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877A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877A
KR20210117877A KR1020200052546A KR20200052546A KR20210117877A KR 20210117877 A KR20210117877 A KR 20210117877A KR 1020200052546 A KR1020200052546 A KR 1020200052546A KR 20200052546 A KR20200052546 A KR 20200052546A KR 20210117877 A KR20210117877 A KR 2021011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user
airflow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이승엽
이상윤
오병수
전현주
천소라
윤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014,62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78919B2/en
Priority to CN202011630015.8A priority patent/CN113491467B/zh
Priority to EP21158468.5A priority patent/EP3881740B1/en
Priority to EP21158478.4A priority patent/EP3881743A1/en
Priority to EP21158456.0A priority patent/EP3910264B1/en
Priority to EP21158472.7A priority patent/EP3881741A1/en
Priority to EP21158477.6A priority patent/EP3881742A1/en
Publication of KR2021011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25B21/04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rever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8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air valves, movable baffles or nozz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tact with sorbent bodies, e.g. absorbent mould; by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1Control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건조장치는 몸체, 공기입구, 상기 공기입구로부터의 흡입 공기를 받고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발생기, 상기 유동발생기로부터의 공기유동을 배출하도록 상기 몸체에 있고 상기 몸체의 수직 높이를 따라 연장되는 공기출구, 그리고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나오는 공기유동의 측방향 범위를 제어하도록 동작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나오는 공기유동의 측방향 범위를 제어하도록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동작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본 개시는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사람 또는 사람의 일부분의 건조를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문서, 행위 또는 지식의 항목이 언급되고 논의되는 이 명세서에서, 이 언급 또는 논의가, 상기 문서, 행위 또는 지식의 항목 또는 이들의 조합이, 우선일에 공공연하게 이용가능하고, 공지되었고, 일반 상식의 일부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적용가능한 법규정에 따라 종래 기술을 구성한다는 것 또는 이 명세서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에 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는 것에 대한 시인은 아니다.
규칙적인 샤워 또는 목욕은 현대 사회에서 일반적인 활동이다. 많은 문화권에서, 샤워욕조가 매일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낮동안 어떤 형태의 운동을 한 경우, 하루에 한 번 이상 씻을 수도 있다.
샤워의 결과로서, 또는 땀흘림 때문에, 사람이 젖을 수 있다. 이 수분의 건조는 사람에 대한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사람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바른 환경이 주어졌을 때, 그런 습기는 스스로 증발할 수 있지만, 편의와 안락함을 위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씻거나 운동 후에 스스로 몸을 닦는다. 수건으로 닦는 것이 사람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좋은 방법이지만, 박테리아나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특별히 발 주위- 건조는 시간이 걸릴 수 있고 그런 부분은 부적절하게 건조될 수 있다. 머리카락의 수건 건조는, 특히 긴 머리카락을 가진 사람에게 짜증나고 복잡한 일 일수 있다.
수건을 사용하여 사람을 원하는 만큼 건조하는 것과 관련된 이슈를 제외하고, 사용된 수건의 수와 사용빈도는 수건이 전체 세탁물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체육관, 스포츠클럽, 호텔에서 처럼 수건이 한 번만 사용되는 경우에 특별히 그러하다.
수건의 세탁은 에너지 집약적이고, 깨끗한 물의 소비는 환경의 관점에서 또한 문제가 된다. 담수자원의 고갈은 세계 많은 지역에서 널리 퍼진 문제로 알려져 있다. 세탁되는 수건의 숫자와 일반적으로 세탁되는 빈도는 상당한 양의 수자원을 소비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8030(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9344호(선행문헌2)와 같은 신체 건조기가 제공되었다. 이들 신체 건조기는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서면 사용자의 발이나 하체를 향해 신체를 건조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여 수건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선행기술1과 2는 사용자의 신체 전체에 대한 건조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2774호(선행문헌3)가 제시되었다. 여기서는 사용자의 신체 전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고, 신체의 전 부위에 고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여기서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상관없이 강제기류를 제공하므로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강제기류가 달리 공급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므로 과다한 건조가 발생하는 영역과 과소한 건조가 발생하는 영역 등 건조상태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중들에게 적어도 유용한 대안을 줄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위에서 언급된 문제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해결하거나 개선하고자 한다.
기존 기술의 특정한 측면이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논의되었지만, 출원인은 이러한 기술적인 측면을 결코 부인하지 않으며, 청구된 발명이 여기에서 논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존 기술적 측면을 포함하거나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본 개시는 건강 및 위생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위에서 언급된 문제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해결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장치 및 방법은 사람 또는 사람의 일부분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건조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수건에 대한 의존을 줄이거나 없앤다.
본 개시는 사람의 신체를 건조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강제기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특히 사람의 신체의 측방향 범위를 결정하고 이에 맞춰 강제기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르게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청구된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특징, 구성 및/또는 단계의 어떤 것과 모든 것의 조합을 포함하고, 이들 특징, 구성 및/또는 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에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몸체, 공기 입구,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흡입 공기를 받고 유동을 발생하는 유동발생기, 상기 유동발생기로부터의 공기유동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있으며 상기 몸체의 수직 높이를 따라 연장되는 공기 출구, 그리고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나오는 공기유동의 측방향 범위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설명한다. 제어기가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나오는 공기유동의 측방향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및" 또는 "또는", 또는 둘 다를 의미한다.
여기에 사용된 명사에 따르는 "(들)"은 명사의 복수 및/또는 단수 형태를 의미한다.
이 명세서의 목적상, "플라스틱"이라는 용어는 넓은 범위의 합성 또는 반합성 중합 생성물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탄화수소계 중합체(들)을 포함한다.
이 명세서의 목적상, 방법 단계들이 순서대로 기술되는 경우, 순서는 순서를 해석하는 다른 논리적 언급이 없거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단계들이 반드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순서대로 배열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구성에서의 많은 변화 및 광범위하게 다른 실시례 및 다른 적용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제안될 수 있다. 여기에 있는 개시 및 설명은 순전히 예시적인 것이며, 어떤 의미로든 한정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례들의 다른 면은 단지 예로서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의 건조면 가장자리를 둘러서 공기출구가 있고, 또한 몸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바아에서도 건조를 위한 공기가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신체를 전체적으로 건조함과 동시에 원하는 부위를 정확하게 건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와 바아에서 배출되는 강제기류의 온도를 열전장치를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의 수분 상태에 따라 적절한 온도의 강제기류를 공급하여 적절하게 건조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기출구에서 나오는 공기유동의 측방향 범위를 조절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사용하여 사용자 신체의 측방향 범위에 맞춰서 건조를 위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신체의 상반신과 하반신에 대해서 별도로 강제기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건조장치 몸체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을 분리하고 이들에 대해 별도의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통해 토출되는 강제기류의 측방향 범위를 달리 조절하여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맞춤형으로 건조를 위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으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19)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은 아래에 설명된 도면과 청구항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이 맞는 것이 아니며, 대신에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도면에서, 같은 숫자는 전체 도면에서 같은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00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 또는 측면은 예시적으로만 설명되고 도면을 참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건조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건조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건조장치의 상부영역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영역의 일부의 내부 요소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부영역의 내부 요소를 통한 공기흐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영역의 내부 요소를 통한 공기흐름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유동발생기와 제1공기출구 사이의 연결을 보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 유동발생기와 제1공기출구 사이의 연결을 보인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유동발생기중 하나와 제1공기출구 사이의 연결을 보인 후방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A-A'선을 따른 제1공기출구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1위치에 바아가 있는 도 1의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제2위치에 바아가 있는 도 1의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 건조장치를 위한 구동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A영역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C는 도 12B의 저면도이다.
도 12D는 본 발명 실시례의 건조장치의 바아의 고정기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추가 바아를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에 대한 구동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B부분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14c는 도 14b의 일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의 건조장치의 바아를 보인 상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바아를 보인 하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바아를 보인 후방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도 15에서 도 17의 바아의 다양한 내부 부분을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도 15에서 도 17의 바아의 다양한 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0과 도 21은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바아로부터 공기관리가 배출될 수 있는 예시적인 경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건조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어기에 의해 온도-습도 지수(THI)의 제어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어기에 의해 풍속냉각지수(Wind-Chill Index)의 제어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A와 도 25B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바아로 사용자가 건조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제어기에 의한 사용자의 건조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필터유니트가 분해된 것을 보이는 건조장치의 상부영역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도 27의 필터유니트의 다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유동발생기 하우징에서 공기입구와 입구경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0는 도 29의 공기입구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상부영역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례에서 도 32에서 도 33의 덕트조립체를 보인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구성요소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6a에서 도 36c는 3명의 다른 사용자의 정면 프로필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7a에도 도 37c는 도 36a에서 도 36c에 보인 사용자의 몸체 특성에 근거하여 건조장치에 의해 배출될 수 있는 3개의 예시적인 건조 공기유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건조장치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건조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례에 따른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보인 도면이다.
도 42는 도 38에서 도 39에 도시된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 세트를 가진 건조장치로부터 나오는 강제기류의 방향을 보인 도면이다.
도 43a와 도 43b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자 몸체와 관련하여 건조장치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도 38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0073)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0074) 다양한 용도에 대한 개시에 따른 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일차적 적용에서, 상기 건조장치는 목욕 또는 샤워 후에 사람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일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수건으로의 건조에 대한 보충물로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바람직한 형태로 수건으로의 건조에 대한 대체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몸체건조기로서의 건조장치의 사용에 의해, 사람이 건조장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강제기류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0075)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0076) 도 1에 따르면, 건조장치(10)는 몸체(100)와 바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아(bar)'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바아'는 바아형상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설계 표준 또는 의도된 결과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아(200)는 구동장치에 의해 몸체(100)에 대해 구동될 수 있고, 여기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0077) 상기 건조장치(10)는 인간 몸체 치수에 대응되도록 크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조장치의 구성에서, 건조장치(10), 그리고 특히 상기 몸체(100)는 인간 몸체를 가로지르는 강제기류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인간몸체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로 될 수 있다.
(0078) 상기 강제기류는 상기 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1공기출구(101)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강제기류는 또한 상기 바아(200)에 있는 제2공기출구(201)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0)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1공기출구(101)와 달리, 상기 제2공기출구(201)는 인간몸체의 다른 부분으로 강제기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바아(200)가 몸체(100)의 길이방향 길이(L1)를 따라 진행함에 따라 이동한다.
(0079) 상기 몸체(100)는 상기 건조장치(10)에 의해 건조를 위해 사용자가 있는 부분에 인접한 건조측 또는 건조면(14)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건조면(14)은 상기 제1공기출구(101) 및/또는 제2공기출구(201)를 통해 상기 건조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강제기류가 제공되는 면 또는 평면을 일반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측면도이고, 도 3은 건조면(14)의 정면도이다.
(0080) 예를 들어, 상기 건조장치(10)가 목욕실과 같은 한정된 공간 내에 제공되었을 때, 상기 건조장치(10)에 의해 최소한의 공간이 점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그리고 아마도, 미적으로도 만족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100)의 건조면(14)을 포함하는 부분이, 도 2의 측면도에 보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덜 돌출되는 것은 날씬한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0081) 이와 같이 슬림한 형태를 이루기 위해, 부피가 큰 적어도 상기 몸체의 일부의 내부 구성요소는, 상기 건조면(14)을 가지는 부분이 덜 돌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부 영역쪽에 배치될 수 있다(도 2에 도시된 공기입구(102)의 주변에).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은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또는 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부영역은 유동발생기, 열전장치, 유동가이드, 등등과 같은 부피가 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 구성요소는 최소화된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영역에 제공되면서 상기 몸체(100)의 하부영역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0082) 도 4는 상기 몸체(100)의 예시적인 상부영역의 상세도이다. 특히, 도 4에는, 상기 상부영역의 전면커버가, 필터유니트(104)에 인접한 2개의 유동가이드(116)중 하나의 출구를 노출시키도록 제거되었다. 상기 다른 공기유동가이드(116)는 도 4에서 볼 수 없지만, 도 4의 다른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니트(104)는 유동가이드(116)에 반대되거나 및/또는 협력하고 또 상기 몸체의 중앙에 있는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유니트(104)는 교체가능하거나 또는 교체불가능할 수 있다. 전면커버(도 4에 도시되지 않음)는 오래된 필터유니트(104)를 새로운 필터유니트로 교체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몸체(100)의 상부영역의 몇몇 내부 구성요소를 노출하도록 덮어씌우는 것이 제거된 것을 보인다.
(0083) 도 4와 도 5를 함께 참고하면,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은 한쌍의 유동발생기(110), 한쌍의 유동가이드(116), 한쌍의 열전장치(117)(이 장치는, 예를 들어, 열전모듈, 열전쿨러,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를 포함한다), 한쌍의 공기입구(102), 상기 필터유니트(104), 그리고 상기 내부 구성요소들을 둘러싸는 유동발생기 하우징(10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는 펠티에 효과와 같은 열전효과를 사용하는 장치인 열전장치를 사용하지만, 다른 실시례는 펌프, 압축기, 그리고 증발기,저항가열요소, 연소 또는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화학반응을 사용하는 공기관리 또는 열펌프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공기관리장치의 다른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몸체(100)의 공기관리시스템으로 고려될 수 있다.
(0084) 도시된 실시례에서, 한쌍의 유동발생기(110)가 사용된다. 다른 실시례에서는, 오직 하나의 유동발생기 또는 많은 숫자의 유동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유동발생기는 축류팬 또는 그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다수의 유동발생기를 포함하는 실시례들은 상기 몸체(100)로 균일한 공기유동을 만들어내도록 협력할 수 있다. 실시례들은 또한 몸체(100)의 다양한 부분에서 공기유동의 강도를 다양하게 하도록 상기 몸체(100)로 독립적인 공기유동을 발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한 쌍의 공기입구(102)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유동발생기(110)의 동작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유동발생기 하우징(103)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입구(102)는 상기 몸체(100)로 외부 공기에 대한 입구점을 제공한다.
(0085)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각각의 유동발생기(110)는 각각 자신의 공기입구(102)를 가진다. 하지만, 단일의 입구(102)는 상기 한 쌍의 유동발생기(110)와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2개 이상의 공기입구가 상기 한 쌍의 유동발생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0086) 공기입구(102)에 들어간 공기는 상기 공기입구(102)와 필터유니트(104) 사이에 위치된 각각의 유동가이드(116)에 의해 안내된다. 본 실시례에서, 각각의 유동가이드(116)는, 필터유니트(104)로부터 각각의 유동발생기(110)로 정화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경로의 일부가 될 수 있는 출구 공기 유동경로(105)(도 7을 보시오)를 부분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출구 공기 유동경로(105)를 포함하는 유동 경로의 보다 상세한 것은 도 6과 도 7의 설명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0087) 본 실시례가 한쌍의 유동가이드(116)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유동가이드(116)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상기 유동가이드쌍(116)의 다른 유동가이드도 반영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유동가이드(1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유동가이드(116)의 일측 단부는 각각의 공기입구(102)와 연결되고, 또 다른 단부는 상기 필터유니트(104)의 상류측으로 개방된다. 상기 각각의 유동가이드(106)의 몸체는 곡면으로 된 내면과 곡면으로 된 외면을 포함한다. 상기 곡면으로 된 내면은 상기 출구 공기유동경로(105)를 향하고 또 상기 필터유니트(104)의 하류부 측과 각각의 유동발생기(110) 사이의 유동경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0088) 따라서, 각각의 유동가이드(116)는 각각의 공기입구(102)와 상기 필터유니트(104)의 상류부 사이에서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유동가이드(11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필터유니트(104)의 하류부 측과 각각의 유동발생기(110) 사이에서 유동 경로의 벽을 형성한다. 이 구성에서, 각각의 유동가이드(116)는 각각의 공기입구(102)를 통해 들어온 공기를 전달할 수 있고 상기 필터유니트(104)로 공기를 전달한다. 상기 필터유니트(104)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발생기(110)가 제1공기출구(101)로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출구 공기유동경로(105)로 유동될 수 있다.
(0089) 위의 구성에서, 각각의 유동가이드(116)는 상기 필터유니트(104)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를 분리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각각의 유동가이드(116)는 상기 유동발생기(110)를 향해 유동하는 정화된 공기로부터 공기입구(102)로 부터 들어온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도 있다.
(0090) 대안적인 구성에서, 상기 유동가이드(116)는 상기 필터유니트로 흡입공기를 안내하는 기능과 상기 유동발생기와 상기 필터유니트 출구 사이에서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기능 모두는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입구(102), 유동가이드(116), 필터유니트(104), 그리고 유동발생기(110)는 일렬로 설치되거나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유동가이드(116)는 상기 공기입구(102)와 필터유니트(104) 사이에서 공기를 전달만 할 수 있다.
(0091) 한쌍의 열전장치(thermoelectric devices)(117)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열전장치(117)는, 예를 들면, 펠티어 효과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히터, 쿨러,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형태의 알려진 열적 요소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가지는 냉동사이클이 공기의 냉각 및/또는 가열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저항 히터가 상기 공기의 가열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92) 본 실시례에서, 한 쌍의 열전장치(117)가 있다. 따라서, 아래의 설명은 하나의 열전장치(117)에 대한 것이고, 다른 열전장치는 동일하다. 이를 위해, 각각의 열전장치(117)는 제1면(118)과 제2면(119)을 가진다. 열전장치(117)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일면이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고 반면에 타면은 각각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면(즉, 외면)(118)이 가열될 때, 상기 제2면(즉, 내면)(119)은 가열된다. 반대로, 상기 제1면(118)이 가열될 때, 상기 제2면(119)은 냉각된다.
(0093) 각각의 열전장치(117)는 상기 필터유니트(104)를 통과한 출구공기유동경로(105)(도 7을 보라)에서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다. 이것을 촉진하기 위해, 열전장치(117)의 제2면(119)은 상기 출구공기유동경로(105)에 노출될 수 있다. 열전장치(117)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면(119)은 상기 출구공기유동경로(105)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는 각각의 유동발생기(110)로 흡입될 수 있다.
(0094) 프로세서가 열전장치(117)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전장치(117)에 연결된 전압원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A/D컨버터는 상기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양 또는 음의 값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전류가 상기 열전장치(117)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A/D컨버터는 음전류에 대응되는 그 출력값의 절반과 양전류에 대응되는 절반을 가질 수 있다.
(0095) 배기구(130)는 건조장치에서 열전장치(117)가 사용될 때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에 포함된 한 쌍의 열전장치(117)와 관련된 한 쌍의 배기구(130)를 보인다. 각각의 배기구(130)는 상기 열전장치(117) 각각 중 하나의 제1면(118)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기구(130)는 상기 몸체의 상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0096) 상기 열전장치(117)가 히터로서 동작할 때, 건조장치(10)의 외부로 상기 각각의 배기구(130)에 의해 차가운 배출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전장치(117)가 냉각기로서 동작할 때, 상기 배기구(130)에 의해 따뜻한 배출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0097)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의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유동을 보인다. 도 7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의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유동의 다른 도시이다.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의 구성요소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은 다른 유동발생기(110)와 공기유동이 유사하므로 하나의 유동발생기(110)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0098) 본 실시례는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유동발생기(110)가 동작될 때, 도 7의 공기유동화살표(106,107)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기는 상기 공기입구(102)를 통해 흡입되어 유동가이드(116)을 통해 상기 필터유니트(104)의 전면에 도착한다. 정화된 공기는 상기 필터유니트(104)의 측면들을 통해서 배출된다.
(0099) 상기 정화된 공기는, 상기 필터유니트(104)를 나온 후에, 도 7에 공기유동화살표(10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출구공기유동경로(105)에 도달한다. 상기 정화된 공기는 상기 출구공기유동경로(105)에서 상기 열전장치(117)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열전장치(117)로부터 나온 공기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고 공기유동화살표(131)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공기유동화살표(10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는 상기 유동발생기(110)에 의해 아래로 흡입되어 유동발생기(110)에 의해 가압되고, 도 7에 공기유동화살표(10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기출구(101)로 간다.
(00100) 상기 몸체(100)의 공기관리시스템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되었다. 위에서 설명된 구성을 가지는 건조장치(10)는 건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찬공기나 따뜻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욕실일 수 있다. 더운 날동안에는 상기 건조장치(10)는 욕실을 차게 할 수 있다. 추운 날동안에는 상기 건조장치(10)는 욕실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여기서 설명된 공기관리시스템을 사용자를 건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110)에 의해 가압된 찬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는 상기 건조면(14)(도 1-3을 보시오)에서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있는 제1공기출구(101)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건조면에 있는 사용자는 배출되는 찬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00101) 도 8은, 본 발명에 실시례에 따른, 상기 유동발생기(110)와 상기 몸체(100)의 제1공기출구(101) 사이의 연결을 보이는 도면이다.
(00102)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발생기(110)는 덕트(121)로 공기유동을 제공한다. 상기 덕트(121)는 상기 몸체(100)의 제1공기출구(101)로 공동개구(125)를 통해 결합된 강제기류를 안내한다. 본 실시례에서, 저항히터(120)는 상기 강제기류를 더 가열하기 위해 상기 공동개구(125)에 배치된다. 이 구성은, 상기 유동발생기(110)로부터 가열된 강제기류가 상기 공기출구(101)로 가기 전에 더 가열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구성은 욕실의 신속한 난방이 요구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건조동안에 추가의 가열된 강제기류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00103) 도 8에 저항히터가 도시되었지만, 어떤 다른 적절한 열적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열적 요소는 상기 공동개구(125)를 나와서 유동하는 공기유동을 선택적으로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104) 도 9A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유동발생기(110)와 상기 몸체(100)의 제1공기출구(101)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보인다.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와 같지 않게, 각각의 유동발생기(110)의 출구는 도 9A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례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의 제1공기출구(101)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제1공기출구(101)는 상기 제1공기출구(101)의 상부측에 공기개구(128)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기개구(128)는 상기 유동발생기(110)중 하나의 각각의 출구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몸체(100)의 제1공기출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유동발생기(110)의 출구를 가짐에 의해, 상기 연결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고 강제기류는 상기 제1공기출구(101)로 직접 유동될 수 있다.
(00105)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강제기류는 도 8에 도시된 강제기류보다 더 강할 수 있다. 이는 도 8의 에서는, 각각의 유동발생기의 수직방향의 강제기류는 상기 덕트(12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유동되고, 단일의 강제기류률 형성하기 위해 서로 충돌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덕트(121)는 상기 단일의 강제기류를 상기 제1공기출구(101)로 수직 하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에 반해, 도 9A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각각의 유동발생기의 강제기류는 상기 제1공기출구(101)로 수직 하방으로 직접 유동된다.
(00106) 도 9B는 상기 유동발생기 중의 하나와 도 9A의 제1공기출구 사이의 연결을 보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성에서, 상기 유동발생기(110)는 팬조립체(1101)와 도관(1102)을 포함한다. 상기 팬조립체는 축류팬 및 그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더 좋기로는, 상기 팬조립체는 고속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는 고속모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팬조립체는, 분당 회전수(RPM) 115,000까지 동작할 수 있는 한국의 엘지전자의 스마트 인버터 모터(Smart Inverter MotorTM)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팬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00107) 상기 팬조립체(1101)는 상기 제1공기출구(101)에 연결된 원통형 튜브일 수 있는 도관(1102)에 연결된다. 하지만, 상기 도관(1102)은 원통형 튜브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은 타원형 튜브, 정사각형 튜브, 직사각형 튜브 등등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도관(1102)은 상기 팬조립체(1101)에 의해 도관(1102)의 범위 내에 흡입된 공기를 포함하고, 강제기류의 속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배출되는 강제기류의 속도를 상기 팬조립체(1101)에 의해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의 강제기류가 상기 제1공기출구(101)로 도입된다.
(00108)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상기 몸체의 제1공기출구(101)를 더 도시하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기출구(101)는 상기 몸체(100)의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공기출구(101)는 상기 몸체(100)(도 3을 보시오)의 건조면(14)의 가장자리의 형상을 실제로 따른다. 하지만,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상기 공기출구(101)가 다수의 다른 구성중 어느 하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공기출구(101)는 상기 건조면(14)(예를 들어, 도 31을 보시오)을 수직으로 및/또는 수평으로 가로질러 위치된 다수개의 슬릿으로 구성될 수 있다.
(00109) 다시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례에 따른 상기 제1공기출구(101)는, 덕트(122), 벤트(126) 그리고 핀(127)을 포함한다. 상기 덕트(122)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으로부터 강제기류를 받고, 상기 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제기류를 전달한다.
(00110) 상기 덕트(122)는 상기 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몸체(100)(도 1과 도 3을 보시오)의 건조면(14)으로부터 볼 수 있는 벤트(126)에 연결된다. 상기 강제기류는 상기 벤트(126)를 통해 상기 몸체(100)를 빠져나간다. 상기 핀(127)은 상기 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상기 벤트(126)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벤트(126)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2개로 구분한다. 상기 핀(127)은 상기 벤트(126)로부터 강제기류가 유동되어 나오는 것을 안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핀(127)은 상기 벤트(126)에 고정되고 강제기류를 바깥쪽으로 똑바로 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00111)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핀은, 바라는대로,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상기 몸체(100)에서 나오는 강제기류를 안내하도록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제기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100)에 대하여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수렴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의 좌측의 핀은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몸체(100)의 우측에 있는 핀은 좌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역으로, 상기 강제기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100)에 대해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분지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좌측의 핀은 좌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몸체(100)의 우측에 있는 핀은 우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00112) 지금까지,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상기 건조장치(10)의 몸체(100)가 설명되었다. 상기 건조장치(10)는 강제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바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아(20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00113)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길이(L1)를 따른 2개의 개별 구동위치에 있는 바아(200)를 도시하고 있다.
(00114) 상기 바아(200)는, 이후에 설명될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길이(L1)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바아(200)의 이동범위는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길이(L1)에 일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거나 다르게는, 특정 사용자의 키와 더 밀접하게 일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장치(10)는 상기 건조면(14)에 인접하게 사용자가 위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요구되는 길이(예를 들어, 키)가 상기 바아(2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공기출구(201)의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아(200)는, 상기 제2공기출구(201)로부터 강제기류를 배출하면서 도 11A에 도시된 상부위치로부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데(원하는 경우 반복해서), 여기서 도 11A와 도 11B에서 상기 바아(200)의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거리는 사용자의 키에 대응될 수 있다.
(00115) 도 12A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상기 바아(200)의 구동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A부분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확대도면이다. 도 12C는 도 12B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하부사시도이고, 도 12D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상기 바아(200)의 예시적인 고정기구(210)를 보인 도면이다.
(00116) 도 12A와 12B를 참고하면, 상기 구동장치(11)는 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기 바아(200)를 구동한다. 상기 구동장치(11)는 상기 몸체(100)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르면, 상기 구동장치(11)는 리드스크류(40), 너트(41), 및 모터(50)를 포함한다.(도 13을 보시오) 상기 리드스크류(40)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0)의 건조면(14)의 길이방향 길이(L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50)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모터(50)는, 상기 너트(41)가 상기 리드스크류(4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몸체(100)의 건조면의 길이방향 길이(L1)를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40)의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모터(50)가 상기 리드스크류(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어느 위치에라도 있을 수 있다. 상기 모터(50)의 축은 상기 리드스크류(4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리드스크류(40)의 상단부). 따라서, 상기 모터가 상기 축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리드스크류(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모터(50)가 상기 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리드스크류(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00117) 도 12B 및 12C를 참고하면, 상기 너트(41)는 상기 리드스크류(40)의 나사산에 대응하도록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40)와 결합된다. 상기 너트(41)는 상기 바아(200)에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너트(41)는 상기 바아(200)가 장착된 브라켓조립체(44)에 고정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상기 바아(200)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상기 너트(41)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리드스크류(40)가 상기 모터(50)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너트(41)는, 차례로, 상기 바아(200)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상기 리드스크류(40) 상에서 오르내린다.
(00118) 예를 들면, 상기 모터(50)가 상기 리드스크류(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너트(41)는 상기 리드스크류(40)의 위로 이동하고, 차례로 상기 바아(200)가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해 그리고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상부로 이동한다. 반면에, 상기 모터(50)가 상기 리드스크류(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너트(41)는 상기 리드스크류(40)의 아래로 이동하고, 차례로 상기 바아(200)를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해 그리고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아래로 이동한다.
(00119) 다른 예에서, 상기 모터(50)가 상기 리드스크류(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너트(41)는 상기 리드스크류(40)의 하부로 이동하고, 차레로 상기 바아(200)를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하여 그리고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아래로 이동한다. 상기 모터(50)가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리드스크류(40)를 회전할 때, 상기 너트(41)는 상기 리드스크류(40)의 상부로 이동하고, 차례로, 상기 바아(200)는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해 그리고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서 상부로 이동한다.
(00120) 도 12C 및 12D를 참고하면, 상기 브라켓조립체(44)는 상기 몸체(1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하는 안내트랙(46)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내부재(45)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가이드트랙이 사용되고, 상기 몸체(100)의 양측 사이드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안내트랙(46)을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안내부재(45)와 안내트랙(46)은 소정의 수직경로를 따라 상기 바아(200)를 안내한다.
(00121) 예를 들면, 상기 안내부재(45)와 안내트랙(46)은 상기 리드스크류(40)의 회전 때문에 기인할 수 있는 길이방향 축에 대한 회전운동에 대항하여 상기 바아(200)를 유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이중 안내트랙(46)은 상기 몸체(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바아(200)에 안정성도 제공할 수 있다.
(00122)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아(200)는 상기 브라켓조립체(44)의 안내부재(4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210)는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아(200)의 양측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안내부재(45)는 상기 고정기구(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공간(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아(200)가 상기 브라켓조립체(44)에 장착될 때, 상기 고정기구(210)는 상기 안내부재(45)의 공간(47)에 슬라이드되어 들어가고, 이에 의해 상기 고정기구(210)가 상기 안내부재(45)에 장착된다.
(00123) 상기 고정기구(210)는 상기 고정기구(210)의 사이드로부터 돌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212)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거나 스프링이 들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210)가 상기 안내부재(45)의 상기 공간(47)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212)는 상기 바아(200)를 상기 브라켓조립체(44)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공간(47)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되는 슬롯에 걸어질 수 있다.
(00124) 상기 고정기구(210)는 상기 브라켓조립체(44)로부터 상기 바아(200)의 용이한 분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2)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거나 또는 스프링이 들어 있으므로, 상기 바아(200)는 충분한 힘을 가함에 의해 상기 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바아(200)는 다른 바아(200)와 교체될 수 있고 정비를 위해 전체 건조장치(10)를 가져갈 필요없이 정비될 수 있다.
(00125) 리드스크류와 너트를 사용하는 구동장치의 실시례가 설명되었다. 다른 예시적인 구성에서, 상기 바아(200)는 상기 리드스크류와 너트 이외의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몸체(100) 상에서 구동될 수 있다. 실제로, 요구되는 상대적인 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드스크류와 너트는 랙 및 피니언 시스템, 풀리와 벨트구동, 또는 요구되는 동작이 선형동작인 경우,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00126)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바아(200)와 제2바아(300)를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00127) 도 13을 참고하면, 건조장치(10)는 바아(200)와 제2바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아(300)는 제3공기출구(30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10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바아(300)는 그 자체의 너트(43)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너트(43)는 그 자체의 리드스크류(4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너트(43)는 상기 제2바아(300)가 상기 몸체(100)에 대해 구동될 수 있도록 그 자체의 브라켓조립체(48)에 고정된다. 상기 리드스크류(42)는 그 자체의 모터(5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바아(300)의 구동과 관련된 구성요소, 그리고 그들의 기능은 상기 바아(200)와 관련해서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고,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된다.
(00128)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례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장치(10)에 훨씬 더 많은 바아가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11)는 상기 몸체(100)에서 다수개의 바아를 수용할 수 있도록 모듈식일 수 있다.
(00129)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로서, 상기 바아(200)는 그 자체의 모터(50), 리드스크류(40), 너트(41), 그리고 브라켓조립체(44)와 관련된다. 상기 모터(50), 리드스크류(40), 그리고 상기 너트(41)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바아(200)는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바아(300)는 그 자체의 모터(52), 리드스크류(42), 너트(43), 그리고 브라켓조립체(48)와 관련된다. 상기 모터(52), 리드스크류(42), 너트(43)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바아(300)는 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한다. 하나의 바아에 관련된 상기 모터, 리드스크류, 너트 그리고 브라켓조립체는 다른 바아에 대해 동작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바아의 상기 모터, 리드스크류, 너트, 및 브라켓조립체는 오직 해당 바아에 대해서 동작한다.
(00130) 따라서, 각각의 추가의 바아에 대해서, 대응되는 모터, 리드스크류, 너트 그리고 브라켓조립체가 해당 바아를 수용하기 위한 구동장치에 추가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건조장치(10)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몸체(100)상에 다수의 바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각각의 구동장치는 서로로 부터 이격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함께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바아를 수용할 수 있다.
(00131) 도 13은 동일한 안내트랙(들)을 사용하는 상기 바아(200)와 상기 제2바아(300)를 보인다. 예시적인 대안적 구성에서, 상기 바아(200)와 제2바아(300)는 분리된 안내트랙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바아(200) 또는 상기 제2바아(300)는, 상기 바아(200) 또는 제2바아(300)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 자체의 구동경로의 범위를 따라 원하는 위치로 동작될 수 있다.
(00132) 도 14A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례에 따른 랙과 피니언 구동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14B는 B부분의 랙과 피니언 구동조립체의 확대도이고, 도 14C는 도 14B의 랙과 피니언 구동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00133) 도 14A, 14B, 14C를 참고하면, 상기 바아(200)는 랙과 피니언조립체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몸체(100)의 연장된 높이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과 피니언조립체는 랙(54), 스테퍼모터(55), 그리고 상기 스테퍼모터(55)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54)은 상기 몸체(100)의 사이드를 따라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랙(54)은 상기 몸체(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랙은 상기 몸체(10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랙이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00134) 본 실시례에서, 상기 랙(54)은 상기 몸체(100)의 사이드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아(200)의 행정 거리를 커버하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랙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 사이드에만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랙은 상기 몸체(100)의 양측 사이드에 위치된다. 상기 몸체(100)의 양측 사이드에 랙(54)을 가지는 것은 상기 바아(200)가 상기 몸체(100)를 따라 더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00135) 상기 바아(200)는 상기 바아(20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안내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a에서 도 12d와 도 13을 보시오)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바아(200)는 단일의 랙(54)을 사용하는 건조장치에 대응하도록 단지 하나의 안내부재(45)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아(200)의 상기 가이드부재(45)는 상기 몸체(100)에 위치된 대응되는 안내트랙(46)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안내트랙(46)은 대응되는 랙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아(200)가 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안내트랙(46)은 상기 안내부재들(45)을 통하는 미리 정해진 경로에 상기 바아(200)를 유지한다.
(00136) 피니언기어(56)를 포함하는 상기 스테퍼모터(55)는 각각의 안내부재(4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바아(200)의 이동 거리에 대응할 수 있는 랙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퍼모터(55)에 있는 피니언기어(56)는 상기 랙(54)을 따라 상기 바아(200)가 이동하도록 상기 랙(54)의 치와 맞물린다. 상기 스테퍼모터(55)는 상기 바아(200)의 이동을 구동한다. 예를 들어, 스테퍼모터(5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바아(200)는 상기 랙을 따라 위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스테퍼모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바아는 상기 랙을 따라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00137) 본 실시례에서, 하나의 스테퍼모터(55)는 상기 바아(200)를 이동하기 위해 하나의 안내부재(45)에 설치될 수 있는데, 다른 안내부재(45)는 단순히 안내의 역할만 하면서 거기에는 스테퍼모터가 설치되지 않는다. 다른 랙(54)은 상기 몸체(100)의 다른 쪽에 설치될 수 있고 또 다수개의 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피니언기어가 다른 랙(54)의 치와 결합하기 위해 다른 안내부재(45)에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랙(54)과 함께 동작하는 2개의 안내부재(45)를 가지는 것은 상기 바아(200)의 양측 단부에서 균등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2개의 피니언 기어(56)가 서로 하나로 되어 있고 하나의 스테퍼모터(55)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다르게는, 2개의 스테퍼모터(55)가 각각의 피니언기어(56)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138) 도 14a에서 도 14c의 랙과 피니언 구동조립체를 사용하는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몸체(100) 내부의 공간을 점유하는 경우(도 13을 보시오), 도 12a에서 도 13에 도시된 구동장치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의 공간을 점유하는 구동장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도 14a에서 도 14c의 구동장치(11)는 상기 몸체(100)에 제공된 덕트(122)(도 32에서 도 34를 보시오)를 허용할 수 있다. 이 것은 몸체(100)에 제공될 수 있는 모든 공간이 아니라면 덕트(122)가 대부분을 점유하도록 하여 유동발생기(100)에 의해 발생한 강제기류의 많은 부분이 상기 덕트(122)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00139)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상기 바아(200)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상기 바아(200)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대안적인 구성에 따른 상기 바아(200)의 후방사시도이다.
(00140)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바아(200)는 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기 바아(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몸체(10)에 대응되는 다른 위치에서 강제기류를 제공하는 제1공기출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아(200)와 몸체(100) 사이의 상기 구동장치(11)에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안내부재(45)는 상기 몸체(100)에 대한 그 운동에서 상기 바아(200)를 안내할 수 있다.
(0014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입구(205)가 상기 바아(200)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입구(205)는 상기 바아(200)의 단부와 쉴드(206) 사이에 형성된 공동내에서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쉴드(206)는 바닥면을 제외하고 그 상부면과 측면에서 차폐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아(200)의 단부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쉴드(206)의 개방된 바닥면은 공기입구(205)가 흡입공기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구성은 물의 낙하 또는 튐에 의해 공기입구(205)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공기입구(205)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동발생기(204)를 수용하는 상가 바아(200)로 흡입공기가 들어가도록 공급한다.(도 18을 보시오)
(00142) 도 17은 상기 제2공기출구(20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바아(200)의 후단에 위치된 2개의 공기입구(202)를 도시한다. 대조적으로, 도 16의 구성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입구(205)는 상기 바아(200)의 각 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바아(200)는 사용자를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몸체(100)보다 더, 상기 바아(200)는 사용자에게 더 근접하기 때문에 더 젖게 되기 쉬울 수 있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입구(202)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7의 구성에서, 상기 공기입구(202)는,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바아(200)의 후면에 제공된다.
(00143)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상기 바아(200)의 다양한 내부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특별히, 도 18은 한 쌍의 유동발생기(204)와 공기도관(207)을 노출하도록 그 커버가 제거된 바아(200)를 보인다. 상기 바아(200)는 상기 공기입구(202)로부터의 흡입공기를 수용하고 상기 공기도관(207)을 통해 강제기류를 발생하는 한 쌍의 유동발생기(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도관(207)은 강제기류가 통과하고 상기 제2공기출구(201)에 의해 토출되도록 하는 중간출구(208)를 포함할 수 있다.
(00144) 도 19는 도 18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상기 바아(200)의 다양한 부품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다.
(00145)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바아(200)는 한쌍의 유동발생기(204), 한쌍의 모터(220), 한쌍의 열적장치(예를 들면, 저항히터, 열전장치, 그리고 다른 적절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도관(207)을 포함하는 다양한 내부 부품을 보이도록 분리된 그 커버(230)를 가진다. 상기 바아(2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입구로부터 흡입공기를 받는 유동발생기(204)를 가진다.(도 16과 17을 보시오) 상기 한쌍의 유동발생기(204)는 받은 공기로부터 상대적으로 고속의 강제기류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최대 115,000RPM으로 작동함에 의해 고속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스마트 인버터 모터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형식의 축류팬조립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00146) 상기 한쌍의 유동발생기(204)로부터의 강제기류는 상기 중간출구(208)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도관(207)을 통과한다. 상기 공기도관(207)은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튜브, 사각튜브, 직사각형 튜브 등등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도관(207)은 상기 공기도관(207)의 범위 내에 한 쌍의 유동발생기(204)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지는데, 강제기류의 속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한쌍의 유동발생기(204)에 의해 배출되는 강제기류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속의 강제기류가 상기 중간출구(208)로 도입된다. 상기 배출된 공기는 결국 상기 제2공기출구(201)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례가 한쌍의 유동발생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구성으로 하나의 유동발생기 또는 2개 이상의 유동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00147) 본 실시례에서, 한 쌍의 저항히터(120)가 상기 바아(200)의 부품으로 보여진다. 저항히터(120)는 각각의 유동발생기(204)의 하류에 위치된다.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저항히터는 유동발생기의 상류에 위치되거나 유동발생기에 일체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유동발생기(204)와 저항 히터(120)는 상기 공기도관(207)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도 18을 보시오) 상기 공기도관(207)은 상기 저항히터(1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중간출구(208)를 향해 안내할 수 있고 또 상기 제2공기출구(20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00148) 본 실시례는 흡입공기 유동을 가열하기 위한 저항히터를 사용하지만,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예를 들면, 펠티어효과를 사용하는 열전장치가 흡입공기 유동을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상기 바아(200)는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차가운 공기도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00149) 상기 바아(2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터(220)는 상기 몸체(100)의 건조면(14)에 평행할 수 있는 상기 바아(200)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터(220)는 그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함에 의해 상기 바아(200)가 위와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아(200)를 상하로 틸팅함에 의해, 상기 바아(200)는 강제기류가 가해질 수 있는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강제기류를 불어내면서 상기 바아(200)를 연속적으로 상하로 틸팅함에 의해, 상기 바아는 건조성능을 높일 수 있다.
(00150) 도 20 및 2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공기출구(201)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기초하여, 가압된 공기가 상기 제2공기출구(201)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00151) 상기 제2공기출구(201)는 사용자의 키를 따라 상하로 상기 바아(200)가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폭을 상기 배출되는 공기유동이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아(200)는 사용자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강제기류를 안내할 수 있는 적절한 제2공기출구(201)를 가질 수 있다.
(00152) 도 20을 참고하면,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공기출구(201)는 측방향으로 퍼지는 강제기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출구(201)로부터 강제기류가 더 멀어지도록 유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몸체의 폭을 적어도 수평방향으로 더 커버하도록 강제기류가 확장된다. 강제기류의 확장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의 예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00153) 상기 공기도관(207)의 중간출구(208)는 공기유동이 제2공기출구(201)로부터 더 유동할 때 상기 강제기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원형, 타원형 또는 사변형 공기출구로 될 수 있다. 예로서, 원형의 공기출구는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몸체의 작은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강한 강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직사각형 공기출구는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몸체의 더 넓은 영역에 대해 더 약한 강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00154) 강제기류가 배출되는 각도는 상기 중간출구(208)에서 호(Arc)의 각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좁은 호는 좁지만 사용자의 몸체의 작은 부분을 커버하는 강한 공기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넓은 호는 더 넓지만 사용자의 몸체의 더 넓은 부분을 커버하는 더 약한 공기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중간출구(208)의 형상과 호의 각도는 사용자의 몸체에 대한 강제기류의 요구되는 효과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00155) 이제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제2공기출구(201)는 평면 날 형태로 출구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바아(200)의 길이방향 길이(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해 측면방향으로)를 가로지르는 연장될 슬릿으로 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상기 슬릿의 길이는 사용자의 몸체의 폭을 커버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상기 바아(200)는 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 및/또는 하로 수직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2공기출구(201)의 강제기류는 사용자의 몸체의 모든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위해, 상기 중간출구(208)는 상기 공기도관(207)의 길이방향 길이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연장된 슬롯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된 슬릿인 제2공기출구(201)는 상기 중간출구(208)의 슬릿과 대응된다.
(00156) 도 22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10)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제어기(53)는 건조장치(1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53)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회로, 전기회로, 논리 전기회로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00157) 제어기(53)는 상기 몸체(100)의 유동발생기(110) 및 열전장치(11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유동발생기(204)와 상기 바아와 관련된 저항히터(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구동장치(11)를 제어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상기 모터(2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위에서 설명되었고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기(53)는 건조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58)에 정보를 저장하고 접근할 수 있다.
(00158) 상기 건조장치(10)는 상기 제어기(53)에 의해 역시 제어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20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센서(209)는 상기 몸체(100) 및 바아(200)에 다양하게 연관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2C 및 16) 몇몇 실시례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209)가 상기 건조장치(10)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될 수 있다.
(00159) 도 12C 및 16에 도시된 실시례와 같은, 다양한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209)는 상기 바아(200)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바아(2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209)로부터 감지정보를 받을 수 있고 상기 제어기(53)는 동작 파라메터로서 센서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건조장치(10)를 동작할 수 있다.
(00160) 예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의 감지 정보는 상기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의 다양한 특징 및/또는 사용자의 조건 및/또는 다양한 특징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53)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는 사용자의 존재, 사용자의 전체 및/또는 특정한 치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 사용자의 몸체 및/또는 그의 몸체의 다른 부분의 젖음정도, 특히, 주변공기의 온도 또는 열 및/또는 주변 공기의 습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건조장치(10)는 아래에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209)를 포함할 수 있다.
(00161) 상기 하나의 또는 그 이상의 센서(209)는 적외선 센서와 같은 열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는 주위의 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는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주변 공기의 온도에 대한 정보는 주변 공기를 조절할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획득되어질 수 있다.
(00162) 상기 적외선센서는 상기 건조장치(1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사용자의 몸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로부터의 정보는 사용자의 몸체 및/또는 사용자의 몸체의 특정한 부분의 습도수준을 추론하거나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로부터의 정보는, 주위 공기의 온도와 체온이 다른 사용자의 몸체의 전체에 대한 지표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163)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209)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건조장치(10)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근접센서로부터의 정보는 상기 건조장치(10)의 건조면으로부터 사용자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건조면(14)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건조장치는 사용자를 건조하기 위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로부터의 정보는, 사용자를 향하는 강제기류의 원하는 속도를 얻기 위해,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공기출구(101) 및/또는 공기출구(201)로부터의 강제기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164) 상기 근접센서는 만약 사용자가 건조장치 또는 그 일부에 지나치게 근접하였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상의 이유로, 사람이 바아에 대해 특정한 거리 내에 있거나 그에 대해 특정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바아(200)의 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는 사람의 몸체의 일부가 상기 바아(200)의 위 또는 아래, 그 운동의 경로 내에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00165)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209)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는 주변의 이미지정보를 얻거나, 사용자의 존재를 결정하거나, 그리고 사용자의 몸체의 전체 및/또는 사용자의 몸체의 특정 부분의 치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는 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정보를 위한 열센서와 함께 또는 대신 사용될 수 있다.
(00166)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209)는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 주변 공기의 습도, 예를 들면, 상기 건조장치가 설치된 욕실의 습도수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10)는 상기 습도수준이 미리 정해진 수준 아래가 될 때까지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 사용자의 피부의 젖음/마름의 수준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사용자의 피부가 너무 건조하게 되지 않도록 강제기류에 가해지는 열을 조절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00167)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센서외에도, 이 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센서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168)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10)는 주어진 공간의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은 욕실일 수 있다. 더운 날에는, 상기 건조장치(10)는 욕실을 냉각할 수 있고 추운 날에는 상기 건조장치(10)는 사용자의 평안함을 위해 욕실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욕실의 주위 온도 또는 주위 열 수준을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만족을 위한 온도조절을 위해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00169) 예를 들어, 더운 욕실에서, 사용자는 시원하게 유지하도록 땀을 흘릴 수 있다. 상기 땀은 사용자의 몸체로부터 어느 정도의 열을 취하면서 증발하여 시원한 느낌을 제공한다. 하지만, 욕실에서 습도수준이 높을 때, 상기 땀은 효과적으로 증발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의 몸체에 수분으로 남아 있게 된다. 이 것은 욕실의 온도보다 사용자가 더 덮다고 느끼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00170) 따라서, 욕실을 조절하는 상기 제어기(53)는 온도 뿐 아니라 습도도 고려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사용자의 편안함을 결정하기 위해 온도와 습도를 연관시키는 쾌적도 지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불편지수로서 알려진, 온도-습도 지수(THI)가 현재 감지된 온도와 현재 감지된 습도에 대해 편안함 감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171) THI를 결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몇개의 공식이 있다. 하나의 공식은
THI = Td - (0.55 - 0.55RH)(Td - 58) 이다.
여기서, Td 는 ℉로 된 건구온도이고, RH는 백분율로 된 상대 습도로서, 십진수로 표현되었다. 예를 들어, 50% 상대습도는 0.5이다.
(00172) 상기 THI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적인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온도는 사람에게 다르게 영향을 준다. 키, 몸무게, 성별, 건강상태, 등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가 특정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온도를 다르게 느끼도록 할 수 있다.
(00173) 아래의 표는 일반적인 사람의 편안함을 반영한 THI이다.
레벨 THI 범위 편안함 수준
매우 높음 80 이상 모두가 불편함을 느낌
높음 75~ 80 이하 50%가 불편함을 느낌
보통 68~75 이하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
낮음 68 이하 불편함을 느끼지 않음
(00174) 도 2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어기에 의해 온도-습도지수(THI)를 사용하여 주어진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00175) 도 23을 참고하면, S10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열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욕실의 주변온도일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욕실의 습도레벨일 수 있다. S120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THI를 결정하기 위해 얻어진 상기 온도정보와 습도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53)가 상기 THI를 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식이 위에서 제공된 식일 수 있다. 상기 식은 상기 제어기(53)에 의해 접근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58)에 저장될 수 있다.
(00176) S13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0)는 구해진 THI가 75와 같거나 더 큰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 지수 75는 상기 메모리(58)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 지수 75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기준 지수 75는 개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메모리(58)에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만약 상기 THI가 75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기(53)는 S160 단계를 계속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THI의 조절을 빠져나갈 수 있다.
(00177) 그렇지 않으면, S13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가 상기 THI가 75와 같거나 또는 더 크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기(53)는 S140단계를 계속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유동발생기를 동작하기 위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온 또는 오프될 수 있고, 일정한 공기유동을 발생시킨다. 다르게는, 상기 제어기(53)는 원하는 공기유동에 대응하는 공기흡입량 값을 사용함에 의해 가변 공기흡입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몸체(100)에 위치된 유동발생기(110)일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열전장치(117)를 작동시킬 수 있다. 유동발생기와 열전장치의 작동은 순차적일 필요는 없고, 이는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역의 순서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00178)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공기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또는 가열)하도록 상기 열전장치(117)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냉각된 공기는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공기를 제습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되고, 제습된 공기는 상기 공기출구(10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53)는 열레벨치를 통해 가열 또는 냉각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레벨치는 주변 공기보다 더 차거나 또는 더 높은 열레벨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53)는 S100 단계에서 S130 단계를 반복하도록 S100 단계를 계속할 수 있다.
(00179) S13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THI가 75와 같거나 더 큰 지의 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기(53)가 THI가 75와 같거나 더 크다고 다시 결정하면, 상기 제어기(53)는 S140과 S150단계를 계속하고 공기를 흡입하고 그 공기를 냉각한다. 상기 제어기(53)는 S130 단계에서 THI가 75보다 작다고 제어기(53)가 결정하지 않는 한 그리고 결정할 때까지 계속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기(53)는 S160 단계로 가고, 상기 제어기(53)가 상기 방법을 종료한다.
(00180) 어떤 경우에는, 강제기류는 사용자에게 풍속냉각(wind chill)을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은 편안한 수준으로 공기흡입과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 것은 사용자가 주변 공기온도의 그 것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공기유동을 감지하는 경우이다. 풍속냉각을 결정하기 위해 고안된 몇개의 공식이 있다. 이 것을 보여주기 위해, 북아메리카와 영국 풍속냉각 지수를 다음과 같이 참고할 수 있다.
Twc=13.12+0.6215T a - 35.75v +0.16 + 0.4275Ta v +0.16
여기서, Twc 는 섭씨온도 단위에 기초한 풍속냉각지수이고, Ta 는 섭씨로 된 공기온도이고, v 는 km/hour 단위로 된 공기유동 속도이다.
(00181) 위의 식에 근거하면, 강제기류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 수록 사용자에 의해 느껴지는 공기유동의 온도는 더 낮아진다. 따라서, 공기유동 속도가 증가할 때, 상기 제어기(53)는 목표 온도를 얻기 위해 강제기류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00182) 실시례들은 공기유동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를 가지지 않을 수 있지만, 상기 시스템 내에서 알려진 제한조건 때문에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유동을 위한 쳄버의 크기, 공기유동발생기의 파워, 그리고 공기유동을 위한 출구의 사이즈는 모두 알려진 변수들이다. 따라서, 실시례들은 이들 알려진 파라메터에 근거해서 공기유동 속도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례들은 또한 공기유동 속도와 공기 유동발생기가 작동하는 속도를 연관시키는 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알려진 공기 유동 발생기 입력에 대해서, 상기 시스템은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값에 근거하여 공기유동 속도를 알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사용자에 대한 목표 표면 피부 온도는 섭씨 30에서 32도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강제기류의 가열과 냉각은 이 온도를 만들거나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00183) 하나의 실시례에서 건조장치(10)에 의해 만들어지는 강제기류의 온도는 사용자에 대해 불편함이 거의 또는 전혀 없도록 하는 온도가 되어야 한다. 겉보기 온도의 불쾌지수(Humidex)는 사용자 피부에 적용되는 온도에 의해 제공되는 편안암 또는 불편함의 수준에 대한 적절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불쾌지수는 편안함 또는 불편함의 수준을 결정함에 있어서 온도와 상대 습도 모두를 고려한다. 상기 불쾌지수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H는 불쾌지수를 나타내고, Tair 는 ℃로 나타낸 공기온도이며, Tdew 는 ℃로 나타낸 이슬점온도이다.
(00184) 몇몇 실시례에서,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겉보기 온도는 20에서 39℃사이이다. 바람직한 실시례에서,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겉보기 온도는 20에서 29℃사이이다. 위에서 설명된 대로, 상기 겉보기온도는 공기유동 온도의 풍속냉각지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00185) 도 2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어기에 의해, 풍속냉각지수를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00186)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기(53)는, 열센서정보와 풍속냉각지수에 근거하여 상기 공기출구(201)를 통해 사용자의 몸체로 강제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유동발생기를 제어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열센서로부터 정보를 받는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만약 상기 열센서 위치가 도 16에 도시된 센서(209)의 위치라면, 상기 바아(200)의 주변 공기온도를 반영한다.
(00187) S21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유동발생기(204)의 분당회전수(RPM)를 받는다. 이 구성에서, 상기 유동발생기(204)의 RPM은 가변된다. 유동발생기(204)가 가변되지 않고, 고정된 경우의 구성에서는, 상기 제어기(53)는 메모리(58)에 저장된 RPM을 검색한다. 유동발생기(204)의 RPM은 강제기류의 공기유동속도와 같다.
(00188) S220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바아(200)에서 공기온도와 강제기류의 공기유동속도를 가지고, 풍속냉각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53)가 풍속냉각지수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공식은 위에서 제공된 공식일 수 있다. 상기 공식은 상기 제어기(53)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메모리(58)에 저장될 수 있다.
(00189) S23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구해진 풍속냉각지수가 미리 정해진 목표와 같거나 큰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목표는 많은 다른 온도 또는 온도 범위중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목표는 약 30에서 약 32℃의 목표 표면 피부온도일 수 있다. 상기 목표는 메모리(58)에 저장될 수 있다.
(00190) 만약 풍속냉각지수가 목표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기(53)는 S240단계를 계속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바아(200)에서 저항히터(120)를 사용하여 상기 공기유동을 가열함에 의해 강제기류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53)는 S200 단계를 계속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S200 단계에서 S23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열센서가 상기 공기출구(201)에 인접해 있으므로, 상기 열센서는 온도에 있어서의 증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S210 단계는 유동발생기의 RPM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건너 뛸 수 있다.
(00191)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제어기(53)가, S230 단계에서, 풍속냉각지수가 목표와 같거나 크다는 것을 결정하지 않는 한 그리고 결정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상기 풍속냉각지수가 목표와 같거나 목표보다 크면, 상기 제어기(53)는 S250단계를 진행하고, 저항히터(120)를 끄고 이 방법을 종료한다.
(00192) 도 25A와 25B는 본 발명 실시례의 건조장치(10)의 바아(200)에 의해 사용자가 건조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00193) 도 25A와 25B를 참고하면, 상기 바아(200)는 상기 몸체(100)의 건조면(14)에 사용자가 있을 때 사용자와 마주보게 위치된 열센서 일 수 있는 센서(209)를 포함한다. 상기 바아(200)는 상기 몸체(100)의 건조면(14)의 길이방향 길이(L1)를 따라 어느 위치에라도 위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례에서 바아(200)의 출발위치는 상기 건조면(14)의 중앙부에 인접하는 어딘가가 될 수 있다. 건조장치(10)가 작동될 때, 상기 바아(200)는 상기 구동장치(11)에 의해 화살표(1)의 방향으로 상승되게 구동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열센서도 동작된다.
(00194) 상기 바아(200)가 상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엘센서는 사용자를 스캔한다. 상기 열센서가 사용자로부터 열을 더 이상 감지하지 않을 때, 도달된 것에 의해 사용자의 키가 결정되고 구동장치(11)는 상기 바아(200)의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11)는 이제 상기 바아(200)를 화살표(2)의 방향인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동시에, 열센서는 사용자를 스캔한다. 상기 열센서는 스캔되는 사용자의 부분에서 젖음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열센서는 더 낮은 온도로 젖음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더 따뜻한 온도로서 건조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204)와 아마도 저항히터(120)는 사용자를 건조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00195) 다른 구성에서, 상기 유동발생기(110)와 아마도 열전장치(117)는 사용자를 건조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110)와 열전장치(117)는 상기 유동발생기(204)와 상기 바아(200)의 저항히터(120)의 동작과 함께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110)와 열전장치(117)는 상기 바아(200)가 상기 건조면(14)의 바닥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동작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상기 유동발생기(110)와 열전장치(117)는 꺼질 수 있다.
(00196)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아(200)는 사용자의 머리 옆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이 많은 물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열센서는 상기 바아(200)가 이 위치에 있을 때 상당한 젖음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아(200)는 사용자의 머리를 건조하도록 가열되고 강제기류를 상기 제2 공기출구(201)가 배출하는 동안에는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열센서가 사용자의 머리가 충분히 건조되었다고 감지하였을 때, 상기 구동장치(11)는 화살표(2) 방향인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00197) 상기 바아(200)가 화살표(2)의 방향으로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공기 출구(201)로 부터 배출된 가열된 강제기류는 머리, 몸체, 그리고 결국에는 다리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바아(200)가 머리에서부터 다리로 이동하면서, 상기 바아(200)가 상기 건조면(14)의 바닥에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2)의 방향으로 더 하부로 이동하기 전에, 다른 부분보다 더 수분이 많은 사용자의 부분을 건조하도록 상기 바아는 정지할 수 있다.
(00198)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바아(2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처음에 도착한 후에, 사용자가 건조된 것을 열센서가 감지할 때까지, 머리부터 발끝까지 반복적으로 상하운동을 할 수 있다. 설명된 상기 바아의 이동은 예시적인 것이고 사용자를 건조하기 위한 상기 바아의 이동의 다른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00199) 도 2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사용자를 건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를 보이는 순서도이다.
(00200) 도 26을 참고하면, S30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방으로 상기 바아(200)를 이동한다. 상기 제어기(53)는 또한 상기 열센서로부터 열정보도 받는다. S31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열센서가 열을 감지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열센서가 열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기(53)는 S300 단계에서 상기 바아(2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를 계속한다. 다르게는, 상기 열센서가 열을 감지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바아(200)가 사용자의 높이에 도달한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바아(200)의 이동을 정지하고 S320 단계를 계속한다.
(00201) S32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바아(200)로부터 나온 강제기류에 의해 커버되는 사용자의 몸체의 폭과 같은 미리 정해진 양만큼 아래 방향으로 바아(200)를 이동한다. S33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유동발생기(204)를 동작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유동발생기(110)와 아마도 상기 열전장치(117)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출구(201)로 부터 나온 강제기류는 상기 바아(200)에 인접한 사용자의 대응되는 부분을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출구(101)로부터 나온 강제기류는 사용자의 건조를 도울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기(53)는 S340 단계를 계속한다.
(00202) S34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열센서가 미리 정해진 양과 같거나 더 큰 열을 감지하였는 지를 결정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은 사용자의 부분이 충분히 건조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상기 열센서가 미리 정해진 양보다 작은 열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기(53)는 S330 단계를 계속하여, 대응되는 사용자의 부분을 상기 제어기(53)가 건조하기를 계속한다. 아니면, 상기 제어기(53)는 S350 단계를 계속한다.
(00203) S350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몸체(100)의 건조면(14)의 바닥에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바아(200)가 상기 건조면(14)의 바닥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기(53)는 S320단계를 계속하고, S320 단계에서 S340 단계를 반복한다. 아니면, 만약 상기 바아(200)가 상기 건조면(14)의 바닥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유동발생기(204)와 저항히터(120)를 끈다. 만약 유동발생기(110)와 열전장치(117)가 동작되었다면, 상기 제어기(53)는 이들도 끈다.
(00204) 도 2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필터유니트가 분해된 상태를 보이는 건조장치의 상부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필터유니트의 다른 분해사시도이다.
(00205) 상기 필터유니트(104)는 흡입공기유동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여과 또는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별히 도시 또는 다른 도시 환경 설정에서, 주변 공기는 바람직하지 않은 수준의 부유성 고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고형물은 사람의 건강에 위험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몸체를 건조하기 위해 건조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제공된다면, 사람의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00206) 예를 들어, 고형물은 염기성 또는 산성일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몸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니트(104)는, 고형물을 잡기 위해 도 28에 보인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립자필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립자필터(113)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필터, 폴리에스테르 필터 또는 헤파필터(HEPA 필터)와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00207) 주변공기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함유할 수 있고, 이는 건조장치의 사용자에게 감염될 위험이 있다. 미립자필터(113)가 함께 있지 않는다면, 필터유니트(104)는 박테리아 및/또는 바이러스 필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필터는 항균성 또는 항박테리아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00208) 흡입공기는 건조를 위해 토출되기 전에 수분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필터유니트(104)는, 예를 들어 건조제를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습필터(115)를 포함할 수 있다.
(00209) 본 실시례에서, 한 쌍의 공기입구(102)는 각각 흡입공기를 상기 필터유니트(104)로 전달한다. 단일의 필터유니트(104)의 사용은 특별히, 다수의 유동발생기가 있는 경우 상기 필터유니트 내의 어떤 필터의 단일 유지보수 지점을 제공하기에 좋다.
(00210) 도 2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유동발생기 하우징에 있는 공기입구와 입구경로의 정면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공기입구의 분해사시도이다.
(00211) 도 29를 참고하면, 공기입구(102)와 유동가이드(116)를 포함하는 입구경로는 흡입공기를 공기입구(102)에서 필터유니트(104)로 안내한다. 하지만, 건조장치(10)는, 욕실이나 샤워실과 같은. 습기가 있는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건조장치(10) 또는 공기입구(102)를 포함하는, 건조장치(10)의 주위 공기에 튀길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중에, 주위의 물을 공기입구(102)로 끌어들일 수 있는 유동발생기(110)의 동작 때문에 공기입구(102)에서의 물흡입이 있을 수 있다. 이런 물이 건조장치(10)로 들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공기입구(102)로 들어가는 물에 더해서, 상기 유동경로는 상기 공기입구(102)를 통과한 다른 물질을 흡입해서 유동가이드(116)로 보낼 수 있다.
(00212) 도 29와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입구(102)는 상기 유동가이드(116)로 상방향으로 편향된 유동경로를 제공한다. 이 상방향 편향은 물 또는 다른 고체물질이 건조장치(10)로 유입되는 것에 대한 중력 방어벽으로서 행동할 수 있다. 유동경로로 원하지 않는 물 또는 다른 물체가 들어가는 것을 더 막기 위해, 예를 들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유동경로에 방해물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입구필터(111)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입구필터(111)는, 더 자세하게는, 상기 흡입공기로부터 입자를 거르기 위한 미립자필터의 형태일 수 있다.
(00213) 다르게는 상기 입구필터(111)는 더 큰 물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거시적 메쉬(macroscopic mesh) 필터와 같은 거시적 필터의 형태일 수 있다. 흡입공기로 유입되는 물로부터 보호하거나 흡입필터(111)의 흡입공기에서 제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물을 흡수하기 위한 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00214) 흡입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추가의 조치로서, 저항히터(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입구필터(111)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동작중에, 상기 저항히터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흡입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저항히터는 상기 입구필터(111)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입구필터(111) 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00215)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상부영역의 정면 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하게, 유동발생기(110)와 몸체(100)의 제1 공기출구(101) 사이의 연결은 각각의 유동발생기(110)의 출구가 상기 몸체(100)의 제1공기출구(101)에 직접 연결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사용자에게 추가의 편안함 및/또는 증가된 건조효율을 제공하기 위해, 열전장치(117)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더 가열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유니트(104)로부터의 공기유동은 선택적으로 가열되거나 냉각되도록 열전장치(117)의 일측면을 통과할 수 있다.
(00216) 도 31은 토출공기 유동경로(105)의 부분을 커버하는 정사각형상의 열전장치(117)를 보이지만, 상기 열전장치(117)는 상기 토출공기 유동경로의 출구 모두를 커버하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즉, 상기 열전장치(117)는, 필터유니트(104)의 출구에서 시작해서 유동발생기(110)의 입구에서 끝나는 공기유동경로의 모든 정화된 공기를 커버하는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가 더 가열되는 경우, 상기 유동발생기(110)의 하류에서 가열된 공기를 가열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00217) 저항히터(120)와 같은 열적 요소는 상기 각각의 유동발생기(110)의 하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항히터(120)는 제1공기출구(101)를 향해 상기 유동발생기(110)에 의해 가압된 공기를 더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저항히터(120)는 상기 열전장치(117)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더 가열하거나 과열하기 위한 촉진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00218) 도 31에서 상기 열적 요소가 저항히터로서 도시되었지만, 다른 적절한 열적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상기 열적요소는 상기 유동발생기의 하류측에서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거나 냉각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열전장치일 수 있다.
(00219)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의 건조장치(20)를 보이고 있다. 도 33은 도 32의 건조장치의 몸체(100)와 바아(200)의 단면도를 보인다.
(00220)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20)에서, 제1공기출구(101)는 상기 몸체(100)의 건조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건조장치(10)와 달리, 제1공기출구(101)가 상기 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있는 경우, 건조장치(20)의 제1공기출구(101)는 상기 건조면(14)의 표면을 가로질러 배치된 출구덕트(123)를 포함한다. 이 실시례에서, 상기 출구덕트(123)는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수직 슬릿이고 건조면(14)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상기 출구덕트(123)는, 상부영역(124)과 하부영역(129)의 2개의 영역에 위치된다. 이 구성은 제1공기출구(101)의 다른 영역 사이에 토출의 차이를 허용할 수 있다.
(00221) 도 33은 제1공기출구(101)가 몸체(100)의 건조면(14)을 가로질러 배치된 출구인 경우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바아(200)를 가로지르는 도 32의 B-B'선 단면도이다. 건조장치(20)에서, 한쌍의 유동발생기(110)는 건조장치(20)로부터 강제기류가 배출되는 덕트(121)(도 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덕트(122), 또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22)로 직접적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수개의 출구덕트(123)로 강제기류를 보낼 수 있다. 단면도로 도시된 것은 상기 덕트(121)로부터 강제기류를 받을 수 있는 덕트(122)이다. 상기 덕트(122)는 출구덕트(123)의 수직 슬릿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수직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122)는, 출구덕트(123)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외측으로 차례로 배출되는 다수개의 슬릿을 통해 다수개의 출구덕트(123)로 강제기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덕트(122)와 다수개의 출구덕트(123)는 상기 제1 공기출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00222) 도 3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례에서 도 32에서 도 33의 덕트조립체를 보인 도면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조립체는 상기 건조장치(20)의 몸체(100)에 배치된 덕트(122)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122)는 상기 몸체(100)에 제공된 공간의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을 점유할 수 있다. 출구덕트(123)는 상기 덕트(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구덕트(123)는 상기 덕트(123)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다수개의 수직 슬릿이고 상기 덕트(122)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상기 출구덕트(123)는 상부영역(124)과 하부영역(129)의 2개의 영역에 제공된다. 강제기류는 상기 상부영역(124), 하부영역(129), 또는 상부영역(124)과 하부영역(129) 모두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덕트(122)에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댐퍼를 통해 상기 상부영역(124)과 하부영역(129)을 통해 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00223) 상기 덕트조립체는 한 쌍의 유동발생기(110)를 더 포함하고, 각각은 상기 덕트조립체의 상면에 제공된다. 상기 유동발생기(110)는 팬조립체(1101)와 도관(1102)을 포함한다. 상기 팬조립체는 축류팬 또는 그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더 좋기로는, 상기 팬조립체는 고속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는 고속모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팬조립체는, 분당 회전수(RPM) 115,000까지 동작할 수 있는 한국의 엘지전자의 스마트 인버터 모터(Smart Inverter MotorTM)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팬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00224) 상기 팬조립체(1101)는 도관(122)의 상부와 연결되고 연통된 원통형 튜브일 수 있는 도관(1102)에 연결된다. 하지만, 상기 도관(1102)은 원통형 튜브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으로 타원형 튜브, 정사각형 튜브, 직사각형 튜브 등등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도관(1102)은 상기 팬조립체(1101)에 의해 도관(1102)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포함하고 강제기류의 속도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팬조립체(1101)에 의해 배출되는 강제기류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의 강제기류가 상기 제1공기출구(101)로 도입된다. 상기 덕트(122)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강제기류는 상기 덕트(122)의 상부 표면을 가로질러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구 덕트(123)를 통해 배출된다.
(00225) 상기 바아(200)는 상기 덕트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레에서, 상기 바아는 그 자신의 공기 입구와 유동발생기를 가져 도 16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레에서, 상기 바아(200)는 상기 몸체(100)의 유동발생기 또는 유동발생기들(110)로부터의 공기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아(200)는, 도 33에 도시된 공기 입구(203)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 입구를 가질 수 있다. 이 구성을 가지는 바아(200)의 하나의 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바아(200)의 후면에 한 쌍의 공기 입구(202)를 가지는 바아(200)는 한 쌍의 공기입구(202)가 커버하는 다수개의 출구덕트(123)의 부분으로부터 나오는 강제기류를 받을 수 있다. 도 33을 참고하면, 상기 몸체(100) 내부의 유동발생기(110)로부터 나오는 공기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입구(203)가 받고 상기 제2공기출구(201)로부터 공기를 배출한다.
(00226)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아(200)는 몸체(100)의 유동발생기(110)로부터 나온 강제기류를 더 가속하는 한 쌍의 유동발생기(204)를 구비한다. 하지만,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바아(200)는 유동발생기(204)를 구비하지 않고, 몸체(100)의 유동발생기(110)로부터 나온 강제기류를 그대로 배출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아(2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항히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아(200)는 저항 히터 대신에 열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아(200)는 상기 몸체(100)로부터의 받은 강제기류를 추가로 할 수 있다. 다르게는, 바아(200)는 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몸체(100)로부터 받은 강제기류를 더 하지 않고 몸체(100)의 열전장치(117)에 의해 공기관리된 강제기류를 배출할 수 있다.
(00227) 도 32를 다시 참고하면, 상기 건조장치(20)는 사람이 자신의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발받침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122)는 상기 발받침부(400)에 연결되도록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덕트(12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사람의 발을 건조하도록 발받침부(4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출구로 공기유동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구성에서, 상기 발받침부(400)는, 예를 들어, 사용되지 않을 때 건조장치(20)의 몸체(100)내로 후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발받침대(400)는 후퇴되지 않고 바닥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00228) 도 35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00229) 상기 몸체(100)는 사출된 플라스틱 커버로 덮여질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된 플라스틱 커버는 상기 몸체(100)를 덮는 후면 패널(140), 측면 패널(142) 그리고 전면패널(14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플라스틱 커버는 그 표면에 부착된 얇은 금속판을 가질 수 있다. 플라스틱 커버의 부품들은 서로 스냅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부품은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결합되는 다른 부품은 대응되는 홈부분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부품이 서로 스냅결합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분에 들어가 결합되고 상기 2개의 부품은 서로 고정된다. 상기 플라스틱 커버 상기 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미적으로 좋은 외관을 제공한다. 서로 스냅 결합되므로, 상기 몸체(100)의 플라스틱 커버는 상기 몸체(100)로부터 플라스틱커버를 당김에 의해 분리되고 사용자의 선호를 만족시키는 디자인과 패턴을 가지는 다른 플라스틱 커버로 교체함에 의해, 그 들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바아(200)의 플라스틱 커버(230)(도 19를 보시오)도 분리가능하고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디자인과 패턴을 가지는 다른 플라스틱 커버로 교체될 수 있어 그에 의해 사용자들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00230) 다수의 다른 사용자가 주어진 건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사용자는 다른 키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키의 사용자가 수용될 수 있는 방법의 예가 도 25a에서 도 25b와 관련해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다른 사용자는, 다양한 몸체 부분의 다른 길이와 다른 크기와 같은 다른 몸체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외배엽형(ectomorph) 일 수 있다. 외배엽형은 W.H. 셀던(Sheldon)의, 신체의 날씬함(slenderness), 몹시 여윔(angularity), 허약함(fragility)의 정도를 측정하는 체형 분류중 하나와 관련이 있는데, 약간 근육이 발달한 마르고 날씬한 몸을 나타낸다. 어떤 사용자는 중배엽형(mesomorph)일 수 있다. 중배엽형은 신체에 지방보다 근육이 더 많은 중간 프레임 신체를 나타내고 또 과체중 또는 저체중이 아닌 균형잡힌 신체일 수 있다. 어떤 사용자는 내배엽형(endomorph)일 수 있다. 내배엽형은 뚱뚱하고 무거운 몸매를 가진 신체를 나타낸다. 건조장치는 이러한 다양한 신체 사이즈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어야 ㅎ한다.
(00231) 도 36a에서 도 36c는 3가지 다른 사용자의 정면 프로필의 예를 보인다.
(00232) 도 36a를 참조하면, 사용자(34)는 가는 몸통과 다리, 상대적으로 좁은 어깨, 그리고 가는 팔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W.H. 셀던(Sheldon)의 체형 분류에 따르면, 이 사용자는 외배엽형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정면 또는 배면의 관점으로부터, 사용자(34)는 몸통과 다리를 통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측방향 범위를 제공한다. 몸통과 다리는 건조되어야 할 사용자의 몸체 전체의 상당한 부분일 수 있다.
(00233) 도 36b를 참조하면, 사용자(34)는 약간 더 근육질의 다리이지만 특히 훨씬 더 근육질인 상부 몸통과 팔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들은 또한 도 36a의 사용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어께를 가진다. W.H. 셀던(Sheldon)의 체형 분류에 따르면, 이 사용자는 중배엽형으로 고려될 수 있다.
(00234) 도 36b의 사용자(34)는 사람의 키를 따라 넓어지는 다리와 몸통의 측방향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사람의 신체의 근육질의 건장함이 사람의 전체 측방향 범위를 더 넓게 하는데, 이는 그들의 팔이 더 크고 정지상태에서 몸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리 있기 때문이다.
(00235) 도 36c를 참조하면, 이 사용자는 도 36a 또는 도 36b 보다 더 큰 몸체 질량을 보인다. 도 36c의 사용자(34)는 도 26b의 사용자에 대해 유사한 치수의 상부 몸통을 나타내지만, 그들의 하부 몸통과 다리는 도 36b의 사용자의 그 것과 마찬가지로 거의 좁혀지지 않는다. 도 36c의 사용자(34)의 전체 측방향 범위는 도 36a의 사용자의 그것보다 상당히 더 크다. W.H. 셀던(Sheldon)의 체형 분류에 따르면, 이 사용자는 내배엽형으로 고려될 수 있다.
(00236) 도 36a에서 도 36c는 몸체 크기와 형태의 단지 3가지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건조장치의 실제 사용자들은 이들 또는 다른 신체 특성의 가능한 많은 조합 및 변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00237) 도 36a에서 도 36c가 예시적인 사용자의 정면을 보이는 반면, 사용자의 측방향 범위에서의 유사한 변이와 다른 몸체 특성은 측면 관점, 측면과 정면 관점 사이의 관점, 그리고 다소 위 또는 다소 아래에서 본 이들중 하나의 관점으로 보여질 수 있다.
(00238) 건조장치는 사용자 몸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몸체로 강제기류를 보냄에 의해 사용자를 건조하도록 동작하여야 한다. 즉, 다른 신체적 특징을 가지는 다양한 다른 사용자에 대해 건조장치는 다른 건조 공기유동 특성을 제공하도록 되어야 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00239) 도 37a에서 도 37c는 도 36a에서 도 36c에 도시된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근거하여 건조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3가지 예시적인 건조 공기유동을 보인다. 도 37a에서 도 37c에는, 도 36a에서 도 36c의 사용자의 신체 특성이 건조장치에 의해 배출될 수 있는 건조를 위한 예시적인 공기유동 구성과 중첩되어 있다. 이러한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 구성은 각각의 사용자의 다리와 몸통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다.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의 구성은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이 도면에서 도면용지를 통과하도록 배출되게 하는 것이라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건조장치는 사용자를 향하는 도면용지 위에 있을 것이고 또 사용자를 향해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을 배출한다.
(00240) 도 37a를 참고하면, 사용자(34)는 건조장치로부터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641)을 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641)은 사용자의 다리, 몸통, 그리고 머리를 커버할 수 있는 일정한 폭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공기유동을 포함한다.
(00241) 도 37b를 참고하면, 사용자(34)는 건조장치로부터 나오는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642)을 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642)은 공기유동의 상부는 넓고 공기유동의 하부는 공기유동의 상부보다 좁은 실질적으로 연속인 공기유동을 포함한다. 도 37a의 사용자와 공기유동(641)과 관련하여, 도 37b의 V자형 또는 부분적으로 V자형 공기유동(642)은 사용자의 다른 그리고 상대적으로 넓은 몸통 및 어깨를 커버할 수 있다.
(00242) 도 37c를 참고하면, 사용자(34)는 건조장치로부터 나오는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643)을 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공기유동(643)은 도 37a의 공기유동(641)과 유사하게 폭에서는 실질적으로 일정하지만, 상기 공기유동(641)보다 더 넓다. 더 넓은 공기유동(643)은 사용자의 다리와 몸체을 적절하게 커버할 수 있다.
(00243) 일정한 폭 또는 수직방향으로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에 더해, 공기유동 폭에 대한 보다 국지적인 변경이 특별한 사용자를 커버하기 위한 공기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거나 필요할 수 있다.
(00244) 도 36a에서 도 36c와 도 37a에서 도 37c가 정면으로부터 예시적인 사용자의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과 신체특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비록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을 제공하는 대응되는 공기출구에 관하여 사용자가 다르게 배향되어 있을 지라도 대응되는 공기유동과 공기유동 최적화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00245) 특히, 사용자는 건조프로그램중에 건조장치에 대해 다른 위치로 회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그들의 정면, 측면들 그리고 배면을 건조하기 위해서이다. 사람의 측방향 범위는 사용자의 회전 동안 그리고 다른 회전된 위치에서 변경될 것이고, 또 요구되는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도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00246) 도 3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9는 도 38의 건조장치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며; 도 40은 도 38의 건조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8에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30)는 상기 제1공기출구(101)가 몸체(100)의 건조면(14)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단일 유니트인 구성(도 3을 보시 아닌 제1공기출구(101)로서 다수개의 개별 공기출구(101a~101d)를 가지는 몸체(100)를 포함한다.
(00247) 상기 공기출구(101)은 다수개의 개별 공기출구(101a~101d)의 형태이다. 본 실시례에서, 각각의 공기출구는 몸체(10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인 연장된 슬롯이다. 하지만,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공기출구(101a~ 101d)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4개의 공기출구(101a~101d)가 도시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례에서는, 4개보다 적거나 많은 공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00248) 각각의 공기출구(101a~101d)는 몸체(100)에 제공된 덕트(122)와 연통되는 건조장치(300)의 건조면(14) 상에서 연장된 슬롯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된 덕트(122)를 참고하면, 상기 덕트(122)의 면을 가로질러 배치된 다수개의 출구덕트(123)를 가지는 대신에, 상기 덕트(122)도 다수개의 연장된 슬롯을 가지고, 각각의 연장된 슬롯은 각각의 공기출구(101a~101d)에 대응된다. 따라서, 4개의 공기출구(101a~101d)를 사용하는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122)는 각각의 공기출구(101a~101d)에 대응되는 4개의 슬롯을 가진다.
(00249) 다수개의 슬롯을 포함하는 덕트(122)를 가지는 덕트조립체의 동작은 도 34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덕트(122)는 4개의 공기출구(101a~101d)에 대응하는 4개의 슬롯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유동발생기(110)가 동작될 때, 상기 팬조립체(1101)는 공기를 흡입하고 그 공기를 각각의 도관(1102)을 통해 강제기류로서 그 공기를 배출한다. 각각의 도관(1102)은 덕트(122)로 강제기류를 보낸다. 강제기류가 상기 덕트(122)를 따라 이동하면, 강제기류는 대응하는 제1슬롯을 거쳐서 공기출구(101a)를 통해 배출되고, 강제기류는 대응하는 제2슬롯을 거쳐서 공기출구(101b)를 통해 배출되고, 강제기류는 대응하는 제3슬롯을 거쳐서 공기출구(101c)를 통해 배출되고, 강제기류는 대응하는 제4슬롯을 거쳐서 공기출구(101d)를 통해서 배출된다. 각각의 공기출구(101a~101d)로부터 나오는 강제기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통해 조향될 수 있다.
(00250) 도 38에서 도 40을 다시 참고하면, 각각의 공기출구(101a~101d)와 관련된 것은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a~150d)이다. 각각의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a~150d)는 각각의 공기출구(101a~101d)로부터 나오는 강제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동작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보인다.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a~150d)중 하나에 대응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는 핀과 같은 공기가이드(151)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가이드(151)는 상기 공기출구(101)에 맞도록 크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상기 공기가이드(151)는 공기출구(101)를 공기가이드(151)가 닫을 때 밀봉을 형성하도록 공기출구(101)에 꼭 들어맞는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가이드(151) 또는 공기출구(101)의 윤곽을 따라 배치된 가스켓은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00251) 상기 공기가이드(151)는 공기출구(101a~101d)중 하나에 대응되는 공기출구(101)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상기 공기가이드(151)는 공기가이드(151)를 2분할하는 수직 축에 대해 회전된다. 상기 공기가이드(151)는 상기 공기출구(10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공기출구에 대해 회전되게 동작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1에 도시된 공기가이드(151)는 2개의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공기가이드(151)의 배향은 상기 공기출구(101)로부터 나오는 강제기류(강제기류의 폭)의 방향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가이드(151)는 공기가이드(151)의 양단부에 공기가이드(151)의 회전을 위한 축(152)을 구비한다. 공기출구(101)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상기 축(152)의 하나를 수용할 수 있다. 하나의 축은 제어기의 제어하에 공기가이드(151)를 회전하는 모터(153)에 연결될 수 있다.
(00252) 공기가이드(151)의 회전위치에 근거하여, 공기출구(101)에서 나오는 강제기류를 공기가이드9151)가 안내한다. 도 38에서 도 39는 하부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c, 150d)보다 건조면(14)에 대해 더 각이진 상부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a,150b)를 보인다. 이 구성에서, 공기출구(101a,101b)에서 유동되어 나오는 강제기류의 폭은 공기출구(101c,101d)에서 유동되어 나오는 강제기류의 폭보다 더 넓을 것이다. 따라서, 이 강제기류 구성은 더 넓은 상부몸체와 더 좁은 하부 몸체를 가지는 사용자를 위해 적합할 수 있다. 도 38에서 도 41에 도시된 건조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강제기류의 다른 측방향 폭은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00253) 도 42는 도 38에서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 세트를 가지는 건조장치로부터 나오는 강제기류의 방향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2를 참고하면, 공기출구(101a~101d)는 공기출구(101a,101b)를 가지는 상부영역(646)과 공기출구(101c,101d)를 가지는 하부영역(647)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상부영역(646)과 하부영역(647)은 상부영역(646)을 제어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a,150b)와 하부영역(647)을 제어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c,150d)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상부영역과 하부영역(646,647) 각각에서 다른 측방향 폭의 공기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00254) 도 42에 도시된 구성에서, 상부영역(646)을 구성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a,150b)는 하부영역(647)을 구성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c,150d)보다 건조면(14)에 대해 덜 각이 진다. 이 구성에서, 상부영역(646)은 상대적으로 더 넓은 강제기류(644)를 제공할 수 있고, 또 하부영역(647)은 상대적으로 더 좁은 강제기류(645)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2에서는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도시된 반면, 강제기류는 어떤 영역 내에서 다소 일측으로 향하는 공기유동을 제공하도록 다른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d)는 도면용지의 더 우측으로 강제기류(645)가 향하도록 동작되어, 우측에서 강제기류(645)가 도면의 우측으로 더 연장되고, 이에 의해 좌측에서의 강제기류(645)와 우측에서의 강제기류(645)는 비대칭이다.
(00255)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의 상측 또는 상부영역(646)에서의 넓은 강제기류(644)와 건조장치의 하측 또는 하부영역(647)에서의 좁은 강제기류(645)는 넓은 상부 몸체와 좁은 하부 몸체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의 좋은 적용범위(coverage)를 제공할 수 있다.
(00256) 역으로, 상부영역(646)을 구성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a,150b)는 하부영역(647)을 구성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c,150d)보다 건조면(14)에 대해 더 각이질 수 있다. 이 것은 도 38에서 도 39 그리고 도 42에 도시된 구성과 반대이다. 이 구성에서, 상부 영역(646)은 상대적으로 좁은 강제기류(644)를 제공할 수 있고, 또 하부영역(647)은 상대적으로 넓은 강제기류(645)를 제공할 수 있다. 건조장치의 상측과 상부영역(646)에서의 좁은 강제기류(644)와 건조장치의 하측 또는 하부 영역(647)에서의 넓은 강제기류(645)는 좁은 상부몸체와 넓은 하부 몸체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의 좋은 적용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만약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a,150c)의 각도가 같거나 유사하고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b,150d)의 각도가 같거나 유사하면, 상부영역(646)의 강제기류(644)의 폭과 하부영역(647)의 강제기류(645)의 폭이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상부 몸체와 하부몸체가 같거가 유사한 사용자에게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의 좋은 적용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00257) 도 43a와 도 43b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 사용자 몸체와 관련하여 건조장치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을 보인 도면이다.
(00258)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30)는 조절가능한 강제기류를 제공하는 상부영역(646)과 조절가능한 강제기류를 제공하는 하부영역(647)을 가질 수 있다. 상부영역(646)의 강제기류(644)와 하부영역(647)의 강제기류(645)는 크기가 조정될 수 있어서 건조장치(30)의 건조면에 인접한 몸체를 가지는 사용자는 그들의 몸체 특성에 따라 건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3a를 참고하면, 건조장치(30)에 인접한 사용자(43)는, 사용자의 상부몸체가 사용자의 하부몸체보다 넓은 몸체비율을 가진다. 상기 상부영역(646)은 상부영역(646)으로부터 나오는 넓은 공기유동(644)이 배출되도록 크기 조절될 수 있고 하부영역(647)으로부터 나오는 좁은 강제기류(645)가 배출되도록 하여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의 좋은 적용범위가 넓은 상부몸체와 좁은 하부몸체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것은 도 38에서 도 41과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3b를 참고하면, 건조장치(30)에 인접한 사용자(34)는 사용자의 상부몸체가 사용자의 하부몸체보다 더 좁은 몸체비율을 가진다. 상부영역(646)은 상부영역(646)으로부터 나오는 좁은 강제기류(644)가 배출되도록 크기 조절될 수 있고 하부영역(647)으로부터 나오는 넓은 강제기류(645)가 배출되도록 하여 좁은 상부몸체와 넓은 하부몸체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의 좋은 적용범위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것은 도 38에서 도 41에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예시적이고 또 건조장치는 다른 몸체 특성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의 범위에 근거하여 다른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 특성을 배출할 수 있다.
(00259) 도 43a에서 도 43b가 2개의 영역을 가지는 것으로 건조장치를 도시한 반면, 다른 구성에서, 건조장치는 2개 이상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2개 이상의 영역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 몸체는 훨씬 더 높은 해상도로 건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영역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몸체는 분리되어 상부영역이 사용자 몸체의 상반부를 건조하고 하부영역이 사용자 몸체의 하반부를 건조한다. 사용자는 상부몸체보다 더 좁은 하부몸체를 가질 수 있는 반면, 도 36a- 도 3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들의 몸체로부터 팔을 이격하였을 때, 하부영역은 상기 팔을 수용하도록 더 넓은 강제기류의 폭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3개의 영역이 사용될 때, 중간영역은 사용자의 팔을 수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영역은 사용자의 어깨를 수용하는 강제기류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중간영역은 사용자의 팔을 수용하는 강제기류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영역은 사용자의 다르를 수용하는 강제기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영역의 다른 구성은 사용자 몸체의 다양한 더 넓거나 더 좁은 영역을 수용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00260) 각각의 영역은 그 자신의 공기출구(101)의 쌍과 대응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한 쌍의 공기출구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공기출구(101)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공기가이드(151)를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공기가이드(151)는 그들의 각각의 모터(153)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공기출구(101)에 대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가 수용될 수 있다. 각각의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는 그 영역 내의 사용자의 몸체를 수용하도록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을 제공하는 각각의 영역에 대해 독립적인 각도 구성을 가지고 동작될 수 있다.
(00261) 도 44는 도 38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상기 건조장치(30)는 각각의 공기출구(101a~101d)를 닫은 각각의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a-150d)의 공기가이드(151a-151d)를 가진다. 하나의 구성에서, 상기 공기가이드(151a~151d)는 각각의 공기 출구(101a~101d)를 밀봉하여 닫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이드(151a~151d)와 각각의 공기출구(101a~101d) 사이의 밀봉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공기가이드(151a~151d) 또는 각각의 공기 출구(101a~101d)의 윤곽을 따라 가스켓이 배치될 수 있다. 닫힌 공기출구(101a~101d)는 공기출구에 의해몸체(100)로부터 강제기류가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주변으로부터 공기유동 출구로 물과 같은 어떤 것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특별히, 건조장치가 욕실과 같은 습한 환경에서 사용되지만 특히 샤워기 또는 욕조에 인접하여 사용되는 경우, 물이 건조장치로 튈 수 있다. 이 것은 상기 공기출구(101a~101d)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이 것은 수분이 정체될 수 있고 곰팡이의 성장을 촉진하고, 또는 건조장치에 부식이나 다른 손상을 야기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3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공기출구(101a~101d)는 공기가이드(151a~151d)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00262)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4에 도시된 건조장치(30)에 유사하게, 건조장치(40)는 각각의 공기출구(101a~101d)에서 소정 폭의 강제기류를 배출하도록 공기출구(101a~101d)를 가진다. 상기 공기출구(101a~101d)는 대응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에 의해 동작되는 각각의 공기가이드(151a~151d)에 의해 개폐된다. 하지만, 건조장치(30)와는 다르게, 상기 건조장치(40)는 건조장치(40)의 중앙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출구(101e~101f)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출구(101e~101f)는 대응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에 의해 동작되는 각각의 공기가이드(151e~151f)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구(101e~101f)는 사용자 몸체의 중앙을 향해 강제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중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 출구(101e~101f)는 사용자 몸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또 사용자 몸체의 다양한 부분으로 강제기류를 보내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출구(101e~101f)는 좌우로 회전하거나 정지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기출구(101e~101f)는 사용자 몸체로 추가의 건조를 위한 공기유동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00263)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가진 건조장치의 동작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건조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46의 블럭도는 도 22의 블럭도를 보충할 수 있다.
(00264) 상기 제어기(53)는 상기 공기출구(101)를 통해 공기가 안내되어 지도록 적어도 유동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열적 요소 또는 히터(13)가 상기 공기출구(10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관리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히터(13)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히터(13)는 가열된 공기와 냉각 공기 모두를 발생하는 열전장치일 수 있다.
(00265) 제어기(53)는 건조장치의 동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센서(221)는 바아(200)에 위치될수 있다.(도 34를 보시오, 센서(209)의 센서위치) 이런 열센서는 센서의 주변의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것은 사용자 몸체의 온도 때문에, 공간의 배경으로부터 사용자를 구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것은 사용자 몸체의 몸체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몸체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은 도 25a와 도 25b를 참고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00266) 도 25a와 도 25b를 참고하면, 열센서(221) 일 수 있는 센서(209)를 포함하는 상기 바아(200)는 상기 몸체(100)의 건조면(14)에 사용자가 있을 때 사용자를 향한다. 건조장치(10)가 동작되면, 상기 바아(200)의 출발 위치는 상기 건조면(14)의 하부일 수 있다. 상기 바아(200)는 화살표 1의 방향으로 상기 구동장치(11)에 의해 상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바아(200)가 상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열센서는 사용자의 몸체를 스캔한다. 상기 감지된 정보는 상기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의 몸체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기(53)로 전달된다. 열센서가 사용자로부터 열을 더 이상 감지하지 못할 때, 사용자의 키는 도달된 위치에 의해 결정되고 또 구동장치(11)는 상기 바아(200)의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00267) 이제 도 46을 참고하면, 사용자 몸체의 완전한 열스캔이 제어기(53)로 전달되면, 제어기(53)는 열스탠에 근거하여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의 동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사용자 몸체의 경계 내에서 공기유동을 넓히거나 제한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측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상기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를 동작하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제어기(53)가 사용자의 상부몸체는 넓고 사용자의 하부몸체는 좁다고 결정하면, 상부영역은 상기 상부영역으로부터 넓은 강제기류가 나오도록 조절될 수 있고 또 하부영역은 하부영역으로부터 좁은 강제기류가 배출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만약 제어기가 사용자의 상부몸체가 좁고 사용자의 하부몸체는 넓다고 결정하면, 상부영역은 상부영역으로부터 좁은 강제기류가 배출되도록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하부영역은 하부영역으로부터 넓은 강제기류가 배출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00268) 열센서 이외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가 사용자의 존재 또는 범위 또는 사용자 몸체의 다른 특성을 제공하게 상기 제어기(53)로 입력을 제공하게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00269) 제어기(53)는 건조동작 동안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능동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고, 또 사용자에 대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출구 공기유동의 형상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동작 중에 좌우로와 같이 사용자는 위치이동될 수 있다. 이 위치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기(53)는 사용자의 새로운 위치로 공기유동을 보내도록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의 동작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런 업데이트는 공기유동의 양단 측과 관련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150)의 구성요소의 연속적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유동의 측방향 폭의 대칭적인 넓힘과 좁힘을 야기하는 것이다. 다른 구성에서 공기유동의 일측이 다른 측보다 더 또는 덜 한정되거나 또는 넓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몸체의 측방향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상기 일측과 다른 측은 하나가 상기 공기유동을 측방향으로 제한하도록 동작될 수 있고 또 다른 하나가 공기유동을 측방향으로 넓히도록 동작될 수 있다.
(00270) 건조장치의 예시적인 실시례들은 위에서 설명되었다. 실시례들은 특정한 사용 및 적합성에 맞게 수정될 수 있다.
(00271) 앞의 설명에서 알려진 등가물을 가지는 요소 또는 정수를 참조한 경우, 그러한 등가물은 마치 그들이 개별적으로 제시된 것처럼 포함된다.
(00272) 비록 실시례들이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형태와 상세사항에서 다양한 변경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례는 설명의 관점에서만 고려되어야 하고 한정의 목적으로 고려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며,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00273) 여기에 인용된 어떤 특징도 "수단"이라는 용어가 명시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한 35 USC 112(f)를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00274) 이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이 명백할 것이다.
10: 건조장치 11: 구동장치
14: 건조면 40: 리드스크류
41, 42: 너트 44: 브라켓조립체
45: 안내부재 46: 안내트랙
53: 제어기 58: 메모리
100: 몸체 101: 제1공기출구
102: 공기입구 103: 유동발생기 하우징
104: 필터유니트 106, 107,108: 공기유동 화살표
110: 유동발생기 111: 입구필터
113: 미립자필터 114: 바이러스필터
115: 제습필터 116: 유동가이드
117: 열전장치 118: 제1면
119: 제2면 120: 저항히터
121, 122: 덕트 123: 출구덕트
124: 상부영역 125: 공동개구
126: 벤트 127: 핀
128: 공기개구 129: 하부영역
130: 배기구 140: 후면패널
142: 측면패널 144: 전면패널
200: 바아 201: 제2공기출구
202: 공기입구 203: 공기입구
204: 유동발생기 205: 공기입구
206: 쉴드 207: 공기도관
208: 중간출구 209: 센서
220: 모터 230: 커버
400: 발받침부

Claims (14)

  1. 몸체;
    공기입구;
    상기 공기입구로부터 흡입 공기를 받고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발생기;
    상기 몸체에 있고 상기 유동발생기에서 나오는 공기유동을 배출하고 상기 몸체의 수직 높이를 따라 연장되는 공기출구;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나오는 공기유동의 측방향 범위를 조절하도록 동작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 그리고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나오는 공기유동의 측방향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구는 상기 몸체의 수직방향 높이의 부분을 다라 연장되는 연장된 슬롯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구는 상기 몸체의 수직방향 높이의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연장된 슬롯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는 상기 공기출구로의 공기유동 경로 내에 구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공기가이드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직으로 배향된 공기가이드, 각각은 다수개의 수직방향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수직방향의 영역의 위치는 각각의 공기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공기유동의 측방향 범위가 인접하는 수직방향 영역 사이에서 다르게 되는 건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공기가이드는 공기출구를 닫도록 동작되는 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열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열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사용자의 측방향의 몸체 범위를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사용자의 측방향 몸체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나오는 공기유동의 측방향 범위를 제어하도록 상기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열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능동적으로 모니터하고 사용자의 측방향 몸체 범위에 대해 감지된 변화에 따라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의 동작을 업데이트하는 건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구는 한 쌍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된 출구와 각각의 연장된 출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가이드를 포함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건조장치로부터 사용자 몸체의 측방향의 편이를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측방향의 편이에 근거하여 각각의 연장된 출구의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더 구성된 건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각각의 연장된 출구의 상기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제1몸체 공기 출구의 공기유동이 사용자의 측방향으로 편이된 위치를 향해 보내지도록 하는 건조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구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된 출구와 각각의 연장된 출구와 관련된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다수개의 공기가이드를 포함하는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건조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몸체의 측방향 편이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측방향 편이에 근거하여 각각의 연장된 출구의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를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더 구성되는 건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는 상기 공기출구로부터의 공기유동의 수직 방향을 제어하도록 더 동작되는 건조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구는 한 쌍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출구 공기유동 조향기구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각각의 공기유동경로 내에 제공된 다수개의 공기가이드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공기가이드는 각각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내에서 별개로 동작되는 건조장치.
KR1020200052546A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20210117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14,625 US11578919B2 (en) 2020-03-19 2020-09-08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CN202011630015.8A CN113491467B (zh) 2020-03-19 2020-12-31 干燥装置
EP21158468.5A EP3881740B1 (en) 2020-03-19 2021-02-22 Drying apparatus
EP21158478.4A EP3881743A1 (en) 2020-03-19 2021-02-22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EP21158456.0A EP3910264B1 (en) 2020-03-19 2021-02-22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EP21158472.7A EP3881741A1 (en) 2020-03-19 2021-02-22 Drying apparatus
EP21158477.6A EP3881742A1 (en) 2020-03-19 2021-02-22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92138P 2020-03-19 2020-03-19
US62/992,138 2020-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877A true KR20210117877A (ko) 2021-09-29

Family

ID=77924833

Famil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550A KR20210117881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51A KR20210117882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52A KR20210117883A (ko) 2020-03-19 2020-04-29 공기순환장치
KR1020200052548A KR20210117879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46A KR20210117877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55A KR20210117886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44A KR20210117875A (ko) 2020-03-19 2020-04-29 건조를 위한 구성
KR1020200052554A KR20210117885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53A KR20210117884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47A KR20210117878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45A KR20210117876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49A KR20210117880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550A KR20210117881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51A KR20210117882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52A KR20210117883A (ko) 2020-03-19 2020-04-29 공기순환장치
KR1020200052548A KR20210117879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555A KR20210117886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44A KR20210117875A (ko) 2020-03-19 2020-04-29 건조를 위한 구성
KR1020200052554A KR20210117885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53A KR20210117884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47A KR20210117878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45A KR20210117876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KR1020200052549A KR20210117880A (ko) 2020-03-19 2020-04-29 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10264B1 (ko)
KR (12) KR20210117881A (ko)
CN (5) CN1134914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8919A (zh) * 2022-03-14 2022-07-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空调器的方法及装置、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8919B2 (en) * 2020-03-19 2023-02-14 Lg Electronics Inc.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IT202100017120A1 (it) * 2021-06-30 2022-12-30 Mauri Mirko Asciugatore a getto d’aria per persone
CN115268527A (zh) * 2022-07-11 2022-11-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烘干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烘干设备
CN115900314B (zh) * 2022-11-27 2023-11-21 浙江灏宇科技有限公司 印染热风打底机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255A (en) * 1982-08-05 1985-06-11 Baker Gary C Spot thermal or environmental conditioner
JPH0722159Y2 (ja) * 1990-02-23 1995-05-24 松下電工株式会社 身体乾燥機
AU1283592A (en) * 1991-03-19 1992-09-24 John Francis Urch Hot air drier
JP3121369B2 (ja) * 1991-05-20 2000-12-25 松下電工株式会社 送風装置
US5269071A (en) * 1991-05-20 1993-12-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and body drying device
JPH10290767A (ja) * 1997-04-17 1998-11-04 Funai Electric Co Ltd ハンドドライヤ
RU2008125302A (ru) * 2005-11-22 2009-12-27 Смит, Питер Джеффри (Za)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937352B2 (ja) * 2007-07-18 2012-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KR100794676B1 (ko) * 2007-07-18 2008-01-14 김상선 광고기능을 갖는 핸드 드라이기
US20100024241A1 (en) * 2008-07-29 2010-02-04 Don Cannetti Drying apparatus
CN201350027Y (zh) * 2009-01-20 2009-11-25 郑文芳 一种自动干身装置
JP5160494B2 (ja) * 2009-04-15 2013-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202101386U (zh) * 2011-06-15 2012-01-04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厨房烟气余热利用的半导体式小厨宝
JP5504227B2 (ja) * 2011-09-08 2014-05-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送風装置
CN106028890B (zh) * 2014-02-27 2018-10-02 三菱电机株式会社 手干燥装置
JP5897225B2 (ja) * 2014-03-11 2016-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検知装置および手乾燥装置
CN205265052U (zh) * 2015-12-03 2016-05-25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秦皇岛供电公司 半导体除湿器
US10455992B2 (en) * 2016-09-20 2019-10-29 The Boeing Company Hand dryer having managed air flow
CN206239312U (zh) * 2016-10-19 2017-06-13 苏州农业药械有限公司 一种干身机
CN206473263U (zh) * 2016-11-25 2017-09-08 浙江省家用电器研究所有限公司 一种人体烘干机
CN106618344A (zh) * 2017-03-20 2017-05-10 陆汉明 一种智能洗漱间烘干机
CN107720498A (zh) * 2017-10-13 2018-02-23 广东寰宇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电梯轿厢内温度控制的方法及电梯系统
CN108514359B (zh) * 2018-06-28 2020-11-20 义乌市君胜科技有限公司 一种淋浴屏
CN108852101B (zh) * 2018-06-29 2020-11-27 金华小黄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淋浴器
CN208607775U (zh) * 2018-07-20 2019-03-15 睿桥资讯股份有限公司 滑倒侦测警示系统
KR101964084B1 (ko) * 2018-10-19 2019-04-01 이광중 신체부위 대응 벽매립형 발건조기
CN109602314A (zh) * 2018-12-03 2019-04-12 方楚雄 干爽机
CN110044020B (zh) * 2019-03-29 2021-03-30 杭州电子科技大学 计及空调用户舒适度的需求侧响应方法
CN110403507A (zh) * 2019-07-08 2019-11-05 厦门建霖健康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可升降调节的出风装置
CN110801169B (zh) * 2019-11-06 2021-07-30 张怡然 自适应电控人体烘干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8919A (zh) * 2022-03-14 2022-07-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空调器的方法及装置、空调器
CN114738919B (zh) * 2022-03-14 2024-04-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空调器的方法及装置、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885A (ko) 2021-09-29
KR20210117879A (ko) 2021-09-29
CN113491465B (zh) 2023-06-20
EP3910264B1 (en) 2024-01-17
CN113491464A (zh) 2021-10-12
CN113491467B (zh) 2023-01-13
KR20210117884A (ko) 2021-09-29
KR20210117881A (ko) 2021-09-29
CN113491463B (zh) 2022-12-16
KR20210117886A (ko) 2021-09-29
KR20210117883A (ko) 2021-09-29
CN113491466B (zh) 2022-12-16
KR20210117878A (ko) 2021-09-29
CN113491463A (zh) 2021-10-12
CN113491466A (zh) 2021-10-12
KR20210117875A (ko) 2021-09-29
EP3910264A1 (en) 2021-11-17
KR20210117880A (ko) 2021-09-29
CN113491464B (zh) 2023-05-23
CN113491465A (zh) 2021-10-12
KR20210117882A (ko) 2021-09-29
KR20210117876A (ko) 2021-09-29
CN113491467A (zh)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7877A (ko) 건조장치
US11576539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11553822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210289998A1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11596278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EP3881742A1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11578919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11457776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11903533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210290004A1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210290000A1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210289997A1 (en) Air circulatio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210289996A1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11471011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noise suppression methods
JP4660157B2 (ja) 就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