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057A -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 - Google Patents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057A
KR20210116057A KR1020200032709A KR20200032709A KR20210116057A KR 20210116057 A KR20210116057 A KR 20210116057A KR 1020200032709 A KR1020200032709 A KR 1020200032709A KR 20200032709 A KR20200032709 A KR 20200032709A KR 20210116057 A KR20210116057 A KR 20210116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woven fabric
disinfection
volu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수연
Original Assignee
백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수연 filed Critical 백수연
Priority to KR102020003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6057A/ko
Publication of KR20210116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8Zingiberaceae [Ginger family], e.g.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61L2202/181Flexible packaging means, e.g. permeable membranes, p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ackag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살균 수저통, 살균램프와 달리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천연 유래 물질을 포함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저에 흡착된 미생물 및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소독용 부직포가 포함된 포장지의 우측 또는 좌측 절취 선을 따라 개봉하여 펼쳐, 식품 섭취 시 수저의 받침대로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 {Non-woven fabric for sterilizing cutlery containing a steriliz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외식 문화에 관한 독특한 관습이 있는데, 이는 바로 식사 전 수저를 테이블에 올려놓기 전에 종이 냅킨을 먼저 세팅하는 것이며, 이는 외국의 외식 문화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특이한 것이다. 이러한 관습은 행주로 대충 훔친 식탁에 대한 위생을 못미더워하는 손님들의 '기분 위생학'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실제 연구결과에 따르면, 식탁에는 도마의 2배가 넘는 세균이 존재하고, 행주에는 무려 20만 마리 이상의 비브리오균 및 150만 마리 이상의 대장균이 검출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될 정도로, 식탁이나 행주의 위생상태가 매우 불량하다는 지적이 있다. 때문에 손님들은 대부분 식당에서 냅킨을 놓고 그 위에 수저를 놓는데, 재생용지를 사용하는 냅킨은 먼지와 형광물질, 포름알데히드 등이 있어 비위생적이고 건강에도 해롭다. 특히, 냅킨에 함유된 형광표백제는 장염 등 소화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포름알데히드는 피부질환, 기관지염, 암 발생 가능성이 높은 물질이다.
또한,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 용구는 대부분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되어 있는데, 영국 써삼턴대학의 빌 필리 교수 연구진에 따르면 스테인리스 스틸이 외관상으로는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보이나 표면 자국이나 홈 속에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O-157 대장균과 같은 강력한 박테리아가 생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균들은 천으로도 쉽게 제거되지 않아 스테인리스 용기 속에서 한 달 이상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외식산업 규모에 적합한 주방용품 위생 관리 방안과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최근 코로나 19의 발생 및 확산으로 인해 위생 관념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더욱 엄격해졌으며, 식당의 공용 수저함에 구비된 수저의 위생 상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소비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수저 등의 주방용품을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1660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수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숟가락의 술잎과 술날의 길이 및 형태와 유사한 방추형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인, 수저 소독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수저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하나의 양태는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수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숟가락의 술잎과 술날의 길이 및 형태와 유사한 방추형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인, 수저 소독용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독'은 항균, 항미생물, 항바이러스 작용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포도상구균, O-157 대장균, 이질, 살모넬라균, 비브리오, 리스테리아균 및 헬리코박터균, 및 기타 바이러스를 포함하며, 특히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균주와 Escherichia coli ATCC 10536 균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는 수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숟가락의 술잎과 술날의 길이와 유사한 크기의 포장지에 진공 포장 또는 개별 위생 포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를 포장하는 포장지는 원형, 타원형, 기타 다각형의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는 통상적인 부직포 또는 일반적인 펄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숟가락의 술잎과 술날의 길이 및 형태와 유사한 크기의 방추형 입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포장지의 절취선에 따라 일측면을 절단하면 원뿔과 유사한 형상의 방추형 입체구조로 구성된 소독용 부직포 측면이 드러나고, 입체구조 내부 공간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삽입한 후 포장지 겉면만을 문지름으로써 숟가락 및 젓가락의 앞 뒷면이 골고루 소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포장지 겉면에만 압력을 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소독 부직포의 소독 용액이 직접적으로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는 휴대가 용이하며, 식용이 가능한 천연 유래 물질만으로 구성된 소독용 조성물이 함유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는 포장지 내에 진공 포장 또는 개별 위생 포장된 것이며, 상기 포장지 내에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살바이러스용 부직포, 중간 필름, 건조용 부직포가 순차적으로 진공 포장 또는 개별 위생 포장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포장 개봉 후 개봉된 공간으로 수저를 넣고 겉 포장지를 누름으로써 수저를 깨끗하게 소독할 수 있으며, 진공 포장을 통해 습기로 인한 세균 증식을 방지할 수 있고, 크기가 작아 휴대와 유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는 조성물 용액이 아닌, 조성물의 유효 성분을 그대로 포함한 분말 형태의 소독용 분말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포장지는 가로 6 내지 8, 세로 8 내지 10cm의 포장지일 수 있다. 상기 포장지는 내측 면에 0.1 내지 0.3, 또는 0.2mm 두께의 인공섬유 또는 천연펄프가 부착된 것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습기로 인한 세균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지는 절취선을 따라 개봉하여 펼칠 경우 수저의 받침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수저 소독용 부직포에 포함될 수 있는 수저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소독용 조성물은, 소금, 생강 추출물, 구연산, 매스틱 용액, 키토산, 주정 및/또는 스테비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금은 천일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스틱 용액은 매스틱 나무의 천연 수지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또는 부직포는 전해수, 식초, 염소산, 차아염소산수, 베이킹파우더, 또는 비타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독용 조성물은 전체 소독용 조성물의 100 부피% 대비, 소금 1 내지 5 부피%, 생강 추출물 1 내지 3 부피%, 구연산 0.05 내지 0.5 부피%, 매스틱 용액 2 내지 7 부피%, 키토산 0.05 내지 0.3 부피%, 및/또는 주정 80 내지 95 부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키토산의 농도, 생강 추출물의 농도, 알코올 농도에 따라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병용 효과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독용 조성물은 소독용 부직포 하나에 4 내지 5cc 용량으로 점적되어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소독용 조성물의 용량이 이보다 낮을 경우 부직포의 소독 효과가 감소하며, 지나치게 많을 경우 수저 소독 후 잔여물이 많아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수저 소독용 부직포는, 종래의 살균 수저통, 살균램프와 달리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천연 유래 물질을 포함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저에 흡착된 미생물 및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소독용 부직포가 포함된 포장지의 우측 또는 좌측 절취 선을 따라 개봉하여 펼쳐, 식품 섭취 시 수저의 받침대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ATP 측정 기준치 가이드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재질 별 RLU 기준 예시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 및 5는 본 발명의 부직포를 적용하기 전, 수저에 남아있는 미생물에 대한 RLU 값을 측정한 것이다.
도 4 및 6은 본 발명의 부직포를 적용한 후, 수저에 남아있는 미생물에 대한 RLU 값을 측정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저 소독용 조성물 및 부직포의 제조
주정 100 부피%를 기준으로, 소금 3 부피%, 생강 추출물 2 부피%, 구연산 0.25 부피%, 매스틱 용액 4 부피%, 키토산 0.2 부피%를 첨가하였으며, 스테비아 추출물을 소량 첨가하여 살균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가로 7, 세로 9cm의 타원형 포장지와, 인공섬유 또는 천연펄프로 구성된 부직포로서 방추형 입체구조를 갖는 부직포를 준비하고, 포장지와 동일한 사이즈의 하나의 부직포 당 상기 살균 용액 조성물 4cc 첨가한 후, 타원형 포장지에 포장하였다.
실시예 2: 부직포의 항균 능력 검증
실시예 1의 소독용 부직포의 살균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일반 음식점 내 비치된 숟가락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부직포 사용 전의 미생물 양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소독용 부직포 포장지의 일측면을 절단하여 방추형 입체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빈 공간으로 숟가락을 삽입하고 약 5초 동안 포장지 겉면을 손으로 압박하여 수저의 앞 뒷면을 살균한 후, 미생물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기기는 3M사의 세균 ATP 측정기인 클린트레이스(모델번호 TBD1000)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표면의 ATP량을 측정하여 세균을 포함한 미생물의 양을 상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단위는 RLU(Relative Light Unit)로 나타난다. 측정 결과를 표 1 및 도 3 내지 6에 표시하였다.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후
숟가락 1 RLU 443 (도 3) RLU 12 (도 4)
숟가락 2 RLU 2776 (도 5) RLU 21 (도 6)
그 결과, 본 발명의 부직포를 적용하기 전에는 RLU 값이 400 내지 2700 정도로 매우 높게 나왔으며, 이는 상기 측정기의 'ATP 측정 기준치 가이드라인'(도 1 및 2)에 따를 때 '오염' 수치를 초과하는 값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소독을 진행한 결과, RLU 값이 30 이하로 나타났으며, 수저 및 스테인리스 제품의 안전 수치가 200 RLU임을 고려할 때 사실상 숟가락에 흡착되어 있던 거의 모든 바이러스와 미생물이 본 발명의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사멸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이즈가 작아 휴대하기 편하면서도 쉽게 개봉하여 수저를 소독할 수 있고, 함께 내장된 건조용 부직포를 이용해 수저에서 살균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수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숟가락의 술잎과 술날의 길이 및 형태와 유사한 방추형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인, 수저 소독용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숟가락의 술잎과 술날의 길이와 유사한 크기의 포장지에 진공 포장 또는 개별 위생 포장된 것인, 수저 소독용 부직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는 절취선을 따라 개봉하여 펼칠 경우 수저의 받침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인, 수저 소독용 부직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인, 수저 소독용 부직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휴대가 용이하며, 식용이 가능한 천연 유래 물질만으로 구성된 소독용 조성물이 함유된 것인, 수저 소독용 부직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용 조성물은 소금, 생강 추출물, 구연산, 매스틱 용액, 키토산, 주정 또는 스테비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저 소독용 부직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용 조성물은 전체 소독용 조성물의 100 부피% 대비, 소금 1 내지 5 부피%, 생강 추출물 1 내지 3 부피%, 구연산 0.05 내지 0.5 부피%, 매스틱 용액 2 내지 7 부피%, 키토산 0.05 내지 0.3 부피%, 또는 주정 80 내지 95 부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
KR1020200032709A 2020-03-17 2020-03-17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 KR20210116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709A KR20210116057A (ko) 2020-03-17 2020-03-17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709A KR20210116057A (ko) 2020-03-17 2020-03-17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057A true KR20210116057A (ko) 2021-09-27

Family

ID=7792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709A KR20210116057A (ko) 2020-03-17 2020-03-17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0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60B1 (ko) 2003-07-01 2005-08-31 주식회사 신일화학 살균 소독용 천연항균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60B1 (ko) 2003-07-01 2005-08-31 주식회사 신일화학 살균 소독용 천연항균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2145B2 (ja) 抗ノロウイルス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Heggers et al. The effectiveness of processed grapefruit-seed extract as an antibacterial agent: II. Mechanism of action and in vitro toxicity
JP2011042579A (ja) 抗ウイルス剤および抗ウイルス処理方法
Child The Frugal Housewife. Dedicated to Those who are Not Ashamed of Economy... Corrected and Arranged by the Author. To which are Added, Hints to Persons of Moderate Fortune, Etc
CN107595750B (zh) 一种活性消炎牙膏
ES2210790T3 (es) Aditivo para la mejora de la estabilidad y/o la estabilizacion de prodctos perecederos por accion microbiana.
KR20210116057A (ko)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저 소독용 부직포
CN103690257A (zh) 一种新型植物牙签及其制备方法
CN103692518B (zh) 一种保鲜液及其应用
Stanway The Miracle of Lemons: Practical Tips for Health, Home and Beauty
CN105767840A (zh) 一种常温食品保鲜片及其制备方法
KR20090092487A (ko) 유아전용 및 성인전용 위생 물티슈
JP2011194097A (ja) 清拭物品
CN106236672A (zh) 橙花纯露卫生湿巾及其制备方法
CN107157860A (zh) 迷迭香湿巾
CN102090602A (zh) 调味料
CN102613936A (zh) 一种消毒湿巾及其制备方法
CN204970115U (zh) 一种带有杯架的茶几
CN103431919A (zh) 一种中药保健牙签
RU2802066C1 (ru) 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Jayadi et al. Hand sanitiser activity test of eucalyptus (Eucalyptus globulus) oil extract against Bacillus subtilis and Enterococcus faecalis bacteria
KR200457182Y1 (ko) 위생 도마
CN204181385U (zh) 便携式筷子餐具套装
Jain et al. Evaluation of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suspension of Ginger, Black Pepper, Vinegar, Honey and its application in Shelf life extension of Agaricus bisporus
CN107348454A (zh) 一种生物调味消毒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