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012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012A
KR20210117012A KR1020200033328A KR20200033328A KR20210117012A KR 20210117012 A KR20210117012 A KR 20210117012A KR 1020200033328 A KR1020200033328 A KR 1020200033328A KR 20200033328 A KR20200033328 A KR 20200033328A KR 20210117012 A KR20210117012 A KR 20210117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disposed
terminal
protrusion
b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012A/ko
Priority to PCT/KR2021/001016 priority patent/WO2021172770A1/ko
Priority to JP2022549942A priority patent/JP2023516570A/ja
Priority to CN202180016381.0A priority patent/CN115152132A/zh
Priority to EP21760383.6A priority patent/EP4113804A4/en
Priority to US17/904,885 priority patent/US20230024882A1/en
Publication of KR2021011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및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상기 버스바와 결합하는 전원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터미널부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버스바 바디에서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버스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형 궤도 상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터에는 코일이 감긴다. 스테이터에 감긴 코일의 연결단은 버스바와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는 바스바 바디와 터미널을 포함한다. 터미널은 코일의 연결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터미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은 터미널 바디와, 터미널 바디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단과 전원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의 바디는 대체로 곡면을 포함하며, 연결단과 전원터미널은 이러한 바디에서 분기되어 절곡된 형태이다. 특히, 전원터미널은 외부전원과 연결되기 때문에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터미널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의 전개도 형상이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다. 전개도 형상이 복잡하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터미널 제조 과정에서, 스크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원 터미널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의 모터에 적용되는 터미널의 형상과 크기가 상이하다. 때문에, 다양한 터미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스크랩의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터미널을 제조하는 금형 및 공정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 과정에서, 스크랩이 적게 발생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또한, 전원 터미널의 다양한 위치에 대응하여 호환이 가능한 모터를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상기 버스바와 결합하는 전원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터미널부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버스바 바디에서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버스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형 궤도 상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하방향으로 다단구조로 배치되는 제1 버스바 바디와 제2 버스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버스바 바디 및 상기 제2 버스바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돌기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버스바 바디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는 원주방향으로 분리된 제2 버스바 바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제1 돌기는 회전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3 돌기와, 상기 제3 돌기에서 분기되어 상기 전원 터미널과 연결되는 제4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버스바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제4 돌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며,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코일과 연결되며, 상기 버스바와 결합하는 전원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터미널부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버스바 바디에서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돌기가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홈은 상기 버스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형 궤도 상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하방향으로 다단구조로 배치되는 제1 버스바 바디와 제2 버스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버스바 바디 및 상기 제2 버스바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모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홈은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버스바 바디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홈은 원주방향으로 분리된 제2 버스바 바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제2 홈은 회전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3 돌기와, 상기 제3 돌기에서 분기되어 상기 전원 터미널과 연결되는 제4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 홈은 상기 버스바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제4 돌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돌기는 수평단면이 장방형 부재이며, 상기 수평단면의 장변방향은 상기 버스바의 반경방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돌기는 수평단면이 장방형 부재이며, 상기 수평단면의 장변방향은 상기 버스바의 원주방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제4 돌기는 상기 버스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이한 원주 상에 배치되는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전원터미널부 바디와 상기 전원터미널부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원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원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제1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1 버스바 바디와 상기 제1 버스바 바디 상측에 배치되며 제2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2 버스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 바디의 상면에 복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터미널부 바디의 하면에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미널과 상기 복수의 전원터미널이 연결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과정에서 스크랩이 적게 발생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제조 비용을 크게 줄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터미널의 다양한 위치에 대응하여, 호환이 가능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전원터미널부와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원터미널부와 버스바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원터미널부의 저면도,
도 5는 버스바의 상터미널을 형성하는 판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1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제2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제3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상터미널의 평면도,
도 11은 도 8에서 도시한 상터미널의 평면도로서, 반경방향으로 제3 돌기까지 이르는 제2 돌기의 반경방향 길이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상터미널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버스바 바디의 평면도,
도 14는 변형례에 따른 전원터미널부와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한 전원터미널부의 저면도,
도 16은 도 14에서 도시한 버스바 바디의 평면도,
도 17은 변형례에 따른 버스바로서, 제4 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버스바의 상터미널을 형성하는 판재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상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제1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제2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제2 제3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17에서 도시한 버스바의 상터미널의 평면도,
도 24는 도 17에서 도시한 버스바 바디의 평면도,
도 25는 도 17에서 도시한 버스바 바디에 제` 돌기를 대신하여 제1 홈을 포함하는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2에서 도시한 버스바 바디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회전축(10), 로터(20), 스테이터(30), 인슐레이터(40), 하우징(50), 버스바(60), 센싱부(70) 및 기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내측이라 함은 하우징(50)에서 모터의 중심인 회전축(10)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외측이라 함은 회전축(10)에서 하우징(50)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 원주방향 또는 반경방향은 각각 축중심을 기준으로 한다.
회전축(10)은 로터(20)와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와 스테이터(3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회전축(10)이 회전한다. 회전축(10)은 베어링(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10)은 차량의 조향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로터(20)는 스테이터(3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는 스테이터(30)와 대응되어 배치 될 수 있고,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는 로터코어(21)와 로터코어(21)에 배치되는 마그넷(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로터(20)는 마그넷(22)이 로터코어(21)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SPM Type 일 수 있다.
스테이터(30)는 로터(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는 스테이터 코어(30A), 코일(30B) 및 스테이터 코어(30A)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30B)은 인슐레이터(40)에 감길 수 있다. 인슐레이터(40)는 코일(30B)과 스테이터 코어(30A) 사이에 배치되어, 스테이터 코어(30A)와 코일(30B) 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코일(30B)은 로터(20)의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버스바(60)는 스테이터(30)의 상측에 배치된다. 버스바(60)는 절연 재질의 버스바 바디(100)와 버스바 바디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터미널을 포함한다. 이때, 버스바 바디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터미널 간 서로 연결되어 접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복수개의 터미널은 스테이터 코어(30A)에 감긴 코일(30B)들을 서로 연결하여 각각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싱부(70)는 회전축(10)과 결합될 수 있다. 센싱부(70)는 센싱 플레이트(70A)와 센싱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넷(70B)을 포함한다. 기판(80)은 센싱 마그넷(70B)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홀 IC(Hall IC)일 수 있으며, 회전축(10)과 결합된 센싱부(70)의 센싱 마그넷(70B)의 자속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자속을 감지하여 센싱부(70)와 기판(80)은 로터(2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전원터미널부와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전원터미널부와 버스바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버스바(60A)는 버스바 바디(100)와 터미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00)는 환형의 몰드부재일 수 있다. 버스바 바디(100)는 제1 버스바 바디(110)와 제2 버스바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버스바 바디(120)가 제1 버스바 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버스바 바디(100)는 상하방향으로 다단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200)은 U,V,W 상의 전원과 연결되는 제2 터미널(200_1)과 제2 터미널(200_1)들을 연결하는 중성터미널(200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미널(200_1)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터미널을 포함하지 않고, 제2 터미널(200_1)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별도의 전원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중성터미널(200_2)은 버스바 바디(100)의 제1 버스바 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미널(200_1)은 버스바 바디(100)의 제2 버스바 바디(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터미널부(90A)는 버스바(60A)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터미널부(90A)는 바디(91)와 전원터미널(9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91)는 버스바 바디(100)에 결합한다. 전원터미널부(90A)가 버스바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터미널(92)의 일측단부는 버스바(90A)의 제2 터미널(200_1)과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도 4는 전원터미널부(90A)의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원터미널부(90A)의 바디(91)는 제2 결합부로서, 복수 개의 제1 홈(9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91a)은 바디(91)의 하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홈(91a)은 전원터미널부(90)와 버스바(60A)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버스바(60A)의 제1 결합부인 제1 돌기(101)가 압입되는 곳이다. 전원터미널부(90)가 버스바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터미널(92)의 단부는 버스바(90A)의 제2 터미널(200_1)의 제4 돌기(230)와 정렬되어 접촉된다.
터미널(200)은 제1 터미널(200_2)과 제2 터미널(200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은 중성 터미널이며, 제2 터미널(200_1)은 상터미널일 수 있다.
도 5는 버스바(60A) 제2 터미널(200_1)을 형성하는 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터미널(200_1)은 판재(2)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판재(2)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형 부재일 수 있다. 판재(2)는 제2 터미널(200_1)의 터미널 바디(210)를 형성하는 제1 영역(3)과, 제2 터미널(200_1)의 제2 돌기(도 5,6,7의 220)를 형성하는 제2 영역(4)과 제3 영역(5), 제2 터미널(200_1)의 제3 돌기(도 5,6,7의 230)를 형성하는 제4 영역(6)과 제5 영역(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은 판재(2)의 일측 에지를 따라 길게 배치된다. 제2 영역(4)은 제1 영역(3)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제1 영역(3)의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제3 영역(5)은 제1 영역(3)에서 타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제1 영역(3)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영역(4)과 제3 영역(5)은 동일한 방향으로 제1 영역(3)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형성 될 수 있다. 제4 영역(6)은 제2 영역(4)에서 상측으로 분기된 형태일 수 있다. 제4 영역(6)은 판재(2)의 타측 에지까지 형성된다. 제5 영역(7)은 제3 영역(5)에서 상측으로 분기된 형태일 수 있다. 제5 영역(7)도 판재(2)의 타측 에지까지 형성된다.
제2 터미널(200_1)의 형상은 상술한 판재(2)의 제1 영역(3)과 제2 영역(4)과 제3 영역(5)과 제4 영역(6)과, 제5 영역(7)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2 터미널(200_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제2-1 터미널(200A)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제2-2 터미널(200B)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3 터미널(200C)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터미널(200_1)은 U,V,W 상의 전원과 각각 연결되는 제2-1 터미널(200A)과 제2-2 터미널(200B)과 제2-3 터미널(20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터미널(200A)과 제2-2 터미널(200B)과 제2-3 터미널(200C)와 중성 터미널(200_2)로 이루어진 한 그룹의 터미널이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1 터미널(200A)과, 제2-2 터미널(200B)과, 제2-3 터미널(200C)은 각각 터미널 바디(210), 제3 돌기(220)와, 제4 돌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터미널(200A)의 터미널 바디(210), 제2-2 터미널(200B)의 터미널 바디(210), 제2-3 터미널(200C)의 터미널 바디(210)는 버스바(60A)의 반경방향으로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 바디(210) 관점에서, 내측에서 외측순으로, 제2-1 터미널(200A), 제2-2 터미널(200B), 제2-3 터미널(200C)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 터미널(200A)과 제2-2 터미널(200B)과 제2-3 터미널(200C)은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1 터미널(200A)과 제2-2 터미널(200B)과 제2-3 터미널(200C)은 각각 판재(2)의 두께에 해당하는 가로방향 폭보다 세로방향 폭이 큰 형태가 되도록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기(220)는 코일(30B)의 단부와 접촉하는 곳이다. 제3 돌기(220)는 터미널 바디(210)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배치된다. 제3 돌기(220)의 끝단은 후크 형태로 절곡되어 코일(30B)의 제1 단부(미도시)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3 돌기(220)는 제3-1 돌기(221)와 제3-2 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돌기(221)는 터미널 바디(2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2 돌기(222)는 터미널 바디(21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1 돌기(221)는 코일(30B)의 일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3-2 돌기(222)는 제3-1 돌기(221)와 연결된 코일(30B)과는 상이한 코일(30B)의 타측 단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코일(30B)의 타측 단부는 중성 터미널(200_2)에 연결 될 수 있다.
제4 돌기(230)는 별도의 전원 터미널과 접촉하는 곳이다. 제4 돌기(230)는 제3 돌기(220)에서 상측으로 분기되어 배치된다. 제4 돌기(230)는 평면을 포함하는 장방향 부재일 수 있다. 제4 돌기(230)는 제4-1 돌기(231)와 제4-2 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1 돌기(231)는 제3-1 돌기(221)에서 분기될 수 있다. 제4-2 돌기(232)는 제3-2 돌기(222)에서 분기될 수 있다.
제2-1 터미널(200A)과 제2-2 터미널(200B)과 제2-3 터미널(200C)은 이러한 터미널 바디(210) 제3 돌기(220)와 제4 돌기(230)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되, 터미널 바디(210)의 원주방향 길이나 제3 돌기(220)의 길이 등은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제4 돌기(230)의 크기 및 형상은 제2-1 터미널(200A)과 제2-2 터미널(200B)과 제2-3 터미널(200C)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위치의 전원 터미널에 대응하여, 제2 터미널(200_1)을 공용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제2 터미널(200_1)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든 제2 터미널(200_1)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4 돌기(230)는 버스바(60A)의 반경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4 돌기(230)는 버스바(60A)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4 돌기(230)는 수평단면이 폭(W1)보다 길이(H1)가 큰 장방향 부재이다. 이때, 수평단면의 장변방향은 버스바(60A)의 반경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4 돌기(230)는 수평단의 반경방향 푹 중심이, 버스바(6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는 동일한 궤도 상에 배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4 돌기(230)는 버스바(6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4 돌기(230)는 버스바(60A)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터미널(200_1)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그룹(200_1A)의 제2 터미널(200_1)(이하, 제1 그룹(200_1A)이라 한다)과, 제2 그룹(200_1B)의 제2 터미널(200_1)(이하, 제2 그룹(200_1B)이라 한다)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그룹(200_1A)과 제2 그룹(200_1B)은 버스바(60A)의 중심(C)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구분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그룹(200_1A)과 제2 그룹(200_1B)은 버스바(6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그룹(200_1A)과 제2 그룹(200_1B)은 버스바(60A)의 중심(C)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그룹(200_1A)의 제1 각도(R1)와 제2 그룹(200_1B)의 제2 각도(R2)는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R1)는 제1 그룹(200_1A)의 제2 터미널(200_1)에서 제4 돌기(230)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을 나타내는 각도이며, 제2 각도(R2)는 제2 그룹(200_1B)의 제2 터미널(200_1)에서 제4 돌기(230)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을 나타내는 각도이다. 제1 각도(R1)와 제2 각도(R2)에 대한 기준은, 각각 제4 돌기(230)의 수평단면의 원주방향 폭 중심에 해당한다.
제1 그룹(200_1A)과 제2 그룹(200_1B) 사이의 제3 각도(R3) 또한, 제1 각도(R1) 또는 제2 각도(R2)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각도(R3)는 서로 인접하는 제1 그룹(200_1A)의 제2 돌기(230A)와 제2 그룹(200_1B)의 제2 돌기(230B)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을 나타내는 각도이다. 제3 각도(R3)에 대한 기준은, 각각 제4 돌기(230)의 수평단면의 원주방향 폭 중심에 해당한다.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제2 터미널(200_1)의 평면도로서, 반경방향으로 제4 돌기(230)까지 이르는 제3 돌기(220)의 반경방향 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하, 반경방향으로 제4 돌기(230)까지 이르는 제3 돌기(220)의 반경방향 길이를 줄여서 길이라 한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한 제2-1 터미널(200A)의 길이(L1, L2)가 제2-2 터미널(200B)의 길이(L3, L4)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한 제2-3 터미널(200C)의 길이(L5, L6)가 제2-2 터미널(200B)의 길이(L3, L4)보다 짧을 수 있다.
한편, 제2-1 터미널(200A), 제2-2 터미널(200B), 제2-3 터미널(200C)에서, 각각 제3-1 돌기(221)의 길이(L1, L3, L5)와 제3-2 돌기(222)의 길이(L2, L4, L6)는 동일할 수 있다.
도 12는 제2 터미널(200_1)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의 경우, 서로 인접하는 제1 그룹(200_1A)의 제2 돌기(230A)와 제2 그룹(200_1B)의 제2 돌기(230B)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터미널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그룹(200_1A)의 제2 돌기(230A)는 제2-1 터미널(200A)에 배치되고, 제2 그룹(200_1B)의 제2 돌기(230B)는 제2-1 터미널(200A)과 반경방향 위치가 상이한 제2-3 터미널(200C)에 배치된다.
반면에, 도 12의 경우, 서로 인접하는 제1 그룹(200_1A)의 제2 돌기(230A)와 제2 그룹(200_1B)의 제2 돌기(230B)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같은 위치에 배치된 터미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200_1A)의 제2 돌기(230A)는 제2-1 터미널(200A)에 배치되고, 제2 그룹(200_1B)의 제2 돌기(230B)도 반경방향 위치가 동일한 다른 제2-1 터미널(200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버스바 바디(100)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면, 버스바 바디(100)는 복수 개의 제1 돌기(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돌기(101)는 버스바 바디(100)의 제1 버스바 바디(1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1 돌기(101)는 전원 터미널을 둘러싸는 바디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기(101)는 버스바(60A)에 결합하는 전원 터미널과 제4 돌기(230)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돌기(101)는 원기둥 형태이며, 제1 돌기(101)의 상단부는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돌기(101)는 중심이, 버스바(6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는 동일한 궤도 상에 배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전원 터미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터미널(200_1)을 공용화 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바(60A)의 반경방향으로, 제1 돌기(101)는 제4 돌기(230)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60A)의 원주방향으로 제1 돌기(101)는 제4 돌기(230)와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버스바(60A)의 원주방향으로 제1 돌기(101)는 제4 돌기(230)와 인접한 제4 돌기(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101)는 원주방향으로 제2 버스바 바디(120)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00)의 제2 버스바 바디(120)는, 일정한 원주방향을 폭으로 빈 공간(S1,S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S1,S2)에 제1 돌기(101)가 배치될 수 있다. 빈 공간(S1,S2)은 도 10의 S1과 같이 제2 버스바 바디(120)가 분리되어 이격된 공간이거나 도 10의 S2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버스바 바디(120)의 제2 홈일 수 있다. 제1 돌기(101)는 이러한 빈 공간(S1,S2)에 배치될 수 있다. 빈 공간(S1,S2)의 경계를 이루는 제2 버스바 바디(120)의 측면들은, 전원 터미널이 버스바(60A)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전원 터미널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돌기(101)가 제1 버스바 바디(110)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버스바 바디(110)에 배치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4는 변형례에 따른 전원터미널부(90B)와 버스바(60A)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한 전원터미널부(90B)의 저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전원터미널부(90B)의 바디(91)는 복수 개의 제2 돌기(9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91b)는 바디(91)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돌기(91b)는 전원터미널부(90B)와 버스바(60A)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버스바(60A)의 제2 홈(102)에 압입된다.
도 16은 도 14에서 도시한 버스바 바디(100)의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변형례에 따른 버스바(60A)로서 제1 돌기(101)를 대신하여 제2 홈(102)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00)는 복수 개의 제2 홈(10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홈(102)은 버스바 바디(100)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102)은 전원 터미널을 둘러싸는 바디의 돌출 구조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홈(102) 또한, 버스바(60A)에 결합하는 전원 터미널과 제4 돌기(230)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2 홈(102)은 중심이, 버스바(6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는 동일한 원형 궤도(O3) 상에 배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전원 터미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터미널(200_1)을 공용화 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바(60A)의 원주방향으로 제2 홈(102)은 제4 돌기(230)와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버스바(60A)의 원주방향으로 제2 홈(102)은 제4 돌기(230)와 인접한 제4 돌기(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홈(102)은 제4 돌기(230)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60A)의 반경방향으로 제2 홈(102)은 제4 돌기(230)와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버스바(60A)의 원주방향으로 제2 홈(102)은 제4 돌기(230)와 인접한 제4 돌기(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홈(102)은 원주방향으로 제2 버스바 바디(120)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00)의 제2 버스바 바디(120)는, 일정한 원주방향을 폭으로 빈 공간(S3,S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S3,S4)에 제2 홈(102)이 배치될 수 있다. 빈 공간(S3,S4)는 도 13의 S3과 같이 제2 버스바 바디(120)가 분리되어 이격된 공간이거나 도 13의 S4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버스바 바디(120)의 제2 홈일 수 있다. 제2 홈(102)은 이러한 빈 공간(S3,S4)에 배치될 수 있다. 빈 공간(S3,S4)의 경계를 이루는 제2 버스바 바디(120)의 측면들은, 전원 터미널이 버스바(60A)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전원 터미널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홈(102)이 제1 버스바 바디(110)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버스바 바디(110)에 배치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변형례에 따른 버스바(60B)로서, 제4 돌기(1230)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버스바(60B)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버스바(60B)는 버스바 바디(1100)와 터미널(120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1200)은 U,V,W 상의 전원과 연결되는 상터미널(1200_1)과 상터미널(1200_1)들을 연결하는 중성터미널(1200_2)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100)는 복수 개의 제1 돌기(1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돌기(1101)는 버스바 바디(1100)의 제1 버스바 바디(11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1 돌기(1101)는 버스바(60B)에 결합하는 전원터미널(90A)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8은 버스바(60B)의 상터미널(1200_1)을 형성하는 판재(1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판재(12)는 상터미널(1200_1)의 상터터미널(1210)를 형성하는 제1 영역(13)과, 상터미널(1200_1)의 제3 돌기(1220)를 형성하는 제2 영역(14)과 제3 영역(15), 상터미널(1200_1)의 제4 돌기(1230)를 형성하는 제4 영역(16)과 제5 영역(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 영역(16)이 제2 영역(14)의 끝단에 위치하고, 제5 영역(17)이 제3 영역(15)의 끝단에 위치한다.
도 19는 상터미널(1200_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제1 터미널(1200A)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제2 터미널(1200B)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제3 터미널(1200C)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U,V,W 상의 전원과 각각 연결되는 제1 터미널(1200A)과 제2 터미널(1200B)과 제3 터미널(120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1200A)과, 제2 터미널(1200B)과, 제3 터미널(1200C)은 각각 터미널 바디(1210), 제3 돌기(1220)와, 제4 돌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1200A)의 터미널 바디(1210), 제2 터미널(1200B)의 터미널 바디(1210), 제3 터미널(1200C)의 터미널 바디(1210)는 버스바(60B)의 반경방향으로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 바디(1210) 관점에서, 내측에서 외측순으로, 제1 터미널(1200A), 제2 터미널(1200B), 제3 터미널(1200C)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터미널(1200A)과 제2 터미널(1200B)과 제3 터미널(1200C)은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미널(1200A)과 제2 터미널(1200B)과 제3 터미널(1200C)은 각각 판재(12)의 두께에 해당하는 가로방향 폭보다 세로방향 폭이 큰 형태가 되도록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기(1220)는 터미널 바디(1210)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배치된다. 제3 돌기(1220)의 끝단은 후크 형태로 절곡되어 코일(30B)의 제1 단부(미도시)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3 돌기(1220)는 제3-1 돌기(1221)와 제3-2 돌기(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돌기(1221)는 터미널 바디(12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2 돌기(1222)는 터미널 바디(121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1 돌기(1221)는 코일(30B)의 제1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3-2 돌기(1222)는 제3-1 돌기(1221)와 연결된 코일(30B)과는 상이한 코일(30B)의 일측 단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코일(30B)의 제2 단부는 중성 터미널(1200_2)에 연결 될 수 있다.
제4 돌기(1230)는 제3 돌기(1220)에서 상측으로 분기되어 배치된다. 제4 돌기(1230)는 평면을 포함하는 장방향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제4 돌기(1230)는 수평단면이 장방향 부재이며, 수평단면의 장변방향은 버스바(60B)의 원주방향일 수 있다. 제4 돌기(1230)는 제3 돌기(1220)와 터미널 바디(1210)의 연결부분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돌기(1230)는 제3 돌기(122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4 돌기(1230)는 제3-1 돌기(1231)와 제3-2 돌기(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돌기(1231)는 제3-1 돌기(1221)에서 분기될 수 있다. 제3-2 돌기(1232)는 제3-2 돌기(1222)에서 분기될 수 있다.
제1 터미널(1200A)과 제2 터미널(1200B)과 제3 터미널(1200C)은 이러한 터미널 바디(1210) 제3 돌기(1220)와 제4 돌기(1230)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되, 터미널 바디(1210)의 원주방향 길이나 제3 돌기(1220)의 길이 등은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제4 돌기(1230)의 크기 및 형상은 제1 터미널(1200A)과 제2 터미널(1200B)과 제3 터미널(1200C)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위치의 전원 터미널(1200)에 대응하여, 상터미널(1200_1)을 공용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23은 도 17에서 도시한 버스바(60B)의 상터미널(1200_1)의 평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모든 상터미널(1200_1)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4 돌기(1230)는 버스바(60B)의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4 돌기(1230)는 버스바(60B)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돌기(1230)는 수평단면이 폭(W2)보다 길이(H2)가 큰 장방향 부재이다. 이때, 수평단면의 장변방향은 버스바(60B)의 원주방향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4 돌기(1230) 중 일부는 나머지와 버스바(60B)의 반경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바(60B)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제4 돌기(1230)는 터미널 바디(1210)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터미널 바디(121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돌기(1230)는 버스바(60B)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터미널(120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4 돌기(1230)는 버스바(60B)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제1 원주(O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미널(120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4 돌기(1230)는 버스바(60B)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제2 원주(O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터미널(120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4 돌기(1230)는 버스바(60B)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제3 원주(O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원주(O4)와 제2 원주(O25와 제3 원주(O6)는 각각 반경이 상이하다.
복수 개의 제4 돌기(1230)는 버스바(60B)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터미널(1200_1)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그룹(1200_1A)의 상터미널(1200_1)(이하, 제1 그룹(1200_1A)이라 한다)과, 제2 그룹(1200_1B)의 상터미널(1200_1)(이하, 제2 그룹(1200_1B)이라 한다)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그룹(1200_1A)과 제2 그룹(1200_1B)은 버스바(60B)의 중심(C)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구분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그룹(1200_1A)과 제2 그룹(1200_1B)은 버스바(60B)의 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그룹(1200_1A)과 제2 그룹(1200_1B)은 버스바(60B)의 중심(C)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그룹(1200_1A)의 제4 각도(R4)와 제2 그룹(1200_1B)의 제5 각도(R5)는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각도(R4)는 제1 그룹(1200_1A)의 상터미널(1200_1)에서 제4 돌기(1230)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을 나타내는 각도이며, 제5 각도(R5)는 제2 그룹(1200_1B)의 상터미널(1200_1)에서 제4 돌기(1230)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을 나타내는 각도이다. 제4 각도(R4)와 제5 각도(R5)에 대한 기준은, 각각 제4 돌기(1230)의 수평단면의 원주방향 폭 중심에 해당한다.
제1 그룹(1200_1A)과 제2 그룹(1200_1B) 사이의 제6 각도(R6) 또한, 제4 각도(R4) 또는 제5 각도(R5)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각도(R3)는 서로 인접하는 제1 그룹(1200_1A)의 제2 돌기(1230A)와 제2 그룹(1200_1B)의 제2 돌기(1230B)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을 나타내는 각도이다. 제6 각도(R6)에 대한 기준은, 각각 제4 돌기(1230)의 수평단면의 원주방향 폭 중심에 해당한다.
도 24는 도 17에서 도시한 버스바 바디(1000)의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1 돌기(1101)는 버스바 바디(1000)의 제1 버스바 바디(110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1 돌기(1101)는 전원 터미널을 둘러싸는 바디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기(1101)는 버스바(60B)에 결합하는 전원 터미널과 제4 돌기(1230)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돌기(1101)는 원기둥 형태이며, 제1 돌기(1101)의 상단부는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돌기(1101)는 중심이, 버스바(60B)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는 동일한 원형 궤도(O7) 상에 배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전원 터미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터미널(200_1)을 공용화 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바(60B)의 반경방향으로, 제1 돌기(1101)는 제4 돌기(1230)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60B)의 원주방향으로 제1 돌기(1101)는 제4 돌기(1230)와 인접한 제4 돌기(1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5는 버스바 바디(1100)에 제1 돌기(1101)를 대신하여 제1 홈(1102)을 포함하는 버스바(60B)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도 22에서 도시한 버스바 바디(1000)의 평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버스바(60B)로서 제1 돌기(1101)를 대신하여 제1 홈(1102)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100)는 복수 개의 제1 홈(110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홈(1102)은 버스바 바디(100)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102)은 전원 터미널을 둘러싸는 바디의 돌출 구조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홈(1102) 또한, 버스바(60B)에 결합하는 전원 터미널과 제4 돌기(230)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홈(1102)은 중심이, 버스바(60B)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는 동일한 궤도(O8) 상에 배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버스바(60B)의 원주방향으로 제1 홈(1102)은 제4 돌기(1230)와 인접한 제4 돌기(1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60B)의 반경방향으로 제1 홈(1102)은 제4 돌기(1230)와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버스바(60B)의 원주방향으로 제1 홈(1102)은 제4 돌기(1230)와 인접한 제4 돌기(1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홈(1102)은 원주방향으로 제2 버스바 바디(1120)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회전축
20: 로터
30: 스테이터
40: 인슐레이터
50: 하우징
60: 버스바
70: 센싱부
80: 기판
90: 전원터미널부
91a: 제1 홈
91b: 제2 돌기
100,1100: 버스바 바디
101,1101: 제1 돌기
102.1102: 제2 홈
110,1110: 제1 버스바 바디
120,1120: 제2 버스바 바디
200,1200: 터미널
210,1210: 터미널 바디
220,1220: 제3 돌기
230,1230: 제4 돌기

Claims (16)

  1.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및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상기 버스바와 결합하는 전원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터미널부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버스바 바디에서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버스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형 궤도 상에 배치되는 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하방향으로 다단구조로 배치되는 제1 버스바 바디와 제2 버스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버스바 바디 및 상기 제2 버스바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모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돌기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버스바 바디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모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원주방향으로 분리된 제2 버스바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5. 제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돌기는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는 모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3 돌기와, 상기 제3 돌기에서 분기되어 상기 전원 터미널과 연결되는 제4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버스바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제4 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7.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며,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
    상기 코일과 연결되며, 상기 버스바와 결합하는 전원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터미널부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버스바 바디에서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돌기가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홈은 상기 버스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형 궤도 상에 배치되는 모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하방향으로 다단구조로 배치되는 제1 버스바 바디와 제2 버스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버스바 바디 및 상기 제2 버스바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모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홈은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버스바 바디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모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원주방향으로 분리된 제2 버스바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11. 제7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2 홈은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는 모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3 돌기와, 상기 제3 돌기에서 분기되어 상기 전원 터미널과 연결되는 제4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 홈은 상기 버스바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제4 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13.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기는 수평단면이 장방형 부재이며, 상기 수평단면의 장변방향은 상기 버스바의 반경방향인 모터.
  14.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돌기는 수평단면이 장방형 부재이며, 상기 수평단면의 장변방향은 상기 버스바의 원주방향인 모터.
  15. 제14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4 돌기는 상기 버스바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이한 원주 상에 배치되는 배치되는 모터.
  16.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전원터미널부 바디와 상기 전원터미널부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원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원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제1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1 버스바 바디와 상기 제1 버스바 바디 상측에 배치되며 제2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2 버스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 바디의 상면에 복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터미널부 바디의 하면에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미널과 상기 복수의 전원터미널이 연결되는 모터.
KR1020200033328A 2020-02-24 2020-03-18 모터 KR20210117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328A KR20210117012A (ko) 2020-03-18 2020-03-18 모터
PCT/KR2021/001016 WO2021172770A1 (ko) 2020-02-24 2021-01-26 모터
JP2022549942A JP2023516570A (ja) 2020-02-24 2021-01-26 モータ
CN202180016381.0A CN115152132A (zh) 2020-02-24 2021-01-26 马达
EP21760383.6A EP4113804A4 (en) 2020-02-24 2021-01-26 ENGINE
US17/904,885 US20230024882A1 (en) 2020-02-24 2021-01-26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328A KR20210117012A (ko) 2020-03-18 2020-03-18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012A true KR20210117012A (ko) 2021-09-28

Family

ID=7792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328A KR20210117012A (ko) 2020-02-24 2020-03-18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70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4109B2 (en) Stator of motor having an insulator with lead out guide portions
JP6935412B2 (ja) バスバー組立体、これを含むモーター
EP2273654A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325482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CN113196621B (zh) 电机
CN111566908A (zh) 马达
KR20190095748A (ko) 모터
US20240213822A1 (en) Stator and motor comprising same
US20150061433A1 (en) Electricity collection and distribution ring
KR20220025768A (ko) 모터
CN112567600A (zh) 绝缘体及包括该绝缘体的电动机
KR20210117012A (ko) 모터
KR102673411B1 (ko) 모터
KR20170045663A (ko)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114556755B (zh) 马达
EP4047792A1 (en) Motor
KR20210042781A (ko) 모터
CN113273059B (zh) 电动机
US12034347B2 (en) Motor, and busbar for the motor
KR20210088976A (ko) 모터
EP4113804A1 (en) Motor
CN112673547A (zh) 马达
US20240088738A1 (en) Motor
KR102512585B1 (ko) 모터
KR20210038117A (ko) 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