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940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940A
KR20210112940A KR1020200028629A KR20200028629A KR20210112940A KR 20210112940 A KR20210112940 A KR 20210112940A KR 1020200028629 A KR1020200028629 A KR 1020200028629A KR 20200028629 A KR20200028629 A KR 20200028629A KR 20210112940 A KR20210112940 A KR 20210112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ow
stern
ic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625B1 (ko
Inventor
박경덕
고동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6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5/083Ice-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화물을 적재하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전달하는 운반선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전후로 동일한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선수부; 상기 중앙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미부; 상기 선수부 또는 선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쇄빙 기능을 구현하는 숄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석이나 원유, 컨테이너 등을 싣고 항해하는 운반선으로서의 선박은, 선박의 선미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펠러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프로펠러의 후방에는 러더(Rudder) 또는 포드(Pod)가 부착될 수 있으며, 러더/포드의 조정으로 유체의 흐름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항해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박은 수선면에 부유하여 항해하기 때문에, 해수에 의한 마찰저항과 함께 파도 등에 의한 조파저항을 받게 된다. 이때 조파저항 등은 선수 선형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데, 항해 중 파랑에 의해 전체저항에 있어 선박의 조파저항 영향력은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이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조파 저항을 감쇄시키거나, 추진 장치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등 운항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화물 적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운반선은, 항로가 다변화되고 있어 극지방의 운항도 이루어지는데, 운반선은 일반적으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운항 효율 등을 위한 구조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극지방 운항을 위한 구조개선 역시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박이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운항 효율에 나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얼음이 있는 극지방을 운항 시 자체적으로 쇄빙 및 선회 기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화물을 적재하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전달하는 운반선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전후로 동일한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선수부; 상기 중앙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미부; 상기 선수부 또는 선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쇄빙 기능을 구현하는 숄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중앙부의 폭을 넘지 않는 범위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중앙부의 측면과 나란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연속되고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선미 또는 선수 측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상기 제2 돌출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1회 절곡 또는 휘어지는 지점을 갖고, 상기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점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상기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하단으로부터 상기 지점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선수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박을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13 내지 18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선미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박을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2 내지 7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해수 위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항주 시 하단점을 잇는 하단선은 얼음에 먼저 맞닿는 지점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선저에 대비하여 더 이격되어 곡선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박 외측에 숄더부가 마련되면서도 접안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자체적으로 쇄빙 및 선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선박의 운항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A인 돌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 정면 일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 정면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와 얼음이 위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선수 방향으로 운항 시 쇄빙 기능의 차이와 선수 방향으로 선회 시 쇄빙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선박 대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다른 형태의 숄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저면과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정면에서 얼음이 위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쇄빙 기능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종래의 선박 대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다른 형태의 숄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되는 종래의 선박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쇄빙선과 달리 화물을 적재하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전달하는 운반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항 효율을 위해 선수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될 수 있고, 중앙부(111), 선수부(112), 선미부(113), 숄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8을 참조하면, 중앙부(111)는, 선박(100)의 중심영역에 마련되고, 좌우현 방향으로 수직의 절단면에 대하여 단면적이 변화는 선수부(112) 및 선미부(113)와 달리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전후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부(111)는 좌우현 방향에 대한 수직 절단면이 대략적으로 사각형(선저의 좌우 각 모서리 부분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방의 단면적 및 형태가 동일/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중앙부(111)는 상부에 선박(100)의 운항에 필요한 각종 설비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중앙부(111)에 대한 설명은, 선미부(113) 및/또는 선수부(112)에 마련되는 숄더부(13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구분한 것이고, 중앙부(111)는 선미부(113), 선수부(112)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선박(100)을 이루는 것이므로, 상기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수부(112)는, 선박(100)의 선수 영역을 이루어 중앙부(111)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선수부(112)는, 중앙부(111)와 달리 중앙부(111)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선수의 단을 향해 점차 좌우 폭(단면적)이 감소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선박(100)의 항해 시 전방에 위치한 선수부(112)에서 해수에 의한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며,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선수부(112)는 상갑판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앵커 등 다양한 설비 및 시설 등이 배치될 수 있고, 하측 내부에는 카고 홀드(Cargo hold) 및 보선 스토어(bosun store; 도시하지 않음) 등의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선미부(113)는, 선박(100)의 선미 영역을 이루어 중앙부(111)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선미부(113)는 또한 단면적이 변화할 수 있으나, 선수부(112)와 달리 추진 장치(도시하지 않음)등의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추진 장치는, 프로펠러와 러더를 장착하는 방식과 포드 추진기(프로펠러와 포드)를 배치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포드 추진기를 배치하는 방식은, 러더를 배치하는 방식에 비하여 선박의 최소 회전반경이 작아 선박의 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포드 추진기가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불어 선미부(113)는 내부에 카고홀드 및 엔진룸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숄더부(130)는, 선수부(112) 및/또는 선미부(113)에 마련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박(100)의 운항 시 별도의 쇄빙선이 운항되지 않고 자체적으로 쇄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숄더부(130)는, 선수부(112)에 마련될 수 있고, 선박(100)을 선수로부터 선미까지를 20개의 섹션으로 등분(균등분할 할 수 있음)할 때 섹션 13 내지 18에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섹션 14 내지 17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중앙부(111)와 달리 형상이 변경되는 영역으로서 선수부(112)와 같이 폭이 좁아지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숄더부(130)는, 선미부(113)에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때 선박(100)을 선수로부터 선미까지를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2 내지 7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섹션 3 내지 5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숄더부(130)는 선수부(112)와 선미부(113)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숄더부(130)는, 중앙부(111) 대비 폭이 작게 이루어지는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 마련되되, 중앙부(111)의 폭을 넘지 않는 범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숄더부(130)는 쇄빙의 기능을 이루기 위해 선박(100)의 외측에 마련되더라도 운반선으로서의 기능을 이루어 항구/암벽 등에 정박 시 숄더부(130)에 의한 암벽 접근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원활한 접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숄더부(130)는, 해수 상에 위치되는 얼음을 쇄빙하도록,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적어도 일부가 해수 위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얼음(I)이 형성되는 영역에 맞닿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숄더부(130)는,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1), 제2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는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이 상이하여 절곡/휘어지는 지점을 가질 수 있으나 돌출되는 정도가 다를 뿐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숄더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전후방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이 다른 경계선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다.
다만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숄더부(130)가 하나 이상으로 분리될 수도 있어,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가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숄더부(130)의 제1 돌출부(131)는,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111)의 측면과 나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131)가 마련되는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는 중앙부(111) 대비 폭이 감소되는데, 이때 제1 돌출부(131)는 중앙부(111)와 측면이 나란하도록 형성되면서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의 폭에 대비하여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서 얼음과 충돌 시 숄더부(130)가 얼음을 쇄빙하여, 선박(100)에서 폭이 가장 크게 이루어지는 중앙부(111)가 얼음으로 인한 운항 저항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숄더부(130)의 제2 돌출부(132)는 제1 돌출부(131)와 연속되고 제1 돌출부(131)에서 선미(선미부(113)에 마련되는 경우) 또는 선수(선수부(112)에 마련되는 경우)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돌출부(132)는 제1 돌출부(131)보다 먼저 얼음과 충돌하여 쇄빙 기능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1b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131)에서 제2 돌출부(132)에 인접할수록 선수부(112)(또는 선미부(113))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제2 돌출부(132)에서 제1 돌출부(131)에 인접할수록 선수부(112)(또는 선미부(113))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돌출부(131)가 경계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얼음과 먼저 맞닿는 제2 돌출부(132)가 경계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00)의 항해 과정에서 선수부(112)가 얼음과 충돌 시 얼음이 충분히 깨지지 않으면 선박(100)이 얼음을 타고 얼음의 상부에 선수부(112)가 위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숄더부(130)가 중앙부(111)의 전방인 선수부(112)에서 중앙부(111)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쇄빙 기능을 이룰 수 있으므로, 선수부(112)가 얼음 위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6의 (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선박은 선수부(112) 및 선미부(113)의 숄더부(130) 근방에서 쇄빙 능력이 부족하여 좁은 쇄빙 채널(Narrow icebreaking channel)이 생성되어 빙저항이 큰 상태로 이루어지므로 운항이 어려울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도 6 (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넓은 쇄빙 채널(Wide icebreaking channel) 생성과 함께 아이스(ICE) 쇄빙성능이 향상되어, 빙저항이 감소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선박이 선회할 경우 얼음과 닿는 선수부(112) 및 선미부(113)의 숄더부(130)에서 쇄빙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아이스 선회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도 5의 (c)참조).
다만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의 돌출되는 비율은 상기 실시예와 다른 변형예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 돌출되는 비율이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가 서로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어,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포드가 마련되는 선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의 돌출되는 정도가 완만한 곡선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의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와 같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정도의 차이가 마련되면서도 아래와 같이 상하 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되는 정도의 차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선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전후 방향에서 위치에 따라 증가율이 다를 수 있고, 상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에 따라 증가율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쇄빙기능의 향상을 위해 입체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선박(100)은(도 1 및 도 8의 실시예에 모두 적용되는 기술일 수 있음, 이때 도 1은 러더가 마련되는 선박일 수 있고, 도 8은 포드가 마련되는 선박일 수 있음),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에 대비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영역 중 일부를 복수의 절단면 형태로 도시한 것이며, 숄더부(130)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숄더부(130)는, 앞서 설명한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완만한 곡선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
구체적으로 숄더부(130)는, 상하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1회 절곡 또는 휘어지는 지점(이하에서 '경계점'으로 명칭 함)을 갖고, 경계점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단으로부터 경계점에 인접할수록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경계점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하단으로부터 경계점에 인접할수록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을 수 있다. 이때 경계점을 기준으로 상부의 길이가 하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얼음과 맞닿지 않는 상부는 쇄빙각을 작게 형성하지 않고, 얼음과 맞닿는 하부에 대하여 쇄빙각이 작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쇄빙각은 얼음과 맞닿는 선체 표면의 기울어짐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선체의 단면 형상이 U 타입이면 쇄빙각이 크고 얼음을 눌러 깨기 어려운 선체 형상인 반면 선체의 단면 형상이 V 타입이면 쇄빙각이 작아 쇄빙하기에 유리한 선체 형상을 갖게 된다.
하지만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선박이 항주할 경우에는 V 타입에 비해 U 타입의 선체 형상이 유체 저항을 감소시켜 OW 성능(Open water 운항 성능)을 향상시킨다. 즉 OW 기능이 유리한 U 타입 선박(100)이 얼음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쇄빙각이 커 아이스(ICE) 쇄빙 성능에 불리하면서 아이스 선회성능 또한 불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도 6의 a 참조, 빙저항이 큰 상태), 얼음과 접촉하는 숄더부(130)의 하부가 상부에 대비하여 쇄빙각이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아이스 쇄빙성능 및 선회능력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것이다(도 6 b 참조, 빙저항이 감소된 상태).
이러한 숄더부(130)는 전체가 해수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이때 경계점을 기준으로 하부는 일부가 해수에 잠기고 일부는 노출되어 경계점 영역을 기준으로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OW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숄더부(130)의 하부가 얼음에 맞닿아 아이스 쇄빙 성능이 최적화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경계점은 서로 연결 시 수선면과 수평선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얼음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얼음에 맞닿는 하단이 경계점을 기준으로 하부의 상단이 동일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숄더부(130)의 하단점을 연결하는 하단선(130A)은 얼음에 먼저 맞닿는 지점으로 갈수록(선수부(112)에서는 선수로 갈수록, 선미부(113)에서는 선미로 갈수록) 선저에 대비하여 더 이격되어 곡선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숄더부(130)는 하부에서 해수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숄더부(130)는 OW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쇄빙의 기능이 최적화되도록,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서 부분 변형된 형태를 이루며, 중앙부(111)에 인접하는 변형율과 선수부(112)/선미부(113)에 인접하는 변형율 및/또는 상하 방향에 대한 변형율이 선박의 운항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쇄빙 기능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다.
즉 선박(100)의 OW 성능이 유리하기 위해서는, V 타입이 아닌 U 타입의 선수부(112)로 이루어져 부드러운 곡면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여(U 타입의 쇄빙 기능은 V 타입에 대비 저하됨), 본 실시예는 선수부(112)가 U 타입이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얼음이 닿는 영역에 국한하여 쇄빙 기능이 최적화되는 구조를 이루는 숄더부(130)가 마련되도록 개선된 것이며, 이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의 돌출 정도 증가비율 차이와 경계점을 기준으로 상하부의 변형(쇄빙각 차이)로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선박(100)은,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OW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되면서도, 예를 들어 일정 선속(5knots)에서 11% 내외로 선수부(112)의 아이스(ICE) 저항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설명되지 않은 도 1, 8의 A는 선수부(112)에 마련되는 숄더부(130)가 마련되는 영역 중 일부이고, B는 선미부(113)에 마련되는 숄더부(130)가 마련되는 영역 중 일부를 표시한 것이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숄더부(130)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선수부(112), 선미부(113) 중 어느 하나 또는 선수부(112)와 선미부(113) 모두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수부(112)에 마련된 숄더부(130)는 선박이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선수 방향으로 운항할 때 도 5의 (b)와 같이 넓은 쇄빙 채널(Wide icebreaking channel)이 생성되어 아이스 쇄빙성능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선수부(112)에 마련된 숄더부(130)는 도 5의 (c)와 같이 선박이 선수 방향으로 선회할 때 선수 근방에서 얼음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Bow shoulder crushing (얼음이 압착되어 잘 깨지지 않는 현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아이스(ICE) 선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선미부(113)에 마련되는 숄더부(130)는 도 5의 (c)와 같이 선박이 선수 방향으로 선회할 때 선미 근방에서 얼음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Stern shoulder crushing 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아이스(ICE)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러더 대신 포드 추진기를 장착하는 선박은,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선미 방향으로 쇄빙 및 선회 운항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선미 방향으로 운항할 때는 선수부(112)에 마련된 숄더부(130)와 선미부(113)에 마련된 숄더부(130)의 역할이 변경될 수도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박(100) 외측에 숄더부(130)가 마련되면서도 접안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자체적으로 쇄빙 및 선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선박(100)의 운항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선박 111: 중앙부
112: 선수부 113: 선미부
130: 숄더부 131: 제1 돌출부
132: 제2 돌출부

Claims (8)

  1. 화물을 적재하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전달하는 운반선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전후로 동일한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선수부;
    상기 중앙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미부; 및
    상기 선수부 또는 선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쇄빙 기능을 구현하는 숄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중앙부의 폭을 넘지 않는 범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중앙부의 측면과 나란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연속되고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선미 또는 선수 측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상기 제2 돌출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1회 절곡 또는 휘어지는 지점을 갖고,
    상기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점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상기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하단으로부터 상기 지점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선수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박을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13 내지 18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선미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박을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2 내지 7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해수 위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항주 시 하단점을 잇는 하단선은 얼음에 먼저 맞닿는 지점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선저에 대비하여 더 이격되어 곡선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200028629A 2020-03-06 2020-03-06 선박 KR10232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29A KR102327625B1 (ko) 2020-03-06 2020-03-06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29A KR102327625B1 (ko) 2020-03-06 2020-03-06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40A true KR20210112940A (ko) 2021-09-15
KR102327625B1 KR102327625B1 (ko) 2021-11-16

Family

ID=7779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629A KR102327625B1 (ko) 2020-03-06 2020-03-06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6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725A (en) * 1978-06-30 1983-01-25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Method and means for increasing the maneuverability of a ship in ice-covered waters
KR20150044545A (ko) * 2013-10-17 2015-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미 쇄빙선의 수납형 보조 쇄빙장치
KR20150044544A (ko) * 2013-10-17 2015-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수 쇄빙선의 수납형 보조 쇄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725A (en) * 1978-06-30 1983-01-25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Method and means for increasing the maneuverability of a ship in ice-covered waters
KR20150044545A (ko) * 2013-10-17 2015-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미 쇄빙선의 수납형 보조 쇄빙장치
KR20150044544A (ko) * 2013-10-17 2015-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수 쇄빙선의 수납형 보조 쇄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625B1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895A (en) Small waterplane area high speed ship
US7578250B2 (en) Watercraft with wave deflecting hull
CN101137536A (zh) 排水型船舶的船艏布置
JP5986856B2 (ja) 商用貨物船
EP0585698B1 (en) High-speed lateral-stability hull construction
KR100531690B1 (ko) 배의 선수형상
CN102145742B (zh) 具有方位角推进装置的船舶结构
US20090308300A1 (en) Watercraft with wave deflecting hull
NO172222B (no) Overflatefartoey av katamarantypen med to sideliggende skrog
KR200406760Y1 (ko) 유빙으로부터 선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JP4009643B2 (ja) 船舶の船首形状
KR102327625B1 (ko) 선박
US9193423B2 (en) Hull configuration for submarines and vessel of the displacement type with multihull structure
EP1545968B1 (en) Vessel provided with a foil situated below the waterline
EP2603420B1 (en) Full form ship's hull with reduced wave making resistance
JP2008149819A (ja) 船舶
KR102438941B1 (ko) 쇄빙선
KR101857876B1 (ko) 쇄빙 기능을 구비한 선박
JP6774087B1 (ja) 海洋浮体構造物の船体
JP2006008091A (ja) 小型高速船の船型
EP1445188B1 (en) Boat hull
RU2378150C2 (ru) Арктическое крупнотоннаж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 и ледостойкий пилон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одводного корпуса судна с его надводной частью
JP2012180021A (ja) 船舶
KR20220059828A (ko) 쇄빙선
EP0800989A1 (en) Hybrid high performance water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