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847A -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 - Google Patents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847A
KR20210114847A KR1020200092788A KR20200092788A KR20210114847A KR 20210114847 A KR20210114847 A KR 20210114847A KR 1020200092788 A KR1020200092788 A KR 1020200092788A KR 20200092788 A KR20200092788 A KR 20200092788A KR 20210114847 A KR20210114847 A KR 20210114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spool
fitting groove
fishing
win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21011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5Fish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 본체에 샤프트로 축설되어 회전 또는 고정되고, 외면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사권부를 포함한 낚시 릴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사권부 내부의 빈 공간으로 낚싯줄의 매듭을 삽입한 후 걸어서 고정시켜, 낚싯줄의 매듭이 사권부의 외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사권부 내부로 은닉되어 캐스팅 시 써밍을 방해하지 않으며, 낚싯줄을 복잡한 매듭 방식으로 스풀에 연결하지 않고 초보자도 낚싯줄을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용 스풀은, 릴 본체에 샤프트로 축설되어 회전 또는 고정되고, 외면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사권부를 포함한 낚시 릴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사권부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사권부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되고 전후좌우 폭 너비가 끼움홈의 짧은 폭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 끼움홀과, 상기 사권부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되되 일측단이 상기 끼움홀에 연결되어 소정 길이를 갖는 끼움홈을 포함한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한 낚싯줄의 매듭을, 상기 끼움홈으로 끼워서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SPOOL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릴 본체에 샤프트로 축설되어 회전 또는 고정되고, 외면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사권부를 포함한 낚시 릴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사권부 내부의 빈 공간으로 낚싯줄의 매듭을 삽입한 후 걸어서 고정시켜, 낚싯줄의 매듭이 사권부의 외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사권부 내부로 은닉되어 캐스팅 시 써밍을 방해하지 않으며, 낚싯줄을 복잡한 매듭 방식으로 스풀에 연결하지 않고 초보자도 낚싯줄을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8-003651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05931호, 공개특허 제10-2019-0074942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팅 릴, 스피닝 릴 등의 낚시 릴은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필수적으로 갖고 있다.
이러한 낚시 릴의 스풀은 원통형으로써, 낚싯줄을 헛돌지 않고 안전하게 감을 수 있도록, 낚싯줄을 스풀의 사권부에 복잡한 매듭으로 묶어서 연결한다.
그런데 낚싯줄의 스풀 매듭은 그 방식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여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초보자의 경우 낚싯줄을 스풀에 감는 것에도 상당한 노력과 주의를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낚싯줄을 스풀의 사권부에 묶어서 고정하면, 매듭이 스풀의 사권부 표면에 위치함에 따라 해당 부위에 권취된 낚싯줄이 다른 부위보다 더 돌출되고, 따라서 캐스팅 시 손가락으로 스풀을 눌러서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써밍 중 돌출 부위로 인하여 방해를 받게 되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스풀의 경량화 및 낚싯줄 연결을 위해, 스풀의 사권부 표면에 여러 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스풀의 구멍들 사이로 낚싯줄을 삽입 후 매듭으로 묶어서 낚싯줄을 감을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스풀의 구멍을 이용한 낚싯줄의 매듭 역시 스풀의 사권부 표면에 돌출되게 위치하여 상기한 문제점이 그대로 발생하며, 이러한 매듭도 일반적인 방법과는 차이가 있어 초보자가 익히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스풀 구멍의 가공면이 날카로워 초기에 낚싯줄의 텐션을 유지하면서 스풀에 감을 때 낚싯줄이 끊어지거나 매듭이 풀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캐스팅 시 써밍을 할 때 낚싯줄의 매듭으로 인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사권부의 표면에 낚싯줄을 균일한 높이로 고르게 권취할 수 있게 하며, 조어 중 낚싯줄이 엉키거나 많은 양의 낚싯줄이 끊어지는 등 낚싯줄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낚싯줄을 복잡한 매듭 방식으로 스풀에 연결하지 않고, 일반적인 간단한 매듭을 이용해 낚싯줄의 끝단을 스풀에 쉽게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는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용 스풀은,
릴 본체에 샤프트로 축설되어 회전 또는 고정되고, 외면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사권부를 포함한 낚시 릴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사권부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사권부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되고 전후좌우 폭 너비가 끼움홈의 짧은 폭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 끼움홀과, 상기 사권부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되되 일측단이 상기 끼움홀에 연결되어 소정 길이를 갖는 끼움홈을 포함한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한 낚싯줄의 매듭을, 상기 끼움홈으로 끼워서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용 스풀은,
상기 끼움홈은 상기 끼움홀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용 스풀에서,
상기 끼움홈은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갈수록 짧은 폭 너비가 점감되거나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용 스풀에서,
상기 사권부는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홀에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라인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용 스풀은,
낚싯줄의 매듭이 스풀의 사권부 내부의 빈 공간에 위치하여 은닉되므로, 낚싯줄을 균일한 높이로 고르게 감아서 사용할 수 있어, 써밍 중 이물감이나 방해를 받지않아 편리하고,
복잡한 매듭이 아니라 일반적인 간단한 매듭으로 낚싯줄을 쉽게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어 초보자도 낚싯줄을 쉽게 교체하여 연결할 수 있고,
스풀을 경량화하면서 좌우 밸런스를 맞추어 비거리가 증가될 수 있으며,
낚싯줄이 감기는 방향에 상관없이 낚싯줄의 고정이 편리함은 물론, 낚싯줄의 매듭이 쉽게 빠지지 않고,
스풀과 별개로 낚싯줄의 매듭을 묶은 후 걸어서 연결하여 낚싯줄을 신속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낚싯줄의 굵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낚싯줄을 모두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4,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끼움홈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낚싯줄 고정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낚싯줄 고정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1, 도 12는 도 8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용 스풀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용 스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릴 본체에 샤프트로 축설되어 회전 또는 고정되고, 외면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사권부(10)를 포함한 낚시 릴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사권부(10)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사권부(10)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되고 전후좌우 폭 너비가 끼움홈(22)의 짧은 폭 너비(22w)보다 크게 형성된 끼움홀(21)과, 상기 사권부(10)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되되 일측단이 상기 끼움홀(21)에 연결되어 소정 길이를 갖는 끼움홈(22)을 포함한 낚싯줄 고정부(20)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홀(21)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한 낚싯줄의 매듭을, 상기 끼움홈(22)으로 끼워서 상기 끼움홈(22)의 내측면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스풀(S)의 사권부(10) 자체에 상기 낚싯줄 고정부(20)가 구비된 제1 실시예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스풀(S)의 사권부(10)와 별개의 라인클립(20C)에 상기 낚싯줄 고정부(20)가 구비된 제2 실시예이다.
먼저 제1, 제2 실시예의 공통 구조로써, 본 발명의 스풀(S)은 실타래형 드럼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풀(S)은 상기 사권부(10)의 양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사권부(10)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사권부(10)보다 큰 외경을 갖는 플랜지부(11)가 연결되고, 상기 사권부(10)의 내부에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부(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축부(13)는 사권부(10)의 양측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격벽부(13a)에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파이프 형태로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사권부(10)의 빈 내부 공간이란 축부(13)를 제외한 사권부(10)의 내측의 모두 또는 일부의 공간을 의미하며, 도면과 다른 일례로 상기 플랜지부(11) 내측의 개구된 일부 영역만이 비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1의 스풀(S)은 베이트 캐스팅 릴에 사용되는 것으로 사권부(10)의 양측에 플랜지부(11)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 12의 스풀(S)은 스피닝 릴에 사용되는 것으로 사권부(10)의 일측에 플랜지부(11)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도 1 내지 도 4, 도 8, 도 9와 같이 사권부(10)에서 낚싯줄이 권취되는 부위에 상기 낚싯줄 고정부(20)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도 11과 같이 사권부(10)의 플랜지부(11)에 상기 낚싯줄 고정부(20) 또는 라인클립(20C)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낚싯줄 고정부(20)로써 상기 끼움홀(21)은, 도 1, 도 2, 도 4와 같이 스풀(S)의 경량화를 위해 사권부(10)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구멍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도 3과 같이 낚싯줄 고정부(20)를 위해 끼움홀(21)이 단독으로 추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끼움홀(21)은 낚싯줄의 매듭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면 족하고 타원형, 장방형, 원형 등 그 모양에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22)은 상기 끼움홀(21)에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것으로, 끼움홈(22)의 짧은 폭 너비(22w)는 끼움홀(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낚싯줄의 두께보다 크면서 낚싯줄의 매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매듭의 두께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끼움홈(22)의 짧은 폭 너비(22w)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낚싯줄의 두께(호수)에 상응하면 족하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끼움홀(21) 및 끼움홈(22)이 'ㅗ' 자형 또는 '+' 자형 등의 구조로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연결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일례로 낚싯줄 고정부(20)가 길이가 긴 하나의 타원형이나 마름모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폭 너비가 넓은 부위가 끼움홀(21)로 기능하고 폭 너비가 좁은 부위가 끼움홈(22)으로 기능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낚싯줄의 끝단을 일반적인 묶기 매듭으로 묶은 후, 매듭 부위를 상기 끼움홀(21)로 삽입한 다음 낚싯줄을 끼움홈(22)의 외측 끝단부로 끼우면, 낚싯줄의 매듭이 끼움홈(22)의 양측단에 걸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낚싯줄을 끼움홈(22)에 걸리는 방향으로 감게 되면 낚싯줄의 끝단이 스풀(S)에 고정되어 낚싯줄의 텐션을 유지하면서 쉽고 빠르게 감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22)은 상기 끼움홀(21)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끼움홈(22)이 끼움홀(21)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 구비된다는 것은, 1개의 끼움홀(21)의 일측에 1개의 끼움홈(22) 구비되는 것을 물론, 도 2와 같이 서로 다른 끼움홀(21)에 각각의 끼움홈(22)이 서로 대칭하는 방향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도 3, 도 4와 같이 하나의 끼움홀(21)에 한 쌍의 끼움홈(22)이 서로 대칭(또는 비대칭)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등, 끼움홈(22)의 개수나 배치 형태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끼움홈(22)의 길이방향은 스풀(S)의 좌우 길이방향 또는 스풀(S)의 원주방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22)은 낚싯줄을 일방향으로 끼워서 걸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면 족하고, 그 모양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1의 확대도 및 도 5에서 다양한 모양의 끼움홈(22)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끼움홈(22)은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갈수록 짧은 폭 너비(22w)가 점감되거나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끼움홈(22)은 끼움홀(21)과의 내측 연결 부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 너비(22w)가 좁아지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22)의 최외측 끝단부는 여러 두께의 낚싯줄들 중 가장 얇은 두께의 호수에 상응하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낚싯줄의 매듭을 끼움홈(22)의 외측단을 향해 끼워서 당기면, 해당 낚싯줄의 두께에 상응하는 위치까지 낚싯줄의 매듭이 끼워져 걸리게 되어, 낚싯줄의 두께에 상관없이 모든 두께의 낚싯줄을 끼움홈(22)에 걸어서 연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6, 도 7과 같이 상기 끼움홈(22)은 타측 끝단부에 점감되는 짧은 폭 너비(22w)가 확장되어 형성된 걸림공(22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공(22a)은 끼움홈(22) 첨단부의 폭 너비보다 큰 내경을 갖는 구멍으로, 끼움홈(22)의 폭 너비(22w)가 점감되다가 걸림공(22a)에서 내경이 다시 확장됨에 따라, 끼움홈(22)의 짧은 폭 너비(22w)가 <광(廣)-협(狹)-광(廣)>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걸림공(22a)의 내경보가 굵은 두께로 매듭을 묶고서, 낚싯줄을 끼움홈(22)에 끼운 후 걸림공(22a)을 향해 억지 끼움으로 끼우면, 낚싯줄의 매듭이 끼움홈(22)에서 빠지지 않는 것은 물론, 끼움홈(22)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아, 낚싯줄의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한 쌍의 끼움홈(22)은 각각의 모양(걸림공(22a)의 유무 포함)이 서로 비대칭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비대칭형 끼움홈(22)들을 구비하면, 사용하는 낚싯줄의 두께(호수)에 맞춰 끼움홈(22)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낚싯줄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권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장착홀(12)과,
상기 장착홀(12)에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낚싯줄 고정부(20)를 구비한 라인클립(20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홀(12)은 라인클립(20C) 장착을 위한 별도의 구멍일 수도 있고, 또는 스풀(S)의 경량화를 위한 구멍들 중 하나일 수도 있으며,
이때 스풀(S)의 전후좌우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2개의 장착홀(12)이 서로 대칭하는 위치 또는 3개 이상의 장착홀(12)이 사권부(10)의 원주방향으로 방사상 배열되게 구비되어, 각 장착홀(12)에 상기 라인클립(20C)이 모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라인클립(20C)은 상기 낚싯줄 고정부(20)가 구비된 별도의 부품인 사출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라인클립(20C)에 구비되는 상기 끼움홀(21) 및 끼움홈(22)의 구체적인 구조 등은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인클립(20C)은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측벽부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외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4)를 포함하여, 상기 라인클립(20C)이 상기 장착홀(12)에 끼워졌을 때 상기 걸림돌기(24)가 사권부(10) 사권부(10)의 내측면에 걸려서 라인클립(20C)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라인클립(20C)은 상기 측벽부가 상기 격벽부(13a)의 외측단에 지지되어 라인클립(20C)이 사권부(10) 내부로 과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1과 같이 상기 라인클립(20C)이 상기 사권부(10)의 플랜지부(11)에 구비될 경우 상기 측벽부는 사권부(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스풀 플레이트에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도 8, 도 10과 같이 상기 끼움홈(22)은 타측 끝단부에서 끼움홈(22)의 길이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절곡하여 연장 연결된 걸림홈(23)을 포함한다.
도 10에는 끼움홈(22)의 양측으로 연결된 걸림홈(23)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걸림홈(23)은 원호 형상이나 화살표 형상으로 연결되어 낚싯줄 고정부(20)의 면적을 최소화한다.
상기 걸림홈(23) 역시 끼움홈(22)과의 연결부에서 외측 끝단부로 갈수록 폭 너비가 점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걸림홈(23)의 외측 끝단부에 상기 걸림공(22a)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홈(23)을 통해 사용자는 낚싯줄의 두께, 낚싯줄의 감기는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실시예에서도 상기 걸림홈(23)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낚시 릴용 스풀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스풀 10 : 사권부
11 : 플랜지부 12 : 장착홀
13 : 축부 20 : 낚싯줄 고정부
21 : 끼움홀 22 : 끼움홈
23 : 걸림홈 30 : 마개

Claims (4)

  1. 릴 본체에 샤프트로 축설되어 회전 또는 고정되고, 외면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사권부(10)를 포함한 낚시 릴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사권부(10)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사권부(10)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되고 전후좌우 폭 너비가 끼움홈(22)의 짧은 폭 너비(22w)보다 크게 형성된 끼움홀(21)과, 상기 사권부(10)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되되 일측단이 상기 끼움홀(21)에 연결되어 소정 길이를 갖는 끼움홈(22)을 포함한 낚싯줄 고정부(20)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홀(21)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한 낚싯줄의 매듭을, 상기 끼움홈(22)으로 끼워서 상기 끼움홈(22)의 내측면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용 스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22)은 상기 끼움홀(21)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용 스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22)은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갈수록 짧은 폭 너비(22w)가 점감되거나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용 스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권부(10)는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장착홀(12)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홀(12)에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낚싯줄 고정부(20)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라인클립(20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용 스풀.
KR1020200092788A 2020-03-11 2020-07-27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 KR202101148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125 2020-03-11
KR20200030125 2020-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847A true KR20210114847A (ko) 2021-09-24

Family

ID=7791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788A KR20210114847A (ko) 2020-03-11 2020-07-27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48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117B1 (ko) * 2022-10-04 2023-04-20 주식회사 포텐츠 릴낚시 게임 장치
US11872838B2 (en) 2022-03-18 2024-01-16 Stanley Black & Decker, Inc. Jam resistant chalk re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2838B2 (en) 2022-03-18 2024-01-16 Stanley Black & Decker, Inc. Jam resistant chalk reel
KR102524117B1 (ko) * 2022-10-04 2023-04-20 주식회사 포텐츠 릴낚시 게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4847A (ko) 낚싯줄 고정부를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
US9198407B2 (en) Fishing reel having reliability in opening side cover
US9500831B2 (en) Cable payout cassette with single layer cable storage area
US11440343B2 (en) Chalk box with chalk reel spool groove
US5423516A (en) Fish tape reel
JP3685796B2 (ja) 糸巻
CN210176233U (zh) 一种电缆双向同时展放与回收装置
KR102662297B1 (ko)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KR20230027519A (ko) 라인 매듭의 돌출 방지수단을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
JP2005218446A (ja) 糸巻
JP2013179879A (ja) 釣糸用スプール連結体
JP3209201U (ja) 釣糸導入ガイド
KR200408595Y1 (ko) 자성체를 이용한 고정구
JPH0522069Y2 (ko)
JP6854205B2 (ja) 魚釣用リールおよび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
KR200403043Y1 (ko) 권취 선재의 인출이 용이한 보관케이스
JPH0316471Y2 (ko)
CN207590467U (zh) 窗帘收放线装置绕线轮
KR20080002668U (ko) 낚싯줄 스풀
JP3161807U (ja) 糸巻き
KR20000015702U (ko) 낚시줄 감개가 형성된 낚시대
JPH10258970A (ja) 光ファイバ巻取装置および収容装置
KR20230012272A (ko) 스트링 정리가 가능한 스토퍼
JPH10114469A (ja) 紐状物類巻回用リール
JP2003333969A (ja) 釣用糸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