이란, 정보 기기(10)의 근방에 유저가 소재하지 않는 상황이며, 그 경우에는, 정보 기기(10)는 제어 정보의 요구를 받아들여, 전원 오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 정보에 대한 다른 응답예로서, 응답 ID 「K02」로 식별되는 응답은, 상황 「J02」에 있어서의 응답이며, 그 내용은 「디스플레이 표시 혹은 음성 안내」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상황 「J02」란, 정보 기기(10)의 근방에 유저가 소재하고 있는 상황이며, 그 경우에는, 정보 기기(10)는 제어 정보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표시 혹은 음성 안내하여, 제2 유저에게 응답의 선택을 맡기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 정보에 대한 다른 응답예로서, 응답 ID 「K03」으로 식별되는 응답은, 상황 「J03」에 있어서의 응답이며, 그 내용은 「제어 장치로부터의 요구를 기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상황 「J03」이란, 정보 기기(10)의 근방에 유저가 소재하며, 또한 정보 기기(10)에 대한 조작을 행하고 있는 상황 등이며, 그 경우에는, 정보 기기(10)는 제어 정보의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고, 기각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서 나타낸 응답 테이블(32)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각각의 정보 기기(10)는 정보 기기(10)의 종별에 따라서, 또한 제어 정보의 내용별로, 상세한 응답의 내용이 설정된 응답 테이블(32)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6으로 되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검지부(40), 수신부(45), 결정부(50) 및 출력 제어부(55)는, 정보 기기(10)가 실행하는 정보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검지부(40), 수신부(45), 결정부(50) 및 출력 제어부(55)는, 예를 들어 CPU나 MPU, GPU 등에 의해, 정보 기기(10) 내부에 기억된 프로그램(예를 들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RAM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검지부(40), 수신부(45), 결정부(50) 및 출력 제어부(55)는 컨트롤러이며, 예를 들어 ASIC이나 FPGA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검지부(40)는 각종 정보를 검지하는 처리부이다. 예를 들어, 검지부(40)는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한다.
예를 들어, 검지부(40)는 사람 감지 센서(20A)나 생체 센서 등을 사용하여,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지부(40)는 정보 기기(10)를 이용하는 유저인 제2 유저가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또한, 검지부(40)는 측거 센서(20B) 등을 사용하여, 생체의 거리를 검지한다.
또한, 검지부(40)는 정보 기기(10)와 제2 유저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로서, 제2 유저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위치 정보란, 구체적인 경도 위도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제2 유저가 자택 내의 어느 방에 있는가 등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는 제2 유저가 자택 내의 거실에 있는가, 침실에 있는가, 어린이방에 있는가라는, 제2 유저의 소재지를 나타낸 정보여도 된다.
또한, 검지부(40)는 센서(20)로서 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주위의 상황을 화상 인식함으로써, 검지한 생체의 시선이나, 생체의 몸 방향 등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검지부(40)는 화상 인식에 의해 생체의 속성 정보 등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검지부(40)는 검지한 생체와, 미리 제2 유저로서 유저 정보 테이블(31)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대조하여, 검지한 생체의 속성 정보를 확정시켜도 된다. 또한, 검지부(40)는 생체를 검지한 빈도나 횟수 등에 따라서, 검지된 생체가 정보 기기(10)를 이용하는 제2 유저라고 판정하여, 검지된 생체를 유저 정보 테이블(31)에 등록해도 된다.
또한, 검지부(40)는 상기에서 나타낸 정보 이외에도, 센서(20)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검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검지부(40)는 센서(20)를 통해 취득되는, 정보 기기(10)의 위치 정보, 가속도, 온도, 중력, 회전(각속도), 조도, 지자기, 압력, 근접, 습도, 회전 벡터라는, 각종 물리량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검지부(40)는 내장된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장치와의 접속 상황(예를 들어, 통신의 확립에 관한 정보나, 이용하고 있는 통신 규격) 등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검지부(40)는 카메라나 마이크로폰 등을 통해, 유저가 행하고 있는 특정 가사의 정보나, 시청하고 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무엇을 먹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나, 특정 인물과 회화를 하고 있는 것 등, 유저의 상황을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검지해도 된다.
또한, 검지부(40)는 자택 내에 놓인 다른 정보 기기(10)(IoT 기기 등)와의 상호 통신에 의해, 어느 가전이 액티브인지 여부(예를 들어, 전원이 온인지 오프인지), 어느 가전이 어떤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의 정보를 검지해도 된다. 또한, 검지부(40)는 외부 서비스와의 상호 통신에 의해, 유저의 생활권에 있어서의 교통 상황이나 기상 정보 등을 검지해도 된다.
수신부(45)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부이다. 예를 들어, 수신부(45)는 정보 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부(45)는 제어 장치(100)나 중계 기기(200)로부터, 자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것 등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45)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 등을 통해, 제어 정보에 대하여 어떤 응답을 행할지를 정의한 설정 정보 등을 미리 수신하고 있어도 된다. 수신부(45)는 수신한 정보를 적절히 기억부(30) 내에 저장한다.
결정부(50)는 검지부(40)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45)가 수신한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결정부(50)는 검지부(40)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의 후보를 결정하고, 결정한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 대하여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결정부(50)는 음성 출력 혹은 화면 표시를 사용하여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결정부(50)는 수신한 제어 정보와, 현시점의 주위 상황을 응답 테이블(32)에 있어서 대조하여, 대조 결과로부터 응답 후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결정부(50)는 응답의 후보(예를 들어, 전원을 오프할지, 전원 온을 유지할지 등)를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나 화면 표시 정보 등을 출력 제어부(55)에 보낸다. 이 경우, 출력 제어부(55)는 응답의 후보를 출력부(60)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결정부(50)는 정보 기기(10)를 이용하는 제2 유저로부터의 반응에 기초하여, 제시한 응답의 후보 중, 실행할 응답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결정부(50)는 제2 유저가 정보 기기(10)의 전원 온을 유지할 의사를 나타낸 발화를 행한 경우, 응답의 후보 중 「전원 온을 유지한다」는 후보를 채용하여, 정보 기기(10)의 전원 온을 유지한다. 혹은, 결정부(50)는 제2 유저가 정보 기기(10)의 전원 오프를 인정하는 의사를 나타내었을 경우나, 전혀 반응을 행하지 않는 경우, 응답의 후보 중 「전원을 오프한다」는 후보를 채용하여, 정보 기기(10)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또한, 결정부(50)는 응답 테이블(32)에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하지 않고,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결정부(50)는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제2 유저가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응답으로서,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지 않을 것을 결정해도 된다. 즉, 결정부(50)는 제2 유저가 정보 기기(10)의 근방에 소재하는 경우, 제2 유저가 정보 기기(10)를 이용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원격으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기각할 것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결정부(50)는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하는 경우, 반드시 정보 기기(10)로부터 정보를 출력할 것을 요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를 수신한 에어컨(10C)은, 중계 기기(200)나 Wi-Fi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의 후보를 텔레비전(10B)에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텔레비전(10B)은 「에어컨이 꺼지려고 합니다만, 전원을 오프로 해도 되겠습니까?」라는, 에어컨(10C)에 있어서의 응답의 후보를 출력한다. 즉, 정보 기기(10)는 응답의 후보를 다른 정보 기기(10)에 송신하여, 자체의 대체로서, 응답의 후보를 출력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자체가 음성 출력이나 화상 출력의 기능을 갖지 않는 정보 기기(10)여도,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50)는 제2 유저가 검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2 유저와의 거리를 판정 요소로 하여,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기각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결정부(50)는 정보 기기(10)가 설치된 동일 건물 내, 혹은 정보 기기(10)가 설치된 동일 실내에 제2 유저가 검지되었을 경우에, 응답으로서,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지 않을 것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결정부(50)는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제2 유저가 검지되고, 또한 정보 기기(10)와 제2 유저 사이의 거리가 미리 등록된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결정부(50)는 제2 유저가 정보 기기(10)를 실제로 이용 중인지 여부를 고정밀도로 판정한 다음,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50)는 제2 유저의 시선 혹은 몸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유저가 텔레비전(10B)과 동 실내에 소재하고 있다고 해도, 텔레비전(10B)을 시청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정부(50)는 제2 유저의 시선이나 신체의 방향이 텔레비전(10B)을 향하고 있지 않을 경우, 제2 유저가 텔레비전(10B)을 시청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받아들여, 텔레비전(10B)의 전원을 오프로 하도록 결정해도 된다.
또한, 결정부(50)는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제2 유저가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응답으로서,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할 것을 결정해도 된다. 즉, 결정부(50)는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제2 유저가 검지되지 않을 경우, 제1 유저에 의한 원격 조작을 접수한다. 이와 같이, 정보 기기(10)는 제1 유저 등의 생체가 근처에 없을 때에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원격 조작을 행하고 싶다는 제1 유저의 요망이나, 원격 조작에 의한 편리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응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50)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 송신원인 제어 장치(100)의 소재 위치에 따라서,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결정부(50)는 제어 장치(100)가 제어의 대상이 되는 정보 기기(10)와 동일 가옥 내나 동일 실내에 소재하는 경우, 주위에 제2 유저가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는 것으로 결정해도 된다.
또한, 결정부(50)는 검지된 생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결정부(50)는 시청하고 있는 제2 유저가 어린이이거나, 생체가 사람 이외(애완 동물 등)이거나 하는 경우에는, 정보 기기(10)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는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는 것으로 결정해도 된다. 또한, 결정부(50)는 응답 테이블(32)에 등록된 정보를 참조하여, 정보 기기(10)의 종별에 따라서 동작을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결정부(50)는 생체가 사람 이외의 애완 동물 등인 경우, 「텔레비전(10B)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는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는 접수하고, 「에어컨(10C)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는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는 접수하지 않도록 결정해도 된다.
또한, 결정부(50)는 제어 정보에 대한 동작을 결정한 후에, 결정한 동작의 내용이나, 실제로 정보 기기(10)가 동작한 결과 등을 제어 정보의 송신원인 제어 장치(100)에 송신해도 된다. 즉, 결정부(50)는 제어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정보 기기(10)에 대하여 요구를 행한 제1 유저는, 실제로 정보 기기(10)에서 어떤 동작이 행해졌는지 여부, 혹은 정보 기기(10) 옆에 제2 유저가 소재하고 있었는지 여부 등의 정보를 지득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5)는 수신부(45)에 의해 수신된 제어 정보의 내용이나, 결정부(50)에 의해 결정된 응답의 내용 등을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55)는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하거나, 제어 정보에 의해 정보 기기(10)의 전원이 오프되려고 하거나 하고 있는 상황 등이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60)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기구이다. 예를 들어, 출력부(60)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이다. 예를 들어, 출력부(60)는 출력 제어부(55)에 의해 출력되도록 제어된 응답의 후보 등을 제2 유저에 대하여 음성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60)는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해도 된다.
[1-5.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수순]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사용하여,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1)이다. 도 9에서는, 제어 장치(100)가 주체가 되어 정보 기기(10)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는 제1 유저로부터 원격 조작의 요구를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1). 요구를 접수하지 않았을 경우(스텝 S101; "아니오"), 제어 장치(100)는 요구를 접수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요구를 접수한 경우(스텝 S101; "예"), 제어 장치(100)는 요구처가 되는 정보 기기(10)로부터 주위를 검지한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02).
계속해서, 제어 장치(100)는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03). 그 후, 제어 장치(100)는 제어 정보에 의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정보 기기(10)로부터 취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4).
피드백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스텝 S104; "아니오"), 제어 장치(100)는 피드백을 취득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피드백을 접수한 경우(스텝 S104; "예"), 제어 장치(100)는 피드백의 내용을 제1 유저에게 통지한다(스텝 S105).
이어서, 도 10을 사용하여,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2)이다. 도 10에서는, 정보 기기(10)가 주체가 되어 정보 기기(10)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기(10)는 제어 장치(100) 혹은 중계 기기(2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1). 제어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201; "아니오"), 정보 기기(10)는 제어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스텝 S201; "예"), 정보 기기(10)는 제어 정보의 송신원(바꿔 말하면, 제어 장치(100)의 소재 위치)이 정보 기기(10)가 설치되어 있는 방과는 다른 방인지, 혹은 옥외로부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2).
송신원이 다른 방이나 옥외로부터일 경우(스텝 S202; "예"), 정보 기기(10)는 주위의 정보를 검지한다(스텝 S203).
계속해서, 정보 기기(10)는 검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나타내진 처리를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4).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는 응답 테이블(32)에 등록된 정보를 참조하여, 검지한 상황 하에 있어서, 제어 정보에 나타내진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정보에 나타내진 처리를 실행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04; "아니오"), 정보 기기(10)는 응답 테이블(32)에 등록된 응답 중, 실행할 내용을 결정한다(스텝 S205).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는 제어 정보에 있어서 지시된 동작을 바로 실행하는 것은 아니고,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하고, 제2 유저에 의한 지시를 기다린다.
한편, 제어 정보에 나타내진 처리를 실행 가능한 경우(스텝 S204; "예"), 혹은 제어 정보의 송신원이 동일 실내일 경우(스텝 S202; "아니오"), 정보 기기(10)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조작을 실행할 것을 결정한다(스텝 S206).
그 후, 정보 기기(10)는 제어 장치(100)에의 피드백을 송신한다(스텝 S207).
[1-6.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는, 각종 변형을 수반해도 된다. 이하에,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나 정보 기기(10)는 기억부(130)나 기억부(30)에 등록된 정보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는 연계되는 정보 기기(10)의 추가나, 정보 기기(10)의 기능의 갱신 등에 따라서, 정보 기기 테이블(131)이나 중계 기기 테이블(132)의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정기적으로 각 정보 기기(10)에 대하여 기동 워드나 소정의 스크립트 등을 송신하고, 각 정보 기기(10)가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지를 체크해도 된다.
(2.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기기(10)의 각각이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기기(10)가 아니고, 중계 기기(200)가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2)은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센서 구비 스마트 리모컨(200E)을 포함한다. 센서 구비 스마트 리모컨(200E)은, 생체 센서(사람 감지 센서)나 측거 센서나 카메라 등을 갖는 리모컨이며, 주위에 제2 유저가 소재하는지 여부 등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0)가 제1 유저로부터 요구를 접수한 경우, 먼저, 제어 장치(100)로부터 중계 기기(200)에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요구가 송신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가 텔레비전(10B)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 장치(100)는 중계처로서, 센서 구비 스마트 리모컨(200E)에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요구를 송신한다.
센서 구비 스마트 리모컨(200E)은 요구를 수신하면, 제어 정보의 제어 대상인 텔레비전(10B) 주위의 상황을 검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 구비 스마트 리모컨(200E)은 사람 감지 센서나 생체 센서를 사용하여, 텔레비전(10B)의 주위에 제2 유저가 소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또한, 센서 구비 스마트 리모컨(200E)은 제2 유저와 텔레비전(10B) 사이의 거리 등을 검지한다.
그리고, 센서 구비 스마트 리모컨(200E)은 검지한 정보를 제어 장치(100)에 반환한다. 제어 장치(100)는 센서 구비 스마트 리모컨(200E)으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텔레비전(10B)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즉,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0)에 관한 취득부(145)는, 정보 기기(10)나 제어 장치(100)와는 상이한 다른 기기(예를 들어 중계 기기(200))가 구비하는 생체 센서 및 측거 센서를 제어함으로써,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중계 기기(200)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유저의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기기(10)는 정보 기기(10)로 검지를 행하는 것은 아니고,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나,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를 중계 기기(200)에 검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생체의 검지를 중계 기기(200)가 실행한다. 이에 의해, 정보 기기(10) 자체가 센서를 갖지 않는 장치여도, 정보 기기(10) 및 제어 장치(100)는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0)는 중계 기기(200) 중 어느 것이 센서를 갖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해도 된다. 이 점에 대하여,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중계 기기 테이블(132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중계 기기 테이블(132A)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중계 기기 테이블(132)과 비교하여, 「사람 감지 센서」라는 항목을 갖는다. 제어 장치(100)는 중계 기기 테이블(132A)를 참조하여, 사람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중계 기기(200)를 특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특정한 중계 기기(200)에 대하여 검지 요구 등을 송신함으로써, 정보 기기(10)의 주위 상황을 검지한 정보를 취득한다.
(3.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 기기(200) 중 어느 것이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 기기(200)나 정보 기기(10)가 아니고, 센서 디바이스(300)가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센서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센서 디바이스(300)는 생체 센서(사람 감지 센서)나 측거 센서나 카메라 등을 갖는 센싱 전용의 디바이스이며, 주위에 제2 유저가 소재하는지 여부 등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센서 디바이스(300)는 1대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0)가 제1 유저로부터 요구를 접수한 경우, 먼저, 제어 장치(100)로부터 센서 디바이스(300)에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요구가 송신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가 텔레비전(10B)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 장치(100)는 자택에 설치된 센서 디바이스(300)에 주위의 상황을 검지하는 요구를 송신한다.
센서 디바이스(300)는 요구를 수신하면, 제어 정보의 제어 대상인 텔레비전(10B)의 주위의 상황을 검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 디바이스(300)는 사람 감지 센서나 생체 센서를 사용하여, 텔레비전(10B)의 주위에 제2 유저가 소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또한, 센서 디바이스(300)는 제2 유저와 텔레비전(10B) 사이의 거리 등을 검지한다.
그리고, 센서 디바이스(300)는 검지한 정보를 제어 장치(100)에 반환한다. 제어 장치(100)는 센서 디바이스(300)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텔레비전(10B)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센서 디바이스(300)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유저의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기기(10)는 정보 기기(10)로 검지를 행하는 것은 아니고,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나,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를 센서 디바이스(300)에 검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생체의 검지를 센서 디바이스(300)가 실행한다. 이에 의해, 정보 기기(10)나 중계 기기(200)가 센서를 갖지 않는 장치여도, 정보 기기(10) 및 제어 장치(100)는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4. 기타 실시 형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는, 상기 각 실시 형태 이외에도 각종 다른 형태로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0)가 소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이며, 스탠드 얼론으로 처리를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제어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서버 장치(소위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와 연계하여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정보 기기(10)도 스탠드 얼론으로 처리를 행하는 것은 아니고,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클라우드 서버 등과 연계하여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0)가 소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이며, 중계 기기(200)와는 다른 기기인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제어 장치(100)는 도 3에서 나타낸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라면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마트 스피커(200C)나 스마트 리모컨(200D) 등의 중계 기기(200)여도, 제어 장치(100)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0)는 다른 기기(정보 기기(10)나 중계 기기(200))를 제어함으로써, 정보 기기(10)의 주위 상황을 검지한 정보를 취득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제어 장치(100)에 관한 취득부(145)는, 제어 장치(100)가 구비하는 생체 센서 및 측거 센서를 사용하여,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100)는 도 6에 나타낸 센서(20)나 검지부(40)와 마찬가지의 디바이스나 처리부를 갖는다. 또한, 중계 기기(200)가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인 경우,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계 기기(200)는 중계 기기(200)가 구비하는 센서를 사용하여,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10)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정보 기기(10)와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나 정보 기기란, 제어 장치(100)나 정보 기기(10)와 같은 단체는 아니고,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나 제어 장치는, 정보 기기(10)나 제어 장치(100) 내에 탑재되는 IC 칩 등의 양태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각 처리 중,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고, 혹은 수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지된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상기 문서 중이나 도면 중에서 나타낸 처리 수순, 구체적 명칭, 각종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하여는,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도면에 나타낸 각종 정보는, 도시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기능 개념적인 것이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을 것을 요하지는 않는다. 즉, 각 장치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서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50)와 출력 제어부(55)는 통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해 온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처리 내용을 모순되지 않게 하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5.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 또는 제어 장치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기기(10))는 수신부(실시 형태에서는 수신부(45))와, 검지부(실시 형태에서는 검지부(40))와, 결정부(실시 형태에서는 결정부(50))를 구비한다. 수신부는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검지부는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실시 형태에서는 제2 유저 등)를 검지함과 함께, 정보 기기와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한다. 결정부는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나 생체까지의 거리를 검지하고, 검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함으로써, 실제의 정보 기기의 이용 상황에 입각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의 후보를 결정하고, 결정한 응답의 후보를 생체(제2 유저 등)에 대하여 제시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응답의 후보를 제2 유저에게 제시함으로써, 제2 유저에 대하여 응답에 관한 판단을 맡길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에 대하여, 제2 유저에 선택지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유저의 의사에 반해 정보 기기가 제어되지 않는 등, 제2 유저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음성 출력 혹은 화면 표시를 사용하여 응답의 후보를 제시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예를 들어 제2 유저가 어떠한 작업을 하고 있거나, 텔레비전 등을 시청하고 있거나 하는 경우에도, 유저에 이해하기 쉽게 응답의 후보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정보 기기를 이용하는 유저(실시 형태에서는 제2 유저)로부터의 반응에 기초하여, 제시한 응답의 후보 중, 실행할 응답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원격 조작에 의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제2 유저의 의사를 존중한 응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정보 기기의 주위에 생체가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응답으로서,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지 않을 것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원격 조작에 의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제2 유저의 뜻에 반해 전원이 오프로 되는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정보 기기가 설치된 동일 건물 내, 혹은 정보 기기가 설치된 동일 실내에 생체가 검지되었을 경우에, 응답으로서,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지 않을 것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제2 유저가 소재하는 위치에 따라서 적절한 응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정보 기기의 주위에 생체가 검지되고, 또한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가 미리 등록된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제2 유저가 소재하는 위치나 가전마다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한 응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검지부는 생체의 시선 혹은 몸의 방향을 검지한다. 결정부는 생체의 시선 혹은 몸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제2 유저가 실제로 정보 기기를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와 같은 상황을 정확하게 판정한 다음, 제어 정보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정보 기기의 주위에 생체가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응답으로서,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할 것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원격 조작에 의한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검지된 생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정보 기기는, 예를 들어 생체가 어린이이거나, 사람 이외의 애완 동물이거나 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 맞게 유연한 응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0))는 접수부(실시 형태에서는 접수부(140))와, 취득부(실시 형태에서는 취득부(145))와, 생성부(실시 형태에서는 생성부(150))를 구비한다. 접수부는 정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유저(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취득부는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생성부는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나 생체까지의 거리를 검지한 정보를 취득한 다음, 검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제어 장치는 실제의 정보 기기의 이용 상황에 입각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취득부는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생체 센서 및 측거 센서를 사용하여,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는 실제의 정보 기기의 이용 상황에 입각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취득부는 제어 장치와는 상이한 다른 기기가 구비하는 생체 센서 및 측거 센서를 제어함으로써,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는 제어 장치 자체가 센서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나, 제어 장치와 정보 기기가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여도, 실제의 정보 기기의 이용 상황에 입각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는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가, 미리 등록된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요구한 내용을 실행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 혹은 요구를 기각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는 제1 유저가 원격 조작에 의해 정보 기기를 제어하고자 한 경우에도, 제2 유저의 뜻에 반해 전원이 오프로 되는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는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한 당해 정보 기기의 응답 후보를 제시하도록 당해 정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는 제1 유저가 제어하고자 하는 정보 기기의 이용자인 제2 유저에 선택지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유저의 의사에 반해 정보 기기가 제어되는 등, 제2 유저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취득부는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기기가 실행한 동작의 결과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관한 제어 장치는, 실제로 제어 정보에 의해 정보 기기를 제어할 수 있었는지 여부 등의 상황을 제1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유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6. 하드웨어 구성)
상술해 온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100)나 정보 기기(10), 중계 기기(200), 센서 디바이스(300) 등의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내는 구성의 컴퓨터(1000)에 의해 실현된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4는, 정보 기기(10)의 기능을 실현하는 컴퓨터(1000)의 일례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컴퓨터(1000)는 CPU(1100), RAM(1200), ROM(Read Only Memory)(1300), HDD(Hard Disk Drive)(1400), 통신 인터페이스(1500)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600)를 갖는다. 컴퓨터(1000)의 각 부는 버스(1050)에 의해 접속된다.
CPU(1100)는 ROM(1300) 또는 HDD(140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하여,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CPU(1100)는 ROM(1300) 또는 HDD(14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200)에 전개하여, 각종 프로그램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ROM(1300)은 컴퓨터(1000)의 기동 시에 CPU(1100)에 의해 실행되는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등의 부트 프로그램이나, 컴퓨터(1000)의 하드웨어에 의존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HDD(1400)는 CPU(110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등을 비일시적으로 기록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구체적으로는, HDD(1400)는 프로그램 데이터(1450)의 일례인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500)는 컴퓨터(1000)가 외부 네트워크(1550)(예를 들어 인터넷)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CPU(1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500)를 통해, 다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CPU(1100)가 생성한 데이터를 다른 기기에 송신하거나 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0)는 입출력 디바이스(1650)와 컴퓨터(1000)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CPU(1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0)를 통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CPU(1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나 프린터 등의 출력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600)는 소정의 기록 매체(미디어)에 기록된 프로그램 등을 판독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해도 된다. 미디어란, 예를 들어 DVD(Digital Versatile Disc), PD(Phase change rewritable Disk) 등의 광학 기록 매체, MO(Magneto-Optical disk) 등의 광자기 기록 매체, 테이프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1000)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로서 기능하는 경우, 컴퓨터(1000)의 CPU(1100)는, RAM(1200) 상에 로드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검지부(40) 등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HDD(1400)에는,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나, 기억부(30) 내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CPU(1100)는 프로그램 데이터(1450)를 HDD(1400)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하지만, 다른 예로서, 외부 네트워크(1550)를 통해, 다른 장치로부터 이들 프로그램을 취득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구비하는 정보 기기.
(2)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의 후보를 결정하고, 결정한 응답의 후보를 상기 생체에 대하여 제시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기기.
(3)
상기 결정부는,
음성 출력 혹은 화면 표시를 사용하여 상기 응답의 후보를 제시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정보 기기.
(4)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를 이용하는 유저로부터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제시한 응답의 후보 중, 실행할 응답을 결정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정보 기기.
(5)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생체가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응답으로서,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기기.
(6)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가 설치된 동일 건물 내, 혹은 당해 정보 기기가 설치된 동일 실내에 생체가 검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응답으로서,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정보 기기.
(7)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생체가 검지되고, 또한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가 미리 등록된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기기.
(8)
상기 검지부는,
상기 생체의 시선 혹은 몸의 방향을 검지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체의 시선 혹은 몸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기기.
(9)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생체가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응답으로서,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할 것을 결정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기기.
(10)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지된 생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기기.
(11)
정보 기기가,
상기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정보 기기를,
상기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결정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3)
정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
(14)
상기 취득부는,
상기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생체 센서 및 측거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제어 장치.
(15)
상기 취득부는,
상기 제어 장치와는 상이한 다른 기기가 구비하는 생체 센서 및 측거 센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제어 장치.
(16)
상기 생성부는,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가, 미리 등록된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한 내용을 실행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 혹은 상기 요구를 기각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13) 내지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어 장치.
(17)
상기 생성부는,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당해 정보 기기의 응답 후보를 제시하도록 당해 정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13) 내지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어 장치.
(18)
상기 취득부는,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기기가 실행한 동작의 결과를 취득하는
상기 (13) 내지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어 장치.
(19)
제어 장치가,
정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방법.
(20)
제어 장치를,
정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1, 2, 3: 정보 처리 시스템
10: 정보 기기
20: 센서
20A: 사람 감지 센서
20B: 측거 센서
21: 입력부
22: 통신부
30: 기억부
31: 유저 정보 테이블
32: 응답 테이블
40: 검지부
45: 수신부
50: 결정부
55: 출력 제어부
60: 출력부
100: 제어 장치
120: 센서
120A: 음성 입력 센서
120B: 화상 입력 센서
121: 입력부
122: 통신부
130: 기억부
131: 정보 기기 테이블
132: 중계 기기 테이블
140: 접수부
141: 검지부
142: 등록부
145: 취득부
150: 생성부
155: 송신부
160: 출력부
200: 중계 기기

Claims (20)

  1.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구비하는 정보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의 후보를 결정하고, 결정한 응답의 후보를 상기 생체에 대하여 제시하는
    정보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음성 출력 혹은 화면 표시를 사용하여 상기 응답의 후보를 제시하는
    정보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를 이용하는 유저로부터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제시한 응답의 후보 중, 실행할 응답을 결정하는
    정보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생체가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응답으로서,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는
    정보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가 설치된 동일 건물 내, 혹은 당해 정보 기기가 설치된 동일 실내에 생체가 검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응답으로서,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는
    정보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생체가 검지되고, 또한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가 미리 등록된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정보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생체의 시선 혹은 몸의 방향을 검지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체의 시선 혹은 몸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정보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생체가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응답으로서,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를 접수할 것을 결정하는
    정보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지된 생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정보 기기.
  11. 정보 기기가,
    상기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정보 기기를,
    상기 정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를 검지함과 함께,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결정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3. 정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생체 센서 및 측거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제어 장치와는 상이한 다른 기기가 구비하는 생체 센서 및 측거 센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가, 미리 등록된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한 내용을 실행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 혹은 상기 요구를 기각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당해 정보 기기의 응답 후보를 제시하도록 당해 정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기기가 실행한 동작의 결과를 취득하는
    제어 장치.
  19. 제어 장치가,
    정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방법.
  20. 제어 장치를,
    정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요구의 대상인 정보 기기의 주위에 소재하는 생체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 기기와 당해 생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KR1020217022306A 2019-01-29 2020-01-21 정보 기기,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KR20210119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3281 2019-01-29
JP2019013281 2019-01-29
PCT/JP2020/001898 WO2020158504A1 (ja) 2019-01-29 2020-01-21 情報機器、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966A true KR20210119966A (ko) 2021-10-06

Family

ID=7184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306A KR20210119966A (ko) 2019-01-29 2020-01-21 정보 기기,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22604A1 (ko)
EP (1) EP3920518A4 (ko)
JP (1) JPWO2020158504A1 (ko)
KR (1) KR20210119966A (ko)
CN (1) CN113383518A (ko)
WO (1) WO202015850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2778A (ja) 2013-10-23 2015-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家電機器
JP2017123518A (ja) 2016-01-05 2017-07-13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139036A1 (ja) 2017-01-25 2018-08-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1117A1 (en) * 2001-10-16 2003-04-17 Meade William K.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iority among multiple mobile computing devices to control an appliance
JP2012083669A (ja) * 2010-10-14 2012-04-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方法およ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US8862155B2 (en) * 2012-08-30 2014-10-14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abl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in a premises
US9621433B2 (en) * 2012-12-28 2017-04-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trol method used in a remote control system
EP3042544B1 (en) * 2013-09-04 2021-01-13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rollable device
KR102216048B1 (ko) * 2014-05-20 202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명령 인식 장치 및 방법
US20160259419A1 (en) * 2015-03-05 2016-09-0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Techniques for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user proximity
CN106679082A (zh) * 2016-12-23 2017-05-1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的显示控制方法和装置
US10403276B2 (en) * 2017-03-17 2019-09-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ice enabled features based on proximity
CN108758986B (zh) * 2018-06-15 2020-09-25 重庆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KR20200043075A (ko) * 2018-10-1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전자 장치의 음향 출력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2778A (ja) 2013-10-23 2015-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家電機器
JP2017123518A (ja) 2016-01-05 2017-07-13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139036A1 (ja) 2017-01-25 2018-08-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83518A (zh) 2021-09-10
WO2020158504A1 (ja) 2020-08-06
JPWO2020158504A1 (ja) 2021-12-02
US20220122604A1 (en) 2022-04-21
EP3920518A4 (en) 2022-03-02
EP3920518A1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497B1 (ko) 사용자 발화의 표현법을 파악하여 기기의 동작이나 컨텐츠 제공 범위를 조정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111892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e message to user input
KR101898101B1 (ko) Iot 상호작용 시스템
WO202019582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875776B2 (en) Response generating apparatus, response generating method, and response generating program
CN112331196A (zh) 管理多个智能代理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20210398528A1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in response to speech comman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74927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based on vo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950024B2 (en) Remote operation system, remote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US20220036897A1 (en) Response processing apparatus, response processing method, and response processing program
EP34418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172716A1 (en) Response generation device and response generation method
KR20210119966A (ko) 정보 기기,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US114609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2147970A1 (ja) 位置コンテキスト取得装置、位置コンテキスト取得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位置コンテキスト取得方法
JP7415952B2 (ja) 応答処理装置及び応答処理方法
US119367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013115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same
KR20210155505A (ko) 이동 가능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42268B1 (ko) 공유 업무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230197075A1 (en) Method of identifying targe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36372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0013007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0066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220118766A (ko) 발화 입력에 기초한 커맨드를 처리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