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476B1 -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476B1
KR101541476B1 KR1020140096800A KR20140096800A KR101541476B1 KR 101541476 B1 KR101541476 B1 KR 101541476B1 KR 1020140096800 A KR1020140096800 A KR 1020140096800A KR 20140096800 A KR20140096800 A KR 20140096800A KR 101541476 B1 KR101541476 B1 KR 10154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drug
code
pr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구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앤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앤시티 filed Critical (주)아이앤시티
Priority to KR102014009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06V30/153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using recognition of characters or 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erform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는 처방전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로 끝나는 일련의 숫자코드를 검출하여 최종 숫자코드를 판별하는 처방전 스캔부 및 판별된 최종 숫자코드에 매칭되는 약품코드에 대한 약 정보를 약품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MEDICIN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처방전을 촬영하여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약품코드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약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처방전(prescription)은 의사가 환자를 진료한 다음 그 증상에 알맞은 특정한 약을 혼합하여 투약하도록 하기 위한 투약 지시서로서, 특히 의약분업의 시행에 따라서 병원에서는 환자의 증상에 따른 처방전을 발급하고 약국에서는 처방전에 따라서 약의 조제 및 투약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처방전의 관리를 위해서 네트워크와 전산 기술을 사용하여 처방전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처방전관리 시스템은 병원과 약국 간에 계약 등을 통하여 특정 환경에서 동작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서 해당 병원 및 약국에 대
해서 처방전이 자동으로 관리되고 처방전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어로 약국으로 전송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으로, 국내특허등록번호 제10-0336874호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은 처방전에 대해서 해당 병원과 해당 약국 사이에서만 동작이 가능한 것으로, 환자의 측면에서 약복용 가이드, 오투약 방지, 병용 방지 또는 약력 관리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약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환자들은 현재 복용하는 약에 대해서 약국에서 설명한 개략적인 내용만을 인지하고 있을 뿐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복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환자 측면에서 처방전을 가이드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1.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10-0336874호
본 발명은 처방전을 촬영하여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정확한 약품코드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약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는 처방전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로 끝나는 일련의 숫자코드를 검출하여 최종 숫자코드를 판별하는 처방전 스캔부; 및 상기 판별된 최종 숫자코드에 매칭되는 약품코드에 대한 약 정보를 약품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방전 스캔부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의 색정보 및 밝기정보 각각에 대한 이진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진화부; 상기 생성된 이진화 데이터로부터 문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중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로 끝나는 일련의 숫자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일련의 숫자코드를 분할 및 정규화하여 개별숫자를 인식하는 개별숫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개별숫자를 정렬하여 최종 숫자코드를 판별하는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진화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각 픽셀에 대하여 상기 색정보 또는 밝기정보의 픽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1, 임계값 이하이면 0으로 변환하며, 상기 임계값은 주변픽셀 각각의 가우시안 가중치들의 합산값에 가우시안 분포 비율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별숫자 인식부는, 상기 검출된 일련의 숫자코드를 9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 영역 내에서개별숫자를 중앙정렬시킨 후, 학습기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정렬된 개별숫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인식된 개별숫자를 정렬하여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고 끝나며 9개의 숫자로 이뤄진 숫자코드이면 최종 숫자코드로 판단하며, 조건이 일치되지 않으면 에러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부에서 상기 최종 숫자코드를 에러로 판단하면, 약국 또는 병원에 문의할 것을 알리는 알림정보 및 약국 또는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 정보는, 상기 약품코드에 대응되는 약 이미지 및 약 복용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된 약 이미지 및 처방받은 약의 이미지가 동일한지 여부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공된 약 이미지 및 처방받은 약의 이미지가 상이한 것으로 입력되면, 약국 또는 병원에 문의할 것을 알리는 알림정보 및 약국 또는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처방전을 촬영하여 얻어진 이미지데이터의 색 정보 및 밝기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각각의 이진화 데이터로부터 약품코드를 추출함으로써, 환자가 처방전을 손에 들고 촬영한 경우에도 이미지 데이터에 발생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확한 약품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약품코드에 대응되는 약 이미지 및 복약정보 등을 제공하여 환자에게 올바른 약물복약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처방전의 약품코드 정렬특성을 이용하여 약품코드 에러 인식시 환자에게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약물 오복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처방된 약과 제공된 약 이미지가 상이한 경우, 약국 또는 병원 정보를 제공하여 문의하게함으로써 약물 오복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처방전 스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촬영부에서 생성된 처방전의 이미지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한 문자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검증부에서 판별된 최종 숫자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알림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약 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따르면,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촬영부(110), 처방전 스캔부(120), 정보제공부(130), 알림부(140) 및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고, 외부 서버(미도시)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통신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탭 북 등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는 스마트폰의 요청에 따라 약품코드 데이터베이스(10)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의 구성들은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앱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영부(110)는 스마트 폰에 구비된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사용자(환자)에 의해 촬영된 처방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데이터는 도 3에서 참고 할 수 있다. 이때, 환자는 처방전을 한 손에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처방전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300)는 처방전의 굴곡, 그림자 등에 의해 노이즈가 생성될 수 있다.
처방전 스캔부(120)는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여 처방전에 기록된 약품코드를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전에 기록된 약품코드는, 9개의 숫자로 정렬된 숫자코드로 기록되며, 레이아웃(3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약품코드는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로 끝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제1숫자는 "6"이며, 제2숫자는 "0"이 될 수 있다. 처방전 스캔부(120)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로 끝나는 일련의 숫자코드를 검출하여 최종 숫자코드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처방전 스캔부(120)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처방전 스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따르면, 처방전 스캔부(120)는 이진화부(121), 검출부(122), 개별숫자 인식부(125) 및 검증부(126)를 포함하며, 검출부(122)는 문자인식부(123) 및 숫자코드 인식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화부(121)는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의 색정보 및 밝기정보 각각에 대한 이진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진화부(121)는 이미지 데이터의 각 픽셀에 대하여 색정보 또는 밝기정보의 픽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1, 임계값 이하이면 0으로 변환하여 이진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은 주변픽셀 각각의 가우시안 가중치들의 합산값에 가우시안 분포 비율(분포도)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윈도우는 9 X 9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픽셀의 가우시안 분포 비율(분포도)은 이진화 데이터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의 파라미터 값이 되는 것으로, 임계값 산출시 9 X 9 윈도우 내의 픽셀 값 분포를 가우시안 분포에 적용시켰을 때 임계값을 정하기 위한 가우시안 분포에서의 비율이 될 수 있다.
이진화부(121)는 가변 임계값을 적용하여 색정보에 대한 이진화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도 3에서 생성된 이미지데이터(300)의 약품코드의 레이아웃(310)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변 임계값을 적용하여 밝기정보에 대한 이진화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도 3에서 생성된 이미지데이터(300)에 포함된 그림자 등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문자 인식부(123)는 이진화부(121)에서 생성된 색정보에 대한 이진화 데이터 및 밝기정보에 대한 이진화 데이터로부터 문자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문자특성은 정확한 문자를 인식하는 것이 아닌 일련의 숫자코드가 포함된 영역만 추출된 것으로, 도 4의 이진화 데이터(400)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한편, 문자 인식부(123)는 주지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과 같은 문자프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숫자 코드 인식부(124)는 추출된 문자 중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로 끝나는 일련의 숫자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6"으로 시작하고 "0"으로 끝나는 일련의 숫자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개별 숫자 인식부(125)는 검출된 일련의 숫자코드를 9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 내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분할 영역 내에서 개별숫자를 중앙정렬시켜 정규한 후, 학습기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중앙정렬된 개별숫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개별 숫자 인식을 위해, 개별 숫자 인식부(125)는 숫자가 정의된 숫자 데이터 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숫자 인식부(125)는 학습기 기반 알고리즘으로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개별 숫자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한편, SVM을 이용한 문자인식은 주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검증부(126)는 인식된 개별숫자를 정렬하여 최종 숫자코드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증부(126)는 인식된 개별숫자를 정렬하여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고 끝나며 9개의 숫자로 이뤄진 숫자코드이면 최종 숫자코드로 판단하며, 조건이 일치되지 않으면 에러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검증부(126)에서 최종 숫자코드(500)로 판별된 약품코드를 도시하고 있다.
알림부(140)는 검증부(126)에서 최종 숫자코드를 에러로 판단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국 또는 병원에 문의할 것을 알리는 알림정보 및 약국 또는 병원 정보 등이 포함된 알림정보(6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약국 또는 병원 정보는 전화번호 및 위치정보 등이 될 수 있으며, 환자가 처방전을 처방받은 병원 또는 약을 제조한 약국이 될 수 있다. 또는, 환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며 해당 약을 보유한 약국 또는 병원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최종 숫자코드의 에러판단시, 처방전의 숫자코드를 환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미도시)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정보 제공부(130)는 최종 숫자코드에 매칭되는 약품코드에 대한 약 정보를 약품코드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부(130)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외부 서버(미도시)에 약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에 의해 약품코드 데이터 베이스(10)에 저장된 약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약 정보는, 약품코드에 대응되는 약 이미지 및 약 복용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부(130)는 최종 숫자코드에 대응하는 약의 실제 사이즈, 모양, 색 등으로 도시되는 약 이미지 및 약 복용 정보 등을 환자에게 제공하여 처방된 약을 확인할 수 있게 하며, 복용 방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부(130)는 환자의 설정입력에 따라, 복용 정보에 제시된 약복용 시간마다 알람을 설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입력부(150)는 정보 제공부(130)에서 제공된 약 이미지 및 처방받은 약의 이미지가 동일한지 여부를 환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알림부(140)는 제공된 약 이미지 및 처방받은 약의 이미지가 상이한 것으로 입력되면, 약국 또는 병원에 문의할 것을 알리는 알림정보 및 약국 또는 병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약을 오복용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약 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이해를 위해, 도 1 내지 6을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처방전을 촬영하여 처방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711). 다음으로, 이진화부(121)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의 색정보 및 밝기정보 각각에 대한 이진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712). 이때, 가변 임계값을 적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은 주변픽셀 각각의 가우시안 가중치들의 합산값에 가우시안 분포 비율(분포도)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윈도우는 9 X 9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출부(122)에서 생성된 이진화 데이터로부터 문자를 추출하고(S713), 추출된 문자 중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로 끝나는 일련의 숫자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S714). 이는 처방전에 기록된 약품코드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제1숫자는 "6"이 될 수 있고, 제2숫자는 "0"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별숫자 인식부(125)에서, 검출된 일련의 숫자코드를 분할 및 정규화하여 개별숫자를 인식할 수 있다(S715). 여기서, 개별숫자 인식은 SVM학습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증부(126)에서, 인식된 개별숫자를 정렬하여 최종 숫자코드를 판별할 수 있다(S716). 구체적으로, 검증부(126)는 인식된 개별숫자를 정렬하여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고 끝나며 9개의 숫자로 이뤄진 숫자코드이면 최종 숫자코드로 판단하며, 조건이 일치되지 않으면 에러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검증부(126)에서 최종 숫자코드를 에러로 판단한 경우(S717:Y), 약국 또는 병원에 문의할 것을 알리는 알림정보 및 약국 또는 병원 정보 등이 포함된 알림정보(600)를 제공할 수 있다(S718).
다음으로, 최종 숫자코드로 판단된 경우(S717:N), 판별된 최종 숫자코드에 매칭되는 약품코드에 대한 약 정보를 약품코드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S719).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110 : 촬영부
120 : 처방전 스캔부 130 : 정보제공부
140 : 알림부 150 : 입력부
121 : 이진화부 122 : 검출부
123 : 문자인식부 124 : 숫자코드 인식부
125 : 개별숫자 인식부 126 : 검증부

Claims (8)

  1. 처방전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로 끝나는 일련의 숫자코드를 검출하여 최종 숫자코드를 판별하는 처방전 스캔부; 및
    상기 판별된 최종 숫자코드에 매칭되는 약품코드에 대한 약 정보를 약품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부-상기 약 정보는 상기 약품코드에 대응되는 약 이미지 및 약 복용 정보임-;
    상기 제공된 약 이미지 및 처방받은 약의 이미지가 동일한지 여부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공된 약 이미지 및 처방받은 약의 이미지가 상이한 것으로 입력되면, 약국 또는 병원에 문의할 것을 알리는 알림정보 및 약국 또는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스캔부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의 색정보 및 밝기정보 각각에 대한 이진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진화부;
    상기 생성된 이진화 데이터로부터 문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중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로 끝나는 일련의 숫자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일련의 숫자코드를 분할 및 정규화하여 개별숫자를 인식하는 개별숫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개별숫자를 정렬하여 최종 숫자코드를 판별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화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각 픽셀에 대하여 상기 색정보 또는 밝기정보의 픽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1, 임계값 이하이면 0으로 변환하며, 상기 임계값은 주변픽셀 각각의 가우시안 가중치들의 합산값에 가우시안 분포 비율을 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숫자 인식부는,
    상기 검출된 일련의 숫자코드를 9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 영역 내에서개별숫자를 중앙정렬시킨 후, 학습기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정렬된 개별숫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인식된 개별숫자를 정렬하여 제1숫자로 시작하고, 제2숫자고 끝나며 9개의 숫자로 이뤄진 숫자코드이면 최종 숫자코드로 판단하며, 조건이 일치되지 않으면 에러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에서 상기 최종 숫자코드를 에러로 판단하면, 약국 또는 병원에 문의할 것을 알리는 알림정보 및 약국 또는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7. 삭제
  8. 삭제
KR1020140096800A 2014-07-29 2014-07-29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KR10154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800A KR101541476B1 (ko) 2014-07-29 2014-07-29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800A KR101541476B1 (ko) 2014-07-29 2014-07-29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476B1 true KR101541476B1 (ko) 2015-08-03

Family

ID=5387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800A KR101541476B1 (ko) 2014-07-29 2014-07-29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244A (ko) * 2019-02-19 2020-08-27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9737A (ko) 2020-03-25 2021-10-06 이현석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
KR102518614B1 (ko) 2021-11-16 2023-04-06 강재민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244A (ko) * 2019-02-19 2020-08-27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7333B1 (ko) * 2019-02-19 2021-09-02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9737A (ko) 2020-03-25 2021-10-06 이현석 알약 디스펜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환자 관리 서버 및 환자 관리 방법
KR102518614B1 (ko) 2021-11-16 2023-04-06 강재민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0259B2 (en) Human face recognition method and recognition system based on lip movement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CN108446697B (zh) 图片处理方法、电子装置及存储介质
CN108038880B (zh) 用于处理图像的方法和装置
CN109815845B (zh) 人脸识别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
CN107209855B (zh) 通过指纹识别认证用户
US11367305B2 (en) Obstruction detection during facial recognition processes
CN110751043B (zh) 基于人脸可见性的人脸识别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60180131A1 (en) Method for providing qr code-based service for checking for occurrence of cocktail effect of drugs using smart device
KR101541476B1 (ko)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CN111178147B (zh) 屏幕破碎分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44862A (zh) 基于智能家居的行为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1785382A (zh) DRGs分组的入组判定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2883980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系统
US11552944B2 (en)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server, and terminal device
CN113221032A (zh) 链接风险检测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2036304A (zh) 医疗票据版面识别的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3642639B (zh) 活体检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553241A (zh) 掌纹的误匹配点剔除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239685B (zh) 控制蓝牙设备的方法、蓝牙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34869B (zh) 人脸部件的选择、人脸识别方法和装置,以及电子设备
US11880432B2 (en) Confidence measure for a deployed machine learning model
KR20160051312A (ko) 상관함수를 이용하여 약 처방전을 스캐닝하는 약 정보 제공 디바이스
US944313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labels and/o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label and/or using identified information
CN115035576A (zh) 基于人脸视频的用户情绪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1176617B1 (en) Mobile submission of pharmacy insuranc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