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576A -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576A
KR20210118576A KR1020200035002A KR20200035002A KR20210118576A KR 20210118576 A KR20210118576 A KR 20210118576A KR 1020200035002 A KR1020200035002 A KR 1020200035002A KR 20200035002 A KR20200035002 A KR 20200035002A KR 20210118576 A KR20210118576 A KR 20210118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ment
user
digital currency
money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287B1 (ko
Inventor
김원식
김민성
김형순
김해주
김보라
Original Assignee
김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성 filed Critical 김민성
Priority to KR102020003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28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좌에 화폐를 본인 명의로 입금하여 현금은 안전하게 은행에 입금해놓고,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케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 발행부 및 상기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와 협의된 소정의 비율에 따라 수당, 주식 배분, 단계별 광고비용, 및 교육 관리 수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목으로 지불 처리하는 지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에 의해 화폐 본의의 디지털 화페로 기존 화폐나 동전을 대체 사용할 수 있는 전자 화폐를 제안하여 세계 어디에서나 온 오프라인 은행 등에서 발행한 비자카드나, BC 카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체크카드가 없는 오지에서도 사전에 ATM에서 현금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issuing and managing of digital money}
본 발명은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좌에 화폐를 본인 명의로 입금하여 현금은 안전하게 은행에 입금해놓고,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케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거래에서 통용되는 화폐는 지폐와 동전 및 수표 등으로 한정되었으나, 이러한 화폐의 보유에 따른 불편함과 도난의 우려에 의해 새로운 화폐개념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자상거래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실물거래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개념의 결제방식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결제방식에는 신용카드와 전자 칩(chip)을 내장한 전자화폐가 주목되고 있다.
즉, 정보화시대의 정착과 함께 각종 카드는 그 종류가 다양하여 자기 띠 카드와 같은 단순 기록매체에서 이제는 전자 칩을 내장하여 지능화한 전자화폐(IC 카드)까지 제공되고 있다.
전자화폐는 크게 접점단자와 칩에 의한 접촉식 카드와, RF방식의 비접촉식 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식 카드의 대표적인 일 예로서 전자지갑을 들 수 있고, 비접촉식 카드의 대표적인 일 예로는 교통 지갑을 들 수 있다.
접촉식 카드는 접촉단자와 접촉식 전자 칩이 하나의 카드 내에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촉단자가 카드판독기의 접점에 접촉됨에 따라, 카드판독기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즉, 전자지갑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전자지갑에 일정 금액을 정산하여 충전하면, 전자지갑 내의 접촉식 전자 칩에는 사용자가 정산한 금액이 충전되는 방식이다.
이후, 사용자는 물품 구매 등의 상거래행위에 대응하여 전자지갑을 제시함에 따라 판매자가 전자지갑을 카드판독기에 투입한 후 정산금액을 입력하면, 카드판독기는 접촉식 전자 칩에 기충전되어 있는 금액으로부터 상거래행위에서 발생한 정산금액만큼 감산하여 새로운 금액을 기록함으로서, 사용요금이 정산되도록 한다.
또한, 비접촉식 카드는 그 내부에 루프형 안테나와 비접촉식 전자 칩이 내장되어 있어, 버스 혹은 공중전화기 등에 설치되는 카드판독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요금이 정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전자화폐에 금액을 충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접 충전방식과 인터넷을 이용한 충전방식이 있다. 직접 충전방식은 사용자가 금액충전기가 설치된 장소에 직접 방문하여 전자화폐를 금액충전기에 투입하고 사용자가 일정금액을 충전하도록 요청하면, 충전금액이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서비스 제공자에게 자동 이체되고, 요청한 일정금액이 전자화폐에 충전되며, 충전이 완료되면 전자화폐가 배출되도록 한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전자화폐는 금액충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어야만 금액충전기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충전과정에 의한 오류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을 이용한 충전방식은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 등에 부가 설치된 금액충전기를 통하여 금액을 충전하도록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후, 일정금액을 충전하도록 요청하면, 서비스 제공서버는 전자화폐와 연동되어 있는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충전금액을 인출한 후, 전자화폐에 해당 금액을 충전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서버와 금액충전기 사이에는 인터넷망을 통한 충전요청신호와 응답신호가 상호 교환된다.
다시 말해서,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자화폐를 충전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가 전자화폐에 대한 충전명령을 전송한 후, 해당 충전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응답신호를 요청하고, 금액충전기는 전자화폐의 충전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서버에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화폐 충전방식에 의하면 충전명령이 전자화폐로 전달되지 못하여 충전오류가 발생하거나 혹은 전자화폐에는 충전이 되었으나 응답신호가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되지 못하여 충전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가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충전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인지 혹은 충전작업이 실패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이미 인출된 충전금액을 다시 사용자의 계좌로 재 입금하여야 할지 혹은 전자화폐에 충전금액이 충전된 것으로 판단하여야 할지를 결정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자화폐란 IC 칩이 내장된 카드나 공중정보통신망과 연결된 PC 등의 전자기기에 전자기호 형태로 화폐적 가치를 저장하였다가 상품 등의 구매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지급 수단이다.
또한 최근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현물에 대한 결제 및 송금이 가능한 전자화폐의 일종인 비트코인(Bitcoin)이 제안되어 전 세계적으로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이란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영어: Satoshi Nakamoto)가 만든 디지털 통화로, 통화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중앙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대신에, 비트코인의 거래는 동등 계층 간 통신망(P2P: peer-to-peer network) 기반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며, 공개키 암호 방식 기반으로 거래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결제 및 송금방식을 갖는 비트코인은 신용카드 결제 시에 필요한 카드번호나 유효기간, CVV(Card Verification Value), CVC(Card Validation Code) 번호 등의 정보 없이도 이용이 가능하여 도용의 위험성이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사용수수료도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비트코인은 지갑 파일의 형태로 저장되고, 이 지갑에는 각각의 고유주소 즉, 퍼블릭 어드레스(Public address) 및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프라이빗 키(Private key)가 부여되며, 그 퍼블릭 어드레스(Public address)라는 주소를 기반으로 비트코인을 이용한 물품구매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현물에 대한 결제 및 송금이 가능한 전자화폐에는 비트코인과 더불어,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 등이 있으며, 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거래자가 비트코인을 포함하는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거래한 거래내역이 수집 보관되는 블록체인(block chain)이 전자지갑에 저장되어지기 때문에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을 통칭하여 전자화폐라 지칭한다.
이와 같은, 결제 및 송금특성을 갖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매자 및 송금자는 빗썸, 코인원, 코빗 등의 비트코인 거래소에 가입하여 전자지갑을 개설한 상태에서 원화에 해당하는 KRW를 충전한다.
이후, 비트코인 거래소에서 매매되고 있는 비트코인의 현재 시세를 확인한 후 구매를 원하는 블록체인을 갖는 전자화폐의 수량과 단가를 입력하여 구매주문을 하면, 거래조건에 맞는 판매주문을 통해 거래가 성립되어 전자 화폐의 판매와 구매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화폐는 거래소를 이용하는 판매와 구매뿐만 아니라 물품의 결제, 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송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송금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 전자화폐는 국가 및 거래소별로 그 시세가 정해지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거래소의 시세를 통해 보내고자 하는 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개수)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자화폐 금액을 타 이용자에게 송금하게 된다.
원화, 엔화, 위안화, 달러 등과 같은 각 국가의 화폐단위 및 가치가 서로 다르듯이 전자화폐의 시세 또한 각 국가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국내의 이용자가 외국의 이용자에게 송금할 때, 기준통화에 맞는 금액을 송금하더라도 실제로 외국의 이용자가 받은 전자화폐를 환전할 때 그 가치가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 일반적인 전자화폐송금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국가의 이용자 간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송금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582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55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1205호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화폐 본의의 디지털 화페로 기존 화폐나 동전을 대체 사용할 수 있는 전자 화폐를 제안하여 세계 어디에서나 온 오프라인 은행 등에서 발행한 비자카드나, BC 카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체크카드가 없는 오지에서도 사전에 ATM에서 현금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 발행부 및 상기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와 협의된 소정의 비율에 따라 수당, 주식 배분, 단계별 광고비용, 및 교육 관리 수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목으로 지불 처리하는 지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디지털 화폐 발행부가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발행하는 단계 및 지불 처리부가 상기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와 협의된 소정의 비율에 따라 수당, 주식 배분, 단계별 광고비용, 및 교육 관리 수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목으로 지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화폐 본의의 디지털 화페로 기존 화폐나 동전을 대체 사용할 수 있는 전자 화폐를 제안하여 세계 어디에서나 온 오프라인 은행 등에서 발행한 비자카드나, BC 카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체크카드가 없는 오지에서도 사전에 ATM에서 현금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화폐 본의의 전자화폐로 현금은 은행에 예치하고 전자상으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은행과 연동, 거래하는 시스템으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하면 가격의 등락 폭이 없으며, 안정적으로 세계 각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계정에서 발생되는 소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 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계정에서 발생되는 소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운영 회사 서버(30)에서 지정한 국가별 온/오프라인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에 본인 계좌에 달러 등 기타 화폐를 본인 명의로 입금하여 현금은 안전하게 은행에 입금해놓고,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케 하는 것이다.
화폐 본의의 전자화폐로 현금은 은행에 예치하고 전자상으로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은행과 연동, 거래하는 시스템으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하면 가격의 등락 폭이 없으며, 안정적으로 세계 각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화폐나 동전 등을 금융 기관에 예치해 놓고 같은 금액의 한도를 전자화폐를 발행받아 사용하는 것으로 새로운 방법의 멀티레벨 마케팅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면서도 디지털 화폐 사용과 이를 통하여 금융비용 절감은 물로 금융 기관에 예치해 놓은 현금이나 휴면중인 자금을 가상 계좌에 입금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으로 소득 창출과 추후 운영회사에서 시행하는 가전제품 공산품 등 각종 생활용품 등 구입비용에서 10~5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디지털 화폐 사용에 관한한 사용과 사업에 대한 것을 2가지로 국가 금융 기관 기업 법인 등은 운영회사와 협의 후 지정하는 금융 기관에 예치한 금액 한도에서 디지털 화폐를 발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은 출생 증명만 있으면 누구나 지정하는 금융 기관 가상계좌에 입금하여 규정하는 시스템으로 라인과 대수로 지정한 수당을 받을 수 있다.
기존의 화폐를 은행에 예치, 보관하고 그 금액만큼 전자화폐를 발행하는 화폐 본의의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은 투자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은행 같은 금융 기관(20, 운영회사 서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은 화폐 본의의 디지털 화폐로써 기존에 사용하는 기축 화폐와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는 화폐를 국가별 환율 기준으로 1대 1 비율로 병행해서 실물과 같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화폐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은 운영회사 서버(30)에서 지정하는 금융 기관(20)에 투자자(고객)의 계좌에 입금해서, 금융 기관(20)에서 발행한 비자나 BC 카드를 사용하며 세계 각국 어디서나 ATM기에서 입출금이 가능하며, 대금 결제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현금을 금융 기관에 안전하게 예치해놓고 본사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화폐로 교환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소득을 창출할 수 있다.
동시에 국가 경제 발전과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업이나 법인 또는 개인도 현금을 항시 본인명의로 은행에 예치한 금액 한도에서 디지털 화폐를 언제나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은 운영 회사 서버(30)에서 규정한 일정 금액을 본사에서 지정한 금융 기관(20)에 본인 명의 가상계좌에 입금해두면 운영 회사 서버(30)에서 각종 수당지급, 주식 배분과 단계별 광고, 교육 관리 수당을 지불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영 회사 서버(30)에서 지정하는 금융 기관에 투자자(고객)의 계좌에 입금하여서 금융 기관에서 발행한 비자나 BC 카드를 사용하며 세계 각국 어디서나 (ATM)기에서 입출금이 가능하며 대금 결제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현금을 금융 기관에 안전하게 예치해놓고 본사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화폐를 교환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소득까지 올리면서도 국가 경제 발전과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단 한번의 투자로 회사에서 규정한 일정한 금액을 본인명의로 금융 기관에 예치해 놓고 수시로 디지털 화폐와 현금을 병행해 사용할 수 있으며 운영 회사 서버(30)에서 규정한 일정한 금액을 본사에서 지정한 금융 기관(20)에 본인 명의 가상계좌에 입금해두면 운영 회사 서버(30)에서 각종 수당지급 주식배분과 단계별 광고, 교육 관리수당을 지불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안전한 것은 현금은 금융 기관에 예치해놓고 디지털 화폐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지만 구조상 기대 이상의 수익이 창출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투자 방법은 투자자의 선택사항으로 1번 이상으로 1천불을 규정했을 시 1번에서 1, 2, 3 ..,10 ~ 20회까지라도 반복해서 투자 가능하고, 누적된 본인 전자화폐 주식배정보등을 누적 1천불 이상일때 재투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후원 관리수 동 열에서 종대로 6%씩 누적으로 1천불 이상일 때 자동으로 재개정이 발생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은 투자자(고객)가 운영 회사 서버(30)에서 지정한 금융 기관에 본인명의의 가상계좌에 입금해 놓은 것을 현금은 금융 기관(20)에 안전하게 보관하고, 운영 회사 서버(30)에서는 디지털 화폐를 금융 기관(20)과 공동관리 하는 것으로 지정한 금융 기관(20)에서는 연동 프로그램으로 안전하게 투자한 사업자, 운영 회사 서버(30), 금융 기관(20) 3자 간 안전관리 하는 공증 등 안전을 원칙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영 회사 서버(30)는 운영회사에 의해 운영된다. 그리고 운영 회사 서버(30)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장치(300)를 포함한다. 운영회사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모든 운영위원은 5% 이내의 전산 및 관리 비용만 사용한다. 운영회사는 주식배분 20%와 후순위 사업자 지원 예비금 20%를 온오프라인 매장 운영 등 혁신사업 투자와 주주들의 배당금 수익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운영 회사 서버(30)는 자문위원, 운영위원, 개발위원, 혁신투자 자문위원, 온오프라인 매장 관리위원, 대외 협력위원이 근무할 수 있다.
투자자(고객)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 이내의 금액은 본인이 사용하는 통장에 입금하여 항상 사용할 수 있다. 본인이 사용하고 회사에서 규정한 일정 금액은 회사에서 지정한 은행 즉 금융 기관에 본인 명의의 가상 계좌에 입금해 둘 수 있다.
운영 회사 서버(30)에 포함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300)의 플랫폼 시스템으로 빅데이터를 통한 프로그램상에서 본인 명의로 가상 계좌에 입금해 놓으면 운영회사에서 일부를 주식으로 발행해주고, 나머지는 연구개발 온오프라인 매장 운영 혁신 산업 개발 투자 광고비, 교육 관리비 등 투자자들의 공익 및 소득 창출에 기여하며 국가 경제 발전과 시계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지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은 안전과 편의를 위해 디지털 화폐의 발행과 이력제와 AI 기술 발전과 인공지능 등을 통한 각종 인식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예, 아니오의 비밀번호를 두어 출금시 사용함으로써 회사에서 해킹 등으로 복구, 개인 및 회사 사회에 위해를 입힌 사업자는 코드번호를 삭제하여 자격을 박탈하는 시스템이다.
뿐만 아니라 IT 산업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지원, 동공 화상인식 등 다양한 기능으로 해킹 등 도난방지를 위하여 2개 이상의 기능과 별도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만약 해킹 및 도난을 당해도 가져간 쪽에서 거래는 할 수 있으나 개정과 코드번호를 삭제하는 안전시스템을 가동하여 사용불가 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높일 수 있다.
즉, 뜻이 맞지 않는 사업자나 자격미달 박탈자로 한번 제명된 국가나 기업 및 사업자는 영구적으로 회원이 될 수 없게 하여서 엄격한 규정과 보안 시스템으로 해킹 및 부정한 방법의 인출이 불가하게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폭발적인 수입이 창출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인해 금융권이나 기업 또는 대부업자 등에서 투자금이 없거나 심지어 신용상의 불량일 경우에도 금융기간이나 대부업자 또는 개인이라도 원하는 사업자들에게 가상 계좌에 입금해주어도 현금은 금융권에 예치해 있고, 디지털 화폐는 운영사와 금융권에서 각각 관리하면서도 대출해준 기관에서는 안전하게 일정한 금액의 이자를 받을 수 있으므로 손쉽게 투자 사업에 참여할 수 있으며 고수익 창출이 가능해질 것이다.
주식투자금 20%와 후순위 사업자의 손실금 변제 보존금 20% 등 20%는 주문자 생산 온/오프라인 매장운영 연구개발, 혁신사업투자 등에 사용하여 개발 생산한 재품을 저마진 직거래와 각종 공산품 농수산물 직거래 유통에서 10~60%까지 할인해 줄 수 있다. 20%는 특화사업 등 각종 투자 및 수익자 사업자의 공익 사업에 투자할 수 있다.
이때 판매되는 제품들은 회원 간에 예약구매, 공동구매, 맞춤형구매 등 새로운 플렛폼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업자와 회원 간에 안전하고 편리하면서도 현금과 동전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금융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지만, 투자한 사업자들의 고소득 창출은 물론 국가 및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할수 있다.
도 2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관리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디지털 화폐 발행부(310), 지불 처리부(320), 투자 처리부(330)를 포함한다.
디지털 화폐 발행부(310)는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발행한다.
그리고 지불 처리부(320)는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와 협의된 소정의 비율에 따라 수당, 주식 배분, 단계별 광고비용, 및 교육 관리 수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목으로 지불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업자(판매자)가 투자한 금액을 운영함에 있어서, 시스템을 통해 20%는 주식 배정을 해주고, 20%는 본인의 통장으로 입금한다. 그리고 20%를 지불하고 20%는 직급별 교육관리 수당 등으로 지급한다.
또한 5%는 본사 운영 및 지사, 지부 지회 등의 운영비로 사용하며 5%는 적립 광고비를 포함하여 총 80%를 지급한다. 20%는 후순위 사업자들의 변제금으로 사용하기 위한 예비금으로 편성해 놓을 수 있다.
또한 주식 배정분 20%와 변제예비금 20%는 40% 중으로 변제금 반환에도 사용하면서 주문 생산, 혁신투자, 연구개발, 온오프라인 유통, 공동구매 직거래등 주식 각종 특화 사업에 투자하며,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불하게 되고, 후순위 사업자 보상 및 뜻이 같지 않은 사업자의 반환금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1~10까지의 등급을 두어 온/오프라인의 할인과 각종 수당 지급에서의 신용등급에 따라 자동 지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5등급은 할인과 수당을 차등지급 받을 수 있다.
광고 등으로 1명만을 추천했으면 5%씩 새로운 개정이 발생 때마다 계속해서 받을 수 있다.
추천 후원과 무관하게 멀티리텔(다단계)마케팅에서 7열 5종대로 폭넓게 적용했을시
7*7=49
49*7=343
343*7=2,401
2,401*7=16,807
계 19,607명의 인원으로부터 60불씩의 수당을 받는데 이것을 누적으로 1천불이 되면 새로운 계정으로 재투자한다. 이때마다 전자화폐 200불 주식배당금 200불 예비금 200, 본인이 받는 400불이다. 이때까지 받는 금액은 총 411,400불이며 새로운 개정에서도 인원이 불어나는 대로 계속해서 소득이 발생하며 인원마다 찬 코드는 삭제된다.
모든 혜택을 100% 받을 수 있고, 6~10등급 일대도 광고 등은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아도 산하에 20명의 투자자가 발생시 120불에 소득을 올릴 수 있으며, 1명을 광고 할 때 마다 5% 50불의 소득을 무한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공동관리 수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별도 종대로 투자 순으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을 5열로 규정하고 5종대로를 5로 규정했을 시 5X5=25, 25X5=125, 125X5=625, 625X5=3,125, 계 3,905명으로부터 100불씩의 공동관리비를 게된다. 이 경우 총 수입 390,500불의 수익을 낼 수 있다.
이때 직급 수당 지급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상으로 라인과 단계의 선택은 운영 회사에서 하며 투자 금액을 기준으로 사업자(투자자)에게 주식 20%, 디지털 화폐20%, 후순위 사업자 지원 및 변제배상 예비금 20%로 총 60%와 각종 관리수당 35%를 지불하게 되며, 5%는 회사의 운영비, 관리비 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운영 회사의 방침은 사업자 중심으로 하며 선사업자들의 무임금 공동 운영으로 수당과 수수료 지급 외에는 봉사정신으로 공익을 위해 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비율로 100% 사용하며 공익을 위한 무보수 사업자 중심의 운영위원회가 중심으로 회사운영에서 5%가 부족했을 시 주식배당 예비금과 후순위 사업자 예비 비용 40%로 주문 생산 연구개발, 혁신 사업투자 온/오프라인 매장 설치 운영에서의 이익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시스템의 하나로, 2천불 투자시, 전자화폐 1천불은 본인계정 은행의 예치하여 전자화폐를 투자자에게 발행하며 1천불의 주식의 주주권을 부여함으로 실질적으로 100%를 지불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100%를 지불하고 1천불의 현금이 남는 것은 전술한 비율대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 보유금액 정보 및 지불 처리부(320)에서의 지불 처리 내역 정보를 제공한다.
투자 처리부(330)는 디지털 화폐 발행부(310)에서 발행된 디지털 화폐 또는 상기 주식 배분에 의해 발행된 주식의 적어도 일부를 투자금으로 지정하고, 투자에 따른 투자수익이 발생하면,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로 입금받는다. 이에 따라 투자자(고객)에게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투자 처리부(330)에서의 투자에 따른 투자 수익 발생 내용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이나 사용자 단말기에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온ㆍ오프라인 상으로 세계 각국 어디서나 사용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1) 3라인 10단계인 경우
광고 및 단계별 지급기준은 35% 지급하며 직접 광고자 지급금 5% 단계별 3%씩 10단계까지 지급한다.
3, 9, 27, 81, 243, 729, 2187, 6561, 19683, 59049까지 총 82011명으로부터 관리수당을 받을 수 있다.
(실시예 2) 5라인 8단계인 경우
5, 25, 125, 625, 3125, 15625, 78125, 390625 총 488280명으로부터 총 35%중 광고비 3%, 단계별 4%씩 각 단계별 관리 수수료를 받는다.
(실시예 3) 7라인 5단계의 경우,
7, 49, 343, 2401, 16807 총 19607명의 사업자로부터 총 35%중 광고비 5%, 단계별 6% 관리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과같이 폭넓은 라인과 단계에서 발생한 소득을 사업자가 바로 수령하지 않고 세금을 공제하고 투자금액 대비 100%의 소득이 발생할 때마다 사업자는 새로운 계정으로 재투자 하게 되며, 투자할 때마다 소득이 발생한다.
이때마다 주식 배정 20%와 전자화폐 20%를 투자한 사업자에게 지불하고 20%의 예비금을 제외한 각종 수당 누적 세금공제, 환불 때마다 새로운 계정의 본인이름 1, 2, 3순으로 개정된 라인과 단계에서 계속해서 수당이 발생되며 받은 코드는 삭제되고 새로 발생한 수많은 코드에서 소득이 발생하는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혁신사업투자 영구개발, 매장운영, 온ㆍ오프라인 운용으로 창출된 수입금은 주식을 투자한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지급될 수 있다.
또한 투자 처리부(330)는, 상기 발생된 투자 수익을 재투자하면, 재투자에 따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정마다 투자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투자한 사업자들은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의 운영에서 일정금액의 수입이 발생하면 수입금액의 100%가 발생했을 시 이를 계속 투자하여 주식으로 20%와 디지털 화폐 20%를 받고 반복해서 재투자 하는 것으로 재투자시마다 새로운 계정이 형성되는 것으로 계정마다 수익이 발생한다.
즉,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시스템 운영에서 일정금액의 수입이 발생하면 수입금액의 20~25%를 재투자하는 것으로 재투자시마다 새로운 계정이 형성되는 것으로 개정마다 수익이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1천불의 수익이 발생시마다 누적 재투자를 했을 때 7열 5단계시 1050여개의 계정이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계정에서 발생되는 소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자 처리부(330)는 후원 방문 판매 방식의 경우 추천 한도를 M 단계, 단계별 한도 인원을 N명으로 설정할 경우에 1단계로 N명을 추천한 후에 순차적으로 하위 단계 구성원으로 추천하여 추가시키며, M단계까지 총 NM 명을 추천한 후에는 총 NM 명이 납입하는 공동관리비를 투자 수익금으로 발생킨다.
그리고 투차 처리부(330)는 총 NM 명이 납입하는 공동관리비를 투자 수익금으로 발생시킨 후에 재투자에 따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한다.
일 예로 후원 방문 판매에 대한 실시에서 추천을 5(N)명 한도로, 5(M)단계까지 설정하고, 전자화폐 20% 기준으로 했을 때, 직접 추천 35%, 2대부터 5대까지 각각 6%씩 24% 본사지사지부 등 운영비를 2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한도 인원인 5명 추천 후에 하위 단계 구성원으로 추천한다.
일정 인원(한도 인명 5명) 추천 후 하부 라인에 재구매하는 것으로 추천시마다 1천불에 대한 35% 즉 350불의 수당을 받게 된다. 그리고 직급수당 2, 3, 4, 5대까지 6%인 60불씩 직급수당을 받는다. 일 예로 전자화폐 20%, 추천 35%, 직급수당 24%, 회사운영비 21% 비율로 지급 및 운영한다.
5대 3900명까지 발급되었던 코드는 삭제되고 새로운 계정에서 소득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3,905명의 회원으로부터 100불씩 총 390,500불의 수익을 수령한 계정은 소멸되고 새로운 계정에서도 위와 같은 수입이 늘어나는 계정마다 위와 같은 수입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 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계정에서 발생되는 소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멀티레벨(다단계) 마케팅(multilevel marketing)은 지금까지 2~9라인, 10~20 단계로 일률적으로나 변형적인 방법으로 운영되어왔다. 따라서 후순위 사업자는 많은 수익을 얻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관리 서비스 제공장치는 선사업자가 후순위 사업자에게 반복 투자하는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후순위 사업자도 수당을 받을 수 있으며 혜택과 수익을 높일 수 있다.
일예로 디지털 화폐 20%, 주식 배정 20%, 후순위 사업자 및 온/오프라인 매장 운영 20%, 추천 5%, 후원 1~5단계까지 6%씩 35%를 지불하고, 5%는 본사의 운영비로 사용한다. 라인과 단계를 폭넓게 변경이 가능하다.
추천은 별개로 무한대로 5%씩 받고, 후원은 1대부터 5대까지 6%씩 받는데 20명의 후원이 발생해서 120%의 소득이 발생했을 시마다 새로운 계정이 생긴다. (....21 ....41....61...81...) 1대에서 5대까지 총 인원 16807명 후원수당이 발생했을시 코드가 삭제되고 새로운 계정마다 별도의 소득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투자 처리부(330)는, 멀티레벨 마케팅 방식에서 P열 R종대 형태인 경우에, PR 명으로부터 수당을 투자 수익으로 받고 누적 투자 수익이 소정의 금액 이상이면 재투자에 따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한다.
도 4는 7열 5종대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인은 총 16,807명의 인원으로부터 60불씩의 수당을 받는데 이것을 누적으로 1천불이 되면 새로운 계정으로 재투자 한다. 이때마다 전자화폐 200불 주식배당금 200불 예비금 200. 본인이 받는 400불이다. 이때까지 받는 금액은 총 411,400불이며 새로운 개정에서도 인원이 불어나는 대로 계속해서 소득이 발생하며 인원마다 찬 코드는 삭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번호는 국가별 코드번호, 금융 기관별 코드번호, 및 개인별 코드번호를 포함한다.
표1은 국가별 코드번호와 금융 기관별코드번호, 개인별 코드번호를 나타낸 표이다.
국가코드번호 금융 기관 코드번호 개인별 계좌번호
001
.
.
.


국책은행 001
기타금융 기관 002~999


00 0000 0000
195
.
.
.


국책은행 001
기타금융 기관 002~999


00 0000 0000
211
.
.
.


국책은행 001
기타금융 기관 002~999


00 0000 0000
245
.
.
.


국책은행 001
기타금융 기관 002~999


00 0000 0000
국가별 코드번호(001~002) 순으로 3자리수 지정하며 금융 기관은 (001~002) 순으로 3자리나 기업이나 법인 개인 사업자 등 모든 코드와 계좌번호는 16자리로 국가3자리, 금융3자리, 기업이나 개인 10개 자리로 구성될 수 있다. 사업자(투자자)의 자격은 출생신고만 된 사람은 누구나 자격이 있으며 평생 전세계 금융시장에 사용 코드번호는 단일 코드를 사용하여 1~10% 등급을 부여해서 국가와 회사 기여도 등으로 평가하여 일정 금액씩의 수익금을 차등 지급할 수 있다.
또한 국가별, 은행별, 개인별 각각의 코드별로 1개씩을 부여하여 세계 어디서나 ATM기 에서 현금인출도 가능하며 체크기에서 결제도 가능해진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디지털 화폐 발행부가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발행한다(S330).
그리고 지불 처리부가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와 협의된 소정의 비율에 따라 수당, 주식 배분, 단계별 광고비용, 및 교육 관리 수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목으로 지불 처리를 한다(S310).
이때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 보유금액 정보 및 상기 지불 처리부에서의 지불처리 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양상에 있어서, 투자 처리부가 발행된 디지털 화폐 또는 상기 주식 배분에 의해 발행된 주식의 적어도 일부를 투자금으로 지정하고(S320), 투자에 따른 투자수익이 발생하면,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로 입금받는다(S330).
이후에 투자 처리부가 발생된 투자 수익을 재투자하면(S340), 재투자에 따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정마다 투자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S35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번호는 국가별 코드번호, 금융 기관별 코드번호, 및 개인별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금융 기관
30 : 운영회사 서버 310 : 디지털 화폐 발행부
300 :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자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320 : 지불 처리부 330 : 투자 처리부

Claims (12)

  1.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 발행부; 및
    상기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와 협의된 소정의 비율에 따라 수당, 주식 배분, 단계별 광고비용, 및 교육 관리 수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목으로 지불 처리하는 지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 보유금액 정보 및 상기 지불 처리부에서의 지불처리 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된 디지털 화폐 또는 상기 주식 배분에 의해 발행된 주식의 적어도 일부를 투자금으로 지정하고, 투자에 따른 투자수익이 발생하면,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로 입금받는 투자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처리부는, 상기 발생된 투자 수익을 재투자하면, 재투자에 따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정마다 투자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처리부는,
    후원 방문 판매 방식의 경우 추천 한도를 M 단계, 단계별 한도 인원을 N명으로 설정할 경우에 1단계로 N명을 추천한 후에 순차적으로 하위 단계 구성원으로 추천하여 추가시키며, M단계까지 총 NM 명을 추천한 후에는 총 NM 명이 납입하는 공동관리비를 투자 수익금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처리부는
    총 NM 명이 납입하는 공동 관리비를 투자 수익금으로 발생시킨 후에 재투자에 따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처리부는,
    멀티레벨 마케팅 방식에서 P열 R종대 형태인 경우에, PR 명으로부터 수당을 투자 수익으로 받고 누적 투자 수익이 소정의 금액 이상이면 재투자에 따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번호는 국가별 코드번호, 금융 기관별 코드번호, 및 개인별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9.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화폐 발행부가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디지털 화폐로 전환하여 발행하는 단계; 및
    지불 처리부가 상기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에 입금 상태인 사용자 소유액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와 협의된 소정의 비율에 따라 수당, 주식 배분, 단계별 광고비용, 및 교육 관리 수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목으로 지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 보유금액 정보 및 상기 지불 처리부에서의 지불처리 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투자 처리부가 상기 발행된 디지털 화폐 또는 상기 주식 배분에 의해 발행된 주식의 적어도 일부를 투자금으로 지정하고, 투자에 따른 투자수익이 발생하면, 사용자 명의의 금융 기관 계좌로 입금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처리부가 상기 발생된 투자 수익을 재투자하면, 재투자에 따른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정마다 투자 수익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00035002A 2020-03-23 2020-03-23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430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02A KR102430287B1 (ko) 2020-03-23 2020-03-23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02A KR102430287B1 (ko) 2020-03-23 2020-03-23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576A true KR20210118576A (ko) 2021-10-01
KR102430287B1 KR102430287B1 (ko) 2022-08-08

Family

ID=7811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002A KR102430287B1 (ko) 2020-03-23 2020-03-23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28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704A (ko) * 2006-05-26 2007-11-29 박종갑 다단계 판매를 통한 전자화폐 운용방법
KR20110022553A (ko) 2009-08-27 2011-03-07 유진열 가상 화살을 이용한 스크린 체험장치
KR101846024B1 (ko) * 2016-01-25 2018-05-18 이기섭 포인트 통합 운용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45822A (ko) 2017-10-24 2019-05-03 (주)코인큐 국가별 전자화폐 시세차를 이용하는 전자화폐송금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0218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에스브이 가상 화폐 투자 및 분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69011B1 (ko) * 2018-06-08 2019-08-13 이상열 디지털 화폐, 디지털 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및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그 방법
KR20190111205A (ko) 2018-03-22 2019-10-0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전력 거래를 위한 전자화폐 발행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1316A (ko) * 2018-07-24 2020-02-03 농협은행(주) 비용 결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704A (ko) * 2006-05-26 2007-11-29 박종갑 다단계 판매를 통한 전자화폐 운용방법
KR20110022553A (ko) 2009-08-27 2011-03-07 유진열 가상 화살을 이용한 스크린 체험장치
KR101846024B1 (ko) * 2016-01-25 2018-05-18 이기섭 포인트 통합 운용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45822A (ko) 2017-10-24 2019-05-03 (주)코인큐 국가별 전자화폐 시세차를 이용하는 전자화폐송금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0218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에스브이 가상 화폐 투자 및 분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1205A (ko) 2018-03-22 2019-10-0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전력 거래를 위한 전자화폐 발행시스템 및 방법
KR101969011B1 (ko) * 2018-06-08 2019-08-13 이상열 디지털 화폐, 디지털 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및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그 방법
KR20200011316A (ko) * 2018-07-24 2020-02-03 농협은행(주) 비용 결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287B1 (ko) 202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2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KR101903963B1 (ko) 저축 특징을 갖는 선불 카드
US20070118449A1 (en) Trust-linked debit card technology
US20020116214A1 (en) Automated fundraising accounting system
KR101953162B1 (ko) 카드 매출 채권 기반 가상 화폐 발행 방법 및 카드 매출 채권 기반 가상 화폐 발행 장치
Lumpkin et al. Banks, digital banking initiatives and the financial safety net: theory and analytical framework
CN107636717A (zh) 提供在线定金、抵押物、债券和/或担保品的自动化担保的融资
JP704263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仮想通貨取引システム
KR102129949B1 (ko) 신용거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관련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코드
WO2020039602A1 (ja) 電子的な通貨発行システム、電子通貨発行方法及び記憶媒体
CN107077665A (zh) 用于电子交易的方法和系统
KR20210008687A (ko)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200010764A (ko) 디지털화폐의 발행 및 유통 관리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을 이용한 국가간 디지털화폐 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9011B1 (ko) 디지털 화폐, 디지털 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및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그 방법
CN110874795A (zh) 不动产商品相关的金融系统及其管理方法
KR102430287B1 (ko)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Morriss et al. Private dispute resolution in the card context: structure, reputation, and incentives
Wiener et al. Chomping at the bit: US federal income taxation of bitcoin transactions
Fixler Cyberfinance: Regulating Banking on the Internet
CN111179072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债权流转方法及系统
Bangayongo The Finality of Payment in a Tripartite Credit Card
Mishra The development of e-payment and challenges in Nepal
Brunnermeier et al. Monetary and Economic Department
JP2024501883A (ja) デジタル通貨を使用して取引を円滑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30076390A (ko) 디지털 화폐 발행 의한 수익 산출 및 운용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