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828A - 쇄빙선 - Google Patents

쇄빙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828A
KR20220059828A KR1020200145471A KR20200145471A KR20220059828A KR 20220059828 A KR20220059828 A KR 20220059828A KR 1020200145471 A KR1020200145471 A KR 1020200145471A KR 20200145471 A KR20200145471 A KR 20200145471A KR 20220059828 A KR20220059828 A KR 2022005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hull
bow
ballast water
ice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우
김진규
이용철
이평국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9828A/ko
Publication of KR2022005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5/083Ice-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쇄빙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빙선은, 내부에 복수 개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마련되는 선체; 선체의 수선(water line)을 기준으로 수선의 아래쪽 전방 영역에 마련되며, 선체가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유도하는 저항 감소형 선수부; 및 수선의 위쪽 전방 영역에서 저항 감소형 선수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선체가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는 스푼(spoon)형 선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쇄빙선{Ice braker}
본 발명은, 쇄빙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는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면서 전진할 수 있어서 통상의 쐐기형 쇄빙선보다 쇄빙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는 일반 선박과 같은 저항성능을 낼 수 있는 쇄빙선에 관한 것이다.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 및 러시아 극지방을 포함하는 빙(氷) 해역은 석유, 천연가스 등의 각종 천연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1970년대 이후 북극 자원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채굴한 자원의 수송과 저장을 위한 배후 거점 도시들이 북극해 연안을 따라 발달하고 있다.
또한, 이들 북극해 연안 지방과 동아시아, 북미, 유럽 등의 중위도 소비지역을 연결하는 항로로서 북극해 항로가 개설되어 있고, 최근에는 북극해 항로가 동아시아와 대서양의 서유럽 국가를 연결하는 최단 항로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1991년 러시아가 북극해 항로를 공식적으로 대외 개방하면서, 북극해 항로는 북유럽과 동아시아 주요 경제지역을 연결할 최단 항로로 거리와 시간 단축을 통한 운항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선박이 아이스(ice) 특히,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깨면서 전진하기 위해서는 선수를 쐐기형으로 만들거나 스푼(spoon, 숟가락) 형태로 만드는 것이 효과적이다. 쐐기형의 선수는 평탄빙을 쪼개는 형태로, 그리고 스푼형은 평탄빔을 파단하는 형태로 작용한다.
특히, 화물 운반을 목적으로 하는 배수량이 큰 상선이라면 연속적으로 얼음을 올라타면서 자체 중량에 의해 얼음을 파단하면서 전진하는 스푼형 선박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의 선박은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 일반 해역에 최적화된 일반 선박보다 높은 저항이 발생하여 연비에 불리하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할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7027894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는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면서 전진할 수 있어서 통상의 쐐기형 쇄빙선보다 쇄빙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는 일반 선박과 같은 저항성능을 낼 수 있는 쇄빙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복수 개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마련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수선(water line)을 기준으로 상기 수선의 아래쪽 전방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가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유도하는 저항 감소형 선수부; 및 상기 수선의 위쪽 전방 영역에서 상기 저항 감소형 선수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가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는 스푼(spoon)형 선수부를 포함하는 쇄빙선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푼형 선수부는, 상기 저항 감소형 선수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바텀부; 상기 바텀부의 상부를 형성하되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텀부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탑부; 및 상기 탑부와 상기 바텀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되 상기 평탄빙을 타격하는 평탄빙 타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 탱크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밸러스트 탱크들로 밸러스트 워터(ballast water)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 및 상기 밸러스트 탱크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밸러스트 탱크들 내의 밸러스트 워터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가 상기 일반 해역 또는 상기 빙 해역을 운항할 때의 운항 조건을 입력하는 운항 조건 입력부; 및 상기 운항 조건 입력부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과 상기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의 동작을 개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체가 상기 빙 해역을 운항할 때, 선수 트림(trim)이 이루어지게 상기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과 상기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의 동작을 개별 컨트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는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면서 전진할 수 있어서 통상의 쐐기형 쇄빙선보다 쇄빙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는 일반 선박과 같은 저항성능을 낼 수 있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빙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펠러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스푼형 선수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쇄빙선이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의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쇄빙선이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의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쇄빙선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빙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로펠러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3은 스푼형 선수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쇄빙선이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의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쇄빙선이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의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쇄빙선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쇄빙선(100)은 도 5처럼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는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면서 전진할 수 있어서 통상의 쐐기형 쇄빙선(미도시)보다 쇄빙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도 4처럼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는 일반 선박(미도시)과 같은 저항성능(또한 연비효율)을 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쇄빙선(100)은 운항 조건에 맞는 하이브리드(hybrid) 타입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쇄빙선(100)은 선체(110)와, 선체(110)의 선수 영역에 마련되는 저항 감소형 선수부(113) 및 스푼(spoon)형 선수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쇄빙선(100)은 상선, 어선, 운반선, 드릴쉽, 쇄빙선 및 특수 작업선 등 어떠한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선체(110)의 갑판 일측에는 거주구(111)가 마련된다. 그리고, 선체(110)의 타측면에는 스러스터(thruster)가 마련될 수 있다. 스러스터가 반드시 마련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러스터가 마련되면 쇄빙선(100)의 정지 또는 항해 시 조정 성능을 향상시키고 쇄빙선(100)의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용이하게 한다.
선체(110)의 후미에는 모터(motor)로 회전하면서 선체(110)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150)가 갖춰진다. 프로펠러(150)는 프로펠러 샤프트(15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선체(110)에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프로펠러(150)의 주변에는 러더 조립체(120)가 마련된다. 러더 조립체(120)는 선체(110)의 후미에서 프로펠러(150)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프로펠러(150)의 동작으로 선체(110)가 운항할 때, 선체(110)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러더 조립체(120)는 러더 본체(130)와 러더 벌브(140, rudder bulb)를 포함할 수 있다.
러더 본체(130)는 선체(110)의 진행 방향을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러더 본체(130)는 러더 샤프트(133)에 러더 혼(131)이 고정되고, 고정된 러더 혼(131)에 대하여 회전 타(132)가 회전되면서 쇄빙선(100)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소위, 혼(horn) 타로 적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혼 타는 구조적으로 안정될 뿐만 아니라 강한 특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수 없으며,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는 일체형 타의 일종인 풀 스페이드 러더(full spade rudder)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러더 본체(130)가 상하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비대칭 구조의 러더에도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일 뿐 도면의 형상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는 없다.
러더 벌브(140)는 프로펠러(150) 후류에서 발생하는 축 방향 손실을 줄여 선체(110)의 추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프로펠러(150)와 러더 본체(130) 사이에서 러더 본체(13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러더 벌브(140)는 프로펠러(150)의 정 중앙에 배치되는 프로펠러 헤드(150a)에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인접되게 배치되어 프로펠러(150) 후방의 유체 흐름을 정류시킴으로써 프로펠러(150) 후류에서 발생하는 축 방향 손실을 줄여 선체(110)의 추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것처럼 러더 벌브(140)의 전체적인 외관 형상은 물방울 형태의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러더 본체(130)의 제작 시 러더 벌브(140)가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혹은 러더 벌브(140)를 만들어 러더 본체(130)에 용접할 수도 있다.
한편, 선체(110) 내에는 복수 개의 밸러스트 탱크(160, ballast tank)가 마련된다. 밸러스트 탱크(160)는 선체(110)의 아래쪽 무게를 늘려 선체(110)가 안정적으로 항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밸러스트 워터(ballast water, 평형수)를 담는 물탱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 밸러스트 탱크(160)는 선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된다. 각 밸러스트 탱크(160)에는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161) 및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162)이 갖춰진다.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161)은 밸러스트 탱크(160)들에 각각 연결되며, 밸러스트 탱크(160)들로 밸러스트 워터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162)은 밸러스트 탱크(160)들에 각각 연결되며, 밸러스트 탱크(160)들 내의 밸러스트 워터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161) 및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162)은 배관, 밸브, 유닛언, 펌프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는 일련의 장치이지만, 도면에는 편의상 개략적으로 도시했다.
한편, 선체(110)의 선수 영역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저항 감소형 선수부(113)와 스푼형 선수부(115)가 갖춰진다.
저항 감소형 선수부(113)는 선체(110)의 수선(112, water line)을 기준으로 상기 수선(112)의 아래쪽 전방 영역에 마련되며, 도 4처럼 선체(110)가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스푼형 선수부(115)는 수선(112)의 위쪽 전방 영역에서 저항 감소형 선수부(113)의 상부에 마련되며, 도 5처럼 선체(110)가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저항 감소형 선수부(113)와 스푼형 선수부(115)의 작용으로 하이브리드 기능이 가능하다. 즉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에서는 도 4처럼 통상의 일반 선형과 동일한 효율을 보이는데, 도 5처럼 빙 해역에 들어오면 스푼형 선수부(115)에 트림(trim)을 주어 즉 스푼형 선수부(115) 쪽이 기울어지게 선수 트림을 주어 스푼형 선수부(115)가 평탄빔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스푼형 선수부(115)가 평탄빔을 파단할 수 있게끔 한다. 따라서, 빙 해역일지라도 운항에 지장이 없다.
빙 해역에서 아이스(ice)는 해수면에 떠있는 상태라서 쇄빙선(100)이 전진하면서 평탄빙과 접촉하고 파단하는 부위는 실제로는 쇄빙선(100)의 수선(112) 위아래의 2m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빙 해역 진입시 스푼형 선수부(115)에 선수 트림을 주게 되면 평탄빙이 스푼형 선수부(115)에만 접촉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충분한 쇄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참고로, 트림(trim)이란 배가 선수미 방향의 어느 쪽으로 기우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선미 흘수(after draft)와 선수 흘수(forward draft)의 차이를 트림이라 한다. 선미 흘수가 선수 흘수보다 클 때를 선미 트림, 선수 흘수가 선미 흘수보다 클 때를 선수 트림이라고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스푼형 선수부(115)는 저항 감소형 선수부(113)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바텀부(115a)와, 바텀부(115a)의 상부를 형성하되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바텀부(115a)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탑부(115b)와, 탑부(115b)와 바텀부(115a)를 곡면으로 연결하되 평탄빙을 타격하는 평탄빙 타격부(115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처럼 선체(110)가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려면 도 4에서 도 5처럼 선수 트림(trim)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쇄빙선(100)에는 운항 조건 입력부(180)와 컨트롤러(170)가 더 탑재된다.
운항 조건 입력부(180)는 선체(110)가 일반 해역(도 4 참조) 또는 빙 해역(도 5 참조)을 운항할 때의 운항 조건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조정실 등에 버튼의 형태로 운항 조건 입력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운항 조건 입력부(180)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161)과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162)의 동작을 개별 컨트롤한다.
예컨대, 컨트롤러(170)는 선체(110)가 도 5처럼 빙 해역을 운항할 때, 선수 트림이 이루어지게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161)과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162)의 동작을 개별 컨트롤한다.
스푼형 선수부(115)에 이웃한 밸러스트 탱크(160)에 밸러스트 워터가 더 많이 충전되고 반대편의 밸러스트 탱크(160)에 밸러스트 워터가 배출됨으로써 쇄빙선(100)에 선수 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선수 트림이 이루어지면 쇄빙선(100)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스푼형 선수부(115)가 평탄빙에 접촉 가압되고, 이 상태에서 추진이 이루어지면 평탄빙을 파단하면서 운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얼음이 없는 일반 해역에 이르면, 다시 컨트롤러(170)가 스푼형 선수부(115)에 이웃한 밸러스트 탱크(160)의 밸러스트 워터를 배출하는 한편 반대편의 밸러스트 탱크(160)에 밸러스트 워터를 충전함으로써 스푼형 선수부(115)가 선체(110)의 수선(112) 위로 드러나게 한다. 이럴 경우, 스푼형 선수부(115)가 해수에 닿지 않아 저항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추진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운항 조건 입력부(180)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161)과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162)의 동작을 개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운항 조건 입력부(180)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161)과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162)의 동작을 개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처럼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는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면서 전진할 수 있어서 통상의 쐐기형 쇄빙선(미도시)보다 쇄빙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도 4처럼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는 일반 선박(미도시)과 같은 저항성능(또한 연비효율)을 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쇄빙선 110 : 선체
112 : 수선 113 : 저항 감소형 선수부
115 : 스푼형 선수부 115a : 바텀부
115b : 탑부 115c : 평탄빙 타격부
120 : 벌브형 러더 조립체 150 : 프로펠러
160 : 밸러스트 탱크 161 :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
162 :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 170 : 컨트롤러
180 : 운항 조건 입력부

Claims (4)

  1. 내부에 복수 개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마련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수선(water line)을 기준으로 상기 수선의 아래쪽 전방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가 아이스(ice)가 없는 일반 해역을 운항할 때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유도하는 저항 감소형 선수부; 및
    상기 수선의 위쪽 전방 영역에서 상기 저항 감소형 선수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가 빙(氷) 해역을 운항할 때 해수면에 평지처럼 덮인 평탄빙(level ice)을 파단하는 스푼(spoon)형 선수부를 포함하는 쇄빙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형 선수부는,
    상기 저항 감소형 선수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바텀부;
    상기 바텀부의 상부를 형성하되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텀부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탑부; 및
    상기 탑부와 상기 바텀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되 상기 평탄빙을 타격하는 평탄빙 타격부를 포함하는 쇄빙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밸러스트 탱크들로 밸러스트 워터(ballast water)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 및
    상기 밸러스트 탱크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밸러스트 탱크들 내의 밸러스트 워터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쇄빙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가 상기 일반 해역 또는 상기 빙 해역을 운항할 때의 운항 조건을 입력하는 운항 조건 입력부; 및
    상기 운항 조건 입력부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과 상기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의 동작을 개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체가 상기 빙 해역을 운항할 때, 선수 트림(trim)이 이루어지게 상기 밸러스트 워터 개별 공급유닛과 상기 밸러스트 워터 개별 배출유닛의 동작을 개별 컨트롤하는 쇄빙선.
KR1020200145471A 2020-11-03 2020-11-03 쇄빙선 KR20220059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471A KR20220059828A (ko) 2020-11-03 2020-11-03 쇄빙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471A KR20220059828A (ko) 2020-11-03 2020-11-03 쇄빙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828A true KR20220059828A (ko) 2022-05-10

Family

ID=8159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471A KR20220059828A (ko) 2020-11-03 2020-11-03 쇄빙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98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7374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ice-breaking properties of a water craft and a water craft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method
US5592895A (en) Small waterplane area high speed ship
RU2429157C2 (ru) Способ раскалывания льда, судно с двигателем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05916763A (zh) 破冰船舶
KR101871885B1 (ko) 결빙된 천해에서 작업을 위한 쇄빙선
CN107757834B (zh) 一种破冰潜体
CN108698669B (zh) 稳定的单体船龙帆/动力帆船船体
WO2008116964A1 (en) Multi-purpose icebreaker
EP2051903B1 (en) Barge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barge arrangement
CN102145742B (zh) 具有方位角推进装置的船舶结构
JP3571023B2 (ja) 船舶の船首形状
US4986204A (en) Oscillationless semisubmerged high-speed vessel
KR20110021335A (ko) 배기가스를 이용한 해빙촉진수단이 구비된 쇄빙선
KR20220059828A (ko) 쇄빙선
CN109094743B (zh) 一种大型极地运输船构型
KR101857876B1 (ko) 쇄빙 기능을 구비한 선박
EP1545968A1 (en) Vessel provided with a foil situated below the waterline
US3866556A (en) Ship construction
KR102327625B1 (ko) 선박
RU2820671C1 (ru) Кормовая оконечность ледокольного танкера
KR20200027723A (ko) 쇄빙선
RU2585199C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полупогружное крупнотоннаж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 для плавания в морях с ледовым покровом и на чистой воде
RU200935U1 (ru) Корпус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сухогрузного судна повышенной ледовой проходимости
KR20230045200A (ko) 쇄빙선
JP2012116401A (ja)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