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750A -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750A
KR20210113750A KR1020200028881A KR20200028881A KR20210113750A KR 20210113750 A KR20210113750 A KR 20210113750A KR 1020200028881 A KR1020200028881 A KR 1020200028881A KR 20200028881 A KR20200028881 A KR 20200028881A KR 20210113750 A KR20210113750 A KR 20210113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cessing apparatus
screw
pitch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중
김명길
서문규
이용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3750A/ko
Priority to PCT/KR2020/008289 priority patent/WO2021182682A1/ko
Publication of KR2021011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3Stationary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3Stationary work or tool supports
    • B23Q1/035Stationary work or tool supports with an array of longitudinally movable rods defining a reconfigurable suppor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51/5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에서, 상기 가공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들 각각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높이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MACHIN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OF FRAME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엘이디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과 같이 스스로 발광하는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거나,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과 같이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빛을 공급받아야 하는 수광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생산할 때에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타일링(tiling)하여 대형 사이즈의 화면을 만드는 모듈 디스플레이(modular display)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타일링하여 형성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복수로 마련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더 큰 사이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는 복수의 프레임들은 제조과정에서 미세하게 휘어질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들은 휘어진 정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들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프레임을 정밀하게 가공하여 프레임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들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의 평탄 가공 시 클램핑에 의한 프레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공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프레임 제조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들 각각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높이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들 각각은, 나사산의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며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된 제1 나사 및 제2 나사를 포함하는 볼트,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나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나사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너트 및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나사와 결합되며, 상기 제2 나사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가 회전하여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너트는 상기 볼트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는 제1 피치를 가지며, 상기 제2 나사는 상기 제1 피치 보다 작은 제2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볼트가 1 회전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는, 상기 제1 피치와 상기 제2 피치의 차이 값만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와 상기 제2 피치의 차이 값은 0.1mm 보다 작은 가공장치.
상기 볼트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들 중 서로 인접한 모서리부들 사이의 하부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매트릭스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 유닛들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핀 및 상기 복수의 돌출핀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복수의 돌출핀의 끝단부는 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돌출핀이 하강되는 경우 상기 돌출핀을 고정시키는 돌출핀 락킹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핀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을 가압하는 복수의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클램프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절삭하는 밀링 머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른 상기 가공장치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프레임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복수의 매트릭스 유닛 및 복수의 높이 조절장치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매트릭스 유닛들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을 클램프를 통해 고정하고, 상기 높이 조절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절삭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절삭한 후, 상기 클램프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 유닛은, 상기 프레임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들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프레임을 평평하게 제조하기 위한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하여 프레임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들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휘어진 정도를 정밀하게 보정하므로 프레임의 가공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가공장치 상에 프레임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가공장치의 매트릭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가공장치의 높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높이 조절장치의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3의 가공장치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프레임의 가공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보, 자료, 데이터 등을 문자, 도형, 그래프, 영상 등으로 표시하여 주는 장치로서, 광고판, 전광판, 스크린, 텔레비전,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미도시)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 그라운드에 설치되거나 벽걸이(미도시)를 통해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는 3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a ~ 10c)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개수에 제한은 없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서로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서로 평행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위에서 볼 때 전방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커브드(curved)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위에서 볼 때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커브드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오목 형태와 볼록 형태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화면 자체는 평면 형태이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간의 연결 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간의 각도를 조정하여 커브드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30)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30)이 설치되는 프레임(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6개의 디스플레이 패널(30a, 30b, 30c, 30d, 30e, 30f)이 2 * 3 매트릭스 배열로 구성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30)의 개수나 배열 방식에 제한은 없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독립적으로 프레임(100)에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30)을 프레임(100)에 전후 좌우로 매트릭스 형태로 타일링하듯이 설치함으로써, 작은 화면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패널(30)을 이용하여 대형 화면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30)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복수개로 마련하여 연결 부재(50)로 연결함으로써, 더 큰 사이즈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다수의 광원(32)와, 다수의 광원(32)이 실장된 기판(3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광원(32)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의 배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을 프레임(10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34)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프레임 바디(10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0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3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0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30)이 배열되는 크기 및/또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패널 안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안착부(110)는 프레임 바디(10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패널 안착부(110)는 프레임 바디(101)의 전면 중 돌출된 일 부분일 수 있다. 패널 안착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패널 안착부(1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패널 안착부(1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설치 부재(34)가 삽입되는 설치 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 홈(102)은 프레임 바디(101)를 전후 방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치 부재(34)는 설치 홈(102)에 삽입된후에 고정 부재(미도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가공장치 상에 프레임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가공장치의 매트릭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가공장치의 높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높이 조절장치의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가공장치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프레임의 가공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에 대하여 동시에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휘어진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휘어진 프레임에 물리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프레임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프레임은 평탄화 작업을 거치더라도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에 의해 소정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프레임(100)은 평탄화 작업을 거친 후,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해 패널 안착부(110)가 휘어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가공장치(200)에서 평탄화 작업을 거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100)은 평탄화 작업을 위해 가공장치(200)로 옮겨져 가공장치(20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공장치(200)는 복수의 매트릭스 유닛(300), 클램프(400) 및 복수의 높이 조절장치(500)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장치들(500) 각각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모서리부들(120) 각각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프레임(100)의 모서리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프레임(100)은 상면이 사각형태로 마련되도록, 제1 모서리(121), 제2 모서리(122), 제3 모서리(123) 및 제4 모서리(124)를 포함하며, 높이 조절장치들(500)은 각각이 제1 내지 제4 모서리들(121, 122, 123, 124) 각각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1 내지 제4 모서리들(121, 122, 123, 124) 각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장치들(501, 502, 503, 504)로 마련될 수 있다.
매트릭스 유닛들(300) 각각은 프레임(100)의 모서리부들(120) 중 서로 인접한 모서리부들(120) 사이의 하부 각각에 위치되어 프레임(100)을 지지한다. 매트릭스 유닛들(300)은 제1 내지 제4 매트릭스 유닛들(301, 302, 303, 304)로 마련되어 프레임(1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프레임(100)은 도 9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유닛들(300) 및 높이 조절장치들(500) 상에 안착되어 가공된다(S100). 이 경우, 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 상태일 수 있다.
매트릭스 유닛들(300)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핀(310)과, 돌출핀(310)의 하부에서 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2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이 매트릭스 유닛들(300) 상에 안착되는 경우, 프레임(100)의 자중에 의해 복수의 돌출핀(310)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압력이 인가된 복수의 돌출핀(310)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는 복수의 돌출핀(310) 각각을 탄성 지지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돌출핀(310) 각각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핀(310)은 상부에 프레임(100)이 안착되는 경우, 탄성부재에 탄성지지되며 하부로 이동될 수 있어, 프레임(100)이 형상을 유지하며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레임(100)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 상태인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며 매트릭스 유닛들(300) 상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돌출핀(310)의 끝단부는 라운딩(rounding)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프레임(100)이 매트릭스 유닛들(300) 상에 안착되는 경우 프레임(100)의 하면은 복수의 돌출핀(310)의 끝단부와 점 접촉될 수 있다. 그리하여 프레임(100)이 매트릭스 유닛들(300) 상에 안착될 때 복수의 돌출핀(310)과 최소한으로 접촉될 수 있으며, 형상을 더욱 용이하게 유지하며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복수의 돌출핀(310)이 하부로 이동되면서 프레임(100)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프레임(100)을 지지하면, 복수의 돌출핀(310)이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매트릭스 유닛(300)을 고정한다(S200). 그리하여, 프레임(100)이 형상을 유지하며 복수의 돌출핀(31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돌출핀 락킹장치(600)는 복수의 돌출핀(310)을 제어하여 복수의 돌출핀(310)이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복수의 돌출핀(3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돌출핀(310)이 다시 상부로 이동되도록 복수의 돌출핀(31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핀(310)이 프레임(100)의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매트릭스 유닛(300)을 고정시킨 후, 다음으로, 프레임(100)을 클램프(400)를 통해 고정한다(S300).
클램프(400)는 프레임(100)이 매트릭스 유닛들(300) 상에 안착될 때 프레임(100)을 가압함으로써 프레임(100)을 고정할 수 있다. 클램프(400)는 복수로 마련되어 매트릭스 유닛들(30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0)이 매트릭스 유닛들(300) 상에 안착되면, 프레임(100)의 상면에서 매트릭스 유닛들(300)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클램프(400)는 유압식 클램프(400)로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4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프레임(100)의 개구부(105)를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400)는 프레임(100)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00)의 개구부(105)를 통과한 후 프레임(100)의 개구부(105)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레임(100)의 상면을 도 10b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클램프 제어장치(700)는 이러한 클램프(400)의 이동 및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클램프(400)가 고정되면, 복수의 높이 조절장치(500)는 프레임(100)의 모서리부(120)의 위치를 조절한다(S40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높이 조절장치들(500) 각각은 볼트(510), 너트(520) 및 고정 브라켓(530)을 포함한다.
볼트(510)는 나사산의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제1 나사(511) 및 제2 나사(512)를 포함한다. 제1 나사(511)는 볼트(510)의 상측에 마련되고, 제2 나사(512)는 볼트(510)의 하측에 마련된다. 제1 나사(511) 및 제2 나사(512) 중 어느 하나의 나사산이 오른 나선(right handed helix)으로 형성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나사 부재의 나사산은 왼 나선(left handed helix)으로 형성될 수 있다.
너트(520)는 높이 조절장치(500)의 최 상측에 마련되어 프레임(100)의 모서리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너트(520)는 프레임(100)의 모서리부(120)를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모서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너트(520)는 제1 나사(511)와 결합된다. 너트(520)는 내부에 제1 나사(511)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530)은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제2 나사(512)와 결합된다. 고정 브라켓(530)은 내부에 제2 나사(512)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530)은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볼트(510)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볼트(51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너트(52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볼트(510)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볼트(51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너트(520)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제1 나사(511) 및 제2 나사(512) 중 어느 하나가 오른 나선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왼 나선으로 형성되는 것에 따라,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나사들(511, 512)은 서로 반대 반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므로, 볼트(510)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볼트(510)와 너트(5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나사(511) 및 제2 나사(512) 각각의 나사산의 피치(pitch)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511)는 제1 피치(P1)를 가지며, 상기 제2 나사(512)는 상기 제1 피치(P1) 보다 작은 제2 피치(P2)를 가질 수 있다.
볼트(510)가 제1 방향으로 1 회전 시, 너트(520)는 제1 피치(P1)의 값만큼 상부로 이동될 수 있으며, 볼트(510)는 제2 피치(P2)의 값만큼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너트(520)는 볼트(510)의 1회전 시, 전체적으로는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의 차이 값만큼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볼트(510)가 제2 방향으로 1 회전 시, 너트(520)는 제1 피치(P1)의 값만큼 하부로 이동될 수 있고, 볼트(510)는 제2 피치(P2)의 값만큼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높이 조절장치(500)는 볼트(510)의 1 회전 시,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의 차이 값만큼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의 차이 값은 0.1mm일 수 있다. 따라서, 볼트(510)의 1 회전 시 마다, 높이 조절장치(500)는 0.1mm씩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프레임(100)의 모서리부의 높이를 0.1mm씩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피치(P1)는 0.7mm이고, 제2 피치(P2)는 0.6mm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의 차이 값은 0.1mm 미만일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모서리부의 높이를 보다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볼트(510)를 1/2 회전시키는 경우 높이 조절장치(500)는 프레임(100)의 모서리부의 높이를 0.05mm씩 조절할 수 있으며, 볼트(510)를 1/4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프레임(100)의 모서리부의 높이를 0.025mm씩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볼트(510)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프레임(100)의 모서리부(120)의 높이의 변화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높이 조절장치(500)가 프레임(100)의 모서리부(120)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높이 조절장치(500) 중 하나 이상의 높이 조절 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프레임(1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프레임(100)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의 위치를 미세하게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장치(500)는 후술하는 절삭 공정에서의 프레임(100)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의 모서리부들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프레임(100)의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상면(전면)을 절삭하는 경우(S500), 프레임(100)의 각 모서리부가 절삭이 용이한 위치에 정렬되어 있어, 프레임(100)의 평탄도가 보다 향상되도록 프레임(100)을 절삭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밀링 머신을 통해 프레임(100)의 상면을 도시한 점선에 근접하도록 절삭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상면을 절삭한 후, 클램프(400)의 고정을 해제한다(S600). 이 때, 클램프(400)에 의한 고정을 제거하더라도 프레임(100)의 스프링백 현상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평탄한 프레임(100)을 가공할 수 있어, 프레임(100)에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장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들 간의 발생되는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임(100)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시키는 것을 앞서 설명하였으나, 프레임(100)에 대형 금속 패널을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본 개시에 따른 가공 장치(200)를 대형 패널의 가공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디스플레이 모듈
30 : 디스플레이 패널 100 : 프레임
110 : 패널 안착부 200 : 가공장치
300 : 매트릭스 유닛들 400 : 클램프
500 : 높이 조절장치들

Claims (19)

  1.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프레임 제조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들 각각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높이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장치들 각각은,
    나사산의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며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된 제1 나사 및 제2 나사를 포함하는 볼트;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나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나사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너트; 및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나사와 결합되며, 상기 제2 나사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가 회전하여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너트는 상기 볼트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는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는 제1 피치를 가지며, 상기 제2 나사는 상기 제1 피치 보다 작은 제2 피치를 갖는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1 회전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는, 상기 제1 피치와 상기 제2 피치의 차이 값만큼 이동하는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치와 상기 제2 피치의 차이 값은 0.1mm 보다 작은 가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인 가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들 중 서로 인접한 모서리부들 사이의 하부 각각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매트릭스 유닛을 더 포함하는 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유닛들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핀; 및
    상기 복수의 돌출핀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복수의 돌출핀의 끝단부는 점 접촉되는 가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핀이 하강되는 경우 상기 돌출핀을 고정시키는 돌출핀 락킹장치를 더 포함하는 가공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핀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을 가압하는 복수의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가공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클램프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가공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절삭하는 밀링 머신을 더 포함하는 가공장치.
  16.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프레임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복수의 매트릭스 유닛 및 복수의 높이 조절장치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매트릭스 유닛들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을 클램프를 통해 고정하고,
    상기 높이 조절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절삭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가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절삭한 후,
    상기 클램프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의 가공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유닛은,
    상기 프레임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가공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들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는 프레임의 가공 방법.
KR1020200028881A 2020-03-09 2020-03-09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 KR20210113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81A KR20210113750A (ko) 2020-03-09 2020-03-09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
PCT/KR2020/008289 WO2021182682A1 (ko) 2020-03-09 2020-06-25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81A KR20210113750A (ko) 2020-03-09 2020-03-09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750A true KR20210113750A (ko) 2021-09-17

Family

ID=7767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881A KR20210113750A (ko) 2020-03-09 2020-03-09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3750A (ko)
WO (1) WO20211826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745B1 (ko) 2023-06-02 2024-04-02 라이프앤사이언스주식회사 최적화된 연산속도를 가지는 교육용 로봇제어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4881B2 (ja) * 1998-10-08 2008-07-23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高さ調節床束のクイック・レベルロック機構。
KR200436241Y1 (ko) * 2007-03-16 2007-07-10 (주)터치맥스 광고용 디스플레이패널을 위한 매립 프레임 어셈블리
EP2241255B1 (en) * 2009-04-15 2014-12-24 Samsung Medison Co., Ltd. Imaging apparatus with height adjustment device
KR20140144369A (ko) * 2013-06-10 2014-12-19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비접촉식 기판 평탄화 장치와, 비접촉식 기판 평탄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레이져 가공 시스템 및 레이져 가공 방법
KR101597589B1 (ko) * 2015-12-16 2016-02-25 대산지오텍 주식회사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용 테이블의 평탄도 작업을 위한 고정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745B1 (ko) 2023-06-02 2024-04-02 라이프앤사이언스주식회사 최적화된 연산속도를 가지는 교육용 로봇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2682A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2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EP3054369B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6596507B2 (ja) 磁気誘導位置決め手段が隠蔽されるマウント
KR1025415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4709A (ko) 높이조절식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
US9841622B2 (en) Display device
EP2256539A2 (en) Liquid crystal module
KR20210113750A (ko)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가공 방법
US20200102977A1 (en) Gap regulator of multi display and multi display having the same
JPWO2017138081A1 (ja) 検査用装置
US20070247597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mirror
JP2007140506A (ja) 液晶表示パネル検査装備の検査ステージ
US9575238B2 (en) Back light module
JP7182702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678742B2 (ja) 表示装置
US20060007405A1 (en) Adjustment apparatus
US11525540B2 (en) Supporting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US7864436B2 (en) Rear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JP3463060B2 (ja) Vカッター用ピンキット
US20150212363A1 (en) Display device
US20210160451A1 (en) Display device
CN101960213A (zh) 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JP2011070053A (ja) 表示装置の生産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10866460B2 (en) Display apparatus
KR20020015013A (ko) 액정표시소자용 도광판의 그루브 패턴 형성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