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854A - 비산 방지 점착 시트 및 표시체 - Google Patents

비산 방지 점착 시트 및 표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854A
KR20210114854A KR1020200186072A KR20200186072A KR20210114854A KR 20210114854 A KR20210114854 A KR 20210114854A KR 1020200186072 A KR1020200186072 A KR 1020200186072A KR 20200186072 A KR20200186072 A KR 20200186072A KR 20210114854 A KR20210114854 A KR 20210114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erable
meth
adhesive
scattering prevention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카 후지이
요이치 타카하시
쇼 코사바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Abstract

[과제]표시체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 및 의장성이 향상한 표시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표시체에 사용되는 보호 패널(2)의 적어도 한쪽 면 측에 설치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로서, 기재(11) 및 착색 점착제층(12)을 구비한 비산 방지 점착 시트(1).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는,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명도 L*가 9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JIS K7374:2007에 준거해 측정한 0.125 mm, 0.25 mm, 0.5 mm, 1.0 mm 및 2.0 mm의 광학 빗의 상 선명도의 합계값이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광선 투과율이 5% 이상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비산 방지 점착 시트 및 표시체{ADHESIVE SCATTERING PREVENTION SHEET AND DISPLAY}
본 발명은, 표시체에 사용되는 보호 패널의 적어도 한쪽 면측에 설치되는 비산방지 점착 시트 및 상기 비산방지 점착 시트를 구비한 표시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표시체(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콘솔에 설치된 각종 계기 등에서의 차재(車載)용의 표시체, 일반 유저용의 테블릿 단말 등의 표시체, 상업용의 테블릿 단말이나 디지털 간판 등의 표시체, 옥외용의 디지털 간판 등의 표시체에서는, 액정표시장치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등의 표시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차재용을 비롯한 표시체에서는, 상기 표시체의 소등 시에, 상기 표시체의 주변 부재, 예를 들면 프레임 재와의 일체감을 나타내고,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표시체를 착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 4에는, 표시체의 착색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0-313871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2009-188298호 공보 특허문헌 3:일본 특허공개 2012-234028호 공보 특허문헌 4:일본 특허공개 2017-5737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 ~ 4에 개시된 기술은, 모두 착색의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표시체에 대해서 주변 부재와의 일체감을 부여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없었다.
한편, 모바일 용도의 표시체에서는 낙하 등에 의해, 또한, 차재용의 표시체에서는 사고 등에 의해, 큰 충격을 받으면, 보호 패널이 깨져 그 파편이 비산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보호 패널에 비산 방지 점착 시트를 첩부하여, 깨진 보호 패널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시체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 및 의장성이 향상한 표시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의 본 발명은, 표시체에 사용되는 보호 패널의 적어도 한쪽 면 측에 설치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로서, 기재와 착색 점착제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발명 1).
상기 발명(발명 1)과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는, 착색 점착제층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를 보호 패널의 적어도 한쪽 면 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표시체에서, 예를 들면, 소등 시에 상기 표시체의 프레임 재 등의 주변 부재나, 액연상의 인쇄층, 문자 기호 등을 나타내는 인쇄층 등과의 외관 조화성을 양호하게 하고, 따라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충격 등에 의해 보호 패널이 깨졌다고 해도, 상기 보호 패널에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가 첩부되어 있어, 깨진 보호 패널의 비산이 방지된다.
상기 발명(발명 1)에서는,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명도 L*가, 9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2).
상기 발명(발명 1, 2)에서는, JIS K7374:2007에 준거해 측정한 0.125 mm, 0.25 mm, 0.5 mm, 1.0 mm 및 2.0 mm의 광학 빗(comb)의 상 선명도의 합계값이,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
상기 발명(발명 1 ~ 3)에서는, 전광선 투과율이, 5% 이상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상기 발명(발명 1 ~ 4)에서는, 상기 착색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가,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5).
상기 발명(발명 1 ~ 5)에서는, 상기 기재가, 기능성층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6).
제2의 본 발명은, 보호 패널을 구비한 표시체로서, 상기 보호 패널의 한쪽 면 측 또는 양쪽 모두의 면 측에,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발명 1 ~ 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를 제공한다(발명 7).
상기 발명(발명 7)에서는, 주연부(周緣部)에 프레임 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8).
상기 발명(발명 7, 8)에서는, 상기 표시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의 일부에,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9).
본 발명에 따른 비산 방지 점착 시트에 따르면, 표시체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체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에 의해서 의장성이 향상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프레임 재를 가지는 표시체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비산 방지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는, 표시체에 사용되는 보호 패널의 적어도 한쪽 면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기재 및 착색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표시체 및 보호 패널의 상세에 대해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는, 상기와 같이 착색 점착제층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를 보호 패널의 적어도 한쪽 면 측에 설치함으로써, 얻어지는 표시체에서, 예를 들면, 소등 시에 상기 표시체의 프레임 재 등의 주변 부재나, 액연상의 인쇄층, 문자 기호등을 나타내는 인쇄층 등과의 외관 조화성을 양호하게 하고, 따라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충격 등에 의해 보호 패널이 깨졌다고 해도, 상기 보호 패널에 비산 방지 점착 시트가 첩부되어 있어, 깨진 보호 패널의 비산이 방지된다.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의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명도 L*는, 9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6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8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표시체의 소등 시에, 상기 표시체에 대하여, 흑색의 프레임 재나 인쇄층과의 일체감을 부여할 수 있어 외관 조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관 조화성에 의한 의장성 향상 및 표시체의 시인성의 관점에서, 상기 명도 L*의 하한값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명도 L*, 색도 a* 및 b*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의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색도 a*는, -20 ~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 ~ 5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 ~ 2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1.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색도 a*가 상기 범위에 있어 표시체의 시인성이 양호하게 되는 동시에, 의장성, 특히 차재용 표시체에서의 외관 조화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의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색도 b*는, -20 ~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 ~ 5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 ~ 2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 1.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색도 b*가 상기 범위에 있어, 표시체의 시인성이 양호하게 되는 동시에, 의장성, 특히 차재용 표시체에서의 외관 조화성이 보다 향상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박리 시트는 포함하지 않는다)의 JIS K7374:2007에 준거해 측정한 0.125 mm, 0.25 mm, 0.5 mm, 1.0 mm 및 2.0 mm의 광학 빗의 상 선명도(%)의 합계값은,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4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표시체에서의 화상·영상의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특히, 명도 L*가 전술한 범위에 있어도, 표시체에서의 화상·영상의 시인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상 선명도(%)의 합계값은,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4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표시체에서의 화상·영상의 시인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면서, 명도 L*가 전술한 범위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여기서, 상 선명도는, 시험체를 투과한 평행 광선의 광량을, 투과부 및 차광부를 가지는 광학 빗을 통해 측정되는 것이다. 광학 빗에서의 투과부와 차광부의 폭(빗폭)이 작을수록, 세밀도가 높은 상 선명도를 나타낸다. 상 선명도는, JIS K7374:2007의 투과법으로 준해 측정된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박리 시트는 포함하지 않는다)의 전광선 투과율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표시체에서의 화상·영상의 시인성이 보다 양호해지고, 특히, 얻어지는 표시체의 점등박리 시에, 흑표시부와 흑표시부 이외의 부분의 경계가 불선명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0% 이하이고, 상기 명도 L*의 관계를 고려하면,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표시체의 흑표시부에서의 흑미(黑味) 부여성을 고려하면, 8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1:1997에 준거해 측정한 값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착색 점착제층)에서의 착색의 정도(착색 농도 분포)는, 면방향으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표시체에서의 의장성(특히 외관 조화성) 및 시인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의 일례로서 구체적 구성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는, 기재(11), 기재(11)의 한쪽의 면에 적층된 착색 점착제층(12), 및 착색 점착제층(12)에서의 기재(11)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박리 시트(13)로 구성된다. 착색 점착제층(12)은, 박리 시트(13)의 박리면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이란, 박리 시트에서 박리성을 가지는 면을 말하고, 박리 처리를 실시한 면 및 박리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박리성을 나타내는 면의 어느 하나도 포함하는 것이다.
1.각 부재
1-1.기재
기재(11)로는, 피착체의 보호 패널이 깨졌을 때에, 그 깨진 보호 패널(유리나 플라스틱의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좋다. 기재(11)는, 통상은 플라스틱 필름을 주체로 하고, 플라스틱 필름만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플라스틱 필름에 소망한 기능성층이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 시클로올레핀 수지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이들의 2종 이상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1축 연신 또는 2축연신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 중에서도, 이른바 광학 필름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헤이즈값이 1% 미만의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헤이즈값이 1% 미만이면, 얻어지는 표시체의 시인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이러한 광학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시클로올레핀 수지 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서는, 그 표면에 적층되는 층(착색 점착제층(12), 기능성층 등)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소망에 따라 한 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 산화법,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요철화법으로는, 예를 들면 샌드 블레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법은 플라스틱 필름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기능성층의 기능으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트성, 방현성, 내지문성, 이활성(易滑性), 대전 방지성, 필기감 향상성, 안티뉴턴링성, 고투명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능성층은, 이러한 기능을 복수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비산 방지 점착 시트(1)가 보호 패널의 표측에 설치되는 경우와 이측(裏側)에 설치되는 경우에 달라도 좋다.
상기 기능성층으로는, 비산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하드 코트층이 바람직하고, 하드 코트성 이외의 기능도 가지는 하드 코트층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비산 방지 점착 시트(1)가 보호 패널의 표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내지문성, 방현성, 필기감 향상성, 이활성, 고투명성, 대전 방지성 등을 가지는 하드 코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산 방지 점착 시트(1)가 보호 패널의 이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안티뉴턴링성, 방현성, 고투명성, 대전 방지성 등을 가지는 하드 코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기재(11)는, 반사방지층은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방지층을 가지면, 표면의 경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소망한 외관 조화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하드 코트층은, 통상,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고, 소망에 따라, 레벨링제, 필러, 광중합개시제 등을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킨 것으로 이루어진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 모두를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비산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0.5 ~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5 ~ 5㎛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11)(기능성층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성층을 포함한다)의 두께는, 비산 방지성 및 타흔(打痕) 억제의 관점에서,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두께는, 롤·투·롤 등에서의 가공성이나, 표시체의 박형화 등의 관점에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11)(기능성층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성층을 포함한다)의 인장 탄성률은, 비산 방지성 및 타흔 억제의 관점에서, 1.5 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0 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장 탄성률은, 기재 수축의 관점에서, 6.5 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 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2.착색 점착제층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착색 점착제층(1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어느 하나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점착제는, 에멀젼형, 용제형 또는 무용제형의 어느 하나 이어도 좋고, 가교 타입 또는 비가교 타입의 어느 하나이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 물성, 광학 특성 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a) 아크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것이어도 좋고,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가교 타입의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열가교 타입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는,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와 가교제(B)와 착색제(C)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이하 「점착성 조성물 P」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하는 경우에는, 점착성 조성물 P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성 조성물 P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는, 우수한 광학 특성, 점착력, 비산방지성 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양쪽 모두를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중합체」에는 「공중합체」의 개념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 점착성 조성물의 성분
(1-1)(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본 실시형태에서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가교제(B)와 반응하는 반응성 기를 분자 내에 가지는 반응성 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성 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반응성 기가 가교제(B)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3차원 망목 구조)가 형성되어 소망한 응집력을 가지는 점착제가 얻어진다.
상기 반응성 기 함유 모노머로는,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가지는 모노머(수산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모노머(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가지는 모노머(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교제(B)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 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수산기 함유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병용해도 좋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수산기의 가교제(B)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관점, 및 착색제(C)와의 분산성이 양호하게 되는 관점에서, 탄소수가 1 ~ 4의 히드록시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특히,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또는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카르복실기의 가교제(B)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점에서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 n-부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반응성 기 함유 모노머를, 하한값으로서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성 기 함유 모노머가 수산기 함유 모노머인 경우에는, 1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반응성 기 함유 모노머를, 상한값으로서 3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가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의 양으로 반응성 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면, 얻어지는 점착제에서 양호한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소망한 응집력 및 점착성이 얻어진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점착제는, 소정의 점착성에 의해, 예를 들면, 충격이 가해져도 충격을 완화해 보호 패널의 균열을 예방할 수 있는 것 외에 보호 패널이 깨졌다고 해도 상기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산 방지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기재와의 밀착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파편이 점착제층을 관통해 기재측까지 도달하였다고 해도, 비산 방지 점착 시트 자체의 인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중에서의 착색제(C)의 분산성이 양호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얻어지는 점착제는, 전술한 광학 물성의 재현성 및 균일성이 양호해지고, 보다 우수한 의장성 및 시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은 것도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는 산 성분이기 때문에,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은 것에 의해, 점착제의 첩부(貼付) 대상에, 산에 의해 결함이 생기는 것, 예를 들면 주석 도프 산화 인듐(ITO) 등의 투명 도전막이나 금속막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산에 의한 이러한 결함(부식, 저항값 변화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함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소정량 함유하는 것은 허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중에,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0.1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허용된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양호한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알킬기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이어도 좋다.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는, 점착성의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의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의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n-펜틸, (메타)아크릴산 n-헥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n-데실, (메타)아크릴산 n-도데실, (메타)아크릴산 미리스틸, (메타)아크릴산 팔미틸,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8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n-부틸 또는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이 특히 바람직하고,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 n-부틸 또는 아크릴산 2-에틸헥실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4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6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함유량의 하한값이 상기이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적합한 점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C)의 점착제 중에의 분산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소망한 점착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점착제는, 적합한 점착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전술한 광학 물성의 재현성 및 균일성이 양호해지고, 보다 우수한 의장성 및 시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99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9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85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함유량의 상한값이 상기이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중에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등의 다른 모노머 성분을 적합한 양 도입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지환식 구조를 가지는 모노머(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것을 중합체 내에 존재시킴으로써, 중합체끼리의 간격을 넓히는 것이라고 추정되고, 얻어지는 점착제를 유연성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점착제 자체가 비산방지성이 우수해진다.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에서의 지환식 구조의 탄소환은, 포화 구조의 것이어도 좋고, 불포화 결합을 일부에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지환식 구조는, 단환의 지환식 구조이어도 좋고, 2환, 3환 등의 다환의 지환식 구조이어도 좋다. 얻어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와의 상호 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하고, 점착제에 의해 높은 응력완화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지환식 구조는, 다환의 지환식 구조(다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와 다른 성분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상기 다환 구조는, 2환에서 4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응력완화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환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모든 탄소수를 말하고, 복수의 환이 독립해서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의 탄소수를 말한다)는, 통상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용성의 관점에서,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로는,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산 아다만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보닐, (메타)아크릴산 디시클로펜테닐, (메타)아크릴산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비산방지성을 발휘하는, (메타)아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지환식 구조의 탄소수:10), (메타)아크릴산 아다만틸(지환식 구조의 탄소수:10) 또는 (메타)아크릴산 이소보닐(지환식 구조의 탄소수:7)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타)아크릴산 이소보닐이 바람직하고, 또한 아크릴산 이소보닐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8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3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2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4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어 얻어지는 점착제의 비산방지성이 보다 우수한 동시에, 플라스틱에 대한 점착력이 보다 우수해진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중합체 중에 존재시킴으로써, 점착제에 소정의 극성을 부여하고, 유리와 같은 어느 정도의 극성을 가지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친화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에 적당한 강성을 갖게 하는 관점에서,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가지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구성되는 점착제의 고차 구조 중에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유래 부분의 자유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중합에 사용되는 1개의 중합성 기 이외에 반응성 불포화 이중결합기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가지는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N-(메타)아크릴로일몰포린, N-비닐-2-피롤리돈, N-(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돈, N-(메타)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메타)아크릴로일아지리딘, 아지리디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2-비닐피라진, 1-비닐이미다졸, N-비닐카르바졸, N-비닐 프탈이미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점착력을 발휘하는 N-(메타)아크릴로일몰포린이 바람직하고, 특히 N-아크릴로일몰포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8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2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6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2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 내에 있으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비산방지성이 보다 우수해지는 동시에, 유리에 대한 우수한 점착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소망에 따라,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다른 모노머를 함유해도 좋다. 다른 모노머로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전술한 작용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직쇄상의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쇄상의 폴리머이어서, 분자쇄의 뒤엉킴이 일어나기 쉬워져, 응집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비산 방지성이 우수한 점착제가 얻어지기 쉽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용액 중합법에 따라 얻어진 용액 중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물이어서, 고분자량의 폴리머가 얻어지기 쉬워져, 응집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비산 방지성이 우수한 점착제가 얻어지기 쉽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합 형태는,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블록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하한값으로서 2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4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착색제(C)의 분산성의 관점에서는, 45만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값이 상기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비산 방지성이 보다 우수해진다. 또한, 착색제(C)의 점착제 중에의 분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경향이 있어, 따라서, 얻어지는 점착제는, 전술한 광학 물성의 재현성 및 균일성이 양호해지고, 보다 우수한 의장성 및 시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한값으로서 2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값이 상기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비산 방지성이 보다 우수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법에 따라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P에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1-2) 가교제(B)
가교제(B)는, 점착성 조성물 P의 가열에 의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를 가교하고, 삼차원 망목 구조를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향상해, 비산 방지성이 우수해진다.
상기 가교제(B)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가 가지는 반응성 기와 반응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히드라진계 가교제, 알데히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금속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암모늄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가 가지는 반응성 기가 수산기인 경우,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가 가지는 반응성 기가 카르복실기인 경우, 카르복실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에폭시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B)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이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또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 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 디아민,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 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티롤프로판 디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르복실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 시클로헥산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서의 가교제(B)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3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4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B)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어, 얻어지는 점착제가 양호한 응집력을 발휘해, 비산방지성이 보다 우수해진다.
(1-3) 착색제(C)
착색제(C)는, 안료이어도 좋고, 염료이어도 좋다. 안료는, 무기계 안료이어도 좋고, 유기계 안료이어도 좋다.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무기계 안료가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색은, 표시체의 의장성, 특히 외관 조화성을 고려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흑색, 다색, 감색, 자색, 청색 등의 암색 또는 농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흑색이 바람직하다.
무기계 안료로는, 예를 들면, 카본블랙, 코발트계 색소, 철계 색소, 크롬계 색소, 티탄계 색소, 바나듐계 색소, 지르코늄계 색소, 몰리브덴계 색소, 루테늄계 색소, 백금계 색소, ITO(인듐 주석 옥시드)계 색소, ATO(안티몬 주석 옥시드)계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계 안료 및 유기계 염료로는, 예를 들면, 아미니움계 색소, 시아닌계 색소, 메로시아닌계 색소, 크로코니움계 색소, 스쿠아릴리움계 색소, 아즈레늄계 색소, 폴리메틴계 색소, 나프토퀴논계 색소, 피릴리움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나프탈로시아닌계 색소, 나프토락탐계 색소, 아조계 색소, 축합 아조계 색소, 인디고계 색소, 페리논계 색소, 페릴렌계 색소, 디옥사진계 색소, 퀴나크리돈계 색소, 이소-인돌리논계 색소, 퀴노프탈론계 색소, 피롤계 색소, 티오인디고계 색소, 금속착체계 색소(금속착염 염료), 디티올 금속착체계 색소, 인돌 페놀계 색소, 트리알릴 메탄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디옥사진계 색소, 나프톨계 색소, 아조메틴계 색소, 벤즈이미다졸론계 색소, 피란스론계 색소 및 스렌계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흑색 안료로는, 예를 들면, 카본블랙, 산화구리, 사삼산화철, 이산화망간, 아닐린블랙, 활성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흑색 염료로는, 예를 들면, 고농도의 식물성 염료나 아조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안료 또는 염료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명도 L*(및 색도 a*·색도 b*)의 관점에서는, 상기의 착색제 중에서도, 카본 블랙, 니그로신계 흑색 염료 및 크롬산염계 흑색 염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카본 블랙은, 그 표면에 대해서 소정의 처리(예를 들면 친용제화 처리)가 되고 있어도 좋고,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 착색제는, 상기 착색제를 아세트산에틸로 1만배 희석한 액체의, 파장 780 nm에서의 헤이즈값과 파장 380 nm에서의 헤이즈값의 평균치인 평균 헤이즈의 하한값이,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색제는, 상기 평균 헤이즈의 상한값이,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색제를 적절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는, 전술한 광학 물성의 재현성 및 균일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착색제는, 상기 착색제를 아세트산에틸로 1만배 희석한 액체의, 파장 780 nm에서의 헤이즈값과 파장 380 nm에서의 헤이즈값의 차분의 값이, 30포인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포인트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0포인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6포인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포인트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색제를 적절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는, 전술한 광학 물성의 재현성 및 균일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헤이즈값의 차분의 하한값은, 0포인트이어도 좋지만, 전술한 점착제층(11)의 광학 물성을 적합한 것으로 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는 관점에서, 0.1포인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포인트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포인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포인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를 아세트산에틸로 1만배 희석한 액체의, 파장 780 nm에서의 헤이즈값은, 0.1 ~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 ~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5 ~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색제를 아세트산에틸로 1만배 희석한 액체의, 파장 380 nm에서의 헤이즈값은, 1 ~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6 ~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8 ~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의 헤이즈값의 차분이 만족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착색제를 아세트산에틸로 1만배 희석한 액체의, 파장 영역 380 nm ~ 780 nm의 5 nm 피치의 각 파장(즉, 380 nm, 385 nm, 390 nm,···, 775 nm, 780 nm)에서의 헤이즈값의 표준 편차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 편차의 하한값은, 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통상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점착제는, 전술한 광학 물성의 재현성 및 균일성이 양호해진다.
착색 점착제층(12)에서는, 착색제(C)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은, 0.0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3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2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2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9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질량부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착색제(C)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어, 전술한 광학 특성이 만족되기 쉬워져, 표시체의 외관 조화성 및 시인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1-4)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
점착성 조성물 P를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활성 에너지선 경화한 점착제에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이 서로 중합하고, 그 중합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가교 구조(삼차원 망목 구조)에 휘감기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이러한 고차 구조를 가지는 점착제는, 우수한 비산 방지성을 발휘하는 동시에, 내구성에 특별히 우수해진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해, 상기의 효과가 얻어지는 성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의 어느 하나이어도 좋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내구성이 더 우수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바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인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 페닐]플루오렌 등의 2관능형;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타)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와의 상용성, 및 착색제(C)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분자량 1000 미만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에서도,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디(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타)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분자 내에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함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내에 환상 구조(특히 시클로알칸 구조)를 함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3 관능 이상, 또한, 분자 내에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함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2 관능 이상 또한, 분자 내에 다환구조(특히 시클로알칸의 다환구조)를 함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고,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타)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타)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고,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아크릴레이트가 더 바람직하고,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의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 후의 점착제의 내구성을 보다 우수하게 하는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100 질량부에 대해서, 하한값으로서 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 후의 점착제의 점착력의 관점에서, 상한값으로서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5) 광중합개시제(E)
점착성 조성물 P를 경화시키는 활성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성 조성물 P는, 광중합개시제(E)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중합개시제(E)를 함유함으로써,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을 효율 좋게 중합시킬 수 있고, 또한 중합 경화시간 및 활성에너지선의 조사량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광중합개시제(E)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 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 1-온, 4-(2-히드록시에톡시) 페닐-2-(히드록시-2-프로필) 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옥산톤, 2-에틸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메틸 티옥산톤, 2,4-디에틸 티옥산톤, 벤질 디메틸 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 케탈,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 페닐]프로파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상기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부재 너머에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 또는 점착제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개열(開裂)이 쉽고, 점착제를 확실히 경화시키기 쉬운, 포스핀옥시드계 광중합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시드 등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서의 광중합개시제(E)의 함유량은,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 100질량부에 대해서, 하한값으로서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2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6) 각종 첨가제
점착성 조성물 P에는, 소망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제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실란커플링제, 자외선 흡수제, 방청제, 대전방지제, 점착부여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연화제, 굴절률 조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후술의 중합 용매나 희석용매는, 점착성 조성물 P를 구성하는 첨가제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점착성 조성물 P는, 상기 중에서도 실란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피착체가 플라스틱판이어도, 유리 부재이어도, 상기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향상해, 비산방지성이 보다 우수해진다.
실란커플링제로는, 분자 내에 알콕시 실릴기를 적어도 1개 가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와의 상용성이 좋고, 광투과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란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 시클로헥실) 에틸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구조를 가지는 규소 화합물, 3-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디메톡시메틸 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 디메톡시 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3-클로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혹은 이들의 적어도 1개와 메틸 트리에톡시실란, 에틸 트리에톡시실란, 메틸 트리메톡시실란, 에틸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킬기 함유 규소 화합물과의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서의 실란커플링제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3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를 상기의 양으로 포함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를 이용한 비산 방지 점착 시트의 피착체에의 밀착성이 향상해, 보다 우수한 비산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P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벤조오키사지논계, 트리아진계, 페닐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니켈 착염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와의 상용성이나 착색제(C)와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또는 트리아진계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벤조페논계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점착성 조성물 P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100 질량부에 대해서, 0.0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1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2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를 상기의 양으로 포함함으로써 표시체 내부에 자외선 열화하기 쉬운 부재가 있었다고 해도, 비산 방지 점착 시트에 의해 자외선 차폐 효과를 발휘해, 자외선에 의한 부재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2) 점착성 조성물의 조제
점착성 조성물 P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를 제조해, 얻어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와 가교제(B)와 착색제(C)를 혼합하는 동시에, 소망에 따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 광중합개시제(E), 첨가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혼합물을 통상의 라디칼 중합법으로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합은, 소망에 따라 중합개시제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법에 따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무용제로 중합해도 좋다. 중합 용매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부틸, 아세트산 이소부틸, 톨루엔, 아세톤, 헥산,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중합개시제로는, 아조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아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 1-카르보 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로는, 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멘히드로퍼옥시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시드, 디프로피오닐퍼옥시드, 디아세틸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공정에서, 2-메르캅토에탄올 등의 연쇄이동제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가 얻어지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용액에, 가교제(B), 착색제(C), 및 소망에 따라 희석 용제,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 광중합개시제(E), 및 첨가제를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하여, 용제로 희석된 점착성 조성물 P(도포 용액)를 얻는다. 또한 상기 각 성분의 어느 하나에서, 고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경우, 혹은 희석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성분과 혼합했을 때에 석출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그 성분을 단독으로 미리 희석용매에 용해 혹은 희석하고 나서, 그 외의 성분과 혼합해도 좋다.
상기 희석 용제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2-펜타논, 이소포론,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된 도포 용액의 농도·점도로는, 코팅할 수 있는 범위이면 좋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성 조성물 P의 농도가 10 ~ 60질량%가 되도록 희석한다. 또한 도포 용액을 얻을 때에, 희석 용제 등의 첨가는 필요조건이 아니라, 점착성 조성물 P가 코팅할 수 있는 점도 등이면, 희석 용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점착성 조성물 P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합 용매를 그대로 희석 용제로 하는 도포 용액이 된다.
(3) 점착제층의 형성
본 실시형태에서의 착색 점착제층(12)은, 바람직하게는 점착성 조성물 P(의 도포층)를 가교한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점착성 조성물 P의 가교는, 통상은 가열 처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열 처리는, 소망한 대상물에 도포한 점착성 조성물 P의 도포층으로부터 희석 용제 등을 휘발시킬 때의 건조 처리도 겸할 수 있다.
가열 처리의 가열 온도는, 50 ~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 ~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시간은, 10초 ~ 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초 ~ 2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 후, 필요에 따라서, 상온(예를 들면, 23℃, 50%RH)에서 1 ~ 2주간 정도의 양생 기간을 마련해도 좋다. 이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는 양생 기간 경과 후,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가열 처리 종료 후, 점착제가 형성된다.
상기의 가열 처리(및 양생)에 의해, 가교제(B)를 통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가 충분히 가교된다.
(4) 착색 점착제층 두께
착색 점착제층(12)의 두께는, 하한값으로서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 점착제층(12)의 두께의 하한값이 상기이면, 착색제(C)의 함유량과의 관계로, 전술한 광학 물성이 만족되기 쉽고, 또한, 소망한 점착력을 발휘하기 쉽다.
또한, 착색 점착제층(12)의 두께는, 상한값으로서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에서의 기재(11) 측 표면의 연필 경도의 관점에서, 특히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 점착제층(12)의 두께의 상한값이 상기이면, 가공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누름흔적 등에 의한 외관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착색제(C)의 함유량과의 관계로, 전술한 광학 물성이 만족되기 쉬워진다. 또한 착색 점착제층(12)은 단층으로 형성해도 좋고, 복수층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b)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본 실시형태에서의 우레탄계 점착제는, 가교한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폴리우레탄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폴리올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수산기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비가 1 미만이 되도록 반응시켜 얻어진다. 폴리올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등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폴리올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1분자 당의 평균 관능기수는 2.2 이상 3.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3 이상 3.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4 이상 3.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Mn)은, 300 이상 7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 이상 6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폴리올을 구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방향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트리메티롤프로판 어덕트체, 뷰렛체, 누레이트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2, 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 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 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중합 반응은, 일반적으로 촉매를 이용하여 행한다. 촉매로는, 예를 들면, 디옥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등의 주석계 유기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로는, 상술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 어덕트체, 뷰렛체, 누레이트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폴리올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의 배합량은, 수산기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비가 0.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점착제에서의 착색제(C)의 배합량이나, 착색 점착제층(12)의 두께는, 전술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c) 실리콘계 점착제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리콘계 점착제는, 축합형 실리콘 점착제이어도 좋고, 부가 반응형 실리콘 점착제이어도 좋지만, 부가 반응형 실리콘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부가 반응형 실리콘 점착제는, 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알케닐기를 가지는 제1의 폴리디메틸 실록산 및 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히드로실릴기를 가지는 제2의 폴리디메틸 실록산으로부터 얻어지는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 실리콘 레진, 및 촉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레진으로는, 예를 들면, 1 관능 실록산 단위[(CH3)3SiO1/2]인 M단위와 4 관능 실록산 단위[SiO4/2]인 Q단위로 구성되는 MQ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M 단위/Q 단위의 몰비는, 0.6 ~ 1.7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실리콘 레진의 배합량은, 10 ~ 2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 1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0 ~ 8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레진의 배합량이 10 질량부 이상이어서, 소망한 점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레진의 배합량이 200 질량부 이하이어서, 양호한 리워크성이 얻어지고, 첩합미스가 생긴 경우, 표시체 구성 부재, 특히 고가의 표시체 구성 부재의 재이용이 가능해진다.
상기 촉매로는,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를 경화(제1의 폴리디메틸 실록산과 제2의 폴리디메틸 실록산을 부가 반응)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백금족 금속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촉매의 배합량은, 백금분이 0.01 ~ 3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 ~ 2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점착제에서의 착색제(C)의 배합량이나, 착색 점착제층(12)의 두께는, 전술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1-3.박리 시트
박리 시트(13)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사용 시까지 착색 점착제층(12)을 보호하는 것이고,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착색 점착제층(12))을 사용할 때에 박리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에서, 박리 시트(13)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박리 시트(13)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이용된다. 또한, 이들의 가교 필름도 이용된다. 또한 이들의 적층 필름이어도 좋다.
상기 박리 시트(13)의 박리 면(특히 착색 점착제층(12)과 접하는 면)에는,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처리에 사용되는 박리제로는, 예를 들면,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왁스계의 박리제를 들 수 있다.
박리 시트(13)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 ~ 150μm 정도이다.
2. 물성
(1) 겔분율
착색 점착제층(1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겔분율은, 하한값으로서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겔분율의 하한값이 상기이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높아져, 보다 우수한 비산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의 겔분율은, 상한값으로서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겔분율의 상한값이 상기이면, 점착제가 너무 딱딱해지지 않고, 또한, 양호한 점착력이 발현하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비산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점착제의 겔분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2) 착색 점착제층의 L*a*b*
착색 점착제층(12)의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명도 L*는, 9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6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8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명도 L*를 전술한 바람직한 값으로 하기 쉽고, 표시체의 소등 시에, 상기 표시체에 대하여, 흑색의 프레임 재나 인쇄층과의 일체감을 부여할 수 있어 외관 조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관 조화성에 의한 의장성 향상 및 표시체의 시인성의 관점에서, 상기 명도 L*의 하한값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 점착제층(12)의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색도 a*는, -20 ~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 ~ 5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 ~ 2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 1.4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색도 a*가 상기 범위에 있어,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색도 a*를 전술한 바람직한값으로 하기 쉽고, 표시체의 시인성이 양호하게 되는 동시에, 의장성, 특히 차재용 표시체에서의 외관 조화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착색 점착제층(12)의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색도 b*는, -20 ~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 ~ 5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 ~ 2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색도 b*가 상기 범위에 있어,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색도 b*를 전술한 바람직한 값으로 하기 쉽고, 표시체의 시인성이 양호하게 되는 동시에, 의장성, 특히 차재용 표시체에서의 외관 조화성이 보다 향상한다.
(3) 착색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
착색 점착제층(12)의 전광선 투과율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표시체에서의 화상·영상의 시인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0% 이하이고, 상기 명도 L*와의 관계 및 표시체의 화상·영상에서의 흑미 향상성을 고려하면,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4) 헤이즈값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헤이즈값은, 통상, 0% 이상이고,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착색 점착제층(12)의 헤이즈값의 하한값이 상기이어서, 전술한 명도 L*가 만족되기 쉬워진다. 한편, 착색 점착제층(12)의 헤이즈값은,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착색 점착제층(12)의 헤이즈값의 상한값이 상기이어서, 전술한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상 선명도의 합계값 및 명도 L*가 만족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헤이즈값은, JIS K7136:2000에 준하여 측정된 값으로 한다.
착색 점착제층(12)의 헤이즈값은, 통상, 0% 이상이고,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착색 점착제층(12)의 헤이즈값의 하한값이 상기이어서, 전술한 명도 L*가 만족되기 쉬워진다. 한편, 착색 점착제층(12)의 헤이즈값은,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 점착제층(12)의 헤이즈값의 상한값이 상기이어서, 전술한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상 선명도의 합계값 및 명도 L*가 만족되기 쉬워진다.
(5) 점착력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소다 라임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하한값으로서 0.05N/2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N/25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N/25 m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 N/25 m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력의 하한값이 상기이면, 비산 방지성이 보다 우수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소다 라임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상한값으로서 50 N/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N/25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N/25 m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력의 상한값이 상기이면, 양호한 리워크성이 얻이지고, 첩합미스가 생긴 경우, 표시체 구성 부재, 특히 고가의 표시체 구성 부재의 재이용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의 점착력은, 기본적으로는 JIS Z0237:2009에 준한 180도 박리법에 따라 측정한 점착력을 말하지만, 측정 샘플은 25 mm 폭, 100 mm 길이로 하고, 상기 측정 샘플을 피착체에 첩부해, 0.5 MPa, 50℃에서 20분 가압한 후, 상압, 23℃,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하고 나서, 박리 속도 300 mm/min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우에는 피착체 첩부 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한 점착제층에 대해 점착력이 있는 것으로 한다.
(6) 연필 경도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에서의 기재(11) 측 표면의 연필 경도는, 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산 방지 점착 시트(1)가 이러한 연필 경도를 가짐으로써,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기재(11) 측의 표면은 충분한 경도를 가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를 보호 패널의 표측에 사용한 경우에는, 우수한 표면 보호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를 보호 패널의 이측에 사용한 경우에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연필 경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3.비산 방지 점착 시트의 제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1 제조예로는, 박리 시트(13)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 P의 도포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행해 점착성 조성물 P를 열가교하여, 도포층을 형성한 후, 그 도포층에 기재(11)를 첩합한다. 이 때, 기재(11)가 한 면에 기능성층을 가지는 경우, 통상은, 기능성층이 존재하지 않는 쪽의 면을 도포층에 접촉시킨다.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는 양생 기간을 두는 것으로,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는 그대로, 상기 도포층이 착색 점착제층(12)이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가 얻어진다. 가열 처리 및 양생의 조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점착성 조성물 P의 도포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표시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체는, 보호 패널을 구비하고 그 보호 패널의 한쪽 면 측 또는 양쪽 모두의 면 측에, 상술한 비산 방지 점착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비산 방지 점착 시트는, 보호 패널에 직접 첩부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층을 개재하여 첩부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체는, 주변 부재의 일례로서 주연부에 프레임 재 등을 가지는 것이어도 좋고, 상기 표시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의 일부에, 액연상의 인쇄층이나 문자 기호 등을 나타내는 인쇄층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것들 양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체에서는, 착색 점착제층을 가지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가 보호 패널에 설치됨으로써, 소등 시에 상기 표시체의 프레임 재 등의 주변 부재나, 액연상의 인쇄층, 문자 기호 등을 나타내는 인쇄층 등과의 외관 조화성이 양호해지고, 따라서 의장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모바일 용도의 표시체에서는 낙하 등에 의해, 또한, 차재용의 표시체에서는 사고 등에 의해, 큰 충격을 받아 보호 패널이 깨졌다고 해도, 상기 보호 패널에 비산 방지 점착 시트가 첩부되어 있어, 깨진 보호 패널의 비산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체의 일례로서 구체적 구성을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장치(10A)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표시체 모듈(7), 그 위에 점착제층(6)을 개재하여 적층된 필름 센서(5), 그 위에 점착제층(4)을 개재하여 적층된, 패터닝된 투명 도전막(3)을 가지는 보호 패널(2), 및 보호 패널(2) 상에, 착색 점착제층(12)을 개재하여 첩부된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박리 시트(13)는 박리가 끝난 상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이 표시장치(10A)에서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는, 보호 패널(2)의 표면 측(표시체 모듈(7)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장치(10B)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표시체 모듈(7), 그 위에 점착제층(6)을 개재하여 적층된 필름 센서(5), 그 위에 점착제층(4)을 개재하여 적층된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박리 시트(13)는 박리가 끝난 상태), 및 그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착색 점착제층(12)을 개재하여 적층된, 패터닝된 투명 도전막(3) 첩부의 보호 패널(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이 표시장치(10B)에서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는, 보호 패널(2)의 이면 측(표시체 모듈(7)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표시장치(10A, 10B)에서는, 보호 패널(2)에 투명 도전막(3)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투명 도전막(3)은 다른 부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표시체 모듈(7)로는, 예를 들면, 액정(LCD) 모듈,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유기 EL) 모듈,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6) 및 점착제층(4)은, 소망한 점착제 또는 점착 시트에 의해서 형성하면 좋고,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착색 점착제층(12)과 마찬가지의 점착제(다만, 착색제는 포함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다. 상기 소망한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 에테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필름 센서 (5)는, 통상, 기재 필름(51)과 패터닝된 투명 도전막(52)으로 구성된다. 기재 필름(51)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이 사용된다.
투명 도전막(52)으로는, 예를 들면, 백금, 금, 은, 구리 등의 금속, 산화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카드뮴, 산화 아연, 이산화 아연 등의 산화물, 주석 도프 산화 인듐(ITO), 산화 아연 도프 산화 인듐, 불소 도프 산화 인듐, 안티몬 도프 산화 주석, 불소 도프 산화 주석, 알루미늄 도프 산화 아연 등의 복합 산화물, 카르코게나이드, 6 붕화란탄, 질화 티탄, 탄화 티탄 등의 비산화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주석 도프 산화 인듐(ITO)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10A, 10B)에서의 필름 센서 (5)의 투명 도전막(52)은, 도 2 및 도 3 중, 필름 센서 (5)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름 센서 (5)의 하측에 위치해도 좋다.
보호 패널(2)은, 표시체(10A, 10B)의 표시체 모듈(7)이나 그 외의 내부 부재를 외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고, 유리판, 플라스틱판 등의 외, 이것들을 포함하는 적층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학 강화유리, 무알칼리 유리, 석영 유리, 소다 라임 유리, 바륨·스트론튬 함유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납 유리, 붕규산 유리, 바륨붕규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유리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0.1 ~ 5 mm이고, 바람직하게는 0.2 ~ 2 mm이다.
상기 플라스틱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0.2 ~ 5 mm이고, 바람직하게는 0.4 ~ 3 mm이다.
또한 상기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의 한 면 또는 양면에는, 소망한 기능성층(하드 코트층, 방현층 등)이 설치되고 있어도 좋다.
상기의 표시장치(10A, 10B)에서는, 보호 패널(2)에 투명 도전막(3)이 패터닝되어 설치되어 있다. 투명 도전막(3)의 재료로는, 상기 필름 센서 (5)의 투명 도전막(52)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도전막(3) 및 필름 센서 (5)의 투명 도전막(52)은, 통상, 한쪽이 X축 방향의 회로 패턴을 구성하고, 다른 쪽이 Y축 방향의 회로 패턴을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장치(10A, 10B)는, 반사방지층은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방지층을 가지면, 표면의 경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소망한 외관 조화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표시장치(10A)를 제조하는 경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박리 시트(13)를 박리하고, 노출한 착색 점착제층(12)을 보호 패널(2)의 표면 측(투명 도전막(3)이 존재하지 않는 측)에 첩부한 후,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 첩부의 보호 패널(2)을 사용하고, 상법에 따라 표시장치(10A)를 제조해도 좋고, 상법에 따라 표시장치(비산 방지 점착 시트(1)가 첩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표시장치 10A)를 제조한 후, 보호 패널(2)의 표면 측(표시체 모듈(7)과는 반대측)에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를 첩부해도 좋다.
또한, 표시장치(10B)를 제조하는 경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박리 시트(13)를 박리하고, 노출한 착색 점착제층(12)을, 보호 패널(2)의 이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투명 도전막(3)에 첩부한 후,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를 가지는 보호 패널(2)을 사용하고, 상법에 따라 표시장치(10B)를 제조하면 좋다.
착색 점착제층(12)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착색 점착제층(12)을 개재하여 비산 방지 점착 시트(1)를 첩부한 후에, 착색 점착제층(12)에 대해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다. 이로 인해, 착색 점착제층(12) 중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이 중합해, 착색 점착제층(12)이 경화한다. 착색 점착제층(12)에 대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상기 활성 에너지선이 투과하는 부재 너머, 예를 들면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의 기재(11) 너머 행하면 좋다.
활성에너지선이란, 전자파 또는 전하입자선 중에서 에너지 양자를 가지는 것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활성에너지선 중에서도, 취급이 용이한 자외선이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 H 램프, 크세논 램프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가 50 ~ 1000 m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500 m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량은, 50 ~ 10000 mJ/㎠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7000 mJ/㎠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 3000 mJ/㎠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의 조사는, 전자선가속기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 ~ 1000 k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체(10A, 10B)는, 상기 표시체(10A, 10B)의 주연부에 프레임 재(8)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레임 재(8)는, 흑색, 다색, 감색, 자색, 청색 등의 암색 또는 농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흑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 재(8)의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색미는, 명도 L*가 5 ~ 95이고, 색도 a*가 -40 ~ 40이고, 색도 b*가 -40 ~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명도 L*가 10 ~ 80이고, 색도 a*가 -30 ~ 30이고, 색도 b*가 -30 ~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명도 L*가 15 ~ 70이고, 색도 a*가 -20 ~ 20이고, 색도 b*가 -20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재(8)는, 이러한 색미를 가지는 것으로, 인간의 눈에 의해서 시각적으로 고급감이 있는 프레임 재로서 인식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착색 점착제층(12)은, 프레임 재(8)가 상기 색미를 가져, 상기 프레임 재(8)와의 일체감이 늘어나고, 외관 조화성이 보다 좋아진다.
상기 표시체(10A, 10B)에서는, 착색 점착제층(12)을 가지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1)가 보호 패널(2)에 첩부되어 있어, 소등 시에 프레임 재(8)와의 외관 조화성이 양호해지고, 따라서 의장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충격 등에 의해 보호 패널(2)이 깨졌다고 해도, 상기 보호 패널(2)에 비산 방지 점착 시트(1)가 첩부되어 있어, 깨진 보호 패널(2)의 비산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비산 방지 점착 시트(1)에서의 박리 시트(13)는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기재(11)에서의 착색 점착제층(12)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다른 층이 적층되어도 좋다. 또한 기재(11)와 착색 점착제층(12)의 사이에는, 다른 층이 적층되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의 조제
아크릴산 2-에틸헥실 60 질량부, 메타크릴산 메틸 20 질량부, 및 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20 질량부를 용액 중합법에 따라 공중합시켜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를 조제하였다. 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했는데,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70만이었다.
2.점착성 조성물의 조제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100 질량부(고형분 환산치; 이하 같다), 가교제(B)로서 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OYOCHEM CO., LTD. 제, 제품명 「BHS8515」) 0.2 질량부, 착색제(C)로서 카본 블랙계 흑색 안료(C1) 0.5 질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2 질량부를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메틸 에틸 케톤으로 희석함으로써,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를 100질량부(고형분 환산치)로 한 경우의 점착성 조성물의 각 배합(고형분 환산치)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기재된 약호 등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
2EHA:아크릴산 2-에틸헥실
MMA:메타크릴산메틸
HEA: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BA:아크릴산 n-부틸
AA:아크릴산
MA:아크릴산메틸
IBXA:아크릴산 이소보닐
ACMO:N-아크릴로일몰포린
[가교제(B)]
TDI: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 시클로헥산
[착색제(C)]
C1 ~ C2:표 2에 나타나는 물성을 가지는 카본 블랙계 흑색 안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광중합개시제(E)]
2, 4, 6-트리메틸 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시드
[실란 커플링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자외선 흡수제]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3.점착 시트의 제조
방현성 하드 코트층 형성용의 도공액으로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Shin-Nakamura Chemical Co., Ltd. 제, 제품명 「NK에스테르 A-DPH」) 100 질량부(고형분 환산치를 나타낸다. 이하, 그 외의 성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광중합개시제로서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4.3 질량부, 실리카 미립자(FUJI SILYSIA CHEMICAL LTD. 제, 제품명 「Cyrohobic 702」, 평균 입경 4.1㎛) 11 질량부, 레벨링제(Dow Corning Toray Co., Ltd. 제, 제품명 「SH28」) 0.01 질량부, 실리카 나노 입자(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제, 제품명 「MIBK-ST」, 평균 입경:10 nm) 8.3 질량부를 혼합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고형분 농도 30%의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Toray Industries, Inc. 제, 제품명 「125-U403」, 두께 125㎛)의 한 면에, 상기 도공액을 마이어 바#10에서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에서 1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 하,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조도 200 mW/㎠, 광량 300 mJ/㎠의 자외선 조사를 행해, 방현성 하드 코트층(AG-HC층)을 가지는 PET 필름(인장 탄성률:5.0 GPa, 헤이즈값:4.0%)를 얻었다.
상기 공정 2에서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 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박리 시트(LINTEC Corporation 제, 제품명 「SP-PET752150」)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90℃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해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포층에 대해서, 상술한 AG-HC층을 가지는 PET 필름에서의 AG-HC층과는 반대측의 면을 첩합하고, 23℃, 50%RH의 조건 하에서 7일간 양생함으로써, AG-HC층을 가지는 PET 필름/착색 점착제층(두께:25㎛)/박리 시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착색 점착제층 두께는, JIS K7130에 준거해, 정압두께 측정기 (Teclock 사 제, 제품명 「PG-02」)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실시예 2 ~ 9, 비교예 1 ~ 3〕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종류 및 비율,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가교제(B)의 종류 및 배합량, 착색제(C)의 종류 및 배합량,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D)의 배합량, 광중합개시제(E)의 배합량,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량,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 및 점착제층 두께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는 이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산 방지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1 ~ 3에서는, 착색되어 있지 않은 점착제층이 형성되었다. 또한, 실시예 8에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착색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비교예 2에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10〕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Shin-Etsu Chemical Co., Ltd. 제, 「KS-847 H」) 100 질량부, 실리콘 레진(Dow Corning Toray Co., Ltd. 제, 「SD-4584」) 25 질량부, 백금 촉매(Dow Corning Toray Co., Ltd. 제, 「SRX 212 CATALYST」) 0.6 질량부, 착색제(C)로서 카본 블랙계 흑색 안료(C2) 0.5 질량부, 및 희석제로서 메틸 에틸 케톤 50 질량부를 혼합해, 실리콘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상기 도포 용액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산 방지 점착 시트(실리콘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착색 점착제층을 가진다)를 제조하였다. 다만, 도포층의 형성은, 130℃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함으로써 행했다.
〔비교예 4〕
착색제(C)를 배합하지 않는 이외,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상기 도포 용액을 사용하고,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산 방지 점착 시트(실리콘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가진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3 관능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수평균 분자량 1000) 100 질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 어덕트체 7 질량부, 디옥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01 질량부, 및 톨루엔 43 질량부를 주입하고, 10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적외 분광 광도계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게된 시점에서 냉각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폴리올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우레탄 폴리올 100 질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 어덕트체 15 질량부, 및 착색제(C)로서 카본 블랙계 흑색 안료(C2) 0.5 질량부를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함으로써, 우레탄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상기 도포 용액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산 방지 점착 시트(우레탄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착색 점착제층을 가진다)를 제조하였다. 다만, 도포층의 형성은, 90℃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함으로써 행했다.
〔비교예 5〕
착색제(C)를 배합하지 않는 이외,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상기 도포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산 방지 점착 시트(우레탄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가진다)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중량평균분자량(Mw)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GPC 측정)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이다.
<측정 조건>
·GPC 측정장치:TOSOH CORPORATION 제, HLC-8020
·GPC 칼럼(이하의 순서로 통과):TOSOH CORPORATION 제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2)
TSK gel G2000HXL
·측정 용매:테트라히드로푸란
·측정 온도:40℃
〔시험예 1〕(전광선 투과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산 방지 점착 시트(박리 시트는 박리가 끝난 상태)에 대해서, JIS K7361-1:1997에 준하고, 헤이즈미터 (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 제, 제품명 「NDH-5000」)를 이용하여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층에 대해서, AG-HC층을 가지는 PET 필름 대신에 박리 시트를 적층하여, 박리 시트/(착색)점착제층(두께:25㎛)/박리 시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측정용 샘플에서의 (착색)점착제층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고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2〕(헤이즈값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산 방지 점착 시트(박리 시트는 박리가 끝난 상태)에 대해서, JIS K7136:2000에 준하고, 헤이즈미터 (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 제, 제품명 「NDH-5000」)를 이용하여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한 측정용 샘플에서의 (착색)점착제층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3〕(L*a*b*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산 방지 점착 시트(박리 시트는 박리가 끝난 상태)에 대해서, JIS K7136:2000에 준하고, 동시 측광 분광식 색차계(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 제, 제품명 「SQ2000」)를 사용해,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명도 L*, 색도 a* 및 색도 b*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한 측정용 샘플에서의 (착색)점착제층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명도 L*, 색도 a* 및 색도 b*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4〕(겔분율)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한 측정용 샘플을 80 mm×80 mm의 사이즈로 재단하고, 그 (착색)점착제층을 폴리에스테르제 메쉬(품명:Tetoron Mesh #200)에 싸서, 그 질량을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쉬 단독의 질량을 빼서,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이 때의 질량을 M1로 한다.
다음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제 메쉬에 싸인 점착제를, 실온 하(23℃에서 아세트산 에틸에 24시간 침지시켰다. 그 후 점착제를 꺼내,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풍건시키고, 또한 80℃의 오븐 중에서 12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그 질량을 정밀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쉬 단독의 질량을 빼서,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했다. 이 때의 질량을 M2로 한다. 겔 분율(%)은, (M2/M1)×100으로 나타낸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5〕(상 선명도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산 방지 점착 시트(박리 시트는 박리가 끝난 상태)에 대해서, 사상성 측정기 (스가시험기 사 제, 제품명 「ICM-10 P」)를 사용하고, JIS K7374:2007의 투과법으로 준거하고, 5 종류의 광학 빗(빗폭:0.125 mm, 0.25 mm, 0.5 mm, 1.0 mm 및 2.0 mm)의 상 선명도(%)를 측정하고, 그 합계값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6〕(점착력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산 방지 점착 시트를 25 mm 폭, 100 mm 길이로 재단하고, 이것을 샘플로 하였다.
23℃, 50%RH의 환경 하에서, 상기 샘플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해, 노출한 (착색)점착제층을 소다 라임 유리(Nippon Sheet Glass Company, Ltd. 제)에 첩부한 후, Kurihara Seisakusho K.K. 제 오토클레이브에서 0.5 MPa, 50℃에서, 20분 가압하였다. 그 후, 23℃,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실시예 7 및 비교예 2의 비산 방지 점착 시트에 대해서는, 상기 AG-HC층을 가지는 PET 필름 너머, 하기의 조건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 (착색)점착제층을 경화시켰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 (ORIENTEC Co.,LTD. 제, 제품명 「Tensilon」)를 이용하여 박리 속도 300 mm/min,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점착력(N/25 mm)을 측정하였다. 여기에 기재한 이외의 조건은 JIS Z0237:2009에 준거하고,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조건>
·고압 수은 램프 사용
·조도 200 mW/㎠, 광량 2000 mJ/㎠
·UV조도·광량계는 iGrafx 사 제 「UVPF-A1」를 사용
〔시험예 7〕(연필 경도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산 방지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해, 노출한 (착색)점착제층을, 소다 라임 유리에 첩부했다. 그리고, 상기 비산 방지 점착 시트의 기재 표면(방현성 하드 코트층 표면)의 연필 경도를, 전동 연필 긁힘 경도 시험기 (Yasuda Seiki Seisakusho Co., Ltd. 제, 제품명 「No.553-M1」)을 이용하여 JIS K5600에 준거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8〕(외관 조화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산 방지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해, 노출한 (착색)점착제층을, 소다 라임 유리(Nippon Sheet Glass Company, Ltd. 제, 종 70 mm×횡 70 mm×두께 1.1 mm)에 첩부했다. 얻어진 적층체의 주연부에, 흑색의 수지제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재(L*:38.5, a*:-0.2, b*:0.3)을 달고, 이것을 샘플로 하였다.
얻어진 샘플을, 배경으로서 흑색에 인쇄한 종이(L*:29.8, a*:-0.7, b*:0.6)의 상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샘플에서, 프레임 재와 프레임 재의 내측 부분(표시체의 표시부분에 해당)이 조화되어 있는(일체감이 있다) 지를, 3 파장 형광등 하(형광등으로부터의 거리:200 cm)에서, 육안으로 판단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외관 조화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프레임 재와 표시부분이 매우 조화되어 있었다.
○:프레임 재와 표시부분이 어느 정도 조화되어 있었다.
×:프레임 재와 표시부분이 분명하게 조화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프레임 재 및 흑색에 인쇄한 종이의 색미(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L*a*b*)는, 분광 측색계(BYK 사 제, 제품명 「spectro-guide 」)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시험예 9〕(시인성의 평가)
사이즈 15.6 인치, 해상도 1366×768의 디스플레이(후지쯔 사 제, 제품명 「LITEBOOK A574/H」)에서, 흰색 배경, 흑자의 문자(자체:MS P 고딕)을, 5 포인트부터 20 포인트의 크기 (1포인트 눈금)로 100% 표시하였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시험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한 샘플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로부터 50 cm의 위치에서, 육안으로 시인할 수 있는 문자의 사이즈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6포인트의 문자를 시인할 수 있었다.
○:6포인트의 문자는 완전하게는 시인할 수 없었지만, 8포인트의 문자는 시인할 수 있었다.
△:8포인트의 문자는 완전하게는 시인할 수 없었지만, 15포인트의 문자는 시인할 수 있었다.
×:15포인트의 문자를 시인할 수 없었다.
〔시험예 10〕(흑미 부여성의 평가)
사이즈 15.6 인치, 해상도 1366×768의 디스플레이(후지쯔 사 제, 제품명 「LITEBOOK A574/H」)에서, 흰색 배경, 흑자의 문자(자체:MS P 고딕)을, 50포인트의 크기로 100% 표시하였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시험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한 샘플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로부터 50 cm의 위치에서, 육안으로 샘플 배치 전과 샘플 배치박리 시에, 문자의 흑미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흑미 부여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샘플 배치시에 문자의 흑미가 향상해 시인하기 쉬워졌다.
○:샘플 배치시에 문자의 흑미는 향상했지만, 배경이 어둡게 시인하기 어려워졌다.
×:샘플 배치 전후에 문자의 흑미는 변하지 않았다.
〔시험예 11〕(비산 방지성의 평가)
길이 170 mm×폭 150 mm×두께 1 mm의 소다 라임 유리판(Nippon Sheet Glass Company, Ltd. 제)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산 방지 점착 시트의 박리 시트 박리해, 노출한 (착색)점착제층을 첩합하였다. 그 후, 테이블 상에 설치한 높이 10 mm의 2개의 받침대 상에, 상기 유리판과 비산 방지 점착 시트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배치하였다. 이 때, 비산 방지 점착 시트 측이 상향(上向)되어(상기의 받침대와는 반대측의 방향)되어, 상기 적층체의 장변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10 mm 부분까지가 상기 받침대 상에 각각 재치되어 중앙부가 뜬 상태(높이 10 mm)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그리고, 그 적층체의 중앙부에 대해서, 높이 30 cm로부터 직경 31.75 mm의 철구(200 g)를 낙하시켰다. 그 후의 적층체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해, 이하의 기준에 의해 비산 방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산 방지 점착 시트가 찢어지지 않고, 유리가 비산하지 않았다.
×:비산 방지 점착 시트가 찢어지고, 유리가 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비산 방지 점착 시트를 사용한 것은, 프레임 재와의 외관 조화성이 우수하고, 또한, 문자 시인성, 흑미 부여성 및 비산 방지성도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비산 방지 점착 시트는, 예를 들면, 소등 시에 주변 부재 등과의 외관 조화가 요구되는 표시체, 특히 차재용의 표시체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비산 방지 점착 시트
11:기재
12:착색 점착제층
13:박리 시트
2:보호 패널
3:투명 도전막
4:점착제층
5:필름 센서
51:기재 필름
52:투명 도전막
6:점착제층
7:표시체 모듈
8:프레임 재
10A, 10B:표시체

Claims (9)

  1. 표시체에 사용되는 보호 패널의 적어도 한쪽 면 측에 설치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로서,
    기재, 및
    착색 점착제층,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CIE1976 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명도 L*는 9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JIS K7374:2007에 준거해 측정한 0.125 mm, 0.25 mm, 0.5 mm, 1.0 mm 및 2.0 mm의 광학 빗의 상 선명도의 합계값은 4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은 5%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기능성층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 점착 시트.
  7. 보호 패널을 구비한 표시체로서,
    상기 보호 패널의 한쪽 면 측 또는 양쪽 모두의 면 측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산 방지 점착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8. 제7항에 있어서,
    주연부에 프레임 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의 일부에,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KR1020200186072A 2020-03-11 2020-12-29 비산 방지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20210114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42473A JP7082150B2 (ja) 2020-03-11 2020-03-11 飛散防止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JP-P-2020-042473 2020-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854A true KR20210114854A (ko) 2021-09-24

Family

ID=7761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072A KR20210114854A (ko) 2020-03-11 2020-12-29 비산 방지 점착 시트 및 표시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082150B2 (ko)
KR (1) KR20210114854A (ko)
CN (1) CN113388338A (ko)
TW (1) TW2021388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1351B (zh) * 2022-03-25 2024-03-08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半导体元件密封用片和显示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871A (ja) 1999-04-30 2000-11-14 Nitto Denko Corp 機能性フィルム貼着用感圧性接着剤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188298A (ja) 2008-02-08 2009-08-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磁波遮蔽複合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12234028A (ja) 2011-04-28 2012-11-29 Asahi Glass Co Ltd 光学フィル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70057375A (ko) 2014-09-25 2017-05-24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경질 피복층이 우수한 내치핑성을 발휘하는 표면 피복 절삭 공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188A (ja) * 2002-10-15 2004-06-03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WO2013011947A1 (ja) * 2011-07-19 2013-01-24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粘接着剤層付飛散防止部材
JP2013099924A (ja) * 2011-10-21 2013-05-23 Nof Corp 色調補正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KR20130106731A (ko) 2012-03-20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77522A (ja) * 2013-03-14 2014-09-25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基材用粘着シート
WO2015098449A1 (ja) * 2013-12-24 2015-07-02 横浜ゴム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組成物
JP2017132833A (ja) * 2016-01-25 2017-08-03 アイカ工業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7209926A (ja) * 2016-05-27 2017-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飛散防止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KR102343734B1 (ko) 2017-07-12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9082648A (ja) * 2017-10-31 2019-05-30 Jnc株式会社 粘着層付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
JP7198009B2 (ja) * 2018-07-11 2022-12-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871A (ja) 1999-04-30 2000-11-14 Nitto Denko Corp 機能性フィルム貼着用感圧性接着剤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188298A (ja) 2008-02-08 2009-08-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磁波遮蔽複合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12234028A (ja) 2011-04-28 2012-11-29 Asahi Glass Co Ltd 光学フィル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70057375A (ko) 2014-09-25 2017-05-24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경질 피복층이 우수한 내치핑성을 발휘하는 표면 피복 절삭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43275A (ja) 2021-09-24
CN113388338A (zh) 2021-09-14
JP2022059632A (ja) 2022-04-13
TW202138844A (zh) 2021-10-16
JP7082150B2 (ja)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3500B2 (ja) 表示体
JP6937338B2 (ja) 表示体および粘着シート
JP6792662B2 (ja) 着色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2020007500A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TWI803703B (zh) 黏著片、顯示體及顯示體的製造方法
KR20210114854A (ko) 비산 방지 점착 시트 및 표시체
JP7273887B2 (ja) 着色粘着シート
JP6971375B2 (ja) 着色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7336348B2 (ja) 表示体および粘着シート
JP7256856B2 (ja) 着色粘着シート
JP7233405B2 (ja) 粘着シート、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JP7426539B2 (ja) 構成体の製造方法
CN111748300B (zh) 着色粘着片及显示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