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575A -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 기지국, 단말,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 기지국, 단말,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575A
KR20210116575A KR1020217026087A KR20217026087A KR20210116575A KR 20210116575 A KR20210116575 A KR 20210116575A KR 1020217026087 A KR1020217026087 A KR 1020217026087A KR 20217026087 A KR20217026087 A KR 20217026087A KR 20210116575 A KR20210116575 A KR 20210116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paging
idle state
deep sleep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958B1 (ko
Inventor
슈빈 사
보 다이
팅 루
수 리우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1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기지국 및 단말을 개시하였으며, 그 중 하나의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 기지국, 단말,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9년01월18일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910049747.9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단말 에너지 절약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 기지국, 단말,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및/또는 증강형 머신 통신(Enhanced Machine Communication, eMTC) 기술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NB-IoT 기지국 및/또는 eMTC 기지국은 4세대 이동통신 기술(Fourth Generation, 4G)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 네트워크에만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5세대 이동통신 기술(Fifth Generation, 5G) 기술의 연구와 함께 코어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도 변화되어 5G 코어(5G Core, 5GC)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5GC의 아키텍처 이점과 네트워크 배치의 유연성을 활용하여 NB-IoT 기지국 및/또는 eMTC 기지국도 5GC에 액세스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B-IoT 단말 및/또는 eMTC 단말은 더 높은 에너지 절약 요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NB-IoT 및/또는 eMTC는 유휴 상태 컨텍스트 중단 상태(Context Suspend) 에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 전송 최적화 방안(User plane CIoT EPS optimization)을 지원하고, 확장 불연속 수신(Enhanced Discontinuous Reception, eDRX) 및/또는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PSM)에 진입하며: eDRX 및/또는 PSM에 진입한 단말 또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는 장시간 동안 무선 품질 측정 및/또는 페이징(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휴 상태에서의 UE의 전력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유휴 상태 컨텍스트 중단 상태에서 UE의 보안 및 베어러와 같은 UE 컨텍스트 정보는 UE, 진화형 B노드(evolved Node B, eNB) 및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 동시에 저장되며, UE가 유휴 상태에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모드 진입 시, 새로운 RRC 연결을 생성하지 않고도 RRC 연결을 빠르게 복구할 수 있어, UE가 유휴 상태에서 RRC 연결 모드에 진입하는 동안의 전력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5GC는 유휴 상태 컨텍스트 중단 상태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즉, NB-IoT 단말 및/또는 eMTC 단말이 5GC에 액세스 시 사용자 평면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UE의 전력 소모는 EPC 액세스 시의 UE 전력 소모보다 더 높으며, 이는 전력 소모에 민감한 NB-IoT 단말 및/또는 eMTC 단말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LTE 및 5G 단말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비활성화 상태(RRC-Inactive)에서 eDRX 또는 PSM 상태로 진입할 수 없으며, 에너지 절약이 요구되는 LTE 및 5G 단말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에 직면한다. 즉 UE 컨텍스트가 해제되어 후속 RRC 설정 단계에서 많은 UE 전력 소모가 발생하거나, 컨텍스트가 중단된 후 UE가 eDRX 또는 PSM 상태에 집입할 수 없어 에너지를 잘 절약할 수 없다.
본 발명 실시예는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을 더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단말이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해당 기지국은,
단말(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해당 단말은,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절약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기지국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에너지 절약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에너지 절약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기지국, 상기 단말, 및 상기 기지국과의 연결 관계를 유지하는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을 더 제공하며,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상기 기지국과 협상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없을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있을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데이터가 있을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없을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있을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데이터가 있을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a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연합 측정을 수행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1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연합 측정을 수행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모순되지 않을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 중의 특징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들의 흐름도에 도시된 단계들은 명령들을 실행 가능한 컴퓨터 세트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될수 있다. 또한, 흐름도에 논리적 순서가 도시되어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도시되거나 기술된 단계를 여기서 설명한 것과 다른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현재 5GC는 UE의 유휴 상태 컨텍스트 중단 상태(idle state Context Suspension state)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5GC에 접속하는 UE는 반드시 사용자 특정(UE specific) Ng 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유지되고(UE가 RRC 연결 상태 또는 비활성화(Inactive) 상태(UE와 eNB 간의 Uu 포트의 컨텍스트는 중단되지만 5GC와 eNB 간의 Ng 포트 UE Specific 연결은 유지됨), UE는 eDRX 및/또는 PSM 에너지 절약 모드에 진입하지 못하여, 유휴 상태 UE의 전력 소모가 낭비되거나; UE Specific의 Ng 인터페이스 연결이 해제되고, 이때 UE와 eNB 간의 Uu 포트 컨텍스트도 해제되며, 이 시나리오에서 UE가 유휴 상태로부터 RRC 연결 모드로 진입할 때 RRC 연결을 빠르게 복구할 수 없고, 새로운 RRC 연결만 생성할 수 있으며, UE는 유휴 상태에서 RRC 연결 모드에 진입하는 동안의 전력 소모는 상대적으로 크다.
또한 LTE 단말 및 5G 단말과 같이 RRC_INACTIVE를 지원하는 모든 단말은 RRC-Inactive 상태에서 eDRX 또는 PSM 상태로 진입할 수 없으며, 에너지 절약이 요구되는 LTE 및 5G 단말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에 직면한다. 즉 UE 컨텍스트가 해제되어 후속 RRC 설정 단계에서 많은 UE 전력 소모가 발생하거나, 컨텍스트가 중단된 후 UE가 eDRX 또는 PSM 상태에 집입할 수 없어 에너지를 잘 절약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단말 에너지 절약 방안을 제공하여 5GC에 접속한 UE가 유휴 상태에서 에너지 절약 모드를 지원하고 UE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101), 기지국이 단말(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되,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102),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한다.
관련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 방안은, 제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5GC에 접속한 UE가 유휴 상태에서 에너지 절약 모드를 지원하고 UE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는, 페이징 eDRX 주기 또는 페이징 eDRX 간격, 및 페이징 eDRX 주기 내에서 상기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길이를 포함한다.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는,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 및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이 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구성하거나, 상기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한 후, 해당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페이징 eDRX의 PTW 밖에 있으면, 기지국은 상기 UE가 페이징 eDRX의 PTW 안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Caching)한 다음, 상기 UE에게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으면, 기지국은 UE가 비-딥슬립 모드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UE에게 Pa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 및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페이징 eDRX의 PTW 밖 또는 딥슬립 모드에 있으면, 기지국은 UE가 비-딥슬립 모드에 있고 페이징 eDRX의 PTW 안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UE에게 Pa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에 Paging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반 페이징(Radio Access Network(RAN) based Paging)을 개시하기 위한 타이밍을 결정하고, 상기 RAN based Paging 간격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보다 작거나 같고, Paging 메시지는 상기 타이밍에 상기 UE에 송신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 또는 송신한 후, 해당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와 협상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와 협상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을 미리 판단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운반하는 사용자 특정(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또는, 기지국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운반하는 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응답을 수신한다.
또는, 기지국은 구성된 제1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을 결정하고,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 상기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와 협상하였으면, 상기 제1 파라미터는 UE가 Pag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지속시간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보다 작거나 같도록 보장해야 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201), 단말이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되,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202),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는, 페이징 eDRX 주기 또는 페이징 eDRX 간격, 및 페이징 eDRX 주기 내에서 상기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길이를 포함한다.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는,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 및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운반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유휴 상태인 경우, 상기 페이징 eDRX 파라미터에 구성된 페이징 시간 윈도우 내에서 Paging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또는,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인 경우,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UE가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인 경우, 무선 품질 측정 및 페이징 모니터링이 수행되지 않는다.
또는,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 및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인 경우, 페이징 eDRX 파라미터에 구성된 페이징 시간 윈도우 내에서 Paging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 송수신이 없는 지속시간이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타이머의 지속시간보다 긴 경우, 유휴 상태 일반 모드의 UE는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진입하며; 또는,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거나 딥슬립 모드의 지속시간이 상기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보다 긴 경우, 딥슬립 모드의 UE는 유휴 상태 일반 모드로 진입한다.
일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은,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고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기지국에 대한 RRC 연결 설정 또는 연결 복구 또는 초기 데이터 전송(Early Data Transmission, EDT) 요청을 직접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300), 단말은 기지국에 대한 RRC 연결 설정, RRC 연결 복구 또는 EDT 전송 요청을 개시하고, RRC 연결 설정, RRC 연결 복구 또는 EDT 전송 프로세스를 트리거한다.
RRC 연결 설정, RRC 연결 복구 또는 EDT 전송 프로세스에서 UE는 기지국이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UE가 기지국에 보고하는 상기 정보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데이터 전송 주기, 데이터의 최소 전송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는 기지국에 상기 정보를 보고할 때 상향링크 RRC 메시지 또는 상기 상향링크 RRC 메시지에 수반되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UE에 의해 보고된 상기 파라미터는 eNB가 eDRX 및 PSM 파라미터 구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301), 기지국은 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S1 또는 Ng 포트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을 미리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요청에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재전송 타이머)을 운반한다.
단계(302), 코어 네트워크는 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응답을 기지국에 송신한다.
상기 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요청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재전송 타이머)을 운반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 간격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재전송 타이머 지속시간)보다 크거나 같도록 보장한다.
단계(301) 내지 단계(302)를 통해, 비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은 연결 관리(connection management, CM) 연결 상태(CONNECTED state)에 있고,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연결은 유지되며(S1 또는 Ng 포트 연결 유지),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 및 UE와 동시에 UE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기지국은 eNB, gNB와 같은 RAN 기기일 수 있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EPC, 5GC 등일 수 있다.
단계(303), 기지국이 UE의 제1 파라미터, 즉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 및/또는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은 상기 UE의 제1 파라미터를 자체로 결정할 수도 있고, 코어 네트워크의 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요청에서 운반되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재전송 타이머)에 따라 상기 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는, eDRX 주기 또는 eDRX 간격(Paging eDRX Cycle), 및 eDRX 주기 내에서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aging Time Window, PTW) 길이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의 길이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Paging 주기(DRX 주기(Cycle))를 단위로 한다. UE는 상기 eDRX의 주기 및 UE 식별자(identification, ID)에 기반하여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의 시작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의 시작 위치 및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의 길이에 따라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의 마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UE는 상기 페이징 시간 윈도우 내에서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는,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ActiveTimer), 및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Deep Sleep Mode, DSM)Timer)을 포함한다. UE는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딥슬립 모드로 진입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는 UE의 경우,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 송수신이 없는 지속시간이 상기 ActiveTimer를 초과하면, UE는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고; UE가 데이터 송신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거나 딥슬립 모드의 지속시간이 상기 DSM Timer를 초과하면, 유휴 상태 일반 모드로 진입하며;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는 UE는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는 UE는 필요한 타이머 유지만 수행하고, 무선 품질 측정 및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UE에 대해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와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동시에 구성하면, UE는 비-딥슬립 모드에서만 eDRX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 및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301) 내지 단계(303)와는 달리, 기지국은 제1 파라미터를 미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S1 또는 Ng 포트(RAN based Paging이 적시적이지 못한 등 요소)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을 결정하고,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S1 또는 Ng 포트의 다운링크 데이터 최대 지연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최대 재전송 간격(재전송 타이머)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기지국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최대 지연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 다음 제1 파라미터를 UE에 송신하면, 제1 파라미터는 UE가 Pag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지속시간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재전송 타이머)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또는,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수신한 다음 제1 파라미터를 UE에 송신하면, 제1 파라미터는 UE가 Pag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지속시간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재전송 타이머 기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단계(304), 기지국은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운반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를 상기 UE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또한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UE에 송신한 후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지시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구성된 유휴 상태 eDRX 파라미터 및/또는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S1 또는 Ng 포트(RAN based Paging이 적시적이지 못한 등 요소)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을 결정하고,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S1 또는 Ng 포트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재전송 타이머)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단계(305), 상기 UE는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에 기반하여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UE는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RRC Inactive 또는 유휴 상태 컨텍스트 중단 상태에 진입한다.
상기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eDRX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UE는 eDRX 파라미터에 구성된 페이징 시간 윈도우 내에서만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2,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는 UE는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는 UE는 필요한 타이머(예를 들어, UE가 딥슬립 모드에 진입하는것을 결정하는 타이머(ActiveTimer), UE의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 타이머(DSM Timer)) 유지만 수행하고, 무선 품질 측정 및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UE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유휴 상태로 진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휴 상태를 일반 모드와 딥슬립 모드로 구분한다. 유휴 상태 일반 모드는 UE가 RRC 연결을 해제하고 유휴(IDLE) 상태로 진입하여 eDRX에 따라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유휴 상태의 일반 모드에 있는 UE는 무선 품질 측정 및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는 UE가 딥슬립에 진입하여 필요한 타이머 유지만 수행하고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3,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eDRX 파라미터 및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UE는 비-딥슬립 모드(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서만 eDRX 파라미터(즉 eDRX 파라미터에 구성된 페이징 시간 윈도우 내)에 따라 측정 및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는 UE는 필요한 타이머(UE가 딥슬립에 진입하는것을 결정하는 타이머(ActiveTimer), UE의 딥슬립의 최대 지속시간 타이머(DSM Timer)) 유지만 수행하고, 무선 품질 측정 및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계(306), 기지국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상기 UE에 송신한 후,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eDRX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 eNB가 코어 네트워크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UE가 비활성 페이징 시각(inActive Paging Occasion) 모니터링 상태(페이징 eDRX의 PTW 밖)에 있으면, 기지국은 UE가 활성 페이징 시각(Active Paging Occasion) 모니터링 상태(페이징 eDRX의 PTW 내)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Paging 메시지를 UE에 송신하여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트리거한다.
2,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 eNB가 코어 네트워크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UE가 inActive Paging Occasion 모니터링 상태(DSM 딥슬립 모드)에 있으면, 기지국은 UE가 Active Paging Occasion 모니터링 상태(비-딥슬립 모드, 즉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Paging 메시지를 UE에 송신하여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트리거한다.
3,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확장 DRX 파라미터 및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 eNB가 코어 네트워크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UE가 inActive Paging Occasion 모니터링 상태(페이징 eDRX의 PTW 밖, 또는 DMS 딥슬립 모드)에 있으면, 기지국은 UE가 Active Paging Occasion 모니터링 상태(페이징 eDRX의 PTW 내)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Paging 메시지를 UE에 송신하여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트리거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401), 기지국은 제1 파라미터를 운반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단말(UE)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eDRX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유휴 상태의 eDRX 파라미터는, eDRX 주기 또는 eDRX 간격(Paging eDRX Cycle), 및 eDRX 주기 내에서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길이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의 길이는 PDCCH-Paging 주기(DRX Cycle)를 단위로 한다.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UE에게 RRC Inactive 또는 유휴 상태 컨텍스트 중단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UE는 수신된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따라 RRC 연결 및 상응한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만, UE 컨텍스트 정보는 저장하고, 상기 UE의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연결은 유지된다.
단계(402), 상기 UE는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UE ID에 따라 상기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의 시작 위치 및 마감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의 시작 위치 및 마감 위치를 결정하는 규칙은 이하의 규칙을 포함한다.
1, 하이퍼 시스템 프레임 넘버(Hyper-System Frame Number(SFN), H-SFN) mod T 페이징 eDRX=UE-ID mod T 페이징 eDRX를 기반으로 페이징 시간 윈도우의 시작 위치 H-SFN를 결정하고, T 페이징 eDRX는 페이징 eDRX 주기이고, UE-ID는 UE의 임시 모바일 가입자 ID(Serving-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S-TMSI) 또는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IMSI) 등일 수 있다.
2, H-SFN 내의 UE의 첫 번째 페이징 시각((Paging Occasion, PO)의 위치가 페이징 시간 위도우(PTW)의 시작 위치이다.
3,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의 시작 위치 +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의 길이가 페이징 시간 윈도의(PTW)의 마감 위치이다.
또한, 상기 PTW의 시작 위치와 마감 위치는 NAS 계층의 페이징 eDRX 관련 전략을 채택할 수도 있다.
단계(403), UE는 페이징 eDRX의 PTW 내에서 Paging을 모니터링하고, PTW 밖에서 Paging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징 eDRX Cycle과 페이징 eDRX Cycle 내의 PTW는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코어 네트워크가 eNB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으면, eNB도 UE에 Paging을 송신할 필요가 없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징 eDRX Cycle과 페이징 eDRX Cycle 내의 PTW는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코어 네트워크가 eNB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각이 페이징 eDRX의 밖에 있으면, eNB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고, PTW 내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UE에 페이징을 보내어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트리거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징 eDRX Cycle과 페이징 eDRX Cycle 내의 PTW는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UE가 유휴 상태, 예를 들어 PTW 내에 있고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가 있으면,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직접 트리거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601), 기지국은 제1 파라미터를 운반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단말(UE)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는,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ActiveTimer), 및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DSM Timer)을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UE에게 RRC Inactive 또는 유휴 상태 컨텍스트 중단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UE는 수신한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따라 RRC 연결 및 상응한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만, UE 컨텍스트 정보는 저장하고, 상기 UE의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연결은 유지된다.
단계(602), 상기 UE는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유휴 상태 일반 모드 또는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다고 결정한다.
유휴 상태 일반 모드 또는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1, 유휴 상태의 일반 모드에 있는 UE는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 송수신이 없는 지속시간이 Active Timer를 초과하면, UE는 유휴 상태의 딥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유휴 상태 일반 모드는 UE가 RRC 연결을 해제하고 IDLE 상태로 진입하여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는 UE가 딥슬립에 진입하여 필요한 타이머 유지만 수행하고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2,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는 UE는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필요가 있거나, 딥슬립 모드에 있는 지속시간이 DSM Timer를 초과하면, 유휴 상태 일반 모드로 진입한다.
유휴 상태 일반 모드(Active Timer 작동)와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Deep Sleep Timer 작동)는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가 eNB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으면, eNB도 UE에 Paging을 송신할 필요가 없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는 동안 코어 네트워크가 기지국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면, 기지국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고, 기지국은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로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Paging 메시지를 UE에 송신하여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트리거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딥슬립 모드에 있는 UE가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가 있는 경우,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직접 트리거할 수 있다.
단계(603), 상기 UE는 딥슬립 모드에 있을 경우,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에 진입하면 DSM Timer를 유지해야 한다.
단계(604),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를 종료하고 유휴 상태 일반 모드로 진입하면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를 종료하면, 유휴 상태 일반 모드로 진입하여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단계(605),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고 송신해야 할 업링크 데이터가 있을 경우,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직접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고 송신해야 할 업링크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도,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직접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603) 내지 단계(605) 사이에는 고정된 선후순서가 없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801), 기지국은 제1 파라미터를 운반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단말(UE)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확장 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는,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ActiveTimer), 및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DSM Timer)을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는, 페이징 eDRX 주기 또는 확장 DRX 간격(Paging eDRX Cycle), 및 페이징 eDRX 주기 내에서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길이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길이는 PDCCH-Paging 주기(DRX Cycle)를 단위로 한다.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UE에게 RRC Inactive 또는 유휴 상태 컨텍스트 중단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UE는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RRC 연결 및 상응한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만, UE 컨텍스트 정보는 저장하고, 상기 UE의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연결은 유지된다.
단계(802), 상기 UE는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유휴 상태 일반 모드 또는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다고 결정한다.
유휴 상태 일반 모드 또는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1,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는 UE는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 송수신이 없는 지속시간이 Active Timer를 초과하면, UE는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유휴 상태 일반 모드는 UE가 RRC 연결을 해제하고 IDLE 상태로 진입하여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는 UE가 딥슬립에 진입하여 필요한 타이머 유지만 수행하고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2,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는 UE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거나, 딥슬립 모드에 있는 지속시간이 DSM Timer를 초과하면, 유휴 상태 일반 모드로 진입한다.
유휴 상태 일반 모드(Active Timer 작동)와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딥슬립 Timer 작동)는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코어 네트워크가 eNB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으면, eNB도 UE에 Paging을 보낼 필요가 없다.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는 동안 코어 네트워크가 기지국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면, 기지국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고, 기지국은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 즉 비-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내로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Paging 메시지를 UE에 송신하여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트리거한다. 딥슬립 모드에 있는 UE가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가 있는 경우,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직접 트리거할 수 있다.
단계(803), 상기 UE는 딥슬립 모드에 있을 경우,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에 진입하면 DSM Timer를 유지해야 한다.
단계(804), 상기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을 경우, 확장 DRX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품질 측정 및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단계(805),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고 송신해야 할 업링크 데이터가 있을 경우,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직접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고 송신해야 할 업링크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도, RR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또는 EDT 전송을 직접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803) 내지 단계(805) 사이에는 고정된 선후순서가 없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기지국은 결정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결정 유닛은 단말(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는, 페이징 eDRX 주기 또는 페이징 eDRX 간격, 및 페이징 eDRX 주기 내에서 상기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길이를 포함한다.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는,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 및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을 포함한다.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구성하거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해당 기지국은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페이징 eDRX의 PTW 밖에 있으면, 기지국은 상기 UE가 페이징 eDRX의 PTW 안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상기 UE에게 Pa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으면, 기지국은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UE에게 Pa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 및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페이징 eDRX의 PTW 밖 또는 딥슬립 모드에 있으면, 기지국은 UE가 비-딥슬립 모드에 있고 페이징 eDRX의 PTW 안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UE에게 Pa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UE에 Paging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반 페이징(RAN based Paging)을 개시하기 위한 타이밍을 결정하고, 상기 RAN based Paging 간격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타이밍에 상기 UE에 Pa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
해당 기지국은,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 또는 송신한 후,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와 협상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협상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상기 협상 유닛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을 미리 판단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운반하는 사용자 특정(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운반하는 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응답을 수신한다.
또는, 구성된 제1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을 결정하고,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 상기 협상 유닛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와 협상하였으면, 상기 제1 파라미터는 UE가 Pag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지속시간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보다 작거나 같도록 보장해야 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은 수신 유닛 및 에너지 절약을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에너지 절약 유닛은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는, 페이징 eDRX 주기 또는 페이징 eDRX 간격, 및 페이징 eDRX 주기 내에서 상기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길이를 포함한다.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는,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 및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운반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너지 절약 유닛은,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유휴 상태인 경우, 상기 페이징 eDRX 파라미터에 구성된 페이징 시간 윈도우 내에서 Paging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또는,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는 경우, 무선 품질 측정 및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UE가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무선 품질 측정 및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는,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 및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는 경우, 페이징 eDRX 파라미터에 구성된 페이징 시간 윈도우 내에서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제1 파라미터가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유휴 상태 일반 모드에 있는 UE는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 송수신이 없는 지속시간이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타이머의 지속시간보다 길면, UE는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진입하며; 또는,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있는 UE는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거나 딥슬립 모드의 지속시간이 상기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보다 길면, 유휴 상태 일반 모드로 진입한다.
해당 단말은,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고 송신해야 할 업링크 데이터가 있을 경우, 기지국에 대한 RRC 연결 설정 또는 연결 복구 또는 초기 데이터 전송(EDT)을 직접 개시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시스템 간(inter system) 측정 신호 구성 정보를 단말(UE)에게 송신하며,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 간 측정 신호 구성 정보를 전달하며; 시스템 간 측정 신호 복조를 지원하는 UE는 본 시스템의 측정 신호와 시스템 간 측정 신호를 기반으로 로컬 셀 및/또는 인접 셀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 무선 품질 측정을 공동으로 수행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UE)은 시스템 간 측정 신호 복조를 지원하는 능력을 기지국에 보고하고, 기지국은 시스템 간 측정 신호 구성 정보를 상기 UE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RRC 전용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 간 측정 신호 구성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UE는 본 시스템의 측정 신호와 시스템 간 측정 신호를 기반으로 로컬 셀 및/또는 인접 셀의 RSRP/RSRQ 무선 품질 측정을 공동으로 수행한다.
상기 시스템 간은 본 시스템과 다른 NB-IoT 시스템, eMTC 시스템,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시스템 간 측정 신호 구성 정보는, NB-IoT 시스템, eMTC 시스템,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이 구성한 다른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측정 신호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NB-IoT 시스템의 측정 신호는 협대역 참조 신호(Narrowband Reference Signal, NRS), 협대역 기본 동기화 신호(Narrow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NPSS), 협대역 보조 동기화 신호(Narrow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NS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eMTC/ LTE 시스템의 측정 신호는 셀 특정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기본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보조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탐색 신호(Discovery signal, D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NR 시스템의 측정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기본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보조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간 측정 신호의 구성 정보는 시스템 간 측정 신호에 기반한 측정 활성화 지시, 시스템 간 측정 신호의 송신 전력 정보(절대 전력 또는 본 시스템의 특정 측정 신호에 기반한 전력 오프셋), 시스템 간 측정 신호의 시간 영역/주파수 영역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기지국에 의해 실행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지국,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및 상기 기지국과의 연결 관계를 유지하는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을 더 제공하며,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기지국과 협상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분야 당업자는 상기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중 전부 또는 일부 단계, 시스템 및 장치의 기능 모듈/유닛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이들의 적절한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설명에서 언급된 기능 모듈/유닛 간의 구분은 반드시 물리적 유닛의 분할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하나의 물리적 구성 요소는 다수의 기능을 가질 수 있거나, 하나의 기능 또는 단계는 여러개의 물리적 구성 요소의 협동에 의해 실행된다. 일부 또는 모든 구성 요소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와 같은 집적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저장 매체(또는 비일시적 매체) 및 통신 매체(또는 일시적 매체)를 포함할 수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분포될 수 있다. 본 분야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컴퓨터 저장 매체라는 용어는 정보(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렌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콤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메모리, 자기 카트리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메모리 또는 다른 자기 메모리,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다른 매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카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중의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분야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있다.

Claims (21)

  1. 기지국이 단말(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는, 페이징 eDRX 주기 또는 페이징 eDRX 간격, 및 하나의 상기 페이징 eDRX 주기 내에서 상기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는,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 및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구성하거나, 상기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페이징 eDRX의 PTW 밖에 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UE가 상기 페이징 eDRX의 PTW 내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상기 UE에게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UE가 비-딥슬립 모드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상기 UE에게 상기 Paging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 및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상기 페이징 eDRX의 PTW 밖 또는 상기 딥슬립 모드에 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UE가 비-딥슬립 모드에 있고 상기 페이징 eDRX의 PTW 내에 있을 때까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상기 UE에게 상기 Paging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게 Paging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반 페이징(RAN based Paging)을 개시하기 위한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RAN based Paging 간격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보다 작거나 같음-;
    상기 타이밍에 상기 Paging 메시지를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 또는 송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와 협상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코어 네트워크와 협상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을 미리 판단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운반하는 사용자 특정(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요청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운반하는 UE Specific 연결 설정 또는 복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구성된 상기 제1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을 결정하고,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와 협상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UE가 Pag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지속시간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보다 작거나 같도록 보장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10. 단말(UE)이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는, 페이징 eDRX 주기 또는 페이징 eDRX 간격, 및 페이징 eDRX 주기 내에서 상기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TW)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는,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머 및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운반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유휴 상태인 경우, 상기 페이징 eDRX 파라미터에 구성된 페이징 시간 윈도우 내에서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유휴 상태 일반 모드인 경우, 무선 품질 측정 및 상기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UE가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무선 품질 측정 및 상기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유휴 상태의 페이징 eDRX 파라미터 및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상기 유휴 상태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페이징 eDRX 파라미터에 구성된 페이징 시간 윈도우 내에서 상기 Paging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 송수신이 없는 지속시간이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타이머의 지속시간보다 길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유휴 상태 일반 모드의 상기 UE는 상기 유휴 상태 딥슬립 모드에 진입하며; 또는,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거나 상기 딥슬립 모드의 지속시간이 상기 UE 딥슬립 모드의 최대 지속시간보다 길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딥슬립 모드의 상기 UE는 상기 유휴 상태 일반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UE가 딥슬립 모드에 있고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경우, 상기 기지국에 대한 RRC 연결 설정 또는 연결 복구 또는 초기 데이터 전송(EDT) 요청을 직접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을 방법.
  16. 단말(UE)의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은-상기 제1 파라미터는 유휴 상태의 페이징 확장 불연속 수신(eDRX) 파라미터, 유휴 상태 딥슬립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절약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 18 항에 따른 기지국, 제 19 항에 따른 단말, 및 상기 기지국과의 연결 관계를 유지하는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지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최대 재전송 간격을 상기 기지국과 협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
  21.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6087A 2019-01-18 2020-01-13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 기지국, 단말,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550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49747.9A CN110536383B (zh) 2019-01-18 2019-01-18 终端节能方法、基站及终端
CN201910049747.9 2019-01-18
PCT/CN2020/071684 WO2020147669A1 (zh) 2019-01-18 2020-01-13 终端节能方法、基站、终端、终端节能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575A true KR20210116575A (ko) 2021-09-27
KR102550958B1 KR102550958B1 (ko) 2023-07-04

Family

ID=6865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087A KR102550958B1 (ko) 2019-01-18 2020-01-13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 기지국, 단말,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24624A1 (ko)
EP (1) EP3913988A4 (ko)
KR (1) KR102550958B1 (ko)
CN (1) CN110536383B (ko)
AU (1) AU2020209603B2 (ko)
WO (1) WO2020147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6383B (zh) * 2019-01-18 2024-03-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节能方法、基站及终端
WO2021237693A1 (zh) * 2020-05-29 2021-1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增强非连续接收的寻呼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262600B (zh) * 2020-08-20 2024-0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扩展非连续接收参数确定方法、通信设备和存储介质
US20240057210A1 (en) * 2020-12-25 2024-02-1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Terminal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151070A1 (zh) * 2021-01-13 2022-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3507740B (zh) * 2021-06-29 2023-03-24 紫光展锐(重庆)科技有限公司 一种节省功耗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5735377A (zh) * 2021-07-01 2023-03-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测量配置确定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4205896B (zh) * 2021-12-07 2023-05-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节电模式配置方法、ciot节电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4845369B (zh) * 2022-06-30 2022-09-16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终端状态执行节能策略的方法、系统和5g基站
WO2024050791A1 (en) * 2022-09-08 2024-03-14 Zte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s
CN117750475A (zh) * 2022-09-15 2024-03-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86215A1 (en) * 2012-11-01 2014-09-25 Ali Taha Koc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ycle length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150043403A1 (en) * 2013-08-08 2015-02-12 Marta Martinez Tarradell Power saving mode optimizations and related procedure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9243B1 (en) * 2009-05-05 2016-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Broadcast message reading method, system and device
WO2012053841A2 (en) * 2010-10-20 2012-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US9344985B2 (en) * 2011-03-08 2016-05-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opagation delay difference reporting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s
CN102917444B (zh) * 2011-08-01 2016-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空闲状态下非连续接收的方法及装置
EP2846589B1 (en) * 2012-05-15 2021-07-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method of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system
EP3567977B1 (en) * 2012-06-28 2022-07-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own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network
KR101296578B1 (ko) * 2013-03-07 2013-08-14 주식회사 에스엠이씨 Lte 네트워크를 위한 페이징 노드 장치 및 페이징 방법
CN103546968B (zh) * 2013-10-24 2016-09-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下行数据触发寻呼的方法及设备
CN104812031A (zh) * 2014-01-26 2015-07-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tc用户设备的节能方法及系统、用户设备、rnc
US9763172B2 (en) * 2014-08-06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Idle-mode enhancements for extended idle discontinuous reception (EI-DRX)
WO2016056839A1 (ko) * 2014-10-07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2m 단말의 동작 방법
EP3245818B1 (en) * 2015-01-16 2019-12-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core network node and a method therein for an extended drx paging cycle
WO2016136958A1 (ja) * 2015-02-27 2016-09-0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プロセッサ
WO2016140275A1 (ja) * 2015-03-03 2016-09-09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基地局
US10779354B2 (en) * 2015-03-03 2020-09-15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radio terminal, and processor
EP4187985A1 (en) * 2015-03-03 2023-05-31 Kyocera Corporation Radio terminal, processor and method
WO2016140273A1 (ja) * 2015-03-03 2016-09-09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CN107113716B (zh) * 2015-04-03 2020-06-23 株式会社Ntt都科摩 基站及用户装置
KR102460562B1 (ko) * 2015-04-03 2022-10-2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연장된 drx 사용을 위한 시스템 향상
JP6594430B2 (ja) * 2015-08-11 2019-10-2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プロセッサ
US11382060B2 (en) * 2015-10-02 2022-07-05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paging user equipment
US9913245B2 (en) * 2015-10-23 2018-03-06 Qualcomm Incorporated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ll setup
JP6637177B2 (ja) * 2015-12-02 2020-01-2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eDRX可能モバイル端末のためのMT SM配信の拡張
CN113556811B (zh) * 2016-05-13 2024-04-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轻连接控制的方法及设备
US10070387B2 (en) * 2016-05-18 2018-09-04 Qualcomm, Incorporated Deep sleep mode abort mechanism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 devices
CN108307490B9 (zh) * 2016-08-11 2022-09-1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对用户设备进行轻连接控制的方法及相应设备
EP4262271A3 (en) * 2016-09-30 2024-01-10 Apple Inc. Configuration of discontinuous reception (drx) parameters in light connection
WO2018085725A1 (en) * 2016-11-04 2018-05-11 Intel IP Corporation Discontinuous paging reception
US10231281B2 (en) * 2016-11-29 2019-03-12 At&T Mobility Ii Llc Managing negotiation of extended idle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parameters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core network device
US10412780B2 (en) * 2017-05-25 2019-09-10 Apple Inc. Adapting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s using scheduling requests
US11184874B2 (en) * 2017-06-15 2021-11-23 Lg Electron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005958A1 (en) * 2018-06-27 2020-01-0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MODIFICATION OF EXTENDED IDLE-MODE DISCONTINUOUS RECEPTION (eDRX) CONNECTION MODE
CN110536383B (zh) * 2019-01-18 2024-03-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节能方法、基站及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86215A1 (en) * 2012-11-01 2014-09-25 Ali Taha Koc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ycle length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150043403A1 (en) * 2013-08-08 2015-02-12 Marta Martinez Tarradell Power saving mode optimizations and related procedure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32436* *
3GPP R2-132613* *
3GPP R2-180258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24624A1 (en) 2022-04-21
EP3913988A4 (en) 2022-10-26
AU2020209603A1 (en) 2021-09-09
CN110536383B (zh) 2024-03-08
EP3913988A1 (en) 2021-11-24
KR102550958B1 (ko) 2023-07-04
WO2020147669A1 (zh) 2020-07-23
CN110536383A (zh) 2019-12-03
AU2020209603B2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958B1 (ko) 단말 에너지 절약 방법, 기지국, 단말, 단말 에너지 절약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JP7191162B2 (ja) 基地局及び方法
JP6908670B2 (ja) 基地局及び無線端末
US20220046584A1 (en) Paging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102200982B1 (ko) Ue의 상태 전환 방법 및 장치
CN111819879B (zh) 在rrc非活动状态下暂停/恢复测量
KR102355304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과 관련된 방법 및 장치
US9241308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CN112534921A (zh) 侧链路无线资源分配
EP3039916B1 (en)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WO2016158394A1 (ja) 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WO2016136958A1 (ja) 無線端末及びプロセッサ
EP3468265B1 (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ue in low power consumption mode
US20160165642A1 (en) Latency Reduction for User Equipment with Bursty Interactive Traffic
JP2023519587A (ja) 端末装置及び基地局
CN115699944A (zh) 终端装置、方法以及集成电路
KR2020012172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저전력 소모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RU2772866C1 (ru) Способ сбережения энергии терминала,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терминал, система сбережения энергии терминала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US20240080927A1 (en) Conditions for transitioning to or remaining in inactive state
KR10204632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신장치 및 방법
JP2017208799A (ja) ユーザ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0015469A1 (zh) 载波共享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