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098A - 스타일렛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일렛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098A
KR20210118098A KR1020217025318A KR20217025318A KR20210118098A KR 20210118098 A KR20210118098 A KR 20210118098A KR 1020217025318 A KR1020217025318 A KR 1020217025318A KR 20217025318 A KR20217025318 A KR 20217025318A KR 20210118098 A KR20210118098 A KR 20210118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tylet
wire holding
holding pa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타 가와치
야스마사 우에하라
준지 우키타
가즈히코 다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21011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A61J15/0007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inserted by using a guide-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스타일렛 커넥터(10)는, 제1 커넥터(20)와 제2 커넥터(30)를 구비한다. 유로(11)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연통하도록 스타일렛 커넥터를 관통하고 있다. 제1 커넥터는 암형 테이퍼면(22)을 갖는다. 제1 커넥터에 대해서 제2 커넥터 측의 유로 내에 와이어 유지부(4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와이어 유지부의 내강 내에 삽입되고 또한 내강에 충전된 접착제(48)를 통해 스타일렛 커넥터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는, 유로를 지나 제1 커넥터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유로와는 별도로 스타일렛 커넥터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45)이, 와이어 유지부와 스타일렛 커넥터의 외계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타일렛 장치
본 발명은, 카테터 튜브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스타일렛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사를 입으로 섭취할 수 없게 된 환자에게 영양제나 약제 등을 포함하는 액상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영양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영양법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위 또는 소장에까지 삽입한 카테터 튜브를 통해 영양제나 약제 등의 액상물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카테터 튜브는 소경이고 또한 유연한 것이므로, 용이하게 만곡 또는 굴곡한다. 이러한 카테터 튜브를 비강을 지나 원하는 위치에 도달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카테터 튜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강성의 금속제인 가이드 와이어(「스타일렛」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가 카테터 튜브에 삽입된다.
카테터 튜브의 기단(액상물의 흐름 방향의 상류단)에는 카테터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에는, 카테터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스타일렛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카테터 튜브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고, 또한, 카테터 커넥터에 스타일렛 커넥터를 접속한다. 이 상태의 강성이 높아진 카테터 튜브가 환자에게 삽입된다.
카테터 튜브의 선단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카테터 튜브를 통해, 위액의 흡인 또는 공기의 주입을 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위액의 흡인 또는 공기의 주입은, 예를 들어 스타일렛 커넥터에 시린지를 접속하여 행한다. 카테터 튜브의 선단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것이 확인되면, 스타일렛 커넥터를 카테터 커넥터로부터 분리하고, 가이드 와이어를 카테터 튜브로부터 빼낸다. 카테터 튜브는 환자에게 유치된다. 그 후, 카테터 커넥터에, 경장영양 튜브( 「경장영양 투여 세트」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의 하류단에 설치된 커넥터가 접속된다. 용기에 저류된 액상물은, 경장영양 튜브 및 카테터 튜브를 차레로 지나 환자에게 투여된다.
카테터 커넥터로서, 수형 루어와, 수형 루어를 둘러싸는 암형 나사를 갖는 수형 커넥터가 국제 규격 ISO80369-3으로서 규격화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이 경우, 스타일렛 커넥터는, 이 수형 커넥터의 수형 루어가 끼워넣음 가능한 암형 루어를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가이드 와이어는, 이 암형 루어로부터 도출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공의 입구 구멍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를 도출한 스타일렛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입구 구멍에 중공 원통 부재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끼워넣어진다.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은, 입구 구멍의 내주면과 중공 원통 부재 사이에 협지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4-10034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5-11983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표 평11-500044호 공보
특허문헌 3의 스타일렛 장치에서는, 스타일렛 커넥터에 가이드 와이어를 장착하기 위해서, 스타일렛 커넥터와는 별도 부품인 중공 원통 부재를 이용한다. 이로 인해, 스타일렛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점수가 많아진다. 이것은, 스타일렛 장치의 구성을 복잡하게 한다.
또, 스타일렛 커넥터의 입구 구멍의 내주면과 중공 원통 부재를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끼워맞출 필요가 있으므로, 이들의 치수 정밀도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입구 구멍의 내주면과 중공 원통 부재 사이에 가이드 와이어를 끼운 상태에서, 입구 구멍에 중공 원통 부재를 억지 끼워맞춤으로 끼워넣는 작업은 번잡하다. 이로써, 스타일렛 장치의 제조는 어렵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카테터 커넥터의 수형 루어에 접속 가능한 스타일렛 커넥터를 구비한 스타일렛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스타일렛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타일렛 장치는, 만곡 변형이 가능한 가이드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에 설치된 스타일렛 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연통하도록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를 그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는 유로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그 내경이 상기 제1 커넥터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을 갖는다.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 제2 커넥터 측의 상기 유로 내에, 상기 제1 커넥터를 향해 개구된 내강을 갖는 와이어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은,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상기 내강 내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내강에 충전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유로를 지나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상기 유로와는 별도로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상기 내강과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외계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타일렛 커넥터의 제1 커넥터에는 암형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타일렛 장치의 스타일렛 커넥터는, 카테터 커넥터의 수형 루어에 접속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은, 와이어 유지부에 충전된 접착제를 통해 스타일렛 커넥터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타일렛 장치의 구성은 간단하다.
와이어 유지부로 통하는 관통 구멍이, 유로와는 별도로 스타일렛 커넥터를 관통하고 있다. 이 관통 구멍을 통해, 미경화의 접착제를 와이어 유지부의 내강에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타일렛 장치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는 스타일렛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는 스타일렛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는 스타일렛 장치의 제조의 일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는 스타일렛 장치의 제조의 다음 일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는 스타일렛 장치의 가이드 와이어를 경비 카테터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는 스타일렛 장치의 스타일렛 커넥터를 경비 카테터의 카테터 커넥터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단면도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스타일렛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와이어 유지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 측에 편위하도록,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제1 커넥터를 상방을 향해서 스타일렛 커넥터를 유지했을 때, 관통 구멍의 개구는 비스듬한 상방을 향한다. 이 상태에서 관통 구멍을 통해 미경화의 접착제를 와이어 유지부에 주입하는 작업은 용이하다. 또, 주입 후에는, 미경화의 접착제가 관통 구멍의 개구로부터 새어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의 양태는, 스타일렛 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의 끝가장자리는,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개구의 끝가장자리와,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위치에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제1 커넥터를 상방을 향해서 스타일렛 커넥터를 유지했을 때, 관통 구멍의 개구의 끝가장자리와, 와이어 유지부의 개구의 끝가장자리가 대략 같은 높이가 된다. 이로 인해, 관통 구멍 및 와이어 유지부에 주입한 미경화의 접착제가, 관통 구멍 및 와이어 유지부 중 어느 쪽으로도 새어나올 가능성이 낮다. 이것은, 스타일렛 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그 내경이 상기 와이어 유지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미경화의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을 관통 구멍에 삽입했을 때, 암형 테이퍼면과 노즐 사이에 액밀(液密)한 시일이 형성된다. 이 시일은,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노즐 사이로부터 미경화의 접착제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접착제가,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상기 내강으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에 연속적으로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스타일렛 커넥터 내의 유로와 외계의 관통 구멍을 통한 연통이, 접착제에 의해서 확실히 차단된다.
상기 와이어 유지부 내의 상기 접착제의 표면은, 상기 관통 구멍 내의 상기 접착제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위치에 있어도 된다.
상기 와이어 유지부는,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와이어 유지부를 설치한 위치에 있어서, 유로의 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상기 내강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외경보다 큰 내치수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첫째로, 미경화의 접착제의 주입량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둘째로, 충분한 양의 접착제로 가이드 와이어를 스타일렛 커넥터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셋째로, 가이드 와이어를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과 대략 동축으로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과 대략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스타일렛 커넥터를 카테터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카테터 튜브에 대한 가이드 와이어의 편심량이 작아진다. 이것은, 카테터 튜브를 환자에게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제2 커넥터는, 그 외경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공통되는 암형 루어를, 제1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카테터 커넥터의 수형 루어와, 제2 커넥터 중 어느 것에나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수형 커넥터와 호환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공통되는 암형 커넥터를, 제1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카테터 커넥터의 수형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중 어느 것에나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절한 실시 형태를 개시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주요한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내어져 있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추가하거나, 혹은, 도면에 나타내어진 임의의 부재를 변경 혹은 생략해도 된다. 상이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러한 부재에 대해서는, 중복하는 설명이 생략되어 있고, 선행하는 도면의 설명을 적당히 참작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는 스타일렛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스타일렛 장치(1)의 단면도이다. 스타일렛 장치(1)는, 스타일렛 커넥터(10)와, 가이드 와이어(50)를 구비한다. 도 1b에 있어서, 일점쇄선(10a)은,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중심축이다. 도 1b의 단면은, 중심축(10a) 및 관통 구멍(45)(상세하게는 후술한다)을 따르고 있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심축(10a)과 직교하는 직선의 방향을 「반경 방향」 또는 「직경 방향」이라고 한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이란 중심축(10a)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의미하고,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이란 중심축(10a)에 가까워지는 측을 의미한다.
스타일렛 커넥터(10)는, 중심축(10a) 방향의 일단(제1 단)에 제1 커넥터(20)를 구비하고, 타단(제2 단)에 제2 커넥터(30)를 구비한다. 도 1b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와 제2 커넥터(30)는, 중심축(10a)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중공의 연결관(1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유로(11)가, 제1 커넥터(20)와 제2 커넥터(30)를 연통시키도록, 중심축(10a)을 따라서 스타일렛 커넥터(10)를 관통하고 있다.
제1 커넥터(20)는, 중공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제1 커넥터(20)의 내주면은, 그 내경이 제1 커넥터(20)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제1 암형 테이퍼면)(22)을 갖는다. 제1 커넥터(20)는, 암형 테이퍼면(22)을 갖는 암형 루어이다. 암형 테이퍼면(22)은, 스타일렛 장치(1)가 적합한 경비 카테터(100)의 카테터 커넥터(110)에 설치된 수형 루어(131)의 수형 테이퍼면(132)(후술하는 도 4a 및 도 4b 참조)에 면 접촉하여 끼워맞춤(이른바 테이퍼 끼워맞춤)하도록, 당해 수형 테이퍼면(132)과 지름 및 테이퍼 각도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커넥터(20)(특히 그 암형 테이퍼면(22))는, 영양계의 의료기기에 관한 국제 규격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커넥터(30)는, 중공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수형 루어(31)를 갖는다. 수형 루어(31)의 외주면은, 그 외경이 수형 루어(31)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32)을 갖는다. 제2 커넥터(30)는, 수형 루어(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수형 루어(31)를 둘러싸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통(35)을 추가로 갖는다. 외통(35)의 내주면에는, 암형 나사(36)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커넥터(30)는, 스타일렛 장치(1)가 적합한 경비 카테터(100)에 설치된 카테터 커넥터(110)의 수형 커넥터(130)(후술하는 도 4a 및 도 4b 참조)와 호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넥터(30)(특히 그 수형 테이퍼면(32) 및 암형 나사(36))는 국제 규격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커넥터(20)와 제2 커넥터(30)를 연결하는 연결관(12)의 유로(11) 내에, 와이어 유지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유지부(40)는,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대략 중공 통 형상(또는 대략 용기 형상, 또는 대략 상자 형상)을 갖는다. 와이어 유지부(40)의 길이 방향(장축)은 중심축(10a)과 평행이다.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은, 제1 커넥터(20)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내강(41)은, 와이어 유지부(40)의 개구를 통해 유로(11)와 연통되어 있다. 와이어 유지부(40)는, 유로(1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와이어 유지부(40)는, 중심축(10a)에 대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심하고 있다. 이것은, 와이어 유지부(40)를 설치한 위치에 있어서, 유로(11)의 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관통 구멍(45)이,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과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외계를 연통시키도록, 스타일렛 커넥터(10)를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45)은,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의 최심부(즉, 내강(41)의 제2 커넥터(30) 측단) 또는 그 근방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관통 구멍(45)은, 중심축(10a)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즉, 중심축(10a)에 대해서 평행도 수직도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 구멍(45)은, 와이어 유지부(4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제1 커넥터(20) 측에 편위하도록 중심축(10a)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관통 구멍(45)의 와이어 유지부(40)와는 반대 측의 개구의 끝가장자리(47)는, 관통 구멍(45)과 와이어 유지부(40)의 접속 개소(44)(도 2 참조)에 대해서, 중심축(10a) 방향에 있어서 제1 커넥터(20)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관통 구멍(45)의 개구의 끝가장자리(47)는, 와이어 유지부(40)의 개구의 끝가장자리(42)와, 중심축(10a) 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위치에 있다. 관통 구멍(45)의 내주면은, 그 내경이 와이어 유지부(4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제2 암형 테이퍼면)(46)을 끝가장자리(47)의 근방에 갖는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유로(11) 및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 내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50)의 기단(또는 근위단. 도 1b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50)의 상단)은,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의 최심부(즉, 와이어 유지부(40)의 바닥부)에까지 달하고 있다.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의 내치수(특히, 반경 방향을 따른 내강(41)의 내치수)는, 가이드 와이어(50)의 외경보다 크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 내에, 중심축(10a)에 접근하도록(바람직하게는 중심축(10a)과 동축으로 되도록), 와이어 유지부(40)의 축에 대해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50)의 기단은,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에 충전된 접착제(48)를 통해, 스타일렛 커넥터(10)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유로(11)를 지나 제1 커넥터(20)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접착제(48)는,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으로부터 관통 구멍(45)에 연속적으로 충전되어 있다. 와이어 유지부(40) 내의 접착제(48)의 표면(48a)은, 와이어 유지부(40)의 개구의 끝가장자리(42)에 대해서 중심축(10a) 방향에 있어서 제2 커넥터(30)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와이어 유지부(40) 내의 접착제(48)의 표면(48a)은, 관통 구멍(45) 내의 접착제(48)의 표면(48b)에 대해서 중심축(10a) 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위치에 있다.
스타일렛 커넥터(10)는,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재료는 투명성 또는 투광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경질 폴리염화 비닐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스타일렛 커넥터(10)는, 이들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외력에 의해서 만곡 변형 가능하도록 적당한 가요성(또는 유연성)을 갖는 장척의 가는 끈 형상물이다. 가이드 와이어(50)는, 경비 카테터(100)의 카테터 튜브(150)의 강성(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카테터 튜브(150)에 삽입된다(후술하는 도 4b 및 도 5b 참조). 가이드 와이어(50)의 외경은, 카테터 튜브(150)의 내경보다 작다. 가이드 와이어(50)의 구성은, 제한은 없고, 경장영양용 카테터에 사용되는 공지의 가이드 와이어의 구성과 같아도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50)는, 소선을 꼬아 합쳐진 연선이어도 된다. 소선의 재료는, 제한은 없으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이나,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비교적 고강성(고탄성)의 수지여도 된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50)는, 금속과 수지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스타일렛 장치(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맨 처음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타일렛 커넥터(10)를, 제1 커넥터(20)를 위로 하고, 그 중심축(10a)이 연직 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지그 등(도시 생략)으로 유지한다. 가이드 와이어(50)를, 제1 커넥터(20)를 지나 와이어 유지부(40) 내에 삽입한다. 가이드 와이어(50)의 기단(도 2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50)의 하단)은, 와이어 유지부(40)의 바닥부와 상하 방향으로 맞닿아 있다. 가이드 와이어(50)를 중심축(10a)에 평행하게 하고 또한 가이드 와이어(50)를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 내에서 가능한 한 중심축(10a)에 접근시킨(또는, 중심축(10a)과 동축으로 한) 상태에서, 가이드 와이어(50)를 지그 등(도시 생략)으로 유지한다.
이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45)에 노즐(70)을 삽입한다. 노즐(70)의 기단(도시 생략)은, 예를 들어 미경화의 접착제(48)를 저류한 시린지(도시 생략)의 통 끝에 접속되어 있다. 관통 구멍(45)의 개구는,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노즐(70)의 삽입은 용이하다. 노즐(70)을 통해 관통 구멍(45) 및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에 미경화의 접착제(48)를 주입한다. 노즐(70)의 선단의 외주면이 관통 구멍(45)의 내주면의 암형 테이퍼면(46)에 액밀하게 끼워맞춰진다. 이로 인해, 관통 구멍(45)의 내주면과 노즐(70) 사이로부터 접착제(48)가 외계로 새어나올 일은 없다. 접착제(48)의 주입량은,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와이어 유지부(40) 내의 접착제(48)의 상면(액면)(48a)이, 와이어 유지부(40)의 개구의 끝가장자리(42)와 같거나 이보다 조금 낮은 위치에 달하도록 조정해도 된다. 이 경우, 접착제(48)의 상면(48a)은, 노즐(70)의 선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스타일렛 커넥터(10)가 투명성을 갖고 있으면, 접착제(48)의 액면(48a)을 스타일렛 커넥터(10)를 통해 투시할 수 있다. 접착제(48)로서는, 가이드 와이어(50)를 스타일렛 커넥터(10)에 고정할 수 있는 임의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48)는, 비교적 저점도의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수지계나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스타일렛 커넥터(10)가 투광성을 갖는 것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키는데 유리하다.
접착제(48)를 주입 후, 노즐(70)을 관통 구멍(45)으로부터 빼낸다. 노즐(70)이 빼내지면, 와이어 유지부(40) 내의 접착제(48)의 상면(48a)과, 관통 구멍(45) 내의 접착제(48)의 상면(48b)이 개략 같은 높이가 되도록, 상면(48a)은 조금 하강하고, 상면(48b)은 조금 상승한다(도 1b 참조). 와이어 유지부(40)의 개구의 끝가장자리(42)와, 관통 구멍(45)의 개구의 끝가장자리(47)는, 대략 같은 높이에 있다. 이로 인해, 상면(48a, 48b)의 높이가 이와 같이 변화해도, 접착제(48)가 와이어 유지부(40) 및 관통 구멍(45)으로부터 새어나오지 않는다.
그 후, 접착제(48)를 경화시킨다. 이렇게 하여, 스타일렛 장치(1)(도 1a 및 도 1b 참조)가 얻어진다.
스타일렛 장치(1)는, 경장영양용 카테터를 환자에게 삽입하기 전에, 경장영양용 카테터에 삽입된다. 경장영양용 카테터가 경비 카테터인 경우를 예로, 스타일렛 장치(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는, 스타일렛 장치(1)의 가이드 와이어(50)를 경비 카테터(100)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그 단면도이다. 경비 카테터(100)는, 유연한 카테터 튜브(이하, 간단히 「튜브」라고 한다)(150)와, 튜브(150)의 기단(근위단)에 설치된 카테터 커넥터(110)를 구비한다.
도 4b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카테터 커넥터(110)는, 일단에 수형 커넥터(130)를 구비하고, 타단에 접속통(120)을 구비한다. 유로(111)가, 수형 커넥터(130)와 접속통(120)이 연통하도록, 카테터 커넥터(110)를 관통하고 있다.
수형 커넥터(130)는, 중공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수형 루어(131)와, 수형 루어(1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수형 루어(131)를 둘러싸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통(135)과, 외통(135)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형 나사(136)를 구비한다. 유로(111)는, 수형 루어(131)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고 있다. 수형 루어(131)의 외주면은, 그 외경이 수형 루어(131)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132)을 갖는다. 수형 커넥터(130)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액상물이 흐르는 경장영양 튜브(경장영양 투여 세트)의 하류단에 설치된 암형 커넥터(도시 생략)에 대해서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다. 수형 커넥터(130) 및 암형 커넥터는 국제 규격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수형 커넥터(130)는, 외통(135) 및 암형 나사(136)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접속통(120)도, 전체적으로 중공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접속통(120)은, 수형 루어(131)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접속통(120)에, 튜브(150)가 삽입되어 있다. 튜브(150)는 접속통(120)의 내주면에, 접착제(도시 생략)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수형 루어(131)와 튜브(150)는 연통되어 있다. 카테터 커넥터(11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접속통(120)의 외주면으로부터 한 쌍의 그립편(125)이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상태에 있어서, 스타일렛 커넥터(10)를 카테터 커넥터(110)에 접속한다.
도 5a는, 스타일렛 장치(1)의 스타일렛 커넥터(10)를 경비 카테터(100)의 카테터 커넥터(110)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그 단면도이다. 카테터 커넥터(110)의 수형 루어(131)가,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제1 커넥터(암형 루어)(20)에 삽입되어 있다. 제1 커넥터(20)는, 수형 루어(131)와 외통(135)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있다. 제1 커넥터(20)의 암형 테이퍼면(22)과 수형 루어(131)의 수형 테이퍼면(132)은, 지름 및 테이퍼 각도가 일치한다. 이로 인해, 암형 테이퍼면(22)과 수형 테이퍼면(132)은 면 접촉하여 액밀하게 끼워맞춤(이른바 테이퍼 끼워맞춤)한다. 제1 커넥터(20)와 수형 루어(131)의 이러한 접속은, 일반적으로 「슬립 접속」으로 불린다.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유로(11), 카테터 커넥터(110)의 유로(111), 및, 튜브(150)가 차례로 연통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유로(111) 및 튜브(150)에 삽입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나, 가이드 와이어(50)의 선단(원위단)은, 튜브(150)의 선단(원위단) 또는 그 근방에까지 달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스타일렛 커넥터(10)를 카테터 커넥터(110)에 접속한 상태에서, 튜브(150)의 도시하지 않은 선단을 환자의 비강에 삽입한다. 튜브(150)는, 가이드 와이어(50)가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강성(탄성)이 높아져 있다. 이것은, 튜브(150)의 선단을, 원하는 위치(예를 들어 위 또는 소장)에 도달시키는데 유리하다.
튜브(150)의 선단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튜브(150)를 통해, 위액의 흡인 또는 공기의 주입을 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위액의 흡인 또는 공기의 주입은,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제2 커넥터(30)(특히 그 수형 루어(31))에 예를 들어 시린지를 접속하여 행할 수 있다. 튜브(150)의 선단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것이 확인되면, 스타일렛 커넥터(10)를 카테터 커넥터(110)로부터 분리하여, 가이드 와이어(50)를 튜브(150)로부터 빼낸다. 스타일렛 장치(1)는 경비 카테터(100)로부터 분리된다. 경비 카테터(100)는 환자에게 유치된다. 수형 커넥터(130)에, 경장영양 튜브의 하류단에 설치된 암형 커넥터를 접속한다. 경장영양 튜브 및 경비 카테터(100)를 통해 환자에게 액상물을 투여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타일렛 장치(1)에서는, 제1 커넥터(20)와 제2 커넥터(30) 사이의 유로(11) 내에 설치한 와이어 유지부(40)에, 가이드 와이어(50)의 기단이 고정된다. 제1 커넥터(20)는, 암형 테이퍼면(22)을 갖는 암형 루어이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제1 커넥터(20)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와이어 유지부(40)는, 제1 커넥터(20)보다 안쪽(제2 커넥터(30) 측)에 위치하므로, 와이어 유지부(40)는, 제1 커넥터(20)(암형 테이퍼면(22))와 카테터 커넥터(110)의 수형 루어(131)(수형 테이퍼면(132))의 끼워맞춤을 저해하지 않는다(도 5b 참조). 국제 규격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커넥터(130)를 구비한 카테터 커넥터(110)에, 스타일렛 장치(1)의 스타일렛 커넥터(10)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와이어(50)의 기단은 접착제(48)를 통해 스타일렛 커넥터(10)에 고정되어 있다(도 1b 참조). 이로 인해, 스타일렛 장치(1)의 구성은 간단하다.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3의 스타일렛 장치에서는, 스타일렛 커넥터에 가이드 와이어를 장착하기 위해서 중공 원통 부재를 이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 원통 부재와 같은 스타일렛 커넥터와는 별개의 부품이 불필요하다.
미경화의 접착제(48)는, 유로(11)와는 별도로 형성된 관통 구멍(45)을 통해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에 주입된다(도 3 참조). 본 실시 형태와는 달리, 관통 구멍(45)을 형성하지 않고, 도 3의 상태에서, 노즐(70)을 제1 커넥터(20)에 삽입하고,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첫째로, 제1 커넥터(20) 내의 가이드 와이어(50)가 노즐(70)의 선단을 와이어 유지부(40)에 액세스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둘째로, 노즐(70)의 선단을 와이어 유지부(40)에 접근시키는 과정에서, 또는, 접착제를 와이어 유지부(40)에 주입한 후 노즐(70)을 제1 커넥터(20)로부터 꺼내는 과정에서, 노즐(70)의 선단이 암형 테이퍼면(22)에 잘못 접촉하면, 암형 테이퍼면(22)에 접착제가 부착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암형 테이퍼면(22)에 부착된 접착제는, 암형 테이퍼면(22)과 수형 테이퍼면(132)의 액밀한 끼워맞춤(도 5b 참조)을 어렵게 한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유지부(40)에 접착제(48)를 주입하기 위한 전용의 관통 구멍(45)이 유로(11)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70)의 선단을 관통 구멍(45)에 찔러넣어, 관통 구멍(45)을 통해 와이어 유지부(40)에 접착제(48)를 확실히 주입할 수 있다(도 3 참조). 노즐(70)을 제1 커넥터(20)에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착제(48)를 암형 테이퍼면(22)에 부착시켜 버릴 일이 없다. 접착제(48)를 와이어 유지부(40)에 주입하는 작업은,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간단하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스타일렛 장치(1)는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3의 스타일렛 장치에서는, 스타일렛 커넥터의 입구 구멍의 내주면과 중공 원통 부재를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끼워맞춘다. 이로 인해, 이들의 치수 정밀도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 스타일렛 커넥터의 입구 구멍에 중공 원통 부재를 끼워넣는 작업은 번잡하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유지부(40)에 접착제를 주입하므로, 와이어 유지부(40) 및 그 주변의 치수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고, 또, 억지 끼워맞춤으로 2부품을 끼워맞추는 공정이 불필요하다. 이 점에서도, 본 실시 형태의 스타일렛 장치(1)는 제조가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의 내치수는, 가이드 와이어(70)의 외경보다 크다. 이것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첫째로, 노즐(70)로부터 와이어 유지부(40)에 미경화의 접착제(48)를 주입하는 공정(도 3 참조)에 있어서, 접착제(48)의 상면(48a)의 높이(즉, 접착제(48)의 주입량)를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둘째로, 접착제(48)를 주입 후, 노즐(70)을 관통 구멍(45)으로부터 빼내었을 때에, 와이어 유지부(40) 내의 접착제(48)의 상면(48a)의 하강 거리가 작아지므로, 충분한 양의 접착제(48)로 가이드 와이어(70)를 스타일렛 커넥터(10)에 고정할 수 있다. 셋째로, 와이어 유지부(40)가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중심축(10a)에 대해서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가이드 와이어(70)를 중심축(10a)과 대략 동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타일렛 장치(1)를 경비 카테터(100)에 삽입한 상태(도 5b 참조)에서의 튜브(150)에 대한 가이드 와이어(50)의 편심량이 작아진다. 이것은, 튜브(150)를 환자에게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제2 커넥터(30)는, 수형 테이퍼면(32)을 갖는다. 더욱이는, 제2 커넥터(30)는, 카테터 커넥터(110)의 수형 커넥터(130)와 호환성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수형 커넥터(130)에 접속 가능한 암형 커넥터를, 제2 커넥터(30)에도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위액의 흡인 또는 공기의 주입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시린지를, 제2 커넥터(30) 및 수형 커넥터(130) 중 어느 것에나 접속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서는, 스타일렛 장치(1)를 사용하지 않고, 경비 카테터(100)를 환자에게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상기의 시린지를 카테터 커넥터(110)의 수형 커넥터(130)에 접속하고, 위액의 흡인 또는 공기의 주입을 행하여 튜브(150)의 선단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커넥터(30)용과 수형 커넥터(130)용의 2종류의 시린지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스타일렛 장치(1)를 사용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공통되는 시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와이어 유지부(40)의 형상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와이어 유지부(40)는, 가이드 와이어(50)의 기단을 삽입할 수 있으면 된다. 와이어 유지부(40)의 내강(41)의 내치수는, 가이드 와이어(50)의 외경과 거의 같아도 된다.
가이드 와이어(50)를 중심축(10a)에 수직인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구가, 와이어 유지부(4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유지부(40)의 최심부(바닥부)에, 가이드 와이어(50)의 기단을 끼워넣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와이어 유지부(40)와 동축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유지부(40)는, 스타일렛 커넥터(10)의 중심축(10a)에 대해서 편심하고 있었는데, 와이어 유지부(40)를 중심축(10a)과 동축으로 배치해도 된다. 이 구성은, 가이드 와이어(50)를 중심축(10a)과 동축으로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중심축(10a)과 동축으로 배치한 와이어 유지부(40)와, 유로(11)의 내주면을, 반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로 연결해도 된다. 관통 구멍(45)은, 이 지지 부재 내에 형성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유지부(40)는, 제1 커넥터(20)와 제2 커넥터(30) 사이의 연결관(12) 내에 설치되어 있었는데, 와이어 유지부(40)의 중심축(10a) 방향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와이어 유지부(40)는, 제1 커넥터(20)에 대해서 제2 커넥터(30) 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유지부(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2 커넥터(30)의 수형 루어(31) 내의 유로(11)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관(12)을 생략하고, 제1 커넥터(20)와 제2 커넥터(30)가 직결되어 있어도 된다.
관통 구멍(45)은, 쭉 곧게 연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관통 구멍(45)은, 와이어 유지부(40)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 중심축(10a)과 평행하게 제1 커넥터(20) 측으로 연장된,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어도 된다.
관통 구멍(45)의 내주면에 암형 테이퍼면(46)이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접착제(48)가 외계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70)과 스타일렛 커넥터(10) 사이의 시일 구조는, 노즐(70)과 암형 테이퍼면(46)의 끼워맞춤 구조 이외의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제1 커넥터(20)의 외주면에, 수형 커넥터(130)의 암형 나사(136)에 나사식 결합 가능한 돌기(예를 들어 나선형 돌기 또는 수형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커넥터(30)는, 수형 루어(31)와, 암형 나사(36)가 설치된 외통(35)을 구비한 수형 커넥터였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커넥터(30)는, 국제 규격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또, 카테터 커넥터(110)의 수형 커넥터(130)와 호환성을 갖지 않아도 된다. 제2 커넥터(30)가, 외통(35) 및 암형 나사(36)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제2 커넥터(30)는, 수형 루어(31)를 구비한 수형 커넥터일 필요는 없고, 암형 루어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여도 된다.
본 발명의 스타일렛 장치는, 경비 카테터 이외의 경장영양용 카테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장영양법 이외의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는 임의의 카테터에 본 발명의 스타일렛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카테터는, 수형 루어를 갖는 카테터 커넥터와, 카테터 튜브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은, 제한은 없으나, 의료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경장영양법의 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스타일렛 장치는, 경장영양용 카테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당해 경장영양용 카테터의 카테터 커넥터에는, 국제 규격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 스타일렛 장치 10: 스타일렛 커넥터
10a: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 11: 유로
20: 제1 커넥터
22: 암형 테이퍼면(제1 암형 테이퍼면) 30: 제2 커넥터
31: 수형 루어 40: 와이어 유지부
41: 와이어 유지부의 내강
42: 와이어 유지부의 개구의 끝가장자리 45: 관통 구멍
46: 암형 테이퍼면(제2 암형 테이퍼면)
47: 관통 구멍의 개구의 끝가장자리 48: 접착제
48a: 와이어 유지부 내의 접착제의 표면
48b: 관통 구멍 내의 접착제의 표면 50: 가이드 와이어

Claims (11)

  1. 만곡 변형이 가능한 가이드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에 설치된 스타일렛 커넥터를 구비한 스타일렛 장치로서,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연통하도록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를 그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는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그 내경이 상기 제1 커넥터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 제2 커넥터 측의 상기 유로 내에, 상기 제1 커넥터를 향해 개구된 내강을 갖는 와이어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은,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상기 내강 내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내강에 충전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유로를 지나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도출되어 있고,
    상기 유로와는 별도로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상기 내강과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외계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렛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와이어 유지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 측에 편위하도록,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스타일렛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의 끝가장자리는,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개구의 끝가장자리와,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위치에 있는, 스타일렛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그 내경이 상기 와이어 유지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는, 스타일렛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상기 내강으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으로 연속적으로 충전되어 있는, 스타일렛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유지부 내의 상기 접착제의 표면은, 상기 관통 구멍 내의 상기 접착제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위치에 있는, 스타일렛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유지부는,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는, 스타일렛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유지부의 상기 내강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외경보다 큰 내치수를 갖는, 스타일렛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스타일렛 커넥터의 중심축과 대략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타일렛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그 외경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을 갖는, 스타일렛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수형 커넥터와 호환성을 갖는, 스타일렛 장치.
KR1020217025318A 2019-01-21 2020-01-17 스타일렛 장치 KR20210118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07603 2019-01-21
JP2019007603A JP2020115969A (ja) 2019-01-21 2019-01-21 スタイレット装置
PCT/JP2020/001583 WO2020153271A1 (ja) 2019-01-21 2020-01-17 スタイレット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098A true KR20210118098A (ko) 2021-09-29

Family

ID=7173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318A KR20210118098A (ko) 2019-01-21 2020-01-17 스타일렛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2020115969A (ko)
KR (1) KR20210118098A (ko)
CN (1) CN113316447A (ko)
WO (1) WO202015327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0044A (ja) 1995-02-21 1999-01-06 アボツト・ラボラトリーズ 経腸補給管を案内するスタイレット装置
JP2014100347A (ja) 2012-11-20 2014-06-05 Top Co Ltd 雄コネクタ
JP2015119837A (ja)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オス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485A (en) * 1984-07-11 1989-05-02 Concept Polymer Technologies, Inc. Device for guiding tubings
US5092847A (en) * 1990-04-06 1992-03-03 Sherwood Medical Company Enteral feeding tube stylet
US20040158229A1 (en) * 2002-01-24 2004-08-12 Quinn David G. Catheter assembly and method of catheter insertion
AU2010202487B1 (en) * 2010-06-15 2011-07-28 Cook Incorporated Pre-loaded multiport delivery device
JP2012071052A (ja) * 2010-09-29 2012-04-12 Terumo Corp 留置針および留置針の製造方法
JP2014236787A (ja) * 2013-06-06 2014-12-18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0044A (ja) 1995-02-21 1999-01-06 アボツト・ラボラトリーズ 経腸補給管を案内するスタイレット装置
JP2014100347A (ja) 2012-11-20 2014-06-05 Top Co Ltd 雄コネクタ
JP2015119837A (ja)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オス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3271A1 (ja) 2020-07-30
JP2023087067A (ja) 2023-06-22
JP2020115969A (ja) 2020-08-06
CN113316447A (zh)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1343B2 (en) Adapter assembly for enteral feeding
US20160361235A1 (en) Adapter assembly for enteral feeding
CA2563620C (en) Dual purpose adapter
CN108348397B (zh) 注射器填充适配器
US7955317B2 (en) Female adaptor for feeding line
US10945926B2 (en) Locking enteral feeding system
CN105797240A (zh) 钝针安全药物递送系统
US20180326198A1 (en) Female connector
US11690994B1 (en) Modular medical connector
US8882725B2 (en) Enteral feeding connector
US20190070393A1 (en) Over-the-Needle Catheter Sleeve
KR20210118098A (ko) 스타일렛 장치
WO2017104689A1 (ja) メスコネクタ
EP3429548B1 (en) Enteral feeding device connector
US20220023152A1 (en) Locking enteral feeding system
US20210205595A1 (en) Fluid coupling
KR20090044199A (ko) 약액 투입용 연결팁과 수액 인출용 연결팁 및 이들을 갖는수액 용기 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