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737A - 수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737A
KR20210118737A KR1020210018326A KR20210018326A KR20210118737A KR 20210118737 A KR20210118737 A KR 20210118737A KR 1020210018326 A KR1020210018326 A KR 1020210018326A KR 20210018326 A KR20210018326 A KR 20210018326A KR 20210118737 A KR20210118737 A KR 20210118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aqueous composition
content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406B1 (ko
Inventor
메구미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21011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조성물 중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재분산시킨다.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성분 A: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 성분 B: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HLB가 12.0∼17.0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성분 C: 스멕타이트형 점토 광물, 성분 D: 물을 특정의 비율로 함유한다.

Description

수성 조성물{AQUEOUS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 외용제, 메이크업 화장료 등의 감촉 개량제로서 나일론 등의 플라스틱 파우더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플라스틱 파우더는, 생분해성이 낮다. 이 때문에, 플라스틱 파우더에 의한 환경에의 영향이 문제가 되어, 플라스틱 파우더의 사용을 삼갈 필요가 있다.
생분해성이 높은 분체의 하나로서, 아미노산과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들 수 있다.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는, 물에도 유기 용매에도 거의 용해되지 않아, 발수성이 뛰어나다는 특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배합한 조성물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메이크업 화장료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배합함으로써, 사용감이나 발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크림상(狀) 조성물에 아미노산계 분체를 배합함으로써, 고급감이 있는 펄(pearl)상 광택을 갖는 크림상의 외관으로 하고,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고급 지방산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배합함으로써, 세정력이나 거품 질 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17-197559호 공보 국제공개 WO2018/008762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19-156729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에는, 유성 조성물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배합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만, 수성 조성물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배합하는 것의 기재는 없다. 또, 특허문헌 3에는, 고급 지방산염 및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함유하는 세정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한 기술은, 세정료 조성물의 높은 점성에 의해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분산시키고 있는 것에 불과하여, 모든 수성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다.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는, 발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수성 조성물의 액층(液層)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분산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수성 조성물의 액층 중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재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성 조성물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i)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 특정의 계면활성제, 및 점토 광물을 배합하고, (ii) 당해 계면활성제 및 당해 점토 광물의 함유량에 대한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의 함유량의 비율을 특정 범위로 한 수성 조성물이면, 액층 중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재분산시킬 수 있다는 신규 지견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1〕 하기 성분 A∼D를 함유하고,
성분 B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A의 함유량(A/B)이, 300 이하이며,
성분 C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A의 함유량(A/C)이, 35 이하인, 수성 조성물;
성분 A: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
성분 B: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HLB가 12.0∼17.0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성분 C: 스멕타이트형 점토 광물
성분 D: 물.
〔2〕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이 0.01∼20.0 질량%이고,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이 0.005∼2.0 질량%이며, 상기 성분 C의 함유량이 0.01∼2.0 질량%인, 〔1〕의 수성 조성물.
〔3〕 하기 성분 E를 추가로 포함하는, 〔1〕 또는 〔2〕의 수성 조성물;
성분 E:에탄올.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 의하면, 액층 중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재분산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각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학술 문헌 및 특허문헌 전부가, 본 명세서 중에서 참고문헌으로서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X∼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도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질량%는, 수성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100 질량%로 한 값이다.
〔1. 수성 조성물〕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은, 하기 성분 A∼D를 함유하고,
성분 B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A의 함유량(A/B)이 300 이하이며,
성분 C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A의 함유량(A/C)이 35 이하인, 수성 조성물이다;
성분 A: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
성분 B: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HLB가 12.0∼17.0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성분 C: 스멕타이트형 점토 광물
성분 D: 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을 가짐으로써, 액층 중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재분산시킬 수 있는 수성 조성물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액층 중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재분산시킨다」란, 바꿔 말하면, 액층에 대해 유기 분체가 젖음성을 갖는다고도 할 수 있다. 당해 젖음성을 갖는 상태란, 액층과 함께 유기 분체를 교반했을 때, 유기 분체가, 액층의 액면보다도 아래에 존재하는 상태를 말한다. 한편, 젖음성을 갖지 않는 상태란, 수성 조성물과 함께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교반했을 때,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가 액층의 액면 상(기액(氣液) 계면)에 머무른 채인 상태를 말한다.
또,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액층 중에 유기 분체가 젖음 분체층으로서 존재하는 2층 형태여도,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는, 액층 중에 분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당해 2층 형태로는, 예를 들면, (i) 액층의 액면 하측으로부터 액면 가까이에 유기 분체가 젖음 분체층으로서 존재하는 형태, (ii) 액층의 저부(底部)로 유기 분체가 침강하여, 당해 저부에 유기 분체가 젖음 분체층으로서 존재하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수성 조성물」이란, 실질적으로 유제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성 조성물」은, 유제가 3.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인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유제로는, 유지, 납(蠟), 실리콘유, 탄화수소, 에스테르유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mPa·s 이하의 액상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mPa·s 이하의 액상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는, 예를 들면, B형 점도계: VISCTER TV-25(도키 산교사 제조), 또는, 음차식 진동 점도계: SV-10A(기타하마 세이사쿠쇼사 제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크림상 조성물 및 젤상 조성물의 점도는, 1000mPa·s를 초과한다. 이와 같은 조성물에 대해서는, 젖음성에 관계없이, 유기 분체를 분산하여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액상의 수성 조성물에 대해 유기 분체를 분산하여 배합하기 위해서는, 당해 수성 조성물의 액층에 대해 유기 분체가 젖음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상기 성분 A∼D를 배합함으로써, 유기 분체가 수성 조성물의 액층에 대해 젖음성을 갖는다는 신규 지견을 찾아냈다.
또,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상기 성분 A∼D에 더하여, 성분 E: 에탄올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성분 B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A의 함유량(A/B)이, 3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2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0이다. 상술한 범위이면, 계면활성제(성분 B)의 과다에 의한 끈적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성분 A의 과소에 의한 성분 A의 효과 상실의 우려를 고려하면, A/B는, 0을 초과하고 있으면 좋다.
성분 C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A의 함유량(A/C)이, 3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3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이다. 상술한 범위이면, 스멕타이트형 점토 광물(성분 C)의 과다에 의한 끈적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 거품 생성(泡立)이 과잉이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성분 A의 과소에 의한 성분 A의 효과 상실의 우려를 고려하면, A/C는, 0을 초과하고 있으면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분 A〕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성분 A로서,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성분 A를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에 대해 도포 후에, 보송보송한 감촉, 소위, 보송보송한 감을 부여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성분 A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로는, 수성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라우로일 리신, 팔미토일 리신, 카프로일 리신 등의 아실 리신; 스테아로일 오르니틴 등의 아실 오르니틴; 라우로일 아르기닌 등의 아실 아르기닌; 코코일 히스티딘 등의 아실 히스티딘 등의 아실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라우로일 리신인 아미호프 LL(아지노모토사 제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성분 A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20.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5.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0 질량%이다.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에 의한 효과를 발휘하는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0.01 질량% 이상이면 좋다. 또,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의 사용감의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20.0 질량% 이하이면 좋다.
〔성분 B〕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성분 B로서,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HLB가 12.0∼17.0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성분 B를 함유시킴으로써,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의 액층에의 젖음성을 부여하고,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끼리의 케이킹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상기 성분 B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은, 아미노산계 양성 계면활성제의 일종이다.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은, 알킬기가 12 및 14인 N-〔3-알킬(12,14)옥시-2-히드록시프로필〕-L-아르기닌의 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N-〔3-알킬(12,14)옥시-2-히드록시프로필〕-L-아르기닌염산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염의 반대 이온으로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이온이 바람직하고,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며, 나트륨 이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HLB가 12.0∼17.0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 에틸렌 축합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 에틸렌 축합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모노카프릴산 글리세릴, 모노카프린산 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글리세릴, 모노미리스틴산 글리세릴, 모노팔미틴산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모노베헨산 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글리세릴, 모노에루카산 글리세릴,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릴, 디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디아라킨산 글리세릴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카프릴산 디글리세릴, 모노카프릴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카프린산 헥사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테트라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헥사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폴리(4∼10)글리세릴, 모노미리스틴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폴리(2∼10)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디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헥사글리세릴, 세스퀴올레인산 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2∼10)글리세릴, 디스테아린산 폴리(6∼1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트리스테아린산 폴리(10)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 에틸렌 축합물; 모노올레인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라우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올레인산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올레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팔미틴산 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린산 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린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야자유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 에틸렌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이소세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올레일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HLB가 12.0∼17.0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산화 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40∼10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는, PEG-40 수소 첨가 피마자유, PEG-60 수소 첨가 피마자유, PEG-100 수소 첨가 피마자유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는, 12.0∼17.0이고, 바람직하게는 13.0∼17.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17.0이다.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의 액층에의 젖음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당해 HLB는, 12.0 이상이면 좋다. 또,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의 액층에의 젖음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당해 HLB는, 17.0 이하이면 좋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 디알킬형 4급 암모늄염, 트리알킬형 4급 암모늄염, 모노알킬 에테르형 4급 암모늄염, 알킬아민, 지방산 아미도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으로는, 예를 들면, 염화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스테아르트리모늄 클로리드), 염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알킬(16,18)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알킬(20∼22)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 미리스틸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 트리(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암모늄, 염화 디(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메틸암모늄, 디스테아로일에틸디모늄 클로리드 세테아릴 알코올(팔미타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리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아미도아민으로는, 예를 들면,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틴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틴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프로필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 디프로필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아미도아민은,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에 의해 염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유산, 사과산, 구연산, 주석(酒石)산, 초산(酢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무기산으로는, 인산, 염산, 황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 및 무기산의 함유량은, 배합되는 지방산 아미도아민을 중화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상기 중에서도,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 지방산 아미도아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알킬(16,18)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알킬(20∼22)트리메틸암모늄,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디스테아로일에틸디모늄 클로리드 세테아릴 알코올(팔미타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리드), 염화 γ-글루콘아미도프로필 디메틸 히드록시에틸암모늄이다.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5∼2.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1.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1.0 질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0.005 질량% 이상이면 좋다. 또, 수성 조성물의 사용감, 즉, 계면활성제 유래의 끈적임에 기인하여 성분 A에 의한 효과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2.0 질량% 이하이면 좋다.
〔성분 C〕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성분 C로서, 스멕타이트형 점토 광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성분 C를 함유시킴으로써,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침강시킬 뿐만 아니라, 분산성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성분 C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 C는, 천연물이어도, 합성물이어도 된다. 천연물의 스멕타이트형 점토 광물로는,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우코나이트, 및 스테벤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합성물의 스멕타이트형 점토 광물로는, 합성 사포나이트, 및 합성 헥토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성분 C는, 벤토나이트, 합성 헥토라이트(합성 규산 나트륨·마그네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C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2.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질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0.01 질량% 이상이면 좋다. 또, 수성 조성물의 사용감, 점토 광물 유래의 끈적임 및 버석거리는 느낌에 기인하여 성분 A에 의한 효과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2.0 질량% 이하이면 좋다.
〔성분 D〕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성분 D로서, 물을 포함한다. 성분 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정제수가 바람직하다. 성분 D의 물의 함유량은, 성분 D 이외의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30.0∼99.0 질량%이다.
〔성분 E〕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성분 E로서, 에탄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성분 E를 함유시킴으로써, 산뜻한 느낌의 향상이나, 속건성(速乾性)의 향상이라는 효과를 나타낸다. 성분 E의 함유량은, 원하는 사용감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6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 질량%이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상기에 기재한 성분 외,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티토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글루코실 트레할로오스 등의 다가 알코올; l-멘톨, 멘틸락테이트, 캄퍼, l-멘틸글리세릴에테르, 박하유, 페퍼민트유 등의 청량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이외의 양성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금속 봉쇄제, 실리콘류, 지방산 에스테르유, 비타민류, 미네랄류, 동식물 엑기스, 착색제, 각종 향료, 방부제, 살균제, 항염증제,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등을 목적에 따라 적절히 배합해도 된다.
〔2. 수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성분이 투입된 용기에 분체 성분을 첨가하여, 디스퍼 등으로 교반·균일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의 용도〕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2층형 피부용 로션 등의 피부용 로션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부용 로션은, 보디용의 보디 로션, 데오도런트 로션; 얼굴용 수렴 로션, 오일 컨트롤 로션 등의 피부의 어느 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 시의 산뜻한 감이 뛰어나고, 또한 피지의 억제 효과가 뛰어난 관점에서, 얼굴용 로션(화장수)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시트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다. 시트 화장료는, 직포, 부직포 등의 시트 기재(基材)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켜 형성된 시트 형상의 화장료이다.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시키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트 화장료는, 주로, 피부(살갗)를 닦아내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시트 화장료에 의해 닦아내는 부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팔, 팔꿈치, 손등, 손끝, 다리, 무릎, 발뒤꿈치, 목, 겨드랑이, 등(背), 안면(예를 들면, 이마, 눈가, 눈꼬리, 뺨, 입가 등), 두피를 들 수 있다. 상기 시트 화장료로는, 예를 들면, 보디용 닦아냄 시트(두피용 닦아냄 시트를 포함한다), 페이스용 닦아냄 시트, 웨트 티슈, 일회용 물수건, 시트 세안료(세안 시트), 엉덩이 닦기 시트, 메이크업 제거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시트 화장료는, 뛰어난 냉감 부여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디 닦아냄용으로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술한 용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부외품, 의약품, 잡화 중 어느 형태여도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1. 실시예 1∼14, 비교예 1∼13〕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13의 수성 조성물(조성물 1∼27)을 조제했다. 얻어진 수성 조성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100mPa·s 미만이었다.
〔2. 각 성분의 상세〕
표 1 및 표 2 중,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성분 A: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
라우로일 리신: 아지노모토사 제조, 제품명 「아미호프 LL」.
<성분 B: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알킬(C12,14)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 HCl: 아지노모토사 제조, 제품명 「아미세이프 LMA-60」.
<양성 계면활성제>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 신니혼 리카사 제조, 제품명 「리카비온 B-300」.
코코암포초산 Na: 가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소프타졸린 CH」.
라우로암포초산 Na: 가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소프타졸린 LHL」.
<성분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HLB 12.0∼17.0)>
PEG-60 수소 첨가 피마자유(HLB 14.8): 아오키 유시사 제조, 제품명 「브라우논 RCW-60」.
PEG-100 수소 첨가 피마자유(HLB 16.5): 니혼 에멀전사 제조, 제품명 「EMALEX HC-10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PEG-30 수소 첨가 피마자유(HLB 11.0): 니혼 에멀전사 제조, 제품명 「EMALEX HC-30」.
세테스-40(HLB 17.4): 아오키 유시사 제조, 제품명 「브라우논 CH-340」.
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3(HLB 11.1): EVONIC사 제조, 제품명 「TEGO Cosmo P813」.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레스 황산 Na: 가오사 제조, 제품명 「에말 270J」.
술포호박산 라우레스 2Na: 신니혼 리카사 제조, 제품명 「리카마일드 ES-100」.
<성분 B: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르트리모늄 클로리드: 가오사 제조, 제품명 「쿼타민 86W」.
팔미타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리드: EVONIC사 제조, 제품명 「VARISOFT PATC」.
<성분 C: 스멕타이트형 점토 광물>
벤토나이트: 니혼 유키 넨도사 제조, 제품명 「벤겔」.
합성 헥토라이트(합성 규산 나트륨·마그네슘): BYK사 제조, 제품명 「Laponite XLG」.
<점토 광물>
카올린: 다케하라 가가쿠 고교사 제조, 제품명 「카올린 JP-100」.
〔3. 평가: 분체 젖음성〕
분체 젖음성은, 조제한 각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하기의 기준에 따라 나타낸다.
(평가 기준)
◎: 모든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가, 액층 중에 분산하고 있거나, 또는 재분산 가능하다.
○: 일부의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가 기액 계면에 존재하지만, 9할 이상의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가, 액층 중에 분산하고 있거나, 또는 재분산 가능하다.
×: 9할 이상의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가 기액 계면에 존재한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4. 시험 결과〕
표 1 및 표 2로부터, 분체 젖음성에 대하여, 실시예 1∼14의 수성 조성물은, 비교예 1∼13의 수성 조성물보다도 뛰어난 것이 분명해졌다. 따라서, 실시예 1∼14의 수성 조성물은,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재분산시킬 수 있는 조성물이다.
〔처방예〕
[2층형 피부용 로션]
라우로일 리신                   1.0 질량%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0.04 질량%
벤토나이트                     0.2 질량%
에탄올                       10.0 질량%
1,2-옥탄디올                   0.2 질량%
글리세린                       7.0 질량%
살리실산                      0.1 질량%
l-멘톨                       0.3 질량%
염화 나트륨                      0.1 질량%
인산 Na                       0.1 질량%
인산 2Na                       0.3 질량%
메틸파라벤                    0.3 질량%
향료                         0.03 질량%
정제수                          잔여
합계                       100.0 질량%.
[2층형 액취 방지제]
라우로일 리신                   4.0 질량%
무수 규산                     0.5 질량%
염화 γ-글루콘아미도프로필 디메틸 히드록시에틸암모늄 0.1 질량%
합성 헥토라이트(합성 규산 나트륨·마그네슘)     0.4 질량%
에탄올                       30.0 질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5.0 질량%
l-멘톨                     0.1 질량%
파라페놀술폰산 아연                0.3 질량%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0.1 질량%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05 질량%
향료                        0.05 질량%
정제수                          잔여
합계                        100.0 질량%.
[시트 화장료]
부직포 100 질량부에 대해,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조성물 400 질량부를 함침시켜, 시트 화장료로 했다.
라우로일 리신                     3.0 질량%
PEG-60 수소 첨가 피마자유             0.05 질량%
벤토나이트                      0.2 질량%
BG                         10.0 질량%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05 질량%
메틸파라벤                      0.2 질량%
페녹시 에탄올                    0.6 질량%
에탄올                        4.0 질량%
크산탄검                       0.03 질량%
정제수                           잔여
합계                       100.0 질량%.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피부용 로션, 시트 화장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하기 성분 A∼D를 함유하고,
    성분 B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A의 함유량(A/B)이, 300 이하이며,
    성분 C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A의 함유량(A/C)이, 35 이하인, 수성 조성물;
    성분 A: 아미노산계 유기 분체
    성분 B: 알킬옥시 히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HLB가 12.0∼17.0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성분 C: 스멕타이트형 점토 광물
    성분 D: 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이, 0.01∼20.0 질량%이고,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이, 0.005∼2.0 질량%이며,
    상기 성분 C의 함유량이, 0.01∼2.0 질량%인, 수성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 E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성분 E: 에탄올.
KR1020210018326A 2020-03-23 2021-02-09 수성 조성물 KR102565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1164 2020-03-23
JP2020051164A JP7424883B2 (ja) 2020-03-23 2020-03-23 水性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737A true KR20210118737A (ko) 2021-10-01
KR102565406B1 KR102565406B1 (ko) 2023-08-09

Family

ID=7775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326A KR102565406B1 (ko) 2020-03-23 2021-02-09 수성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24883B2 (ko)
KR (1) KR102565406B1 (ko)
CN (1) CN113425613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7559A (ja) 2017-06-09 2017-11-02 味の素株式会社 複合粉体およびメイクアップ化粧料
WO2017188279A1 (ja) * 2016-04-26 2017-11-02 味の素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WO2018008762A1 (ja) 2016-07-08 2018-01-11 味の素株式会社 クリーム状組成物
JP2019156729A (ja) 2018-03-08 2019-09-19 株式会社ノエビア 洗浄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9434A (ja) * 1995-03-23 1996-10-08 Shiseido Co Ltd 液状化粧料
JP4948092B2 (ja) * 2006-08-31 2012-06-06 株式会社マンダム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389573B2 (ja) * 2009-09-01 2014-01-15 株式会社マンダム 2層型化粧料
WO2011088327A2 (en) * 2010-01-15 2011-07-21 Ajinomoto Co., Inc. N-acyl basic amino acid dispersion
JP6139836B2 (ja) * 2012-09-25 2017-05-31 株式会社 資生堂 液状制汗用組成物
KR102653544B1 (ko) * 2015-10-05 2024-04-03 듀폰 도레이 스페셜티 머티리얼즈 가부시키가이샤 수중유형 오가노폴리실록산 유화물, 이의 제조 방법, 화장료 원료 및 화장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279A1 (ja) * 2016-04-26 2017-11-02 味の素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WO2018008762A1 (ja) 2016-07-08 2018-01-11 味の素株式会社 クリーム状組成物
JP2017197559A (ja) 2017-06-09 2017-11-02 味の素株式会社 複合粉体および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19156729A (ja) 2018-03-08 2019-09-19 株式会社ノエビア 洗浄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24883B2 (ja) 2024-01-30
CN113425613A (zh) 2021-09-24
CN113425613B (zh) 2023-08-25
KR102565406B1 (ko) 2023-08-09
JP2021147373A (ja)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10801B (en) Skin toning formulation
WO2011129034A1 (ja) 濃縮液状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142272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組成物
JP5328032B2 (ja) 洗浄剤組成物
JP5723188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用化粧料
KR20060113907A (ko) 높은 알코올 함량의 겔-유사 및 포옴 조성물
WO2008058943A2 (de) Rückstandsarmer kosmetischer oder dermatologischer stift auf basis einer öl-in-wasser-dispersion/emulsion iii
JP4114054B2 (ja) 洗浄剤組成物
EP2167018A2 (de) Kosmetischer stift auf basis einer verdickten öl-in-wasser-dispersion/emulsion
JP5709167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用化粧料
DE102008053884A1 (de) Anti Pickel Hautbehandlungsmittel
JP6773594B2 (ja) 皮膚化粧料
JP6773595B2 (ja) 皮膚化粧料
JP2012167035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料
KR20090030470A (ko) 다가알콜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비수계 세안제 조성물
EP1704897B1 (de) Schäumbar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JP3524717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乳化化粧料
KR20140015080A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DE102012222764A1 (de) Kosmetische Mittel enthaltend Phospholipide und ausgewählte Pheromone
KR102565406B1 (ko) 수성 조성물
CA3228529A1 (en) Composition
KR102170742B1 (ko) 피부 화장료
JP7346260B2 (ja) スクラブ剤含有皮膚洗浄剤組成物
US8173112B2 (en) Emulsified composition for hair
KR102529753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