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152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152A
KR20210113152A KR1020217007972A KR20217007972A KR20210113152A KR 20210113152 A KR20210113152 A KR 20210113152A KR 1020217007972 A KR1020217007972 A KR 1020217007972A KR 20217007972 A KR20217007972 A KR 20217007972A KR 20210113152 A KR20210113152 A KR 20210113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predetermined
unit
processing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678B1 (ko
Inventor
료스케 오하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3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prior to normal operation, e.g. pre-heating or pre-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9Remote control for prese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의 세정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공기 조화기(100)는, 압축기(1) 및 실외 열교환기(2)를 갖는 실외기(Uo)와, 실내 팽창 밸브(12) 및 실내 열교환기(10)를 갖는 복수대의 실내기(U1, U2, U3, U4)가 배관을 통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Q)를 구비함과 함께, 적어도 압축기(1) 및 복수의 실내 팽창 밸브(12)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복수대의 실내기(U1, U2, U3, U4)에 포함되는 소정의 실내기(U1)가,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 또는 결로시키는 처리를 개시할 때까지,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는, 상기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를 청결한 상태로 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제어 장치가, 실내 열교환기를 냉각하여 착상시킨 후, 실내 열교환기를 가열하여 제상하는 세정 운전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6296633호 공보
특허문헌 1에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1대씩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세정 운전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만, 1계통에서 복수대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멀티형의 공기 조화기의 세정 운전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멀티형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세정 운전의 개시 조건이 충족된 실내기마다 개별로 세정 운전이 행해지면, 압축기의 구동 빈도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소비 전력량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복수대의 실내기 중 일부에서 세정 운전이 행해진 경우에도, 그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 외에, 배관의 일부(예를 들어, 가스 냉매가 통류하는 배관의 공용 부분)도 차가워진다. 그 결과, 복수대의 실내기마다 개별로 세정 운전이 행해지면, 실내기에 있어서의 단위 용량당의 소비 전력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세정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의 세정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갖는 실외기와, 실내 팽창 밸브 및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대의 실내기가 배관을 통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함과 함께, 적어도 상기 압축기 및 복수의 상기 실내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대의 상기 실내기에 포함되는 소정의 실내기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동결 또는 결로시키는 처리를 개시할 때까지, 다른 실내기에서는, 상기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 것으로 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의 세정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포함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각 기기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서의 세정 처리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세정 처리의 타임차트이다.
도 7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세정 처리의 타임차트이다.
≪제1 실시 형태≫
<공기 조화기의 구성>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00)의 냉매 회로(Q)를 포함하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냉방 사이클(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한편, 난방 사이클(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나 4개의 실내 열교환기(10)의 부근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백색 바탕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공기 조화기(100)는,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의 공조를 행하는 기기이다. 도 1에서는, 일례로서, 1대의 실외기(Uo)와, 4대의 실내기(U1, U2, U3, U4)가 배관을 통해 소정으로 접속된 1계통의 멀티형의 공기 조화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100)는, 실외기(Uo)에 마련되는 기기로서, 압축기(1)와, 실외 열교환기(2)와, 실외 팬(3)과, 실외 팽창 밸브(4)와, 사방 밸브(5)와, 어큐뮬레이터(6)와, 실외 온도 센서(7)와, 저지 밸브(8, 9)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1)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로서 토출하는 기기이고, 구동원인 압축기 모터(1a)(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1)로서, 예를 들어 스크롤식 압축기나 로터리식 압축기가 사용된다.
실외 열교환기(2)는, 그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을 통류하는 냉매와, 실외 팬(3)으로부터 송입되는 외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지는 열교환기이다. 실외 열교환기(2)의 일단(g1)은, 사방 밸브(5)의 전환에 의해 압축기(1)의 흡입측 또는 토출측에 접속되고, 타단(g2)은 액측의 배관(J1)에 접속되어 있다.
실외 팬(3)은, 실외 열교환기(2)로 외기를 송입하는 팬이다. 실외 팬(3)은, 구동원인 실외 팬 모터(3a)를 구비하여, 실외 열교환기(2)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실외 팽창 밸브(4)는, 실외 열교환기(2)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거나, 실외 열교환기(2)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킬 때 냉매를 감압하거나 하는 전자 팽창 밸브이고, 액측의 배관(J1)에 마련되어 있다.
사방 밸브(5)는, 공조 시의 운전 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소정으로 전환하는 밸브이다.
어큐뮬레이터(6)는, 사방 밸브(5)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기액 분리하는 셸형 부재이다. 어큐뮬레이터(6)에 의해 기액 분리된 후, 가스상의 냉매가, 압축기(1)의 흡입측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실외 온도 센서(7)는, 외기의 온도인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실외기(Uo)의 소정 개소(도 1의 예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압축기(1)의 토출 압력·토출 온도·흡입 압력·흡입 온도 중 하나 또는 복수를 검출하기 위한 각 센서가 적절하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저지 밸브(8, 9)는,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 후에 밸브 개방됨으로써, 실외기(Uo)에 봉입되어 있는 냉매를 냉매 회로(Q)의 전체에 골고루 퍼지게 하기 위한 밸브이다. 한쪽의 저지 밸브(8)는 가스측의 배관(J10)에 마련되고, 다른 쪽의 저지 밸브(9)는 액측의 배관(J1)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100)는, 실내기(U1)에 마련되는 기기로서, 실내 열교환기(10)와, 실내 팬(11)과, 실내 팽창 밸브(12)와, 실내 온도 센서(13)와, 실내 열교환기 온도 센서(14)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는, 그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을 통류하는 냉매와, 실내 팬(11)으로부터 송입되는 실내 공기(공조실의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지는 열교환기이다. 실내 열교환기(10)의 일단(h1)은 가스측의 배관(J3)에 접속되고, 타단(h2)은 액측의 배관(J2)에 접속되어 있다.
실내 팬(11)은, 실내 열교환기(10)에 실내 공기를 송입하는 팬이다. 실내 팬(11)은, 구동원인 실내 팬 모터(11a)를 갖고, 실내 열교환기(10)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실내 팽창 밸브(12)는, 실내 열교환기(10)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거나, 실내 열교환기(10)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킬 때 냉매를 감압하거나 하는 전자 팽창 밸브이고, 액측의 배관(J2)에 마련되어 있다.
실내 온도 센서(13)는, 공조실의 온도인 실내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도 1의 예에서는, 실내 열교환기(10)의 공기 흡입측에 실내 온도 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 온도 센서(14)는, 실내 열교환기(10)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도 1의 예에서는, 배관(J2)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10)의 타단(h2) 부근에 실내 열교환기 온도 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 온도 센서(14)의 위치는, 도 1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관(J3)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10)의 일단(h1) 부근에 실내 열교환기 온도 센서(14)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0)에 직접적으로 실내 열교환기 온도 센서(14)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나머지 3대의 실내기(U2, U3, U4)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내기(U1)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액측 접속부(K1, K2, K3)는, 냉방 사이클 중에는 냉매를 분류시키고, 또한 난방 사이클 중에 냉매를 합류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냉방 사이클 중에는, 배관(J1)을 통류하는 냉매가, 액측 접속부(K1, K2, K3)를 순차적으로 통해, 4개의 실내 열교환기(10)에 소정으로 분배되도록 되어 있다.
가스측 접속부(K4, K5, K6)는, 냉방 사이클 중에는 냉매를 합류시키고, 또한 난방 사이클 중에 냉매를 분류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냉방 사이클 중에는, 4개의 실내 열교환기(10)로부터 가스측 접속부(K4, K5, K6)를 순차적으로 통해, 냉매가 합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조 시의 운전 모드에 따라, 냉매 회로(Q)에 있어서 주지의 냉동 사이클(도 1에 도시하는 냉방 사이클 또는 난방 사이클)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냉방 사이클에서는, 압축기(1), 실외 열교환기(2)(응축기), 실외 팽창 밸브(4), 실내 팽창 밸브(12) 및 실내 열교환기(10)(증발기)를 순차적으로 통해 냉매가 순환한다. 한편, 난방 사이클에서는, 압축기(1), 실내 열교환기(10)(응축기), 실내 팽창 밸브(12), 실외 팽창 밸브(4) 및 실외 열교환기(2)(증발기)를 순차적으로 통해 냉매가 순환한다.
도 2는, 공기 조화기(100)의 각 기기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0)는, 상기한 구성 외에, 리모컨(15)과, 집중 관리 기기(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외기(Uo)는 실외 제어 회로(17)를 구비하는 한편, 실내기(U1, U2, U3, U4)는, 각각, 실내 제어 회로(18)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 제어 회로(17) 및 실내 제어 회로(18)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각종 인터페이스 등의 전자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에 전개하여, CPU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제어 회로(17)는, 배선(m1)을 통해 실외 온도 센서(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외 온도 센서(7)를 포함하는 각 센서의 검출값이나 리모컨(15)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실외 제어 회로(17)가 각 기기의 제어 명령값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외 제어 회로(17)는, 통신선(m3)을 통해, 실내 제어 회로(18)에 접속되어 있다. 실내 제어 회로(18)는, 배선(m21)을 통해 실내 온도 센서(13)에 접속되고, 또한 배선(m22)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 온도 센서(14)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들의 각 검출값은, 통신선(m3)을 통해, 실내 제어 회로(18)로부터 실외 제어 회로(17)로 전달된다. 그리고, 실내 제어 회로(18)는, 실외 제어 회로(17)에 의해 산출된 제어 명령값에 기초하여, 실내 팬 모터(11a)(도 1 참조)나 실내 팽창 밸브(12)(도 1 참조)를 소정으로 제어한다.
도 2의 예에서는, 4개의 리모컨(15)은, 4대의 실내기(U1, U2, U3, U4)의 각각의 실내 제어 회로(18)와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배선(m4)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리모컨(15)에 복수대의 실내기가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실내기(U1)에 접속되어 있는 리모컨(15)은, 유저의 조작에 의해, 실내기(U1)에 소정의 제어 명령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한 제어 지령으로서,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정지나, 운전 모드의 전환이나 설정 온도·풍량·풍향의 변경 외에, 후기하는 세정 처리의 개시를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실내기(U2, U3, U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집중 관리 기기(16)는, 4개의 리모컨(15)의 표시나 설정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고, 통신선(m5)을 통해, 실외 제어 회로(1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저(관리자)가 집중 관리 기기(16)를 소정으로 조작함으로써, 공조의 설정 외에, 4개의 리모컨(15)에 있어서의 표시시키는 방법 등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공기 조화기(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4대의 실내기(U1, U2, U3, U4) 중 1대의 실내기(U1)를 도시하고, 나머지 3대의 실내기(U2, U3, U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제어 회로(17)는, 기억부(17a)와, 실외 제어부(17b)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17a)에는, 소정의 프로그램이나 각 센서의 검출값 외에, 집중 관리 기기(16)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실외 제어부(17b)는, 기억부(17a)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압축기 모터(1a), 사방 밸브(5), 실외 팽창 밸브(4), 실외 팬 모터(3a) 등을 제어한다.
한편, 실내 제어 회로(18)는, 기억부(18a)와, 실내 제어부(18b)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18a)에는, 소정의 프로그램이나 각 센서의 검출값 외에, 리모컨(15)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실내 제어부(18b)는, 기억부(18a)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팽창 밸브(12)나 실내 팬 모터(11a) 외에, 풍향판용 모터(19) 등을 소정으로 제어한다. 이하에는, 실외 제어 회로(17) 및 실내 제어 회로(18)를 총칭하여, 「제어부(20)」라고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풍향판용 모터(19)는, 실내기(U1)의 풍향판(도시하지 않음)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실내에 분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는 모터이다.
이어서, 실내 열교환기(10)(도 1 참조)를 세정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내 열교환기(10)의 공기 흡입측에는, 티끌이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미세한 티끌이나 먼지가 필터를 빠져 나가, 실내 열교환기(10)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10)를 정기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착상)시킨 후, 실내 열교환기(10)의 얼음이나 서리를 녹임으로써, 실내 열교환기(10)를 세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를, 실내 열교환기(10)의 「세정 처리」라고 한다.
도 4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적절하게 도 1, 도 3을 참조).
또한, 도 4에서는, 세정 처리에 관한 처리를 도시하고, 다른 처리(통상의 공조 운전 등)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스텝 S10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모든 실내기(U1, U2, U3, U4)가 정지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모든 실내기(U1, U2, U3, U4)가 정지 중인 경우(S101: 예),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102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01에 있어서, 공조 운전을 행하고 있는(즉, 정지 중이 아닌) 실내기가 적어도 1대 존재하는 경우(S101: 아니오), 제어부(20)의 처리는 「개시」로 되돌아간다(복귀).
또한,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등을 행하는 세정 처리와, 통상의 공조 운전에서는, 압축기(1)에 있어서의 압력의 동작점이 크게 다르다. 따라서, 모든 실내기(U1, U2, U3, U4)가 정지 중일 때에, 제어부(20)가, 세정 처리에 관한 소정의 판정 처리(다음의 스텝 S102)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스텝 S10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대표의 실내기(소정의 실내기)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대표의 실내기」가 실내기(U1)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집중 관리 기기(16)의 조작으로 대표의 실내기가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된다.
상기한 스텝 S102에 관하여, 대표의 실내기(U1)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란, 예를 들어 전회의 세정 처리의 종료 시를 기준으로 하여,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의 통상의 공조 운전이 행해진 시간을 적산한 값(합을 취한 값)이다.
스텝 S102에 있어서, 대표의 실내기(U1)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S102: 예),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한편, 대표의 실내기(U1)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102: 아니오), 제어부(20)의 처리는 「개시」로 되돌아간다(복귀). 그리고, 제어부(20)는, 스텝 S102의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스텝 S101, S102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스텝 S101, S102의 처리가 반복되어 있는 기간에는, 대표의 실내기(U1)나 다른 실내기(U2, U3, U4)의 세정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즉, 제어부(20)는, 복수대의 실내기(U1, U2, U3, U4)에 포함되는 소정의 실내기(U1)가,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등의 처리를 개시할 때까지,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는, 상기한 처리(동결)를 개시하지 않는다. 이로써, 실내기마다 개별로 세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비해, 압축기(1)의 구동 빈도를 저감시키고, 나아가서는, 공기 조화기(100)의 소비 전력량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등의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다」란,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의 전회의 세정 처리를 행한 후, 제어부(20)가,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의 금회의 세정 처리를 아직 개시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어서, 스텝 S10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대표의 실내기(U1)와 함께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도 세정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어부(20)는, 대표의 실내기(U1) 및 다른 실내기(U2, U3, U4)에 있어서, 세정 처리를 행하는 시간대의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가, 실내기(U1, U2, U3, U4)에서 세정 처리를 개시하는 타이밍을 대략 일치시켜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20)가, 실내기(U1, U2, U3, U4)에서 세정 처리를 종료하는 타이밍을 대략 일치시켜도 된다. 또한, 실내기(U1, U2, U3, U4)의 기종이나 실내 열교환기(10)의 용량에 차이가 있는 경우,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시간의 길이가 다른 것이 혼재해도 된다. 스텝 S103의 처리를 행한 후, 제어부(20)의 처리는 「개시」로 되돌아간다(복귀).
도 5는, 공기 조화기에서의 세정 처리에 관한 흐름도이다.
즉, 도 5는, 도 4의 스텝 S103에 관하여, 각각의 실내기(U1, U2, U3, U4)에서 행해지는 세정 처리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스텝 S103a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킨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기하지만, 제어부(20)는, 실내 열교환기(10)를 증발기로서 기능시켜, 실내 열교환기(10)를 착상시킨다.
이어서, 스텝 S103b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실내 열교환기(10)를 해동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실내 열교환기(10)를 응축기로서 기능시켜, 실내 열교환기(10)의 서리를 녹인다. 이로써, 서리의 해동에 수반하는 물로, 실내 열교환기(10)의 티끌이나 먼지가 씻겨 내려간다.
스텝 S103c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실내 열교환기(10)를 건조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해동 시부터 소정 기간은 공조 운전을 금지하고, 공기의 자연 대류로 실내 열교환기(10)를 건조시킨다. 스텝 S103c의 처리를 행한 후, 제어부(20)는, 세정 처리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도 6은,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세정 처리의 타임차트이다(적절하게 도 1, 도 3을 참조).
이하에는, 일례로서, 모든 실내기(U1, U2, U3, U4)에서 세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실내기(U1, U2, U3, U4)의 각각의 실내 팽창 밸브(12)를 「실내 팽창 밸브」라고 기재하고, 또한 각각의 실내 팬(11)을 「실내 팬」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시각 t0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100)가 정지 상태이고, 사방 밸브(5)의 밸브체(도시하지 않음)가 난방 사이클의 위치로 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전준비로서, 제어부(20)는, 시각 t1 내지 t3에 있어서 실내기(U1, U2, U3, U4)의 실내 팬(11)을 소정의 회전 속도 Nfi1로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20)는, 시각 t2부터 실외 팬(3)을 소정의 회전 속도 Nfo1로 구동시킨다. 이로써, 실내 온도·실외 온도가 검출된다. 그리고, 시각 t3 내지 t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실외 팬(3)을 구동시키면서, 실외 팽창 밸브(4)를 밸브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압축기(1)를 비교적 저속의 회전 속도 Nc2로 구동시킨다. 이로써, 사방 밸브(4)의 고압측·저압측의 차압이 적절하게 조정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한 후, 시각 t4 내지 t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실내기(U1, U2, U3, U4)의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를 행한다(도 5의 S103a). 즉, 제어부(20)는, 시각 t4에 있어서 사방 밸브(5)를 난방 사이클로부터 냉방 사이클로 전환한다. 또한, 시각 t4 내지 t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실외 팽창 밸브(4)를 개방한 상태(도 6의 예에서는 완전 개방)로 하는 한편, 실내 팽창 밸브(12)를 소정 개방도 Ei1로 좁히고, 압축기(1)를 소정의 회전 속도 Nc1로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20)가 실내기(U1, U2, U3, U4)의 실내 팽창 밸브(12)를 소정 개방도 Ei1로 좁힘으로써,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실내 열교환기(10)에 저온 저압의 냉매가 통류하고, 실내 열교환기(10)가 동결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실내 열교환기 온도 센서(14)(도 3 참조)의 검출값이 빙점 하인 상태를 소정 시간, 계속시킨다.
또한,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중(시각 t4 내지 t5), 제어부(20)는, 실외 팬(3)을 소정의 회전 속도 Nfo1로 구동시키는 한편, 각각의 실내 팬(11)을 정지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2)로 외기가 송입된다. 또한,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의 핀(도시하지 않음)의 간극을 통해, 자연 대류로 공기가 흐른다. 이로써, 공조실이 과도하게 차가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중, 제어부(20)가 실내 팬(11)을 저속으로 구동시켜도 된다.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킨 후, 시각 t5 내지 t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의 전준비로서, 압축기(1)를 비교적 저속의 회전 속도 Nc2로 구동시킨다. 이로써, 사방 밸브(5)의 고압측·저압측의 차압이 적절하게 조정된다. 덧붙여 말하면, 사방 밸브(5)의 고압측·저압측의 차압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동의 전준비로서 제어부(20)가 압축기(1)를 감속시키지만, 상기한 차압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제어부(20)가 압축기(1)를 증속시킨다. 또한, 제어부(20)는, 실내 팽창 밸브(12)의 개방도를 동결 시의 소정 개방도 Ei1로 유지한다.
그리고,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도 5의 S103b)을 행할 때, 제어부(20)는, 사방 밸브(5)를 냉방 사이클로부터 난방 사이클로 전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방 밸브(5)의 고압측·저압측의 차압이 적절하게 조정되기 때문에, 압축기(1)의 구동을 계속하면서, 사방 밸브(5)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후, 제어부(20)가 압축기(1)를 일단 정지시켜, 사방 밸브(5)를 냉방 사이클로부터 난방 사이클로 전환한 후, 실내 열교환기(10)를 해동하도록 해도 된다.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 중(시각 t6 내지 t7), 제어부(20)는, 실외 팽창 밸브(4)를 소정 개방도 Eo1로 좁히는 한편, 각각의 실내 팽창 밸브(12)를 개방한다(도 6의 예에서는, 완전 개방으로 함). 이로써, 실내 열교환기(10)가 응축기로서 기능하여, 실내 열교환기(10)의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고온의 냉매가 통류한다.
또한, 제어부(20)는,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 중(시각 t6 내지 t7), 실외 팬(3)을 소정의 회전 속도 Nfo2로 구동시키는 한편, 각각의 실내 팬(11)을 정지 상태로 유지한다. 이로써,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에 수반하는 냉기가 실내기(U1, U2, U3, U4)로부터 공조실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 중, 제어부(20)가, 실내 팬(11)을 저속으로 구동시켜도 된다.
그리고,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 후, 시각 t7부터 소정 시간, 제어부(20)는, 실내 열교환기(10)를 건조시킨다(도 5의 S103c). 도 6의 예에서는, 제어부(20)는, 각각의 실내 팬(11)을 포함하는 각 기기를 정지시키고 있다. 이러한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20)가,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의 종료 시(시각 t7)부터 소정 시간, 리모컨(15)의 조작에 기초하는 공조 운전을 금지시켜도 된다. 이로써, 실내기(U1, U2, U3, U4)로부터 공조실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실내 열교환기(10)를 자연 대류로 건조시킬 수 있다.
<효과>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부(20)는, 복수대의 실내기(U1, U2, U3, U4) 중 소정의 실내기(U1)가,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를 개시할 때까지,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는,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을 개시하지 않는다. 이로써, 실내기마다 개별로 세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비해, 압축기(1)의 구동 빈도를 저감시키고, 나아가서는, 공기 조화기(100)의 소비 전력량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대의 실내기(U1, U2, U3, U4)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이 일괄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이 동결에 수반하여, 가스 냉매가 통류하는 배관의 공용 부분이 차가워지는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U1, U2, U3, U4)에 있어서의 단위 용량당의 소비 전력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10)의 세정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한 공기 조화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실내기마다 개별로 세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비해, 소정 기간 중에 세정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합계값)을 단축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실내기(U2)에 있어서의 세정 처리가, 다른 실내기(U1, U3, U4)의 공조 운전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에게 있어서의 쾌적성·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을 포함하는 세정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기간 중, 그 실내기는, 리모컨(15)의 조작에 기초하는 공조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대표의 실내기(U1)나 다른 실내기(U2, U3, U4)에 대하여, 세정 처리의 설정이 유효한지 여부 외에, 세정 처리의 시간대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 여부를 제어부(20)가 판정하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기타(공기 조화기(100)의 구성 등: 도 1 내지 도 3 참조)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 도 7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적절하게 도 1, 도 3을 참조).
또한, 도 7a의 스텝 S201, S202의 처리는, 이 순서로, 도 4의 스텝 S101, S10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대표의 실내기(U1)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S202: 예),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02에 있어서 대표의 실내기(U1)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202: 아니오), 제어부(20)의 처리는 「개시」로 되돌아간다(도 7b의 「복귀」).
스텝 S20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대표의 실내기(U1)의 세정 처리의 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세정 처리의 설정의 유효/무효는, 예를 들어 관리자(유저)에 의한 집중 관리 기기(16)(도 3 참조)의 조작으로 전환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대표의 실내기(U1)의 세정 처리의 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 경우(S203: 예),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04로 진행한다. 한편, 대표의 실내기(U1)의 세정 처리의 설정이 무효로 되어 있는 경우(S203: 아니오), 제어부(20)의 처리는 「개시」로 되돌아간다(도 7b의 「복귀」).
스텝 S20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대표의 실내기(U1)에 대하여, 세정 처리의 시간대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세정 처리가 행해지는 시간대 외에, 그 요일이나 일자 등이, 관리자(유저)에 의한 집중 관리 기기(16)(도 3 참조)의 조작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텝 S204에 있어서, 대표의 실내기(U1)에 대하여, 세정 처리의 시간대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경우(S204: 예),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05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일요일 18시부터 23시의 시간대 중에서 세정 처리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은 경우에 있어서, 현시점이 일요일 19시일 때에는, 세정 처리의 시간대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다(S204: 예). 한편, 대표의 실내기(U1)에 대하여, 세정 처리의 시간대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경우(S204: 아니오), 제어부(20)의 처리는 「개시」로 되돌아간다(도 7b의 「복귀」).
스텝 S20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세정 처리의 실행을 결정한다. 또한, 세정 처리가 실제로 행해지는 것은(도 7b의 S213), 나머지의 실내기(U2, U3, U4)에 대하여, 도 7b의 스텝 S206 내지 S212의 처리가 행해진 후이다.
도 7b의 스텝 S20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n=2로 한다. 이 값 n은, 실내기(U2, U3, U4)의 어느 것을 실내기(Un)로서 지정할 때에 사용되는 값이고, 적절하게 인크리먼트된다(S212).
스텝 S207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다른 실내기(Un)의 세정 처리의 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n=2의 경우에는, 스텝 S207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실내기(U2)의 세정 처리의 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다른 실내기(Un)의 세정 처리의 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 경우(S207: 예),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08로 진행한다.
이어서, 스텝 S208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다른 실내기(Un)에서 세정 처리의 시간대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8에 있어서, 다른 실내기(Un)에서 세정 처리의 시간대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경우(S208: 예),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09로 진행한다.
스텝 S209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다른 실내기(Un)(예를 들어, 실내기(U2))를 세정 처리의 대상에 포함한다.
한편, 다른 실내기(Un)의 세정 처리의 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S207: 아니오), 또는 다른 실내기(Un)에 대하여 시간대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경우(S208: 아니오),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10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다른 실내기(Un)를 세정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예를 들어, 실내기(U4)의 세정 처리의 설정이 무효로 되어 있는 경우(S207: 아니오), 제어부(20)는, 이 실내기(U4)를 세정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다른 실내기(U2, U3, U4) 중, 세정 처리(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등의 처리)의 설정이 무효로 되어 있는 실내기, 또는 세정 처리를 행하는 요일, 일자 및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실내기를 세정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그리고, 스텝 S209 또는 S210의 처리를 행한 후,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11로 진행한다.
스텝 S21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값 n이 값 N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값 N은, 실내기(U1, U2, U3, U4)의 전체 대수(제2 실시 형태에서는 4대)이고, 제어부(20)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스텝 S211에 있어서 값 n이 값 N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S211: 아니오),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12로 진행한다.
스텝 S21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값 n을 인크리먼트한다. 그리고, 값 n을 인크리먼트한 후,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07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제어부(20)는, 실내기(U2, U3, U4)에 대하여, 세정 처리의 가부를 순차적으로 판정한다.
또한, 스텝 S211에 있어서 값 n이 값 N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S211: 예), 제어부(20)의 처리는 스텝 S2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1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대표의 실내기(U1)와 함께, 다른 실내기(예를 들어, 실내기(U2, U3))에서도 세정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20)는, 대표의 실내기(U1)의 세정 처리의 시간대와, 다른 실내기(U2, U3)의 세정 처리의 시간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세정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세정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된 실내기(예를 들어, 실내기(U4))에 대해서는, 제어부(20)는, 금회의 세정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세정 처리의 타임차트이다.
또한, 도 8은, 세정 처리의 대상에 포함되는 실내기(U1, U2, U3)의 각 기기와, 세정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된 실내기(U4)의 각 기기를 나누어 기재하고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의 도 6과는 다르지만, 그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도 6과 마찬가지이다. 이하에는 주로, 세정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된 실내기(U4)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이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실내기(U1, U2, U3)의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 중(시각 t4 내지 t5),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20)는, 복수대의 실내기(U1, U2, U3, U4) 중, 처리(동결)의 대상인 실내기(U1, U2, U3)의 실내 열교환기(10)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는 한편, 처리(동결)의 대상 외인 실내기(U4)의 실내 팽창 밸브(12)를 폐쇄한다. 이로써, 실내기(U4)에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상기한 처리 후(동결 후), 복수대의 실내기(U1, U2, U3, U4) 중, 처리(동결)의 대상인 실내기(U1, U2, U3)의 실내 열교환기(10)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키는 한편, 처리(동결)의 대상 외인 실내기(U4)의 실내 팽창 밸브(12)를 개방한다(시각 t6 내지 t7의 「해동」). 이로써, 실내기(U1, U2, U3)의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10)의 서리가 녹아, 실내 열교환기(10)가 씻겨 내려간다. 또한, 세정 처리가 대상 외인 실내기(U4)의 실내 팽창 밸브(12)를 개방함으로써, 이 실내기(U4)의 실내 열교환기(10)에 냉매가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효과>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대표의 실내기(U1)나 다른 실내기(U2, U3, U4)의 각각에 대하여, 세정 처리의 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지 여부 외에, 세정 처리의 시간대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로써, 세정 처리에 관한 유저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100)에 대하여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대신에, 실내 열교환기(10)를 결로시켜도 된다. 이렇게 실내 열교환기(10)를 결로시키는 경우, 제어부(20)는, 실내 열교환기(10)의 온도가, 외기의 노점 이하이고, 또한 소정의 동결 온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실내 팽창 밸브(12)의 개방도 등을 조정하여, 그 상태를 소정 시간 계속시킨다. 상기한 「동결 온도」란, 실내 열교환기(10)의 온도를 서서히 저하시킨 때,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실내 열교환기(10)에서 동결하기 시작하는 온도이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경우보다도, 「결로」의 쪽이 실내 팽창 밸브(12)의 개방도가 큰 점 이외는, 「동결」인 경우의 제어 내용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후, 제어부(20)가 실내 열교환기(10)를 응축기로서 기능시켜, 실내 열교환기(10)를 해동시키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 후, 제어부(20)가 실내 팽창 밸브(12)의 개방도를 동결 시보다도 크게 하도록(예를 들어, 완전 개방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실외 열교환기(2)로부터 실내 팽창 밸브(12)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10)로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어, 실내 열교환기(10)가 해동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대표의 실내기(U1)에 있어서, 전회의 세정 처리의 종료 시부터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경우(도 4의 S102), 세정 처리가 실행되는(S103) 것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공조 운전 시간을 적산할 때의 기산점이 실내기(U1) 등의 동결의 종료 시여도 된다. 즉, 대표의 실내기(U1)의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0)가, 대표의 실내기(U1)와 함께,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도 상기한 처리(동결)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대표의 실내기(U1)의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실내 팬(11)(실내기(U1)의 실내 팬(11))의 구동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경우, 대표의 실내기(U1)와 함께,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도 상기한 처리(동결)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라도, 제어부(20)가, 실내 팬(11)을 적절하게 구동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공조 운전 시간과 실내 팬(11)의 구동 시간이 다른 경우도 있다.
또한, 대표의 실내기(U1)에 있어서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 또는 실내 팬(11)의 구동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리모컨(15)의 조작으로 다른 실내기(U2, U3, U4)로의 처리(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의 개시 명령이 있었을 때, 제어부(20)가, 이 개시 명령을 접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관리자 이외의 유저에 의한 개개의 리모컨(15)의 조작으로, 세정 처리가 불필요하게 빈번히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100)의 소비 전력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대표의 실내기(U1)의 대수가 1대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대표의 실내기(소정의 실내기)의 대수가 2대 이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2대 이상인 대표의 실내기에 대하여,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의 합을 취한 값(혹은, 당해 합을 대표의 실내기의 대수로 평균한 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0)가, 2대 이상인 대표의 실내기와 함께, 다른 실내기에서도,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2대 이상인 대표의 실내기에 대하여,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실내 팬(11)의 구동 시간의 적산값의 합을 취한 값(혹은, 당해 합을 대표의 실내기의 대수로 평균한 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0)가, 2대 이상인 대표의 실내기와 함께, 다른 실내기라도,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제어부(20)는, 2대 이상인 대표의 실내기의 평균적인 공조 운전 시간 등에 기초하여, 세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U1 내지 U4) 모두가 대표의 실내기로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공조 운전 시간이나 실내 팬(11)의 구동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부(20)가, 세정 처리를 적절한 빈도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모컨(15)의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대표의 실내기(U1)가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즉, 복수대의 실내기(U1, U2, U3, U4)에는, 배선(m4)(도 2 참조)을 통해 대표의 리모컨(15)(소정의 리모컨)에 접속되어 있는 대표의 실내기(U1)(소정의 실내기)와, 별도의 배선(m4)(도 2 참조)을 통해 다른 리모컨(15)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실내기(U2, U3, U4)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대표의 리모컨(15)은,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집중 관리 기기(16)의 조작에 기초하여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관리자는, 각각의 리모컨(15)의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대표의 실내기(U1)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표의 리모컨(15)에 복수대의 실내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복수대의 실내기에는, 배선(m4)을 통해 대표의 리모컨(15)(소정의 리모컨)에 접속되어 있는 2대 이상의 실내기와, 별도의 배선(m4)을 통해 다른 리모컨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실내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대표의 실내기(소정의 실내기)는, 대표의 리모컨(15)에 배선(m4)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2대 이상의 실내기에 포함되는 소정의 1대의 실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관리자는, 하나의 리모컨(15)에 복수대의 실내기가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특정한 실내기를 대표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 중, 리모컨(15) 또는 집중 관리 기기(16)의 조작으로 대표의 실내기(U1)(소정의 실내기)로의 공조 운전의 명령이 있은 경우, 제어부(20)가, 대표의 실내기(U1) 및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의 처리(동결)를 중지하고, 대표의 실내기(U1)에서 공조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대표의 실내기(U1)에서 공조 운전을 행하고 싶다는 유저의 의도를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0)를 동결시키는 처리 중, 리모컨(15) 또는 집중 관리 기기(16)의 조작으로 다른 실내기(U2, U3, U4) 중 적어도 1대에 공조 운전의 명령이 있은 경우, 제어부(20)가, 대표의 실내기(U1)(소정의 실내기) 및 다른 실내기(U2, U3, U4)에서의 처리(동결)를 중지하고, 적어도 1대의 다른 실내기에서 공조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기타의 실내기(U2)에서 공조 운전을 행하고 싶다는 유저의 의도를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10)의 동결·해동·건조가 세정 처리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도 5 참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건조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적절하게 생략되어도 된다. 실내기에 있어서의 공기의 자연 대류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10)의 해동 또는 건조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또한, 실내기(U1 내지 U4)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4방향 카세트형, 천장 매립형, 상치형, 벽걸이형 등의 복수 종류 중, 어느 1종류가 사용되어도 되고, 또한 복수 종류의 실내기가 혼재되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Uo)(도 1 참조)가 실외 팽창 밸브(4)나 사방 밸브(5)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냉방 전용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외 팽창 밸브(4)나 사방 밸브(5)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4대의 실내기(U1, U2, U3, U4)(도 1 참조)가 마련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1계통에 있어서 병렬 접속되는 실내기의 대수는, 2대나 3대여도 되고, 또한 5대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기(100)(도 1 참조)가 1대인 실외기(Uo)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1계통에서 복수대의 실외기가 병렬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는, 빌딩용 멀티 에어컨(VRF: Variable Refrigerant Flow)이나 패키지 에어콘(PAC: Packaged Air Conditioner)과 같은 여러 종류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0)의 처리(도 4, 도 5, 도 7a, 도 7b 참조)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통신 회선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입하여 배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기재한 것이고,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기구나 구성은 설명상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제품상 반드시 모든 기구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1: 압축기
2: 실외 열교환기
3: 실외 팬
4: 실외 팽창 밸브
5: 사방 밸브
10: 실내 열교환기
11: 실내 팬
12: 실내 팽창 밸브
15: 리모컨
16: 집중 관리 기기
20: 제어부
100: 공기 조화기
J1, J2, J3, J4, J5, J6, J7, J8, J9, J10, J11, J12, J13, J14: 배관
m4: 배선
Q: 냉매 회로
Uo: 실외기
U1: 실내기(소정의 실내기)
U2, U3, U4: 실내기(다른 실내기)

Claims (9)

  1.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갖는 실외기와,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대의 실내기가 배관을 통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함과 함께,
    적어도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되면, 복수대의 상기 실내기에 포함되는 소정의 실내기와, 다른 실내기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동결 또는 결로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시간대의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소정의 실내기 및 상기 다른 실내기에서 상기 처리를 자동으로 개시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적어도, 상기 소정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상기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 또는 상기 소정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상기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실내 팬의 구동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하는 것이고,
    상기 소정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상기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 상기 소정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소정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상기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상기 실내 팬의 구동 시간의 적산값이 상기 소정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다른 실내기는 상기 처리를 자동으로 개시하지 않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상기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 또는 상기 실내 팬의 구동 시간의 적산값이 상기 소정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리모컨의 조작으로 다른 실내기로의 상기 처리의 개시 명령이 있던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시 명령을 접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실내기의 대수는 2대 이상이고,
    2대 이상인 상기 소정의 실내기에 대하여, 상기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공조 운전 시간의 적산값의 합을 취한 값, 혹은 당해 합을 상기 소정의 실내기의 대수로 평균한 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경우,
    또는,
    2대 이상인 상기 소정의 실내기에 대하여, 상기 처리의 전회 종료 시부터의 상기 실내 팬의 구동 시간의 적산값의 합을 취한 값, 혹은 당해 합을 상기 소정의 실내기의 대수로 평균한 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2대 이상인 상기 소정의 실내기와 함께, 다른 실내기에서도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대의 상기 실내기에는, 배선을 통해 소정의 리모컨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실내기와, 별도의 배선을 통해 다른 리모컨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실내기가 포함되고,
    상기 소정의 리모컨은,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집중 관리 기기의 조작에 기초하여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대의 상기 실내기에는, 배선을 통해 소정의 리모컨에 접속되어 있는 2대 이상의 실내기와, 별도의 배선을 통해 다른 리모컨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실내기가 포함되고,
    상기 소정의 실내기는, 상기 소정의 리모컨에 배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2대 이상의 상기 실내기에 포함되는 소정의 1대의 실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실내기 중, 상기 처리의 설정이 무효로 되어 있는 실내기, 또는 상기 처리를 행하는 요일, 일자 및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실내기를 상기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대의 상기 실내기는, 각각 실내 팽창 밸브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중, 복수대의 상기 실내기 중, 상기 처리의 대상인 상기 실내기의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는 한편, 상기 처리의 대상 외인 상기 실내기의 상기 실내 팽창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처리 후, 복수대의 상기 실내기 중, 상기 처리의 대상인 상기 실내기의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키는 한편, 상기 처리의 대상 외인 상기 실내기의 상기 실내 팽창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중, 리모컨 또는 집중 관리 기기의 조작으로 상기 소정의 실내기로의 공조 운전의 명령이 있은 경우, 상기 소정의 실내기 및 상기 다른 실내기에서의 상기 처리를 중지하고, 상기 소정의 실내기에서 공조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중, 리모컨 또는 집중 관리 기기의 조작으로 상기 다른 실내기 중 적어도 1대에 공조 운전의 명령이 있은 경우,
    상기 소정의 실내기 및 상기 다른 실내기에서의 상기 처리를 중지하고, 적어도 1대의 상기 다른 실내기에서 공조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217007972A 2020-03-05 2020-03-05 공기 조화기 KR102450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09328 WO2021176637A1 (ja) 2020-03-05 2020-03-05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152A true KR20210113152A (ko) 2021-09-15
KR102450678B1 KR102450678B1 (ko) 2022-10-06

Family

ID=7321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972A KR102450678B1 (ko) 2020-03-05 2020-03-05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116635A4 (ko)
JP (1) JP6786019B1 (ko)
KR (1) KR102450678B1 (ko)
CN (1) CN113614459A (ko)
TW (1) TWI780478B (ko)
WO (1) WO2021176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3750B2 (ja) * 2021-03-12 2022-12-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227509B2 (ja) * 2021-03-12 2023-02-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477475B2 (ja) * 2021-03-12 2024-05-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4216215B (zh) * 2021-11-19 2023-04-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水系统的防冻控制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14216203B (zh) * 2021-12-16 2022-10-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联机空调的自清洁控制方法、多联机空调
JP2024024350A (ja) * 2022-08-09 2024-02-22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調機及び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867A (ja) * 2011-03-30 2012-10-25 Hitachi Appliances Inc 空調管理システム
JP2016138666A (ja) * 2015-01-26 2016-08-04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
JP6296633B1 (ja) 2017-04-28 2018-03-20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8189365A (ja) * 2017-04-28 2018-11-29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9215149A (ja) * 2019-03-26 2019-12-19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8659A (ja) * 2003-09-26 2005-04-14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設備及び空気調和設備の制御方法
TWM305885U (en) * 2006-08-25 2007-02-01 Wen-Yau Lin Improved cooling control device for spilt type air-conditioner
TWI592617B (zh) * 2016-12-08 2017-07-21 Matsushita Electric (Taiwan) Co Ltd One to many air-conditioned room where each room air-conditioning power consumption meter Calculation method and one to many air conditioning system
CN106969469B (zh) * 2017-04-07 2019-11-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系统及空调器
JP6276450B1 (ja) * 2017-04-28 2018-02-07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517877B2 (ja) * 2017-05-26 2019-05-22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360593B1 (ja) * 2017-05-26 2018-07-18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7642866B (zh) * 2017-08-28 2020-04-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自清洁的控制方法及装置
CN108361931B (zh) * 2018-02-26 2020-05-0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多联机自清洁方法及多联机空调系统
EP3795913A4 (en) * 2018-05-14 2021-12-29 Hitachi-Johnson Controls Air Conditioning, Inc. Air conditioner
CN109882992A (zh) * 2019-03-08 2019-06-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滤网清洁控制方法、空调器及可读存储介质
CN110230857B (zh) * 2019-06-10 2020-12-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拖多空调器及其自清洁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867A (ja) * 2011-03-30 2012-10-25 Hitachi Appliances Inc 空調管理システム
JP2016138666A (ja) * 2015-01-26 2016-08-04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
JP6296633B1 (ja) 2017-04-28 2018-03-20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8189365A (ja) * 2017-04-28 2018-11-29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9215149A (ja) * 2019-03-26 2019-12-19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678B1 (ko) 2022-10-06
CN113614459A (zh) 2021-11-05
JPWO2021176637A1 (ko) 2021-09-10
WO2021176637A1 (ja) 2021-09-10
TW202134572A (zh) 2021-09-16
TWI780478B (zh) 2022-10-11
EP4116635A4 (en) 2023-12-06
JP6786019B1 (ja) 2020-11-18
EP4116635A1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678B1 (ko) 공기 조화기
EP2378215B1 (en) Air conditioner
EP2677251B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control method
EP3667203B1 (en) Refrigeration device
JPH09119736A (ja) 多室型冷暖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20399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상운전방법
KR101045451B1 (ko) 멀티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7198918B2 (ja) 空気調和機
US11397035B2 (en) Controller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outdoor unit, relay unit, heat source unit,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4409316B2 (ja) 冷却装置
WO2021192074A1 (ja) 空気調和機
JPH04131668A (ja) 空気調和装置の除霜運転制御装置
JPH02223757A (ja) 空気調和機
WO2020202246A1 (ja) 空気調和機
EP4116634A1 (en) Air conditioner
JP2004271123A (ja) 熱交換器温度制御装置
JP2005049064A (ja) 空調冷凍装置
CN115435450A (zh) 空调设备
JP2874063B2 (ja) 多室型空気調和機
CN115574378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200427112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50105737A (ko)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21377B2 (ja) 冷凍装置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