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417A -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417A
KR20210118417A KR1020217025593A KR20217025593A KR20210118417A KR 20210118417 A KR20210118417 A KR 20210118417A KR 1020217025593 A KR1020217025593 A KR 1020217025593A KR 20217025593 A KR20217025593 A KR 20217025593A KR 20210118417 A KR20210118417 A KR 20210118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housing
distal end
fluid
deli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단 칼 버콜즈
제프리 씨 오브라이언
다니엘 블랜차드
다니엘 하우슬리
마티 스타우트
에릭 린데쿠겔
Original Assignee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1011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92Blood sampling from a fluid line external to a patient, such as a catheter line, combined with an infusion line; blood sampling from indwelling needle sets, e.g. sealable ports, luer couplings,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 A61M2025/0006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which can be secured against axial movement, e.g. by using a locking cu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61M2025/0076Unidirectional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75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telescopic features, interengaging nestable members movable in relations to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 조립체 및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는 카테터 어댑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주 카테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는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하우징 원위 단부, 하우징 근위 단부, 및 하우징 원위 단부 및 하우징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하우징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 카테터는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부 카테터는 하우징 근위 단부에 결합된 유체 전달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압력에 응답하여 카테터 조립체를 통해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카테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주입 요법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테터는 정상 생리 식염수, 다양한 약제 및 완전 비경구 영양 수액(total parenteral nutrition)과 같은 유체를 환자 내에 주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카테터는 또한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의 유형의 카테터는 오버-더-니들(over-the-needle) 말초 정맥내("IV") 카테터이다. 그 명칭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오버-더-니들 카테터는 날카로운 원위 팁을 갖는 삽입기 바늘(introducer needle) 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카테터 및 삽입기 바늘은, 바늘의 사면이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격하여 위를 향하는 상태로 삽입기 바늘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을 넘어 연장하도록 조립될 수도 있다. 카테터와 삽입기 바늘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 내로 얕은 각도로 삽입된다.
혈관 내의 삽입기 바늘 및/또는 카테터의 적절한 배치를 검증하기 위해, 임상의는 일반적으로 카테터 조립체의 플래시백 챔버(flashback chamber) 내에 혈액의 "플래시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일단 바늘의 배치가 확인되면, 임상의는 혈관 구조 내의 유동을 일시적으로 폐색하고 바늘을 제거하여, 향후 혈액 채취 또는 유체 주입을 위해 카테터를 제자리에 남겨둘 수도 있다.
말초 IV 카테터를 사용하는 혈액 채취는 다수의 이유로, 특히 카테터의 내재 시간이 하루 초과일 때, 어려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가 장시간 기간 동안 환자 내에 삽입 방치될 때, 카테터 또는 정맥이 좁아지고, 붕괴되고, 꼬이고, 파편(예를 들어, 섬유소 또는 혈소판 응괴)에 의한 폐색, 및 혈관 구조로의 카테터의 팁의 위치설정에 더 민감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카테터는 카테터 배치시에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해 종종 사용될 수도 있지만, 카테터 내재 기간 동안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해 훨씬 덜 빈번히 사용된다. 따라서, 혈액 샘플이 요구될 때, 부가의 바늘 찌름이 혈액 수집을 위한 정맥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 이는 환자에게 고통스럽고 더 높은 재료 비용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부가의 바늘 찌름 없이 환자의 혈관 구조 내에, 예를 들어 카테터 및 프로브와 같은 혈액 샘플 기구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카테터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주제는 임의의 단점을 해결하거나 전술된 것과 같은 환경에서만 동작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배경기술 섹션은 단지 여기에 설명된 몇몇 구현예가 실시될 수도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제공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카테터 조립체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 내로 부 카테터를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관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및 카테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될 때, 용어 "원위"는 임상의로부터 더 멀리 있는 카테터 시스템 또는 그 구성요소의 부분을 칭하고, 용어 "근위"는 임상의에 더 가깝게 있는 카테터 시스템 또는 그 구성요소의 부분을 칭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는 카테터 어댑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에 고정될 수도 있고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주 카테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는 주 카테터 원위 단부, 주 카테터 근위 단부, 및 주 카테터 원위 단부 및 주 카테터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주 카테터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는 하우징 원위 단부, 하우징 근위 단부, 및 하우징 원위 단부 및 하우징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하우징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원위 단부는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는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는 부 카테터 원위 단부, 부 카테터 근위 단부, 및 부 카테터 원위 단부 및 부 카테터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부 카테터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압력에 응답하여 전진 위치로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부 카테터 원위 단부는 주 카테터 원위 단부에 대해 원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원위 단부는 원위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하우징 근위 단부는 근위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는 수형 루어 어댑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근위 커넥터는 암형 루어 어댑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는 팽창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팽창부의 직경은 카테터 시스템의 부분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의 부분은 부 카테터가 전진 위치에 배치될 때 팽창부와 접촉할 수도 있고 부 카테터의 원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의 부분은 하우징 루멘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 시스템의 부분은 하우징 원위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는 수형 루어 어댑터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일 수도 있는 연장 튜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램프는 연장 튜브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램프는 연장 튜브를 따라 조정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램프는 클램프의 장소에서 연장 튜브의 내경을 감소시켜, 부 카테터의 원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제1 유체 경로 및 제2 유체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 내에서, 제1 유체 경로는 제2 유체 경로로부터 분리되어 그와 유체 연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는 측면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경로 및/또는 제2 유체 경로는 측면 포트 및 주 카테터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경로는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경로는 부 카테터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고, 제1 유체 경로는 부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는 제1 유체 경로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로 전달될 수도 있고, 제2 유체는 제2 유체 경로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로 전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는 제1 유체 경로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로 전달될 수도 있고, 동시에 제2 유체는 제2 유체 경로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로 전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약제는 제1 유체 경로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에 전달될 수도 있고 플러시 또는 생리 식염수는 제2 유체 경로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에 전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약제는 제2 유체 경로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에 전달될 수도 있고 플러시 또는 생리 식염수는 제1 유체 경로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를 넘어 카테터 조립체의 삽입 부위로부터 더 멀리 부 카테터의 연장은 더 많은 혈류를 갖는 혈관 구조의 더 건강한 부분으로의 약제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특히 약제가 가혹할 때 유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는 원위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경로 내의 유체가 원위 개구와 부 카테터 사이에서 원위측으로 유동할 수도 있도록 부 카테터의 외주가 원위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는 정상 생리학적 컨디션 하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된 슬릿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는 하나 이상의 확산기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의 원위 개구는 부 카테터의 외주와 접촉할 수도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는, 정상 생리학적 압력 하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슬릿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는 하나 이상의 확산기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는 연성 또는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 또는 가요성 재료 및/또는 부 카테터의 전진 중의 플러싱은 혈관 구조에 대한 손상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환자의 혈관 구조 내의 부 카테터의 원활한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의 전진 중의 플러싱은 제1 유체 경로 및/또는 제2 유체 경로를 통해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의 하우징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는 투명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의 외부면은 부 카테터 원위 단부의 위치를 임상의에게 표시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마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환자의 혈관 구조 내에 내재되어 삽입될 수도 있는 카테터 조립체로의 부 카테터의 전달 방법은 카테터 조립체에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하우징에 결합될 수도 있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유체는 하우징 및 카테터 조립체를 통해 원위측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는 카테터 조립체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부 카테터를 전진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는 것은 부 카테터가 전진함에 따라 카테터 조립체 및/또는 혈관 구조의 플러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하우징을 프라이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활성화 전에 프라이밍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카테터 조립체로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결합 전에 프라이밍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하우징 근위 단부로부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결합 해제하는 단계, 및 하우징 근위 단부에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혈액 샘플은 부 카테터를 통해 혈액 수집 디바이스 내에서 수집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하우징 근위 단부로부터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결합 해제하는 단계, 및 하우징 근위 단부에 다른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른 혈액 샘플은 부 카테터를 통해 다른 혈액 수집 디바이스 내에서 수집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환자의 혈관 구조로부터 부 카테터를 회수하지 않고 다수의 혈액 샘플이 환자로부터 수집될 수도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배열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는 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도 있고, 그와 같이 청구되지 않는 한, 구조적 변경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의 개념으로 취해져서는 안된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 부가의 특이성 및 상세를 갖고 설명되고 예시될 것이다.
도 1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전진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부 카테터를 도시하고 있는,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진 위치에 있는 부 카테터를 도시하고 있는,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전진 위치에 있는 부 카테터 및 예시적인 클램프를 도시하고 있는,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전진 위치에 있는 부 카테터 및 도 2a의 클램프를 도시하고 있는,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는, 예시적인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후 예시적인 주사기를 도시하고 있는, 도 3a의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에 결합된 예시적인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는, 도 3a의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카테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전진 위치에 있는 부 카테터를 도시하고 있는, 도 3a의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전진 위치에 있는 부 카테터를 도시하고 있는, 도 3a의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확산기 구멍 및 부 카테터를 갖는 예시적인 주 카테터를 도시하고 있는, 도 3a의 카테터 시스템의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6a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주 카테터의 원위 개구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부 카테터를 도시하고 있는, 도 3a의 카테터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슬릿을 도시하고 있는, 도 3a의 카테터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슬릿을 도시하고 있는, 도 8a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에 응답하여 굴곡된 부 카테터를 도시하고 있는, 도 3a의 카테터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9a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부 카테터의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부 카테터의 다른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0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부 카테터의 다른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0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부 카테터의 다른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0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부 카테터의 다른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원위 커넥터의 예시적인 홈에 근접한 부 카테터의 예시적인 팽창부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 상에 배치된 예시적인 홈을 도시하고 있는, 도 11a의 팽창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2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부 카테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2a의 부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이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는 카테터 조립체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 내로 부 카테터(12)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는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하우징 원위 단부(16)를 포함할 수도 있는 하우징(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은 하우징 근위 단부(18) 및 하우징 원위 단부(16) 및 하우징 근위 단부(18)를 통해 연장하는 하우징 루멘(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하우징(14)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하우징 루멘(20) 내에서 느슨하거나 미부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 부 카테터 근위 단부(24), 및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 및 부 카테터 근위 단부(24)를 통해 연장하는 부 카테터 루멘(2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하우징 근위 단부(18)에 결합될 수도 있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압력에 응답하여 전진 위치로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은 투명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의 외부면은 카테터 조립체 내의 또는 카테터 조립체의 주 카테터 너머의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의 위치를 임상의에게 표시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마킹(27)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활성화 및 전진 위치로의 부 카테터(12)의 원위 이동 전의 부 카테터(12)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루멘(20)은 평활할 수도 있고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원위측으로 이동할 때 부 카테터(12)를 위한 어떠한 걸쇠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루멘(20)은 비-사행형(non-tortuous)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내재 카테터 조립체의 주 카테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주 카테터가 더 이상 기능하지 않거나 예를 들어 주 카테터의 팁 상에 축적된 파편 및/또는 주 카테터의 붕괴로 인해 안전하지 않을 때, 사용자가 혈액 샘플을 채혈하거나 부 카테터(12)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주 카테터가 덜 빈번히 교체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가 경험하는 바늘 찌름의 수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제1 유체 경로에 추가하여 제2 유체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유체 경로는 부 카테터(12)의 외부면과 주 카테터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연성 또는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가 구성되는 재료 및/또는 부 카테터(12)의 전진 중의 플러싱은 혈관 구조에 대한 손상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환자의 혈관 구조 내의 부 카테터(12)의 원활한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의 전진 중의 플러싱은 제1 유체 경로 및/또는 제2 유체 경로를 통해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실리콘, 폴리이미드, 라텍스, 폴리우레탄, 나일론,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의 외부면은 원위 방향으로 부 카테터(12)의 원활한 전진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원위 단부(16)는 원위 커넥터(28)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하우징 근위 단부(18)는 근위 커넥터(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28)는 슬립 또는 스레드 암형 루어 어댑터 또는 슬립 또는 스레드 수형 루어 어댑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근위 커넥터(30)는 슬립 또는 스레드 암형 루어 어댑터 또는 슬립 또는 스레드 수형 루어 어댑터 또는 무바늘 커넥터를 포함하여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팽창부(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팽창부(32)의 직경은 하우징 루멘(20)의 부분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팽창부(32)는 테이퍼질 수도 있고 하우징 루멘(20)의 부분에 대해 죄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루멘(20)의 부분은 부 카테터(12)가 전진 위치에 배치될 때 팽창부(32)와 접촉할 수도 있고 부 카테터(12)의 원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루멘(20)의 부분은 예를 들어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원위 단부(16)에 배치될 수도 있는 수형 루어 어댑터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c 및 도 1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는 부 카테터(12)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사기 또는 다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유체가 유체 전달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될 수도 있고 하우징(14)을 통해 원위측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전진 위치로의 부 카테터(12)의 원위 이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한 제1 양의 유체의 투여는 부 카테터(12)를 부분적으로 전진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한 부가의 양의 유체의 투여는 부 카테터(12)를 전진 위치로 전진시킬 수도 있다.
이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일 수도 있는 연장 튜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램프(34)는 연장 튜브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램프(34)는 연장 튜브를 따라 조정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램프(34)는 클램프(34)의 장소에서 연장 튜브의 내경을 감소시켜, 부 카테터(12)의 원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36)은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 및 카테터 조립체(3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38)는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42),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44), 및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42) 및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44)를 통해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 루멘(46)을 포함할 수도 있는 카테터 어댑터(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38)는, 카테터 어댑터(4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42)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주 카테터(4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48)는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 주 카테터 근위 단부(52), 및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 및 주 카테터 근위 단부(52)를 통해 연장하는 주 카테터 루멘(5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36)은 바늘 허브 및 바늘 허브로부터 주 카테터(48)를 통해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삽입기 바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 및 삽입기 바늘은 전진 위치로 부 카테터(12)의 이동 전에 제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원위 단부(16)는 다양한 방식 및 구성으로 카테터 조립체(38)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원위 단부(16)는 카테터 조립체(38)에 결합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원위 단부(16)는 카테터 어댑터(40)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는 카테터 조립체(38)의 연장 세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36)은 다양한 구성으로 배열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연장 튜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 세트는 연장 튜브(53) 및/또는 연장 튜브(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53)는 카테터 어댑터(40)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 세트는 Y-커넥터 또는 T-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는 커넥터(57)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55)는 커넥터(57)의 포트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원위 단부(16)는 커넥터(57)의 다른 포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무바늘 커넥터(59)는 카테터 시스템(36) 내의 다양한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원위 단부(16)는 예를 들어, 카테터 어댑터(40) 또는 커넥터(57)에 결합될 수도 있는 무바늘 커넥터(59)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무바늘 커넥터(59)는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장 세트의 근위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가 무바늘 커넥터(59) 또는 연장 튜브(55)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유체 경로(56) 및 제2 유체 경로(5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는 제1 유체 경로(56)를 통해 환자에게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경로(56)는 카테터 시스템 내에서 제2 유체 경로(58)와 분리되어 그와 유체 연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40)는 측면 포트(4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경로(56) 및/또는 제2 유체 경로(58)는 측면 포트(41) 및 주 카테터(48)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경로(58)는 부 카테터(12)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고, 제1 유체 경로(56)는 부 카테터(12)를 통해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경로(56)의 적어도 일부는 부 카테터(12)와 주 카테터(48) 사이의 간극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간극은 환형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경로(58)는 평활할 수도 있고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원위측으로 이동할 때 부 카테터(12)를 위한 어떠한 걸쇠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는 제1 유체 경로(56)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로 전달될 수도 있고, 제2 유체는 제2 유체 경로(58)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로 전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는 제1 유체 경로(56)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로 전달될 수도 있고, 동시에 제2 유체는 제2 유체 경로(58)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로 전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약제는 제1 유체 경로(56)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에 전달될 수도 있고 플러시 또는 생리 식염수는 제2 유체 경로(58)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에 전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약제는 제2 유체 경로(58)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에 전달될 수도 있고 플러시 또는 생리 식염수는 제1 유체 경로(56)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48)를 넘어 카테터 조립체(38)의 삽입 부위로부터 더 멀리 부 카테터(12)의 연장은 더 많은 혈류를 갖는 혈관 구조의 더 건강한 부분으로의 약제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특히 약제가 가혹할 때 유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의 길이는 다양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는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에 대해 원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진 위치에 배치된 부 카테터(12)는 카테터 조립체(38)를 말초 정맥내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중간선 카테터 조립체로 변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는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42)의 원위측으로 약 3 인치 이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는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42)의 원위측으로 약 2 내지 약 4 인치 및/또는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의 원위측으로 약 0 내지 약 3 인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팽창부(32)의 직경은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를 포함할 수도 있는 카테터 시스템(36)의 부분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36)의 부분은 부 카테터(12)가 전진 위치에 배치될 때 팽창부(32)와 접촉할 수도 있고 부 카테터(12)의 원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36)의 부분은 예를 들어, 연장 세트, 커넥터, 무바늘 커넥터(59), 카테터 어댑터(40), 또는 주 카테터(48) 내와 같은, 카테터 시스템(36)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60)는 하우징(14)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60)는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활성화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60)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유체는 하우징(14) 및 카테터 조립체(38)를 통해 원위측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는 카테터 조립체(38)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부 카테터(12)를 전진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60)를 활성화하는 것은 부 카테터(12)가 전진함에 따라 카테터 조립체(38) 및/또는 혈관 구조의 플러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60)는 유체로 미리 충전될 수도 있는 주사기 또는 다른 적합한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은 유체 전달 디바이스(60)의 활성화 전에 프라이밍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은 카테터 조립체(38)로의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의 결합 전에 프라이밍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60)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60)가 활성화되고 부 카테터(12)가 전진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하우징 근위 단부(18)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혈액 수집 디바이스(63)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60)가 하우징 근위 단부(18)로부터 결합 해제된 후에 하우징 근위 단부(18)에 결합될 수도 있고, 혈액 샘플은 부 카테터(12)를 통해 혈액 수집 디바이스 내에서 수집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디바이스(63)는 진공 튜브, 시험관, 주사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디바이스(63)는 하우징 근위 단부(18)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도 있고, 혈액 수집 디바이스(63)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는 다른 혈액 수집 디바이스가 하우징 근위 단부(18)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른 혈액 샘플은 부 카테터(12)를 통해 다른 혈액 수집 디바이스 내에서 수집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환자의 혈관 구조로부터 부 카테터(12)를 회수하지 않고 다수의 혈액 샘플이 환자로부터 수집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는 부 카테터(12)의 장기간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부 카테터(12)를 통해 혈액 샘플을 수집 후에 주 카테터(48) 내에 위치되어 유지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주 카테터(38)가 환자에게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혈관 액세스로 인해 제거될 때까지 주 카테터(48) 내에 위치되어 유지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는 임의의 적합한 카테터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는 카테터 조립체(61)에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는 측면 포트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튜브 없이 일체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36)은 부 카테터(12)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는 단일 유체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원위 단부(16)는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4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는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44)에 결합된 T-커넥터(65)를 포함할 수도 있는 카테터 조립체(6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62)는 제1 유체 경로(56) 및 제2 유체 경로(5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경로(56)는 카테터 조립체(62) 내에서 제2 유체 경로(58)와 분리되어 그와 유체 연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10)는 주 카테터(48)의 종축과 정렬될 수도 있는 T-커넥터(65)의 제1 포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경로(56)는 T-커넥터(65)의 다른 포트(67)를 통해 그리고 주 카테터(48)와 부 카테터(12)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체 경로(58)는 부 카테터(12)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이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는 원위 개구(6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는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를 통해 천공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확산기 구멍(6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산기 구멍(66)은 각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원위 개구(64)는 부 카테터(12)의 외주의 전부 또는 일부와 접촉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산기 구멍(66)은 유체가 환자의 혈관 구조 내로 제1 유체 경로(56)를 빠져나가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산기 구멍(66)은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 및/또는 주 카테터(48)를 따른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체 경로(56) 내의 유체가 원위 개구(64) 및 부 카테터(12) 사이에서 원위측으로 유동할 수도 있도록 부 카테터(12)의 외주가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의 원위 개구(64)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이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의 원위 개구(64)는 부 카테터(12)의 외주와 접촉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는 폐쇄될 수도 있고, 정상 생리학적 압력 하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슬릿(68)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압력차에 응답하여, 슬릿(68)이 개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68)은 주 카테터(48)를 통해 환자 내로의 유체의 주입 중에 개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68)은 주 카테터 원위 단부(50) 및/또는 주 카테터(48)를 따른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48)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68)을 포함하는 주 카테터(48)의 부분은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48)의 전부 또는 일부는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68)을 포함하는 주 카테터(48)의 부분은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68)은 주 카테터(48)의 종축을 따라 배향된 종방향 슬릿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68)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슬릿(68)의 대향하는 면은 서로 접촉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68)은 폐쇄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정상 생리학적 압력 하에서 밀봉되어, 유체가 슬릿(68)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 카테터(48)는, 슬릿(68)이 정상 생리학적 압력 하에서 폐쇄되어, 혈액이 주 카테터(48) 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폐색 및 혈전증에 저항할 수도 있다.
이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부 카테터(12)의 외부면과 주 카테터(48)의 내부면 사이에서 주 카테터(48)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로부터의 유체 압력에 응답하여 굴곡되거나 붕괴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의 굴곡 또는 붕괴는 제1 유체 경로(56)를 통해 환자 내로의 유체의 주입을 야기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카테터 어댑터(40)에 결합되고 활성화되어 주 카테터(48)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 압력을 유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는 임의의 적합한 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0a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는 표준 팁에 대응할 수도 있는 무딘 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0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는 테이퍼지거나, 만곡되거나, 라운딩되거나, 모따기된 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0c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는 폐쇄될 수도 있고 정상 생리학적 컨디션 하에서 폐쇄되도록 구성된 슬릿(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70)은 도 8a 및 도 8b와 관련하여 설명된 슬릿(68)을 포함하거나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압력차에 응답하여, 슬릿(70)이 개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70)은 부 카테터(12)를 통해 환자 내로의 유체의 주입 중에 개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70)은 부 카테터(12)를 통해 환자로부터 혈액의 채취 중에 개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70)을 포함하는 부 카테터(12)의 부분은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70)을 포함하는 부 카테터(12)의 부분은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70)은 부 카테터(12)의 종축을 따라 배향된 종방향 슬릿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7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슬릿(70)의 대향하는 면은 서로 접촉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70)은 폐쇄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정상 생리학적 압력 하에서 밀봉되어, 유체가 슬릿(70)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슬릿(70)이 정상 생리학적 압력 하에서 폐쇄되어, 혈액이 부 카테터(12) 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폐색 및 혈전증에 저항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0d 및 도 10e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는 다양한 패턴 및 구성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확산기 구멍(7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산기 구멍(71)은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를 통해 천공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산기 구멍(71)은 각형성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전진 위치로의 부 카테터(12)의 이동에 응답하여, 팽창부(32)의 외부면은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는 하우징 루멘(20)의 부분과 맞접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팽창부(32)가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는 하우징 루멘(20)의 부분과 맞접하는 것에 응답하여, 밀봉부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팽창부(32)의 외부면과 하우징 루멘(20)의 부분 사이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루멘(20)의 부분은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홈(7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72)은 팽창부(32)의 외부면과 하우징 루멘(20)의 부분 사이에서, 하우징 근위 단부(18)로부터 하우징 원위 단부(16)를 통해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팽창부(32)의 외부면은 유체가 하우징 근위 단부(18)로부터 하우징 원위 단부(16)를 통해, 팽창부(32)의 외부면과 하우징 루멘(20)의 부분 사이에서, 그리고 환형일 수도 있는 주 카테터(48)와 부 카테터(12)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홈(7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72) 및/또는 다른 홈(74)은 팽창부(32)와 하우징 루멘(20)의 부분 사이의 플러싱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하나 이상의 외경 및/또는 하나 이상의 내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발명의 명칭이 "다중-직경 카테터 및 관련 디바이스 및 방법(MULTI-DIAMETER CATHETER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인, 2018년 4월 20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2/660,646호에 설명되어 있을 수도 있는 다중-직경 카테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부 카테터 근위 단부(24)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 팽창부(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이부를 갖는 부 카테터(12)는 혈액 수집 중에 개선된 혈액 유량을 허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배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관은 다양한 구조적 개선(층, 축방향 줄무늬 등)을 제공하기 위해 공압출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이부는 단일 유닛으로서 모놀리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연속 튜브의 압출에 의해, 또는 다양한 내경 및 외경의 다수의 튜브를 함께 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튜브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튜브는 접합, 스웨이징, 팁핑, 용접되거나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은 투명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 카테터(12)는 카테터 조립체 내의 또는 주 카테터 너머의 부 카테터 원위 단부(22)의 위치를 임상의에게 표시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마킹(7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모든 예 및 조건 언어는 독자가 관련 기술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본 발명자에 의해 기여된 발명 및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학적 목적으로 의도된 것이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상술된 예 및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여기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이며,
    하우징 원위 단부, 하우징 근위 단부, 및 하우징 원위 단부 및 하우징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하우징 루멘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하우징 원위 단부는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 근위 단부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및
    부 카테터 원위 단부, 부 카테터 근위 단부, 및 부 카테터 원위 단부 및 부 카테터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부 카테터 루멘을 포함하는 부 카테터로서, 부 카테터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부 카테터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압력에 응답하여 전진 위치로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부 카테터 원위 단부는 부 카테터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원위 단부에 대해 원위측에 배치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원위 단부는 수형 루어 어댑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근위 단부는 암형 루어 어댑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연장 튜브를 포함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부 카테터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팽창부의 직경은 루멘의 부분의 직경보다 더 크고, 루멘의 부분은 부 카테터가 전진 위치에 배치될 때 팽창부와 접촉하고 부 카테터의 원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연장 튜브를 포함하고, 연장 튜브 상에 배치된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연장 튜브를 따른 클램프의 위치는 조정 가능하고, 루멘의 부분에서 클램프의 배치에 응답하여, 루멘의 부분은 부 카테터가 전진 위치에 배치될 때 팽창부와 접촉하고 부 카테터의 원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팽창부가 루멘의 부분과 접촉하는 것에 응답하여, 팽창부와 루멘의 부분 사이에 밀봉부가 형성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팽창부의 외부면은 제1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또는 루멘의 부분은 제2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제1 복수의 홈 또는 제2 복수의 홈은 유체가 하우징 근위 단부로부터 하우징 원위 단부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투명하고, 부 카테터의 외부면 또는 하우징의 외부면은 부 카테터 원위 단부의 위치를 임상의에게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마킹을 포함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10. 카테터 시스템이며,
    카테터 조립체로서,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 루멘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및
    주 카테터 원위 단부, 주 카테터 근위 단부, 및 주 카테터 원위 단부 및 주 카테터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주 카테터 루멘을 포함하는 주 카테터로서, 주 카테터는 카테터 어댑터에 고정되고 카테터 어댑터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주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및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로서,
    하우징 원위 단부, 하우징 근위 단부, 및 하우징 원위 단부 및 하우징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하우징 루멘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하우징 근위 단부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및
    부 카테터 원위 단부, 부 카테터 근위 단부, 및 부 카테터 원위 단부 및 부 카테터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부 카테터 루멘을 포함하는 부 카테터로서, 부 카테터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부 카테터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압력에 응답하여 전진 위치로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부 카테터 원위 단부는 부 카테터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주 카테터 원위 단부에 대해 원위측에 배치되는, 부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카테터 시스템은 제1 유체 경로, 및 카테터 시스템 내의 제1 유체 경로와 유체 연통하지 않는 제2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는 측면 포트를 포함하고, 제1 유체 경로는 측면 포트 및 주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며, 제2 유체 경로는 부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는, 카테터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는 원위 개구를 포함하고, 제1 유체 경로 내의 유체가 원위 개구와 부 카테터 사이에서 원위측으로 유동할 수도 있도록 부 카테터의 외주가 원위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카테터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주 카테터 원위 단부는 부 카테터의 외주와 접촉하는 원위 개구를 포함하고, 주 카테터 원위 단부는 정상 생리학적 압력 하에 폐쇄되도록 구성된 슬릿 또는 확산기 구멍을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부 카테터 원위 단부는 정상 생리학적 압력 하에 폐쇄되도록 구성된 슬릿 또는 확산기 구멍을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부 카테터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팽창부의 직경은 카테터 시스템의 부분의 직경보다 더 크고, 카테터 시스템의 부분은 부 카테터가 전진 위치에 배치될 때 팽창부와 접촉하고 부 카테터의 원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카테터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부 카테터는 주 카테터보다 더 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카테터 시스템.
  18. 내재 카테터 조립체에 카테터를 전달하는 방법이며,
    내재 카테터 조립체에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하우징은 하우징 원위 단부, 하우징 근위 단부, 및 하우징 원위 단부 및 하우징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하우징 루멘을 포함하고, 내재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 및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주 카테터를 포함하고, 부 카테터가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결합 단계; 및
    하우징에 결합된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로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유체는 하우징 및 내재 카테터 조립체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유동하고 유체는 내재 카테터 조립체를 통해 부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프라이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하우징 근위 단부로부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결합 해제하는 단계;
    하우징 근위 단부에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부 카테터를 통해 혈액 수집 디바이스 내에서 혈액 샘플을 수집하는 단계;
    하우징 근위 단부로부터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결합 해제하는 단계;
    하우징 근위 단부에 다른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및
    부 카테터를 통해 다른 혈액 수집 디바이스 내에서 다른 혈액 샘플을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25593A 2019-01-18 2020-01-16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84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94437P 2019-01-18 2019-01-18
US62/794,437 2019-01-18
US16/742,013 2020-01-14
US16/742,013 US11547832B2 (en) 2019-01-18 2020-01-14 Catheter delivery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PCT/US2020/013925 WO2020150503A1 (en) 2019-01-18 2020-01-16 Catheter delivery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417A true KR20210118417A (ko) 2021-09-30

Family

ID=7160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593A KR20210118417A (ko) 2019-01-18 2020-01-16 카테터 전달 디바이스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1547832B2 (ko)
EP (1) EP3911396A1 (ko)
JP (1) JP7442535B2 (ko)
KR (1) KR20210118417A (ko)
CN (1) CN211835625U (ko)
AU (1) AU2020209233A1 (ko)
BR (1) BR112021013273A2 (ko)
CA (1) CA3126095A1 (ko)
MX (1) MX2021008161A (ko)
SG (1) SG11202107222XA (ko)
WO (1) WO2020150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3066B2 (en) * 2019-02-05 2022-07-12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Guidewire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wire advancement into the body during catheterization
MX2023006170A (es) 2020-11-26 2023-06-08 Avia Vascular Llc Dispositivos, sistemas y metodos de recoleccion de sangre.
WO2023101905A1 (en) * 2021-11-30 2023-06-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egrated catheter with stabilized near-patient port extension set architecture
US20240016428A1 (en) * 2022-07-14 2024-01-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egrated Catheter System with Near Patient Access Port and Visual Indicators
US20240075248A1 (en) * 2022-09-01 2024-03-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strument Delivery Device with Nested Housing
WO2024058938A1 (en) * 2022-09-12 2024-03-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egrated catheter system configured for blood sampling
WO2024058939A1 (en) * 2022-09-12 2024-03-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system having an extension set for blood sampl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9373B2 (en) 2001-04-13 2005-11-29 Tricardia, Llc Syringe system
ES2342376T3 (es) 2002-10-10 2010-07-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njunto de aguja para la administracion de anestesia local.
US7901395B2 (en) 2005-08-16 2011-03-08 Borden Jonathan R Catheter having staggered lumens and method
US8231601B2 (en) 2007-01-26 2012-07-31 Matthew Dickson Reavill Long catheter infusion insertion method and apparatus
US8366685B2 (en) 2011-04-26 2013-02-05 Creative 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hlebotomy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US9186100B2 (en) 2011-04-26 2015-11-17 Velano Vascu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lebotomy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WO2014106266A1 (en) 2012-12-31 2014-07-03 Medtg Llc Infusion and blood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US9839385B2 (en) 2013-06-26 2017-12-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egrated closed IV line draw system
US10300247B2 (en) * 2016-02-03 2019-05-28 Velano Vascular, Inc. Devices and methods for fluid transfer through a placed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US9744344B1 (en) * 2016-06-30 2017-08-29 Velano Vascular,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theter placement within a vein
US11571550B2 (en) 2018-04-20 2023-02-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system with remote instrument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07222XA (en) 2021-08-30
US20230088022A1 (en) 2023-03-23
JP7442535B2 (ja) 2024-03-04
CA3126095A1 (en) 2020-07-23
US20200230353A1 (en) 2020-07-23
US11547832B2 (en) 2023-01-10
MX2021008161A (es) 2021-08-11
JP2022517670A (ja) 2022-03-09
EP3911396A1 (en) 2021-11-24
BR112021013273A2 (pt) 2021-09-14
CN211835625U (zh) 2020-11-03
WO2020150503A1 (en) 2020-07-23
AU2020209233A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832B2 (en) Catheter delivery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406795B2 (en) Delivery device for a vascular access instrument
US11504503B2 (en) Vascular access instrument having a fluid permeable structure,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11173277B2 (en) Multi-diameter catheter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1140681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facilitating instrument delivery to a catheter assembly
JP2023520672A (ja) ダイナミックチップを有する管状の器具および関連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20210290926A1 (en) Spring-bas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ate vascular access
KR20230131865A (ko) 혈관 접근 기구 전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22681A1 (en) Needleless access connector facilitating instrument delivery to a catheter assembly
CN219501806U (zh) 血管通路系统
US20210290247A1 (en) Vascular instrument delivery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30001157A1 (en) Vascular Access Device to Reduce Buckling of a Pro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