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409A -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409A
KR20210119409A KR1020217023855A KR20217023855A KR20210119409A KR 20210119409 A KR20210119409 A KR 20210119409A KR 1020217023855 A KR1020217023855 A KR 1020217023855A KR 20217023855 A KR20217023855 A KR 20217023855A KR 20210119409 A KR20210119409 A KR 2021011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mounting surface
fiber cutter
fusion splicer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후미 조코
쇼헤이 이도
야스히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3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specific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지지부를 구비하는 수납 케이스가 개시된다. 융착 접속기 수용부는,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1 탑재면을 포함한다.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는, 제 1 탑재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2 탑재면을 가지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는 제 1 탑재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는, 제 1 탑재면의 법선과 제 2 탑재면의 법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회전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접촉하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를 지지한다.

Description

수납 케이스
본 개시는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9년 1월 29일 출원의 일본 출원 제 2019-013270 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에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는, 광 파이버끼리를 가열 용융하여 융착 접속하기 위한 융착 접속기를 수납하는 케이스, 및 융착 접속기를 탑재하여 작업에 제공하는 작업대를 개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4-74796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6-201305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1-145528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0-39002 호 공보
본 개시는 수납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 수납 케이스는, 가열 용융에 의해 광 파이버끼리의 접속을 실행하는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의 절단을 실행하는 광 파이버 커터를 동시에 수납 가능하며, 작업 트레이를 겸하는 수납 케이스이다. 이 수납 케이스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지지부를 구비한다. 융착 접속기 수용부는,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며, 융착 접속기를 수납 가능하다.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가능하며, 제 1 탑재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2 탑재면을 가지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는 제 1 탑재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는 제 1 탑재면의 법선과 제 2 탑재면의 법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회전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접촉하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를 지지한다.
본 개시는 수납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 수납 케이스는 가열 용융에 의해 광 파이버끼리의 접속을 실행하는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의 절단을 실행하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가능한 수납 케이스이다. 이 수납 케이스는 기부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덮개부를 구비한다. 기부는 융착 접속기를 탑재하도록 구성된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며, 제 1 탑재면의 법선방향으로 개구된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탑재하도록 구성된 제 2 탑재면을 포함한다. 덮개부는, 기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덮개부가 기부에 대해 폐쇄되었을 때에 기부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하는 공간을 그 내부에 획정된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한 상태인 제 1 위치로부터 광 파이버 커터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 제 2 위치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덮개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수납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며, 수납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수납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수납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수납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수납 케이스를 작업자가 팔로 든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수납 케이스를 방향(D1)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수납 케이스의 기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수납 케이스의 기부와 덮개부를 서로 폐쇄한 수납 상태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본체의 내부를 투시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기부에 대해 덮개부를 개방한 융착 접속 작업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광 파이버 커터의 사용시를 표현하고 있다.
도 11은 기부에 대해 덮개부를 개방한 융착 접속 작업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융착 접속기의 사용시를 표현하고 있다.
도 12a는 수납 케이스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b는 수납 케이스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c는 수납 케이스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융착 접속기를 공사 현장까지 운반할 때에는, 융착 접속기를 수납하는 케이스가 필요하다. 또한, 공사 현장에서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때에는, 융착 접속기, 및 광 파이버의 사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다른 장치류(예를 들면, 광 파이버 커터)를 탑재하는 작업대(작업 트레이)가 필요해진다. 종래, 케이스 및 작업대는 서로 다른 물품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융착 접속기를 케이스에 수납하여 공사 현장에 반입한 후, 케이스로부터 융착 접속기를 취출하고, 작업대 상에 세트한다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융착 접속 작업을 번잡하게 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 파이버 융착 접속 시스템에서는, 융착 접속기를 수납하는 수납 상자가 작업대를 겸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로부터 융착 접속기를 취출하고 작업대 상에 세트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수납 상자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하는 공간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광 파이버 커터를 전용의 수납 케이스로부터 취출하고, 상기 수납 상자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세트하는 공정은 여전히 필요하다.
여기에서, 수납 케이스가 융착 접속기를 수납하는 기능과, 작업대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 그 수납 케이스에 광 파이버 커터를 함께 수납하려고 하면, 다음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융착 접속기는 광 파이버 커터에 비해 대형이며,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작업 위치(광 파이버를 설치하는 부분)까지의 높이는,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으로부터 작업 위치까지의 높이보다 높다. 그 때문에, 동일한 높이의 면 상에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 커터를 나란하게 설치하면, 먼저 작업을 실행하는 광 파이버 커터의 작업 위치가, 나중에 작업을 실행하는 융착 접속기의 작업 위치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하여 버린다. 그래서, 상기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를 설치하는 면과 광 파이버 커터를 설치하는 면에 고저차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작업 위치의 높이를 가지런하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 경우, 광 파이버 커터의 하방에 낭비되는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수납 케이스의 소형화를 방해한다.
본 개시는 융착 접속기 및 광 파이버 커터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그들의 작업대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효과]
본 개시에 의하면, 융착 접속기 및 광 파이버 커터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그들 작업대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수납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는, 가열 용융에 의해 광 파이버끼리의 접속을 실행하는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의 절단을 실행하는 광 파이버 커터를 동시에 수납 가능하며, 작업 트레이를 겸하는 수납 케이스이다. 이 수납 케이스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지지부를 구비한다. 융착 접속기 수용부는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며, 융착 접속기를 수납 가능하다.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가능하며, 제 1 탑재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2 탑재면을 가지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는 제 1 탑재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는, 제 1 탑재면의 법선과 제 2 탑재면의 법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회전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접촉하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를 지지한다.
이 수납 케이스는 융착 접속기를 수납 가능한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가능한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융착 접속기 및 광 파이버 커터를 동시에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이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의 제 2 탑재면에 고정된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이 고정되는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에 광 파이버 커터가 수납된 상태로부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가 회전하면, 광 파이버 커터가 부상한다. 회전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지지부에 접촉 및 지지된다. 지지부는, 제 1 탑재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탑재면의 법선과 제 2 탑재면의 법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접촉한다. 환언하면, 지지부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제 1 탑재면의 방향과 제 2 탑재면의 방향이 서로 가까워진다. 이 수납 케이스는 이상의 동작에 의해, 각 작업 위치의 높이를 서로 가깝게 하면서, 융착 접속기 및 광 파이버 커터를 작업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예각"에는 0°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의 수납 케이스에 의하면, 융착 접속기 및 광 파이버 커터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그들의 작업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낮은 위치에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하면서, 작업시에는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를 회전시켜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위치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작업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시에 광 파이버 커터의 하방에 낭비되는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수납 케이스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지지부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인접하고 있으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작업시에 광 파이버 커터와 융착 접속기를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는 기부와, 덮개부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좋다. 기부는,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제 1 탑재면의 법선방향으로 개구된다. 덮개부는 기부의 개구를 폐색하는 동시에 기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융착 접속기 수용부의 잔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를 갖는다. 이 수납 케이스에서는, 기부에 대해 덮개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회전축은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근접하며, 또한, 제 2 탑재면은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기부에 대해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회전축은 평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또한, 제 2 탑재면은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동 가능하여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덮개부를 개방하고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융착 접속 작업이 종료된 후에 덮개부를 폐쇄하여 융착 접속기 및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는, 덮개부의 외면에 장착된 한쌍의 어깨 벨트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한쌍의 어깨 벨트를 작업자가 양 어깨에 걸면서 수납 케이스를 몸의 전방측에 배치하고, 덮개부를 개방하여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특히, 기둥 위나 사다리 위 등 높은 곳에서의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에서는, 한쌍의 어깨 벨트에 의해 규정되는 운반시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가 융착 접속기 수용부에 대해 하방에 위치하여도 좋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 및 회전축은 덮개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기부에 대해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회전축의 제 1 거리가, 기부에 대해 덮개부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평면과 회전축의 제 2 거리보다 길어도 좋다. 이와 같이,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와 폐쇄한 상태에서 회전축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수납 케이스의 소형화가 한층 더 가능해진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에서는, 기부에 대해 덮개부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 또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를 융착 접속기 수용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지지부에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제 2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15° 이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 커터를 서로 크게 경사지게 하는 일이 없이 배치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제 2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평행이어도 좋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에서는, 기부에 대해 덮개부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기부의 제 1 탑재면과 덮개부의 외면이 이루는 각이 68° 이상 86° 이하의 범위 내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탑재면과 덮개부의 외면이 이루는 각을 직각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하는 것에 의해, 융착 접속기로의 작업자의 액세스가 용이해져,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는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 커터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이 제 1 탑재면에 고정되어도 좋으며,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이 제 2 탑재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탑재면에는, 융착 접속기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나사 구멍을 마련하여도 좋다. 제 2 탑재면에는, 광 파이버 커터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나사 구멍을 마련하여도 좋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에서는, 지지부는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벽이어도 좋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제 2 탑재면이 한쪽의 표면에 마련된 평판을 가져도 좋으며, 기부에 대해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가 융착 접속기 수용부를 향하여 회전했을 때에, 평판의 회전축과는 역의 일단이 벽의 상부에 접촉하여 지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의 융착 접속기 수용부를 향한 회전을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어, 확실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벽은 발포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융착 접속기를 보다 확실히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의 회전 동작에 의한 움직임이나 소리 등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에서는, 기부의 덮개부에 인접하는 일단과 덮개부의 기부에 인접하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덮개부가 기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덮개부가 기부에 대해 개폐되어도 좋다. 이 경우, 수납 케이스를 몸의 전방측에 배치하고, 기부를 개방하여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특히, 기둥 위나 사다리 위 등 높은 곳에서의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실시형태는, 가열 용융에 의해 광 파이버끼리의 접속을 실행하는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의 절단을 실행하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가능한 수납 케이스이다. 이 수납 케이스는 기부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덮개부를 구비한다. 기부는, 융착 접속기를 탑재하도록 구성된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며, 제 1 탑재면의 법선방향으로 개구된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탑재하도록 구성된 제 2 탑재면을 포함한다. 덮개부는 기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덮개부가 기부에 대해 폐쇄되었을 때에 기부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하는 공간을 그 내부에 획정한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상태인 제 1 위치로부터 광 파이버 커터를 사용 가능 상태인 제 2 위치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덮개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수납 케이스는, 융착 접속기를 탑재하기 위한 제 1 탑재면과, 광 파이버 커터를 탑재하기 위한 제 2 탑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융착 접속기 및 광 파이버 커터를 하나의 수납 케이스에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다. 또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상태인 제 1 위치로부터 광 파이버 커터를 사용 가능 상태가 되도록 제 2 위치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덮개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상태와 사용 가능 상태에서 상이한 위치 및 자세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낮은 위치에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하면서, 작업시에는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를 회전시켜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위치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작업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시에 광 파이버 커터의 하방에 낭비되는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수납 케이스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는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 커터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이 제 1 탑재면에 고정되어도 좋으며,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이 제 2 탑재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탑재면에는, 융착 접속기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나사 구멍을 마련하여도 좋다. 제 2 탑재면에는, 광 파이버 커터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나사 구멍을 마련하여도 좋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는,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벽을 더 구비하여도 좋으며, 벽은 제 1 탑재면과 함께 융착 접속기를 수납하는 공간을 획정한다. 제 2 탑재면은 기부에 대해 덮개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으며, 제 2 탑재면 또는 제 2 탑재면의 이면은, 기부에 대해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향하여도 좋다. 이 경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상태인 제 1 위치로부터 광 파이버 커터를 사용 가능 상태인 제 2 위치로 확실히 회전할 수 있어서, 수납시에 광 파이버 커터의 하방에 낭비되는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수납 케이스에서는,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제 2 탑재면이 한쪽의 표면에 마련된 평판을 가져도 좋으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가 덮개부에 대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평판의 회전축과는 역의 일단이 벽의 상부에 접촉하여 지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회전을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어, 확실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상세]
본 개시의 수납 케이스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수납 케이스의 정면도이며, 도 2는 수납 케이스의 배면도이며, 도 3 및 도 5는 수납 케이스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수납 케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수납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5는 수납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수납 케이스는, 가열에 의해 광 파이버끼리의 접속을 실행하는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의 절단을 실행하는 광 파이버 커터를 동시에 수납 가능하다. 또한, 이 수납 케이스는 작업대(작업 트레이)를 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백팩과 같은 외관을 갖고 있다. 수납 케이스(1)는 본체(2)와, 한쌍의 어깨 벨트(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2)는 기부(4) 및 덮개부(5)를 갖는다. 기부(4) 및 덮개부(5)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 형상이다. 또한, 기부(4) 및 덮개부(5)의 측면 형상은 직각삼각 형상이다. 직각삼각 형상의 3개의 내각 중 직각의 내각을 제외한 다른 내각 α, β는 α>β를 만족한다. 기부(4)와 덮개부(5)는 그들의 일단(기부(4)에 있어서는 내각(β)에 대응하는 정상부, 덮개부(5)에 있어서는 내각(α)에 대응하는 정상부)에 있어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기부(4)의 연부(edge portion)와 덮개부(5)의 연부는 선 파스너(6)를 거쳐서 서로 고정된다. 또한, 기부(4)에 있어서의 덮개부(5) 부근의 측연부와, 덮개부(5)에 있어서의 기부(4) 부근의 측연부는, 천(9)(도 5를 참조)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천(9)은 기부(4)와 덮개부(5)의 개방 각도를 제한한다. 천(9)은 절첩 가능하다.
한쌍의 어깨 벨트(3)는 덮개부(5)의 외면(5a)(기부(4)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장착되어 있다. 각 어깨 벨트(3)의 일단은, 수납 케이스(1)의 길이방향(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덮개부(5)의 외면(5a)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각 어깨 벨트(3)의 타단은, 상기 방향에 있어서의 덮개부(5)의 외면(5a)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어깨 벨트(3)는 상기 방향을 따른 수납 케이스(1)의 중심선(C1)(도 1을 참조)에 대하여 외면(5a)의 한쪽측에 장착되어 있다. 다른쪽의 어깨 벨트(3)는 중심선(C1)에 대하여 외면(5a)의 다른쪽측에 장착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한쌍의 어깨 벨트(3)끼리를 연결하는 체스트 스트랩(7)이 마련되어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음료 용기 등을 수납하는 보틀 포켓(8)이, 본체(2)의 한쌍의 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도 좋다.
도 6은 수납 케이스(1)를 작업자가 팔로 든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때, 수납 케이스(1)는 작업자의 몸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한쌍의 어깨 벨트(3)를 작업자의 양 어깨에 건 상태에 있어서, 덮개부(5)의 외면(5a)이 작업자의 흉부에 접한다. 덮개부(5)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기부(4)는 작업자의 복부와 동일한 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
도 7은 수납 케이스(1)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절단한 측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기부(4)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2)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제 1 공간)(B1)를 구비하고 있다. 융착 접속기 수용부(B1)는 융착 접속기를 수납 가능한 공간이며, 그 평면 형상은 융착 접속기의 외형에 맞추어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의 일부는 기부(4)에 의해 구성되며,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의 잔부는 덮개부(5)에 의해 구성된다. 융착 접속기 수용부(B1)는 평탄한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한다. 제 1 탑재면(41)은 기부(4)의 바닥판의 내면의 일부이며,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와 본체(2)의 외부 공간을 구획한다.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에는,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이 고정된다. 제 1 탑재면(41)은,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의 대략 중앙에는,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을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원형의 나사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42)을 대신하여 융착 접속기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를 마련하여도 좋다. 제 1 탑재면(41)은,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과 동일한 크기 이상의 면적을 가져도 좋다. 기부(4)는 제 1 탑재면(41)의 법선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덮개부(5)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덮개부(5)는 상기 개구를 폐색한다. 이에 의해, 융착 접속기의 수납 공간인 융착 접속기 수용부(B1)가 획정된다. 기부(4)에 대해 덮개부(5)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기부(4)의 제 1 탑재면(41)과 덮개부(5)의 외면(5a)이 이루는 각(θ)은 예를 들면 68° 이상 86° 이하이다.
제 1 탑재면(41) 상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의 주위에는, 융착 접속기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완충재(11)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완충재(11)는 제 1 탑재면(41)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이며, 그 평면 형상은 대략 U자 형상이다. 이들 완충재(11)는 융착 접속기를 전후로부터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 융착 접속기의 위치를 고정하는 동시에, 융착 접속기를 보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완충재(11)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와 인접하고 있다. 환언하면, 한쌍의 완충재(11)는 제 1 탑재면(41)과 함께 융착 접속기 수용부(B1)를 획정한다. 완충재(11)의 구성 재료는, 발포 수지(예를 들면 발포 폴리에틸렌 폼)이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융착 접속기(F)를 보다 확실히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의 회전 동작에 의한 움직임이나 소리 등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재(11)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즉, 완충재(11)는 평탄, 또한, 서로 평행인 상면(11a) 및 하면(11b)을 갖는다. 하면(11b)은 제 1 탑재면(41)에 접하고 있다. 상면(11a)은 제 1 탑재면(41)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환언하면, 상면(11a)의 법선방향은 제 1 탑재면(41)의 법선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도 9는 기부(4)와 덮개부(5)를 서로 폐쇄한 수납 상태의 본체(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있어서는, 본체(2)의 내부를 숨김선(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는, 융착 접속기(F)와 광 파이버 커터(G)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융착 접속기(F)는 예를 들면, 한쌍의 광 파이버를 융착 접속하기 위한 아크 방전용의 한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광 파이버 커터(G)는 예를 들면, 각 광 파이버를 소정의 위치에서 절단하기 위한 회전 커터 등의 절단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융착 접속기(F)는 본체(2)의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에 있어서 제 1 탑재면(41) 상에 수납되고, 한쌍의 완충재(11) 및 나사 등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광 파이버 커터(G)는 본체(2)의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제 2 공간)(B2)에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B2)는 덮개부(5)에 마련되며, 제 1 탑재면(41)을 따르는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1)의 상하방향(D1))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어깨 벨트(3)에 의해 규정되는 운반시의 상하방향(즉, 방향(D1))에 있어서,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B2)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에 대해 하방에 위치한다.
본체(2)는 덮개부(5)에 장착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를 더 구비한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B2)를 구획하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그 두께방향으로부터 본 형상은 예를 들면 직사각 형상이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는, 덮개부(5)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방향(D1)과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의 한쪽의 판면은, 광 파이버 커터(G)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평탄한 제 2 탑재면(13)을 구성한다. 제 2 탑재면(13)에는, 나사 구멍 또는 나사(12a)가 마련되어 있으며(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 광 파이버 커터(G)의 바닥면은, 제 2 탑재면(13)에 대해,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도 10 및 도 11은 기부(4)에 대해 덮개부(5)를 개방한 융착 접속 작업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광 파이버 커터(G)의 사용시를 표현하고 있으며, 도 11은 그 후의 융착 접속기(F)의 사용시를 표현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는 덮개부(5)에 대해, 회전축(14)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4)은 덮개부(5)의 직각삼각 형상의 측판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4)은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부(4)의 바닥판의 내면)을 따르고 있으며, 또한, 방향(D1)과 교차(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회전축(14)은 기부(4)와 덮개부(5)의 연결부(덮개부(5)의 회동축)에 대해 평행, 또한,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수납 케이스(1)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덮개부(5)를 기부(4)에 대해 폐쇄한 수납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b는 덮개부(5)를 기부(4)에 대해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c는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를 수납 상태의 제 1 위치로부터 사용 가능 상태의 제 2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회전축(14)은 덮개부(5)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기부(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즉, 회전축(14)은 덮개부(5)를 폐쇄한 상태(도 12a)에서는 기부(4)의 바닥판에 가까워지고, 덮개부(5)를 개방하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5)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궤도 상을 이동하여 기부(4)의 바닥판으로부터 멀어진다. 환언하면, 회전축(14)은 덮개부(5)를 폐쇄한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부(4)의 바닥판의 내면)(H)에 근접하며, 덮개부(5)를 개방한 작업 상태(도 10, 도 11을 참조)에 있어서 상기 평면(H)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덮개부(5)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평면(H)과 회전축(14)의 거리(제 1 거리)(Z1)는 덮개부(5)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평면(H)과 회전축(14)의 거리(제 2 거리)(Z2)보다 길어진다. 제 2 탑재면(13)은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평면(H)과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탑재면(13) 또는 그 이면은,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5)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평면(H)과 대략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H)에 대향한다. 또한, 회전축(14)은 덮개부(5)를 폐쇄한 수납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완충재(11)에 근접하고, 덮개부(5)를 개방한 작업 상태(도 10, 도 11을 참조)에 있어서 한쪽의 완충재(11)로부터 방향(D1)으로 이격된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덮개부(5)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완충재(11)와 회전축(14)의 거리(제 3 거리)(X1)는 덮개부(5)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의 완충재(11)와 회전축(14)의 거리(제 4 거리)(X2)보다 길어진다.
또한, 회전축(14)은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에 대해 방향(D1)에 위치하며, 또한, 방향(D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B1)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 2 탑재면(13)은 덮개부(5)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면(H)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도 12c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동 가능하다. 덮개부(5)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회전축(14)이 완충재(11)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작업시에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를 회전시키면,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의 선단부(회전축(14)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단부이며 회전축(14)과는 역의 일단)가, 완충재(11)의 상면(11a)에 접촉하며, 상기 상면(11a)에 의해 지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D1)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B2) 사이에 배치된 한쪽의 완충재(11)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이 때,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의 선단부와 완충재(11)의 상면(11a)은 제 1 탑재면(41)의 법선과 제 2 탑재면(13)의 법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서로 접촉한다. 또한, 이 예각에는 0°가 포함되어도 좋다.
일 예에서는, 덮개부(5)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 또한, 완충재(11)에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H)과 제 2 탑재면(13)을 포함하는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15° 이하이다. 또한, 일 예에서는, 덮개부(5)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H)을 기준으로 하는 완충재(11)의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의 접촉 부위(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면(11a))의 높이(Z3)와, 상기 제 1 거리(Z1)는 서로 대략 동일하다. 그 경우, 제 1 탑재면(41)과 제 2 탑재면(13)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며, 제 1 탑재면(41)과 제 2 탑재면(13)이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여기에서 "Z3과 Z1이 대략 동일함"이란, 양자가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 뿐만이 아닌, 약간 상이한 경우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1 탑재면(41)과 제 2 탑재면(13)이 서로 대략 평행"이란, 양자가 엄밀하게 평행한 경우 뿐만이 아닌, 2개의 면이 이루는 각도가 15° 이내가 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제 2 탑재면(13)을 포함하는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는, 수납 상태의 제 2 탑재면(13)의 법선방향(도 12b)과 사용 상태의 제 2 탑재면(13)의 법선방향(도 12c)이 165° 이상 180°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수납 케이스(1)에 의해 얻어진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1)는 융착 접속기(F)를 수납 가능한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와,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광 파이버 커터(G)를 수납 가능한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B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융착 접속기(F) 및 광 파이버 커터(G)를 동시에 수납하고,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수납 케이스(1)에 있어서, 광 파이버 커터(G)의 바닥면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의 제 2 탑재면(13)에 고정된다. 또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는 융착 접속기(F)의 바닥면이 고정되는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회전축(14)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B2)에 광 파이버 커터(G)가 수납된 상태로부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가 회전하면, 광 파이버 커터(G)가 부상한다. 회전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는 완충재(11)에 접촉 및 지지된다. 완충재(11)는 제 1 탑재면(41)을 따르는 방향(D1)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와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B2)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탑재면(41)의 법선과 제 2 탑재면(13)의 법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와 접촉한다. 환언하면, 완충재(11)가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제 1 탑재면(41)의 방향과 제 2 탑재면(13)의 방향이 서로 가까워진다. 수납 케이스(1)는 이상의 동작에 의해, 각 작업 위치의 높이를 서로 가깝게 하면서, 융착 접속기(F) 및 광 파이버 커터(G)를 작업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납 케이스(1)에 의하면, 융착 접속기(F) 및 광 파이버 커터(G)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그들 작업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낮은 위치에 광 파이버 커터(G)를 수납하면서, 작업시에는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를 회전시켜 광 파이버 커터(G)를 수납 위치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작업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시에 광 파이버 커터(G)의 하방에 낭비되는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수납 케이스(1)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완충재(11)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와 인접하고 있으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B1)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작업시에 광 파이버 커터(G)와 융착 접속기(F)를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수납 케이스(1)는 기부(4)와, 덮개부(5)를 구비하여도 좋다. 기부(4)는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의 일부를 구성하며, 제 1 탑재면(41)의 법선방향으로 개구된다. 덮개부(5)는 기부(4)의 개구를 폐색하는 동시에 기부(4)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의 잔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B2)를 갖는다. 기부(4)에 대해 덮개부(5)를 폐쇄한 상태에서, 회전축(14)은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H)과 근접하며, 또한, 제 2 탑재면(13)은 평면(H)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부(4)에 대해 덮개부(5)를 개방한 상태에서, 회전축(14)은 평면(H)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또한, 제 2 탑재면(13)은 평면(H)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동 가능하다. 이 경우, 덮개부(5)를 개방하여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융착 접속 작업이 종료된 후에 덮개부(5)를 폐쇄하여 융착 접속기(F) 및 광 파이버 커터(G)를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수납 케이스(1)는 한쌍의 어깨 벨트(3)를 구비하여도 좋다. 한쌍의 어깨 벨트(3)는 덮개부(5)의 외면(5a)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한쌍의 어깨 벨트(3)를 작업자가 양 어깨에 걸면서 수납 케이스(1)를 몸의 전방측에 배치하고, 덮개부(5)를 개방하여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특히, 기둥 위나 사다리 위 등 높은 곳에서의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한쌍의 어깨 벨트(3)에 의해 규정되는 운반시의 상하 방향(방향(D1))에 있어서,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B2)가 융착 접속기 수용부(B1)에 대해 하방에 위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작업시에 있어서, 광 파이버 커터(G)가 융착 접속기(F)에 대해 작업자측에 위치하게 된다. 통상의 융착 접속 작업에서는, (1) 단부의 피복을 제거한 광 파이버를 광 파이버 커터(G)에 의해 커트하고, (2) 융착 접속기(F)에 의해 가열 용융하여 융착 접속한 후, (3) 융착 접속부의 주위를 보강하고, (4) 융착 접속기(F)의 배면측에 광 파이버를 일시 수납한다. 이들 일련의 작업을, 작업자는 바로 앞측으로부터 안쪽측으로 차례대로 광 파이버를 이동시키면서 진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 및 회전축(14)은 덮개부(5)에 장착되어 있으며, 기부(4)에 대해 덮개부(5)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과 회전축(14)의 제 1 거리가, 기부(4)에 대해 덮개부(5)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평면과 회전축(14)의 제 2 거리보다 길어도 좋다. 이와 같이, 덮개부(5)를 개방한 상태에서 폐쇄한 상태에서 회전축(14)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 케이스(1)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수납 케이스(1)의 소형화가 한층 더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부(4)에 대해 덮개부(5)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 또한, 완충재(11)에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H)과 제 2 탑재면(13)을 포함하는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15° 이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상태이면, 융착 접속기(F)와 광 파이버 커터(G)를 서로 크게 경사지는 일이 없이 배치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부(4)에 대해 덮개부(5)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탑재면(41)을 포함하는 평면(H)을 기준으로 하는 완충재(11)의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12)와의 접촉 부위의 높이(Z3)와 제 1 거리(Z1)가 서로 대략 동일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융착 접속기(F)와 광 파이버 커터(G)를, 서로 크게 경사지게 하는 일이 없이 배치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부(4)에 대해 덮개부(5)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기부(4)의 제 1 탑재면(41)과 덮개부(5)의 외면(5a)이 이루는 각이 68° 이상 86° 이하의 범위 내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탑재면(41)과 덮개부(5)의 외면(5a)이 이루는 각을 직각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하는 것에 의해, 융착 접속기(F)로의 작업자의 액세스가 용이해져,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수납 케이스는,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에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1)가 한쌍의 어깨 벨트(3)를 구비하고, 작업자의 어깨에 걸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형태로 하고 있지만, 수납 케이스(1)를 운반하기 위한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에 여러 가지 것(스트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 파이버 커터(G)가 융착 접속기(F)에 대해 작업자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광 파이버 커터(G)와 융착 접속기(F)의 위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융착 접속기(F)가 광 파이버 커터(G)에 대해 작업자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1: 수납 케이스 2: 본체
3: 어깨 벨트 4: 기부
5: 덮개부 5a: 외면
6: 선 파스너 7: 체스트 스트랩
8: 보틀 포켓 9: 천
11: 완충재 11a: 상면
11b: 하면 12: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
12a: 나사 구멍 또는 나사 13: 제 2 탑재면
14: 회전축 41: 제 1 탑재면
42: 나사 구멍 B2: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
D1: 상하방향 B1: 융착 접속기 수용부
C1: 중심선 F: 융착 접속기
G: 광 파이버 커터 H: 평면
Z1: 제 1 거리 Z2: 제 2 거리
X1: 제 3 거리 X2: 제 4 거리
α,β: 내각

Claims (20)

  1. 가열 용융에 의해 광 파이버끼리의 접속을 실행하는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의 절단을 실행하는 광 파이버 커터를 동시에 수납 가능하며, 작업 트레이를 겸하는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융착 접속기를 수납 가능한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상기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가능하며, 상기 제 1 탑재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와,
    상기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 2 탑재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상기 제 1 탑재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상기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탑재면의 법선과 상기 제 2 탑재면의 법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회전한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접촉하며,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수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융착 접속기 수용부와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상기 융착 접속기 수용부를 향하여 회전 가능한
    수납 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상기 융착 접속기 수용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탑재면의 법선방향으로 개구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기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융착 접속기 수용부의 잔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를 갖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근접하며, 또한, 상기 제 2 탑재면은 상기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평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탑재면은 상기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동 가능한
    수납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외면에 장착된 한쌍의 어깨 벨트를 더 구비하는
    수납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어깨 벨트에 의해 규정되는 운반시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 커터 수용부는 상기 융착 접속기 수용부에 대해 하방에 위치하는
    수납 케이스.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 및 상기 회전축은 상기 덮개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상기 회전축의 제 1 거리가,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평면과 상기 회전축의 제 2 거리보다 긴
    수납 케이스.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 또한,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를 상기 융착 접속기 수용부를 향하여 회전하며, 상기 지지부에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상기 제 2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15° 이하인
    수납 케이스.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상기 제 1 탑재면과 상기 덮개부의 외면이 이루는 각이 68° 이상 86° 이하의 범위 내인
    수납 케이스.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접속기와, 상기 광 파이버 커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이 상기 제 1 탑재면에 고정되며,
    상기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이 상기 제 2 탑재면에 고정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벽인
    수납 케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상기 제 2 탑재면이 한쪽의 표면에 마련된 평판을 가지며,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가 상기 융착 접속기 수용부를 향하여 회전했을 때에, 상기 평판의 상기 회전축과는 역의 일단이 상기 벽의 상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수납 케이스.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발포 수지를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13.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상기 덮개부에 인접하는 일단과 상기 덮개부의 상기 기부에 인접하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기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부가 상기 기부에 대해 개폐되는
    수납 케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탑재면에는, 상기 융착 접속기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탑재면에는, 상기 광 파이버 커터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16. 가열 용융에 의해 광 파이버끼리의 접속을 실행하는 융착 접속기와, 광 파이버의 절단을 실행하는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 가능한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접속기를 탑재하도록 구성된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탑재면의 법선방향으로 개구되는 기부와,
    상기 광 파이버 커터를 탑재하도록 구성된 제 2 탑재면을 포함하는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와,
    상기 기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부로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기부에 대해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기부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하는 공간을 그 내부에 획정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상기 광 파이버 커터를 수납한 상태인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광 파이버 커터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 제 2 위치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덮개부에 연결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접속기와, 상기 광 파이버 커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융착 접속기의 바닥면이 상기 제 1 탑재면에 고정되며,
    상기 광 파이버 커터의 바닥면이 상기 제 2 탑재면에 고정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벽은 상기 제 1 탑재면과 함께 상기 융착 접속기를 수납하는 공간을 획정하고,
    상기 제 2 탑재면은,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탑재면 또는 상기 제 2 탑재면의 이면은,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탑재면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향하는
    수납 케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는, 상기 제 2 탑재면이 한쪽의 표면에 마련된 평판을 가지며, 상기 광 파이버 커터 보지부가 상기 덮개부에 대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평판의 상기 회전축과는 역의 일단이 상기 벽의 상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수납 케이스.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탑재면에는, 상기 융착 접속기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탑재면에는, 상기 광 파이버 커터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또는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KR1020217023855A 2019-01-29 2020-01-09 수납 케이스 KR20210119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3270 2019-01-29
JP2019013270 2019-01-29
PCT/JP2020/000534 WO2020158336A1 (ja) 2019-01-29 2020-01-09 収納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409A true KR20210119409A (ko) 2021-10-05

Family

ID=7184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855A KR20210119409A (ko) 2019-01-29 2020-01-09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82922B2 (ko)
JP (1) JP7398397B2 (ko)
KR (1) KR20210119409A (ko)
CN (1) CN113330341B (ko)
WO (1) WO2020158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96841B2 (en) * 2021-11-12 2024-09-24 MulePro Industries LLC Tank carrier with backpack straps and dol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1305A (ja) 2005-01-18 2006-08-03 Fujikura Ltd 作業箱
JP2010039002A (ja) 2008-07-31 2010-02-18 Fujikura Ltd 融着接続機用のキャリング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光ファイバ融着接続作業方法
JP2011145528A (ja) 2010-01-15 2011-07-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接続機用収容ケース及び携帯型融着接続システム
JP2014074796A (ja) 2012-10-04 2014-04-2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4172A (en) * 1968-10-22 1970-05-26 Gerald Buchman Locking device for portable equipment
US4934549A (en) * 1988-07-05 1990-06-19 Denise Allen Portable insulated storage chest
US5242056A (en) * 1992-03-09 1993-09-07 Farrukh Zia Portable office
US6578708B2 (en) * 2001-03-23 2003-06-17 Donna Barnett Portable laptop workstation
US7331461B2 (en) * 2002-07-09 2008-02-19 Mackinnon Mary Ann Systems for organizing and carrying food preparation items
JP6130151B2 (ja) * 2012-12-26 2017-05-17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作業台
CN204422816U (zh) * 2015-03-18 2015-06-24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便携式光纤熔接工作台
CN206975298U (zh) * 2017-07-11 2018-02-06 中铁电气化局集团有限公司 一种光缆接续综合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1305A (ja) 2005-01-18 2006-08-03 Fujikura Ltd 作業箱
JP2010039002A (ja) 2008-07-31 2010-02-18 Fujikura Ltd 融着接続機用のキャリング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光ファイバ融着接続作業方法
JP2011145528A (ja) 2010-01-15 2011-07-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接続機用収容ケース及び携帯型融着接続システム
JP2014074796A (ja) 2012-10-04 2014-04-2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82922B2 (en) 2024-01-30
CN113330341A (zh) 2021-08-31
JPWO2020158336A1 (ja) 2021-11-25
WO2020158336A1 (ja) 2020-08-06
CN113330341B (zh) 2023-06-13
US20220007817A1 (en) 2022-01-13
JP7398397B2 (ja)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9409A (ko) 수납 케이스
JP5503304B2 (ja) 融着接続機用収容ケース及び携帯型融着接続システム
CN102695973B (zh) 光纤切断装置收容盒
JP4978363B2 (ja) 梱包構造
US20180116367A1 (en) Cosmetic case
JP2006201305A (ja) 作業箱
JP6479111B2 (ja) 宅配ボックス
US5823337A (en) Tackle box
JP6130151B2 (ja) 融着接続作業台
JP2021075319A (ja) 折り畳み式断熱箱
CN110386331A (zh) 包括用于将钟表部件保持在适当位置的装置的盒子
JP6633803B1 (ja) 容器
JP3120814U (ja) スタンド機能付眼鏡ケース
CN207236611U (zh) 立式化妆刷收纳盒
WO2022080382A1 (ja) 融着接続機の収容ケース、及び融着接続機セット
CN221394559U (zh) 包装盒
WO2022080375A1 (ja) 融着接続作業用のトレイ、及び融着接続機セット
KR101384282B1 (ko) 휴대 단말 수납 케이스
US11414921B2 (en) Storage device
KR101277459B1 (ko) 접이식 수납체
CN221024925U (zh) 包装结构
JP2001318733A (ja) 小型電子機器等の収納装置
KR101780773B1 (ko) 멀티 케이싱 장치
KR200421267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포장상자
JP5219654B2 (ja) 切削インサート収納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