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737A -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737A
KR20210119737A KR1020200036253A KR20200036253A KR20210119737A KR 20210119737 A KR20210119737 A KR 20210119737A KR 1020200036253 A KR1020200036253 A KR 1020200036253A KR 20200036253 A KR20200036253 A KR 20200036253A KR 20210119737 A KR20210119737 A KR 20210119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 dispenser
information
patient
server
guar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이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석 filed Critical 이현석
Priority to KR102020003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737A/ko
Publication of KR20210119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알약 디스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서버,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및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PILLS-DISPENSER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ATIENT CARE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처방된 약을 제공하는 디스펜서와 디스펜서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통해 확인이 가능한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사는 환자를 진료한 다음 환자의 증상을 치료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특정한 약을 혼합하여 환자가 투약할 수 있도록 처방전을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의사는 환자의 증상에 따른 처방전을 발급하고 약사는 처방전에 따라서 약을 조제하며 환자에게 약 복용에 대한 안내를 한다.
처방전과 약사의 복용 안내가 중요한 이유는, 처방된 약의 올바른 복용이 환자의 치료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환자는 자신의 병환을 치료하기 위해, 약의 오용과 남용을 하지 않고, 처방전에 기록된 것에 따라 정시에 정량의 약을 복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약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환자들은 현재 복용하는 약에 대해서 약국에서 설명한 개략적인 내용만을 인지하고 있을 뿐,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복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게다가 환자의 상황에 따라 약을 섭취해야 하는 적정 시기에 약을 섭취할 시간을 놓치거나, 약의 섭취 여부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처럼, 적정한 약의 복용이 없으면, 환자의 치료는 더뎌지고, 질병은 만성이 될 수 있다. 또한, 약의 섭취 여부를 기억하지 못해서 과다복용 하는 경우, 약의 부작용으로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나이가 많은 노인의 경우, 치매,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체 장애로 인하여, 홀로 약을 올바르게 복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이러한 환자에 대해 전문적으로 약 복용을 케어하고 환자의 건강 상태를 돌보는 서비스는 전무하다.
KR 10-1541476 B1 (2015. 07. 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인 또는 환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정해진 용법에 따라 약의 복용을 도울 수 있는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노인 또는 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보호자의 육체적, 경제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노인 또는 환자의 약 복용을 전문적으로 보살피며 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알약 디스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서버;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및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 정보 및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 또는 상기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게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정보를, 이메일, 문자 서비스, SNS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약 디스펜서는 자기진단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제어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가 자기진단 기능을 수행시키고, 상기 자기진단의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방 정보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부터 허가된 경우에만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서버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특이한 사용 패턴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환자의 소정 기간의 부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부재정보와 상기 사용 패턴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알람의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부터 허가된 경우에만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방문 스케줄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와 네트워크로 연결가능한 환자 관리 서버는,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디바이스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알약 디스펜서로부터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 각각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 정보를 각각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정보는, 이메일, 문자 서비스, SNS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특이한 사용 패턴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환자의 소정 기간의 부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정보와 상기 사용 패턴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알람의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방문 스케줄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알약 디스펜서로부터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처방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계 정보를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방문 스케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특이한 사용 패턴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알람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은, 노인 또는 환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정해진 용법에 따라 약의 복용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노인 또는 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보호자의 육체적, 경제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노인 또는 환자의 약 복용을 전문적으로 보살피며 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의 수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의 관점에서 수행되는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의 수행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의 수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10)은 알약 디스펜서(100), 서버(200), 보호자 디바이스(300), 관리자 디바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 서버(200), 보호자 디바이스(300) 및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네트워크(500)로 연결되어 각각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서버(200)는 알약 디스펜서(100)와 네트워크로 연결가능한 환자 관리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알약 디스펜서(100)는 처방받은 약을 일회 복용량만큼 환자에게 분배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보호자 디바이스(300)는 알약 디스펜서(100)를 이용하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알약 디스펜서(100) 또는 환자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는 처방전을 다룰 수 있는 전문적인 자격을 가진 자격자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리자는 간호 조무사, 간호사, 약사, 의사 등일 수 있다.
서버(200)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의 입력을 통해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 정보를 저장하고, 알약 디스펜서(100)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처방 정보는, 환자가 처방받은 처방전에 기록된 약의 종류, 일회 복용량, 약의 성분, 약의 제조업자, 처방한 의사, 제조한 약사, 약국 주소, 부작용, 처방 일자, 제조 일자, 진료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자의 환자 방문 스케줄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처방 정보를 알약 디스펜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 알약 디스펜서(100)로 전송되는 상기 처방 정보는 약제 정보, 투여량 정보 및 복용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처방 정보를 기초로 환자에게 약을 분배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는 환자에게 약을 분배할 때, 비프음을 출력하거나 라이트를 발광하여, 환자에게 약의 복용 시간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환자는 알약 디스펜서(100)의 비프음 또는 라이트의 발광을 통해 약의 복용 시간을 인지하고, 약을 복용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의 사용 정보는 약의 복용 시간, 환자의 약 복용 여부, 약의 재고, 환자의 부재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알약 디스펜서(100) 사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보호자 디바이스(300) 및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사용 정보 또는 상기 처방 정보를 수신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일 예시로 스마트 폰의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컴퓨터,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랩탑(laptop) 컴퓨터, 노트북,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박스(black box),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텔레비전(televis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음성 인식 스피커, 스마트 스피커, AI(인공지능) 스피커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알약 디스펜서(100)는 상기 사용 정보를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고, 서버(200)는 수신한 상기 사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알약 디스펜서(100)는 약의 복용 시간에 맞춰 분배된 약을 환자가 복용하여 발생한 사용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하여, 이전에 서버(200)에 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는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서버(200)에 새로운 사용 정보를 송신하여 서버(200)에 저장된 이전의 상기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새로운 사용 정보를 서버(200)에 송신하여 서버(200)에 저장된 이전의 상기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200)는 업데이트된 상기 사용 정보를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에게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6시간, 12시간 또는 24시간과 같이 상기 사용 정보를 송신할 주기가 설정되면, 서버(200)는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사용 정보를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주기의 설정은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의 입력을 통해 보호자 또는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사용 정보를 이메일, 문자 서비스, SNS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호자 또는 관리자는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를 이용하여 서버(200)가 전송하는 상기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호자 또는 관리자는 환자가 약을 잘 복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서버(200)는 비정기적으로 알람을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의 상기 알람 송신은 서버(200)가 상기 사용 정보를 분석하여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알약 디스펜서(100)의 사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서버(200)는 상기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특이한 사용 패턴이 검출되면 상기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환자의 약 복용 여부 또는 환자의 약 복용 시간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통계 정보는 테이블 데이터 단순 수치 통계 정보 또는 그래프 같은 시각적인 통계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통계 정보는 환자가 과거에 복용한 패턴, 환자의 증상이 호전될 때 예상되는 복용 패턴의 수치 및 그래프가 도출되지 않으면, 서버(200)는 환자의 약 복용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고,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상기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보호자 또는 관리자는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을 이용하여 상기 알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보호자 또는 관리자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의심되는 환자를 검진 또는 방문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는 특이한 사용 패턴에 대해 환자의 부재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알람의 송신을 결정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의 사용 정보에 환자의 부재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서버(200)는 상기 사용 정보의 통계 정보가 특이한 사용 패턴이 나타나도,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상기 알람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환자의 부재가 미리 입력되었으므로, 서버(200)는 상기 특이한 패턴이 나타나도, 환자의 위급상황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는 상기 알람은 관리자 디바이스(400)로만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환자를 돌보는 담당자이자, 의학전문가로서, 상기 알람의 상기 통계 정보의 확인을 통해 이상패턴을 보이는 환자에게 보호자보다 더 올바른 처치가 가능할 수 있다. 보호자는 1차적인 돌봄을 관리자에게 위임하여, 환자를 돌봄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신경과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알람 또는 상기 통계 정보는 관리자가 관리자 디바이스(400)의 입력으로 보호자 디바이스(300)에 전송되도록 허가한 경우에 한해, 서버(200)가 보호자 디바이스(300)에 전송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는 자기진단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기진단 기능은 관리자 디바이스(400)가 알약 디스펜서(100)에게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의 수행 명령은 네트워크(500)를 통해 알약 디스펜서(100)에 전송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는 자기진단을 수행하고, 진단 결과를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송신할 수 있다. 관리자는 알약 디스펜서(100)의 자기 진단 결과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으면 알약 디스펜서(100)의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의 관점에서 수행되는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의 수행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10)이 수행되는 예시를 설명한다.
관리자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환자를 방문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가 환자를 방문할 수 없으면, 보호자가 환자에게 전화를 하거나 방문하도록 보호자를 호출할 수 있다.
관리자는 환자를 방문하면, 먼저 환자 정보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는 환자의 이름을 확인하고, 동의서를 환자가 작성토록 하거나, 보호자가 작성한 동의서를 확인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체크가 완료되면, 관리자는 환자 신체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는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체크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후, 관리자는 알약 디스펜서(100)에 장애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알약 디스펜서(100)의 자기진단 기능 작동시켜 알약 디스펜서(100)의 장애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되는 상기 자기진단 기능의 결과를 확인하고, 알약 디스펜서(100)의 장애가 확인되면, 서버(200)를 통해 수리 요청을 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의 상태가 정상이면, 관리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를 이용해 서버(200)에 처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처방전에 기초해 제조된 약을 알약 디스펜서(100)에 수납할 수 있다. 약은 관리자뿐 아니라, 환자 또는 보호자가 수납할 수도 있다. 관리자가 상기 처방 정보를 서버(200)에 입력하면, 알약 디스펜서(10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해 수납된 약을 분배할 수 있다. 예컨대, 알약 디스펜서(100)는 상기 처방 정보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약의 종류를 1회 복용량으로 배분하고, 환자가 복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는 환자에 대하여 질문지를 수령받고, 약 복용에 대한 복용이행도가 증진되도록 교육 및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질문지는 여행 등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100)의 미사용으로 인해 외형상 미복용으로 기록된 사용 정보에 대해서 환자가 실제로 약을 복용했는지 질문하는 질문지일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질문지를 수령하고, 질문지 내용을 서버(200)에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질문지를 통해 환자가 실제로 약을 미복용했는지, 또는 복용했는지 확인하고, 환자의 실제 복용 기록을 서버(2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환자에 대하 교육 및 상담 내용을 서버(200)에 입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방문에 대한 기록, 알약 디스펜서(100)의 사용 정보, 처방 정보를 리포트로 보호자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고, 보호자는 보호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상기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자는 상기 리포트를 확인하여 관리자가 환자를 어떻게 관리하고, 환자의 현재 상태가 어떤지 확인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내용은 관리자가 환자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실시예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관리자가 비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경우는 서버(200)가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알람을 전송하면, 관리자가 이를 인지 후 방문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알람은 서버(200)가 알약 디스펜서(100)의 사용 패턴에서 특이함을 감지할 때, 전송할 수 있다. 비정기적 방문에서, 관리자는 환자의 신체 체크 후, 환자가 위급한 상태이면 구급대를 호출할 수 있고, 위급하지 않으면 보호자를 호출할 수 있다.
일상적으로, 알약 디스펜서(100)가 분배하고 제공한 약을 환자가 복용하면, 알약 디스펜서(100)는 환자의 복용 기록을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환자가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상기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알약 디스펜서(100)는 상기 사용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200)는 수신한 상기 사용 정보를 매번 업데이트하며 저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환자의 복용 여부가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서버(200)는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환자의 복용 여부를 포함한 상기 사용 정보를 이메일, 문자 서비스, SNS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보호자 또는 관리자는 서버(200)가 전송하는 상기 사용 정보를 보호자 디바이스(30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400)를 통해 확인하여, 환자의 약의 복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10), 상기 알약 디스펜서로부터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30),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처방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S140),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150), 상기 통계 정보를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S16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방문 스케줄을 산출하는 단계(S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특이한 사용 패턴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알람을 송신하는 단계(S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은,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 정보 기록을 통해 보호자와 관리자가 환자의 약 복용을 모니터링하며, 미 복용 시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문적인 자격을 가진 관리자가 환자를 일차적으로 살핌으로써 일반인인 보호자가 환자를 돌보는 것보다 더 전문적인 관리 및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복용 패턴과 환자의 부재 정보를 고려하여 관리자에 알람을 전송하므로 단순히 약을 분배하는 종래의 디스펜서에 비해 환자의 세부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관리자가 환자를 방문하여 환자의 상태 및 알약 디스펜서를 체크하여, 상황에 따른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보호자는 직접적인 환자 돌봄에서 벗어날 수 있어, 환자 돌봄에 따른 고통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일상 생활에 보다 집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알약 디스펜서 200: 서버
300: 보호자 디바이스 400: 관리자 디바이스

Claims (18)

  1.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알약 디스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서버;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및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 정보 및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 또는 상기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게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정보를, 이메일, 문자 서비스, SNS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약 디스펜서는 자기진단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제어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가 자기진단 기능을 수행시키고, 상기 자기진단의 결과를 수신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정보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입력이 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부터 허가된 경우에만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서버에 입력할 수 있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특이한 사용 패턴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알람을 송신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환자의 소정 기간의 부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부재정보와 상기 사용 패턴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알람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부터 허가된 경우에만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방문 스케줄을 산출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
  11. 알약 디스펜서와 네트워크로 연결가능한 환자 관리 서버로서,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디바이스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알약 디스펜서로부터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 각각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 정보를 각각 송신하는 것인 환자 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정보는, 이메일, 문자 서비스, SNS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것인 환자 관리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특이한 사용 패턴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알람을 송신하는 것인 환자 관리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환자의 소정 기간의 부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정보와 상기 사용 패턴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알람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환자 관리 서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방문 스케줄을 산출하는 것인 환자 관리 서버.
  16.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알약 디스펜서로부터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처방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약 디스펜서의 사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계 정보를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의 방문 스케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특이한 사용 패턴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알람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약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KR1020200036253A 2020-03-25 2020-03-25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 KR20210119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53A KR20210119737A (ko) 2020-03-25 2020-03-25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53A KR20210119737A (ko) 2020-03-25 2020-03-25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737A true KR20210119737A (ko) 2021-10-06

Family

ID=7807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253A KR20210119737A (ko) 2020-03-25 2020-03-25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7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76B1 (ko) 2014-07-29 2015-08-03 (주)아이앤시티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76B1 (ko) 2014-07-29 2015-08-03 (주)아이앤시티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li-Tierney et al. Polypharmacy: evaluating risks and deprescribing
US109299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dherence
US11244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protocol adherence data
KR102331859B1 (ko) 개입 및 태스킹 결정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60117471A1 (en) Medical event lifecycle management
US20130204637A1 (en) Pharmacy workflow management system
US11087873B2 (en)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JP5689617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医師指示管理システム
CN111512382A (zh) 患者护理系统
Hepler Regulating for outcomes as a systems response to the problem of drug-related morbidity
Soefje Strategies to improve CINV outcomes in managed care
KR20210119737A (ko)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
Kaufman Polypharmacy, medicines optimization and concordance
Rocchiccioli et al. Polymedicine and aging: Enhancing older adult care through advanced practitioners
Hurtado‐de‐Mendoza et al. Rethinking agency and medical adherence technology: applying Actor Network Theory to the case study of Digital Pills
AU2014248942A1 (en) Pharmacy workflow management system
WO2020195597A1 (ja) 服薬状況管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043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lth treatment plans
Newcomer Perspective: Medicare Pharmacy Coverage: Ensuring Safety Before Funding: Prescription-related deaths far outnumber other accidental deaths in areas subject to federal oversight (such as cars and airplanes). Why not intervention to ensure patients' safety?
US202001850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and accurate self administration of medications
JP2021532503A (ja) 薬剤相互作用チェックツール
TWI736990B (zh) 智能型互動式個人健康管理方法
JP2019028833A (ja) 服薬管理装置および服薬管理方法
Tsai et al. Mobile reminder for flexible and safe medication schedule for home users
Shipley et al. Caregiver’s Checklist for Value and Safety in Primary Care Medic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