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346A -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 - Google Patents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346A
KR20210113346A KR1020217025557A KR20217025557A KR20210113346A KR 20210113346 A KR20210113346 A KR 20210113346A KR 1020217025557 A KR1020217025557 A KR 1020217025557A KR 20217025557 A KR20217025557 A KR 20217025557A KR 20210113346 A KR20210113346 A KR 2021011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content
welding material
wel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마사 무라니시
히로미 오야마다
히데아키 다카우치
다케오 미야무라
시게노부 남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21011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B23K35/308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containing Ni or 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1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2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 B23K2103/05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연질 조직인 δ 페라이트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것에 의해, 인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내균열성 및 고온 강도가 양호한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는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를 제공한다.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는, C, Si, Mn, S, Co, V, Nb, W, N 및 O를 각각 소정 범위로 함유하고, 또한, Ni 및 P를 각각 소정 범위로 제한함과 함께, Cr: 8.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 Mo: 0.02질량% 이상 0.20질량% 이하로 함유하고, 더욱이, Cu: 0.05질량% 미만으로 제한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
본 발명은,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의 용접에 적합한 용접 재료에 관한 것이다.
발전용 보일러 및 터빈, 및 각종 내열 내압 강관은, 고온 고압의 조건하에서 사용되므로, 고온 강도, 특히 크리프(creep) 성능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은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해서 개발된 것으로, 이것에 사용되는 용접용 와이어도 각 시공 방법에 있어서 이미 많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고온 크리프 강도(고온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용접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선재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열간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용접 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4-4211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용접 금속의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페라이트의 석출을 억제하기 위해, 적정량의 Cu를 함유시키고 있지만, Cu의 첨가에 의해 용접 금속의 내균열성이 저하되어 버리므로, 고온 강도, 인성 및 내균열성의 모두가 양호한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는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연질 조직인 δ 페라이트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것에 의해, 인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내균열성 및 고온 강도가 양호한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는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는,
C: 0.01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Si: 0.02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
Mn: 0.20질량% 이상 1.20질량% 이하,
S: 0.0005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
Co: 0.50질량% 이상 5.00질량% 이하,
Cr: 8.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
Mo: 0.02질량% 이상 0.20질량% 이하,
V: 0.05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
Nb: 0.005질량% 이상 0.100질량% 이하,
W: 1.00질량% 이상 5.00질량% 이하,
N: 0.02질량% 이상 0.04질량% 이하,
O: 0.001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Cu: 0.05질량% 미만,
Ni: 1.20질량% 이하,
P: 0.015질량% 이하이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Ni는 0.05질량% 이상 1.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는, 추가로 B: 0.005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Al: 0.015질량% 이하, Ti: 0.01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질 조직인 δ 페라이트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것에 의해, 인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내균열성 및 고온 강도가 양호한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는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의 용접에 의해 얻어진 용접 금속에 있어서는, 연질 조직인 δ 페라이트가 생성되기 쉽고, 이것이 용접 금속의 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δ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원소(예를 들어 Cu)를 적절한 함유량으로 와이어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용접 금속의 인성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Cu의 첨가에 의해 용접 금속의 내균열성이 저하되는 것에 주목하여, 용접 재료의 금속 성분의 종류 및 그 함유량에 대해 예의 연구한 결과, 인성의 향상에 기여하지만, 내균열성을 저하시키는 Cu 함유량을 저감하는 대신에, 인성의 저하에 영향이 있는 δ 페라이트를 생성하는 원소인 Mo 및 Cr의 함유량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 고온 강도, 인성 및 내균열성의 모두가 양호한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에 대해, 그 성분 첨가 이유 및 조성 한정 이유를 상세히 설명한다.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의 조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는, 이하의 원소를 필수로서 함유하거나, 또는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가, 용접 와이어(솔리드 와이어)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C: 0.01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C는, 용접 금속 중에 있어서 탄화물로서 석출되어 크리프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의 원소이다.
C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C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2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C는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이기도 하기 때문에, C 함유량이 0.15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의 Ac1 변태점이 저하되기 때문에, 용접 후 열처리 시에 오스테나이트 변태가 생기고, 그 결과, 크리프 강도가 저하되며, 또한 고온 균열의 감수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C 함유량은 0.15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13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질량% 이하로 한다.
<Si: 0.02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
Si는, 용접 금속의 용융 시에 탈산제로서 작용하여, 용접 금속 중의 산소 함유량을 저감하여 충격 성능의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Si는 용접 금속의 용융 시에 그 용융 금속의 계면 장력을 저하시켜, 융합 불량 및 오버랩 등의 용접 결함을 저감하는 효과도 갖는다.
Si 함유량이 0.02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Si 함유량은 0.02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4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Si는 페라이트 생성 원소이기 때문에, Si 함유량이 0.90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 중에 페라이트가 잔류하게 되어, 그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Si 함유량은 0.9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7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질량% 이하로 한다.
<Mn: 0.20질량% 이상 1.20질량% 이하>
Mn은, 용접 금속의 용융 시에 탈산제로서 작용하여, 더욱 그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필요 불가결의 원소이다.
Mn 함유량이 0.20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Mn 함유량은 0.20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3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Mn은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이기 때문에, Mn 함유량이 1.20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의 Ac1 변태점이 저하되어, 크리프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Mn 함유량은 1.2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0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질량% 이하로 한다.
<S: 0.0005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
S는, 용접 금속의 용융 시에 그 용융 금속의 계면 장력을 저하시켜, 융합 불량 및 언더컷 등의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원소이며, 용접 작업성의 향상 효과를 발휘한다.
S 함유량이 0.0005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S 함유량은 0.0005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007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S는 고온 균열 감수성을 높이는 원소이기 때문에, S함유량이 0.015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에 고온 균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S 함유량은 0.015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질량% 이하로 한다.
<Co: 0.50질량% 이상 5.00질량% 이하>
Co는,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이며,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Co 함유량이 0.50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Co 함유량은 0.50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0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Co는 Ni와 마찬가지로, 과잉으로 함유되어 있으면, 용접 금속의 Ac1 변태점이 저하되어, 크리프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Co 함유량은 5.0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4.5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0질량% 이하로 한다.
<Cr: 8.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
Cr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재료가 사용 대상으로 되는,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에 함유되는 주요 합금 원소이다. 또한, Cr은, 용접 금속의 내산화성, 내식성 및 강도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원소이다.
Cr 함유량이 8.0질량% 미만이면, 상기 용접 금속의 특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Cr 함유량은 8.0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8.1질량% 이상으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2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Cr은 페라이트 생성 원소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Cu 함유량을 저감하고 있기 때문에, Cr 함유량도 적절량까지로 제한하여, 용접 금속의 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Cr 함유량이 9.5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 중에 페라이트가 석출되어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Cr 함유량은 9.5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9.3질량% 이하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2질량% 이하로 한다.
<Mo: 0.02질량% 이상 0.20질량% 이하>
Mo는, 강 중에 있어서의 고용 강화 원소이며, 용접 금속 중에 고용하여 그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Mo 함유량이 0.02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Mo 함유량은 0.02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상으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Mo는 δ 페라이트를 생성하는 원소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Cu 함유량을 저감하고 있기 때문에, Mo 함유량도 적절량까지로 제한하여, 용접 금속의 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Mo 함유량이 0.20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 중에 페라이트가 석출되어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Mo 함유량은 0.2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이하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질량% 이하로 한다.
<V: 0.05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
V는, 강 중에 있어서의 석출 강화 원소이며, 용접 금속 중에 탄질화물로서 석출되어 그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V 함유량이 0.05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V 함유량은 0.05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8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V 함유량이 0.90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져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V 함유량은 0.9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7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30질량% 이하로 한다.
<Nb: 0.005질량% 이상 0.100질량% 이하>
Nb는, 강 중에 있어서의 석출 강화 원소이며, 용접 금속 중에 탄질화물로서 석출되어 그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Nb 함유량이 0.005질량% 미만이면, 상기 석출 강화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Nb 함유량은 0.005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1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Nb 함유량이 0.100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져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Nb 함유량은 0.10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9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7질량% 이하로 한다.
<W: 1.00질량% 이상 5.00질량% 이하>
W는, 강 중에 있어서의 고용 강화 원소이며, 용접 금속 중에 고용하여 그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W 함유량이 1.00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W 함유량은 1.00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1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W는 페라이트 생성 원소이기도 하기 때문에, 5.00질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용접 금속 중에 페라이트가 석출되어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W 함유량은 5.0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4.2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60질량% 이하로 한다.
<N: 0.02질량% 이상 0.04질량% 이하>
N은, 강 중에 있어서 고용 강화의 효과를 발휘함과 함께, Nb 및 V와 결합하여 질화물로서 석출되어, 용접 금속의 크리프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N은, δ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원소이기도 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균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도록 Cu 함유량을 저감하고 있기 때문에, δ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N을, 용접 재료 중에 소정량 이상의 함유량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N 함유량이 0.02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N 함유량은 0.02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21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N은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이며, N 함유량이 0.04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의 Ac1 변태점이 저하되어, 크리프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N 함유량은 0.04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38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5질량% 이하로 한다.
<O: 0.001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
O는, 용접 금속의 용융 시에 그 용융 금속의 계면 장력을 저하시켜, 융합 불량 및 오버랩 등의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원소이며, 용접 작업성의 향상 효과를 발휘한다.
O 함유량이 0.001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O 함유량은 0.001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01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O 함유량이 0.015질량%를 초과하면, 용융 금속의 계면 장력이 지나치게 낮아져, 비드 외관이 불량이 되고, 더욱이 용융 금속 중에 탈산 생성물이 다량으로 생겨, 용접 금속 중에 잔류하여 그 인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O 함유량은 0.015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14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13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 이하로 한다.
<Cu: 0.05질량% 미만(0질량%를 포함한다)>
Cu는,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이며,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δ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Cu 함유량이 0.05질량% 이상이면, 용접 금속의 내균열성이 열화됨과 함께, 용접 금속의 Ac1 변태점이 저하되어, 크리프 강도가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δ 페라이트의 생성을 촉진하는 Mo 및 Cr의 함유량을 적절히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Cu 함유량을 저감했다고 해도, 인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용접 금속의 내균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Cu 함유량은 0.05질량% 미만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4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하로 한다.
<Ni: 1.2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Ni는,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이며,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Ni 함유량이 1.20질량%를 초과하면, 용접 금속의 Ac1 변태점이 저하되어, 크리프 강도가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δ 페라이트의 생성을 촉진하는 Mo 및 Cr의 함유량을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 재료 중에 소정량 이상의 Ni가 함유되지 않는 경우에도, 용접 금속의 원하는 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Ni 함유량은 1.2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0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0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용접 금속의 인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용접 재료 중의 Ni 함유량은 0.0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0.015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P는, 고온 균열을 높이는 원소이며, 용접 금속의 형성 과정에 있어서와 같은 응고 온도 범위 및 그 직하의 온도에서는, 특히 균열을 발생시키기 쉽기 때문에, P함유량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P와 마찬가지로 고온 균열 감수성을 높이는 S를 적극적으로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P 함유량은 0.015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1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질량% 이하로 한다.
<B: 0.005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재료는, 추가로 임의 성분으로서, B: 0.005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는, 강 중에 있어서 결정립계의 탄화물의 조대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B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용접 금속의 크리프 강도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B 함유량이 0.005질량% 이상이면, 상기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B는 0.00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6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B 함유량이 0.015질량% 이하이면, 용접 금속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져, 그 때문에 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에 B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B 함유량은 0.015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13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로 한다.
<Al: 0.015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재료는, 추가로 임의 성분으로서 Al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Al: 0.015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은, 용접 금속의 용융 시에 강력한 탈산제로서 작용하는 원소이다.
Al 함유량이 0.015질량% 이하이면, 탈산이 과잉이 되어, 용접 금속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져, 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Al 함유량은 0.015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1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질량% 이하로 한다.
<Ti: 0.015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재료는, 추가로 임의 성분으로서 Ti가 함유되는 경우에는, Ti: 0.015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는, 페라이트 생성 원소이며,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페라이트를 용접 금속 중에 석출시킨다. 더욱이, Ti는 Nb 및 V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탄화물 형성 원소이며, C와 결합하여 침상의 탄화물이 되어 용접 금속 중에 석출된다. 이 형태의 탄화물은 용접 금속의 인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므로, Ti 함유량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는, Ti 함유량이 0.01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용접 재료 중의 Ti 함유량은 0.015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01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질량% 이하로 한다.
<잔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재료의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불가피적 불순물로서는, 예를 들어, Li, Mg, Zr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재료는, Fe 함유량이 용접 재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 7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8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재료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는, 주지된 제조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용가봉,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용의 필러 와이어, 및 피복 아크 용접용의 용접봉의 심선 등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용접 재료는,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을 용접하는 경우에, 티그 용접, 마그 용접 및 서브머지 아크 용접 중 어느 용접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용접했을 경우에 있어서, 얻어지는 용접 금속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재료에 있어서의 각 원소의 함유량의 범위 내이면, 상기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발명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어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갖는 강괴를 용제하고, 이것에 열간 압연 및 냉간 신선을 실시하여, 직경 1.6mm의 용접 와이어를 제작했다. 한편, 표 1에 나타내는 각 화학 성분의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의 함유량(질량%)이다.
[용접]
다음에, 상기 용접 와이어를 사용하여, 연강의 강판에 대해서 버터링을 행하고, 개선 가공한 후에, 개선 내를 자동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GTAW: Gas Tungsten Arc Welding)했다. 그 후, 740∼760℃의 온도에서 용접 후 열처리(PWHT: Post Weld Heat Treatment)를 실시했다. 용접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용접 조건)
모재의 판두께: 12mm
개선 각도, 형상: 45°, V형
루트 간격: 6.5mm
와이어 직경: 1.6mm
전류: 220∼240A/230A
전압: 10∼12V/11V
용접 속도: 8∼10cm/min
가스의 종류, 유량: 100% Ar, 25리터/min
와이어 송급량: 8g/min
예열·패스간 온도: 250∼300℃
적층법: 6∼7층 9∼13패스
[평가]
더욱이,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온도 및 시간에서의 PWHT 후의 용접 금속에 대해, 다음의 각종 시험을 행하여, 용접 금속의 고온 강도, 인성 및 내균열성을 평가함과 함께, 금속 조직을 관찰했다. 각종 시험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아울러 나타낸다.
<고온 강도>
PWHT 후의 용접 금속에 대해, JIS Z3111에 준하여 650℃에서의 고온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0.2% 내력(0.2% YS)을 측정했다. 한편, 얻어진 값이 280MPa 이상인 것을 평가: A(우량), 250MPa 이상 280MPa 미만인 것을 평가: B(양), 250MPa 미만인 것을 평가: C(불량)로 했다.
<인성>
PWHT 후의 용접 금속에 대해, JIS Z2242에 준하여 20℃에서 샤르피 충격 시험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흡수 에너지 vE(J)를 측정하여, 인성을 평가했다. 한편, 측정에 의해 얻어진 흡수 에너지가 60J 이상인 것을 평가: A(우량), 27J 이상 60J 미만인 것을 평가: B(양), 27J 미만인 것을 평가: C(불량)로 했다.
<내균열성>
PWHT 후의 용접 금속에 대해, 마이크로 조직 관찰로 균열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내균열성을 평가했다. 한편, 마이크로 조직 관찰에 의해, 균열이 없었던 것을 합격으로 했다.
<금속 조직>
PWHT 후의 용접 금속에 대해, 마이크로 조직 관찰에 있어서의 최종 패스의 원질부에서 δ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측정함으로써 금속 조직의 건전성을 평가했다. δ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2% 미만인 것을 δ 페라이트 없음으로 판단하여, 합격으로 했다. 한편, δ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2% 이상인 것을 δ 페라이트 있음으로 판단하여, 불합격으로 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명예 1∼6은, 용접 재료(와이어) 중의 모든 화학 성분의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이들 와이어를 사용하여 용접한 결과, δ 페라이트의 발생이 억제되어, 인성, 내균열성 및 고온 강도의 모두가 양호한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3 및 4는, 와이어 중의 Mo 함유량 및 N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이기 때문에, 발명예와 비교하여 고온 강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2는, 와이어 중의 Mo 함유량 및 N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이며,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B 함유량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었지만, 인성이 저하되었다.
더욱이, 비교예 5∼7은, 와이어 중의 Mo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 금속 중에 δ 페라이트가 석출되어 인성이 열화됨과 함께, 내균열성이 저하되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질 조직인 δ 페라이트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것에 의해, 인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내균열성 및 고온 강도가 양호한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는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한편, 본 출원은, 2019년 2월 21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9-029843)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본 출원 중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Claims (3)

  1. C: 0.01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Si: 0.02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
    Mn: 0.20질량% 이상 1.20질량% 이하,
    S: 0.0005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
    Co: 0.50질량% 이상 5.00질량% 이하,
    Cr: 8.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
    Mo: 0.02질량% 이상 0.20질량% 이하,
    V: 0.05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
    Nb: 0.005질량% 이상 0.100질량% 이하,
    W: 1.00질량% 이상 5.00질량% 이하,
    N: 0.02질량% 이상 0.04질량% 이하,
    O: 0.001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Cu: 0.05질량% 미만,
    Ni: 1.20질량% 이하,
    P: 0.015질량% 이하이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i는 0.05질량% 이상 1.20질량% 이하인,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B: 0.005질량% 이상 0.01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Al: 0.015질량% 이하,
    Ti: 0.015질량% 이하인,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
KR1020217025557A 2019-02-21 2020-02-13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 KR202101133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9843 2019-02-21
JPJP-P-2019-029843 2019-02-21
PCT/JP2020/005528 WO2020170928A1 (ja) 2019-02-21 2020-02-13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溶接材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346A true KR20210113346A (ko) 2021-09-15

Family

ID=7214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557A KR20210113346A (ko) 2019-02-21 2020-02-13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34489A1 (ko)
EP (1) EP3928917A4 (ko)
JP (1) JP2020131289A (ko)
KR (1) KR20210113346A (ko)
CN (1) CN113490571B (ko)
WO (1) WO2020170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1027B (zh) * 2022-01-07 2022-12-30 北京科技大学 一种630℃超超临界g115耐热钢用焊丝及制备和gtaw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116A (ja) 2002-07-12 2004-02-12 Kobe Steel Ltd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溶接ワ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563A (ja) * 1994-03-30 1995-10-17 Nippon Steel Corp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溶接材料
JPH08187592A (ja) * 1995-01-09 1996-07-23 Nippon Steel Corp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溶接材料
JPH08218154A (ja) * 1995-02-14 1996-08-27 Nippon Steel Corp 耐金属間化合物析出脆化特性の優れた高強度フェライト系耐熱鋼
JPH08294793A (ja) * 1995-03-01 1996-11-12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施工性に優れた高強度、高耐食フェライト鋼用溶接材料
JPH09308989A (ja) * 1996-05-17 1997-12-02 Nippon Steel Corp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溶接材料
JP3982069B2 (ja) * 1998-07-08 2007-09-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
JP4836063B2 (ja) * 2001-04-19 2011-12-14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フェライト系耐熱鋼とその製造方法
JP4188124B2 (ja) * 2003-03-31 2008-11-26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焼き戻しマルテンサイト系耐熱鋼の溶接継手
JP5349153B2 (ja) * 2009-06-15 2013-11-20 日新製鋼株式会社 ろう付け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熱交換器部材
US20160318133A1 (en) * 2013-12-24 2016-11-03 Posco Welding material for heat resistant steel
JP6235402B2 (ja) * 2014-04-17 2017-1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強度、靭性および耐sr割れ性に優れた溶接金属
CN108367396B (zh) * 2015-12-18 2020-04-17 日本制铁株式会社 铁素体系耐热钢用焊接材料、铁素体系耐热钢用焊接接头以及铁素体系耐热钢用焊接接头的制造方法
JP2017159350A (ja) * 2016-03-11 2017-09-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接金属、および該溶接金属を含む溶接構造体
CN106425157A (zh) * 2016-10-28 2017-02-22 四川大西洋焊接材料股份有限公司 蒸汽温度超超临界火电机组用钢的tig焊焊丝及其制备方法
JP6520997B2 (ja) 2017-07-31 2019-05-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アホン装置
CN109048119B (zh) * 2018-08-30 2022-02-11 天津重型装备工程研究有限公司 一种650℃超超临界火电汽轮机铸钢件用实心焊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116A (ja) 2002-07-12 2004-02-12 Kobe Steel Ltd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溶接ワ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1289A (ja) 2020-08-31
CN113490571A (zh) 2021-10-08
CN113490571B (zh) 2023-01-03
US20220134489A1 (en) 2022-05-05
EP3928917A1 (en) 2021-12-29
EP3928917A4 (en) 2022-04-06
WO2020170928A1 (ja)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1993B2 (ja) スピニング加工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管の製造法
CN111344427B (zh) 奥氏体系耐热钢焊接金属、焊接接头、奥氏体系耐热钢用焊接材料以及焊接接头的制造方法
JP4787062B2 (ja) 靭性および耐sr割れ性に優れた溶接金属
JP6384610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及び溶接構造物
JP6384611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及び溶接構造物
KR20210136132A (ko) 극저온용 고강도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
JP4784239B2 (ja) ティグ溶接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加棒
JP2017202494A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溶接金属およびそれを有する溶接継手
JP3850764B2 (ja)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溶接ワイヤ
JP6741860B2 (ja) 溶接性に優れた水素用高Mn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それを用いた溶接継手および水素用機器、並びに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6235402B2 (ja) 強度、靭性および耐sr割れ性に優れた溶接金属
JP2019063868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用溶接材料
KR102506230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255016B1 (ko)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용 용접 재료, 용접 금속 및 용접 구조물 그리고 용접 금속 및 용접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102658542B1 (ko)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JP4441372B2 (ja) 高強度高靭性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CN113490571B (zh) 高Cr铁素体系耐热钢用焊接材料
JP2017014575A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及び溶接構造物
KR101867111B1 (ko) 전자 빔 용접 조인트 및 전자 빔 용접용 강재와 그 제조 방법
JPWO2018066573A1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継手
JP7295418B2 (ja) 溶接材料
JP6483540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2017202492A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溶接金属およびそれを有する溶接継手
JP2005211933A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溶接継手
JPWO2020044421A1 (ja)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